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73B1 - Digital doorlock - Google Patents

Digital door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73B1
KR101661473B1 KR1020140156098A KR20140156098A KR101661473B1 KR 101661473 B1 KR101661473 B1 KR 101661473B1 KR 1020140156098 A KR1020140156098 A KR 1020140156098A KR 20140156098 A KR20140156098 A KR 20140156098A KR 101661473 B1 KR101661473 B1 KR 10166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sensing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6117A (en
Inventor
연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Priority to KR102014015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73B1/en
Publication of KR2016005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써,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상기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잠금부를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이용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가 필요없는 디지털 도어락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i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so as to open or close at least one of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A first main body installed on one surface; A second body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and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closed or partially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y partially receiving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t least one of which is opene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and moving the locking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locking unit is accommodated in or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 sensing unit contacting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transmit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driving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e signal.
Thereby, the lock portion which closes or opens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is moved by using a signal transmit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throug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so that the outer portion provided outside the first door is unnecessary A digital door lock is provided.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Digital door lock {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이동하는 잠금부를 이용하여, 제1도어의 외측에 부가적인 장치(외측부)의 설치 없이,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oor lock, in which a locking unit that is moved by a signal transmitted to one surface of a first door through a second surface of a first door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which closes or opens at least one of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without installing the door.

디지털 도어락이란, 사용자가 비밀번호, 지문 등을 입력함에 따라 도어(Door)를 폐쇄하거나 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아파트, 사무실, 연구실, 공장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A digital door lock means a device installed on a door to close a door or open a door when a user inputs a password or a fingerprint, and is generally used in an apartment, an office, a laboratory, a factory, and the like.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비밀번호, 지문 등을 입력하도록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측부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모터를 동작시켜 도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내측부로 구성되며, 외측부와 내측부는 도어에 형성된 구멍에 인입되는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한다.The digital door lock includes an outer side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oor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of the user and an inner side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close or open the door by operating the motor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uter side,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 communication cable which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door.

한편, 강화유리 재질로 구비되는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장착하는 경우, 강화유리에 상술한 통신 케이블이 인입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digital door lock is mounted on a door made of tempered glass,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a hole for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cable to enter into the tempered glass. Therefore, when the digital door lock is mounted on the door made of such a tempered glass, it is troublesome to install a separate bracket for installing the communication cable.

한편, 상술한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도어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바, 도어 외에 창문, 환풍구 등으로 도어 내측으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general digital door lock has a function of closing or opening the door by the user's inpu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monitor an intrud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door by a window, a ventilator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door.

또한, 도어와 도어 사이 공간에 노출되는 잠금부를 절단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도어와 도어 사이 공간으로 철사 등의 기구를 삽입하여 내측부의 수동버튼 (수동부)등을 누름으로써 도어를 개방하여 도어 내부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by opening the door by cutting the lock portion ex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or by inserting a mechanism such as a wire into the space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the door is opened by pressing the manual butt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event intruders from enter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이동하는 잠금부를 이용하여, 제1도어의 외측에 부가적인 장치(외측부)의 설치 없이,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door locking device for a door, which uses a locking part which is transmitted by a signal transmitted to one surface of a first door, And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that closes or opens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without installing an additional device (outer side).

또한,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내측 공간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내측 공간으로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generating an alarm signal using a heat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heat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monitoring intrusion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

또한,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와 잠금부에서 발생하는전기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를 이용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잠금부를 절단하여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방지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있다.In addition, by generating an alarm signal using a heat sensing part for sensing heat generated in the lock part and an electric sensing part for sensing the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ock part,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is cut by cutting the lock part So as to prevent unauthorized opening of the digital door lock.

또한, 설정부에 퇴실상태를 설정한 이후, 수동부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도어 및 제2도어의 외부에서 수동부를 눌러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방지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passive part is sensed after setting the exit state to the setting part,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passive part is pres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nd to prevent an unauthorized opening of any one of the digital door lock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상기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의해 달성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which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so as to open or clos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 first main bod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 second body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and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closed or partially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y partially receiving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t least one of which is opene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and moving the locking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locking unit is accommodated in or removed from the receiving space; A sensing unit contacting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transmit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driving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e signal.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 신호일 수 있다.The signal may be an electrostatic signal generated by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정전기 신호의 수신 감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adjust the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electrostatic signa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카드를 접촉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카드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may be a card frequency signal generated by contacting the car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시간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횟수에 대한 정보인 구동정보를 생성하며, 단말기에서 상기 제1도어의 개폐에 대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 driving time of the driving unit and a number of times the driving unit is driven,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o as to monit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door in the terminal. Lt; / RTI >

또한, 상기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하며,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NFC module that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adjacent to the terminal ha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sensing sensor installed in the first main body to sense heat gener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door, wherein the controller senses heat from the heat sensing sensor , An alarm signal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감지부에서 전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lectric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locking unit and sensing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locking unit, wherein when the electric sensing unit senses electricity,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부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 heat generated by a lock uni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측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first main body unit and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one end of the protrud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protruding terminal protrudes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상기 잠금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는 수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to operate the locking unit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또한, 본 발명은,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parture state, and a hand movement sensor for sensing a movement of the hand movement unit, wherein, after the setting state is set in the setting unit, The alarm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detection sensor sens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또한, 본 발명은,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departure state, and a hand movement sensor for sensing a movement of the hand movement unit, wherein, after the setting state is set in the setting unit, When the detection sensor senses the movement of the manual part, the driving part may be operated so that a part of the locking part is not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가적인 장치(외측부)가 필요 없게 되어, 도어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통신연결용 브라켓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n additional device (outside portion) provided outside the door of the reinforced glass material, an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hole in the door or to install a separate communication connection bracket, So that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installed easily and easily.

또한, 도어 외에, 창문, 환풍구 등으로 도어의 내부로 침입하는 행위를 감시할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door,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ntrusion into the inside of the door by a window, a ventilation hole, or the like.

또한, 잠금부를 절단하거나, 도어의 외부에서 수동부를 누름으로써, 도어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oor from being unauthorizedly opened by cutting the lock portion or pressing the passive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또한, 디지털 도어락에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도어의 외측에서 디지털 도어락으로 용이하게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battery built in the digital door lock is discharged, the power can be easily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to the digital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내측(A)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외측(B)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수동부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의 신호흐름도이다.
1 shows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side A of the door,
Fig. 2 shows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1 from the outside (B) of the door,
Figure 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ure 1,
Figure 4 is an internal side view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ure 1,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1,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ig. 6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1,
FIG. 7 is a signal flow diagram of an intrusion preven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ssive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내측(A)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을 도어의 외측(B)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n inner side (A) of a door, Fig. 2 shows a digital door lock of Fig. 1 at an outer side (B) FIG. 4 is an internal side view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1,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oor lock of FIG. 1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trol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은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와 잠금부(30)와 구동부(40)와 감지부(50)와 제어부(60)와 NFC 모듈(70)과 열감지센서(80)와 전기감지부(90)과 열감지부(100)과 배터리부(110)와 돌출단자(120)와 수동부(130)와 설정부(140)와 수동부감지센서(150)를 포함한다.1 to 5, a digital door l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10, a second body portion 20, a locking portion 30, and a driving portion 40 The sensing unit 50, the controller 60, the NFC module 70, the thermal sensor 80, the electrical sensing unit 90, the thermal sensor 100, the battery unit 110 and the protruding terminal 120, A driver 130, a setting unit 140, and a driver sensor 150.

제1본체부(10)는 잠금부(30), 구동부(40), 감지부(50), 제어부(6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제1도어(d1)의 일면, 즉, 제1도어(d1)의 내측면(A)에 설치된다.The first body portion 10 provides a space for installing the lock portion 30, the driving portion 40, the sensing portion 50 and the control portion 60. The first body portion 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d1, , And on the inner surface (A) of the first door (d1).

제2본체부(20)는 내부에 잠금부(30)의 일부가 수용될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제2도어(d2)의 일면, 즉, 제2도어(d2)의 내측면(A)에 설치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2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s in which a portion of the lock portion 30 is to be accommodated and thereby the second body d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door d2,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A.

여기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는 강화유리재질로 구비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하여 외측에서 내측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수준의 투명재질로 구비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Here,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made of tempered glas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transparent and visually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ything is acceptable.

잠금부(30)는 구동부(40)의 동력에 의해 수용공간(s)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를 폐쇄시키거나, 구동부(40)의 동력에 의해 일부분이 수용공간(s)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구동부(40)와 연결된다.The locking part 30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part 40 so that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closed or the locking part 30 is closed by the power of the driving part 40 The first door d1 or the second door d2 is opened by remov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s, do.

이러한 잠금부(30)는 제1도어(d1)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10)에 고정되며 제2본체부(20)는 제2도어(d2)에 설치되어 있는바, 잠금부(30)의 직선운동의 결과, 잠금부(30)의 일부분이 제2본체부(20) 내부의 수용공간(s)에 수용되면, 제1도어(d1)와 제2도어(d2)가 잠금부(30)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도어(d1)와 제2도어(d2)가 폐쇄된다. The locking portion 30 is fix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0 provided o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second door d2.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30 so that the locking portion 30 is locked in the receiving space s i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20. [ 30 so that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closed.

또한, 이와는 반대로 직선운동을 하여 잠금부(30)가 제2본체부(20) 내부의 수용공간(s)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제1도어(d1)와 제2도어(d2)의 물리적 연결이 해제되므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ing portion 30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space s in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20 by a rectilinear movement, the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opened.

구동부(40)는 잠금부(30)의 일부분이 수용공간(s)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잠금부(3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잠금부(30)와 연결된다.The driving part 40 is installed on the first main part 10 by moving the locking part 30 such that a part of the locking part 30 is accommodated or remov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Lt; / RTI >

또한, 구동부(40)는 후술하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동부(130)에 의해 작동되도록 수동부(13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The driving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to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60 described later and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30 to be operated by the driving unit 130. [

이러한 구동부(40)는 캠(Cam) 타입 또는 볼스크류(Ball Screw) 타입으로 구비되어 잠금부(30)를 구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잠금부(30)를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The driving unit 40 may be a cam type or a ball screw type so as to drive the locking unit 30. However, the driving unit 40 is not limited to this, Anything is acceptable.

감지부(50)는 제1도어(d1)의 타면, 즉,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투과하여 제1도어(d1)의 일면, 즉, 제1도어(d1)의 내측면(A)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제1도어(d1)의 일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된다.The sensing unit 50 transmit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d1 through the outer surface B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d1, By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to the inner side A, the first door d1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door d1.

여기서, 신호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 신호일 수 있고, 이때, 감지부(50)는 상술한 정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정전기 검출 센서로 구비된다.Here, the signal may be an electrostatic signal generated by a finger of a user touching the outer surface B of the first door d1.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50 may be a static sensor that senses the above- Respectively.

감지부(50)가 정전기 검출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개방과정은 다음과 같다.When the sensing unit 50 is provided as an electrostatic detecting sensor, the opening process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as follows.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터치하는 경우, 감지부(50)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투과하여 제1도어(d1)의 내측면(A)으로 전달되는 정전기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감지부(50)가 제어부(60)로 정전기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전달하면, 제어부(60)에서 상술한 구동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부(30)를 이동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킨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outer surface B of the first door d1 while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closed, And senses an electrostatic signal transmitted to the inner side A of the first door d1. When the controller 50 receives the detection of the electrostatic signal by the controller 60,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to move the locking unit 30 to the first door d1 ) Or the second door (d2).

한편, 제1도어(d1)의 내측면(A)과 접촉하는 감지부(50)의 단면에는 키 패드(Key Pad) 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제1도어(d1)는 강화유리 재질로 구비되어 시각적으로 투명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서 상술한 키 패드(Key Pad) 무늬를 보고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를 터치할 수 있다.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는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60)에서 구동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key pad pattern may be printed on the end face of the sensing unit 50 which contacts the inner side A of the first door d1. Since the first door d1 is made of tempered glass and is visually transparent, the user can see the above-mentioned key pad pattern on the outer side B of the first door d1, You can touch it. Since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is preset in the control unit 60, when the user touches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so that the first door d1 or the second door And at least one of the doors d2 can be opened easily.

또한, 감지부(50)는 제1도어(d1)의 두께를 인지(또는 감지부(50)에 설정)하여 자동으로 켈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알고리즘을 내부에 탑제한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50 recognizes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d1 (or sets the sensing unit 50), and installs an algorithm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first door d1.

제1도어(d1)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는 감지부(50)의 신호 감지에 영향을 미치는 바, 제1도어(d1)의 두께에 따라서 감지부(50)의 감도가 조절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d1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case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d1 affects the signal sensing of the sensing unit 50. The thickness of the sensing unit 50 depends 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d1. The sensitivity of which is required to be controlled.

따라서, 감지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어(d1)의 두께를 인지(또는 감지부(50)에 설정)하여 자동으로 켈리브레이션(Calibration)하는 알고리즘을 내부의 프로세서(또는 제어장치)에 탑제함으로써, 제1도어(d1)의 두께에 따라 감지부(50)의 감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제1도어(d1)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ing unit 50 recognizes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d1 (or sets the sensing unit 50) to automatically calibrate the algorithm to the internal processor (or controller) The sensitivity of the sensing unit 5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d1 so tha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oor d1 can be sensed more accurately.

한편, 여기서, 신호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 카드가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일 수 있고, 이때, 감지부(50)는 상술한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는 주파수 검출 센서로 구비된다.Here, the signal may be a frequency signal generated by the car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B of the first door d1.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50 may be a frequency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the above- Respectively.

감지부(50)가 주파수 검출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개방과정은 다음과 같다.When the sensing unit 50 is provided as a frequency detection sensor, the opening process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as follows.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에 카드를 접촉시키는 경우, 감지부(50)가 제1도어(d1)의 외측면(B)을 투과하여 제1도어(d1)의 내측면(A)으로 전달되는 주파수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감지부(50)가 제어부(60)로 주파수 신호를 확인하였음을 전달하면, 제어부(60)에서 상술한 구동부(40)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부(30)를 이동시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를 개방시킨다.When the user touches the card to the outer surface B of the first door d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closed, d1 of the first door d1 through the outer side B of the first door d1.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to move the locking unit 30 to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opened.

따라서, 상술함 감지부(50)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제1도어(d1)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부가 필요 없게 되어,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외측부가 필요 없어 지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 후, 제1도어(d1)의 외측면(A)에서 보았을 때, 미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nsing unit 50, the outside portion provided outside the first door d1 is generally unnecessary, and it is easy to install the digital door lock on the door made of tempered glass. In addition, since the outer side portion is unnecessary,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digital door lock is reduced. 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aesthetics can be esthetically felt when viewed from the outer surface A of the first door d1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제어부(60)는 감지부(50)가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구동부(40)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감지부(50) 및 구동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troller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50 and the driving unit 40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0 when the sensing unit 50 senses a signal.

또한, 제어부(60)는 구동정보를 생성하여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한다.Also, the control unit 6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terminal.

여기서 구동정보란 구동부(40)가 구동되는 시간과 구동부(40)가 구동되는 횟수에 대한 정보이며, 제어부(60)는 이러한 구동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상황에 대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driv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unit 40 and the number of times the driving unit 40 is driven, and the controller 60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 and the door (d2).

또한, 제어부(60)는 NFC 모듈(70), 열감지센서(80), 전기감지부(90), 설정부(140), 수동부감지센서(150)와 각각 전기적을 연결되며, 각 구성요소와의 신호전달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module 70, the thermal sensor 80, the electrical sensor 90, the setting unit 140, and the handpiece sensor 150, Will be described later.

NFC 모듈(70)은 제어부(60)로부터 상술한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써,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NFC module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 by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60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riv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including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이때, 단말기는 NFC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구비되며, 구동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내부 저장소에 내장된다. At this time,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including an NFC function, and an application for easily checking driving information is embedded in the internal storage.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자가 NFC 모듈(70)에 근접시키면, NFC 모듈(70)이 구동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he mobile terminal closer to the NFC module 70, the NFC module 70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m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or the second door d2 Any one of the open / close states can be easily confirmed.

열감지센서(80)는 제1도어(d1)의 내면측(A)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제1도어(d1)의 내측면(A)을 향하도록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heat sensing sensor 80 senses heat generated from the inner surface A of the first door d1 and detects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body d1 to face the inner surface A of the first door d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이러한 열감지센서(80)에서 열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60)에서는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When the heat is sensed by the heat sensor 80, the controller 60 generates an alarm signal to generate an alarm sound, or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n external terminal or a security company.

따라서, 이러한 열감지센서(80) 및 제어부(60)에 의해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측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 외에 창문, 환풍구 등을 통하여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측공간으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sensed by the heat sensing sensor 80 and the control unit 60 to generate an alarm signal, d1 and the second door d2 as well as intruders in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through windows and vents.

전기감지부(90)은 잠금부(30)에서 발생하는 전기, 즉,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잠금부(3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electric sensing part 90 is installed in the locking part 30 by sensing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ocking part 30, that is, an electric sign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60.

잠금부(30)에 일정한 전류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침입자가 톱 등을 이용하여 잠금부(30)를 절단하면 잠금부(30)에서 전류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전기감지부(90)은 이러한 전류의 변화, 즉,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전기감지부(90)가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When the intruder cuts the lock portion 30 using a saw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 portion 30 is energized with a constant current, a change in current occurs in the lock portion 30. [ At this time, the electrical sensing unit 90 senses a change in the electrical current,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60 confirms that the electrical sensing unit 90 senses an electrical signal, it generates an alarm signal to generate an alarm sound itself, or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an external terminal or a security company do.

따라서, 이러한 전기감지부(90)와 제어부(60)에 의해, 잠금부(30)를 절단하여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easy for the electric sensing unit 90 and the control unit 60 to cut off the lock unit 30 and to perform an action of unauthorized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

열감지부(100)은 잠금부(30)에서 발생하는 열, 즉, 열에너지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잠금부(3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thermal sensing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locking unit 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by sensing heat generated from the locking unit 30, that is, thermal energy signals.

침입자가 톱 등을 이용하여 잠금부(30)를 절단하는 경우, 잠금부(30)에서 온도가 상승(열에너지 신호가 발생)한다. 이때, 열감지부(100)은 이러한 열에너지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열감지부(100)가 열에너지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When the intruder uses the saw or the like to cut the lock portion 30, the temperature of the lock portion 30 rises (a thermal energy signal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heat sensing unit 100 senses the heat energy signal.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60 confirms that the heat sensing unit 100 senses the thermal energy signal, it generates an alarm signal to generate an alarm sound, or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an external terminal or a security company .

따라서, 이러한 열감지부(100)과 제어부(60)에 의해, 침입자가 잠금부(30)를 절단하여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truder may cut the lock portion 30 and perform an action of unauthorizedly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by the heat sensing unit 100 and the control unit 60 It can be easily prevented.

배터리부(110)는 구동부(40)와 제어부(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구동부(40) 및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attery unit 110 is installed in the first main body 10 by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6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60.

돌출단자(120)는 상술한 배터리부(110)가 방전되는 경우, 제1도어(d1)의 타면(B)측에서 배터리부(110)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일단부가 배터리부(110)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다.The protruding terminal 120 supplies external power to the battery unit 110 from the other surface B side of the first door d1 when the battery unit 110 is discharged,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또한, 돌출단자(120)는 브라킷(Bracket)으로 구비되어 제1본체부(10)와 제1도어(d1)의 일측면(A)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본체부(10)가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 고정되게 한다.The protruding terminal 120 is provided as a bracke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10 and one side A of the first door d1 so that the first main body 10 is divided into the first To be fixed to one side (A) of the door (d1).

따라서, 이러한 돌출단자(120)에 의하면, 제1본체부(10)가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 용이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배터리부(110)가 방전되는 경우, 타단부에 외부 전원을 접촉시킴으로써, 방전된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truding terminal 120, the first main body 10 is easily fixed to one side A of the first door d1, and when the battery 110 is discharged, The discharged battery can be easily charged.

수동부(130)는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서 잠금부(3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써, 구동부(40)와 기어 결합되도록 제1본체부(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동부(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버튼을 눌러 잠금부(30)를 동작시키도록 외면에 버튼이 형성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돌려 잠금부(30)를 동작시키도록 외면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nual operation part 130 is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part 10 to be engaged with the driving part 40 by manually operating the locking part 30 on one side A of the first door d1 . The manual operation unit 130 may include butt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locking unit 30 by pressing the button with the hand or a handl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locking unit 30 by turning it by hand .

이러한 수동부(130)에 의해서, 제1도어(d1)의 일측면(A)에서 사용자가 잠금부(30)를 동작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operate the locking portion 30 on one side A of the first door d1 to move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or the second door d2 It can be opened or closed.

설정부(14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측공간에서 모든 사람이 퇴실하였음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제1본체부(1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동부감지센서(150)는 상술한 수동부(130)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수동부(130)에 설치되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etting unit 140 is installed in the first main body 10 by setting that all the persons are left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by the user pressing the button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 The sensing unit 150 sense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sensing unit 130 and is installed in the sensing unit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사용자가 상술한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퇴실상태를 설정하고 퇴실한 이후, 침입자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에 철사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동부(130)를 동작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수동부감지센서(150)는 수동부(130)의 물리적 동작을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수동부감지센서(150)가 물리적 동작을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수동부(130)에 전달함으로써, 수동부(130)가 동작 되지 않도록 하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에 전달한다.After the user sets the exit status by operating the setting unit 140 and leaves the room, the intruder can ente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by using a mechanism such as a wire, When the control unit 130 operates to ope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the movement sensing unit 150 sense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130. [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60 confirms that the sensor detects a physical operation, it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transmits the alarm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so that the controller 130 does not operate the controller 130,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by itself or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an external terminal or a security company.

또한, 상술한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퇴실상태를 설정하고 퇴실한 이후, 침입자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에 철사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동부(130)를 동작시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수동부감지센서(150)는 수동부(130)의 물리적 동작을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60)에서 수동부감지센서(150)가 물리적 동작을 감지하였음을 확인하면, 제어부(60)는 잠금부(30)의 일부분이 제2본체부(20)의 수용공간(s)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In addition, after the setter 140 is operated to set the exit state and exit, the intruder can ente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by a mechanism such as a wire, When the control unit 130 operates to open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the movement sensing unit 150 senses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movement unit 130. [ Whe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sensing unit 150 senses the physical operatio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a portion of the locking unit 30 is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second main body 20, So that the driving unit 40 is not removed.

따라서, 상술한 설정부(140)와 수동부감지센서(150)와 제어부(60)에 의해서, 침입자가 외부에서 수동부(130)를 누름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truder pushes the hand portion 130 from the outside by the setting unit 140, the hand sensor sensor 150 and the control unit 60, so that the first door d1 or the second door d2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unauthorized opening.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에 의하면, 외측부가 필요 없게 되어, 강화유리 재질의 도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제1도어(d1)의 외면측에서 배터리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고,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 외에, 창문, 환풍구 등으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내부공간으로 침입하는 행위를 감시할 수 있고, 잠금부(30)를 절단하거나,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사이 공간을 이용하여 수동부(130)를 누름으로써,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무단으로 개방시키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lock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side portion is not necessary, it is easy to install on the door made of tempered glass.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the first door d1, The battery can be easily charg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by a window or a ventilation hole in addition to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ntrusion and by cutting the lock portion 30 or pressing the manual portion 130 us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d1) or the second door (d2) to be unauthoriz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6 is a schematic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사용자가 제1도어(d1)의 외면(A)을 터치하거나 제1도어(d1)의 외면(A)에 카드를 접촉시킨다. 이후, 터치에 의한 정전기 신호 및 카드 접촉에 의한 주파수 신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구동부(40)를 동작시킨다.The user touches the outer surface A of the first door d1 or contacts the outer surface A of the first door d1. Thereafter, when the electrostatic signal by the touch and the frequency signal by the card contact coincide with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60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as shown in FIG. 6A.

이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는 캠(Cam) 타입으로 잠금부(30)와 연결되어 있는바, 상술한 구동부(40)의 동작에 의해 잠금부(30)의 일부가 제2본체부(2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에서 제거된다.6 (b), the driving unit 4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unit 30 by a cam, and the locking unit 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 described above.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space s formed inside the second main body portion 20. [

이에 의해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의 물리적 연결이 잠금부(30)에 의해서 해제되어,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Thereby, the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released by the lock portion 3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opened .

한편, 구동부(4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본체부(10)에 수용되어 있던 잠금부(30)가 이동하여 제1본체부(10)의 수용공간(s)으로 수용됨으로써,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서, 제1도어(d1) 및 제2도어(d2)가 폐쇄된다.When the driving part 40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ocking part 30 received in the first main part 10 moves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first main part 10,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physically connected. Thereby,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are closed.

또한, 사용자가 수동부(130)를 누르는 경우에도 상술한 과정으로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Also,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manual operation unit 130, at least one of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is opened or 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수동부(130)의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rusion preven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 130 of the digital door l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수동부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의 신호흐름도이다.FIG. 7 is a signal flow diagram of an intrusion preven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ssive por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of FIG. 1;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퇴실하면서 설정부(140)를 조작하여 퇴실상태를 설정하며, 설정부(140)는 퇴실상태가 설정되었음을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이후, 침입자가 제1도어(d1)와 제2도어(d2) 사이의 공간에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동부(130)를 누르려고 하는 경우, 수동부감지센서(150)에서 수동부(130)의 물리적 움직임을 감지하여, 수동부(130)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제어부(60)로 전달한다.As shown in FIG. 7, the user operates the setting unit 140 to set the exit status while leaving the user, and the setting unit 140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60 that the exit status is set. If the intruder intends to press the passive portion 130 using a tool such as a wire or the like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d1 and the second door d2, 130, and transmits to the controller 60 that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vement unit 130 has been detected.

이후, 제어부(60)는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수동부(130)로 전달함으로써, 수동부(13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스피커 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생성된 경보신호를 외부 단말기 또는 경비업체 등으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60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transmits the alarm signal to the driving unit 130,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unit 130 from operating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provided by itself using the generated alarm signal Or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an external terminal or a security company.

또한, 이때, 제어부(60)는 잠금부(30)가 수용공간(s)으로 수용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동부(40)를 강제적으로 작동시킨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forcibly operates the driving unit 40 so that the locking unit 30 is drive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unit 30 is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수동부(130)의 움직임에 따른 침입방지 과정에 의하면, 침입자가 수동부(130)를 눌러 제1도어(d1) 또는 제2도어(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려는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trusion preven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ssive portion 130 of the digital door lock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ruder can push the passive portion 130 to open the first door d1 o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n operation of opening at least one of the two doors d2.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10 : 제1본체부 20 : 제2본체부
30 : 잠금부 40 : 구동부
50 : 감지부 60 : 제어부
70 : NFC 모듈 80 : 열감지센서
90 : 전기감지부 100 : 열감지부
110 : 배터리부 120 : 돌출단자
130 : 수동부 140 : 설정부
150 : 수동부감지센서
d1 : 제1도어 d2 : 제2도어
s : 수용공간
1: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first main body 20: second main body
30: locking part 40: driving part
50: sensing unit 60:
70: NFC module 80: Thermal sensor
90: Electricity sensing part 100: Heat sensing part
110: battery part 120: protruding terminal
130: Passing part 140: Setting part
150: Passive sensing sensor
d1: first door d2: second door
s: accommodation space

Claims (13)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본체부;
상기 제2도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일부분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폐쇄시키거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는 잠금부;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제거되도록 상기 잠금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도어의 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을 투과하여 상기 제1도어의 일면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감지부와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상기 잠금부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는 수동부;를 더 포함하며,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잠금부의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i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to open or close at least one of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A first body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 second body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and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closed or partially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y partially receiving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t least one of which is opene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and moving the locking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locking unit is accommodated in or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A sensing unit contacting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sensing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transmit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driving unit when the sensing unit senses the signal,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to operate the locking unit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ing state, and a moving part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mo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ing unit such that a part of the locking unit is not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movement sensing unit senses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vement unit after the setting unit is set to a departure state, Digital door lo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정전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is an electrostatic signal generated by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도어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정전기 신호의 수신 감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ing unit adjusts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electrostatic signa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도어의 타면에 카드를 접촉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카드 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is a card frequency signal generated by contacting a car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do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시간과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횟수에 대한 정보인 구동정보를 생성하며, 단말기에서 상기 제1도어의 개폐에 대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driving time of the driving unit and the number of times the driving unit is driven,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monit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door The digital door loc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NFC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rminal include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an NFC module for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close to th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의 일면측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센서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heat sensing sensor installed on the first main body to sense heat gener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door,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heat sensor senses he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감지하는 전기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감지부에서 전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lectric sensing part installed in the locking part and sensing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ocking par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alarm signal when the electricity sensing unit senses electrici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부에서 열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heat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locking unit and sensing heat generated in the lock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alarm signal when the heat sensing unit senses heat.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제1도어의 타면측에서 상기 배터리부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일단부는 상기 배터리부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or to the battery unit when the battery unit is discharged, And a protrud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퇴실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동부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퇴실상태가 설정된 후, 상기 수동부감지센서에서 상기 수동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ing state, and a moving part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mo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movement detecting uni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vement unit after the setting unit is set to the exit state.
삭제delete
KR1020140156098A 2014-11-11 2014-11-11 Digital doorlock KR101661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98A KR101661473B1 (en) 2014-11-11 2014-11-11 Digital door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98A KR101661473B1 (en) 2014-11-11 2014-11-11 Digital door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17A KR20160056117A (en) 2016-05-19
KR101661473B1 true KR101661473B1 (en) 2016-10-10

Family

ID=5610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98A KR101661473B1 (en) 2014-11-11 2014-11-11 Digital door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706B1 (en) * 2017-08-16 2019-04-19 김남일 Door lock device for sash,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116A (en) * 2007-05-04 2008-11-07 경천문 Non-contact type electron door lock apparatus for glass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17A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1074B2 (en)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audio and RF communication
US20190284839A1 (en) Electronic lock system having proximity mobile device
US11898371B2 (en) Tamper alarm for electronic lock
KR101103466B1 (en)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ic or mechanical closing device on a door and/or lid of a vehicle
US9683392B1 (en)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audio and RF Communication
KR101089854B1 (en) Device for operat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entry or access systems on or in a vehicle
US20090256677A1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US20150248799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smart key including the same
US11158145B2 (en)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KR20110061750A (en) Door opening -closing method and transmitting apparatus for opening - closing door using thereof
KR101661473B1 (en) Digital doorlock
KR101638860B1 (en) Touch Type Window Interworking Smart-Key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212883A1 (en) Lockset with door open and close sensing
TWI532017B (en) Wireless control method, wireless host and switch control device
US20240046725A1 (en) Manual electronic deadbolt
EP3041017B1 (en) Adjustable door sensor
KR101283653B1 (en) Doo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in digital door system
JP2007126950A (en) Radio electronic lock device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1953538B1 (en) Smart door lock and method to control same
JP4222809B2 (en) Non-opening / closing body side communication device
KR20200017128A (en) Door lock device open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93592B1 (en) Crime prevention sensor for window and crim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the sensor
KR20140118363A (en) Inner opening button of digital door lock
WO2019036894A1 (en) Touch control electronic door lock, and door
KR101970706B1 (en) Door lock device for sash, contro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