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44B1 -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44B1
KR101673844B1 KR1020160038694A KR20160038694A KR101673844B1 KR 101673844 B1 KR101673844 B1 KR 101673844B1 KR 1020160038694 A KR1020160038694 A KR 1020160038694A KR 20160038694 A KR20160038694 A KR 20160038694A KR 101673844 B1 KR101673844 B1 KR 10167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tainment system
vehicle
dedicated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1878A (en
Inventor
문종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44B1/en
Publication of KR2016004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의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 경우에만,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of an infotainment system and a wireless terminal of a vehicle, identif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and connecting the infotainment system and the wireless terminal only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scription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0001]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를 인증하는 과정을 통해, 인증된 무선 단말기를 차량과 연결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with a vehicle that connect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with a vehicle through a process of authenticating the wireless terminal.

최근 휴대용 스마트 기기에 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 헤드 유닛(head unit; H/U)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들이 증가하고 있다. [0003]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portable smart devices, wireless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wirelessly with a head unit (H / U) are increasing in number.

무선 단말기와 자동차 헤드 유닛을 연결하여 무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미디어 컨텐츠 등을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가 차동차에 구비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다른 탑승자와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 자체를 헤드 유닛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서 조작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ar head unit can be connected to share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passenger with the media contents or the like to the other passenger through a speaker or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he wireless terminal itself may be operated through an input device provided in the head unit.

이를 위해서 차량과 스마트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현재는 iPod-pad/aux 또는 Ford Sync 등의 무선 단말기와 차량의 헤드 유닛은 USB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송이 수행된다.For this, a connection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mart device is essential. For example, at present,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n iPod-pad / aux or a Ford Sync and a head unit of a vehicle are connected via USB or Bluetooth to transfer data.

하지만, 이러한 연결방법은 무선 단말기 및 차량의 헤드 유닛에 일정한 조작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즉, 무선 단말기와 헤드유닛의 손쉬운 연결을 위해서 초기 설정 및 그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이 필요하다.However, this connection method requires a certain operation o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That is, the initial setting and the operation of the user are required for easy connec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head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헤드 유닛과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단말기에 설치되도록 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wireless terminal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required for connection with a head unit on the basis of an authenticated resul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 출시 싸이클이 상대적으로 무선 단말기보다 긴 차량에서 무선 단말기와의 연결의 호환성을 확보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product launch cycle ensures compatibility of connec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in a vehicle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의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 경우에만,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of an infotainment system and a wireless terminal of a vehicle, identif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and connecting the infotainment system and the wireless terminal only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사양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인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의 운영체제(O/S)가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비되었는지 확인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wireless terminal having a specification connectable to the infotainment system, (O / S) of the terminal and confirming whether a dedicated application (APP) to be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is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n authentication server, transmitting, via the authentication server, a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nfotainment system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an authentic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fotainment system;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infotainment system.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비를 위한 전용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고, 확인된 결과가 상기 판단 결과에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have a dedicated applica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message including a dedicated URL for provid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And a step in which it is confirmed whether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onfirmed result is updated in the determination resul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 또는 상기 판단 결과는 상기 차량의 제조사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gateway provided or managed by the vehicle manufacturer.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구비된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with the infotainment system, through an authentication database provided in the infotainment system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judged.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인증된 무선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의 판단 결과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is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as a result of the infotainment system, Determining whether a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with the infotainment system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의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further comprising: i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provid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infotainment system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고, 확인된 결과가 상기 판단 결과에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firming whether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updating the determined result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 또는 상기 인증 서버의 판단 결과는 상기 차량의 제조사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gateway provided or managed by the vehicle manufactur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무선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헤드 유닛과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단말기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henticate the wireless terminal and allow the application to be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based on the authenticated result.

또한, 제품 출시 싸이클이 상대적으로 무선 단말기보다 긴 차량에서 무선 단말기와의 연결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atibility of the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ensured in a vehicle in which the product launch cycle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의 인증 및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의 인증 및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authentication and connection of a wireless terminal in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authentication and connection of a wireless terminal in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and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The expression " and / or " is used herein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Also, the expression " coupled / connected " is used to mean eithe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ing" or "comprising" means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헤드 유닛과 같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에 관한 내용으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를 인증한 후,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를 연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n infotainment system such as a head unit provided in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nd it relates to a method for connecting an infotainment system and a wireless terminal I want to.

여기서, 차량에 구비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헤드 유닛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무선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차량의 헤드 유닛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 역시 스마트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 the infotainment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with the head unit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smart phone as an example. However, the infotainment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smart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의 인증 및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llustrates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application for authentication and connection of a wireless terminal in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먼저, 헤드 유닛(210) 및 스마트폰(220)이 서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고, 헤드 유닛(210)과 스마트폰(220)의 접속이 확인된다(S110).First,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phone 220 are connected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for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phone 220 is confirmed (S110).

S110 단계에서 확인된 헤드 유닛(210)과 스마트폰(220)의 접속을 통해서, 스마트폰(220)의 식별정보(ID)가 인식된다(S120). 여기서, 식별정보(ID)는 스마트폰(220)이 다른 무선 단말기와 구분되는 정보로서, 스마트폰(220)의 제품정보 또는 MAC 주소 등과 같은 고유 정보가 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phone 220 is recognized through connection of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phone 220 identified in step S110 (S12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information that the smartphone 220 distinguishes from other wireless terminals, and may be unique information such as product information or a MAC address of the smart phone 220.

이후, S120 단계에서 인식된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이 헤드 유닛(210)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식별정보(ID)를 통해서 특정된 스마트폰(220)이 헤드 유닛(210)과 연결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지를 인증한다(S130).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artphone 2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recognized in step S120 is a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with the head unit 210. [ That is, it is authenticated whether the smartphone 220 specif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has a sufficient condition to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210 (S130).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인증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이 헤드 유닛(210)에 연결 가능한 사양(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등)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인지 확인할 수 있고,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의 운영체제(O/S)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220)의 운영체제(O/S)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는지 또는 IOS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에 헤드 유닛(210)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이 구비(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method for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phone 2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specification (hardware or software, etc.) connectable to the head unit 210 And can confirm the operating system (O / S) of the smartphone 2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For example,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O / S) of the smart phone 220 is based on Android or based on IO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a dedicated application (APP) for connection with the head unit 210 is installed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20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이후, S1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인증 결과)에 따라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이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 경우에만, 헤드 유닛(210)과 스마트폰(220)이 연결되고, 상호간에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수행된다(S170).Thereafter,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phone 220 are connected only when the smartphone 2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uthentication result) in step S130,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S170).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스마트폰(220)의 인증은 인증 서버(240)를 통해서 수행된다(S130). 1 and 2, authentication of the smartphone 220 is perform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240 in step S130.

인증 서버(240)에서 스마트폰(220)의 인증이 수행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S120 단계에서 인식된 식별정보(ID)가 인증 서버(2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인증 서버(240)는 수신된 식별정보(ID)를 통해서,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이 차량의 헤드 유닛(210)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인증 결과를 다시 헤드유닛(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헤드 유닛(210)과 인증 서버(240) 사이에는 차량의 제조사가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게이트웨이(23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ID) 또는 판단 결과는 게이트웨이(230)를 통해서 서로에게 전달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authentication server 240 to authenticate the smartphone 22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recognized in step S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240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reafter, the authentication server 24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phone 2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the head unit 210 of the vehicle throug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head unit 210 again. Between the head unit 210 of the vehicle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240, there may be a gateway 230 provided or managed by the vehicle manufactur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r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gateway 230 Can be communicated to each other.

그리고,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220)에 헤드 유닛(210)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스마트폰(220)에 헤드 유닛(210)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220)으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비(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전용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150). 여기서, 메시지는 SMS 서버(260) 및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스마트폰(220)으로 전송되는 SMS 메시지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통신으로 수행되는 여러 종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the dedicated application APP to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210 is provided in the smartphone 220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 message including a dedicated URL for installing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220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APP) to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210 is not provided S150). Here, the message may be an SMS message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220 through the SMS server 260 and the network 25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messages performed through data communication.

이후,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220)에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60),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헤드 유닛(210)과 스마트폰(2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S170). 여기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220)에 구비된 결과는 S130 단계에서 인증으로 판단된 판단 결과에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20 (S160). If a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data transfer between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phone 220 is performed (S170). Here, the result of the exclusive application being provided to the smartphone 220 may be updated and sto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authentication in step S130.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헤드 유닛(210)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스마트폰(220)을 인증 절차를 통해서 판단하고, 인증된 스마트폰(220)만을 헤드 유닛(210)과 연결하기 때문에, 양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220)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데이터 전송 또는 연결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편리하게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도록 전용 URL을 포함한 메시지를 스마트폰(220)으로 전송하므로, 헤드 유닛(210)과 스마트(210)의 연결 절차가 간소화된다.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220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the head unit 210 is determined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Unit 210, a stable connection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two devices is possible.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edicated application (APP) for data transmission or connectio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of the user of the smartphone 22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edicated applica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So that the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 210 is simplifi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의 인증 및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nd authenticating a wireless terminal in a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a mobile terminal.

먼저, 헤드 유닛(410) 및 스마트폰(420)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고, 헤드 유닛(210)과 스마트폰(220)의 접속이 확인된다(S310). 그리고, S110 단계에서 확인된 접속을 통해서, 스마트폰(420)의 식별정보(ID)가 인식된다(S320). 여기서, 식별정보(ID)는 스마트폰(420)이 다른 무선 단말기와 구분되는 정보로서, 스마트폰(420)의 제품정보 또는 MAC 주소 등과 같은 고유 정보가 될 수 있다.First, the head unit 410 and the smartphone 420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d unit 210 and the smartphone 220 is confirmed (S310). T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smartphone 420 is recognized through the connection identified in step S110 (S32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the smartphone 420 from other wireless terminals, and may be unique information such as product information or a MAC address of the smartphone 420.

이후, S320 단계에서 인식된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420)이 헤드 유닛(410)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S330)하며, 여기서, 인증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서 설명한 인용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스마트폰(420)의 인증은 1차적으로 인증 서버(440)가 아닌 헤드 유닛(410)을 통해서 수행된다(S330). 구체적으로, 헤드 유닛(410)에 구비된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스마트폰(420)이 헤드 유닛(410)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In step S3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artphone 4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recognized in step S320 is a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with the head unit 410. Here,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and 4, authentication of the smartphone 420 is primarily performed through the head unit 410, not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S330). Specifically,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smartphone 420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to the head unit 410 through the authentication database provided in the head unit 410.

이후, S3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인증 결과)에 따라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420)이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 경우에만, 헤드 유닛(410)과 스마트폰(420)이 연결되고, 상호간에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수행된다(S380).Thereafter, the head unit 410 and the smartphone 420 are connected only when the smartphone 420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uthentication result) in step S330,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S380).

그리고, S330 단계의 인증된 결과,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420)이 인증된 무선 단말기가 아닌 경우(S340), 해당 스마트폰(420)의 2차 인증이 인증 서버(440)를 통해서 수행된다(S35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 smartphone 4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not the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in step S340,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of the smartphone 420 is perform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S350).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에서, S320 단계에서 인식된 식별정보(ID)가 인증 서버(4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인증 서버(440)는 수신된 식별정보(ID)를 통해서,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420)이 차량의 헤드 유닛(410)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인증 결과를 다시 헤드유닛(4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헤드 유닛(410)과 인증 서버(440) 사이에는 차량의 제조사가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게이트웨이(430)가 존재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ID) 또는 인증 서버(440)의 판단 결과는 게이트웨이(430)를 통해서 서로에게 전달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recognized in step S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 Thereafter,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phone 420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with the head unit 410 of the vehicle throug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head unit 410 again. Here, between the head unit 410 of the vehicle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there may be a gateway 430 provided or managed by the vehicle manufactur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r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And may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gateway 430.

그리고, S350 단계의 판단 결과, 식별정보(ID)의 스마트폰(420)에 헤드 유닛(410)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420)에 설치될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헤드 유닛(410)으로 전송될 수 있다(S360). 여기서, 전용 어플레케이션의 전송과 함께, 인증 서버(440)의 판단 결과도 헤드 유닛(4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헤드 유닛(410)으로 전송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420)으로 전달되어, 스마트폰(42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420)에 구비(설치)된 결과는 S350 단계에서 인증으로 판단된 판단 결과에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50 that the smartphone 420 ha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not provid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APP to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410,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410 (S360). Here,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410. [ Thereafter, the dedicated application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410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420, so that a dedicated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420. Here, the result that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stalled) in the smartphone 420 may be updated and stored i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determined in step S350.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헤드 유닛(410)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스마트폰(420)을 1차적으로는 헤드 유닛(410)을 통해서 판단하고, 헤드 유닛(410)을 통해서 인증되지 않은 스마트폰(420)은 2차적으로 인증 서버(440)를 통해서 인증 절차가 수행되기 때문에, 헤드 유닛(410)의 모뎀 통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인증을 통해서, 인증된 스마트폰(420)만을 헤드 유닛(410)과 연결하기 때문에, 양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고, 스마트폰(420)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헤드 유닛(410)을 통해서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헤드 유닛(410)과 스마트(410)의 연결 절차가 간소화된다.The method for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smart phone 420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the head unit 410 through the head unit 410, The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440 in the smartphone 420 which is not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410, so that the modem communication cost of the head unit 410 can be reduced. Since only the authenticated smartphone 420 is connected to the head unit 410 through the authentication as described above, stable connection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two devices can be per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APP) is pres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edicated application,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head unit 410, there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head unit 410 and the smart 410 do.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은 상대적으로 무선 단말기보다 제품 출시 싸이클이 긴 차량에서 무선 단말기와의 연결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인증과정을 통해서 인증된 무선 단말기만을 차량과 연결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의 안정이 증가한다.As a result, the method of connecting a vehicle and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compatibility of connec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in a vehicle having a product release cycle tha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at of a wireless terminal, Only the connection with the vehicle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for data transmiss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Claims (6)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무선 단말기의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사양을 구비한 무선 단말기인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의 운영체제(O/S)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APP)이 구비되었는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구비된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며,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인증된 무선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가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를 통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에 적합한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지 여부가 판단되며, 상기 인증 서버의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의 판단 결과가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기가 인증된 무선 단말기인 경우에만,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무선 단말기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
Confirming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infotainment system of the vehicle and the wireless terminal;
Identif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Confirm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wireless terminal having specifications connectable to the infotainment system;
Confirming an operating system (O / S)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rming tha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APP) to be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connection with the infotainment system through the authentication database provided in the infotainment system, I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is not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n authenticated wireless terminal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tha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to the infotainment system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for connecting to the infotainment system is not provided;
The transferred dedicated applic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infotainment system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ting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server to the infotainment system; And
And connecting the infotainment system and the wireless terminal only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an authorized wireless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결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구비를 위한 전용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고, 확인된 결과가 상기 판단 결과에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have a dedicated applica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fotainment system,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a dedicated URL for providing the dedicated applic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checking whether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updating the determined result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식별정보는 상기 차량의 제조사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gateway provided or manag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고, 확인된 결과가 상기 판단 결과에 갱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 단말기 연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ecking whether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updating the determined result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삭제delete
KR1020160038694A 2016-03-30 2016-03-30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KR101673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94A KR101673844B1 (en) 2016-03-30 2016-03-30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94A KR101673844B1 (en) 2016-03-30 2016-03-30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551A Division KR20160009955A (en) 2014-07-17 2014-07-17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78A KR20160041878A (en) 2016-04-18
KR101673844B1 true KR101673844B1 (en) 2016-11-07

Family

ID=5591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694A KR101673844B1 (en) 2016-03-30 2016-03-30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330B1 (en) * 2017-09-13 2022-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6585A (en) 2010-02-12 2011-08-25 Clarion Co Ltd On-vehicle system, and on-vehic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559A (en) * 2003-07-22 2003-08-09 주식회사 아이포스 Starting/Door control device using a handphone and method thereof using it
KR101893148B1 (en) * 2011-09-29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the same
KR20140023085A (en) * 2012-08-16 2014-02-26 하영섭 A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 authentication server and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6585A (en) 2010-02-12 2011-08-25 Clarion Co Ltd On-vehicle system, and on-vehic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78A (en)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71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ownloading profile of operator
US20160150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Automobile
US10111025B2 (en)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50230044A1 (en) Updating vehicle software using a smartphone
US20160013934A1 (en) Vehicle software update verification
KR20160003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FILE DOWNLOAD FOR eUICC
CN106464566B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8125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NFC to establish a secure connection
JP6647230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lication server, an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US9691193B2 (en) Method for securely authorizing vehicle owners to an in-vehicle telematics feature absent in-car screen
CN10709416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elematics security through a supplemental channel
CN111757314A (en) Method for installing user configuration 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6856585B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short-distance wireless channel
KR20210004809A (en) Method for transferring subscrip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WO2018131223A1 (en) Relay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EP28744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equipment data installation
CN110063052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pairing
JP2018041200A (en) On-vehicle communication equipment,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KR101673844B1 (en)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JP2009302681A (en) Communication relay system, communication relay method, gateway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09955A (en) Method for connecting wireless terminal to vehicle
US11057949B2 (en) Method, apparatuses and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vehicle and a vehicle accessory
KR101641639B1 (en) Device pairing method and device
US20150304472A1 (en) Method of matching operations between vehicular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vehicle system including vehicular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center
CN106293324B (en) Vehicle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obile device lock ic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