KR101679390B1 -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390B1
KR101679390B1 KR1020150105010A KR20150105010A KR101679390B1 KR 101679390 B1 KR101679390 B1 KR 101679390B1 KR 1020150105010 A KR1020150105010 A KR 1020150105010A KR 20150105010 A KR20150105010 A KR 20150105010A KR 101679390 B1 KR101679390 B1 KR 10167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content
association
content list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
이승준
조재윤
김정식
추홍엽
황준호
반경자
조수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038
    • G06F17/218
    • G06F17/30053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tag)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대한 컨텐츠 추가 요청, 및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컨텐츠에 상기 태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태그 설정 요청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OF PROVIDING TAG-BASED LIST OF CONT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태그를 기반으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지 영상, 동영상, 음원 파일 등의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 다수의 컨텐츠를 목록으로서 관리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재생 목록을 구성하여 이용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9135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에 태그를 태깅하는 것만으로 그에 따른 컨텐츠 목록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목록 생성의 용이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컨텐츠 목록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태그와 관련성이 있는 연관 태그를 결정하고 해당 태그에 따른 컨텐츠 목록이 제공될 때 연관 태그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목록들 간 탐색의 용이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컨텐츠의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태그들 간 태그 연관성 또는 사용자 연관성을 이용하여 연관 태그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관련성 있는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tag)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대한 컨텐츠 추가 요청, 및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컨텐츠에 상기 태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태그 설정 요청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태그(tag)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부; 적어도 하나의 연관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연관 태그 결정부; 및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 태그를 추가로 제공하는 연관 태그 제공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컨텐츠에 태그를 태깅하는 것만으로 그에 따른 컨텐츠 목록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목록 생성의 용이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컨텐츠 목록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특정 태그와 관련성 있는 연관 태그를 결정하고 해당 태그에 따른 컨텐츠 목록이 제공될 때 연관 태그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목록들 간 탐색의 용이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컨텐츠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태그들 간 태그 연관성 또는 사용자 연관성을 이용하여 연관 태그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관련성 있는 컨텐츠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시스템(1)은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컨텐츠 또는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는 정지 영상, 동영상, 음원 파일 등 사용자가 시/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일 수 있다.
컨텐츠 목록은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가 재생 순서에 상응하는 순서로 나열된 재생 목록(playlist)일 수 있다.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에도 광고,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광고 서비스,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가 저장된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와 컨텐츠 저장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를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들을 보다 편리하게 분류하기 위해 컨텐츠들에 태그(hash tag)를 태깅(tagging)하거나, 특정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시스템(1)의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 연관 태그 결정부(170) 및 연관 태그 제공부(180)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부(110)는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작업,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컨텐츠 저장 서버로부터 컨텐츠 또는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컨텐츠 또는 컨텐츠 목록을 이용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 연관 태그 결정부(170) 및 연관 태그 제공부(180)를 제어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를 저장하는 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컨텐츠들 및 태그들 각각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자 및 태그 식별자가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태그 식별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태그 식별자에는 해당 태그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매핑될 수 있다. 예컨대, 태그 식별자에는 해당 태그의 이름, 생성 시각, 생성자, 재생 횟수, 선호도, 공유 현황 등이 매핑될 수 있다.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태그(tag) 및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한다.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해당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는 태그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 목록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에는 컨텐츠에 관한 각종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로서 메타데이터(metadata)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태그는 메타데이터의 한 종류로서, 컨텐츠들에 태깅되어 컨텐츠들을 분류하거나,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일 수 있다. 태그는 특정 기호와 문자열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태그는 '#', '@', '/' 등 다양한 기호와 문자열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태그는 '#노동요', '@요즘_HOT_가요' 또는 '/노래방인기곡'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컨텐츠에는 태그가 태깅되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태깅될 수 있다. 태그에는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이 생성되며, 컨텐츠 목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에서 설정된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태그(tag)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생성한다.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태그가 태깅(tagging)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태그 및 컨텐츠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태그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컨텐츠가 더 추가되는 경우, 추가된 컨텐츠에 해당 태그가 태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노동요'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AAA' 컨텐츠가 추가되는 경우, 'AAA' 컨텐츠에 '#노동요' 태그가 자동으로 태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에 상응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컨텐츠에 태그가 태깅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을 새로이 생성하거나, 기존에 생성된 컨텐츠 목록에 해당 컨텐츠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컨텐츠에 기생성된 태그가 태깅되는 경우, 해당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해당 컨텐츠가 더 포함하도록 컨텐츠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AA' 컨텐츠에 '#노동요' 태그가 태깅되고, '#노동요' 태그는 기생성된 태그인 경우, '#노동요'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AAA' 컨텐츠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컨텐츠에 기생성되지 아니한 새로운 태그가 태깅되는 경우, 새로운 태그에 상응하여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을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AA' 컨텐츠에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태그가 태깅되고,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태그는 기생성되지 아니한 태그인 경우,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태그에 상응하고 'AAA'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이 새로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특정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대한 컨텐츠 추가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특정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컨텐츠에 해당 태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태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 및 태그에 상응하여 생성된 컨텐츠 목록을 자동 갱신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태그를 컨텐츠 목록처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컨텐츠 순위에 따라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들의 순서가 달리 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컨텐츠 순위는 사용자들의 컨텐츠 재생 횟수 또는 컨텐츠 선호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비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만 해당 컨텐츠의 순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 컨텐츠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목록 제공부(160)는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100개의 컨텐츠들 중 컨텐츠 순위가 3위인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비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해당 컨텐츠는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만 순위가 100위인 것으로 보고, 컨텐츠 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도록 컨텐츠 목록을 정렬할 수 있다.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특정 태그와 연관성이 높은 다른 태그를 연관 태그로 결정한다.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연관 조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와 연관성이 높은 연관 태그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태그에는 복수의 연관 태그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아이돌_라이브' 태그에 대해, '#요즘_HOT_가요' 태그 및 '#노래방인기곡' 태그가 연관 태그로 결정될 수 있다.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태그 및 추가 태그 사이에 태그 연관성이 있는 경우, 추가 태그를 연관 태그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태그를 이루는 문자열들 간 공통된 부분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태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태그를 이루는 문자열들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경우, 태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두 문자열들 간 레벤슈타인(Levenshtein) 거리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으나, 두 문자열들 간 유사도를 산출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특정 태그를 이루는 문자열에서 해당 태그와 다른 태그 간 공통된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거나, 해당 태그와 다른 태그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태그와 다른 태그는 태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요소들 및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요소들 중 공통된 요소들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태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요소들은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태그가 태깅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가 'C01', 'C02', 'C03'이고, 추가 태그가 태깅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가 'C01', 'C02', 'C11'인 경우, 태그 및 추가 태그 간 전체 6개의 요소들 중 4개의 요소들이 공통되므로 공통된 요소들의 비율은 약 66%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 비율이 50%인 경우,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태그 및 추가 태그 사이에 태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요소들은 컨텐츠들에 태그 또는 추가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 및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컨텐츠들에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가 'U01', 'U02', 'U03'이고, 추가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가 'U01', 'U11', 'U12'인 경우, 태그 및 추가 태그 간 전체 6개의 요소들 중 2개의 요소들이 공통되므로 공통된 요소들의 비율은 약 33%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태그가 태깅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가 'C01', 'C02', 'C03'이고, 추가 태그가 태깅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가 'C01', 'C02', 'C11'이고, 컨텐츠들에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가 'U01', 'U02', 'U03'이고, 추가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가 'U01', 'U11', 'U12'인 경우를 모두 고려하는 경우, 태그 및 추가 태그 간 전체 12개의 요소들 중 6개의 요소들이 공통되므로 공통된 요소들의 비율은 50%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소들은 컨텐츠들의 식별자 및 사용자들의 식별자에 한하지 아니하며, 태그들 간 공통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인 경우, 요소들은 타이틀(title), 아티스트(artist), 장르, 작곡가 등에 상응하는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특정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와 연관성이 높은 연관 태그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사용자 연관성이 있고, 제2 사용자가 태깅한 태그가 존재한다면, 해당 태그를 연관 태그로 결정할 수 있다.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제1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 및 제2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 중 공통된 활동 이력들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활동 이력들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태그를 태깅한 컨텐츠, 선호여부를 결정한 컨텐츠 및 선호여부를 결정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제1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가 'C01', 'C02', 'C03'이고, 제2 사용자가 선호하는 것으로 선택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가 'C01', 'C02', 'C11'인 경우, 제1 및 제2 사용자 간 전체 6개의 활동 이력들 중 4개의 활동 이력들이 공통되므로, 공통된 활동 이력들의 비율은 약 66%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 비율이 50%인 경우,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제1 및 제2 사용자 사이에 사용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가 사용자 연관성이 있고, 제2 사용자가 'C01', 'C02', 'C11' 컨텐츠들 각각에 'H01', 'H02', 'H11' 태그를 태깅한 경우, 연관 태그 결정부(170)는 'H01', 'H02', 'H11' 태그들을 연관 태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태깅한 태그를 연관 태그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용 중인 태그와 보다 관련성이 있는 다른 태그를 추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연관 태그 제공부(180)는 특정 태그가 제공될 때, 해당 태그의 연관 태그를 함께 제공한다. 연관 태그 제공부(180)는 태그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에서 연관 태그가 추가 정보로서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연관 태그 제공부(180)는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연관 태그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연관 태그 제공부(180)는 태그가 포함된 태그 검색 결과 화면에서 연관 태그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에 의해, 태그에 상응하여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태그와 연관된 연관 태그를 결정하고, 태그가 제공될 때 연관 태그가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고, 보다 용이하게 관련성 있는 다른 컨텐츠 목록들을 탐색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활동 이력은 태그를 생성하거나,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컨텐츠를 추가하거나, 컨텐츠에 태그를 태깅하거나, 컨텐츠의 선호여부를 결정하거나, 태그의 선호여부를 결정하는 활동에 관한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은 컨텐츠 재생을 위한 포인트 지급이나 사용자의 등급 상승과 같은 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즐겨 찾기로 등록한 컨텐츠 또는 태그에 대한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알림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알림 제공부는 사용자가 즐겨 찾기로 등록한 컨텐츠에 새로운 태그가 태깅되거나, 사용자가 즐겨 찾기로 등록한 태그에 새로운 컨텐츠가 추가되는 경우,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은 태그(tag) 및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S310), 및 연결 관계에 따라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320), 및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먼저,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한다(S310).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는 태그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 목록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설정된 연결 관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S320).
다음으로,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대한 컨텐츠 추가 요청, 및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컨텐츠에 태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태그 설정 요청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갱신한다(S33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은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S320),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단계(S410), 및 연관 태그를 추가로 제공하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먼저,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설정된 연결 관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S320).
다음으로, 연관 태그 결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연관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를 결정한다(S410).
단계(S410)에서, 연관 태그 결정부는 태그의 문자열 및 태그와 서로 다른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및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및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이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 태그를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연관 태그 결정부는 태그의 문자열에서 태그의 문자열 및 추가 태그의 문자열 간 공통된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태그의 문자열 및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연관 태그 결정부는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요소들 및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요소들 중 공통된 요소들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태그의 문자열 및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요소들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또는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 및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또는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생성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관 태그 제공부가 컨텐츠 목록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를 추가로 제공한다(S420).
단계(S420)에서, 연관 태그 제공부는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연관 태그가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태그(431) 및 태그(431)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433)이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들(410, 420, 430)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5(a)에서 사용자가 태그 생성을 위한 키워드 입력창(412)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최근에 태깅한 태그들이 결과창(413)에 표시될 수 있다.
태그가 '#특정단어' 형식인 경우, 키워드 입력창(412) 내에는 '#'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412)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와 관련된 기생성된 태그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412)에 '2학년7반'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결과창(413)에 '#2학년7반봄소풍', '#2학년7반축제브금' 등과 같이 기생성된 태그들이 표시될 수 있다.
키워드 입력창(412)에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태그가 기생성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태그 생성 시작 버튼(415)이 결과창(413)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412)에 '2학년7반봄소풍' 키워드를 입력하고, '#2학년7반봄소풍' 태그가 기생성되어 있는 경우, 결과창(413)에 '#2학년7반봄소풍' 태그만이 표시되나,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412)에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키워드를 입력하고,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태그가 기생성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결과창(413)에 태그 생성 시작 버튼(415)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고 태그 생성 시작 버튼(415)을 선택한 경우, 도 5(b)와 같이 해당 키워드(421)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에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창(42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선택 메뉴 탭(422)을 이용하여 최근에 재생한 컨텐츠,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컨텐츠 검색 등을 선택하고, 컨텐츠 선택 창(423)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424)하면 태그 생성 완료 버튼(425)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424)한 뒤 태그 생성 완료 버튼(425)을 선택한 경우, 도 5(c)와 같이 태그(431)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433)이 생성될 수 있다.
태그(431)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433)이 표시될 때, 태그(431)와 연관성이 높은 연관 태그(432)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태그와 '#봄소풍' 태그가 연관성이 높은 경우, '#2학년7반수학여행브금'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이 표시될 때, '#봄소풍' 태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6는 컨텐츠에 태그가 추가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들(510, 520, 530)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6(a)와 같이, 컨텐츠 재생 화면(510)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화면(510)에는 컨텐츠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511),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512), 컨텐츠 재생 진행 상황(513), 태그(514) 및 태그 추가 버튼(515)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태그(514)는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들이 복수인 경우,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들 각각이 번갈아가며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 추가 버튼(515)을 선택하면, 도 6(b)와 같이, 태그 추가를 위한 키워드 입력창 및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들(52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들(5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525)을 선택하는 경우, 도 6(c)와 같이, 사용자가 최근에 태깅한 태그들이 결과창(533)에 표시될 수 있다.
태그가 '#특정단어' 형식인 경우, 키워드 입력창(525) 내에는 '#'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525)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와 관련된 기생성된 태그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최근에 태깅한 태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키워드 입력창(525)에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키워드 입력창(525)에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 표시된 기생성된 태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등 컨텐츠에 태깅할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태그 생성 버튼(535)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에 태깅할 키워드를 입력하고 태그 생성 버튼(535)을 선택하면,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태그가 컨텐츠에 태깅될 수 있다.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태그가 기생성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컨텐츠를 포함하고 해당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614) 및 연관 태그(615, 625)가 함께 제공되는 화면들(610, 620)임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7(a)과 같이, 컨텐츠 목록 화면(610)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목록 화면(610)에는 태그 표시줄(611), 메뉴 표시줄(612), 추가 정보 표시줄(613), 컨텐츠 목록(614), 컨텐츠 추가를 위한 키워드 입력창(616), 미니 플레이어(617)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태그 표시줄(611)에는 컨텐츠 목록의 이름에 상응하는 태그가 표시될 수 있다. 해당 태그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경우, 해당 태그의 공유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유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태그의 공개 여부를 토글할 수 있다. 예컨대, 공개 여부는 '비공개', '친구 공개' 및 '전체 공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메뉴 표시줄(612)에는 재생 버튼, 선호 버튼, 공유 버튼 및 태그 상세 정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전체 컨텐츠가 순서대로 재생될 수 있다. 재생 버튼에는 컨텐츠 목록을 전체 재생한 전체 사용자 수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해당 태그를 선호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선호 버튼에는 태그를 선호하는 전체 사용자 수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유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태그를 이용하여 링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노동요' 태그의 경우, 사용자가 공유 버튼을 선택하면 'http://me2.do/#/노동요'와 같은 링크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링크 주소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다른 사용자가 해당 링크 주소로 접속하면 다른 사용자도 컨텐츠 목록 화면(610)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 상세 정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태그를 생성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정보 표시줄(613)에는 연관 태그(615),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연관 태그(615)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연관 태그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컨텐츠들의 정렬 방법을 토글할 수 있다. 예컨대, 정렬 방법은 '최신순' 및 '인기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미니 플레이어(617)에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니 플레이어(617)를 선택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컨텐츠 재생 화면(5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a)에서 표시된 연관 태그(615)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다른 연관 태그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노동요' 태그에 대해, '#요즘_HOT_가요' 태그(615) 및 '#노래방인기곡' 태그(625)가 연관 태그고 기설정된 시간이 3초인 경우, '#요즘_HOT_가요' 태그(615)가 3초 동안 표시된 후, '#노래방인기곡' 태그(625)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비록 도 7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컨텐츠 목록 화면의 메뉴 표시줄(612) 위치에는 버튼들 대신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태그를 태깅한 사용자들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8은 태그 검색 결과(720) 및 연관 태그(730)가 함께 제공되는 화면(700)임을 알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창(710)에 키워드를 입력하면 결과창에 키워드가 포함된 태그들이 포함된 태그 검색 결과(720)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아이돌' 키워드를 입력하면, 이를 포함하는 '#아이돌_라이브' 태그 및 '#SM_아이돌_상큼데뷔곡' 태그 등이 태그 검색 결과(720)로서 표시될 수 있다.
태그 검색 결과(720)에 포함된 태그들에 연관 태그(730)가 존재하는 경우, 결과창에 연관 태그(73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아이돌_라이브' 태그에 대해, '#요즘_HOT_가요' 태그 및 '#노래방인기곡' 태그가 연관 태그(730)인 경우, 결과창에 '#요즘_HOT_가요' 태그 및 '#노래방인기곡' 태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연관 태그(730)에는 태그 검색 결과(720)와 구분되기 위한 식별 아이콘(731)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요즘_HOT_가요' 태그 및 '#노래방인기곡' 태그가 연관 태그(730)로서 표시되는 경우, '#요즘_HOT_가요' 태그 및 '#노래방인기곡' 태그 각각에 '연관' 아이콘(731)이 함께 표시됨으로써, 연관 태그(730)는 태그 검색 결과(720)와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키워드 입력창(710)은 검색 토글 버튼(7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 토글 버튼(711)을 선택하여 태그 검색 및 컨텐츠 검색을 토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160: 컨텐츠 목록 제공부 170: 연관 태그 결정부
180: 연관 태그 제공부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0)

  1.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태그(tag)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대한 컨텐츠 추가 요청, 및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컨텐츠에 상기 태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태그 설정 요청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단계; 및
    연관 태그 결정부가,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태그와 서로 다른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및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이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서로 다른 추가 사용자가 제3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재생 순서에 상응하는 순서로 나열된 재생 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은
    연관 태그 제공부가,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연관 태그를 추가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가,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상기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추가 태그를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하고,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및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이 상기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추가 태그를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추가 사용자가 제3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추가 사용자가 태깅(tagging)한 추가 태그를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가, 상기 태그의 문자열에서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추가 태그의 문자열 간 공통된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상기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가, 상기 태그의 문자열에서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추가 태그의 문자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상기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요소들 및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요소들 중 공통된 요소들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및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이 상기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은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또는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컨텐츠들 각각의 식별자, 및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또는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생성한 사용자들 각각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 및 상기 추가 사용자의 활동 이력들 중 공통된 활동 이력들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추가 사용자가 상기 제3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 이력들은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추가 사용자가, 태그를 태깅한 컨텐츠, 선호여부를 결정한 컨텐츠 및 선호여부를 결정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13. 태그(tag)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생성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간 연결 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관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부;
    적어도 하나의 연관 조건에 기초하여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연관 태그 결정부; 및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 태그를 추가로 제공하는 연관 태그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는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태그와 서로 다른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및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이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및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서로 다른 추가 사용자가 제3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 태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 제공부는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대한 컨텐츠 추가 요청, 및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컨텐츠에 상기 태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태그 설정 요청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재생 순서에 상응하는 순서로 나열된 재생 목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태그 결정부는
    상기 태그의 문자열 및 상기 추가 태그의 문자열이 상기 제1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추가 태그를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하고,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 및 상기 추가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이 상기 제2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추가 태그를 상기 태그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추가 사용자가 제3 연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추가 사용자가 태깅(tagging)한 추가 태그를 상기 태그 관련 컨텐츠 목록의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에 상응하는 연관 태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목록 제공 장치.
  19.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3 항 및 제6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삭제
KR1020150105010A 2015-07-24 2015-07-24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7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10A KR101679390B1 (ko) 2015-07-24 2015-07-24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10A KR101679390B1 (ko) 2015-07-24 2015-07-24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390B1 true KR101679390B1 (ko) 2016-11-25

Family

ID=576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010A KR101679390B1 (ko) 2015-07-24 2015-07-24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39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2951B2 (ja) ビデオインターバルへの注釈
US8799300B2 (en) Bookmarking segments of content
US202001597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ipping and sharing content at a portable terminal
US10871881B2 (en) Dynamically picking content from social shares to display in a user interface
US20130268513A1 (en) Annotations based on hierarchical categories and groups
CN105635764B (zh) 视频直播中播放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030649B (zh) 针对媒体项的全局评论
US20120265827A9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social network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US201000426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content on a user-content driven website
US108246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119248A1 (en) Topic identification system, topic identification device, client terminal, program, topic ident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170712B2 (en) Presenting content related to current media consumption
KR20140126556A (ko) 감성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00045195A (ko) 컨텐트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9668A (ko) 검색 연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84577B1 (ko)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027155B1 (ko) 동영상 정보에 구간별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JP2007088967A (ja) 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端末
KR20080051442A (ko) 지도 기반의 컨텐츠 등록/표시 방법
KR101679390B1 (ko)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1145973A (ja) プレイリスト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690283B1 (ko) 태그 기반 컨텐츠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04981A (ko) 정보 통합 검색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5022751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ccess to a content
US201301519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smart contents based on contents of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