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768B1 -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 Google Patents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768B1
KR101673768B1 KR1020150065111A KR20150065111A KR101673768B1 KR 101673768 B1 KR101673768 B1 KR 101673768B1 KR 1020150065111 A KR1020150065111 A KR 1020150065111A KR 20150065111 A KR20150065111 A KR 20150065111A KR 101673768 B1 KR101673768 B1 KR 10167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ding
sensor
area
data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면갑
Original Assignee
김면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면갑 filed Critical 김면갑
Priority to KR102015006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7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a flooding detection and an alarm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a flooding by installing sensors and a warning light on a region contain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transformer room, or a facility, and helping a manager take a measure for a flooding situation. The alarm system comprises: the sensor which checks whether the region containing the parking lot, the boiler room and the transformer room, or the facility is flooded or not; and the warning light which warns that the flooding occurs in a surrounding area by means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transmits data signals to the manager such that the manager understands a flooding area. When the flooding occurs, due to an alarm of the warning light installed in the facility containing each water tank room (a high tank, a tank, a drain tank and others) and major flooding areas such as the parking lot, the boiler room, the transformer room and the like, the manager can rapidly take a measure such that an efficient management is possible. In addition, through an integrated monitoring from a building control management receiving screen through the existing and new situation rooms, a rapid measure for a currently flooding situation by means of management can be taken, such that a safe management can be maintained.

Description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0001]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

본 발명은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에 센서와 경광등을 함께 설치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함은 물론 관리자가 침수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d detection alarm and an alarm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d detection alarm and an alarm system, in which a sensor and a warning light are installed in an area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to an inundation detection alarm and an alarm system so as to cope with situations.

현대 사회는 산업화, 공업화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공해물질의 배출량 증가 및 산림 파괴 등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과 엘니뇨 현상 등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지적인 장소에 기습적인 폭우가 발생되는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을 감시하는 현재의 기상예보 시스템은 기상위성을 통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예보가 이루어지는 반면, 국지적인 장소에 대해서는 상세 기상정보가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그 대비책이 무방비 상태로 남고 있다.Contemporary society is experiencing rapid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the global warming phenomenon and the El Niño phenomenon where the temperature is rising due to the increase of emissions of pollutants such as carbon dioxid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destruction of forests.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meteoric storms. Current weather forecasting systems that monitor these weather forecasts are forecasted for a wide range of areas through meteorological satellites, but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or local places, so that the preparation remains unprotected.

예컨대, 특정 지역에서 늦은 시간에 취침을 하고 있을 때 기상 이변에 따라 폭우 등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관리사무소는 중앙 통제기관으로부터 1차적인 기상 통보를 받고 이를 다시 전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발생되는 폭우 등에는 전혀 대비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 중앙 통제기관은 대부분 현재시간의 기상 정보만을 제공하며, 그 기상정보 또한 포괄적인 지역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국지적인 기상이변에 대해 실제적인 재해 예방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For example, when a person falls asleep at a certain time in a certain area, if the weather event occurs due to heavy weather, the management office receives the first weather report from the central control agency and delivers it again. Could not make a comparison at all. 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control agency provides only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current tim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for the comprehensive area, the actual disaster for the local weather change that may occur at a specific place as described above It has not been very effective in prevention.

즉, 종래의 경보 체계에 있어서는 먼저, 재해에 관련된 정보 수집기관(예를 들면, 국토관리청, 기상청, 홍수통제소, 한국전력공사, 수자원공사, 가스안전공사, 기타 공공 또는 사설 관측소)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정보는 재해 경보 발령기관(예를 들면, 중앙재해대책본부 및 지방자치단체 재해 대책본부)으로 전달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alarm system, information is first collected from an information collection agency related to a disaster (for example, the National Land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flood control station,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the Gas Safety Corporation, or other public or private observation stations) do.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communicated to the disaster alert organization (for example, the Central Disaster Response Headquarters and the Local Government Disaster Response Headquarters).

이러한, 재해 경보 발령기관은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재해경보를 발령한다. 이때, 종래의 경보 시스템은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보도기관 즉, 방송이나 신문 등의 언론기관에 통보한다. 언론기관 예를 들면 방송국은 이러한 경보를 라디오나TV를 통해 주민에게 전달한다. 또한, 재해 경보는 전화망을 통해 재해에 대한 직접적인 재해에 대해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수방대책기관 예를 들면 소방서, 긴급구조대, 민방공통제소, 경찰서, 적십자사, 건설안전관리본부 등의 유관기관으로 전달된다. 수방대책기관에서는 직접 재해지역에 나와 주민에게 재해경보를 전달한다. 한편, 단위 지역의 수방단(예를 들면 동 수방단)으로도 재해 경보가 전달된다. 동 수방단은 마을의 방송, 사이렌 또는 주민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재해 경보를 전달한다. 결국, 주민들은 방송과 사이렌 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전화 걸기에 의해 재해 경보를 전달받게 된다.Such a disaster alarm issuing organization shall collectively judge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issue disaster alarm if necessary. 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alarm system uses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o notify a press agency, that is, a press agency such as a broadcasting station or a newspaper. Press agencies, for example, broadcast these alerts to residents through radio or TV. In addition, disaster alarms are provided to the relevant agencies such as the fire department, emergency rescue team, civilian control station, police station, Red Cross Society,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headquarters, etc.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against direct disaster against the disaster through telephone network. do. In the anti-counterfeiting agency, the disaster alert is sent directly to the disaster area. On the other hand, the disaster warning is also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tation of the unit area (for example, the same receiving station). The Dongban headquarters directs disaster alert by calling the town's broadcasting, sirens or residents directly. Eventually, the residents will receive a disaster alert by telephone, siren, or manual phone call.

따라서, 직접 전화를 걸어야 하므로 재해 경보의 전달에 한계가 있다. 신속성도 결여된다. 또한, 공중파에 의한 경보 신호 전달이 불가능한 지역이거나 TV수신기가 없는 가정, 발령 당시에 무선 전화만 통화가 가능한 사람들에게는 재해경보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재해 경보의 전달 여부가 불확실하고, 재해로 인해 인명 등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delivery of the disaster alert because the person must make a direct telephone call. It lacks speed. In addition, disaster alarms may not be delivered to those who can not transmit alarm signals by air waves, homes without TV receivers, and those who can only make wireless calls at the time of issuance. Therefore, it is uncertain whether disaster warning is delivered or not, and damage such as human life can be increased due to disaster.

또한, 건물 내의 물탱크실의 장비고장으로 인한 물 넘침이 발생하여 기계실 및 물탱크실 내의 침수가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flooding occurs in the machine room and the water tank room due to overflow of water due to equipment failure in the water tank room in the building.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침수예상지역에 침수경보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침수경보장치의 경우 침수감지센서+예경보장치+통신장치+설치구조물이 일체화되어있어 협소한 장소에는 설치가 불가하며, 감지센서만 별도로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구성이 불가하여 시스템 구성이 단순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in order to remedy these problems, immersion alarm system is installed in the flooded area, but flooding sensor + alarm system + communication device + installation structure is unified in the case of conventional immersion alarm syste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nough to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the user because of the simpl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3903호(2013.12.26.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43903 (issued on December 26, 2013)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하는 물탱크실 및 주요 장소에 센서와 경광등을 함께 설치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d detection alarm and an alarm system that can prevent damages due to inundation by providing a water tank room installed underground and a sensor and a warning light together at a main place .

또한, 본 발명은 침수가 발생하면 각 물탱크실(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 등) 및 침수 주요장소에 설치된 경광등의 신호로 주위의 관리운영자가 신속한 대처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침수에 따른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여 안전한 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looding occurs, the surrounding management operator can efficiently manage the water tank room (high water tank, water tank, drain tank, etc.) And to provide a flood detection alarm and an alarm system that can keep a safe management by taking prompt measures against the flood detection alar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장치는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 flooding detection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for checking whether flooding occurs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nd a beacon lamp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manager so as to grasp the flooded area by applying a data signal to the controller,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inundation has occurred around the sensor by the data applied through the sensor.

본 발명의 상기 센서와 상기 경광등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rning light are formed integrally.

본 발명의 상기 경광등은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이 부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을 형성하고,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rning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ase panel for attaching a warning light to an area or a facility and constitutes a controller for sensing and analyz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so as to warn that flooding has occurred, And a lamp including a battery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anel so as to warn that a flood has occurred by generating light by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과; 상기 경광등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메인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센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ooding detection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for checking whether flooding occurs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 beacon light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so that a flood area is generated around data by the sensor, and a data signal is applied to an administrator to grasp the flood area; A transceiver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pplied by the beacon; A main controller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by wire to analyze a data signal and transmit the analyzed data signal to an administrator; And a management center for recognizing whether flooding has occurred in the area or the facility based on the data signal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responding to the situation.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고, 경광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flooding occurs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reception of a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ransmiss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controlling driving of a beacon;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so that the manager can grasp the flooded area or the flooded facilities.

본 발명의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센서등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기동, 정지, 메뉴, 확인 및 업, 다운, 레프트, 라이트를 포함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형성된 일측에 현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A button including a start, a stop, a menu, confirmation and an up, down, left, and light for controlling a sensor and the like on the front of the cas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the button on one side of the button.

본 발명은 침수가 발생하면 각 물탱크실(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 등)을 포함하는 시설물 및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 등을 포함하는 침수 주요 지역에 설치된 경광등의 신호로 관리자가 신속한 대처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존 및 신축상황실을 통한 건물제어관리 수신화면을 통한 통합 감시를 통해 현재 침수되 있는 상황을 관제에 의한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여 안전한 관리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oods in a flooded main area including a water tank room (an elevated tank, a water tank, a drain tank, etc.) and a parking lot, a boiler room, In addition, through the integrated monitoring through the building control management reception screen through the existing and the new construction situation room,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afe management by taking quick measures by the control of the current flooded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경보기의 컨트롤러부의 구성은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메인컨트롤러를 나타낸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od detection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of the alarm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ood detection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controller of Fig. 3;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inology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침구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n acupuncture detection alarm and an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보기의 컨트롤러부의 구성은 나타낸 구성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ood detection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of the alarm of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2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100 for checking whether flooding occurs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nd a beacon (200)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manager so as to grasp the flooded area by applying a data signal to the manager.

상기 센서(1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센서의 설치는 통상의 볼트,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nsor 100 is installed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so that flooding may occur. The installation of the sensor can be fixed using a normal bolt, a piece, or the like, and fixed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상기 센서(100)에서 체크하여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경광등(200)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센서(100)와 경광등(200)의 사이에는 연결선을 설치한다. A connection line is provided between the sensor 100 and the beacon light 200 so that the sensor 100 can check and apply a data signal to the beacon light 200. [

상기 경광등(200)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10)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컨트롤러부(220)를 설치하며, 상기 컨트롤러부(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2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beacon light 200 may constitute a base panel 210 to be attached to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nd a warning may be given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nel 210 that flooding has occurred A controller 220 for sensing and analyz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100 is installed to generate a light by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220, And a lamp 23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anel.

상기 컨트롤러부(220)는 사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1)와;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고, 경광등(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222)과;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2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controller unit 22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21 for supplying power from either a power source or a battery power source; A microcomputer 222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eacon light 200 by controlling the reception of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nsor 100 and the transmiss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a transmitting unit 223 for receiving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22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grasp the flooded area or the flooded facilities.

상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장치는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면 설치한 센서(100)에서 이를 감지한다. The flood detection alarm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nses this by the installed sensor 100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상기 센서(100)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광등(200)의 컨트롤러부(220)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통해 컨트롤러부(220)에서는 센서(100)가 설치된 지역 또는 시설물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어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 설치한 램프(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한다.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data and applies a data signal to the controller unit 220 of the beacon light 200. The controller unit 220 receives a large amount The controller 230 recognizes that water is flowing into the base panel 210, and the lamp 230 installed on the base panel 210 is powered by applying power.

상기 램프(230)의 구동에 의해 현재 센서(100)가 설치된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주변에 알려 침수에 따른 대처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By driving the lamp 230,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surrounding area that the flood is occurring in the area or facility where the sensor 100 is currently installed, so that the flood control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기의 작용을 도 3에 도시한 침수 감지 경보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flooding detection al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anager through the flooding detection alarm system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lood detection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은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200)과, 상기 경광등(2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장치(300)와, 상기 송수신장치(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메인컨트롤러(40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flooding detection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100 for checking whether flooding occurs in a region or a facility, (200)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so that a data signal can be applied to the manager to grasp the flooded area, a transceiver (300)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applied from the beacon (200) A main controller 400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300 by wire to analyze a data signal and transmit the analyzed data signal to an administrator; And a management center 50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flooding has occurred in the facilities and coping with the situation therefrom.

상기 경광등(200)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10)이 구성되고,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며, 분석하는 컨트롤러부(220)를 상기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부(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부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램프(230)를 설치하며, 상기 램프(230)가 설치된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등커버(240)를 포함한다. The beacon light 200 includes a base panel 210 for attaching a beacon to an area or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 controller unit 220 for detecting and analyzing an applied signa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nel 210 and a light is generated by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unit 220, A lamp 230 including a batter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nel and a back cover 240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base panel on which the lamp 230 is installed.

상기 컨트롤러부(220)는 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 및 경광등(200)의 구동을 마이컴(222)에서 제어하며,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송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223)로 구성한다.The controller unit 220 supplies power from either a commercial power source or a battery power source to the power source unit and controls the reception of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nsor 100 and the transmission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driving of the beacon light 200 And a transmission unit 223 for controlling the microcomputer 222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22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grasp the flooded area or the flooded facilities.

그리고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모든 데이터(아날로그 입력값, 아날로그 출력값, 디지털입력 상태, 디지털 출력 상태)의 표시 및 설정(시스템설정, 아날로그 입력설정, 아날로그 출력설정, 디지털입력설정, 디지털출력설정, 내부메모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로직이 내장되며, 필요한 로직 번호를 설정하여 모든 기능을 콘트롤한다.The main controller 400 controls the display and setting of all data (analog input value, analog output value, digital input state, digital output state) (system setting, analog input setting, analog output setting, digital input setting, Internal memory setting), and control all functions by setting the required logic number.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복수의 버튼(410)을 구성한다. 상기 버튼(410)은 기동버튼, 정지버튼, 메뉴버튼, 확인버튼, 업(Up)버튼, 다운(Down)버튼, 레프트버튼(L), 라이트버튼(R)으로 구성한다.The main controller 400 includes a case and a plurality of buttons 410 on the front face of the case. The button 410 includes a start button, a stop button, a menu button, an OK button, an up button, a down button, a left button L and a right button R.

상기 버튼(4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 데이터의 이동, 설정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button 410 allows to manipulate data movement, setting, and the like during a user interface.

상기 복수의 버튼(410)이 설치된 일측에는 현재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11)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11)의 상부에는 메인컨트롤러(400)의 전원 상태 및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표시등(412)과 통신상태표시등(413)을 설치한다.A display unit 4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410 so that the current status can be confirmed by a manager and a power status and a communication status of the main controller 400 are confirmed on the display unit 411 A power indicator 412 and a communication status indicator 413 are provided.

상기 케이스 전면 하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원연결단자(414)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414) 일측에는 메인컨트롤러(400)에 프로그램(개발 소스 프로그램, 그래픽자료, 운전 데이터 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내부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입력포트(415)를 설치하고, 상위 메인컨트롤러(400)에서 감시 및 제어하거나, 모듈 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통신용포트(416)를 설치하며, 상기 통신용포트(416)는 RS-232C포트, RS-485C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RS-232C포트는 상위 유니트에서 감시 및 제어를 하기 위한 것이고, RS-485C포트는 모듈간 통신시 연결하는 단자이다.A power supply connection terminal 414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ase front and a program (development source program, graphic data, operation data, etc.) is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ler 400 at one side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414 A data input port 415 for diagnosing an internal failure, and a communication port 416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by the upper main controller 400 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for communication between modules The RS-232C port is use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by the upper unit, and the RS-485C port is used for connection between modules Respectively.

상기 RS-485C포트는 채널 1번은 메인 유니트 간 통신시 연결하는 단자이며, 채널 2번은 하위 I/O 모듈간 통신시 연결하는 단자이다.In the RS-485C port, channel 1 is a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main units, and channel 2 is a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lower I / O modules.

상기 통신용포트(416) 일측에는 외부연결포트(417)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연결포트(417)는 휴대용 노트북 또는 테블릿PC와 연결하여 메인컨트롤러(400) 내 모든 데이터를 시험할 때 사용하는 랜포트로 구성하며, 상기 메인컨트롤러(400) 내에는 상기 랜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417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port 416 an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417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notebook PC or the tablet PC, Port, and a program for connecting to the LAN port is installed in the main controller 400.

상기 외부연결포트(417) 일측에는 메인컨트롤러(4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유니트상태표시등(418)을 설치하고, 상기 유니트상태표시등(418)은 전원 인입 후 메인컨트롤러의 정상 동장 상태를 나타내며, 로직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A unit status indicator 418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417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main controller 400. The unit status indicator 418 indicates a state of normal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And allows the user to confirm that the logic program is operating normally.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200)을 설치하고, 설치한 경광등과 센서(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warning light 200 is installed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transformer room, and the installed warning light and the sensor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heck whether flooding has occurred.

상기 경광등(200)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거나 또는 통상의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센서(100), 램프(230), 컨트롤러부(22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A rechargeabl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beacon light 200 or a normal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beacon 200 to supply necessary power to the sensor 100, the lamp 230, and the controller unit 220.

상기 센서(100)와 경광등(2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면, 센서(100)에서 체크하여 이를 경광등(200)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컨트롤러부(220)의 마이컴(222)에 제어를 받아 송신부(223)를 통해 센서에서 체크 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장치(300)로 인가한다.When the flooding occurs in the area or the facility with the sensor 100 and the beacon 200 installed, the sensor 100 checks the flooded area and applies the data signal to the beacon 200, Receiving unit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22 of the control unit 220 and transmits the data signal checked by the sensor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300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223.

상기 송수신장치(300)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메인컨트롤러(400)로 인가하여 현재 어느 지역의 어느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 관리센터(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변환한다.The data signal applied to the transceiver 300 is applied to the main controller 400 and converted to a data signal so as to provide the management center 500 with information about which facility in the current area is flooded.

상기 송수신장치(300)는 변환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센터(500)로 인가하여 현재 어느 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어느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침수가 발생한 지역 또는 시설물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The transceiver 300 applies the converted data signal to the management center 500 to check whether the flooding has occurred or which flood has occurred in which area, and at the same time, can cope with the flooded area or the facility .

예를 들어, 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를 포함하는 물탱크실에 침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밸브의 고장으로 인하여 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이를 센서(100)에서 체크하고, 동시에 경광등(200)에서 경보를 알림과 동시에 데이터신호를 송신하여 송수신장치(300), 메인컨트롤러(400)를 거쳐 관리센터(500)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므로 관리센터(50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water is flooded in a water tank room including a high-priced water tank, a water tank, and a drain tank, or when a water overflows in an expensive water tank, a water storage tank, and a drain tank due to a failure of a valve, At the same time, the warning light 200 notifies the alarm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data signal to the management center 500 via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300 and the main controller 400, so that the management center 500 confirms the alarm signal, So that it can cope with the situation.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것과 같이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물이 저장되거나 또는 물이 이동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누수의 상황 또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e area or facilities in which flooding may occur,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the water or install the water in the area where the water is moved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leakag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센서 200: 경광등
210: 베이스패널 220: 컨트롤러부
221: 전원부 222: 마이컴
223: 송신부 230: 램프
240: 등커버 300: 송수신장치
400: 메인컨트롤러 410: 버튼
411: 디스플레이부 412: 전원표시등
413: 통신상태표시등 414: 전원연결단자
415: 데이터입력포트 416: 통신용포트
417: 외부연결포트 418: 유니트상태표시등
500: 관리센터
100: sensor 200: warning light
210: Base panel 220: Controller section
221: Power source 222: Microcomputer
223: Transmitting section 230: Lamp
240: back cover 300: transceiver
400: Main controller 410: Button
411: Display unit 412: Power indicator
413: Communication status indicator 414: Power connection terminal
415: data input port 416: communication port
417: External connection port 418: Unit status indicator
500: Administration Center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경고함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200)과; 상기 경광등(2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장치(300)와; 상기 송수신장치(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메인컨트롤러(40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센터(5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센서(100), 경광등(200), 송수신장치(300)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기동, 정지, 메뉴, 확인 및 업(Up), 다운(Down), 레프트(L), 라이트(R)를 포함하는 버튼(410)와; 상기 버튼(410)이 형성된 일측에 현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1);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데이터를 설치하거나 내부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입력포트가 구비되고, 그 메인컨트롤러의 상기 데이터의 시험 구동시 사용되는 외부연결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표시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
A flooded detection alarm system comprising:
A sensor 100 for checking whether flooding occurs in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A warning light (200) for warning that flooding has occurred around the sensor (100) due to data applied thereto, and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a manager so as to grasp the flooded area by applying a data signal; A transceiver 300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from the beacon 200; A main controller 400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300 by wire to analyze a data signal and transmit the analyzed data signal to an administrator; And a management center (500) for detecting whether flooding has occurred in the area or the facility by the data signal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ler (400) and coping with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flooding,
The main controller 400 includes: a case; The front face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start, stop, menu, confirmation, up, down, left, light (L) R; < / RTI > And a display unit 411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button 410 on one side thereof,
Wherein the case is provided with a data input port for installing data in the main controller or for diagnosing an internal fault, an external connection port used for test driving of the data of the main controller, And a status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alarm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200)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이 부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10)을 형성하고,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컨트롤러부(220)를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부(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배터리를 갖는 램프(2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eacon light (200)
A base panel 210 is formed so that a warning light can be attached to an area or a facility including a parking lot, a boiler room, and a substation,
(220) for sensing and analyzing signals applied from the sensor (100) so as to warn that flooding has occurred,
And a lamp 230 having a battery at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nel 210 so as to generate a light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220 to warn that flooding has occurred Flood detection alarm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220)는
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1)와;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고, 경광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222)과;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2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ler unit 220
A power supply unit 221 for supplying either a commercial power supply or a battery power supply;
A microcomputer 222 which controls reception of a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sensor 100 and transmission of a received signal and driving of a beacon;
A transmission unit 223 under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22 to transmit data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grasp the flooded area or the flooded facilities;
Wherein the water immersion detection alarm system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150065111A 2015-05-11 2015-05-11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KR101673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11A KR101673768B1 (en) 2015-05-11 2015-05-11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11A KR101673768B1 (en) 2015-05-11 2015-05-11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768B1 true KR101673768B1 (en) 2016-11-07

Family

ID=5752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11A KR101673768B1 (en) 2015-05-11 2015-05-11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76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72B1 (en) * 2017-09-26 2018-05-28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Building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WO2020096082A1 (en)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Curb for measuring flood depth in urban area
KR20200077325A (en) 2018-12-20 2020-06-3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The Easy Installation Type Inundation Monitoring System
KR20200077326A (en) 2018-12-20 2020-06-30 (주)아이오티솔루션 The Bollard Type Inundation Monitor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64A (en) * 2010-06-15 2011-12-21 오희재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looding of road
KR101146085B1 (en) * 2011-11-03 2012-05-11 (주)정한전자시스템 Submergence alarm apparatus
KR20130125456A (en)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System for alarming a flooded road using a flooded road sensing device
KR101343903B1 (en) 2013-06-20 2013-12-26 경기도 광주시 Flooding sensor and system rolling flooding sen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64A (en) * 2010-06-15 2011-12-21 오희재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looding of road
KR101146085B1 (en) * 2011-11-03 2012-05-11 (주)정한전자시스템 Submergence alarm apparatus
KR20130125456A (en)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System for alarming a flooded road using a flooded road sensing device
KR101343903B1 (en) 2013-06-20 2013-12-26 경기도 광주시 Flooding sensor and system rolling flooding sen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72B1 (en) * 2017-09-26 2018-05-28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Building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WO2020096082A1 (en)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Curb for measuring flood depth in urban area
US11187568B2 (en) 2018-11-06 2021-11-30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Curb for measuring flood depth in urban area
KR20200077325A (en) 2018-12-20 2020-06-3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The Easy Installation Type Inundation Monitoring System
KR20200077326A (en) 2018-12-20 2020-06-30 (주)아이오티솔루션 The Bollard Type Inundation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25731A1 (en)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Satellite Modules
KR100806255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 small water works
KR101673768B1 (en) 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CN201965477U (en) Comprehensive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10679201A (en) Earthquake event response alarm and utility control system with utility control unit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KR10246464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439267B1 (en) Unmanned fire control apparatus of realtime smart type
JP3005931B2 (en) Emergency call network system
CN106297154A (en) A kind of intelligent fire repair and maintenance monitoring system
KR101895213B1 (en) Solar radio emergency call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CN112820082A (en) Civil air defense alarm supervis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use method thereof
CN212076076U (en) Elevator system capable of detecting water inflow of car
KR20220056416A (en) Monitoring device for garbage unauthorized dumping
KR20100002104A (en) Unification wireless digital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s
KR100796143B1 (en) Alarm message transmit system and process
CN207182599U (en) A kind of gas leakage remotely monitors and fire-warning device
KR20100012093U (en) 119 Apparatus for notifying fire to 119
KR20040087995A (en) Network Fire Preven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CN2901446Y (en) Intelligent radio positioning warning device
JP2010020376A (en) Remote monitoring failure reporting alternate system
KR200449583Y1 (en) Utility tunnel Control System,equipped with local controller, transmitting its signal to Information Provider's Base ones
KR102522796B1 (en) Solar self-charging earthquake detection and emergency rescue request super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36628A (en) Wireless Fire Detector System
KR102234285B1 (en) system for real-time administrating fire fighting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