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082B1 -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082B1
KR101659082B1 KR1020100031347A KR20100031347A KR101659082B1 KR 101659082 B1 KR101659082 B1 KR 101659082B1 KR 1020100031347 A KR1020100031347 A KR 1020100031347A KR 20100031347 A KR20100031347 A KR 20100031347A KR 101659082 B1 KR101659082 B1 KR 10165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execution
portable terminal
control logic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988A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3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08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 부여를 검토하고, 상기 검토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함으로써, ARM 기술없이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APPLICATION INSTALLE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되는 기능 및 서비스가 점차 확대되어, 이제, 휴대용 단말기는 컴퓨터와 유사한 구현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는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등의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메신저, MS 워드,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컨텐츠(contents)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창작물은 작성자나, 만든 회사에 배타적 권리가 있기 때문에,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대가를 지불하거나, 인증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DRM이나, ARM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창작물에 대한 불법적인 사용을 막고있다.
이러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해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즉, DRM은 불법 복제와 변조를 방지하는 기술 등을 제공한다. 또한, ARM(Application Right Management)도 역시,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취약점이나, 무단 사용을 막아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DRM 또는 ARM 등의 기술들을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비용(Cost) 및 복잡성(Complexity)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용 및 복잡성을 높이지 않으면서,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의 무단 사용을 막거나, 보안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RM이나 DRM을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구매이력정보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지 또는 '실행불가'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 요청 프로세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 부여를 검토하는 검토 프로세서, 및 상기 검토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수신된 구매이력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토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실행권한'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검토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실행불가'가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 부여를 검토하는 단계, 및 상기 검토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ARM이나 DRM을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구매이력정보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지 또는 '실행불가'를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행권한'이 부여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행불가'가 부여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 또는 앱스토어 클라이언트(1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서버로서, 다양한 유료 또는 무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메신저, MS 워드, 게임 등으로 휴대용 단말기(110)에 다운로드하여, 이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앱스토어 클라이언트(130)는 휴대용 단말기(110)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컴퓨터 등의 제2 장치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110)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10)와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앱스토어 클라이언트(130)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기(110)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결국, 앱스토어 클라이언트(13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와 동일한 것으로, 이하 설명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실시예로만 설명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으로부터 실행권한을 부여받은 경우에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로직일 수 있다. 예컨대,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최초로 실행될 때,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으로 '실행권한'을 부여받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구매이력정보와 연동하는 '제2 식별자' 및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와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구매된 경우, 구매이력정보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와 연동하여 생성할 수 있다. 구매이력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일시',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하는 '제1 식별자', 및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행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행키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이 서로 연동하여 생성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경우(구매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으로 휴대용 단말기(110)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실행 요청되면, 휴대용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 부여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상기 수신된 구매이력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매칭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판단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구매이력정보 내에 포함된 제1 식별자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 내에 포함된 제2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구매이력정보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검토 결과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검토 결과로서 '실행권한'이 부여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전송된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검토 결과로서 '실행불가'가 부여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전송된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요청 프로세서(210), 검토 프로세서(220), 제어 프로세서(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실행권한을 부여받은 경우에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로직일 수 있다. 예컨대,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구매이력정보와 연동하는 '제2 식별자' 및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와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무료인 경우, 별도의 절차없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지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유료인 경우, 휴대용 단말기(110)의 사용자로부터 대가를 지불받은 경우에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구매이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매이력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일시(2010.03.21, 00:55),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하는 '제1 식별자',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실행키'를 포함할 수 있다.
실행키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가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이 사전에 맺은 계약에 따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보고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보고된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실행키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가 올바르게 조합된 경우에만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경우, 구매이력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를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전화번호' 또는 휴대용 단말기(110)에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번호'일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250)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상기 수신된 구매이력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와 연관하여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기(11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애플리케이션을 최초로 실행할 때,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 설치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최초로 실행될 때,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실행권한'을 부여받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청 프로세서(210)는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다. 실시예로, 요청 프로세서(210)는 상기 요청 시,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검토 프로세서(22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 부여를 검토한다.
실시예로, 검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되는지 판단하고, 매칭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한다.
도 3은 '실행권한'이 부여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토 프로세서(22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2010.03.21, AA1340, Z6A8)와 휴대용 단말기(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AA1340, B2X1)이 매칭하는지를 판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매이력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일시(2010.03.21),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하는 제1 식별자(AA1340), 및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실행키(Z6A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연동하는 제2 식별자(AA1340), 및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와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인증키(B2X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검토 프로세서(220)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자(AA1340)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제2 식별자(AA1340)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동일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검토 결과(실행권한)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실행권한'이 부여되는 경우, 제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상기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전송된 실행키(Z6A8)와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B2X1)를 조합하여 생성된 'AB82ZX61'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성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검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매칭되지 않는지를 판단하고,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한다.
도 4는 '실행불가'가 부여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검토 프로세서(22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일시(2010.02.28), 제1 식별자(CD3497), 실행키(TV54))와 휴대용 단말기(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제2 식별자(CP3497), 인증키(I3P8))이 매칭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검토 프로세서(220)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자(CD3497)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제2 식별자(CP3497)가 서로 매칭되지 않는 경우(동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98PI)'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실행불가'에 따라, 제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생성된 에러키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상기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전송된 에러키(98PI)와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I3P8)를 조합하여 생성된 'IPI39P88'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실패할 수 있다.
또는, 검토 프로세서(22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구매이력정보가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아, 검색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적이 없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지 않은 것이다. 이 경우, 제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98PI)'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실행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못한다.
또 달리, 애플리케이션이 유료임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하지 않고, 다운로드받은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포함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도,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과 연동되지 않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인증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행 자체가 안될 수도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하지 않고, 다운로드받은 경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제2 식별자를 달리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는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는 실행키 대신에 에러키를 수신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못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실행권한을 부여받은 경우에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로직일 수 있다. 예컨대, 실행권한 제어로직은 구매이력정보와 연동하는 '제2 식별자' 및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와 연동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인증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실행 요청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110)는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참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사전에 휴대용 단말기(110)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2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구매이력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의 식별번호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구매이력정보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을 매칭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구매이력정보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구매이력정보가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검토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실행권한'이 부여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검토 결과로서,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상기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행불가'가 부여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200)은 상기 검토 결과로서,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10) 내에서 상기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검토 결과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검토 결과로서 실행키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110)는 상기 검토 결과로서 에러키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110: 휴대용 단말기
120: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
130: 앱스토어 클라이언트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 요청 프로세서;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하는 검토 프로세서; 및
    상기 '실행권한'의 부여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구매이력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토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불가'의 부여에 따라,
    상기 제어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7. 휴대용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권한'의 부여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구매이력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이력정보에 포함된 실행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실행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이, 상기 구매이력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불가'를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불가'의 부여에 따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과 연동되지 않는 에러키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상기 에러키를 상기 실행권한 제어로직에 포함된 인증키와 조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13. 제7항, 제8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31347A 2010-04-06 2010-04-06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59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347A KR101659082B1 (ko) 2010-04-06 2010-04-06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347A KR101659082B1 (ko) 2010-04-06 2010-04-06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88A KR20110111988A (ko) 2011-10-12
KR101659082B1 true KR101659082B1 (ko) 2016-09-22

Family

ID=4502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347A KR101659082B1 (ko) 2010-04-06 2010-04-06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0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433B1 (ko) 2001-05-14 2006-08-22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 이동 단말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330A (ko) * 2000-11-01 2002-05-09 이원오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소프트웨어 사용인증 시스템
US8522025B2 (en) * 2006-03-28 2013-08-27 Nokia Corporation Authenticating an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433B1 (ko) 2001-05-14 2006-08-22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관리 서버, 이동 단말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988A (ko)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8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drm module
TWI413908B (zh) 用於授證應用程式之彈性授證架構
US86836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of secure removable media
US7788271B2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RU2406116C2 (ru) Миграция цифровой лицензии с первой платформы на вторую платформу
EP1907917B1 (en) Secure software updates
RU2432691C2 (ru) Аппаратур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объекта прав из 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ругому устройству посредством сервера
JP49068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アップデート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US8494965B2 (en) Electronic copyright license repository
US20060168580A1 (en) Software-management system,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US2009018325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uthority
KR20120014561A (ko) 사용자 ⅰd에 기초한 강화된 제품 기능
KR20120017035A (ko) 상태와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상호작용 모델
EP1866821A1 (en) Domain management method and domain context of users and devices based domain system
JP200603117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620811B2 (en) Server device and program management system
US20230088172A1 (en) System for secure provisioning and enforcement of system-on-chip (soc) features
JP4978896B2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端末装置、それら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
KR100802110B1 (ko)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방법 및 그 장치
KR101249343B1 (ko) 디지털 권한 파일의 보호를 위한 방법
US8752193B2 (en) Content binding at first access
KR101659082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1637A (ko)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
US20140133650A1 (en) License Administration Device and License Administration Method
KR100716719B1 (ko) 디.알.엠 기반의 패키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