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018B1 - 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018B1
KR101668018B1 KR1020160028889A KR20160028889A KR101668018B1 KR 101668018 B1 KR101668018 B1 KR 101668018B1 KR 1020160028889 A KR1020160028889 A KR 1020160028889A KR 20160028889 A KR20160028889 A KR 20160028889A KR 101668018 B1 KR101668018 B1 KR 10166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port
return
auxili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257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680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비솔루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hiring of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to reserve st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lending device which automatically performs an overall procedures including lending, returning, inspecting, and collecting of an auxiliary battery in a manless manner and effectively manages a distribution for an auxiliary battery lending service. The auxiliary battery le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lending hole and a returning hole for an auxiliary battery; a cradle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re stacked to be store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auxiliary batteries stacked in the cradle to the lending hol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or images for guiding through the lending or returning of the auxiliary batter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required for lending or returning the auxiliary battery;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processes for lending and managing the auxiliary battery; and an inspecting unit which is connected with a cable connect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which is to be returned through the returning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turning auxiliary battery),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is faulty.

Description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대여 서비스 및 이를 위한 물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that can more efficiently manage a battery rental service and a logistics for the battery rental service.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 및 전기 전자 단말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최근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지능형 휴대 단말을 사용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lectric / electronic terminal technology, a large number of people have recently used intelligent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특히 스마트폰은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과 같은 휴대 전화 고유 기능에 인터넷 통신, 정보 검색, 멀리미디어 재생, 사진/동영상 촬영과 같은 타 전자 장치의 기능를 추가적으로 탑재한 휴대 단말에 해당한다.In particular, a smart phone corresponds to a mobile terminal additionally equipped with functions of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information search, far-field media playback, and photo / video shooting to portable phone specific functions such as voice call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그런데,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에 따라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량은 타 휴대 단말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편이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거나, 충전기 등을 이용하여 틈틈히 충전하며 사용하고 있어 스마트폰 이용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various function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phon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portable terminals. Accordingly, the users of the smartphone use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or use a charger to charge the smartphone.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통신사 대리점에서 보조 배터리를 대여해 주거나 충전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일부에 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To alleviate this inconvenience, some service providers have lent auxiliary batteries or have implemented charging service, but this has been limited to a limited number.

이는 배터리 대여 서비스 자체가 사업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대여점이 갖춰져야 하고, 각 대여점에 대여용 배터리를 회수, 재투입하는 물류센터가 필요하며, 상기 경우 대여점과 물류센터의 배터리 재고 현황, 입출고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규모 물류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 battery rental service itself to be carried out in business, a large number of rental points must be provided, and a logistics center for collecting and re-charging the batteries for lending is required at each rental shop. In this case, And a large-scal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hat can identify and manage such information in real time.

결국, 배터리 대여 서비스 자체의 사업적 성공 및 대중화 구현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대여점과 물류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물류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As a result, in order to realize the business success and popularization of the battery rental service itself,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 large number of rental points and a distribution center is desperately needed.

더 나아가, 배터리 대여 서비스의 대규모 사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여용 배터리를 대여 및 반납하는 과정은 물론 반납 배터리의 정상/불량 여부의 검수 그리고 이에 따른 배터리 분류 수거가 무인으로 자동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
Furthermore, in order to realize a large-scale business of battery rental servic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rent and return the rental battery but also to check whether the return battery is normal / bad and to automatically sort the battery sorting collection according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 자체의 대규모 사업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for realizing large-scale commercialization of auxiliary battery rental service itself.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반납, 검수 및 수거에 이르는 제반 과정을 무인 방식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보조 배터리의 물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matically processing various processes ranging from lending, returning, inspection and collec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unmanned system, and furthermore, quickly and accurately grasping the logistics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service, And an auxiliary battery charg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구와 반납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적층 보관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기와; 상기 보조 배터리 대여 또는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수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rental port and a discharge port of an auxiliary battery; A cradle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re stacked; An extractor for taking out the auxiliary battery stacked on the cradle to the rental hal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r an image for guiding the rental or return of the auxiliary batter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renting or returning the auxiliary battery;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process for renting and managing the auxiliary battery; And a checker connected to a cable connected to an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turn auxiliary battery') returned through the return port to determine whether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or not.

그리고, 상기 검수기는, 상기 반납구에 대향하는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하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포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포트에 접속시 상기 커넥터를 감싸고 있는 머리부재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그를 포함한다.The checker includes an operative body located inside the receptacle opposite to the withdrawal port and including a port to which the connector of the cable is connected, the operative body being capable of being reciprocated in a first direction;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reciprocating motion of the actuating member; And a stopper opposed to the stepped surface of the head member surrounding the connector whe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or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검수기는 케이블의 접속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별이 완료되면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칭함)을 하여 상기 머리부재의 단차면이 상기 스토퍼에 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작동체의 포트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hecker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electric signal when the cable is connected, and when the determination is completed, only the operating body alone performs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reciprocating mo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retraction operation"), and the stepped surface of the head member is blocked by the stopper so that the connector of the cable is forcibly removed from the port of the actuating body.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에 의하면,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고자 하는 자에게 보조 배터리를 무인으로 대여할 수 있고, 대여 후 이루어지는 반납 과정, 불량 검수 작업, 및 검수 결과에 따른 배터리 분류 작업을 모두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어,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의 대규모 사업화가 가능하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rented to the person who intends to rent the auxiliary battery unattended, and the return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rental, the faulty inspection work, , And it becomes possible to commercialize a secondary battery rental service on a large scale.

또한, 현재 대여 중인 배터리의 종류와, 대여 중인 보조 배터리를 소유하고 있는 대출자 정보를 추적할 수 있고, 어느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대여기에서 대여 및 반납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와 관련된 제반 물류 현황(예컨대, 보조 배터리 장치별 대여 현황 내지 재고 수량 등의 정보)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파악 가능하여 보조 배터리 대여 서비스를 위한 물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ck the type of the battery currently being borrowed and the borrower information that owns the auxiliary battery being borrowed. It is also possible to know where the borrowing and returning events have occurr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logistics related to th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rental status or the quantity of stock according to the secondary battery device) in real time, thereby efficiently performing the logistics management for the secondary battery rental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상면측 사시도 및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정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좌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우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제1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제2 동작 상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케이블 강제 탈거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확장 실시예로서, 검수기와 가이드 도어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기와 수거함을 도시한 상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및 이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 and 2 (b) are top and side perspective views of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sid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left side internal structure of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right sid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ke-ou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auxiliary battery unloading operation of the take-ou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auxiliary battery unloading operation of the take-ou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connected to a che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rced removal operation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embodiment of a che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hecker and the guide door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2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a classifier and a colle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uxiliary battery mounted there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above or above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when a section of an area,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above another section ", this applies not only to the case where the other section is "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의 상면측 사시도 및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정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좌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의 우측면측 내부 구조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 and (b) are a top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ront sid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left sid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right sid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200), 본체(10), 거치대(60), 반출기(50), 대여구(15), 반납구(11), 디스플레이부(20), 입력부(21), 제어부(미도시) 및 검수기(9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도어(67), 분류기(80), 리더기(65) 및 충전기(3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보조 배터리(200)를 대여하고자 하는 자(이하, '대출자'라 칭함)에게 보조 배터리(200)를 무인 대여할 수 있고, 대여 후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검수 및 반납 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1 to 6, an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200, a main body 10, a cradle 60, a take-out machine 50, a rental apparatus 15, A display unit 20, an input unit 21,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checker 90, and preferably includes a guide door 67, a sorter 80, a reader 65, The auxiliary battery 200 can be rented to a person who intends to rent the auxiliary battery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nder'), And the return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0)는 임의의 다수에게 대여를 용도로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에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전원 공급기 내지 충전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란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외 핸드폰, 태블릿PC,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power supply unit or a charger for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for the purpose of renting to a plurality of users.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typically a smart phone, and may further includ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PDA, and the like.

이러한 보조 배터리(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접속단자(205)에 연결되는 케이블(300)을 통해 휴대 단말기과 연결되어 유선으로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2 and 3, the auxiliary battery 20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able 3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05, As shown in Fig.

그리고, 보조 배터리(200)의 외면 상에는 식별자(201)가 부착되어 각각의 보조 배터리(200)에 대한 물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n identifier 201 is attac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200 to function to grasp and manage the distribution status of each auxiliary battery 200 in real ti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보조 배터리(200)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 표시부(2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표시부(203)는 액정표시장치(LDC),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 전자잉크(E-Ink)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디스플레부'라 칭함)로 구성하여 광고 이미지가 동영상으로 재생되며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보조 배터리 표면 상에 종이 형태의 광고 이미지를 부착 또는 인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auxiliary battery 200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203 for advertis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203 includes a display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play unit')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DC),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image is reproduced and displayed as a moving picture. Needless to say,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ttach or print an advertisement image in the form of paper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display device.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 배터리(200)는 케이스 내부에 무선 충전 코일이 수납된 무선 충전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코일에는 무선으로 전력에너지를 송신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 이외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200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charger in which a wireless charging coil is housed in the case. The radio coi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ddition to a wireless charging antenna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energy.

그리고, 보조 배터리(200)의 일측에는 광고 표시부가 구비되어 상기 광고 표시부에 광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는 무선 코일이 구비되어 무선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200 to display an advertisement image on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and a wireless coil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한편,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0)에 광고 수단 즉, 광고 영상을 표시하는 광고 표시부를 탑재할 경우, 보조 배터리는 광고 표시부를 통한 광고 영상의 재생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을 실행하였을 때만 해당 보조 배터리와 연결된 대출자의 휴대단말에 대한 충전 동작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means, that is, the advertisement image, is mounted on the auxiliary batter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performs the reproduction of the advertisement image on condition that the advertisement image is reproduced through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lender to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only when the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또는, 보조 배터리(200)는 대여가 이루어진 보조 배터리를 대출자의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광고 표시부(203)를 통해 광고 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uxiliary battery 2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display of the advertisement image through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203 when the auxiliary battery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lender and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erformed .

또는, 보조 배터리(200)는 대여가 이루어진 보조 배터리를 대출자의 휴대단말과 연결하여 해당 휴대단말의 충전 동작을 실행시, 대출자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여 대출자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 저장된 광고 영상이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auxiliary battery 20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lender, the auxiliary battery 200 controls the lender's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automatically output the advertisemen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200)가 광고 영상 출력 기능을 더 구비할 경우, 해당 광고 영상 데이터는 보조 배터리(2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auxiliary batter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dvertisement image output function,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image data may be stored in a memory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200 or transmitted from a central server.

본 발명의 본체(10)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각종 구성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함체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 영역에는 광고 영상을 재생하거나 또는 광고 이미지를 부착할 수 있는 광고판 내지 광고 표시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closure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and protects various componen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10, a billboard or a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40 capable of reproducing an advertisement image or attaching an advertisement image may be installed.

본체(10)의 전면(前面)에는 보조 배터리(200)의 외부 인출을 위한 출구 역할을 하는 대여구(15)와 사용 완료된 보조 배터리를 반납하기 위한 반납구(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A rental port 15 serving as an outlet for withdrawing the auxiliary battery 200 from the main body 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discharge port 11 for returning the used auxiliary battery.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여구(15)의 후방에는 대여를 위해 거치대(60)로부터 강제 반출된 보조 배터리가 낙하 및 안치되는 대여함(19)이 더 구비되어, 대출자는 대여구(15)를 통해 대여함(19)에 안치된 보조 배터리를 외부로 인출하여 해당 보조 배터리를 대여할 수 있고, 이러한 대여구(15)에는 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개폐문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대여구(15)의 개폐문은 힌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hire unit 15 a rental box 19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forcibly taken out from the cradle 60 for rental is dropped and laid,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rented out by taking out the auxiliary battery placed in the rental box 19 to the outsid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further included in the rental box 15, Can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method or a sliding method.

한편, 거치대(60)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가 거치대(60)로부터 반출될 시, 해당 보조 배터리는 대여함(19)과 거치대(60) 사이에 개재된 호퍼(61)를 경유하여 대여함(19)으로 낙하됨으로써 외부에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가 대여함(19)으로 낙하시 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대여함(19)의 내면 상에는 예컨대, 충격흡수매트와 같은 충격 흡수재를 부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uxiliary battery stacked on the cradle 60 is taken out of the cradle 60, the auxiliary battery is rented via the hopper 61 interposed between the rental case 19 and the cradle 60 19 so as to be supplied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shock absorber such as an impact-absorbing ma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ull 19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an buffer the shock when the horn falls on the hull 19.

반납구(11)는 사용 완료한 보조 배터리를 본체(10) 내부로 반납하기 위한 입구로서, 반납구(11)의 후방에는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검수기(90)가 구비되고, 검수기(90)의 수직 하부 영역에는 반납구(11)를 통해 반입된 반납 보조 배터리를 수거 및 보관하기 위한 수거함(70)이 구비될 수 있다.The return port 11 is an inlet for returning the used auxiliary battery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and has a checker 90 for testing whether the auxiliary battery returned to the rear of the return port 11 is defective And a collection box 70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carried through the return port 11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ly lower region of the examiner 90.

그리고, 이러한 반납구(11)에는 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개폐문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반납구(11)의 개폐문은 힌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return port 11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opening / closing door of the return port 1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 closed by a hinge method or a sliding method.

본 발명의 거치대(60)는 대여를 위해 본체(10) 내에 구비되어 대기 중인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를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거치대(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순차 적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대(60)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는 거치대(60) 하단에 구비되는 반출기(50)에 의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대여구(15)로 반출된다The stand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tore a plurality of standby batteries in the main body 10 for rental,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row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and 60 . The auxiliary batteries stacked on the cradle 60 are sequentially taken out to the cradle 15 by the take-out machine 5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radle 60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60)는 다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우 반출기(50) 역시 각 거치대(60)에 하나씩 할당되게 설치되고, 각 거치대(60)에는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그에 호환되는 보조 배터리가 적층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거치대(60a)와 제2 거치대에(60a)는 안드로이드용 보조 배터리가 거치되고, 제3 거치대(60b)와 제4 거치대(60b)에는 iOS용 보조 배터리가 거치되어, 대출자가 사용하는 기종에 맞는 보조 배터리를 반출 및 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plurality of cradles 60 may be arranged in a line. In this case, the cradle 50 is also allocated to each cradle 60, An auxiliary battery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auxiliary battery may be stacked. For example, the auxiliary storage battery for Android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cradles 60a and 60a, the auxiliary battery for iOS is mounted on the third and the fourth cradle 60b and 60b, And the auxiliary battery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battery can be taken out and ren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전 상태를 보여주는 제1 동작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출기의 보조 배터리 반출 동작 후 상태를 보여주는 제2 동작 상태도이다.8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auxiliary battery unloading operation of the take-ou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of the take- A second operation stat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take-out operation.

본 발명의 반출기(50)는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를 대여구(15) 측으로 하나씩 반출하기 위한 기기로서, 세부적으로 가이드레일(51), 레버(55), 푸싱부재(57), 전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take-out machin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auxiliary batteries stacked on the mount stand one by one to the hire 15 and includes a guide rail 51, a lever 55, a pushing member 57, (Not shown).

가이드레일(51)은 거치대 하단의 수직 하부 영역 상에 배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53)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홀(53)은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게 구성된다. 도 7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장홀(53)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구조로 형성하였다.The guide rails 51 are arranged on the vertical lower region of the bottom of the cradle and have elongated holes 53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Preferably, the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53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of FIG. 7, a pair of long holes 53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레버(55)는 가이드레일(51)의 각 장홀(53) 내에 구비되는 봉형 부재로서, 가이드레일(51)의 장홀(53) 범위(L1) 내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55)는 적어도 일 부위가 장홀(53)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렇게 돌출된 장홀(53) 부위에 푸싱부재(57)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lever 55 is a bar-shaped member provided in each of the elongated holes 53 of the guide rail 51 and is installed so as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range L1 of the elongated hole 53 of the guide rail 51 . The lever 55 is formed so that at least one portion of the lever 55 protrudes above the long hole 53 and the pushing member 57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long hole 53.

레버(55)의 직선 왕복 운동은 전동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전동부는 전동모터 등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동부는 리니어 모터, 액츄에이터 또는 볼스크류 모터와 같이 가이드레일(51) 장홀(53)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적인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ver 55 is controlled by a driving unit (not shown). Such a driving unit can be constituted by a driving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rotational motion of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into a rectilinear motion.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unit may be a drive unit that can generate a linear driv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53 of the guide rail 51, such as a linear motor, an actuator, or a ball screw motor.

푸싱부재(57)는 가이드레일(51)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레버(55)에 결합되어, 레버(55)가 전동부에 의해 전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전진 동작함으로써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한 개를 대여구(15) 측으로 밀어내고, 레버(55)가 후진하면 이에 연동하여 후진 동작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ushing member 57 is engaged with a lever 55 protruded above the guide rail 51 and when the lever 55 is advanced by the driving portion, When the lever 55 is retracted,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retraction of the lever 55.

참고로, 도 7 실시예의 경우, 푸싱부재(57)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부재에 한 쌍의 결합공(59)을 관통 형성하여, 한 쌍의 레버(55)가 상기 한 쌍의 결합공(59)에 각각 삽입 끼움됨으로써 푸싱부재(57)가 레버(55)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7, the pushing member 57 is formed of a plate-like member, and a pair of coupling holes 59 are formed in the plate-like member so that a pair of levers 55 are formed in the pair And the pushing member 57 is coupled to the lever 55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59,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거치대의 수직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반출기(50)의 레버(55)가 전동부의 제어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F1)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푸싱부재(57) 역시 전진 동작(F1)되어 해당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 배터리(이하, '하단 보조 배터리')(200a)를 대여구(15) 측으로 강제로 밀어 거치대로부터 이탈시키고, 거치대로부터 이탈된 하단 보조 배터리(200a)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대여구(15) 측으로 반출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arrangement, when the lever 55 of the take-out machine 50 provided in the vertically lower region of the cradle is advanced forward (F1)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portion, the pushing member 57, The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ttom auxiliary battery') 200a located at the low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stacked on the corresponding cradle is forcibly pushed toward the hire 15 and released from the cradle , The lower stage auxiliary battery 200a which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can fall by its own weight and can be taken out to the side of the hire 15.

상기 하단 보조 배터리(200a)의 반출이 완료되면, 하단 보조 배터리(200a) 상에 연이어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200b)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하단 보조 배터리(200a) 위치(즉,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최하단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lower auxiliary battery 200a is completely unloaded, the auxiliary battery 200b, which is continuously stacked on the lower auxiliary battery 200a, drops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auxiliary battery 200a The lowest level position among the four positions).

하단 보조 배터리(200a)의 이탈이 완료되면, 푸싱부재(57)는 레버(55)의 후진 동작(B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B1)됨으로써, 이후 또 다른 대여 발생시 다음 보조 배터리(200b)에 대한 강제 이송을 전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elease of the lower auxiliary battery 200a is completed, the pushing member 57 is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B1 by the backward movement B1 of the lever 55, so that the next auxiliary battery 200b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forcible conveyance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레버(55)와 푸싱부재(57)의 전후진 동작(F1,B1)의 반복을 통해 하단 보조 배터리(200a) 상에 순차 적층되어 있는 N개의 보조 배터리에 대하여도 각 대여 이벤트 발생시마다 하나씩 외부로 반출 및 대여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N auxiliary batterie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auxiliary battery 200a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F1 and B1 of the lever 55 and the pushing member 57 can be repeated for each rental event And can be carried out and rented out one by on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대여 및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내지 이미지는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구동신호에 의해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provides a character or an image for guiding rental and return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characters or images for guiding rental and return are displayed by a display driv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0)는 초기 안내화면에 '보조배터리 대여', '보조배터리 반납', '보조배터리 문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대여를 희망할 경우 보조배터리 대여란을 선택하여 대여를 위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반납을 희망할 경우 보조배터리 반납란을 선택하여 반납을 위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the 'auxiliary battery return', and the 'auxiliary battery inquiry' on the initial guidance screen. If the user desires to rent the auxiliary battery, If the user wishes to return the auxiliary battery, the user can select the auxiliary battery return box to guide the user to proceed the process for returning the auxiliary battery.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0)는 바람직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며, 대표적인 예로 LCD, LED, OLED, E-Paper, 및 브라운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터치 패널이 함께 탑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display unit 20 is preferably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2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LCD, LED, OLED, E-paper, and a cathode ray tube. Of course it is possible.

본 발명의 입력부(21)는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고자 하는 자(이하, '대출자'라 칭함)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터치 입력 방식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표시 패널과 함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means for inpu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necessary for lending or returning a battery from a person who wants to rent the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nder"),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panel of the display unit 20.

또는, 입력부(21)는 터치 패널 외에 조이스틱 내지 버튼 형태로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키보드, 마우스 형태로 구성하여 필요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put unit 2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orm of a joystick or button in addition to the touch panel, so that the input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the user, or the input unit 21 can be configured as a keyboard or a mouse to input necessary information.

여기서,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소정의 정보란 적어도 휴대단말번호와 인증번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번호란 대여를 시도하는 대출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용 전자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의미하고, 상기 인증번호란 통상의 휴대단말 인증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유번호로서, 즉, 인증을 요구하는 제어부가 인증을 시도하는 대출자의 휴대 단말기로 송출하는 고유번호를 의미한다.Here,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required when lending or returning the battery includes at least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and the authentication number.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refers to a telephone number of a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or a smart pad held by a lender attempting to rent, and the authentication number is a unique number As a number, that is, a unique number sent by a control unit requesting authentication to a lender's portable terminal that tries to authenticate.

입력부(21)를 통해 발생하는 입력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업무를 처리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업무란 예컨대, 보조 배터리의 대여시에는 입력된 휴대단말번호로 인증번호 전송을 위한 처리, 입력된 인증번호의 확인을 위한 처리일 수 있고, 보조 배터리의 반납시에는 반납된 보조 배터리의 식별자(201)와 입력된 휴대단말번호의 부합 여부 판단 등일 수 있다.The inpu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input unit 2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processes the corresponding task according to the received input signal.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rented, the process may be a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inputted portable terminal number or a process for confirming the inputted authentication number. When returning the auxiliary battery, the identifier of the returned auxiliary battery 201) and the inputted portable terminal number.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에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케이블 강제 탈거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0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is connected to a che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ble forced removal operation of a che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검수기(90)는 반납구(11)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300)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장치로서, 세부적으로는 포트를 구비하는 작동체 (95,97), 구동부(99) 및 지그(9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checker 9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able 300 connected to an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turn auxiliary battery') returned through a return port 11 to determine whether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An operation unit 95 and 97 having a port, a drive unit 99, and a jig 91, as shown in FIG.

검수기(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검수기(90)에 접속되는 케이블(30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300)은 보조 배터리를 휴대 단말기과 상호 연결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통상의 연결선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적 신호 내지 전력의 송수신을 위한 전선(307)과, 상기 전선(307)의 양측 종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넥터(301a,301b)와, 상기 한 쌍의 커넥터(301a,301b)를 각각 감싸는 한 쌍의 머리부재(303a,303b)로 구성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aminer 90,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examiner 90 will be described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cab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le 307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or electric power, A pair of connectors 301a and 301b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ctric wire 307 and a pair of head members 303a and 303b which surround the pair of connectors 301a and 301b.

여기서, 커넥터(301a,301b)는 USB 커넥터일 수 있으며, 특히 머리부재 (303a,303b)는 커넥터(301a,301b)의 외면 중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커넥터(301a,301b)는 머리부재(303a,303b)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Here, the connectors 301a and 301b may be USB connectors, and in particular, the head members 303a and 303b are configured to enclos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s 301a and 301b, (303a, 303b) in one direction.

이에 따라, 머리부재(303a,303b)는 커넥터(301a,301b)에 대해 단차진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머리부재(303a,303b)에는 커넥터(301a,301b)에 대해 단차진 수직면(이하, '단차면'이라 칭함)(305a,305b)이 구비되게 된다.The head members 303a and 303b form a step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s 301a and 301b so that the head members 303a and 303b are provided with a stepped vertical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surface ") 305a and 305b.

검수기(90)의 작동체는 본체(10) 내부 중 반납구(11)를 대향하는 위치(즉, 반납구(11) 후방 영역)에 설치되고, 세부적으로는 포트(95) 및 이동패널(97)을 포함한다.The operating body of the checker 90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return port 11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rear area of the return port 11), and more specifically the port 95 and the moving panel 97 ).

작동체의 포트(95)는 전술한 케이블(300)의 일측 커넥터(301a)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 되는 단자이고, 이동패널(97)은 포트(95)가 실장되어 포트(95)와 함께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is a terminal to which the on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is connec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moving panel 97 is mounted on the port 95,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트(95)는 이동패널(97)의 전단부 일면 상에 실장되고, 이러한 이동패널(97)은 포트(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패널(97)은 직선 방향으로 후진(D1) 및 전진(D2) 동작하는 직선 왕복 운동(이하, '제1 직선 왕복 운동'이라 칭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rt 95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moving panel 97, and this moving panel 97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 95. The moving panel 97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which the reciprocating movement D1 and the reciprocating movement D2 are performed in the linear direction.

작동체의 제1 직선 왕복 운동(D1,D2)은 구동부(99)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구동부(99)는 전동모터 등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99)는 리니어 모터, 액츄에이터 또는 볼스크류 모터와 같이 반납구(1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인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s D1 and D2 of the actuating member are controlled by a drive unit 99. The drive unit 99 may be a drive unit that can change the rotational motion of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into a linear motion.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99 can be configured as a driving device that can generate a linear driv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port 11, such as a linear motor, an actuator, or a ball screw motor.

검수기(90)의 지그(91)는 스토퍼(93)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은 본체(10) 내부 중 반납구(11)를 대향하는 영역(즉, 반납구(11) 후방 영역)에 설치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반납구(11)로부터 본체(10) 내부를 밀폐하는 격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93)를 통해 작동체의 포트(95)에 연결된 케이블(300)을 강제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The jig 91 of the examiner 90 comprises a stopper 93 and a frame. First, the frame is provided in the area facing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main body 10 (i.e., the rear area of the discharge port 11) to seal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discharge port 11, And a function of forcibly separating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through the stopper 93 provided at one side.

지그(91)의 스토퍼(93)는 작동체의 포트(95) 전방에 위치하여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의 일측 커넥터(301a)를 상기 포트(95)에 접속시 상기 일측 커넥터(301a)를 감싸고 있는 일측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305a)과 대향하도록 구성된다.The stopper 93 of the jig 9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so that when on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is connected to the port 95, And the stepped surface 305a of the one-side head member 303a surrounding the first stepped surface 301a.

환언하면, 보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의 일측 커넥터(301a)를 작동체의 포트(95)에 꽂게되면, 상기 일측 커넥터(301a)의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 (305a)은 스토퍼(93)의 외면과 마주하거나 밀착되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when on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port 95 of the actuating body, the stepped surface 305a of the head member 303a of the one connector 301a 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9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93)는 포트(95) 전방에 위치하되 중심부에는 포트(95)에 대응하는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를 인입하여 포트(95)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삽입구 주연을 따라 케이블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305a)과 대향하는 저지면이 형성되어, 작동체의 제1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한 후진 동작시 머리부재(303a)가 저지면에 밀착됨으로써 포트(95)와 함께 후진하는 동작이 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stopper 93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ort 95,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port 95. Th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And a bottom surface opposed to the stepped surface 305a of the cable head member 303a is formed along the insertion port periphery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head member 303a can be connected to the port 95. In the backward movement by the first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perating member, So that the operation of moving backward together with the port 95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대출자가 보조 배터리를 반납시, 보조 배터리는 반납구(11)를 통해 후술할 가이드 도어(67) 상에 올려놓고, 상기 반납할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은 작동체의 포트(95)에 접속시키게 되면, 제어부와의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arrangement, when the lender returns the auxiliary battery, the auxiliary battery is placed on the guide door 6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return port 11, and the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When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is connected to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turned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with the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판별이 완료되면, 지그(91)는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체가 구동부(99)의 제어에 의해 단독으로 후진 동작(D1)(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함)하게 된다.When the failure determination of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is completed, the jig 91 is fixed, and the actuating member is independently operated in the reverse operation D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etraction operation' Respectively.

이처럼 작동체가 단독으로 제1 후퇴 동작(D1)을 하게 되면, 작동체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은 그 머리부재(303a)의 단차면(305a)이 지그(91)의 스토퍼 (93)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된다.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actuating member can b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epped surface 305a of the head member 303a contacts the stopper 93 of the jig 91 So that th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is forcibly removed from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그리고, 이와 같은 커넥터(301a) 강제 탈거 동작이 완료되면, 작동체는 구동부(99)의 제어를 통해 전진 동작(D2)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forcible removal operation of the connector 301a is completed, the actuating member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by a forward operation (D2)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99. [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수기의 확장 실시예로서, 검수기와 가이드 도어가 본체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 단면도이다. 도 11의 확장 실시예는 검수기(90)를 구성하는 작동체와 지그(91)가 복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1 is an enlarged embodiment of a che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installa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checker and a guide do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body and the jig 91 constituting the checker 90 ar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도 11의 확장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체는 제1 포트(95a), 상기 제1 포트(95a)가 실장되는 제1 이동패널(97a), 제2 포트(95b), 상기 제2 포트(95b)가 실장되는 제2 이동패널(97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포트(95a)(또는 제2 포트(95b))는 제1 이동패널(97a)(또는 제2 이동패널(97b))의 전단부 일면 상에 실장되고, 이러한 제1 이동패널(97a)(또는 제2 이동패널(97b))은 제1 포트(95a)(또는 제2 포트(95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nlarged embodiment of FIG. 11, the actu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port 95a, a first moving panel 97a on which the first port 95a is mounted, a second port 95b, a second port 95b And a second moving panel 97b on which the second moving panel 97b is mounted. Here, the first port 95a (or the second port 95b)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moving panel 97a (or the second moving panel 97b) 97a) (or the second moving panel 97b)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rt 95a (or the second port 95b).

그리고,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은 수직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이 상호 대향하며 이격 적층된 복층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panel 97a and the second moving panel 97b are arrang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moving panel 97a and the second moving panel 97b face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multi-layered structure.

그리고,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은 하나의 작동봉(94)에 일체로 연결되고, 이러한 작동봉(94)은 구동부(99)의 제어에 의해 전술한 제1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panel 97a and the second moving panel 97b are integrally connected to one operating rod 94. The operating rod 94 is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anel 97a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99, Thereby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이에 따라, 구동부(99)의 제어를 통해 작동봉(94)을 후진 및 전진 이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제1 이동패널(97a)과 제2 이동패널(97b)은 함께 제1 후퇴 동작(D1) 및 전진 동작(D2)이 발생되어 전술한 커넥터(301a) 강제 탈거 동작 및 원위치 복귀 동작이 함께 구현된다.The first moving panel 97a and the second moving panel 97b are moved together by the first retracting operation D1 in conjunction with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operating rod 94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99, And the advancing operation D2 are generated, and the above-described forced removal and operation of the connector 301a are also realized.

또 다른 확장 실시예로서, 하나의 이동패널(97) 상에 복수 개의 포트(95)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경우 복수 개의 포트(95)는 이동패널(97)의 가로 방향을 따라 상호 일렬로 이격 배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우 복수 개의 포트(95) 각각에 대하여 스토퍼(93)가 구비되게 된다.A plurality of ports 95 may be formed on one moving panel 97 and the plurality of ports 95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oving panel 97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rrange them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topper 93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s 95.

본 발명의 또 다른 확장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91)와 작동체(95,97)는 함께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와 같이 지그(91)와 작동체가 1차적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한 후, 2차적으로 작동체가 단독으로 후진 동작하여 전술한 커넥터(301a) 강제 탈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ig 91 and the actuators 95 and 97 are configur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together, and thus the jig 91 and the actuators perform the reciprocating motion primarily The connector 301a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orced removal operation of the connector 301a.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91)와 작동체(95,97)는 구동부에 의해 상호 일체로 직선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하, '제2 직선 왕복 운동'이라 칭함)(D3)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지그(91)와 작동체(95,97)는 하나의 이동체 상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는 구동부에 의해 제어되어 전진 및 후진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함께 일체로 제2 직선 왕복 운동(D3)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체는 지그(91)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jig 91 and the actuators 95 and 97 are constructed so that they can reciprocate linear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D3 integrally with each other by a driving part . For example, the jig 91 and the actuators 95 and 97 are connected to one moving body, and the moving body is controlled to be advanced and retracted by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jig 91 and the actuators 95, 97 can be integrally formed as a second linear reciprocating motion (D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ving body may be constituted by a frame of the jig 91, or may be constituted by a separate mechanism provided so as to be reciprocatab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입력부(21)를 통해 보조 배터리 반납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체가 전진 동작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지그(91)와 작동체(95,97) 역시 제2 직선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이 발생되어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함께 반납구(11) 측으로 가까워지는 접근 동작을 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battery return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1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body is advanced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and the jig 91 and the actuators 95 and 97 are also move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wo-line reciprocating mo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jig 91 and the actuating members 95 and 97 come close to the return port 11 side.

그리고, 보조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에 접속되면, 전동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체가 후진 동작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지그(91)와 작동체(95,97) 역시 제2 직선 왕복 운동(D3)의 후진 동작이 발생되어 지그(91)와 작동체(95,97)가 함께 반납구(11)로부터 멀어지는 후퇴 동작(이하, '제2 후퇴 동작'이라 칭함)을 하게 된다.When th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is connected to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the moving body is operated to move backward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section, and the jig 91 The actuating members 95 and 97 are also moved backward by the second linear reciprocating motion D3 so that the jig 91 and the actuating members 95 and 97 are retracted together with the return port 11 2 retraction operation ").

그리고, 지그(91)와 작동체(95,97)의 제2 후퇴 동작이 완료되면, 지그(91)는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체(95,97)만 단독으로 전술한 제1 후퇴 동작(D1)을 행함으로써, 보조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300)의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second retracting operation of the jig 91 and the actuating bodies 95 and 97 is completed, only the actuating bodies 95 and 97 are moved to the first retracting operation D1 So that the connector 301a of the cable 300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is forcibly removed from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상기 커넥터(301a) 강제 탈거가 완료되면, 작동체(95,97)는 구동부(99)의 제어를 통한 제1 직선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D2)을 행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forcible removal of the connector 301a is completed, the actuators 95 and 97 perform the forward movement D2 of the first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99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검수기(90) 및 이와 연결되는 제어부에 의한 반납 보조 배터리 불량 여부 판별 시점은, 전술한 제2 후퇴 동작 전, 제2 후퇴 동작 중, 및 제2 후퇴 동작 후 시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시점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when the checker 90 and th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0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returned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second retracting operation, the second retracting operation, Lt; / RTI >

또한, 제1 직선 왕복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와 제2 직선 왕복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는 하나의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하나의 구동장치가 제1 및 제2 직선 왕복 운동을 모두 제어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구동장치로 구성하여 각 구동장치가 별개로 제1 및 제2 직선 왕복 운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re constituted by one driving unit so that the one driving unit controls both the first and second linear reciprocating motions Or two physically separated drive units so that each drive unit independently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s.

본 발명의 수거함(70)은 불량 여부의 판별이 완료된 반납 보조 배처리가 수거 및 보관되는 박스형 함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정상 배터리가 수거 보관되는 제1 수거함(70a)과, 불량 배터리가 수거 보관되는 제2 수거함(70b)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The collection box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shaped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returned auxiliary bust process for which the discrimination of defective or not is completed, preferably a first collection box 70a for storing and storing a normal battery, And the second collection box 70b.

본 발명의 가이드 도어(67)는 검수기(90)의 수직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반납구(11)를 통해 반입되는 반납 보조 배터리가 안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문에 해당한다.The guide door 67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is disposed in a vertical lower region of the examiner 90 and is rotatably installed with a return auxiliary battery carried through the return opening 11. [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도어(67)는 힌지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체(95,97)의 제1 후퇴 동작(D1)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즉시 또는 수초 후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힌지 회전하여 가이드 도어(67)에 안착된 반납 보조 배터리가 자중에 의해 수거함(70) 측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guide door 67 is rotatably installed by a hinge method, and when an event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 occurs on condition that the first retraction operation D1 of the actuators 95 and 97 is satisfied And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placed on the guide door 67 is dropped to the side of the collection box 70 due to its own weight.

즉, 반납 보조 배터리에 대한 불량 여부 판별 완료 후 제1 후퇴 동작(D1)에 의해 커넥터(301a)가 작동체의 포트(95)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가이드 도어(67)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도어(67) 상에 안착되어 있던 반납 보조 배터리는 이에 연결된 케이블(300)과 함께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도어(67)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수거함(70) 측으로 낙하 반송된다.That is, when the connector 301a is completely disconnected from the port 95 of the operating body by the first retracting operation D1 after the completion of discrimination of the failure of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the guide door 67 is opened,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which is seated on the main body 67 is sli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door 67 by its own weight together with the cable 300 connected thereto and dropped and transported toward the collection box 70 sid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류기와 수거함을 도시한 상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류기(80)는 수거함(70)과 가이드 도어(67)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 배터리 불량 여부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반납 보조 배터리가 제1 수거함(70a) 방향 또는 상기 제2 수거함(70b) 방향 중 선택적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안내하는 기구이다.12 is an upper side view showing a classifier and a colle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rt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on box 70 and the guide door 67 so that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can be moved toward the first collection box 70a or the second collection box 70b ) Direction in a selective dire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류기(80)는 인계반(81), 암(83) 및 구동모터(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류기(80)의 인계반(81)은 개방된 가이드 도어(67)로부터 낙하하는 반납 보조 배터리를 수거함(70) 측으로 인계하는 판형 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반납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이 자중에 의해 가이드 도어 (67)의 경사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계반(81)으로 반송된 후, 다시 인계반(81)의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어 제1 수거함(70a) 또는 제2 수거함 (70b)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orter 80 comprises a phosphorus pan 81, an arm 83, and a drive motor 85. The take-up unit 81 of the classifier 80 is a plate-shaped base material that takes over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dropped from the opened guide door 67 to the side of the collection box 70.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and the cable 300 preferably And is then sli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door 67 to be transported to the pallet base 81 and then sli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allet base 81 so as to be transported to the first collection box 70a or the second collection box 70b As shown in Fig.

분류기(80)의 암(83)은 구동모터(85)와 연결된 축(K1)을 중심으로 인계반(81)의 일면 상에서 시계/반시계 방향(K2)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도어(67)로부터 인계반(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이 어느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할지 그 반송 방향을 결정해주는 구성이다. The arm 83 of the classifier 80 is axially rotatable in the clockwis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K2 on one side of the take-up reel 81 about the axis K1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85,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dropped and carried from the take-up reel unit 67 to the take-up reel 81 and the cable 300 is to be slid will be determined.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암(83)은 인계반(83)의 일면 즉, 보조 배터리 슬라이딩 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수직판(83a)과, 상기 수직판(83a)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터(85)와 연결되고 인계반(83)의 일면 즉, 보조 배터리 슬라이딩 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수평판(83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직판 (83a)과 수평판(83b)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arm 83 includes a vertical plate 83a vertic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hosphorus plate 83, i.e., the auxiliary battery sliding surface, And a horizontal plate 83b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85 and horizont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ake-up unit 83, 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sliding surface, The horizontal plate 83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 Shape as a whole.

환언하면, 검수기(90)를 통한 불량 여부 판별 결과 해당 반납 보조 배터리가 정상으로 판별되면, 암(83)은 도 12와 같은 회전 상태를 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계반(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는 암(83)에 의해 안내되는 제1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여 종국에는 제1 수거함(70a)으로 반송 및 수거된다.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urnable auxiliary battery is normal due to the defectiveness determination through the comparator 90, the arm 83 is rotated as shown in FIG. 12,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slides along the first path guided by the arm 83 and is eventually returned to and collected by the first collection box 70a.

반대로, 해당 반납 보조 배터리가 불량으로 판별되면, 암(83)은 구동모터 (85)의 제어를 통해 도 12의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계반 (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는 암(83)에 의해 안내되는 제2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여 종국에는 제2 수거함(70b)으로 반송 및 수거된다.On the contrary, if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is judged to be defective, the arm 83 rotates in one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 motor 85 in the state of Fig. 12, The auxiliary battery slides along the second path guided by the arm 83 and is eventually transported and collected to the second collection box 70b.

즉, 암(83)은 가이드 도어(67)로부터 인계반(81)으로 낙하 반송된 반납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이 반송되는 경로를 선택 및 결정하는 기능을 하고, 이는 암(83)의 축회전 동작에 의해 구현되며, 이러한 암(83)의 축회전 동작은 구동모터 (85)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구동모터(85)의 구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at is, the arm 83 functions to select and determine a path through which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dropped and carried from the guide door 67 to the take-off stage 81 and the cable 300 is conveyed, And the shaft rotation operation of the arm 83 can be controlled by the drive motor 85 and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85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리더기(65)는 보조 배터리에 부착된 식별자(201)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이다. 먼저 식별자(201)에 대하여 설명한 후 리더기(6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reader 6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ns for reading the identifier 201 attached to the auxiliary battery. First, the reader 201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identifier 201, and then the reader 6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식별자(201)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리더기(65)를 통해 해당 식별자(201)에 기록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identifier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related information is recorded and the auxiliary battery relat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dentifier 201 through the reader 65 can be read.

구체적으로, 식별자(201)에 기록되는 보조 배터리 관련 정보는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는 각 보조 배터리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어 각 보조 배터리를 상호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각 배터리에 고유하게 부여된 시리얼 넘버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battery-relat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dentifier 201 includes auxiliary batte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uxiliary batte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uniquely assigned to each auxiliary battery so as to allow mutual identification of the auxiliary batteries, and may be configured with a serial number uniquely assigned to each battery.

이와 같은 식별자(201)는 바람직하게는 바코드 내지 QR 코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이 상에 인쇄되어 보조 배터리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identifier 201 may be a bar code or a QR code, and may be printed on paper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100)는 중앙서버 및 물류관리함과 연계되어, 전술한 보조 배터리의 실질적인 대여, 반납 및 재분배 등의 대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불어 이러한 대여 관련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물류 관리가 이루어지는 장치에 해당한다.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entral server and a logistics management box to provide rental related services such as actual rental, return and redistribu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described above, It corresponds to a device that manages.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100)는 각 지역(예컨대, 지하철의 각 역사)에 구비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와 접속된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100)는 식별자(201)를 판독하는 리더기(65)가 탑재되어 있어, 해당 대여기에서 보조 배터리 대여 발생시 상기 리더기(65)를 통해 대여가 발생된 배터리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자(201)를 리딩한다.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is provided in each area (for example, each history of the subway) and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includes a reader 65 for reading the identifier 201 and is attached to the battery through the reader 65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rented The identifier 201 is read.

본 발명의 리더기(65)는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어 있는 식별자(201)를 리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조 배터리 대여 발생시 상기 리더기(65)를 통해 대여가 발생된 배터리의 식별자(201)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에 의해 획득되는 식별자(201) 리딩정보는 제어부의 처리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되고, 더불어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The reader 6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s an apparatus for reading the identifier 201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and identifies the battery 201 having the rental through the reader 65 ), And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1 obtained by the reading is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ler, a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이러한 리더기(65)는 호퍼(6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퍼(61)는 대여구(15)(구체적으로는 대여함(19))와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로부터 이탈된 보조 배터리가 대여함(19)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The reader 65 may be installed on the hopper 61. The hopper 6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rental unit 15 (specifically, the rental unit 19) and the cradle so as to guide the auxiliary battery detached from the cradle to be transferred to the rental unit 19 to b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61)는 거치대 측으로부터 대여함(19) 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호퍼(61)로 이동된 보조 배터리가 호퍼(61)의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대여함(19)으로 낙하 반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uxiliary battery moved to the hopper 61 is sli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pper 61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is slid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pper 61. In this case, And can be dropped and transported to the rental box 19.

상기 경우, 리더기(65)는 호퍼(61)의 경사면 상에 노출되게 구성되어, 보조 배터리가 호퍼(61)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리더기(65) 상을 경유하여 보조 배터리에 부착된 식별자(201)가 리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reader 65 is configured to be ex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pper 61. In the process of sliding the auxiliary battery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pper 61, an identifier attached to the auxiliary battery via the reader 65 (201) can be read.

본 발명의 통신모듈(미도시)은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제어부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반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a central server at a remote loc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ler transmit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rental and return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centr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여기서, 대여 및 반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란, 대표적으로 대여시 획득되는 식별자(201) 리딩정보 및 상기 대여시 식별자(201) 리딩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휴대단말번호, 그리고 반납시 획득되는 식별자(201) 리딩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 외에 후술할 파손검사장치에 의한 파손검출시 이에 해당하는 정보, 보조 배터리 충전 모니터링 및 기능 테스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lending and returning process typically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number matched with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1 acquired at the time of rental,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1 at the time of rental, and an identifier 201 ), And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mage detection by the damage inspection apparatus to be described later, auxiliary battery charge monitoring, and functional test information.

이러한 통신모듈은 예컨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랜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과 연결되는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을 비롯하여, 제3세대 이동통신(3G)망, 제4세대 이동통신(4G)망, 와이브로 (WiBro)망, 와이파이(Wifi)망과 같이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third-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network, a fourth-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G) network, a WiBro WiBro network, and WiFi network, which ar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d or wirelessly.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는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processing for rental and manage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이 전술한 입력부(21)를 통해 진행된 후 최종적으로 인증 성공시, 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배터리의 대여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여가 발생된 보조 배터리(이하, '제1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구비된 식별자(201)의 리딩정보를 상기 중앙서버(2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lender proceeds through the input unit 21 and the authentication is finally successful, the control unit causes the auxiliary battery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be rented , And transmits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1 provided in the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uxiliary battery') to the central server 230.

이때.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의 식별자(201) 리딩정보의 전송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대여한 대출자가 입력부(21)를 통해 입력한 휴대단말번호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발생한 보조 배터리 대여장치의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inputted by the lender loaned the first auxiliary battery through the input unit 21 and the auxiliary terminal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battery is rented when transmitting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1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And may also be configured t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rental device.

상기 경우에 의하면, 제1 보조 배터리는 식별자(201)를 매개로 특정 휴대단말번호 (즉, 대출자 휴대단말번호)와 매칭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앙서버는 현재 대여 중인 배터리의 종류(즉, 제1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소유하고 있는 대출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대여기에서 대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ay be matched with a specific portable terminal number (that is, the lender portable terminal number) via the identifier 201, 1 auxiliary battery), the borrower information possessing the first auxiliary battery, and also can know the location where the rental event occurred.

여기서, 상기 '대여기 식별정보'란 다양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각 보조 배터리 자동 대여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바람직하게는 각 보조 배터리 대여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시리얼 넘버 및(또는) 지하철 역사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ok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auxiliary battery automatic lender installed in various areas, and preferably includes a serial number uniquely assigned to each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and / And the like.

그리고,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될 시, 상기 재투입된 제1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201)의 리딩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ad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1 provided in the re-inserted first auxiliary battery to the central server when the first auxiliary battery is re-inserted by return or collection.

이때. 제어부는 제1 보조 배터리의 식별자(201) 리딩정보의 전송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반납한 대출자가 입력부(21)를 통해 입력한 휴대단말번호와 대여기 식별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inputted by the lender who returned the first auxiliary battery through the input unit 21 and the substitu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identifier 201 information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have.

상기 경우에 의하면, 중앙서버는 대여 후 반납 완료된 배터리의 종류(즉, 제1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1 보조 배터리를 정상 반납한 대출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대여기에 제1 보조 배터리가 반납되어 있는지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ase, the central server can grasp the type of the battery that has been returned after rental (i.e., the first auxiliary battery) and the lender information that normally returns the first auxiliary battery, It is possible to trace whether the first auxiliary battery is returned to the first auxiliary battery.

참고로, 보조 배터리의 대여시, 입력부(21)를 통해 진행되는 대출자의 휴대단말 인증이란, 대출자가 입력부(21)를 통해 본인 소지의 휴대단말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해당번호로 휴대폰 SMS 인증번호를 송출하고, 연이어 대출자는 본인 소지의 휴대단말로 전송된 SMS 인증번호를 입력부(21)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상기 송출 인증번호와 입력 인증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For reference, the lender's portable terminal authentication, which is performed through the input unit 21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rented, means that when the lender inputs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1, And then the borrower inputs a SMS authentication number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his own through the input unit 21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authentication number matches the input authentication number .

이와 같은 휴대단말 인증이 완료되면, 대출자 휴대단말의 기종을 묻는 안내화면이 출력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대출자 휴대단말의 종류에 맞는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대출자는 iOS 또는 안드로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leted, a guidance screen asking about the model of the lenders portable terminal can be output, in order to provide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able 300 that match the type of the lender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lender is configured to select any one platform selected from iOS or Android.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대여가 완료되면, 대여구(15)를 통해 제공된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300)의 수취를 안내하고, 대여 과정의 최종 종료를 안내하는 대여완료 안내화면이 표시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rental of the auxiliary battery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rental completion guide screen for guiding recep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able 300 provided through the rental unit 15 and informing the final end of the rental process is displayed .

한편,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제1 보조 배터리의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더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보조 배터리의 반납 이벤트(즉, 안내화면에서 '보조배터리 반납' 선택) 발생시, 반납될 보조 배터리 대출자의 휴대단말번호 또는 보조 배터리 대여시 전술한 휴대단말 인증 과정에서 제공받은 휴대단말 인증번호를 입력부(21)를 통해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해 입력된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 대출자의 휴대단말번호 또는 대여시 인증번호가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에 구비된 식별자(201)의 리딩정보와 부합할 경우, 반납 완료된 보조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반납된 것으로 처리하게 된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display characters or images for guiding the return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When the return event of the auxiliary battery (i.e., selection of 'return auxiliary battery' in the guidance screen)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of the auxiliary battery lender to be returned or the portable terminal lender The portable terminal number of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lender inputted by the request or the authentication number when rental is matched with the reading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1 provided in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 It is determined that the returned auxiliary battery is normally returned.

보조 배터리 반납시, 대여시의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경우, 그리고 반납을 희망하는 대출자가 상기 대여시 인증번호가 기재된 문자를 삭제하거나 잊어버렸을 경우, 보조 배터리 대출시과 같은 휴대단말 인증과정을 통해 새로운 인증번호를 발급받아 반납 과정을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configuring to input the authentication number at the time of returning the auxiliary battery, and when the lender who wants to return deletes or forgets the character with the authentication number at the time of rental, the portable terminal authentication process A new authorization number may be issued to configure the return process.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반납자 인증이 완료되면, 보조 배터리와 케이블의 투입 장소를 안내하는 화면과, 반납의 최종 완료를 안내하는 화면이 표시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acceptor authentica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screen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able and a screen for guiding the final completion of the return may be provided.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및 이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충전기(35)는 대여 발생 후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100)에 반납되거나 또는 회수에 의해 재투입된 보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재대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xiliary battery mounted thereon. The charger 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t can be returned to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after renting or can be used for re-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re-charged by collection, and is composed of a wired or wireless charging module .

충전기(35)는 일면 상에 케이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보조 배터리는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충전기(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재충전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기(35)는 보조 배터리의 하부 영역이 충전기(35)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요홈 구조의 장착홈(37)이 형성되고, 연결단자는 상기 장착홈 (37)의 내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37)은 복수 개로 형성하여 여러 개의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harger 35 is provided with a cable connection terminal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auxiliary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er 35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to be recharg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35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37 having a groove structure so that the lower area of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inserted into the charger 35, And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37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charge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t the same time.

한편, 이러한 충전기(35)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본체(10) 하부 영역의 수납 공간에 설치되되, 이동레일(45)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45)의 왕복 운동에 의해 수납 공간으로부터 손쉽게 반출 및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4 and 5, the charger 35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are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oving rail 45, So that it can be easily taken out and carried from the storage space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able rail 45.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조 배 터리 대여 장치(100)는 강제 반납함과 무료 충전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auxiliary battery rental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ced return box and a free charging section 30. [

본 발명의 강제 반납구(13)는 전술한 검수기(90)가 고장났을 경우, 상기 검수기(90)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반납구(11)를 대체하여 보조 배터리를 대신 반납받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구성이다.The forced withdrawal por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withdrawal port 11 provided at the position opposed to the checker 90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auxiliary battery instead of the return port 11 when the checker 90 described above is broken .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제 반납구(13)는 본체(10) 전면의 또 다른 위치 예컨대, 반납구(11)에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강제 반납구(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문은 중앙서버에 의해 그 개폐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강제 반납구(13)는 이를 통해 반입되는 보조 배터리를 수거 보관하기 위한 강제 수거함이 연계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rced withdrawal port 13 can be formed at another posi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ithdrawal port 11,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controlled by the central serv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reof is controlled. The forced withdrawal port 13 is connected to a forced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carried auxiliary battery.

따라서, 검수기(90)가 고장나게 되면, 중앙서버는 강제 반납구(13)의 개폐문을 개방시켜, 검수기(90) 측 반납구(11) 대신 강제 반납구(13)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when the examiner 90 fails, the central server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forced return port 13 to return the auxiliary battery through the forced return port 13 instead of the return port 11 on the examiner 90 side .

본 발명의 무료 충전부(30)는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휴대 단말기를 무료로 충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무료 충전부(30)는 미성년자 소지의 휴대 단말기를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전력공급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케이블이 인출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시 이를 무료 충전부(30) 내 공간에 거치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거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free charging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provided to charge a mobile terminal free of charge for a minor. The free charging unit 3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ree charging unit 30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harged. An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that functions to mount the mounting portion.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반납구
15: 대여구 19: 대여함
20: 디스플레이부 21: 입력부
30: 무료 충전부 35: 충전기
40: 광고 표시장치 45: 이동레일
50: 반출기 51: 가이드레일
53: 장홀 55: 레버
57: 푸싱부재 60: 거치대
61: 호퍼 65: 리더기
67: 가이드 도어 70: 수거함
80: 분류기 81: 인계반
83: 암 85: 구동모터
90: 검수기 91: 지그
93: 스토퍼 94: 작동봉
95: 포트 97: 이동패널
99: 구동부 100: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200: 보조 배터리 201: 식별자
203: 광고 표시부 300: 케이블
301a,301b: 커넥터 303a,303b: 머리부재
305a,305b: 단차면
10: Main body 11: Return port
15: Rental Section 19: Rental
20: display unit 21: input unit
30: free charger 35: charger
40: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45: moving rail
50: take-out machine 51: guide rail
53: Long hole 55: Lever
57: pushing member 60: cradle
61: hopper 65: reader
67: Guide door 70: Collection box
80: classifier 81:
83: arm 85: drive motor
90: checker 91: jig
93: Stopper 94: Working rod
95: Port 97: Move panel
99: driving unit 100: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200: auxiliary battery 201: identifier
203: Advertisement display unit 300: Cable
301a, 301b: connectors 303a, 303b: head member
305a, 305b:

Claims (13)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를 대여하는 장치로서,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구와 반납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가 적층 보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기; 상기 보조 배터리 대여 또는 반납을 안내하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또는 반납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대여 및 관리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납되는 보조 배터리(이하, '반납 보조 배터리'라 칭함)에 연결된 케이블과 접속되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검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수기는,
상가 반납구에 대향하는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포트를 포함하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포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포트에 접속시 상기 커넥터를 감싸고 있는 머리부재의 단차면과 대향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지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접속시 전기적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판별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이하, '제1 후퇴 동작'이라 칭함)을 하여 상기 머리부재의 단차면이 상기 스토퍼에 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가 상기 작동체의 포트로부터 강제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An apparatus for rent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portable terminal,
A main body having a rental port and a return port of the auxiliary battery, respectively; A cradle in which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are stacked; A take-out unit for taking out the auxiliary battery stacked on the cradle to the rental apparatu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or an image for guiding the rental or return of the auxiliary batter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renting or returning the auxiliary battery;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process for renting and managing the auxiliary battery; And a checker connected to a cable connected to an auxili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turn auxiliary battery') returned through the return port to determine whether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or not,
The checker
An operating body disposed inside the casing oppositely to the arcade returning port and including a port to which the connector of the cable is connected, the first operating body being reciprocably movable;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reciprocating motion of the actuating member; And a stopper opposed to the stepped surface of the head member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port and surrounds the connector whe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ort,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turned auxiliary battery is defective by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cable is connected, and when the determination is completed, only the operating body performs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reciprocating mo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etracting operation "), and the stepped surface of the head member is blocked by the stopper so that the connector of the cable is forcibly removed from the port of the operating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와 상기 작동체는,
상호 일체로 제2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보조 배터리 반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에 의해 함께 상기 반납구 측으로 가까워지는 접근 동작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포트에 접속되면, 상기 제2 왕복 운동의 후진 동작에 의해 함께 상기 반납구로부터 멀어지는 후퇴 동작(이하, '제2 후퇴 동작'이라 칭함)하며,
상기 제2 후퇴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만 단독으로 상기 제1 후퇴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ig and the operative member
Wherein when the auxiliary battery retur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 approach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which the second reciprocating motion is advanced toward the return port side by the advancing operation of the second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port, a retracting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retracting operation") away from the return port together with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reciprocating motion,
Wherein when the second retraction operation is completed, only the operating body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irst retreat operation al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포트를 지지하는 이동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트는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제1 포트가 연결되는 제1 이동패널 및 상기 제2 포트가 연결되는 제2 이동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상기 제2 이동패널은 상호 대향하며 이격 배치된 복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검수기는,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상기 제2 이동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작동봉의 제1 왕복 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이동패널과 상기 제2 이동패널은,
상기 작동봉의 제1 왕복 운동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The mobile panel further includes a first movable panel to which the first port is connected and a second movable panel to which the second port is connected, 2 moving panel, wherein the first moving panel and the second moving panel ar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hecker
Further comprising a working rod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panel and the second moving panel and installed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the first directio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orking rod,
Wherein the first moving panel and the second moving panel comprise:
And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a first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orking ro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은 상기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bile panel comprises a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강제 탈거가 완료되면, 상기 작동체는 상기 구동부의 제어를 통한 상기 제1 왕복 운동의 전진 동작이 발생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forcible removal of the connector is completed, the operating body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reciprocating motion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의 불량 여부 판별 시점은, 상기 제2 후퇴 동작 전, 제2 후퇴 동작 중, 및 상기 제2 후퇴 동작 후 시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riminating time point of the failure of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is at least one of before the second retraction operation, during the second retraction operation, and after the second retraction oper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왕복 운동 및 상기 제2 왕복 운동은 직선 왕복 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second reciprocating motion are linear reciprocating mot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기는,
상기 거치대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장홀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상기 직선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전동부;
상기 레버 상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상기 직선 왕복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진 및 후진 동작하는 푸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싱부재는,
상기 전진 동작에 의해 상기 거치대에 적층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중 한 개를 밀어내어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후진 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ke-
A guide rail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cradle and having at least one elongated hole form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lever installed in the elongated hole so as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linearly;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ever;
And a pushing member coupled to the lever and oper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guide rail in association with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ever,
Wherein the pushing member comprises:
Wherein one of the auxiliary batteries stacked on the cradle is pushed out by the advancing operation and separated from the cradle, and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by the backward movemen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적어도 일 부위가 상기 장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푸싱부재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판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상기 장홀 상부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ever is formed so that at least one portion protrudes above the long hole,
Wherein the pushing member includes a plate-like member having an engaging hole formed therethrough,
And a portion of the lever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elongated hol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기의 수직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반납구를 통해 반입되는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가 안착되고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도어; 및 상기 불량 여부의 판별이 완료된 반납 보조 배처리가 수거 보관되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도어는,
상기 작동체의 상기 제1 후퇴 동작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힌지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도어 상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와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이 자중에 의해 상기 수거함 측으로 함께 낙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door disposed in a vertically lower region of the checker, the guide door being seated on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to be loaded through the return port and hingably installed; And a collecting box for collecting and storing returning auxiliary boats which have been judged to be defective,
The guide door includes:
When the event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is generated, the battery is hingedly inclined downward and connected to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and the return auxiliary battery which are seated on the guide door under the condition of the first retrac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And the cable is dropped by self weight to the collection box sid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정상 배터리가 수거 보관되는 제1 수거함과, 불량 배터리가 수거 보관되는 제2 수거함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거함과 상기 가이드 도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불량 여부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가 상기 제1 수거함 방향 또는 상기 제2 수거함 방향 중 선택적 방향으로 반송되도록 안내하는 분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는,
상기 가이드 도어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를 상기 수거함으로 인계하는 인계반; 상기 인계반 상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계반 상에서 상기 반납 보조 배터리가 반송되는 경로를 선택하는 암; 및 상기 암의 상기 축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llection box is divided into a first collection box for storing and storing a normal battery and a second collection box for storing and storing a defective battery,
Further comprising a classifier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on box and the guide door for guiding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to be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collection box or the second collection box in the selectiv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ailure,
Wherein the classifier comprises:
A transferr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returning auxiliary battery dropped from the guide door to the collection box; An arm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ake-up spind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select a path through which the returnable auxiliary battery is carried on the take-in half; And a drive motor for controlling the shaft rotation of the arm.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인계반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인계반의 상면에 대해 수평하게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rm is a vertical plate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an upper surface of the phosphorus half and rotated axially; And a horizontal plate which is form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which is horizontally rotated about the upper surface of the take-over unit and is rotated in an axi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보조 배터리에 각각 고유하게 할당된 보조 배터리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각 보조 배터리에 구비되는 식별자;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기 위한 리더기; 및
상기 대여구와 상기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고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거치대로부터 반출되는 보조 배터리를 상기 대여구 측으로 슬라이딩 반송시키는 호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호퍼의 상기 경사면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반송될 때 상기 식별자를 리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 대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dentifier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in which auxiliary batte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ies is recorded;
A reader for reading the identifier; And
Further comprising a hopper provided between the rental port and the cradl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slidably transporting the auxiliary battery carried out from the cradle to the rental port,
Wherein the reader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hopper and is configured to read the identifier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slid along the inclined surface.
KR1020160028889A 2015-07-20 2016-03-10 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 KR1016680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135 2015-07-20
KR20150102135 2015-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018B1 true KR101668018B1 (en) 2016-10-21

Family

ID=572571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889A KR101668018B1 (en) 2015-07-20 2016-03-10 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
KR1020160028894A KR101684937B1 (en) 2015-07-20 2016-03-10 Auxiliary battery automatic lending equipment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rental service with the same
KR1020160146842A KR20170010733A (en) 2015-07-20 2016-11-04 Auxiliary battery automatic lending equipment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rental service with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894A KR101684937B1 (en) 2015-07-20 2016-03-10 Auxiliary battery automatic lending equipment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rental service with the same
KR1020160146842A KR20170010733A (en) 2015-07-20 2016-11-04 Auxiliary battery automatic lending equipment an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rental service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668018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5939A (en) * 2016-12-30 2017-06-09 天津航正科技有限公司 A kind of gym building resources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CN107730751A (en) * 2017-11-07 2018-02-23 深圳市英唐数码科技有限公司 Charger baby, which is leased, gives back method and system
CN107801155A (en) * 2017-09-04 2018-03-13 深圳百瑞加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leasing method of MIFI devices, mobile terminal and MIFI device shared terminals
WO2019022452A1 (en) * 2017-07-24 2019-01-31 주식회사 리베르곤 Auxiliary battery and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KR102060821B1 (en) * 2017-08-02 2019-12-31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Renting Auxiliary Battery Pack
CN111369744A (en) * 2018-12-25 2020-07-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Shared charger rental cabinet and charger borrowing and returning method
KR102136308B1 (en) 2019-07-02 2020-07-21 강상호 A battery for having a remaining charge notifying means
KR20200118696A (en) 2019-04-08 2020-10-16 나준기 System and method for renting and returning shared auxiliary batteries based on blockchain
KR102416961B1 (en) * 2021-11-23 2022-07-06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Supplementary battery rental station
KR20230032417A (en) * 2021-08-31 2023-03-07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Rent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3144B2 (en) * 2017-02-07 2020-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Battery replacement support system and server used therefor
CN108038986A (en) * 2017-12-28 2018-05-15 广州华夏职业学院 A kind of school physical education's equipment intelligent management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CN110033058A (en) * 2018-01-12 2019-07-19 爱朵(浙江)智能科技有限公司 Product sharing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8765702A (en) * 2018-05-23 2018-11-06 济南每日优鲜便利购网络科技有限公司 Automatic vending machine
WO2020017675A1 (en)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Rental battery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cable disconnection
CN109087457A (en) * 2018-08-15 2018-12-25 青岛世通恒业软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household appliance case shares leasing system, method and intelligent sharing tool box
KR102273449B1 (en) * 2019-04-16 2021-07-05 윤왕근 Unattended operating system
KR102205996B1 (en) * 2019-07-16 2021-01-21 주식회사 투힘 System for providing online to offline based battery pack rental service with real-time inventory management
KR102136315B1 (en) * 2019-07-26 2020-07-21 강상호 Kiosk system with secondary battery sharing capability
JP6875622B2 (en) * 2019-11-12 2021-05-26 琉球インタラクティブ株式会社 Programs,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037A (en) * 1999-07-05 2001-01-26 Akira Otsuka Battery exchanging and selling device
KR100935057B1 (en) * 2007-10-25 2009-12-31 (주)파트론정밀 Battery vending machine
JP2015507235A (en) * 2011-11-16 2015-03-0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Bidirectional bending
JP2015518200A (en) * 2012-03-20 2015-06-2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Two-way exchange sa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871A (en) * 2014-09-24 2016-04-01 이재성 Method for reproducing the advertisement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playback device is a secondary battery and a spare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3037A (en) * 1999-07-05 2001-01-26 Akira Otsuka Battery exchanging and selling device
KR100935057B1 (en) * 2007-10-25 2009-12-31 (주)파트론정밀 Battery vending machine
JP2015507235A (en) * 2011-11-16 2015-03-0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Bidirectional bending
JP2015518200A (en) * 2012-03-20 2015-06-25 トライコピアン・エルエルシー Two-way exchange sale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5939A (en) * 2016-12-30 2017-06-09 天津航正科技有限公司 A kind of gym building resources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WO2019022452A1 (en) * 2017-07-24 2019-01-31 주식회사 리베르곤 Auxiliary battery and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US11423472B2 (en) 2017-07-24 2022-08-23 Libergon, Inc. Auxiliary battery and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KR102060821B1 (en) * 2017-08-02 2019-12-31 주식회사 엔쓰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Renting Auxiliary Battery Pack
CN107801155A (en) * 2017-09-04 2018-03-13 深圳百瑞加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leasing method of MIFI devices, mobile terminal and MIFI device shared terminals
CN107730751A (en) * 2017-11-07 2018-02-23 深圳市英唐数码科技有限公司 Charger baby, which is leased, gives back method and system
CN111369744A (en) * 2018-12-25 2020-07-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Shared charger rental cabinet and charger borrowing and returning method
KR20200118696A (en) 2019-04-08 2020-10-16 나준기 System and method for renting and returning shared auxiliary batteries based on blockchain
KR102136308B1 (en) 2019-07-02 2020-07-21 강상호 A battery for having a remaining charge notifying means
KR20230032417A (en) * 2021-08-31 2023-03-07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Rental Device
KR102514389B1 (en) * 2021-08-31 2023-03-29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Rental Device
KR102416961B1 (en) * 2021-11-23 2022-07-06 에브리포터블 주식회사 Supplementary battery rental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733A (en) 2017-02-01
KR101684937B1 (en)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018B1 (en) Auxiliary battery lending apparatus
CN101678797B (en) Vehicle-mounted device control system
TW439343B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returning apparatus
US9276418B2 (en) Battery exchange, recharge and recycl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11843972B (en) Colleges and universities' wisdom library system
US20100254241A1 (en) Hierarchical storage system, library apparatus, magaz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hierarchical storage system
JPWO2019163573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US11423472B2 (en) Auxiliary battery and auxiliary battery rental device
CN106919971A (en) Quick Response Code intelligent archive cabinet and archive management system
CN111923759A (en) Battery changing station, and battery changing method and device of battery changing station
JP2001057711A (en) Energy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er for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vending apparatus and battery managing system for the electric vehicle
CN104008611A (en) Self-service type small charging and switching equip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201152995Y (en) Self-assistant library terminal
CN202092962U (en) Feeding inspection device utilizing surface mounted technology (SMT)
CN213201237U (en) A get goods robot for unmanned convenience store
CN108765759A (en) A kind of automatic rent and sale recycling all-in-one machine of portable power and its rent and sale recovery method
CN208367826U (en) The intelligent cabinet system shared for realizing VR glasses
CN107798504B (en) Equipment and method for high-risk radioactive source automatic safety supervision
US20220278377A1 (en) A portable device and an apparatus for replacing used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CN114842588A (en) Cultural tourism commodity development equipment
CN113223244A (en) Shared charging equipment and mobile power supply warehousing method thereof
CN114612175A (en) Shared storage management access system, method and device
KR101928055B1 (en) Inspe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recycled side mirrors
CN110525871B (en) Battery exchanging device
CN210109954U (en) Air detection devic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74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125

Effective date: 201801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