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72B1 -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72B1
KR101669672B1 KR1020090112281A KR20090112281A KR101669672B1 KR 101669672 B1 KR101669672 B1 KR 101669672B1 KR 1020090112281 A KR1020090112281 A KR 1020090112281A KR 20090112281 A KR20090112281 A KR 20090112281A KR 101669672 B1 KR101669672 B1 KR 101669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nagement
information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248A (ko
Inventor
이지혜
박성진
황승오
김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21102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RU2544742C2/ru
Priority to CA2771598A priority patent/CA2771598C/en
Priority to PCT/KR2010/005410 priority patent/WO2011021826A2/en
Priority to JP2012525476A priority patent/JP5534623B2/ja
Priority to AU2010285563A priority patent/AU2010285563B2/en
Priority to CN201080046756.XA priority patent/CN102577236B/zh
Priority to US12/858,047 priority patent/US9467517B2/en
Priority to EP10810134.6A priority patent/EP2467969B1/en
Publication of KR2011001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0Network management software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해 단말 관리 서비스(device management service)를 지원하는 단말을 중개자로 이용해 제3의 단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단말이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지원하는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한다.
단말 관리, 단말 정보, 게이트웨이

Description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을 중개자로 이용해 제3의 단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기(device)들을 관리해주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하였고, 무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무선으로 단말들과 통신을 하며 단말의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파라미터(Parameter), 스케줄(Schedule), H/W 기능(Hardware Capabilities)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 장치 관리(Mobile Device Management)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원격 관리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무선 통신 단말의 응용 표준을 만드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개발된 OMA DM(Device Management)을 들 수 있다. OMA DM은 SyncML(Synchronization Markup Language)을 바탕으로 한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의 객체(object)를 읽거나 추가, 삭제, 변경, 실행함으로써 단말 내부의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과 같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주체는 DM 서버이며, 무선 통신 단말과 같이 관리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가 되며, 이에 따라, 관리 대상이 되는 단말은 DM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종래의 단말 관리(Device Management) 방법은 일대일(Peat-to-Peat) 방식으로 동작한다. 즉, 네트워크 상의 DM 서버와 무선 통신 단말에 구비된 DM 클라이언트 사이에 일대일 세션을 생성하여 DM 프로토콜에 정의된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DM 서버가 DM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단말에 특정 구성(configuration)을 추가/삭제/변경하거나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DM 프로토콜은 패키지(package) #0 ~ 패키지 #4까지 총 5개의 메시지로 정의되어 있으며, DM 서버와 단말 간에는DM 프로토콜을 통해 DM 세션(Session)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DM 세션은 DM 서버 또는 DM 클라이언트 즉, 단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M 세션 셋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M 서버(20)는 특정 디바이스, 즉, 단말에 행할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이 있는 경우, 101단계에서 특정 디바이스 즉, 특정 디바이스에 구비된 DM 클라이언트(10)로 패키지 #0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전달하여 DM 액션이 존재함을 알린다. 패키지 #0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DM 클라이언트(10)는 103단계에서 DM 서버(20)에게 패키지 #1 메시지를 보내어 세션 형성을 요청한다.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0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DM 서버(20)에 DM 세션을 요청하여 단말의 기능을 업 데이트 할 수 있다.
DM 서버(20)는 DM 세션 셋업을 허용하고, 대기 중인 단말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을 위한 DM 커맨드를 전달하는 패키지 #2 메시지를 105단계에서 DM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고,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2 메시지에 응답하여 107단계에서 DM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DM 커맨드의 수행 결과를 전달하기 위해 패키지 #3 메시지를 DM 서버(20)로 전송한다.
이어서, DM 서버(20)는 109단계에서 패키지 #4 메시지를 통해 DM 세션을 종료하거나 DM 클라이언트(10)에게 추가적인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을 전달하고,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4 메시지에 포함된 추가 관리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패키지 #3 메시지를 통해 DM 서버(20)에 보고한다. 이후, DM 서버(20)와 DM 클라이언트(10)는 패키지 #4 메시지와 패키지 #3 메시지의 반복을 통해 관리 동작 또는 관리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키지 #4 메시지에 관리 동작(management operation)이 계속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면, DM 세션은 유지된다. 만일 추가적인 관리 동작이 없다면, DM 세션은 종료된다.
그런데 상기한 DM 시스템에서는 DM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을 주로 원격 관리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DM 서버와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단말 간의 직접적인 단말 관리만이 가능했다. 즉, DM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이 없거나,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하지 않은 단말에 대한 원격 관리는 불가능했다.
더욱이 이러한 단말들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도 지원받지 못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게임, 광고 등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는 해당 단말들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해당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때문에, 외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이 없거나,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하지 않은 단말이 추가로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 또는 DM 네트워크 접속 기능이 없는 단말에 대한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DM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 대한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DM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이 외부 네트워크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단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단말이 하나 이상의 단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형식으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 및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의 단말 관리 기능들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 관리 기능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 단말의 원격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과 개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형식으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 및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의 단말 관리 기능들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 관리 기능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이 없거나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하지 않은 단말도 개인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다면,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단말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의 DM 서버와 연동하여 단말의 각종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파라미터(Parameter), 스케줄(Schedule), H/W 기능(Capabilities)등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의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늘 날 MP3(MPEG layer 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등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의 종류 및 개수가 늘어나고, 휴대 단말의 기능이 풍부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 간에 콘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 휴대 단말 간에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개인 휴대 단말 간에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개인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라 한다.
개인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WI-FI(Wireless-Fidelity), 적외선 통신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UPnP(Universal Plug & Play)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 네트워크가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 네트워크에는 해당 개인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장치는 모두 참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개인 네트워크 형성은 가능하지만, 외부 네트워크로의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DM(Device Management) 클라이언트를 구비하지 않은 단말의 각종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파라미터(Parameter), 스케줄(Schedule), H/W 기능(Hardware Capabilities)등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해,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단말을 게이트웨이 단말 또는 프록시 단말로 이용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단말이 다른 단말들 간에 개인 네트워크가 형성된 상태에서,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단말을 게이트웨이 단말로 설정하여,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단말을 통해 상기 다른 단말들의 원격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도2에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 시스템은 복수개의 다양한 개인 단말로서, 개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무선 단말(200), 제 1 단말(210), 제 2 단말(220)과, DM 서버(230)와, 서비스 제공 서버(240)를 포함한다.
DM 서버(230)는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서버로서,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 단말의 객체(object)를 읽거나 추가, 삭제, 변경, 실행함으로써 단말 내부의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스케줄, H/W(hardware) 기능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는 미도시하였지만, DM 서버(230)는 상기한 관리 기능에 필요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관리 대상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언급되는 DM 서버(230)의 동작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제공 서버(240)는 단말에 각종 서비스, 예를 들어, 게임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광고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각종 콘텐츠 및 데이터는 물론,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펌웨어, 소프트웨어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단말(210)과 제 2 단말(220)은 개인 네트워크 연결은 가능하지만, 외부 네트워크 연결을 불가능하거나,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거나, 상기 DM 서버(230)에서 지원하는 DM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DM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단말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무선 단말(200)을 통해 DM 서버(230)로부터 장치 관리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이다. 제 1 단말(210)과 제 2 단말(220)은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PMP, 텔레비전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말(210)과 제 2 단말(220)은 각각 개인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개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한 무선 단말(200)과의 데이터 또는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단말의 동작을 제어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단말(210,220)은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원격 관리 결과로 획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무선 단말(200)은 개인 네트워크 이외에 외부 네트워크에도 연결 가능한 단말로서, DM 서버(230)와 호환이 가능한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게이트웨이 단말 또는 프록시 단말로 설정되어, 외부 네트워크의 DM 서버(230)와 제1단말(210) 및 제2단말(220) 간의 장치 관리를 위한 중개자 역할을 하는 관리 단말이다. 또한 무선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40)와도 통신이 가능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40)가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 또는 데이터 등을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200)은 제1단말(210) 및 제2단말(220) 대신 서비스 제공 서버(240)로 필요한 콘텐츠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40)로부터 수신한 상기 각종 콘텐츠 또는 데이터를 제1단말(210) 및 제2단말(220)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단말(200)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 휴대용 컴퓨터, PDA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200)은 DM 클라이언트(222)와, 제1단말(210) 및 제2단말(220)과 개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21),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관리를 위한 동작 과정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등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 관리를 위한 동작 제어 및 상기 DM 서버(230) 간의 데이터 또는 메시지 송수신은 DM 클라이언트(222)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DM 클라이언트(222)는 서비스 제공 서버(24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DM 서버(23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4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DM 클라이언트와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DM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1단말(210) 또는 제2단말(220)을 원격 관리하는 과정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단말(210)을 관리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2단말(220)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200)이 제1단말(210)을 대신하여 DM 세션 셋업을 유인하고(triggering), 제1단말(210)에게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무선 단말(200)은 DM 서버(230)에 DM 부트스트랩(bootstrap)이 이루어진 상태로, DM 세션을 연결할 준비가 완료된 상대임을 가정한다.
도3을 참조하여, 제1단말(210)이 301단계에서 개인 네트워크에 진입하면, 해당 개인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역할을 하는 무선 단말(200)이 303단계에서 제1단말(210)을 탐지하고, 인증한다(detection and authentication). 이러한 탐지 및 인증 과정은 단말 간의 개인 네트워크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종래 기술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례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이하 UPnP)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단말(200)이 303단계에서 제1단말(210)의 존재를 탐지하고 인증하면, 305단계에서 제1단말(210)은 무선 단말(200)에 개인 네트워크 구성을 요청하고, 이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제1단말(210)의 개인 네트워크 구성을 승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1단말(210)이 무선 단말(200)을 중심으로 한 개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무선 단말(200)은 제1단말(210)을 대신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40)에 임의의 서비스 세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제1단말(210)이 임의의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240)가 제1단말(210)에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해, DM 프로토콜을 이용해 제1단말(210)의 내부 구성을 확인 및 관리한다.
이를 위해, 제1단말(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305단계에서 개인 네트워크 구성 요청과 함께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device information)를 무선 단말(200)로 전달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200)이 제1단말(210)과의 개인 네트워크 형성 후,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제1단말(210)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제1단말(210)의 정보를 무선 단말(200)로 제 공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제1단말(210)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 단말 제조 회사, 종류, 모델명, 지원 언어 등의 기본적인 정보는 물론 제1단말(210)에 현재 탑재된 각종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스케줄, H/W 기능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무선 단말(200)은 상기 303단계 및 305단계에서 수집한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DM 프로토콜에 따른 단말 관리 표준 객체(Standard Object:Stdobj)를 구성한다.
단말 관리 표준 객체란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 단말 제조 회사, 모델명, 지원 언어 등의 기본 정보를 트리 구조의 객체(Object)로 정의한 것으로, 예를 들어, OMA DM 표준에 따르는 단말 관리 표준 객체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 관리 표준 객체에는 단말의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트리 구조의 객체, 예를 들어, 에 현재 단말에 탑재된 각종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스케줄, H/W 기능 등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200)은 제1단말(210)에 존재하는 단말 관리 객체를 상기 DM 서버(230)와 호환 가능한 단말 관리 객체로 대응시키거나,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새로운 표준 단말 관리 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 단말(200)은 표준 단말 관리 객체의 각각의 파라미터에 매칭되는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파라미터의 값에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입력하고, 만약 매칭되는 단말 정보가 없으면, 해당 파라미터 값을 빈칸으로 표기할 수 있다. 무선 단말(200)은 이러한 변환 또는 대입 과정에 따라 구 성된 제1단말(210)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를 저장한다.
관리 서버(230)로 전달되는 표준 단말 관리 객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단말(210)의 기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1단말(210)의 식별 정보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식별 정보만이 포함되는 경우라면 관리 서버(230)는 무선 단말(20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단말의 목록만을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제1단말(210)과 같이 무선 단말(200)의 관리 대상이 되는 단말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는 도5a 내지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1단말(210)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는 무선 단말(200)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에 종속되어, 도5a와 같이 무선 단말(200)이 관장하는 개인 네트워크의 단말 목록 중의 하나로 구성되거나, 도5b와 같이 무선 단말(200)과 병렬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5a는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의 객체(505)와 제2단말(220)의 단말 정보의 객체(507)가 무선 단말(200)의 단말 정보 객체(DevInfo: Device Information)(501) 중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 목록 파라미터(Device Inventory)(503)의 하위 파라미터로 포함된 경우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의 트리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5b는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 객체(515) 및 제2단말(220)의 단말 정보 객체(517) 및 무선 단말(200)의 단말 정보 객체(513)가 동등하게 단말 정보 객체(511)의 하위 파라미터로 포함된 경우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의 트리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는 도 5c와 같이 무선 단말(200)이 관장하는 개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단말들의 식별 정보만을, 단말 정보 객체(521)의 장치 목록 파라미터(523)의 하위 파라미터(525)로 포함시키고, 각 개인 네트워크의 단말 별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상세 정보 객체(531)에 저장할 수 있다. 도5d를 참조하면, 제1단말(210)과 제2단말(220)의 단말 정보가 단말 상세 정보 객체(531)의 하위 파라미터인 장치 목록 파라미터(533)의 하위 파라미터로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 목록 파라미터(523)의 값이 개인 네트워크의 단말 목록이 저장된 장소의 주소가 될 수도 있고, 이 경우 개인 네트워크의 단말 목록이 저장된 하위 파라미터는 생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 정보 객체에 포함된 파라미터는 매 DM 세션 연결시마다 무선 단말(200), 즉, DM 클라이언트(222)에서 DM 서버(230)로 전달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부재시 DM 프로토콜의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필수적인 파라미터만을 포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5c와 같이,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무선 단말(200)이 관리하는 단말(210,220)의 목록(525)만을 단말 정보 객체(521)에 포함시켜 DM 서버(230)로 전달함으로써, DM 서버(200)가 해당 단말들의 존재 여부만을 인지하도록 하고, 각 단말(210.220)의 기본 정보 및 상세 정보는 도5d와 같이 단말 상세 정보 객체(531)에 포함시켜서 DM 서버(200)의 요청 시에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표준 단말 관리 객체 트리는 각각 단말 정보 파라 미터(DevInfo), 나중에 다른 용도로 확장 가능하도록 예약해둔 노드를 나타내는 확장 파라미터(Ext?),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파라미터(Bearer?), 단말 아이디 파라미터(DevId), 제조사 파라미터(Man: Manufacturer), 모델명 파라미터(Mod), DM 클라이언트 버전 파라미터(DmV), 지원 언어 파라미터(Lang: Langu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5d에 도시된 단말 상세 정보 객체(531)는 확장 파라미터(Ext?), 네트워크 파라미터(Bearer?)를 포함하며, 단말이 지원하는 URI 세그먼트(segment)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URI 최대 개수 파라미터(URI/MaxDepth: maximum depth of the tree), 전체 URI의 최대 길이를 나타내는 URI 최대 길이 파라미터(URI/MaxTotLen: maximum total length of URI), URI 세그먼트당 최대 길이를 나타내는 URI 세그먼트 길이 파라미터(URI/MaxSegLen: maximum total length of any URI segment)를 하위 파라미터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 객체(531)에 포함될 각 단말의 단말 정보에 따라, 상세 정보 객체(531)는, PDA나 휴대폰처럼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말 종류 파라미터(DevTyp: Device Type), 단말 제조사를 나타내는 단말 제조사 파라미터(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단말에 탑재된 펌웨어 버전을 나타내는 펌웨어 버전 파라미터(FwV: Firmware version), 단말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버전 파라미터(SwV: Software version), 단말의 하드웨어 버전을 나타내는 하드웨어 버전 파라미터(HwV: Hardware version), 단말의 DM 서비스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DM 지원 여부 파라미터(LrgObj: OMA DM Large Object Handling specification)를 하위 파라미터로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 정보 객체(531)는 재동기 및 보안성을 목적으로 하는 임시값을 저장하는 임시 재동기 파라미터(NonceResync), 사용자의 입력이 저장되는 사용자 입력 파라미터(UserInteraction/User Input), 사용자가 입력한 확정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확정 파라미터(UserInteraction/Confirm), 사용자가 입력한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선택 파라미터(UserInteraction/Choice), 사용자가 입력한 진행 상태 공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진행 상태 공지 파라미터(UserInteraction/ProgressNotify)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파라미터와, 사용자 입력 확정 파라미터와, 사용자 선택 파라미터와, 사용자 진행 상태 공지 파라미터와 같은 사용자 파라미터에는 단말 관리와 관련한 사용자의 선택 사항 또는 요구 사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특정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 업데이트 동의 및 금지 여부, 업데이트 시점 등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사용자 파라미터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청은 소프트웨어 이외에도 다른 단말의 기능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표준 관리 객체 구성시, 각 단말(210,220)의 관리 대상이 되는 단말 기능이나 요소에 대한 DM 서버(200) 관리의 동의 여부 또는 구체적인 관리 과정 등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3으로 돌아가서,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이용한 표준 단말 관리 객체의 구성을 완료하면, 무선 단말(200)은 309단계에서 무선 단말(200)에 설 치(install)된 DM 클라이언트(222)를 이용하여 DM 서버(230)와 DM 세션을 연결한다. 309단계에서 DM 세션 연결은 종래와 같이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1 메시지를 DM 서버(230)로 전송함에 따라 이용해 이루어진다.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1 메시지에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200)의 대리 관리 대상이 되는 단말들 대해 수집된 단말 정보 중 단말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5a 또는 도5b와 유사하게 구성된 표준 단말 관리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무선 단말(200)이 관리를 대리하고 있는 단말(210,220)의 기본 정보가 최소 정보로서 표준 단말 관리 객체에 포함되어 상기 DM 서버(230)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1 메시지에 도5c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표준 단말 관리 객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즉, 무선 단말(200)이 관리를 대리하고 있는 단말(210,220)들의 식별 정보로 이루어진 목록이 최소 정보로서 상기 DM 서버(23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3에는 미도시하였으나, DM 서버(230)는 단말 관리를 위해 무선 단말(200)로 관리 대상이 되는 단말(210,220)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200)은 도5d와 유사한 구조의 표준 단말 관리 객체를 DM 서버(230)로 전달함으로써, 관리 대상이 되는 단말(210,220)들의 상세 정보를 DM 서버(23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 #1 메시지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무선 단말(200)의 단말 정보와 DM서버(230)가 인증할 수 있는 무선 단 말(200)의 신임장(credentials)뿐 아니라, 무선 단말(200)이 대리하고 있는,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와 DM 서버(230)가 인증할 수 있는 제1단말(210)의 신임장(credential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 #1 메시지에는 DM 서버(230)가 제공하는 DM 프로토콜에 의한 단말 관리 기능들 중, 제1단말(210)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관리 기능이란 예를 들어, 펌웨어 업데이트 기능,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 파라미터 변경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단말 성능 제어 기능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단말(210)이 지원하는 단말 관리 기능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 #1 메시지에는 무선 단말(200)이 제1단말(210)을 대리하여 DM 세션을 요청하고 있으며, 제1단말(210)의 신임장(credentials)은 무선 단말(200)의 신임장(credentials)과 동일하거나, 사전에 DM 서버(230)와 약속된 신임장(credentials)을 포함한다.
이후, DM 서버(230)는 DM 세션 연결 요청 패키지 #1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단말(210)의 장치 관리 요청임을 확인하고, 제1단말(210)이 지원하는 DM 관리 기능 중 업데이트할 관리 기능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단말(210)이 지원하는 DM 관리 기능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이기 때문에, DM 서버(230)는 제1단말(210)이 업데이트할 소프트웨어를 검색한다.
DM 서버(230)는 제1단말(210)과 관련하여 업데이트해야 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관리 기능이 있으면, 기능 관리 데이터를 구성하여 패키지 #2 메시지를 통해 무선 단말(200)에 통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업데이트할 소프트웨어가 기능 관리 데이터가 되며, 이에 따라, 311단계에서 패키지 #2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단말(210)이 보유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존재함을 무선 단말(200)에 통지한다. 그리고 313단계에서 패키지 #3 메시지를 통해 무선 단말(200)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락하면, DM 서버(230)는 패키지 #4 메시지에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포함시켜 무선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기존에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대체시킬 수 있다. 즉, 무선 단말(200)이 DM 서버(230)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1단말(210)로 전달하고, 제1단말(210)은 전달되는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이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수락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택 사항에 따라 결정되거나, 현 시점에 사용자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현 시점에 결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업데이트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 등이 무선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DM 서버(230)는 315단계에서 해당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을 수 있는 주소를 패키지 #4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할 소프트웨어가 서비스 제공 서버(24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와 관련된 것이라면, 상기 주소는 서비스 제공 서버(240)의 주소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317단계에서 무선 단말(200)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240)와 임의의 서비스 세션을 연결한다. 그리고 317단계에서 무선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40)가 제1단 말(210)이 무선 단말(200)을 통해 DM 서버(230)와 단말 관리 세션을 연결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는 지시자와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40)로 전달한다. 이때 전달되는 단말 정보는 305단계에서 수신한 제1단말(210)에 대한 정보에서 추출한 정보일 수 있고, 제1단말(210)의 종류, 모델명 등의 최소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무선 단말(200)은 세션이 설정되면, 319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40)에 315단계에서 수신한 주소를 이용해 필요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요청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40)는 321단계에서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무선 단말(200)에 전송한다. 무선 단말(200)은 323단계에서 전달받은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1단말(21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1단말(210)은 해당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40)로부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315단계에서 패키지 #4 메시지를 통해 업데이트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서, 제1단말(210)이 기존에 보유한 소프트웨어를 대체하였다면, 무선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40)로 해당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되었다는 리포트(Report)만을 전송하고, 319단계와 321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단말(210)이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240)의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24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제1단말(210)이 재현할 수 있게 한다. 제1단말(210)로 서비스 제공 서버(240)의 콘텐츠 전달은 무선 단말(200)을 통해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40)가 DM 세션 셋업을 유인하고(triggering), 제1단말(210)에게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의 401단계 내지 407단계는 도3의 301단계 내지 307단계와 동일하다. 407단계에서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한 무선 단말(200)은, 409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40)와 임의의 서비스 세션을 연결한다. 이때, 무선 단말(200)은 서비스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제1단말(210)의 단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전달되는 단말 정보는 405단계에서 수신한 제1단말(210)에 대한 정보에서 추출한 정보일 수 있고, 제1단말(210)의 종류, 모델명 등의 최소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40)는 411단계에서 제1단말(210)의 단말 관리를 DM 서버(230)에 할당하기 위해 DM 서버(230)에 무선 단말(200)의 주소를 포함하여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DM 서버(230)는 413단계 상기 DM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해당 무선 단말(200)과 DM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통보 메시지인 DM 패키지 #0메시지를 413단계에서 무선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200)은 도3의 309단계 내지 323단계와 유사한 과정으로 415단계 내지 427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DM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무선 단말이 개인 단말의 단말 정보를 DM 서버(230)에서 지원하는 DM 프로토콜에 따른 단말 관리 표준 객체로 변환하여 DM 서버(230)로 제공하고, 업데이트할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개인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DM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의 단말도 원격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개인 단말의 단말 정보는 종래의 DM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DM 메시지는 개인 단말이 지원하는 원격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좀더 효율적으로 단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240)와 DM 서버(230)는 각각 논리적 엔티티(entity)로서,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 공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말의 다른 기능에 대한 관리 및 업데이트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관리 단말로서 무선 단말(200)을 예로 들었으나, 개인용 컴퓨터와 셋톱 박스와 같은 유선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도1은 종래의 단말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표준 객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c와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표준 객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23)

  1.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단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단말이 하나 이상의 단말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형식으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 및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의 단말 관리 기능들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 관리 기능들의 리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기본 정보이며,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단말 관리 표준 객체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단말 관리 서버가 인증할 수 있는 단말임을 나타내는 신임장(credentials)을 상기 단말 관리 표준 객체와 함께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세션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관리 데이터는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세션의 설정시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단말 관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한 후에,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단말 관리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단말 관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 관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상기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은 이종의 단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은 상기 단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단말 정보는, 해당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 단말 제조 회사, 모델명, 지원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해당 단말이 구비한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스케줄, 하드웨어 기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해당 단말의 상기 기본 정보를 정의하는 트리 구조의 단말 관리 표준 객체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방법.
  13. 관리 단말의 원격 관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과 개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형식으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 및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1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는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의 단말 관리 기능들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의해 지원되는 단말 관리 기능들의 리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기본 정보이며, 상기 기본 정보는 상기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단말 관리 표준 객체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 및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관리 단말이 상기 단말 관리 서버가 인증할 수 있는 단말임을 나타내는 신임장(credentials)을 상기 단말 관리 표준 객체와 함께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관련된 기능 관리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기능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기능 관리 데이터는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단말 관리 기능 리스트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의 단말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의 단말 정보로 변환한 후에,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단말 관리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단말 관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 관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변환된 단말 정보를 상기 단말 관리 서버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은 이종의 단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은 상기 단말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의 단말 정보는, 해당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정보, 단말 제조 회사, 모델명, 지원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해당 단말이 구비한 펌웨어, 소프트웨어, 파라미터, 스케줄, 하드웨어 기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해당 단말의 상기 기본 정보를 정의하는 트리 구조의 단말 관리 표준 객체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리 장치.
KR1020090112281A 2009-08-17 2009-11-19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6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2110220/08A RU2544742C2 (ru) 2009-08-17 2010-08-17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CA2771598A CA2771598C (en) 2009-08-17 2010-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of device
PCT/KR2010/005410 WO2011021826A2 (en) 2009-08-17 2010-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of device
JP2012525476A JP5534623B2 (ja) 2009-08-17 2010-08-17 端末の遠隔管理方法及び装置
AU2010285563A AU2010285563B2 (en) 2009-08-17 2010-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of device
CN201080046756.XA CN102577236B (zh) 2009-08-17 2010-08-17 用于设备的远程管理的方法和装置
US12/858,047 US9467517B2 (en) 2009-08-17 2010-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of device
EP10810134.6A EP2467969B1 (en) 2009-08-17 2010-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anagement o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22 2009-08-17
KR20090075922 2009-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248A KR20110018248A (ko) 2011-02-23
KR101669672B1 true KR101669672B1 (ko) 2016-11-10

Family

ID=4377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281A KR101669672B1 (ko) 2009-08-17 2009-11-19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67517B2 (ko)
EP (1) EP2467969B1 (ko)
JP (1) JP5534623B2 (ko)
KR (1) KR101669672B1 (ko)
CN (1) CN102577236B (ko)
AU (1) AU2010285563B2 (ko)
CA (1) CA2771598C (ko)
RU (1) RU2544742C2 (ko)
WO (1) WO20110218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37071B (zh) * 2007-11-15 201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管理树管理对象实例化的方法及设备
CN102142980B (zh) * 2010-10-27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远程管理传感网络拓扑的方法及网关
JP5714467B2 (ja) * 2011-10-24 2015-05-07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リモートサポートを受ける携帯型端末、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リモートサポート用プログラム、オペレータシステム、オペレータサーバ、及びオペレータ端末
KR20130129785A (ko) 2012-05-21 2013-11-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175851B2 (en) * 2014-02-19 2019-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management server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network devices
CN103888534B (zh) * 2014-03-21 2017-06-27 广州市纬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中控远程管理方法
CN106797522B (zh) 2014-08-15 2020-08-07 智听医疗公司 耳道内助听器和无线遥控器使用方法
US9769577B2 (en) 2014-08-22 2017-09-19 iHear Medical, Inc. Hearing device and method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appliance
US20160134742A1 (en) * 2014-11-11 2016-05-12 iHear Medical, Inc. Subscription-based wireless service for a canal hearing device
WO2016171682A1 (en) * 2015-04-22 2016-10-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onfiguring network devices
CN105471840A (zh) * 2015-11-12 2016-04-06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企业网环境下终端管理系统
US10257280B2 (en) * 2015-12-28 2019-04-09 Carboni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management of appliances
US11290466B2 (en) * 2017-08-16 2022-03-2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access granting
JP7215083B2 (ja) * 2018-10-30 2023-01-31 株式会社リコー 遠隔機器管理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54256B1 (ko) * 2019-01-11 2019-12-10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KR102239683B1 (ko) * 2019-10-23 2021-04-13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CN111093183B (zh) 2019-11-13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管理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4269B2 (en) * 2001-03-09 2009-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kiosk service offerings in a personal area network
KR20020079006A (ko) * 2001-04-12 2002-10-19 최은 구내 무선 종합 통신 시스템
JP3661936B2 (ja) 2001-05-24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065562B2 (en) * 2001-11-26 2006-06-20 Intelliden,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epresentation of a configuration schema
DE60224849T2 (de) * 2002-04-30 2009-01-22 Nokia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verwaltung des baumdatenaustauschs
US8838754B1 (en) * 2004-01-26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with a management forest in a device management network
US7523155B2 (en) 2004-03-18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using open mobile alliance (OMA) alerts to send client commands/requests to an OMA DM server
US8010952B2 (en) * 2004-06-08 2011-08-3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syntax and semantic validation
US20060015591A1 (en) * 2004-06-08 2006-01-19 Datla Krishnam R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lligent configuration editor
US7721304B2 (en) * 2004-06-08 2010-05-1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programmable network intelligence
RU2337489C1 (ru) * 2004-07-09 2008-10-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и ее способ планирования команд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KR100631796B1 (ko) * 2004-08-18 2006-10-11 주식회사 코맥스 학습형 리모콘 중계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SE528373C2 (sv) * 2004-08-25 2006-10-31 Smarttrust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pparathantering
KR100674085B1 (ko) * 2004-12-13 2007-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포맷/전송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N100384154C (zh) * 2006-02-21 2008-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管理方法及其系统、以及终端设备
KR100833335B1 (ko) * 2006-05-26 2008-05-29 휴미트 주식회사 Oma 마스터 장치 관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장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114933A (zh) * 2006-07-26 2008-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对能力管理对象维护、对能力管理的方法、系统及终端
CN101795842B (zh) 2007-08-27 2013-03-06 陶氏环球技术公司 成型挤塑聚苯乙烯泡沫的改进方法及由其制备的制品
CN101437071B (zh) * 2007-11-15 2011-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管理树管理对象实例化的方法及设备
KR20090063504A (ko) *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케이티 Oma―dm 시스템, 장치 관리 서버 및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71598C (en) 2016-12-06
CA2771598A1 (en) 2011-02-24
CN102577236B (zh) 2014-11-05
JP5534623B2 (ja) 2014-07-02
WO2011021826A2 (en) 2011-02-24
EP2467969A4 (en) 2014-01-22
RU2012110220A (ru) 2013-09-27
KR20110018248A (ko) 2011-02-23
RU2544742C2 (ru) 2015-03-20
JP2013502021A (ja) 2013-01-17
AU2010285563B2 (en) 2014-06-05
CN102577236A (zh) 2012-07-11
US9467517B2 (en) 2016-10-11
EP2467969B1 (en) 2019-03-13
AU2010285563A1 (en) 2012-02-23
WO2011021826A3 (en) 2011-04-28
US20110040829A1 (en) 2011-02-17
EP2467969A2 (en)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672B1 (ko)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JP6456472B2 (ja) 複数のデバイス上での複数のコマンドの実行を可能にすることによるm2m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層と管理層との間の拡張型動作
CN106471465B (zh) 服务启用器功能
EP2285163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258608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9667504B2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anagement apparatus and user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7815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erminal WIFI talkback
CN101919225B (zh) 认证系统及方法
JP4563425B2 (ja) 移動アドホック通信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装置検出及びサービス発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580921A (zh) 一种网络设备自动升级的方法及自动升级系统
CN109495433A (zh) 数据下载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1680715B1 (ko) 개인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01799B1 (ko)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를 브로드밴드 통신 모듈이 없는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001220B2 (en) Dynamic UI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legacy device
KR101632753B1 (ko)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단말 및 방법
CN102904935A (zh) 基于家庭网关的下载方法、设备和系统
KR101796975B1 (ko)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시스템
WO2018010366A1 (zh) 信息同步方法及装置
KR20140115775A (ko)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KR20140117795A (ko)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