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012B1 -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 Google Patents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012B1
KR101673012B1 KR1020150099636A KR20150099636A KR101673012B1 KR 101673012 B1 KR101673012 B1 KR 101673012B1 KR 1020150099636 A KR1020150099636 A KR 1020150099636A KR 20150099636 A KR20150099636 A KR 20150099636A KR 101673012 B1 KR101673012 B1 KR 10167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display device
housing
stan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우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우앳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우앳
Priority to KR102015009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0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display device hav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and for display device hav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for installing a display device and, especially, a thin display panel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thereof. The stand for display device includes an upper housing, an upper driving motor, an upper driving shaft, a display combining plate, a lower housing, a horizontal driving motor,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vertically-

본 발명은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고 이를 상하좌우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킨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n up, down, left and right pivot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particularly a thin display panel, And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TV나 모니터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신호처리된 영상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CRT(Cathod-Ray Tube)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방식, PDP(Plasma Diplay Panel)방식, DLP(Digital Lighting Precessing)방식 등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TV or a monitor. The display device is classified into a CRT (Cathode-Ray Tube) method,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lasma Display Panel (DLP), and Digital Lighting Precessing (DLP).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현재에는 실내의 공간활용 효율이 극대화된 LCD, PDP 방식의 두께가 얇은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As technology develops, flat panel displays with thin thicknesses of LCD and PDP, which maximize indoor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re being commercialized.

이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수납장 위에 설치하는 스텐드식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된다.Such a flat panel display can be classified into a stand type installed on a separate cabinet or a wall mounted type installed on a wall.

그러나, 벽걸이형의 경우 공간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청각을 조절하기 위한 높이 및 각도조절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ile the wall-mounted type ha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space efficienc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ight and the angle adjustment for controlling the audiovisual are limite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2 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are prior art 1 and prior art 2.

선행문헌1 은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메인브라켓, 상기 메인브라켓 좌우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좌우의 링크장치 상기 좌우의 링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좌우에 설치되는 TV취부 브라켓, 상기 링크장치와 연결브라켓 및 TV취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좌우의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메인브라켓에 힌지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1관절부재 및 상기 힌지장치와 연결되는 제2관절부재로 구성되는 벽걸이식 TV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2관절부재에 일측이 힌지결합되며 축공이 형성되는 고정캠, 상기 고정캠이 그 축공을 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브라켓에 회동불능 상태로 결합되며 샤프트 회전시 회전 및 직선운동하는 가동캠 및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고 상기 가동캠을 탄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고,In the prior art document 1, a wall-mounted type stand for a flat panel TV includes a main bracket fixed to a structure, left and right link devices installed opposite to left and right of the main bracket, connection brackets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ink devices, A first joint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racket via a hinge portion, and a second joint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hinge device The hinge device includes a fixed cam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joint member and having a shaft hole formed therein, the fixed cam is inserted through the shaft hole, A shaft that is engaged with the connection bracket so as to be able to move integrally with the shaft, A movable cam that rotates and linearly moves when rotated, and a compression spring that is fitted to the shaft and urges the movable cam,

선행문헌2 는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제1 링크브라켓과, 상기 제1 링크브라켓의 전방 끝단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제2 링크브라켓과, 상기 제2 링크브라켓의 전방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브라켓과, 수직으로 길게연장되어 두 개가 TV의 배면이 고정장착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측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TV 장착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평면 TV용 벽걸이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TV 장착브라켓의 일측 중앙에는 관통된 샤프트 장착홀이 형성되고, 양측 TV 장착브라켓의 사이에는 연결브라켓이 장착되되, 상기 연결브라켓은 일측 끝단은 상기 샤프트 장착홀에 삽입되고 길게 연장되어 타측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샤프트와, 전방으로 상단과 하단이 'ㄷ'자의 형태로 절곡되고 그 사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제1 샤프트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 개의 샤프트 고정부가 형성되는 스텐드 프레임과 양측 끝단과 그 다음단의 인접한 샤프트 고정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샤프트가 삽입장착되도록 하고 양측 끝단은 상호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틸팅단이 형성되는 4개의 원통형의 틸트스프링과, 상기 회전샤프트가 두 개의 틸트스프링을 관통한 후 하나 이상의 마모방지 부시와 수 개의 디스크 와셔가 장착된 후 외주면의 나사산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너트와, 후방으로 상단과 하단이 'ㄷ'자의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스텐드 프레임의 전면 상기 너트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삽입되고, 양측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전샤프트가 삽입되는 제2샤프트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틸트스프링의 틸팅단이 회전 운동시 회전의 제한을 받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스텐드와, 상기 제1 및 제2 스텐드의 사이 너트가 장착된 부분을 덮은 커버와, 상기 TV 장착브라켓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TV 장착브라켓이 최대한으로 밀착되었을 때 상기 고정핀이 걸려 삽입되는 상향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가진 고정훅으로 구성된 밀착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a base fixed to a wall surface, two first link brackets rotatably mount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base, and two first link bracket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link bracket. A second link bracket and a front end of the second link bracket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bracket that is vertically extended and two of which are fixedly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V, The TV mounting bracket includes a shaft mounting hole formed at a center of one side of the TV mounting bracket, a connection bracket is mounted between the TV mounting brackets of both sides of the TV mounting bracket, A rotary shaf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shaft mounting hole and elongated and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other end, A stan- dard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haft fixing portions formed with front and rear ends bent in the shape of a " C " and protruding forward to form a first shaft insertion hole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ur tilt springs which are mounted between adjacent shaft fixing portions of the rotary shaft and in which a rotary shaft is inserted and mounted, and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are formed with tilting ends extending in mutually parallel directions; A nut for coupling with at least one wear prevention bush and a plurality of disk washers and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nut having a front and a lower end bent rearwardly in the shape of a " And at both side ends thereof are bent backward, and the second shaft A tilt end of the tilt spring is mounted so that the tilt end of the tilt spring is restricted in rotation during rotation; a cover that covers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tands are mounted with the nuts; , A slot that is elonga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TV mounting bracket, a spring that presses the fixing pin inserted in the slot and a downward pressure of the fixing pin, and a base And a fixed hook having a bent portion bent upwardly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2 는 TV 또는 모니터의 시청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조절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훼손 또는 거치대의 훼손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s 1 and 2,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manually manipulate the angle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audiovisual of the TV or monitor, and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user, the display device is damaged Or damage to the cradle is frequently generated.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5242호(2007. 10. 02.)(Prior Ar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65242 (2007. 10. 02.)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008호(2010. 05. 31.)(Prior Ar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62008 (2010. 05. 3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영상물을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 for a flat display device in which a user can comfortably watch a video ima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및 시청각도를 편리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 which can easily change the heigh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flat displa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0),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구성되는 상하구동모터(110), 일단부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하 구동축(120), 상기 상하 구동축(120)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 구동축(120)이 수직으로 관통되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축(120)과 나사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일측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하측에 구성되는 하부하우징(200), 상기 하부하우징(200) 내에 설치되되, 회전축이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좌우구동모터(210),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를 제어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ing function. The stand includes an upper housing, a vertical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A vertical drive shaft 12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up / down drive motor 110 and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 shaft 120, The driving shaft 120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riving shaft 120 so as to be threadedly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s 120. The coupling means 131 A lower housing 2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a lower housing 200 mounted on the lower housing 200, A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0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And control means (300) including at least one switch operat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motor (210).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및 좌우방향에 대한 시청 높이 및 시청각도를 사용자에게 맞도록 편리하게 조절가능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함에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따르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djust the viewing heigh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flat display device with respect to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uit the user,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in viewing the display device.

또한, 자동으로 시청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스탠드를 조작함으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훼손 및 스탠드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재구매 비용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따르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viewing height and angl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damage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stand which are frequently caus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stand, there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repurchase cost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llow.

도 1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일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또 다른 구성예로써, 확장용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is embodiment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xtension speaker.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상부하우징(100), 상하구동모터(110), 상하 구동축(120),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 하부하우징(200), 좌우구동모터(210), 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n upper housing 100, a vertical drive motor 110, a vertical drive shaft 120, a display coupling plate 130, A housing 200, a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and a control means 3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하우징(100), 고정몸체(400), 돌출부(410), 상하구동모터(110), 상하 구동축(120),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 하부하우징(200), 좌우구동모터(210), 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6, the upper housing 100, the fixed body 400, the protrusion 41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11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s 120, A display coupling plate 130, a lower housing 200, a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and a control unit 3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00)과,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는 상하구동모터(110)와, 일단부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하 구동축(120)과, 상기 상하 구동축(120)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 구동축(120)이 수직으로 관통되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축(120)과 나사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일측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하측에 구성되는 하부하우징(200)과, 상기 하부하우징(200) 내에 설치되되, 회전축이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좌우구동모터(21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를 제어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100 extend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provide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a display device, A vertical drive shaft 120 having one end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up / down drive motor 110 and a ro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n the form of a rod, The vertical driving shaft 120 is vertically penetrated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driving shaft 120. The vertical driving shaft 120 is screwed with the vertical driving shaft 120 by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thereof. A lower housing 2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a lower housing 200 formed on the upper housing 100. The upper housing 100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200, A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100 and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0 so that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0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And a control unit 300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witch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up / 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 right driving motor 21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00)과,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후부에 위치하는 고정몸체(400)와, 상기 고정몸체(4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정면부가 전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정면부의 저면 일부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평면 일부와 결착되는 돌출부(41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는 상하구동모터(110)와, 일단부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하 구동축(120)과, 상기 상하 구동축(120)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 구동축(120)이 수직으로 관통되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축(120)과 나사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일측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하측에 구성되는 하부하우징(200)과, 상기 하부하우징(200) 내에 설치되되, 회전축이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좌우구동모터(21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를 제어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ixing body 40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ositioned at a rea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a fixing body 4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ody 400, A protrusion 410 protruding forward and a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ded front portion being engaged with a flat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a vertical drive motor 110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100; A vertical drive shaft 12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up / down drive motor 110 and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od having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e driving shaft 120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riving shaft 120 so as to be threadedly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s 120. The coupling means 131 A lower housing 200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a lower housing 200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0 so that a rotation shaft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0 A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to control the up and down driving motors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And control means (300)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witch operating portion.

이때, 상기 고정몸체(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하기 하부하우징(200)과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fixed body 400 is coupled with the lower housing 200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using 200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at least one of the up-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may have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Preferably, the rotation axis of the up / down driving motor 110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left / right driving motor 210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일측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결합수단(131)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t one side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a coupling means 131 may be includ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display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봉(14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 구동축(1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 양 측벽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upper housing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guide rod 1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The upper housing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s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상하 구동축(120)이 양 측벽부와 이격되는 소정 간격은 1 ~ 10 cm 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s 120 is less than 1 to 10 cm.

상기 가이드 봉(140)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가이드 봉(140)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봉(140)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가이드 봉(140)이 삽입되어 상하로 원활하게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봉(140)의 외주연 직경보다 0.1mm ~ 0.5mm 더 큰 내주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engaging plate 130 is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display engaging plate 130 so that the display engaging plate 130 is rotat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 140,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0.1 mm to 0.5 mm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140 so that the guide rod 140 can be inserted and rotated smoothly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o form it so as to have the inner peripheral diameter.

상기 가이드 봉(140)이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 구동축(1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격형성되되,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 양 측벽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1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으로 상기 상하 구동축(120)을 따라 상하로 회동함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상기 결합수단(131)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상하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Preferably, the guide rod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s 120 on both sides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h side walls of the upper housing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is rotat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drive shaft 120 by the rotation of the up and down driving motor 110.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130, So that it can be turned more safely and firmly up and down without shaking.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과도한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 break points 150 to prevent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and lowered.

전술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플레이트의 과도한 상승 및 하강이란,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최고높이 또는 최저높이에 다다랐을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상술했던 바와 같이 최고높이 또는 최저높이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상하구동모터(110)가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를 최고높이 및 최저높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excessiv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means that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has reached the maximum height or the minimum height of the upper housing 10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 110 is continuously operated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110 and 120.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more than one place.

상기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는,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부의 상부 및 하부 일측에 각각 1개씩 구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회동가능한 최대 높이 및 최소 높이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평면 및 저면 일부와 대응하는 곳에 상기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가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평면 및 저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eak point 150 for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on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housing 10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 break points 150 ar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in accordance with the maximum height and the minimum height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30.

이때, 상기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는, 일측이 탄성있는 힌지를 포함하여 힌지결합되거나,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일부가 요곡되어 구성되거나,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와 접하는 접촉부위에 접촉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eak point 150 for the up-and-down driving motor may be hinged on one side including an elastic hinge or may be partly curved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on its own, And a contact detection unit at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상기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 접촉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접촉감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touch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int of the breakpoint 150 for the upper and lower drive motors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이때, 상기 접촉감지부란 물리적인 힘 또는 전류의 전도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기기적, 전기적 수단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unit includes all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means capable of sensing a physical force or conduction of a current.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저면부에는,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좌우구동모터(210)를 통해 좌우회전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저면 및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평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저면과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평면 사이에 이격공간을 제공하도록 평면 일부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저면 일부와 결착되는 회전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And a portion of the flat surface is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so as to provide a spacing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plane of the lower housing 200 And may further comprise a plate 16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reak point 250 for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

전술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과도한 회전이란, 상기 상부하우징(100)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 예컨대 회전각 100°를 초과 회전하여,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배선들의 뒤틀림 및 꼬임 등의 내구성 감소 및 기기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하우징(100)이 상술했던 바와 같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최대회전각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좌우구동모터(210)가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0)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최대회전각을 초과 회전함으로써 기기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를 좌측방향 최대회전각 및 우측방향 최대회전각을 갖도록 하는 위치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excessiv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may b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in a leftward or rightward direction beyond a certain angle, Which means that the upper housing 100 has reached the maximum rotation angle at which the various problems do not occur as described above, which means that durability such as twist and twist of various wirings is reduced and the apparatus is damaged.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motor 210 from being continuously operated to cause the upper housing 100 to cause the apparatus to be damaged by rotating in the leftward direction or the rightward direction beyond the maximum rotation angle, ) Is positioned at any one or more of the leftward maximum rotation angle and the rightward maximum rotation angle It should be understood.

상기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는,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되,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평면에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과도한 좌우회전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바(22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바(220)의 양 측부에 각각 1개씩 상기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가 구성되되, 상기 상부하우징(100)이 좌우로 회동가능한 최대 각도에 맞추어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배면 양측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배면 양측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eak point 250 for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may be spaced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may be formed on a plane of the lower housing 200. The lower housing 200 (220) for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in a plane of the breaker bar (220), and one breaker bar (220)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drive motors And the upper housing 10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0 .

이때, 상기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는, 일측이 탄성있는 힌지를 포함하여 힌지결합되거나,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일부가 요곡되어 구성되거나,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접하는 접촉부위에 접촉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eak point 250 for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hinged including an elastic hinge, a part of the break point 250 is curved to have a self-elastic forc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sensing unit at a contact site in contact with the upper housing 100.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상기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 접촉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접촉감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int of the break point 250 for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of the upper housing 100.

이때, 상기 접촉감지부란 물리적인 힘 또는 전류의 전도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기기적, 전기적 수단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unit includes all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means capable of sensing a physical force or conduction of a current.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판형으로 구성된 다용도 거치대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다용도 거치대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00)과 힌지결합되는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ulti-purpose cradl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The multi-purpose cradle may include at least one hinge on one sid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hinge-coupled with the upper housing 100 or the lower housing 200.

한편, 상기 제어수단(300)은 가변저항기를 통한 위상 제어로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상하구동모터(110)용 컨트롤러 및 좌우구동모터(210)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좌우구동모터(210)용 컨트롤러 또는 상기 상하구동모터 및 좌우구동모터(210)의 구동속도를 획일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속도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eans 300 controls the driving speed of the up-and-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up-down driving motor 110 through phase control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A controller for the left and right drive motors 210 or a drive speed controller for uniformly controlling the drive speeds of the up and down drive motors and the left and right drive motors 210. [

이때,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좌우구동모터(210) 각각의 가변저항 제어를 통해 위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2개의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 operating unit to perform phase control through the variable resistance control of the up-and-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And preferably includes two switch operating portions so as to control each of them.

또한,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 및 좌우구동모터(210)의 회전축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ntrol means 300 includes a switch operating portion that can drive the rotational shaft of the up / 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left / right driving motor 210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이때, 상기 제어수단(300)은 리모트 컨트롤러(315MHz FSK)를 통해 근거리 무선제어가 가능하도록 RF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n RF module to enable short range wireless control through a remote controller (315 MHz FSK).

그리고,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을 통해 근거리 무선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hort range wireless control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안면인식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상기 결합수단(131)이 상기 안면인식센서를 통해 인지된 인지객체의 위치를 향하도록, 상하구동모터(110) 및 좌우구동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안면인식용 자동제어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ace recognition sensor and the control means 300 may be provided with the coupling means 131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And a facial automatic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p / 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 right driving motor 210 so as to face the recognized object position through the facial recognition sens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면인식센서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전면부 중 어느 한 곳이상에 구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전면부를 통해 안면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안면인식용 자동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좌우구동모터(21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상기 결합수단(131)이 상기의 인식된 안면 위치에 맞추어 이를 향하도록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이다.Preferably, the face recognition sensor is configured at one or more of the front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100. When the face posi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are automatically operat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coupling means 131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to face the recognized face positions .

전술한 바로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300)에 구성된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와 연동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상부하우징(100)에 구성된 상하구동모터(110)가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결합된 상기 상하 구동축(120)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상하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상기 결합수단(131)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로 안정적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4 and 6, when the switches associated with the up-and-down driving motor 110 constituted in the control means 300 are operated, the upper housing 100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110 operat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rotates up and down along the upper and lower driving shafts 12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up and down driving motor 110, The display device coupled with the coupling means 131 of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can be stably rotated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어수단(300)에 구비되며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와 연동된 스위치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00)에 구비된 좌우구동모터(210)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동작하고,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회전축과 결합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하부 또는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회전축과 결합된 회전플레이트(160)가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회전축을 따라 좌우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평면 일부와 상기 돌출부(410)의 저면 일부가 결착되어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좌우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결합수단(131)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로 안정적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provided in the lower housing 200 are oper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en the switch operating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300 and interlocked with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is operated, A rotation plate 16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or the rotation axis of the left and right drive motors 210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eft and right drive motors 210 is rotated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left and right drive motors 210 The upper housing 100 is rotated more st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bout a rotation axis formed by a part of the pla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a part of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410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he display device coupled with the coupling means 131 of the coupling plate 130 is stably rotated from side to side.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과도한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하고,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를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break point 150 for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through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break points 250 provided.

아울러, 가변저항기를 통한 위상 제어로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300)에 구비된 상하구동모터용 컨트롤러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300)에 구비된 좌우구동모터(210)용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구동속도를 각각 컨트롤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좌우구동모터(210)의 구동속도를 획일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속도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의 구동속도를 일률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up / down driving motor 110 by the phase control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the driving speed of the controller for the up and down driving motor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The driving speeds of the up-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can be respe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s for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provided in the control means 300, Or the driving speeds of the up-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right driving motor 210 are uniformly controlled,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수단(300)에 구성된 RF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수단(300)을 리모트 컨트롤러(315MHz FSK)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무선제어를 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means 300 can perform radio control in a short distance using a remote controller (315 MHz FSK) using the RF module configured in the control means 300.

아울러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안면인식센서 및 상기 제어수단(300)에 구비된 안면인식용 자동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가 인지객체를 향하도록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안면부 위치를 향하여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좌우구동모터(21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face recognition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and the face coupling automatic control module included in the control means 3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At least one of the up-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110 and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210 are directed to the recognized object, The motor 210 can be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도 7은 본 발명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의 또 다른 구성예로써, 확장용스피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xtension speaker.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후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확장용스피커를 설치 구성하여 전원 인가시, 디스플레이장치의 외측으로 도출됨으로써, 서라운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at least one extension speake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speaker is l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You may.

즉, 확장용 스피커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배치하고, 확장용 스피커를 기계적으로 도출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구성하여 이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좌우에서 이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도출되어 서라운드 음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speaker for extension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moving means for mechanically deriving the speaker for extension is constituted. When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speaker, the speaker is deriv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ans on the top, .

예를 들어, 상기 확장용 스피커에는 좌측 스피커, 우측 스피커, 하측 스피커(서브우퍼), 상측에 3개의 상측 스피커(Left Center,Center,Right center)를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ft speaker, the right speaker, the lower speaker (subwoofer), and the three upper speakers (Left Center, Center) can be formed on the extension speaker.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not.

100 : 상부하우징
110 : 상하구동모터
120 : 상하 구동축
130 :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
131 : 결합수단
140 : 가이드 봉
150 :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
160 : 회전플레이트
200 : 하부하우징
210 : 좌우구동모터
220 : 이탈방지바
230 : 회로부
250 :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
300 : 제어수단
400 : 고정몸체
410 : 돌출부
100: upper housing
110: Up and down drive motor
120: Up and down drive shaft
130: display coupling plate
131: coupling means
140: guide rod
150: Break point for up / down motor
160: rotating plate
200: Lower housing
210: left and right drive motor
220: Exit prevention bar
230:
250: Break point for left and right drive motor
300: control means
400: Fixing body
410:

Claims (7)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0)과;
상기 상부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는 상하구동모터(110)와;
일단부가 상기 상하구동모터(110)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하 구동축(120)과;
상기 상하 구동축(120)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상하 구동축(120)이 수직으로 관통되되,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하 구동축(120)과 나사 결합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일측부에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하측에 구성되는 하부하우징(200)와;
상기 하부하우징(200) 내에 설치되되, 회전축이 상기 상부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좌우구동모터(210)와;
상기 상부하우징(100) 또는 상기 하부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하구동모터(110) 및 상기 좌우구동모터(210)를 제어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후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확장용스피커를 설치 구성하여, 전원 인가시, 디스플레이장치의 외측으로 도출됨으로써, 서라운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A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ing function,
An upper housing (100);
A vertical drive motor 110 installed in the upper housing 100;
A vertical drive shaft 12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up / down drive motor 110 and a rod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 120 vertically penetrates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long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 120 and which has a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s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 120, A display engaging plate 130 including engaging means 131 for engaging a display device 500 on a side portion thereof;
A lower housing 2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A left and right driving motor 210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200 and having a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100;
And at least one switch operating portion i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00 and the lower housing 200 to control the up / down driving motor 110 and the left / right driving motor 210 And a control unit (300)
In the display device 500,
Wherein at least one extension speake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so that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speaker is l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unit, thereby providing surround soun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봉(14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upper housing 100,
And a guide bar (140) extending vertically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The stan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pivot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결합 플레이트(130)의 과도한 상승 및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하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00,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break point (150) for the upper and lower driving motors to prevent the display coupling plate (130) from being excessively raised and low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0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우구동모터용 브레이크 포인트(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200,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break point (250) for the left and right driving motors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upper housing (1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00)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ans (300)
Wherein the stand-alone wireless control is performed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삭제delete
KR1020150099636A 2015-07-14 2015-07-14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KR101673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36A KR101673012B1 (en) 2015-07-14 2015-07-14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36A KR101673012B1 (en) 2015-07-14 2015-07-14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012B1 true KR101673012B1 (en) 2016-11-04

Family

ID=5753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636A KR101673012B1 (en) 2015-07-14 2015-07-14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01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32A (en) * 2018-07-18 2020-01-30 최봉규 Height-adjustable and easy-to-move kiosk
WO2020262750A1 (en) * 2019-06-24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N113608379A (en) * 2021-07-30 2021-11-05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Optical sensor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412110B1 (en) * 2021-03-04 2022-06-22 주식회사 더케이 Stand with TV installed rotatable
CN109240428B (en) * 2018-11-10 2023-08-04 深圳市时造电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regulation all-in-one display screen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624Y1 (en) * 2001-05-29 2001-10-17 임홍식 Adjust The Height And The Angle Of TV Support
KR200310878Y1 (en) * 2003-01-13 2003-04-21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Automatically adjusting support for an LCD monitor
KR20060071658A (en) * 2004-12-22 200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KR100765242B1 (en) 2006-09-08 2007-10-09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A wall mount for flat-plate type tv
JP2008040288A (en) * 2006-08-09 2008-02-21 Shimonishi Giken Kogyo Kk Flat display drive apparatus
KR100962008B1 (en) 2009-04-21 2010-06-08 동오정밀 주식회사 The wall mount for flat-plate type televis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624Y1 (en) * 2001-05-29 2001-10-17 임홍식 Adjust The Height And The Angle Of TV Support
KR200310878Y1 (en) * 2003-01-13 2003-04-21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Automatically adjusting support for an LCD monitor
KR20060071658A (en) * 2004-12-22 200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JP2008040288A (en) * 2006-08-09 2008-02-21 Shimonishi Giken Kogyo Kk Flat display drive apparatus
KR100765242B1 (en) 2006-09-08 2007-10-09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A wall mount for flat-plate type tv
KR100962008B1 (en) 2009-04-21 2010-06-08 동오정밀 주식회사 The wall mount for flat-plate type televis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32A (en) * 2018-07-18 2020-01-30 최봉규 Height-adjustable and easy-to-move kiosk
KR102124694B1 (en) * 2018-07-18 2020-06-18 최봉규 Height-adjustable and easy-to-move kiosk
CN109240428B (en) * 2018-11-10 2023-08-04 深圳市时造电子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regulation all-in-one display screen system
WO2020262750A1 (en) * 2019-06-24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11650623B2 (en) 2019-06-24 2023-05-1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412110B1 (en) * 2021-03-04 2022-06-22 주식회사 더케이 Stand with TV installed rotatable
CN113608379A (en) * 2021-07-30 2021-11-05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Optical sensor device an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012B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possible Vertical and horizontal pivot
US635455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rection of a video display stand
US8243428B2 (en) Display assembly
JP4741846B2 (en) Stand for thin display device
US8638321B2 (en) Display apparatus
KR100950106B1 (en) Rotation System of Wall-mounted Display Apparatus
CN110864208B (en) Computer display with automatic tracking function
US20100061041A1 (en) Electronic device
US20070064379A1 (en) Display apparatus
US20070053151A1 (en) Display mounting system
US20080296452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50271931A1 (en) Display apparatus
KR2007004500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666326B1 (en) Tv cradle
KR100872350B1 (en) Angle regulation structure of display panel
KR20080089977A (en) Direction conversion and elevator apparatus for display panel of thin type television
KR101874000B1 (en) Stand with TV angle adjustment structure
KR200454220Y1 (en) Wall mount for flat panel type display
KR20160001330A (en) Camera assembly and telephone including the same
KR20070063224A (en) A controlling structure of height in a display device
US20100085493A1 (en) Cabinet assembled with flat-panel television
KR20050093373A (en) Display panel up-down device for television set
JP4397282B2 (en) TV and TV equipment
KR100666329B1 (en) Tv cradle
KR200355619Y1 (en)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