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340B1 -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340B1
KR101661340B1 KR1020150032886A KR20150032886A KR101661340B1 KR 101661340 B1 KR101661340 B1 KR 101661340B1 KR 1020150032886 A KR1020150032886 A KR 1020150032886A KR 20150032886 A KR20150032886 A KR 20150032886A KR 101661340 B1 KR101661340 B1 KR 10166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wind
building
generating
underground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092A (ko
Inventor
조성로
Original Assignee
조성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로 filed Critical 조성로
Priority to KR102015003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3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5/00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energy from the ground by air circulation, e.g. "Canadian w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5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receiving heat-exchange fluid from a closed circuit in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풍이 발생될 수 있도록 건물의 지하에 미리 결정된 부피로 마련되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내의 지하풍을 순환시키는 메인 대형 송풍기; 및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서 상기 건물의 상부까지 길게 배치되되 내부가 비어 있고 각 층에 대응되는 측벽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내의 지하풍이 유동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건물의 각 층으로 향하도록 하는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Building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underground wind}
본 발명은,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 건물의 실내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냉난방 시스템은 소위, 에어컨이라 불리는 전자제품을 이용한 방식이다.
다시 말해, 현재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냉매를 감압 팽창하는 팽창장치 등을 포함하는 냉동 혹은 히트펌프 사이클의 구성을 갖추어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 즉 전기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냉동 혹은 히트펌프 사이클을 채용한 전자제품에만 의존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할 경우, 냉난방용 대형 에어컨 가동을 위한 전기의 대량 소모로 인해 건물의 운영비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는 경우, 전기 부족이 국가적 문제로 대두될 수 있어 산업적으로도 많은 로스(loss)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하는데 있어 생태계 파괴가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에 언제까지나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 전기 생산 설비를 확장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새로운 방식의 냉난방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8-001048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592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0245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351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하풍이 발생될 수 있도록 건물의 지하에 미리 결정된 부피로 마련되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내의 지하풍을 순환시키는 메인 대형 송풍기; 및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서 상기 건물의 상부까지 길게 배치되되 내부가 비어 있고 각 층에 대응되는 측벽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내의 지하풍이 유동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건물의 각 층으로 향하도록 하는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관통구에는 서브 송풍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는 에어컨 덕트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와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의 내벽은 열전도가 없고 세균 오염이 없는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은 상기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 마련되는 메인 온도센서; 상기 건물의 각 층에 마련되는 다수의 서브 온도센서; 및 상기 메인 온도센서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대형 송풍기와 상기 서브 송풍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더라도 산업적으로 로스(loss)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전처럼 전기 생산 설비를 무한정 확장할 필요가 없어 생태계 파괴 등의 피폐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회동식 개폐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의 외형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4는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은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메인 대형 송풍기(120),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을 포함한다.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는 지하풍이 발생될 수 있도록 건물의 지하에 미리 결정된 부피로 마련되는 공간이다.
별도의 공간으로 구축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는 지상과 달리 일년 내내 일정한 온도, 예컨대 15도 내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에서 발생되는 지하풍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진행할 경우, 에어컨 가동에 소요되는 전기의 몇 십분의 일로도 실내 온도를 대략 2도 내지 3도 낮추거나 올릴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운영비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은 냉난방 보조수단일 뿐 본 발명을 통해 실내 공간의 냉난방 전체를 커버할 수는 없다. 실제, 본 발명의 시공을 위한 비용이 발생되기는 하지만 이후에 절감될 수 있는 전기료를 감안할 때, 시공비용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운영비 절감 효율이 클 것이라 예상된다.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는 단순히 빈 공간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적인 공간으로 활용되어도 무방하다.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의 내벽은 열전도가 없고 세균 오염이 없는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위험을 없앨 수 있음은 물론 세균 번식 없이 깨끗한 지하풍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 대형 송풍기(120)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에 마련되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의 지하풍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대형 송풍기(120)가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에 수직되게 배치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즉 메인 대형 송풍기(120)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의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의 지하풍을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으로 가이드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은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에서 건물의 상부까지 길게 배치되는 일종의 기둥이다.
이러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가 비어 있고 각 층에 대응되는 측벽에 관통구(131)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층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측벽에 관통구(13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131)로 인해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의 지하풍이 각 층으로 안내되면서 순환될 수 있다.
관통구(131)에는 서브 송풍기(140)가 마련될 수 있다. 서브 송풍기(140)는 브래킷(141)에 의해 관통구(131) 영역에 결합도리 수 있다.
그리고 관통구(131)는 에어컨 덕트(150)에 연통될 수 있다. 참고로, 에어컨 덕트(150)에는 군데군데에 통기공(152)을 갖는 덕트 캡(151)이 마련될 수 있다.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은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만약 기존의 건물이라면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의 주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은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과 구별이 되지 않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내벽은 열전도가 없고 세균 오염이 없는 재질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위험을 없앨 수 있음은 물론 세균 번식 없이 깨끗한 지하풍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메인 대형 송풍기(120) 및 서브 송풍기(140)가 동작되면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의 지하풍이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 내의 공간을 따라 이동된 후,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관통구(131)를 통해 에어컨 덕트(150)를 경유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실내 온도보다 대략 2도 내지 3도 낮추거나 올릴 수 있어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만약 에어컨의 가동에 따라 실내 온도가 지하풍의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지하풍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열손실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컨의 가동에 따라 실내 온도가 지하풍의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라면 메인 대형 송풍기(120) 및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메인 온도센서(161), 서브 온도센서(162), 그리고 컨트롤러(17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온도센서(161)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에 마련되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감지된 온도정보는 컨트롤러(170)로 전송된다.
서브 온도센서(162)는 건물의 각 층에 마련되며, 각 층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감지된 온도정보 역시, 컨트롤러(170)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층이 마련되기 때문에 3개층 모두에 서브 온도센서(162)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메인 온도센서(161)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162)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대형 송풍기(120)와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70)는 메인 온도센서(161)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162)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만약, 에어컨의 가동에 따라 실내 온도가 지하풍의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에는 메인 대형 송풍기(120)와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70)는 중앙처리장치(171, CPU), 메모리(172, MEMORY),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71)는 본 실시예에서 메인 온도센서(161)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162)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대형 송풍기(120)와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7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71)와 연결된다. 메모리(17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7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7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7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70)는 메인 온도센서(161)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162)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대형 송풍기(120)와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70)가 메인 온도센서(161)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162)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메인 대형 송풍기(120)와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7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더라도 산업적으로 로스(loss)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전처럼 전기 생산 설비를 무한정 확장할 필요가 없어 생태계 파괴 등의 피폐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 도 6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회동식 개폐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역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메인 대형 송풍기(120),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131)에도 서브 송풍기(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131)에는 회동식 개폐도어(280)가 더 마련된다.
회동식 개폐도어(280)는 도시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는데, 도 6처럼 개방되어 지하풍이 에어컨 덕트(150)로 안내되도록 하거나 도 7처럼 차폐됨으로써 지하풍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도 7의 경우는 에어컨의 가동에 따라 실내 온도가 지하풍의 온도보다 낮아져서 메인 대형 송풍기(120)와 서브 송풍기(140)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더라도 산업적으로 로스(loss)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전처럼 전기 생산 설비를 무한정 확장할 필요가 없어 생태계 파괴 등의 피폐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역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메인 대형 송풍기(120),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내부에는 필터부재(380)가 마련된다.
필터부재(380)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에서 각 층의 에어컨 덕트(150)로 향하는 지하풍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더라도 산업적으로 로스(loss)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전처럼 전기 생산 설비를 무한정 확장할 필요가 없어 생태계 파괴 등의 피폐를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역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메인 대형 송풍기(120),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내부에도 필터부재(380)가 마련된다. 필터부재(380)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내에서 각 층의 에어컨 덕트(150)로 향하는 지하풍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필터부재(380)가 위치되는 영역의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측벽에 필터부재(380)의 교체를 위한 교체 도어(480)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측벽에 교체 도어(480)가 마련될 경우, 수시로 혹은 주기적으로 필터부재(380)를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되는 지하풍을 좀 더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더라도 산업적으로 로스(loss)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전처럼 전기 생산 설비를 무한정 확장할 필요가 없어 생태계 파괴 등의 피폐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역시,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110), 메인 대형 송풍기(120),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구(131)에도 서브 송풍기(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내벽에는 세균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한 세균 발생 억제용 피복재(590)가 더 도포된다. 세균 발생 억제용 피복재(590)는 페인트(paint) 형태로서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130)의 내벽에 도포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세균의 번식 없이 청결한 상태의 지하풍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자연적인 지하풍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냉난방을 수행함으로써, 건물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여름철에 전기 사용량이 급증되더라도 산업적으로 로스(loss)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전처럼 전기 생산 설비를 무한정 확장할 필요가 없어 생태계 파괴 등의 피폐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120 : 메인 대형 송풍기
130 :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 131 : 관통구
140 : 서브 송풍기 150 : 에어컨 덕트
151 : 덕트 캡 152 : 통기공
161 : 메인 온도센서 162 : 서브 온도센서
170 : 컨트롤러

Claims (6)

  1. 지하풍이 발생될 수 있도록 건물의 지하에 미리 결정된 부피로 마련되는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 내의 지하풍을 순환시키는 메인 대형 송풍기;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서 상기 건물의 상부까지 길게 배치되되, 내부가 비어 있고, 에어컨 덕트와 연통하도록 각 층에 대응되는 측벽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로부터 유입된 지하풍을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건물의 각 층으로 향하도록 하는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
    상기 관통구에 마련된 서브 송풍기;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와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의 내벽에 도포되는 세균 발생 억제용 피복재;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회동식 개폐도어;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서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으로 향하는 지하풍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필터부재가 위치되는 영역의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의 측벽에 구비된 교체 도어;
    상기 지하풍 발생용 지하 공간부에 마련되는 메인 온도센서;
    상기 건물의 각 층에 마련되는 다수의 서브 온도센서; 및
    상기 메인 온도센서 및 상기 서브 온도센서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대형 송풍기, 상기 서브 송풍기 및 상기 회동식 개폐도어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지하풍 안내용 중공 컬럼은 상기 건물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32886A 2015-03-10 2015-03-10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KR10166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886A KR101661340B1 (ko) 2015-03-10 2015-03-10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886A KR101661340B1 (ko) 2015-03-10 2015-03-10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92A KR20160109092A (ko) 2016-09-21
KR101661340B1 true KR101661340B1 (ko) 2016-09-29

Family

ID=5707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886A KR101661340B1 (ko) 2015-03-10 2015-03-10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3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113A (ja) * 2004-09-27 2006-04-06 Mishima Motoji 地下室付き鉄骨造りユニット式住宅建物
JP2013245913A (ja) * 2012-05-29 2013-12-09 Shimizu Corp サーバー室の空調設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6877A1 (en) 1996-07-01 1998-01-07 Corning Incorporated Multiplexer/demultiplexer with flattened spectral response
FR2819116B1 (fr) 2000-12-29 2003-03-28 Legrand Sa Dispositif d'entree de cable
KR20030002451A (ko)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인탤넷 지능형 단말기를 통한 메시지 교환용 인트라넷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497534B1 (ko) 2002-10-18 2005-07-01 손봉진 고형 의료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고온로 및 공기 중 산소농후화를 위한 흡착 플랜트
KR100797163B1 (ko) * 2006-05-02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30097457A (ko) * 2012-02-24 2013-09-03 원준호 중앙 냉난방 시스템에서의 온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0113A (ja) * 2004-09-27 2006-04-06 Mishima Motoji 地下室付き鉄骨造りユニット式住宅建物
JP2013245913A (ja) * 2012-05-29 2013-12-09 Shimizu Corp サーバー室の空調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92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2730B2 (en) HVAC zo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212855B2 (en) Data center heat removal systems and methods
US9702578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utside air control and return air control of air conditioning system
CN100563412C (zh) 机柜温控装置、处理装置、系统及方法
CN104964351A (zh) 数据中心的二维动态送风节能系统及其控制方法
JP5784654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方法
KR101929195B1 (ko) 건물 에너지 효율 등급과 연계한 부하 예측 기반 빌딩 제어 장치
KR101759239B1 (ko) 직접 외기 이용 방식의 항온항습장치
Rumsey et al. Chilled beams in labs: eliminating reheat & saving energy on a budget
JP2013160493A (ja) 換気制御システム
US11659693B2 (en) Heat removal systems and methods
JP5858360B2 (ja) 栽培空間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栽培空間空調方法
KR101661340B1 (ko) 지하풍을 이용한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
KR101844581B1 (ko)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JP2013015242A (ja) 空調運転制御システム
JPWO2017170491A1 (ja) 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333355A (ja) 空調システム
JP7045710B2 (ja) 輻射熱利用建築物
JP4345965B2 (ja) 空調システム
CN205227619U (zh) 一种通讯基站热管调温装置
CN204853685U (zh) 数据中心的二维动态送风节能系统
US20230255001A1 (en) Heat removal systems and methods
JP6286796B2 (ja) 建物換気システム
JP2013036719A (ja) 空調システム
CN113483376A (zh) 一种仓储环境下快速干燥空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