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147B1 - 태그 요소를 갖는 oled 점등 장치 - Google Patents

태그 요소를 갖는 oled 점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147B1
KR101669147B1 KR1020117008131A KR20117008131A KR101669147B1 KR 101669147 B1 KR101669147 B1 KR 101669147B1 KR 1020117008131 A KR1020117008131 A KR 1020117008131A KR 20117008131 A KR20117008131 A KR 20117008131A KR 101669147 B1 KR101669147 B1 KR 10166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ed
oled device
tag
tag elemen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475A (ko
Inventor
더크 헨테
조셉 에이치.에이.엠. 제이콥
Original Assignee
오엘이디워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엘이디워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오엘이디워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5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동작 정보(예를 들어 장치의 최대 구동 전류)를, 그 정보가 무선으로 및/또는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러나 오믹 손실은 거의 없게 판독될 수 있도록 인코딩하는 태그 요소(201)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태그 요소(201)로부터 동작 정보를 판독해내기 위한 판독 유닛(601)을 갖는 소켓(600)을 더 포함한다. 태그 요소는 예를 들어, 소켓 내의 대향 전극(601)에 용량 결합될 수 있는 태그 전극(201)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그 요소를 갖는 OLED 점등 장치{OLED LIGHTING DEVICE WITH TAG ELEMENT}
본 발명은 태그 요소를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점등 장치(lighting device), 그러한 OLED 장치와 호환가능한 소켓, 및 그러한 OLED 장치 및 소켓을 포함하는 점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P 1 411 750 A2로부터, 호환가능한 구동 유닛에 플러그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하는 점등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LED는 그 LED에 병렬로 놓여지는 저항기를 포함하고, 그 저항기의 저항은 LED의 동작 조건에 관한 정보를 인코딩한다.
EP 1 696 707 A2는 예컨대, 램프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최대 광에 관한 정보 등의 데이터 기록이 저장될 수 있는 관련 전자 메모리를 갖는 램프를 포함하는 점등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 후 램프들은 생산 내구성을 보상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US 2007/247305 A1은 다이오드 램프 및 상기 램프의 동작 범위에 관련된 표식을 전송하기 위한 관련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점등 시스템을 개시한다. 결합된 램프들의 요건에 따라 동작 전류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는 표식(signature)을 사용할 수 있다.
DE 196 40 625 A1은 전자, 자기 또는 광학 펄스들을 방출하기 위한 마커를 지니는 베이스를 갖는 가스 방전 램프를 개시한다. 펄스는 램프가 소켓에 삽입될 때 센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램프가 그것의 적합한 동작 파라미터들로 동작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안정성이 증가될 것이다.
EP 1 244 334 A2는 램프의 공칭 전류를 축전하는 코딩 소자에 LED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점등 시스템을 개시한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그것의 전류를 상이한 LED 램프들에 자동으로 맞출(adapt) 수 있다.
DE 103 03 454 A1은 LED들의 동작 파라미터가 그것들의 공급선 내에 코딩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방식에서 LED들이 생산 내구성을 보상하는 파라미터들로 동작된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점등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이러한 장치의 동작이 더 강건하고 경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OLED 장치, 청구항 2에 따른 OLED 장치들의 세트, 및 청구항 10에 따른 점등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OLED 장치, 즉 광원으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갖는 점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 장치는 OLED 장치에 관한 동작 정보(예를 들어, OLED에 공급될 공칭 전류(nominal current))를 인코딩하는 "태그 요소"를 포함하며, 태그 요소는 동작 전류가 무선으로 및/또는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러나 오믹 손실은 거의 없게 판독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나중의 대안에서, "오믹 손실은 거의 없게"라는 특징은 모든 전기적 배선 또는 리드가 제로의 옴 저항을 갖는 이상적인 상황을 언급할 것이다. 실제에서, 이러한 상황은 배선의 판독에 연관된 오믹 손실이 OLED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총 전력의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미만에 이른다는 조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무선으로 판독가능한 태그 요소의 전형적인 예는 RF(radiofrequency) 회로일 것이다. 오믹 손실 없이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태그 요소의 전형적인 예는 OLED 장치 상의 캐패시터일 것이다. 태그 요소의 다른 실현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다.
설명되는 장치에서, 광의 생성은 강건하고 다목적용이며 전력 효율이 좋은 광원인 OLED에 기초한다. (세기, 스펙트럼 성분 등에 관한) OLED들의 광 출력은 동작 매개변수, 예를 들어 그들이 제공받는 전류 및/또는 전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태그 요소는 OLED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OLED를 적절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드라이버들에 의해 나중에 판독될 수 있는 동작 정보와 같은 그러한 매개변수들을 인코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지 상이한 동작 정보를 각각의 태그 요소에 인코딩하는 것에 의해, 기본적으로 동일한 설계(재료, 크기 등에 관하여)를 갖지만 상이한 광 출력 행동을 갖는 OLED 장치들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작 정보의 판독은 무선으로 행해질 수 있는데, 이것은 물리적 또는 전기적 컨택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기계적인 마모를 방지하므로 유리하다. 태그 요소가 배선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판독은 오믹 손실없이, 따라서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할 수 있는 OLED 장치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옴 부하에 대해 에너지가 손실되지 않으므로, 전력 효율이 향상된다.
OLED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 요소는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패턴을 포함한다. 그러한 패턴의 전형적인 예는 바코드일 것이다. 광학 패턴은 적절한 광학 센서에 의해 무선으로 검출될 수 있고, 쉽게 제조되어 OLED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태그 요소는 OLED 장치의 표면 상에 배치되거나 (얇은) 유전체층 아래에 배치되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이하에서 "태그 전극"이라고 칭해지는 전극을 포함한다. 그러한 태그 요소는 태그 전극이 대응하는 판독 장치 내의 제2 전극에 용량결합하는 것에 의해 무선으로 판독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태그 전극의 유효 영역은 판독 장치의 (알려진 영역의) 제2 전극과 결합하여 성취될 수 있는 정전용량을 결정하므로, 원하는 동작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그러한 영역이 이용될 수 있다. 정전용량이 단일의 스칼라값이더라도, 정전용량의 값과 동작 매개변수 간의 적절한 일대다 맵핑에 의해 복수의 동작 매개변수를 그것으로 인코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태그 요소는 선택적으로 OLED 장치의 표면 상에 배치되어, 판독 센서가 자유롭게 액세스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표면 태그 요소를 OLED 장치의 제조 후에 그 OLED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태그 요소는 캡슐화, 예를 들어 OLED를 밀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캡슐화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광학적으로 검출될 태그 요소의 경우에서, 캡슐화 재료는 투명해야 한다.
태그 요소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는 동작 정보의 구체적인 예들은 OLED 장치의 구동 매개변수들: 예를 들어, 공칭, 최소 및/또는 최대 구동 전류, 구동 전력 및/또는 구동 전압; (특히 수개의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주요(primary) 컬러를 갖는 OLED 장치들에 대한) 백색 포인트, 컬러 포인트 및/또는 컬러 온도; 또는 OLED 장치가 조광될 수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조광 가능" 플래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종류의 OLED 장치를 위한 소켓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소켓"이라는 용어는 OLED 장치의 설계에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호환가능한 유닛을 칭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안정적인 기계적 및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OLED 장치를 소켓에 플러그인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소켓은 OLED 장치(또는, 더 정확하게는 그것의 태그 요소)로부터 동작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닛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켓 및/또는 대응하는 제어 장치가 OLED 장치를 그것의 규격에 따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소켓은 구체적으로, OLED 장치가 소켓에 마운팅될 때, 그 장치의 태그 요소 상의 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센서는 예를 들어, 태그 요소 상의 패턴을 조사(irradiating)하기 위한 광원, 및 패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 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켓은 이하에서 "대향 전극"이라고 칭해지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대향 전극은 OLED 장치가 소켓에 마운팅될 때, 그 전극으로 장치 상의 "태그 전극"에 용량결합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최소의 전력 소모로 비접촉식 판독을 허용한다.
OLED 장치로부터 판독된 동작 정보는 상이한 방식들로 더 이용 또는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는 판독된 동작 정보가 그것의 규격에 호환가능한 경우에만 활성으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소켓은 소켓에 마운팅된 OLED 장치로부터 판독된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OLED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태그 요소 상의 동작 정보는 OLED 장치가 동작되는 방식에 직접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종류의 OLED 장치 및 위에서 설명된 종류의 대응 소켓을 포함하는 점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것들과 그 외의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백해지고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의 도움으로 예시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광학적 태그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OLED 장치를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정전용량 태그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상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OLED 장치를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을 위한 간략화된 등가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유사한 참조번호들, 또는 100의 정수배만큼 차이나는 번호들은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참조한다.
일반적인 조명을 위한 형광 램프들은 전형적으로 "등가 백열등 전력(equivalent incandescent power)"에 관하여 시장에서 제공되고 있다. 특정한 소켓 크기에 대하여, 예를 들어 25W, 50W, 75W 및 100W와 같이 광범위한 전력 레벨들이 제공된다. 그러면, 특정한 휘도 레벨을 원하는 고객은 원하는 전력값을 갖는 램프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중간 휘도를 위해서는 50W의 램프를 선택한다. 고객에 대한 이점은 고가의 조광 회로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관(tube)의 직경, 램프 특성(예를 들어, 인광체 종류) 및/또는 관의 개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전력 레벨들을 갖는 다양한 형광 램프들이 기술적으로 실현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장치들에 쉽게 적응될 수 없는데, 그러한 OLED에서, 예를 들어 평판 OLED의 영역 크기는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영역 크기의 감소에 의해 휘도가 감소될 수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OLED 장치 설계 매개변수(예를 들어, 영역 크기, 유기 스택)를 변경하는 것을 대신하여, "프로그래밍"에 의해 OLED 장치의 공칭(nominal) 구동 전류 및/또는 다른 동작 매개변수를 고정 또는 제한하기 위해 "태그 요소"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OLED 장치는 원하는 "백열등 전력 레벨"로 전자적으로 자동 조절될 수 있다. OLED 장치에 접속되는 드라이버 회로는 태그 요소를 판독할 수 있어야 하며, 태그 값에 의해 특정한 광도 또는 구동 전류가 달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OLED에 대한 공급을 조절한다. 즉, 단순히 태그 요소 상의 동작 정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OLED의 집합, 즉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스택을 갖는 장치들이 상이한 OLED 장치들로 될 수 있다. 또한, OLED 태깅(tagging)은 후처리 단계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어떠한 매개변수 변동도 없이 모든 OLED 장치가 동일한 제조 라인에서 제조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드라이버에 대해 OLED를 다르게 하는 것은 바로 태깅이기 때문이다.
태그 요소에 대한 전형적인 예는 정전용량 요소이다. OLED 장치 상에 (캐패시터로서) 완전하게 배치되는 정전용량 태그 요소의 경우에서, 태그값(정전용량)은 OLED 기판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전기 컨택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태그 요소의 다른 예는 판독가능한 광학 요소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OLED 상에 인쇄되는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전기적인 OLED 컨택트가 마커(marker)로 트리밍(trim)될 수 있다. 광학적 태그 요소의 경우에서는, 추가의 전기적 컨택트가 방지될 수 있으며, 태그값은 예를 들어 소켓 내에 위치된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의 개념들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장치(100)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이러한 장치(100)가 대응하는 소켓(500)에 플러그인되고 난 후의 그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하부 방출형(bottom emitting) OLED 장치(100)는 이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 투명 기판(11), 예를 들어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판.
- 기판(11) 상에 배치된 애노드(12). 애노드(12)의 에지 영역들(12a)은 컨택트를 위한 영역들을 제공함. 애노드는 투명한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로 제조됨.
- 본 기술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프로세스들에 따라 광 발생이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층(13).
- 유기층들(13) 위에 배치된 금속 캐소드(14). 캐소드(14)의 에지 영역들(14a)은 컨택트를 위한 영역들을 제공함.
- 전체 점등 장치를 캡슐화하기 위해 밀봉재(16) 상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위에 배치되는 덮개판(15),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판.
도 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택트 영역(12a)(및 유사하게는 14a)은 OLED에 제어되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 유닛(51)에 내부적으로 접속되는, 소켓(500)의 컨택트 요소들(52)에 의해 접촉되는 플러그인 상태에 있다.
이 도면은 OLED 장치(100)의 에지 영역에 위치되어, 도 2의 플러그인 상태에서 소켓(500)의 마운팅 슬롯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태그 요소(101)를 더 도시하고 있다. 태그 요소(101)는 소켓(500)의 광학적 판독 센서(501)에 의해 선택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패턴을 포함한다. 패턴을 예를 들어 바코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하부 방출형 OLED 장치를 위한 캐소드 재료는 전형적으로 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고반사성 재료이기 때문에, 캐소드 영역(14a)의 일부가 태그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코드 패턴이 OLED 기판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태그 요소는 OLED 장치 캡슐화(15)의 내측, 외측 또는 양측 다에 위치될 수 있다.
태그 요소(101)의 패턴은 소켓(500) 내에 배치된 광학적 센서(50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면, 패턴에 의해 인코딩되는 동작 정보는 OLED 제어 유닛(드라이버)(51)에 대한 전류 레벨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전류 레벨은 OLED 장치 상에 상이한 패턴을 인쇄하는 것에 의해 쉽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등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3은 OLED 장치(200)의 상면도를 포함하는 한편, 도 4는 이 장치를 대응하는 소켓(600)에 삽입한 후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앞의 도면들의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며,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OLED 장치(200)는 여기에서 "태그 전극"으로서 실현되는 태그 요소(201)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의 장치와 다르다. 도시된 예에서, 태그 전극(201)은 단순히 캐소드(14)의 특정한 부분영역(sub-area)이다. OLED 장치(200)가 대응하는 소켓(600)에 삽입될 때, 태그 전극(201)은 소켓(600) 내의 대향 전극(601)에 바로 인접하여 놓여지고, 그들 사이에는 절연 유전체가 놓여진다. 유전체는 태그 전극(201) 및/또는 대향 전극(601) 상에 있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점등 시스템을 위한 등가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태그 전극(201) 및 대향 전극(601)이 플러그인 상태에서 평행판 캐패시터를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은 제어 회로(5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정전용량값 C는
Figure 112011025745818-pct00001
에 의해 결정되며, ε은 유효 유전율을 나타내고, A는 유효 전극 영역 크기를 나타내고, d는 두 전극(201, 601)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태그 전극(201)의 크기 및/또는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OLED 장치(200)의 동작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정전용량값이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된 OLED 장치들에서, 태그 요소는 부착된 장치 드라이버의 공칭 전류 및/또는 다른 동작 매개변수를 제한하고/하거나 고유하게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태그값은 OLED 제조 동안의 또는 제조 후의 후처리 단계로서 조정될 수 있다. 태그 요소는 OLED 기판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OLED 캡슐화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comprising)"라는 용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으며,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이 몇개의 수단의 기능들을 달성할 수 있음이 주목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모든 신규한 특유의 특징, 및 특유의 특징들의 각각의 모든 조합에 있다. 또한, 청구항들 내의 참조 부호들은 그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3)

  1. OLED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 관한 동작 정보(operating information)를 인코딩하는 태그 요소(101, 201)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무선으로 및/또는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판독될 수 있고,
    상기 태그 요소(101, 201)는 상기 OLED 장치의 전극 영역(14a)의 일부인 패턴을 포함하는,
    OLED 장치.
  2. 제1항에 따른 OLED 장치들의 세트로서 - 상기 OLED 장치들은 동일한 설계를 가짐 - ,
    각 OLED 장치는 상기 장치에 관한 동작 정보를 인코딩하는 태그 요소(101, 201) - 상기 정보는 무선으로 및/또는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판독될 수 있음 - 를 포함하고,
    상기 OLED 장치들의 상기 태그 요소들(101, 201)에 상이한 동작 정보가 인코딩되어 상기 OLED 장치들이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될 때에 상이한 광 출력 행동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들의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요소(101)는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요소는 상기 장치의 표면 상에, 또는 유전체층 아래에 태그 전극(2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태그 전극(201)의 유효 영역(effective area) 내에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요소(101, 201)는 상기 장치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요소(101, 201)는 캡슐화(encapsulation)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OLED 장치의 구동 매개변수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매개변수들은
    - 공칭(nominal), 최소 및/또는 최대 구동 전류, 구동 전력 또는 구동 전압;
    - 상기 OLED 장치의 컬러 포인트, 컬러 온도 및/또는 백색 포인트;
    - 상기 OLED 장치의 조광(dimming)에 관련된 매개변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장치.
  10. 점등 시스템으로서,
    제1항에 따른 OLED 장치 또는 제2항에 따른 OLED 장치들의 세트, 및
    상기 OLED 장치 또는 상기 세트의 OLED 장치로부터 동작 정보를 판독해내기 위한 판독 유닛(501, 601)을 갖는 호환가능한 소켓(500, 600)
    을 포함하는 점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OLED 장치가 상기 소켓에 마운팅될 때 상기 OLED 장치의 태그 요소(101)가 지니고 있는 패턴을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광학 센서(5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OLED 장치가 상기 소켓에 마운팅될 때 상기 OLED 장치의 태그 전극(201)에 용량 결합하는 판독 전극(6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마운팅된 OLED 장치로부터 판독된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OLED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회로(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시스템.
KR1020117008131A 2008-09-09 2009-08-28 태그 요소를 갖는 oled 점등 장치 KR101669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05267.2 2008-09-09
EP08105267 2008-09-09
PCT/IB2009/053762 WO2010029459A1 (en) 2008-09-09 2009-08-28 Oled lighting device with tag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475A KR20110053475A (ko) 2011-05-23
KR101669147B1 true KR101669147B1 (ko) 2016-10-25

Family

ID=4121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131A KR101669147B1 (ko) 2008-09-09 2009-08-28 태그 요소를 갖는 oled 점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08136B2 (ko)
EP (1) EP2324683B1 (ko)
JP (1) JP5637604B2 (ko)
KR (1) KR101669147B1 (ko)
CN (1) CN102150473B (ko)
RU (1) RU2518503C2 (ko)
TW (1) TW201017950A (ko)
WO (1) WO2010029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7924A (ja) * 2011-12-19 2013-06-27 Mitsubishi Chemicals Corp 発光装置、発光システム、及び発光装置の制御方法
JP5919023B2 (ja) * 2012-02-16 2016-05-18 株式会社カネカ 有機el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有機elパネルの取り付け装置
DE102013207704A1 (de) 2013-04-26 2014-10-30 Tridonic Gmbh & Co Kg Modul mit passiver Messsignalrückführung über Ladungsspeicher
DE102013109814A1 (de) * 2013-09-09 2015-03-12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WO2015101514A1 (en) * 2014-01-06 2015-07-09 Koninklijke Philips N.V. Load device, driver for driving the load, and driving method
EP3117689B1 (en) * 2014-03-13 2020-09-02 OLEDWorks GmbH Electronic device, device driver, and driving method
FR3025942B1 (fr) * 2014-09-15 2017-12-01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multifonction avec diode oled segmentee
WO2016142138A1 (en) * 2015-03-06 2016-09-15 Philips Lighting Holding B.V. Identification of luminaire parts
DE102015204360A1 (de) * 2015-03-11 2016-09-15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Bauteil und Verfahren zum Austausch eines optoelektronischen Bauteils
EP3076757B1 (en) 2015-03-30 2023-01-04 OLEDWorks GmbH Oled device and driving method
EP3076756B1 (en) * 2015-03-30 2021-07-21 OLEDWorks GmbH Oled device and driving method
DE102015106942A1 (de) * 2015-05-05 2016-11-10 Osram Oled Gmbh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chtemittierenden Bauelements
TWI620893B (zh) * 2016-10-26 2018-04-11 Luminescence Technology Corporation Oled平面燈源模組
CN107644896B (zh) * 2017-09-29 2020-03-1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ltps的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625A1 (de) 1996-10-01 1998-04-02 Heraeus Noblelight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und dafür geeigneter Strahler
JP2007173088A (ja) *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機el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el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751A (ja) * 1994-01-26 1995-08-15 Barashima Kogyo Kk パターン認識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音玩具
JP4392113B2 (ja) * 2000-05-18 2009-12-2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DE10114124A1 (de) * 2001-03-22 2002-09-26 Hella Kg Hueck & Co Schaltungsanordnung
DE10230154A1 (de) * 2002-07-04 2004-01-1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ersorgungseinheit
ATE436173T1 (de) 2002-10-16 2009-07-15 Ccs Inc Stromversorgungssystem für eine lumineszenzdiodeneinheit
DE10303454B4 (de) 2003-01-29 2022-01-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odierbare elektronische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1445987A1 (de) * 2003-02-04 2004-08-11 Goodrich Hella Aerospace Light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Leuchte mit Licht in mindestens zwei unterschiedlichen Farben aussendenden LED
US7583842B2 (en) * 2004-01-06 2009-09-01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approach of m-array decoding and error correction
DE102005024449A1 (de) 2005-02-25 2006-09-07 Erco Leuchten Gmbh Leuchte
FR2900304B1 (fr) 2006-04-20 2012-03-02 Valeo Vision Dispositif de commande de led pour un feu de vehic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625A1 (de) 1996-10-01 1998-04-02 Heraeus Noblelight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und dafür geeigneter Strahler
JP2007173088A (ja) *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機el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el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0473B (zh) 2014-03-19
KR20110053475A (ko) 2011-05-23
EP2324683B1 (en) 2015-02-25
JP2012502459A (ja) 2012-01-26
JP5637604B2 (ja) 2014-12-10
EP2324683A1 (en) 2011-05-25
US8508136B2 (en) 2013-08-13
WO2010029459A1 (en) 2010-03-18
CN102150473A (zh) 2011-08-10
RU2518503C2 (ru) 2014-06-10
RU2011113745A (ru) 2012-10-20
TW201017950A (en) 2010-05-01
US20110187285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147B1 (ko) 태그 요소를 갖는 oled 점등 장치
US20180216785A1 (en) Light sources incorporating light emitting diodes
TWI537900B (zh) 使用者可組態之鑲嵌發光裝置
US20080121899A1 (en) Transparent electrode for LED array
TWI527499B (zh) 無線電激發光裝置
JP2009532834A (ja) 均一な発光を有する大エリアoled
EP1256989A3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high contrast ratio
CN110931474A (zh) 发光二极管封装件组件以及包括其的发光二极管灯泡
JP4884849B2 (ja) 照明装置
JP2007227927A (ja) 照明装置
TW200950178A (en) OLED lighting device
EP3076757B1 (en) Oled device and driving method
EP3117689B1 (en) Electronic device, device driver, and driving method
US8912733B2 (en) Light bulb and florescent tube replacement using FIPEL panels
US9807834B2 (en) Load device, driver for driving the load, and driving method
US20040232434A1 (en) Electroluminescent lamp
CN111384114B (zh) 电致发光照明设备
CN102884866A (zh) 用于场致发光装置的谐振电路
JP3066629U (ja) 回路基板
KR20080018602A (ko)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06350147A (ja) 表示装置
KR20170049677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