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768B1 -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768B1
KR101675768B1 KR1020150000072A KR20150000072A KR101675768B1 KR 101675768 B1 KR101675768 B1 KR 101675768B1 KR 1020150000072 A KR1020150000072 A KR 1020150000072A KR 20150000072 A KR20150000072 A KR 20150000072A KR 101675768 B1 KR101675768 B1 KR 10167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door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3979A (en
Inventor
송광섭
Original Assignee
송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섭 filed Critical 송광섭
Priority to KR102015000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768B1/en
Publication of KR2016008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차량 시동을 차단시켜 차량 도난이나 차량 내 물품 분실 등의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 운전자가 차량으로 근접하면 시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유닛과 운전자가 휴대하는 운전자단말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운전자단말로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출함과 더불어, 이에 대해 운전자단말로부터 경계 모드전환 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운전자단말로부터 비경계 모드전환 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운전자 단말은 상기 차량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리측정용 데이터의 수신레벨을 근거로 운전자 위치의 유효 거리 영역을 이탈하였다고 판단되면 경계 모드전환 데이터를 상기 차량유닛으로 무선 송출하고, 운전자 위치가 유효 거리 영역이라고 판단되면 비경계 모드전환 데이터를 상기 차량유닛으로 무선 송출하되, 운전자 위치가 유효 거리 영역 이탈 후 재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비경계 모드전환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a vehicle, which, when a driver leave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automatically stops the vehicle from starting and prevents loss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that allows a driver to conveniently use the vehicle by switching to a bootable state.
The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vehicle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driver terminal carried by a driver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vehicle unit wirelessly transmits distance measurement data to the driver terminal, Wherein the driver terminal is configured to block the starting of the vehicle when the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and to start the vehicle when the non-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ffective distance range of the driver position is deviated from the reception level of the measurement data, the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position is the effective distance area, Wirelessly to the unit, but the driver's position is valid. After leaving the area when judged that the entry material and being configured to radio transmits the non-alert mode conversion data.

Figure R1020150000072
Figure R1020150000072

Description

차량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0001]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차량 시동을 차단시켜 차량 도난이나 차량 내 물품 분실 등의 손실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 운전자가 차량으로 근접하면 시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arm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a vehicle from being stolen or lost, State to enable the driver to conveniently us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그 물질적 가치가 크고, 운반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잦은 도난 사고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중·대형 차량에 도난 방지를 위한 장치가 거의 필수적으로 채택되고 있음은 물론, 차량의 도난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In general, automobiles are subject to frequent theft accidents because of their high material value and ease of carrying. In recent years, devices for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s have been almost indispensable,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inimize the risk of vehicle theft.

이러한 노력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제3자가 강제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 차량에서 경보음을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The most common method of such efforts is to install a vehicle safety device configured to send an alarm sound to the vehicle when a third party forcibly intends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not started.

한편, 최근 온라인 쇼핑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물품을 배달하기 위한 택배 차량이나 화물차량, 오토바이 등을 이용한 물품운송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들은 물품을 수납한 상태이기 때문에 안전장치의 설치가 더욱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recent on-line shopping service being activated, the transportation of goods using courier vehicles, freight vehicles, motorcycles, etc. for delivering goods is becoming active. These vehicles are required to install safeguards because they are housed in goods.

그러나, 상기한 종래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통상 물품을 배달하기 위한 택배나 화물 차량 등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물품 배달을 위해 잠시 차량의 시동을 켜 둔 상태로 차량을 이탈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되는 바,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는 상기한 종래 차량용 안전장치는 경보 동작을 하지 않게 되므로, 차량용 안전장치의 설치가 의미가 없게 된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ehicle safety device operates in a state in which the start-up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In general, a driver who operates a courier or a freight vehicle for delivering goods, The conventional vehicle safety device does not perform an alarm operation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n,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safety device becomes meaningless.

또한, 물품을 배달하기 위한 택배나 화물 차량 등의 운전자가 물품 배달을 위해 잠시 차량의 시동을 켜 둔 상태로 차량을 이탈하는 상황에서는, 차량의 기름이 낭비됨은 물론, 차량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경제적인 손실이 있게 된다. Further, in a situation where a driver such as a courier or a freight vehicle for delivering the goods leaves the vehicle with the start of the vehicle turned on for a while, the oil of the vehicle is wasted, There is an economic loss that shortens the life span.

[선행문헌][Prior Art]

1. 한국등록특허 제0300928호 (발명의 명칭 : 차량의자동시동제어장치)1. Korean Patent No. 0300928 (entitled " Automatic Start Control Device for Vehicles "

2. 한국공개특허 제2002-0078803호 (발명의 명칭 :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78803 (entitled "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and Vehicle Theft Prevention Method "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시동 차단상태로 자동 설정함과 더불어 차량의 도어를 잠금상태로 자동 설정하도록 해 주는 차량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set a door to a locked state in addition to automatically setting a starting shutdown state in which a vehicle can not be started, It has a technical purpose in providing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일정 거리 이내로 재 진입한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시동 가능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차량의 도어를 오픈 상태로 자동 설정하도록 해 주는 차량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that automatically sets the vehicle to a startable state and automatically sets a door of the vehicle to an open st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re-enters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운전자단말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시동 차단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차량의 도어를 잠금상태로 설정하거나, 또는 시동 가능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차량의 도어를 오픈 상태로 설정하도록 해 주는 차량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r uses a driver's terminal carried by him to set a start-up blocking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not be started, if necessary, and sets the door of the vehicle to a locked state or a startable state And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that allows the door of the vehicle to be set in an open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유닛과 운전자가 휴대하는 운전자단말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단말은 경계모드설정 기능키와, 비경계모드설정 기능키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설정정보를 상기 차량유닛으로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운전자단말로부터 경계모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시킴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잠금설정하고, 비경계모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가능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열림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차량유닛은 차량의 시동관련 선 사이 또는 차량의 키박스에 연결되는 스타트 선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시동제어 릴레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driver terminal carried by a driver ar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e driver terminal includes a 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And a setting function key to wirelessly transmit the mode sett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river to the vehicle unit, wherein when the boundary mod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the vehicle unit is configured to block the starting of the vehicle And when the non-boundary mod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sets the start of the vehicle to the enabled state and sets the door state to the open state. And a starting line connected to a key box of the vehicle, The vehicle security device being configured to provided is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시동제어 릴레이는 차량의 시동관련 선 사이에 병렬 형태로 이중화 되어 결합되고, 이중화된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의 일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류센서가 결합되며,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전류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레벨을 비교하여 전류레벨이 일정 이하의 전류레벨을 갖는 전류센서와 결합된 시동제어 릴레이를 장애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The first and second start control relays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control relay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parallel, Compares the current levels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and determines that the starting control relay coupled to the current sensor having a current level of a current level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is in a fault condition do.

또한, 상기 차량유닛은 장파장의 LF(Low Frequency)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LF 송신처리부와 운전자 단말로부터 모드전환 데이터를 수신하는 RF 수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단말은 차량유닛으로부터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LF(Low Frequency) 수신처리부와 400MHz 이상의 RF(Radio frwquency)를 이용하여 모드전환 데이터를 송신하는 RF 송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The vehicl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LF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istance measurement data using a LF (Low Frequency) of a long wavelength and an RF recep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mode switching data from the driver terminal, An LF (Low Frequency) recep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distance measurement data from the vehicle unit and an RF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ode switching data using RF (Radio Frequency) of 400 MHz or more. Is provided.

또한, 상기 운전자단말은 시동 기능 설정을 위한 시동설정키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동설정키가 입력되어 시동 설정상태가 등록된 경우에는 유효 거리 영역으로 재 진입시 시동 설정데이터를 포함하는 거리 관련 데이터를 상기 차량유닛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차량유닛은 거리 관련 데이터에 시동 설정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도록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The driv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tart setting key for setting a start function. When the start set key is input and the start set state is registered, The vehicle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to the vehicle unit, and the vehicle unit is configured to set the vehicle to start when the start-up setting data is included in the distance-related data.

또한, 차량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화물공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화물공간 일측에는 운전자가 출입하기 위한 화물도어가 구비됨과 더불어 화물도어에는 화물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이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도어락은 제2 도어락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도어개폐정보를 근거로 자동으로 화물도어 잠금 또는 화물도어 열림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도어락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제1 도어락 무선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경계 모드 전환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 운전석 도어 상태를 잠금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락으로 도어 잠금정보를 무선송출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비경계 모드 전환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 운전석 도어 상태를 열림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락으로 도어 열림정보를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cargo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oods, a cargo door for the driver to enter and exit the cargo spa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rgo space, and 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go door is installed in the cargo door, Lock door or the cargo door opening process automatically based on the door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unit, wherein the vehicle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door lock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oor lock system further includes a door lock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when the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the door lock state of the vehicle driver's seat door is set to the locked state, and door lock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by the door lock. When the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the vehicle driver's seat door state is opened The vehicle safety apparatus being configured to transmit the wireless door open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is provided with a box set state.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거나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고 도어를 잠금처리하여 차량 도난이나 차량 내 물품 분실 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vehicle from being stolen or loss of an in-vehicle item by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start of the vehicle and locking the door by moving away from the vehicle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or by request of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가 차량으로 근접하거나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상태, 또는 시동이 걸린 상태로 자동 설정함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오픈상태로 자동 설정하여 운전자가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river can be set close to the vehicle, or the driver can automatically start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can be started or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started, and the door state is automatically set to the open state, The vehicle can be used.

특히, 택배 또는 화물 차량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킨 상태에서 물품의 배송을 위해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는 바, 자동으로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차량의 상태를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도난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받으면서 업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a courier or freight vehicle, the driver moves a certain distance to deliver the goods while the vehicle is parked. Therefore, the state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while receiving.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개요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유닛(100) 및 운전자단말(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 내지 도5는 도2에 도시된 시동제어 릴레이(11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6 및 도7은 도1에 도시된 차량유닛(100)의 도어 개폐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도1에 도시된 차량용 안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overview of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unit 100 and the driver terminal 200 shown in Fig. 1 functionally separated. Fig.
Figs.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shown in Fig. 2; Fig.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door opening / closing function of the vehicle unit 100 shown i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for a vehicle shown in Fig.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유닛(100)과 운전자가 휴대하는 운전자단말(200)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unit 100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driver terminal 200 carried by a driver.

여기서, 상기 차량유닛(100)은 상기 운전자단말(200)로 일정 주기 단위로 기 설정된 신호레벨의 거리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고, 이에 대해 운전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거리 관련 정보, 즉, 모드 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Here, the vehicle unit 100 wirelessly transmits distance measurement data of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to the driver terminal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ransmits distance-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that is, And to control the starting state and the door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ode information.

또한, 상기 운전자단말(200)은 상기 차량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되는 거리측정용 데이터의 수신 신호레벨을 근거로 차량과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모드 전환 데이터를 상기 차량유닛(100)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운전자단말(200)은 수신 신호레벨을 근거로 운전자 위치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기 설정된 유효 거리 영역(A)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경계 모드로, 유효 거리 영역(A)을 이탈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경계모드로 전환하도록 해당 모드 전환 데이터를 차량유닛(100)으로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된다. The driver terminal 200 also provides the vehicle unit 100 with mode switch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distance measu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unit 100 . At this time, the driver terminal 200 determines the driver's position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level, and when the driver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effective distance area A, the driver terminal 200 moves in the non- It is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mode switching data to the vehicle unit 100 so as to switch to the boundary mode.

도2는 도1에 도시된 차량유닛(100)과 운전자단말(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unit 100 and the driver terminal 200 shown in FIG. 1 function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유닛(100)은 시동제어 릴레이(110)와 도어제어 릴레이(120), 제1 메모리(130), 제1 무선처리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vehicle unit 100 includes a startup control relay 110, a door control relay 120, a first memory 130, a first radio processing unit 140, and a first control unit 150 .

상기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단상태로 설정하거나 또는 가능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내 시동 관련 신호선 사이에 결합되거나 또는 키 박스의 스타트 선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와의 거리상태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시동 상태를 변경 설정한다. 이때, 상기 시동가능 상태는 차량의 시동 관련 선을 단절(cut)시켜 시동을 걸 수 없는 시동 불가능 상태이거나 또는 시동관련선을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 있는 시동가능상태로 구분된다. 또한,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상기 시동상태가 시동가능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을 걸어 주어 시동 걸림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는 시동제어 릴레이(110)의 상세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is for setting the start-up state of the vehicle to a cut-off state or for setting the start-up state of the vehicle to a cut-off state.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is connected between the start- The start state of the vehicle is changed and s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state from the driver provided from the driver 150. At this time, the startable state is divided into a startable state in which the start-related line of the vehicle is cut off and a startable state in which the start can not be made, or a startable state in which the start related line can be connected to start. In addition,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can set the start-up state of the vehicle by starting the vehicle while the start-up state is set to the startable state.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도어제어 릴레이(120)는 상기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차량 도어의 상태를 기계적으로 온/오프(ON/OFF) 설정함으로써, 차량 도어를 잠금상태 또는 오픈상태로 설정한다. The door control relay 120 mechanically turns on / off the state of the vehicle door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50, thereby switching the vehicle door to the locked state or the open state Setting.

상기 제1 메모리(130)는 모드 상태에 대응되는 차량 시동 및 도어 관련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The first memory 130 stores vehicle startup and door-related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 state.

상기 제1 무선처리부(140)는 상기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 단위로 기 설정된 신호레벨의 거리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출함과 더불어, 운전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전환 데이터를 제1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무선처리부(140)는 400MHz 이상(ISM 밴드, 블루투스,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 대역)의 RF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radio processing unit 140 wirelessly transmits distance measurement data of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in a predetermined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50,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first controller 150. At this time, the first radio process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radio signal of 400 MHz or more (a frequency band that performs ISM band, Bluetooth, Zigbee communication).

상기 제1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무선처리부(140)를 제어하여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운전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전환데이터를 근거로 이에 대응되는 차량 시동 상태 및 차량 도어 상태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제어부(150)는 경계모드 전환데이터 수신시에는 차량 시동 차단상태로 설정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차량 도어상태를 닫힘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부(150)는 상기 차량상태 감지신호를 근거로 현재 시동 차단상태이거나 도어 닫힘 상태인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어부(150)는 비경계모드 전환데이터 수신시 즉, 유효 거리 영역(A) 이내로 재 진입하는 경우에는 시동 가능상태로 설정하여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차량 도어상태를 열림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50)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자동으로 시동 걸림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시동 걸림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차량의 시동 걸림 설정을 위한 적절한 시동 관련 선 사이에 결합된다. The first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first radio processing unit 140 to wirelessly transmit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and transmits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to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mode conversion data provid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 The starting state and the vehicle door state. That is, when receiving the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the first control unit 150 sets the vehicle start-up cutoff state so as not to start the vehicle, and sets the vehicle door state to the closed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ler 150 maintains the current shutoff state or the door closed state based on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ignal. When the non-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that is, when the first controller 150 re-enters the valid range A, the first controller 150 may be set to the startable state to start the vehicle. In addition, Set it to the open state. Also, the first control unit 150 may automatically set the starting state of the vehicle to the starting engagement state.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for setting the startup hitch state is coupled between appropriate startup related lines for setting the startup of the vehicle.

한편, 운전자 단말(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무선처리부(210)와, 정보 입력부(220), 제2 메모리(230), 제2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driver terminal 200 includes a second wireless processing unit 210, an information input unit 220, a second memory 230, a second control unit 240, and a power supply unit 250, .

상기 제2 무선처리부(210)는 상기 차량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제2 제어부(240)로부터 제공되는 모드전환 데이터를 차량유닛(100)으로 무선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2 무선처리부(210)는 제1 무선처리부(140)와 대응되는 RF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한다. The second radio processing unit 210 wirelessly receives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vehicle unit 100 and provides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240. The second radio processing unit 210 also receives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40, And transmits data to the vehicle unit 100 wirelessly. At this time, the second wireless processing unit 21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the RF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eless processing unit 140. [

상기 정보입력부(220)는 운전자가 차량 안전관련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시동 설정 기능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시동 설정 기능키는 경계모드에서 비경계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즉 운전자가 유효 거리 영역으로 재진입하는 경우 시동을 걸어주도록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is configured to set a vehicle safety related function by the driver, and in particular, includes a startup setting function key. The start setting function key is for setting the start of a transition from the boundary mode to the non-boundary mode, that is, when the driver re-enters the effective distance range.

상기 제2 메모리(230)는 신호레벨에 대응되는 운전자 위치정보, 즉 경계 영역/비경계 영역 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경계 모드 전환데이터와 비경계 모드전환데이터 및 현재 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기능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2 메모리(220)는 제1 신호레벨 범위에 대해서는 유효 거리 영역(A) 내에 해당하는 비경계 정보가 저장되고, 제1 신호레벨 범위보다 작은 신호레벨 범위를 갖는 제2 신호레벨 범위에 대해서는 유효 거리 영역(A) 이탈에 해당하는 경계 정보가 저장된다. The second memory 230 stores driver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ignal level, that is, boundary area / non-boundary area information, and also carries out a vehicle safety function including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At this time, the second memory 220 stores the non-bound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level range within the effective distance area A, and the second signal level range having the signal level range smaller than the first signal level range The bound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parture of the effective distance area A is stored.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무선처리부(210)로부터 제공되는 거리 측정용 데이터의 수신 신호레벨을 근거로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를 판단하고, 이전 운전자 위치에 대응되는 모드와 비교하여 모드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변경모드에 대응되는 모드변경 데이터를 상기 제2 무선처리부(210)를 통해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최종 변경된 모드정보를 제2 메모리(230)에 현재 모드정보로 변경 설정한다. 즉, 상기 제2 제어부(240)는 모드전환 데이터를 차량유닛(100)으로 송신함에 있어서, 제2 메모리(230)에 저장된 이전 모드가 비경계모드인 상태에서 운전자의 현재 모드가 경계모드인 경우에는 "경계모드 전환 데이터"를 차량유닛(100)으로 무선 송신하고, 이전 모드가 경계모드인 상태에서 운전자의 현재 모드가 비경계모드인 경우에는 "비경계모드 전환 데이터"를 차량유닛(100)으로 무선 송신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40 determines a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level of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second radio processing unit 210 and compares the mode with the mod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driver position The mode chan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 m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wireless processing unit 210 by radio. At this time, the last changed mode information is changed to the current mode information in the second memory 230. That is, when the mode switch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unit 100, the second control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mode of the driver is the boundary mode in the state where the previous mod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30 is the non-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to the vehicle unit 100 when the current mode of the driver is the non-boundary mode while the previous mode is the boundary mode, .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정보입력부(220)로부터 시동 기능 설정요구가 있게 되면, 제2 메모리(210)에 시동 설정데이터를 저장하고, 비경계모드 전환데이터 전송시 시동 설정데이터를 함께 송신하도록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40 stores start-up setting data in the second memory 210 when the start-up function sett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and stores the start-up setting data in the non- To be transmitted together.

상기 전원부(250)는 본 운전자 단말(200)을 구동하기 위한 동작전원(Vcc)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250 is for providing an operation power source Vcc for driving the driver terminal 200 and is comprised of a portable battery.

이어, 상기 도2에 도시된 시동제어 릴레이(110)의 내부구성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기본적으로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일단이 차량 전원단자와 결합되면서 그 타단이 상기 제1 제어부와 결합되는 코일(C)과, 이 코일(C)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 코일(C)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 설정함으로써, 시동관련 선을 단락하는 스위치(S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arting control relay 110 basically comprises a coil C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vehicle power termina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15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il C, And a switch SW for short-circuiting the start-related line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o the coil C according to the provided signal level.

이때, 상기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내 시동 관련 선 사이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C)의 일단(86)이 예컨대, 12V 차량 전원단자와 결합되면서 그 타단(85)이 제1 제어부(150)와 결합된 상태에서, 경계모드에서는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1 제어신호, 예컨대 HIGH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SW)의 가동부(30)가 제1 고정부(87A)로 연결되어 시동제어 릴레이(110)를 오프(OFF)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시동 관련 선이 차단되어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비경계모드에서는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2 제어신호, 예컨대 LOW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SW)의 가동부(30)가 제2 고정부(87)과 연결되어 시동제어 릴레이(110)를 온(ON)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시동관련 선이 연결되어 시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는 운전자가 유효 거리 영역(A)을 이탈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시동 관련 선을 단절시켜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제3 자에 의한 차량에 대한 시동 시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between in-vehicle starting related lines. That is, in a state in which one end 86 of the coil C is coupled to the 12V vehicle power terminal and the other end 85 thereof is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the first control unit 150 A first control signal such as a HIGH signal is applied and the movable portion 30 of the switch SW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portion 87A to set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to the OFF state, And is set to a state in which starting is impossible. In the non-boundary mode, a second control signal, such as a LOW signal, is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ler 150 to connect the movable portion 30 of the switch SW to the second fixed portion 87, Is set to an ON state, whereby a start-related line is connected and set to a state in which start-up is possible. When the driver leaves the effective distance area A, the start-related line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disconnected so as not to start the vehicle, so that the start-up attempt of the vehicle by the third party can be prevented originally .

또한, 상기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박스와 연결되는 스타트 선 사이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코일(C)의 일단이 키박스와 연결되는 전원과 결합되고 그 타단이 제1 제어부(150)와 결합된 상태에서, 경계모드에서는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2 제어신호, 예컨대 LOW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SW)의 가동부(30)가 제2 고정부(87)로 연결됨으로써 시동제어 릴레이(110)를 통해 키박스와 스타트 모터 사이가 단절(cut)되어 시동 차단상태로 되고, 비경계모드에서는 제1 제어부(150)로부터 제1 제어신호, 예컨대 HIGH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SW)의 가동부(30)가 제1 고정부(87)과 연결됨으로써 시동제어 릴레이(110)를 통해 키박스와 스타트 모터 사이를 연결되어 시동 가능상태로 된다. 이는 차량 키가 키박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유효 거리 영역(A)을 이탈하게 되는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스타트 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제3 자에 의한 차량에 대한 시동 시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4, the start control relay 110 may be coupled to a start line connected to a key box. That is,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coil C is coupled to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key box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a second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LOW signal is applied and the movable portion 30 of the switch SW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portion 87 so that the key box and the start motor are cut through the start control relay 110 to be shut down In the non-boundary mode, a first control signal, for example, a HIGH signal is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ler 150 to connect the movable part 30 of the switch SW to the first fixing part 87, Is connected between the key box and the start motor to start the engine. This is because when the driver leaves the effective distance area A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box, the start motor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set not to be driven so that the start- .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차량의 시동관련 선 사이 또는 차량의 키박스에 연결되는 스타트 선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start-related lines of the vehicle or the start line connected to the key box of the vehicle.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차량의 주행 중에는 항상 시동 관련 선이 연결되어 시동 가능상태로 설정된다. 이 경우 시동제어 릴레이(110)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5와 같이 시동제어 릴레이(110)를 이중화 구성함과 더불어, 제1 제어부(150)는 시동제어 릴레이(110)의 장애상태를 판단하여 차량에 설치된 스피커 등을 통해 경보음을 제공하는 등의 안내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주행 중 시동제어 릴레이(110)의 장애로 인해 시동이 갑자기 차단되어 발생될 수 있는 치명적인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is always set to the startable state by connecting the start-related lin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n this case,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may fail, and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may be duplicated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failure. 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guidance processing such as judging a failure state and provid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vehicle.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atal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sudden shutdown of the starter control relay 110 due to a failure during the running.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시동 관련 입력선과 시동 관련 출력선 사이에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를 구비하고, 시동 관련 입력선과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 사이에 전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류센서(1201,1202)를 추가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전류센서(1201,1202)는 해당 제1 또는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의 상태에 대응되는 전류신호 레벨을 상기 제1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전류센서(1201,1202)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레벨을 비교하여, 전류레벨의 차이가 기준 레벨 이상인 경우 전류레벨이 낮은 전류센서와 결합된 시동제어 릴레이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어부(150)는 전류레벨의 차이가 전류 레벨이 높은 값의 50% 이상인 경우 전류 레벨이 낮은 시동제어 릴레이를 장애 상태로 판단한다.5A, the start control relay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start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between a start-related input line and a start-related output line, and includes a start-related input line and a first And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1201 and 1202 for sensing a current lev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rtup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1201 and 1202 provide current signal levels corresponding to the states of the first or second startup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to the first controller 150. The first control unit 150 compares the current levels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1201 and 1202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relay. Preferably, the first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startup control relay having a low current level is in a failure state when the difference of the current levels is 50% or more of the high value of the current level.

또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제어 릴레이(110)는 시동 관련 입력선과 시동 관련 출력선 사이에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와 시동 관련 출력선 사이에 전압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다이오드(1301,1302)를 추가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1301,1302)는 해당 제1 또는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의 상태에 대응되는 전압레벨을 상기 제1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전압센서(1301,1302)로부터 제공되는 전압레벨이 일정 레벨 이하인 다이오드와 결합된 시동제어 릴레이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5B, the start-up control relay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start-up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between the start-related input line and the start-related output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start- And first and second diodes 1301 and 1302 for sensing the voltage level between the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and the start-related output line. The first and second diodes 1301 and 1302 provide the first control unit 150 with the voltage levels corresponding to the states of the first or second startup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Then, the first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startup control relay coupled to the diode having the voltage level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sensors 1301 and 1302 at a certain level or less.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1101,1102)의 일단에 제1 및 제2 다이오드만 결합하여 전압레벨을 근거로 해당 시동제어릴레이의 장애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combine only the first and second diodes at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tart-up control relays 1101 and 1102 to determine the failur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tart-up control relay based on the voltage level Of course.

한편, 본 발명에 차량용 안전장치(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화물공간을 갖는 트럭 등의 화물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화물차량은 운전좌석으로 출입하기 위한 차량도어(D1) 외에 운전자가 화물공간을 출입하기 위한 별도의 화물도어(D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차량내에 배치되는 차량유닛(100)과 화물도어(D2)에 설치되는 도어락(300)이 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화물도어(D2)에 대한 개폐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meantime, the safety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reight vehicle such as a truck having a cargo space for storing articles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reight vehicle includes a car door D1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driver's seat, and a separate cargo door D2 for the driver to enter and exit the cargo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100 and the door lock 300 installed on the cargo door D2 may perform radi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o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cargo door D2.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유닛(100)은 화물도어(D2)에 설치되는 도어락(300)과 무선통신,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무선통신부(170)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7, the vehicle unit 100 includes a door radio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300 installed in the cargo door D2, and more particularly, 170).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락(300)에는 상기 도어 무선통신부(170)에 대응되는 도어락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도어개폐정보를 근거로 자동으로 화물도어 잠금 또는 화물도어 열림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oor lock 300 is provided with a door lock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do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so as to automatically open or close the cargo door lock or cargo door on the basis of the door open /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door opening process.

이어, 도8을 참조하여 차량용 안전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afet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차량유닛(100)은 일정 주기 단위로 일정 신호레벨의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출한다(ST100). 이때, 거리 측정용 데이터는 차량유닛(100) 및 운전자단말(200)에 대해 기 설정된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다.First, the vehicle unit 100 wirelessly transmits distance measurement data of a predetermined signal level in a unit of a predetermined period (ST100). At this time,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includ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preset for the vehicle unit 100 and the driver terminal 200. [

운전자 단말(200)은 상기 차량유닛(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고, 거리 측정용 데이터의 신호레벨을 근거로 현재 운전자가 유효 범위(A)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유효 거리 영역(A)를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한다(ST200). 이때, 상기 운전자 단말(200)은 유효 범위 이탈 여부에 대응되는 모드상태를 확인하고, 현재 모드가 제2 메모리(230)에 저장된 이전 모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전 모드와 현재 모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비경계 모드에서 경계모드로 변경되었거나, 경계모드에서 비경계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2 메모리(230)의 현재 모드정보를 최근 변경된 모드로 업데이트 함과 더불어, 최근 변경된 모드로의 전환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유닛(100)으로 무선 송신한다(ST300). 이때, 상기 운전자 단말(200)은 비경계모드 전환 상태에 대해서는 제2 메모리(230)에 시동 기능 설정여부를 확인하여 시동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시동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경계 모드전환 데이터를 차량유닛(100)으로 무선 송신한다.The driver terminal 200 wirelessly receives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provided from the vehicle unit 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driver is within the valid range A or the valid distance range A) (ST200). At this time, the driver terminal 200 checks the mode state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effective range is deviated or not,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mode matches the previous mod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30. At this time, if the previous mode and the current mode do not coincide, for example, when the non-boundary mode is changed to the boundary mode, or the boundary mode is changed to the non-boundary mode, the current mode information of the second memory 230 is changed to the recently changed mode In addition to the update box, the switching data to the recently changed mode is generated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unit 100 (ST300). At this time, the driver terminal 20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tart function is set in the second memory 230 for the non-border mode switching state. If the start function is set, the driv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non- (100).

한편, 차량유닛(100)은 제1 메모리(130)에 저장된 현재 모드상태를 상기 운전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모드전환 데이터에 대응되는 모드상태로 업데이트함과 더불어, 전환 모드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시동 및 도어 상태를 변경 설정한다(ST400). 즉, 상기 차량유닛(100)은 상기 운전자 단말(200)로부터 경계 모드 전환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시동 관련선을 단절시켜 시동 차단함과 더불어, 도어 상태를 잠금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차량유닛(100)은 도6과 같은 화물차량에 대해서는 화물도어(D2)에 설치된 도어락(300)으로 도어 잠금정보를 제공하여 화물도어(D2)를 잠금상태로 자동 설정한다. Meanwhile, the vehicle unit 100 updates the current mode state stored in the first memory 130 to a mode state corresponding to the mode switching data provid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The start and the door state are changed and set (ST400). That is, when the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the vehicle unit 100 disconnects the start-related line so that the vehicle can not be started, and interrupts the startup, and sets the door state to the locked state . At this time, the vehicle unit 100 provides the door lock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300 installed on the cargo door D2 for the cargo vehicle as shown in FIG. 6 to automatically set the cargo door D2 to the locked state.

또한, 상기 차량유닛(100)은 상기 운전자 단말(200)로부터 비경계 모드 전환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시동 관련선을 연결시킴과 더불어, 차량 도어 상태를 열림 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차량유닛(100)은 도6과 같은 화물차량에 대해서는 화물도어(D2)에 설치된 도어락(300)으로 도어 열림정보를 제공하여 화물도어(D2)를 열림상태로 자동 설정한다. 또한, 상기 차량유닛(100)은 비경계 모드 전환데이터에 시동 설정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을 자동으로 걸어주어 시동 걸림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In addition, when the non-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the vehicle unit 100 connects the startup related line to enable the vehicle to start, and sets the vehicle door state to the open state. At this time, the vehicle unit 100 provides the door open information to the door lock 300 installed on the cargo door D2 for the freight car as shown in FIG. 6 to automatically set the cargo door D2 to the open state. In addition, when the non-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ncludes the startup setting data, the vehicle unit 100 automatically sets the starting of the vehicle so as to set the starting state to the starting engagement state.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량유닛(100)과 운전자단말(200)이 상호 400MHz 이상의 무선 RF신호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송신함과 더불어 거리상태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차량유닛(100)에서 전파특성이 유효 거리 영역(A)를 수용하도록 거리 측정용 데이터의 신호세기가 설정된 경우, 유효 거리 영역(A) 내에 운전자가 위치하더라도 RF 신호의 전파 특성상 차량과 운전자 사이에 건물 등의 전파특성을 방해하는 물질이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차량에서의 송신신호 지향각을 벗어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 단말은 현재 위치가 유효 거리 영역(A)를 벗어난 것으로 오판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vehicle unit 100 and the driver terminal 200 are configured to transmit the distance measurement message together with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using radio RF signals of 400 MHz or more, but the vehicle unit 100 When the signal intensity of the distance measuring data is set so that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of the signal is received in the effective distance area A in the effective range area A, When a substance that interferes with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exists or the user is located in an area deviated from the transmission signal directing angle in the vehicle, the driver terminal may have a problem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misjudged as being out of the effective range A.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유닛(100)에서 운전자 단말(200)로 무선 송신하는 거리측정용 데이터는 간섭이나 왜곡에 강한 전파특성을 갖는 장파장의 저주파(LF, Low Frequency)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저주파대역은 대략 수십 내지 수백 kHz 주파수, 바람직하게는 100kHz 주파수로 설정된다. 9, distance measurement data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vehicle unit 100 to the driver terminal 200 includes low frequency waves LF, LF having long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at are strong against interference and distortion, Low Frequency) transmission. At this time, the low frequency band is set to a frequency of about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kHz, preferably a frequency of 100 kHz.

즉,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유닛(100)은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LF 신호로 변환하여 운전자 단말(200)로 송출한다. 이때, 차량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되는 LF 주파수 대역의 거리 측정용 데이터는 기 설정된 유효 거리 영역(A) 영역을 벗어나는 범위까지도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vehicle unit 100 converts the distance measurement data into an LF signal and sends it to the driv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the data for distance measurement of the LF frequency ban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unit 100 can be transmitted to a range outside the predetermined effective distance area (A) area.

또한, 운전자단말(200)은 차량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되는 LF(Low Frequency)거리 측정용 데이터에 대한 신호레벨을 근거로 운전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유효거리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유효거리 메시지 또는 유효 거리 영역(A)이탈 메시지를 RF(Radio Frequency) 주파수로 변환하여 차량유닛(100)으로 송신한다.In addition, the driv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ffectiv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iver is based on the signal level of the LF (Low Frequency) distanc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unit 100, (A) release message to an RF (Radio Frequency) frequency and transmits it to the vehicle unit 100.

즉, 상기 차량유닛(100)은 LF(Low Frequency)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LF 송신처리부(141)와 RF(Radio Frequency) 모드전환 데이터를 수신하는 RF 수신처리부(14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1 무선처리부(1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vehicle unit 100 includes an LF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141 that wirelessly transmits distance measurement data using LF (Low Frequency) and an RF reception processing unit 142 that receives RF (Radio Frequency) mode conversion data And a first radio processing unit 140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radio processing unit.

또한, 상기 운전자단말(200)은 LF(Low Frequency)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LF 수신처리부(211)와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모드전환 데이터를 송신하는 RF 송신처리부(21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제2 무선처리부(2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driver terminal 200 further includes an LF reception processing unit 211 for receiving LF (Low Frequency) distance measurement data and an RF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212 for transmitting mode switching data using RF (Radio Frequency) And a second wireless processing unit 210 including the first wireless processing unit 210 and the second wireless processing unit 210.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탈하는 경우, 자동으로 시동 불가능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도어를 닫힘상태로 설정하고, 운전자가 차량으로 진입하여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차량을 시동가능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도어를 열림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심하고 자신이 목적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운전자가 차량으로 근접하면 자동으로 차량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driver departs from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 door is automatically set to the unstartable state and the door is set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vehicle is set to the startable state and the door is set in the open state. Thus, it is possible for the driver to carry out his / her desired work with ease, and also, 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conveniently use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자 단말(200)을 통해 시동상태 및 도어 상태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운전자 단말(200)의 정보입력부(220)는 경계모드설정 기능키와, 비경계모드설정 기능키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river arbitrarily sets the starting state and the door state through the driv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situatio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of the driver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 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and a non-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즉,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이 휴대하는 운전자 단말(200)에 구비된 정보입력부(220)를 통해 경계모드설정 기능키 또는 비경계모드설정 기능키를 입력하게 되면, 운전자단말(200)은 운전자에 의해 입력된 기능키에 대응되는 모드설정정보를 상기 차량단말(100)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That is, if the driver inputs the 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or the non-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20 provided in the driver terminal 200 carried by the driver, To the vehicle terminal (100), mod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key input by the terminal (100).

그리고, 상기 차량단말(100)은 운전자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설정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시동 및 도어의 상태를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차량유닛(100)은 상기 운전자단말(200)로부터 경계모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시킴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잠금설정하고, 비경계모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가능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열림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The vehicle terminal 100 automatically sets the start of the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do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d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 That is, when the boundary mod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200, the vehicle unit 100 blocks the starting of the vehicle and locks the door state. When the non-boundary mod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ets the door state to the open state in addition to setting the start stat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hould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유닛, 110 : 시동제어 릴레이,
120 : 도어제어 릴레이, 130 : 제1 메모리,
140 : 제1 무선처리부, 150 : 제1 제어부,
200 : 운전자단말, 210 : 제2 무선처리부,
220 : 정보입력부, 230 : 제2 메모리,
240 : 제2 제어부, 250 : 전원부.
100: vehicle unit, 110: startup control relay,
120: door control relay, 130: first memory,
140: first radio processing unit, 150: first control unit,
200: driver terminal, 210: second wireless processor,
220: information input unit, 230: second memory,
240: second control section, 250: power section.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유닛과 운전자가 휴대하는 운전자단말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단말은 경계모드설정 기능키와, 비경계모드설정 기능키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설정정보를 상기 차량유닛으로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운전자단말로부터 경계모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시킴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잠금설정하고, 비경계모드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시동을 가능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도어상태를 열림상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차량유닛은 차량의 시동관련 선 사이 또는 차량의 키박스에 연결되는 스타트 선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시동제어 릴레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A vehicle unit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driver terminal carried by the driver ar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driver terminal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and a non-boundary mode setting function key to wirelessly transmit mode setting information selected by a driver to the vehicle unit,
The vehicle unit may be configured to lock the door state when the boundary mod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and to lock the door state of the vehicle and to set the vehicle to start when the non-boundary mod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door state is set to the open state,
Wherein the vehicle unit is constituted by a starting control relay which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t least one position between start-related lines of the vehicle or a start line connected to a key box of the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제어 릴레이는 차량의 시동관련 선 사이에 병렬 형태로 이중화 되어 결합되고,
이중화된 제1 및 제2 시동제어 릴레이의 일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류센서가 결합되며,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전류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레벨을 비교하여 전류레벨이 일정 이하의 전류레벨을 갖는 전류센서와 결합된 시동제어 릴레이를 장애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art control relays are redundantly coupled in parallel between start-related lines of the vehicl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ends of the redundant first and second startup control relays,
Wherein said vehicle unit compares a current level provided from said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ors and judges a startup control relay coupled with a current sensor having a current level of a current level equal to or less than a certain level as a faulty state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유닛은 장파장의 LF(Low Frequency)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LF 송신처리부와 운전자 단말로부터 모드전환 데이터를 수신하는 RF 수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단말은 차량유닛으로부터 거리 측정용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LF(Low Frequency) 수신처리부와 400MHz 이상의 RF(Radio frwquency)를 이용하여 모드전환 데이터를 송신하는 RF 송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vehicle unit includes an LF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istance measurement data using a LF (Low Frequency) of a long wavelength and an RF recep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mode switching data from the driver terminal,
The driver terminal includes an LF (Low Frequency) recep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distance measurement data from the vehicle unit and an RF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mode conversion data using RF (Radio Frequency) of 400 MHz or more Vehicle safet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단말은 시동 기능 설정을 위한 시동설정키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시동설정키가 입력되어 시동 설정상태가 등록된 경우에는 유효 거리 영역으로 재 진입시 시동 설정데이터를 포함하는 거리 관련 데이터를 상기 차량유닛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차량유닛은 거리 관련 데이터에 시동 설정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er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tart setting key for setting a start function. When the start set key is input and the start set state is registered, the driver terminal transmits distance related data including start set data at re- And to transmit to the vehicle unit,
And the vehicle unit is configured to start the vehicle when the distance-related data includes the startup setting data.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화물공간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화물공간 일측에는 운전자가 출입하기 위한 화물도어가 구비됨과 더불어 화물도어에는 화물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이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도어락은 제2 도어락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도어개폐정보를 근거로 자동으로 화물도어 잠금 또는 화물도어 열림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유닛은 상기 도어락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제1 도어락 무선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경계 모드 전환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 운전석 도어 상태를 잠금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락으로 도어 잠금정보를 무선송출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비경계 모드 전환데이터가 수신되면, 차량 운전석 도어 상태를 열림 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락으로 도어 열림정보를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cargo space for storing the goods, a cargo door for the driver to enter and exit the cargo spa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rgo space, and a door lock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go door is installed on the cargo door, A door lock unit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cargo door or the cargo door opening process based on door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ehicle unit,
The vehicle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door lock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oor lock. When the 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the vehicle door lock state is set to the locked state, Wherein when the non-boundary mode switch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driver terminal, the vehicle driver's seat door state is set to the open state and the door open information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KR1020150000072A 2015-01-02 2015-01-02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675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72A KR101675768B1 (en) 2015-01-02 2015-01-02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72A KR101675768B1 (en) 2015-01-02 2015-01-02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979A KR20160083979A (en) 2016-07-13
KR101675768B1 true KR101675768B1 (en) 2016-11-15

Family

ID=5650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72A KR101675768B1 (en) 2015-01-02 2015-01-02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76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87B1 (en) 2022-05-31 2022-10-26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Delivery truck safety controller
KR102600777B1 (en) 2022-09-28 2023-11-10 주식회사 유에이치비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larm sound of delivery tru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0765B2 (en) * 2020-09-15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N113085780B (en) * 2021-04-20 2022-09-16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Anti-theft control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176B1 (en) * 1989-01-30 1991-09-19 김상국 Door-locking device
KR20110125791A (en) * 2010-05-14 2011-11-22 볼트라인 주식회사 Automobile control system for security
KR101848828B1 (en) * 2011-09-16 2018-04-1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start comtrolling in smart key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287B1 (en) 2022-05-31 2022-10-26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Delivery truck safety controller
KR102600777B1 (en) 2022-09-28 2023-11-10 주식회사 유에이치비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larm sound of delivery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979A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7149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KR102145139B1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8638202B2 (en) Keyfob proximity theft notification
US7667580B2 (en) Vehicle start inhibition system using a cell phone and position detection
US9555771B2 (en) Onboard device and vehicle anti-theft system
KR101675768B1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413664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TW201904788A (en) Vehicle-mounted door lock and unlocking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mounted lock and unlock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061085B2 (en) Smart entry system
JP2007049561A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vehic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10884463A (en) In-vehicle position uncertainty management for passive start
US1060743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tart and entry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start and entry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2007076415A (en) Vehicle control device
US9549369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140176326A1 (en) Operational omission notification method and operational omission notification system
JP2008207795A (en) Vehicle burglary and robbery prevention device
US7916004B2 (en) Security system with passive locking bypass
JP2007153190A (en) Vehicular starting device
JP2017155604A (en) Engine controller
JP6139371B2 (en) Electronic key system
KR20160045260A (en) Smart Key System and the Alerting method for Dangerous Situation thereof
US10589715B2 (en) Vehicle cotrol system with wirelessly-coupled underhood components
JP5803611B2 (en) Vehicle theft prevention device and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KR20090122577A (en) Apparatus for robbery prevention of vehicle
CN115817378A (e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