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152B1 -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152B1
KR101653152B1 KR1020100000586A KR20100000586A KR101653152B1 KR 101653152 B1 KR101653152 B1 KR 101653152B1 KR 1020100000586 A KR1020100000586 A KR 1020100000586A KR 20100000586 A KR20100000586 A KR 20100000586A KR 101653152 B1 KR101653152 B1 KR 10165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antenna
circuit board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0399A (en
Inventor
임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152B1/en
Publication of KR2011008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3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2Check- or non-return valves designed to open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flow rate has been reached, e.g. check valve actuated by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 A61M2039/2446Flexible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4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making noise when used incorrect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부와, 상기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부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접지시키도록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부에 형성되는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접지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도전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비도전 영역, 및 상기 제2 안테나부가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를 연결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apparatus. The antenna apparatus includes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and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A first conductiv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part to ground the first antenna part and formed on the circuit board part, and a second conductive part formed to ground the second antenna part, Conducti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so a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from each other, and a non-conductive region formed between the non-conductive region and the non-conductive region so that the second antenna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And a signal transmiss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across the conductive region.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in a multi-frequency band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antenna devic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the complex functions of such multimedia devic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 방안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하며, 안테나부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attempts, it may be considered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s of the hardware and the like. These improvements include structural changes and improvements for the user to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and can be considered for the antenna unit.

본 발명은 멀티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부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ntenna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in a multi-frequency band.

본 발명의 보다 송수신을 향상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proved antenna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devi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안테나 장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부와, 상기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부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접지시키도록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부에 형성되는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접지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도전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비도전 영역, 및 상기 제2 안테나부가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를 연결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apparatus including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to process the radio signals, A first conductiv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part to ground the first antenna part and formed on the circuit board part and a second conductiv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part to ground the second antenna part, A non-conductive area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from each other; and a non-conductive area formed between the non-conductive area and the non- And a signal transmiss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across the region.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는 각각 상기 회로기판부의 일 레이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비도전 영역과 상기 회로기판부의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are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respectively.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may be defined by edges of the non-conductive region and the circuit board por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안테나부는 도전층과 안테나 패턴이 적층되는 칩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제1 도전부에 대하여 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enna portion is formed of a chip antenna in which a conductive layer and an antenna pattern are stacked, and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with a smaller area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비도전 영역은 상기 회로기판부의 서로 평행한 양 모서리에서 서로를 향하여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비도전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서로 마주보는 비도전부들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conductive regions include a plurality of non-conductive portions each projecting toward each other at two corners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non-conductive parts facing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회로기판부의 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비도전 영역은 상기 회로기판부의 일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 상에 형성된다. 안테나 장치는 연장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라인은 상기 신호 전달부의 신호 전달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부로 연장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transferring portion is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and the non-conducting region is formed on a layer different from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The antenna device may include an extension line. An extension line extends from the second antenna portion to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across the non-conductive region to reduce signal transmission loss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및 제2 신호라인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신호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와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유전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영역은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라인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라인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transfer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respectively, and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ignal transfer unit may include a dielectric region. The dielectric region is made of a dielectric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body and the antenna device mounted to the terminal body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회로기판과 제2 안테나부를 분리함에 따라 제1 및 제2 안테나부에서 발생하는 뮤추얼 커플링(mutual coupling)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안테나 성능이 향상된다.The antenna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influence of mutual coupling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by separa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antenna unit . This also improves antenna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신호전달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안테나부의 접지가 서로 분리됨에 따른 신호손실을 보강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signal loss due to separation of the ground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120)에 대한 분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안테나 장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다른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ody 120 of Figure 2;
4A and 4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concept of the antenna device of FIG. 3;
5A and 5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n antenna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10, 이하 '바디'라 함)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A bod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body 1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120 )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a communication mode in an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etc.)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a front case 111 and a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3, the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a TOLED (Transparent OLED) module for visually expressing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d to enable information input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t the time of touch. This can be realized by a haptic module interlocked with the display unit 113. [ A typical example of a haptic effect generated by a haptic module is vibration. The haptic module may be variously arrang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well as the display unit 113. [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은 디스플레이부(113)와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unit 116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113.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1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10. [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and the interface 126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 123, 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portions 116, 123 and 124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a touch operation of the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Can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ing,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numbers, characters, symbols, and the like. Also, the third operation unit 124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or the like.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interface 126 is a path for allow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6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26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power supply 127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formed on the rear case 122 side. The power supply unit 127 may include,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to supply power. The battery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or the like.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low pixels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9 and a mirror 130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flash 129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The mirror unit 130 allows the user to illuminate the user's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picture of himself / her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and the like are disposed in the second body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128 to 131 described as being arranged in the rear case 122,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mainly the rear case 112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it. 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arranged in the rear case 112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20. Furth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is not separately provided.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nd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31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블루투스 통신 또는 GPS 통신 등을 위한 안테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상기 안테나부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unit for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or GPS communication. In the rear case 112,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ntenna 132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o the antenna unit. The antenna 132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erminal body 110.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A part of the slide module 133 which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disposed on the rear case 112 side of the first body 110.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3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121 side of the second body 1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is figure.

도 3은 도 2의 제2 바디(120)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안테나 장치(140)의 개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ody 120 of FIG. 2, and FIGS. 4a and 4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concept of the antenna device 140 of FIG.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는 무선 신호(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140)가 장착된다.An antenna device 140, which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more specifically, a radio electromagnetic wave), is mount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안테나 장치(140)는 복수의 안테나부(141, 142)와 회로기판부(143)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부(141, 142)는 제1 및 제2 안테나부(141, 14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테나부가 추가될 수 있다. The antenna apparatus 140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 units 141 and 142 and a circuit board unit 143. The plurality of antenna units 141 and 14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141 and 14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 antenna unit may be added.

제1 및 제2 안테나부(141, 142)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안테나부(141, 142)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안테나가 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141 and 142 are formed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141 and 142 may be the same type of antennas or may be different types of antennas.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부(141)는 도전성 방사체(141a) 및 캐리어(141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antenna unit 141 may include a conductive radiator 141a and a carrier 141b.

도전성 방사체(141a)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어 금, 동 등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방사체(141a)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122)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무선 신호는 주로 리어 케이스(122)를 관통하여 송수신된다.The conductive radiator 141a may be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gold, copper, or the like. The conductive radiator 141a is formed in a patter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case 122. [ Accordingly,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inly through the rear case 122.

캐리어(141b)는 일면에 도전성 방사체(141a)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캐리어(141b)에는 도전성 방사체(141a)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도전성 방사체(141a)의 일단은 관통공을 통과하여 회로기판부(143)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절곡된 부분은 회로기판부(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도전성 방사체(141a)는 회로기판부(143)에 급전된다.The carrier 141b is formed so that the conductive radiator 141a is seated on one surface. One end of the conductive radiator 141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The conductive radiator 141a has a through hole, The ben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radiator 141a is f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

회로기판부(143)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부(141, 14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부(143)는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70, 도 10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141 and 142, respectively, to process a radio signal. The circuit board unit 143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ler 170 (see FIG. 10)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제2 안테나부(142)는 칩 안테나(chip antenna)로 이루어진다. 칩 안테나는 하나의 칩을 이루도록 집적화된 안테나를 의미하며, 도전층과 안테나 패턴 등이 적층됨에 따라 소형화된다. 상기 도전층은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 패턴을 접지시킨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부(142)는 보조 회로기판부(144)에 표면 실장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부(143)를 사이에 두고 제1 안테나부(141)와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antenna unit 142 is a chip antenna. A chip antenna refers to an antenna integrated to form a single chip, and is miniaturized as a conductive layer and an antenna pattern are stacked. The conductive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pattern to ground the antenna pattern. The second antenna unit 142 may be surface mounted on the auxiliary circuit board unit 144 and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ntenna unit 141 with the circuit board unit 143 interposed therebetween .

도 3에 의하면, 회로기판부(143) 및 보조 회로기판부(144)는 연결 케이블(145)이나 연성회로기판 등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회로기판부(143)에서는 제2 안테나부(142)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3,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and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ortion 14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cable 145, a flexible circuit board, or the like.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the circuit board part 143 can process a radio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from the second antenna unit 142.

제1 및 제2 안테나부(141, 142)는 회로기판부(143)와 연결되어,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주파수 대역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141 and 142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unit 143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requency bands may be a higher frequency band than the other.

예를 들어, 제1주파수 대역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LTE (Long Term Evolution) 방식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llocated to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scheme,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llocated to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cheme, a Long Term Evolution Frequency band.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회로기판부(143)에는 제1 도전부(145)가 형성된다. 제1 도전부(145)는 상기 제1 안테나부(141)를 접지시키도록 상기 제1 안테나부(141)와 연결되며, 이를 통하여 제1 안테나부(141)의 그라운드(ground)를 형성한다. 회로기판부(143)는 도전성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레이어를 구비하며, 각 레이어 사이에는 유전체가 충전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도전부(145)는 상기 회로기판부(143)의 일 레이어에 형성된다. 4A and 4B, a first conductive part 145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part 143. As shown in FIG. The first conductive part 145 is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part 141 to ground the first antenna part 141 and forms a ground of the first antenna part 141.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has a plurality of layers formed to be conductive, and a dielectric may be filled between the layers. According to the illustration,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45 is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안테나 장치(140)는 제2 도전부(146) 및 비도전 영역(147)을 포함한다.The antenna device 140 includes a second conductive portion 146 and a non-conductive region 147.

제2 도전부(146)는 제2 안테나부(142)를 접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도전부(146)는 회로기판부(143)에서 상기 제1 도전부(145)가 형성되는 레이어상에 형성된다.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146 is configured to ground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second conductive portion 146 is formed on a layer on which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45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비도전 영역(147)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145, 146)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145, 146)의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전 재질이 회로기판부(143)의 일 레이어를 덮도록 형성되고, 도전 재질의 일부가 벗겨진 비도전 영역(147)이 구성된다. 벗겨진 부분이 비도전 영역(147)을 형성하게 되고, 제1 및 제2 도전부(145, 146)는 물리적으로 서로 단절하게 된다.The nonconductive region 147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145 and 146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145 and 146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to cover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and a nonconductive region 147 in which a part of the conductive material is peeled off is formed. The peeled portion forms the nonconductive region 147,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145 and 146 are physically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제2 도전부(146)는 비도전 영역(147)과 회로기판부(143)의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즉, 제2 도전부(146)는 회로기판부(143)의 일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전부(146)는 상기 제1 도전부(145)에 대하여 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142)가 별도의 도전층에 의하여 접지되는 칩 안테나이므로 제2 안테나부(142)의 접지를 형성하는 제2 도전부(146)의 면적이 제1 도전부(145)보다 작아질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146 may be defined by the intersecting edges of the non-conductive region 147 and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That is,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146 may be formed at one corn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146 may be formed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45. Since the second antenna unit 142 is a chip antenna grounded by a separate conductive layer, the area of the second conductive unit 146 forming the ground of the second antenna unit 14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unit 145 Can be.

상기와 같이, 비도전 영역(147)에 의하여 회로기판 일 레이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1 도전부(145)는 제2 안테나부(142)와 분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145 occupying most of the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by the non-conductive region 147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일반적으로 복수의 안테나가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상호 간섭은, 예를 들어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뮤추얼 커플링(mutual coupling)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요구되는 분리(isolation) 등이 될 수 있다. 뮤추얼 커플링이 발생하거나, 분리가 구현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에서 다중입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등의 구현이 어렵게 된다.Generally, when a plurality of antenna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mutual interference occurs. Mutual interference can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mutual coupling that can occur in the same frequency band, isolation required in other frequency bands, and so on. If mutual coupling occurs or isolation is not realized, implementation of multi-input multi-output (MIMO) in a mobile terminal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40)는 복수의 안테나부의 뮤추얼 커플링(mutual coupling)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만약 비도전 영역(147)이 없다면, 제1 및 제2 도전부(145, 146)가 하나의 접지를 형성하므로 복수의 안테나부에 대한 뮤추얼 커플링이 발생할 것이다.The antenna apparatus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fluence of mutual coupling of a plurality of antenna units. If there is no non-conductive region 147,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145 and 146 will form a single ground, so that a mutual coupling to a plurality of antenna portions will occur.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140)는 신호 전달부(148)를 포함한다. 신호 전달부(148)는 제2 안테나부(142)가 회로기판부(1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147)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145, 146)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신호 전달부는 트레이스 라인(trace line)이 될 수 있다.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트레이스 라인은 회로기판부(143)의 출력 전자기파를 각각 제2 안테나부(142)까지 전달한다. 신호 전달부(148)는 회로기판부(143)의 일 레이어에 형성되는 패턴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antenna device 140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148.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8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145 and 146 across the nonconductive region 147 so that the second antenna unit 1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 Connect. For example, the signal transfer portion may be a trace lin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radio signal, the trace line transfers the output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to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respectively. The signal transmitting portion 148 may be a pattern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143. [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들이다. 5A and 6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도전부(245)는 회로기판부(243)에 배치되고, 제2 도전부(246)는 보조 회로기판부(244)에 배치된다. 5A and 5B,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245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portion 243, and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246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ortion 244. Referring to FIGS.

회로기판부(243)와 보조 회로기판부(244)는 서로 이격되며, 이격된 부분이 비도전 영역(247)을 형성하게 된다.The circuit board portion 243 and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ortion 244 are spaced from each other and the spaced apart portions form a nonconductive region 247. [

신호 전달부(248)는 제2 안테나부(142, 도 3 참조)가 회로기판부(2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247)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245, 246)를 연결한다. 신호 전달부(248)의 양단은 각각 회로기판부(243) 및 보조 회로기판부(246)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단자들(251, 25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24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245 and 242 across the non-conductive region 247 such that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see FIG. 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243, , 246). Both ends of the signal transmitting portion 248 may be coupled to connection terminals 251 and 252 which are surfac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ortion 243 and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ortion 246, respectively.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도전부(345)는 회로기판부(343)에 배치되고, 제2 도전부(346)는 보조 회로기판부(344)에 배치된다. 6A and 6B,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345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portion 343, and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346 is disposed on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ortion 344. Referring to FIGS.

회로기판부(343)의 일 레이어에서 회로기판부(343)의 일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은 도전 재질이 벗겨지고, 보조 회로기판부(344)의 제2 도전부(346)는 상기 도전 재질이 벗겨진 부분으로 연장된다. 제2 도전부(346)는 상기 도전 재질이 벗겨진 부분에서 제1 도전부(345)와 이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The conductive material is peeled off from a part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343 adjacent to one corn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343 and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346 of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ortion 344 is peeled off Lt; / RTI >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346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345 at the portion where the conductive material is peeled off.

신호 전달부(348)는 제2 안테나부(142, 도 3 참조)가 회로기판부(3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347)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345, 346)를 연결한다. 신호 전달부(348)의 일단은 회로기판부(343)에 표면실장되는 연결단자(351)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단자(351)는 제1 도전부(345)의 경계부분에 배치되며, 모바일 스위치(mobile switch)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단자(351)로부터 신호 전달부(348)를 경유하여 제2 안테나부(142)로 연결되는 무선신호 송수신 경로가 구현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34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345 and 345 across the non-conductive region 347 such that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see FIG. 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ortion 343. [ , 346). One end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348 may be coupled to a connection terminal 351 that is surfac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portion 343. The connection terminal 351 is disposed at a boundary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345 and may be a mobile switch. And a radio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unit 142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351 via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348 can be implemented.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신호전달부의 신호전달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signal transmission loss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g.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도전부(445, 446)는 각각 회로기판부(443) 및 보조 회로기판부(444)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445 and 446 are formed on the circuit board part 443 and the auxiliary circuit board part 444, respectively.

신호 전달부(448)는 제1 및 제2 신호라인(453, 45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신호라인(453, 454)은 제1 및 제2 도전부(445, 446)와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신호 전달부(448)에는 유전체 영역(455)이 형성된다. 유전체 영역(455)은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신호라인(453, 454)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신호라인(453, 454)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다. 유전체 영역(455)에는 제1 및 제2 신호라인(453, 454)과 평행한 보조라인(456)가 형성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448 includes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453 and 454.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453 and 454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445 and 446, respectively, and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A dielectric region 455 is formed in the signal transfer portion 448. The dielectric region 455 is made of a dielectric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453 and 45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453 and 454, respectively. An auxiliary line 456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453 and 454 may be formed in the dielectric region 455.

상기 구조에 의하여 신호전달부에 의한 신호전달 손실을 저감될 수 있다. 즉, 신호 전달부(448)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부(445, 446)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신호 전달부(448)가 전자기파 유도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도전부(445, 446)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에 따라 신호전달 손실이 저감된다.The signal transmission loss due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can be reduced by the above structur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445 and 446 are not directly connected by the signal transfer portion 448 and the signal transfer portion 44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445 And 446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ignal transmission loss is reduced.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8A and 8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에 의하면, 신호 전달부(548)는 상기 회로기판부(543)의 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며, 비도전 영역(547)은 회로기판부(543)의 일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 상에 형성된다. 비도전 영역(547)은 제1 및 제2 도전부(545, 546)가 분리되도록 각 레이어에 형성되며, 신호 전달부(548)는 제1 및 제2 도전부(545, 546)와 다른 레이어 상에서 연장되고, 회로기판부(543)의 두께 방향, 즉 회로기판부(543)의 레이어들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도전부(545)와 제2 안테나부(142, 도 1 참조)를 연결시킨다.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548 is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543 and the nonconductive region 547 is formed on another layer and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543. The nonconductive region 547 is formed in each lay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545 and 54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54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545 and 546, And is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543, that is, in the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layers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543,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545 and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see Fig. 1) .

도시에 의하면, 신호 전달부(548)의 신호 전달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비도전 영역(547)을 가로질러 제2 안테나부(142)로부터 제1 도전부(545)로 연장되는 연장라인(557a, 557b)을 포함한다. 연장라인(557a, 557b)은 신호 전달부(548)를 사이에 두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llustrative embodiment, extension lines 557a, 557b extending from the second antenna portion 142 to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545 across the non-conductive region 547 to reduce the signal transmission loss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548, 557b. The extension lines 557a and 557b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sandwic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548 therebetween.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회로기판부(643)의 서로 마주보는 양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제1 및 제2 안테나부(641, 642)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안테나부(641, 642)는 회로기판부(6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641 and 642 are disposed adjacent to opposite edges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643.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units 641 and 6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unit 643 and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도시에 의하면, 제1 및 제2 도전부(645, 646)은 각각 회로기판부(643)의 일 레이어 상에 형성된다. 비도전 영역(647) 및 신호 전달부(648)는 각각 상기 회로기판부(643)의 일 레이어 상에서 제1 및 제2 도전부(645, 646)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접지층이 비도전 영역(647) 및 신호 전달부(648)를 구비하도록 패턴화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645 and 646 are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643, respectively. The nonconductive region 647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648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645 and 646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643, respectively. That is, the ground layer is patterned to have the nonconductive region 647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648.

비도전 영역(647)는 복수의 비도전부들(647a, 647b)을 포함한다. 비도전부들(647a)은 회로기판부(643)의 서로 평행한 양 모서리에서 서로를 향하여 각각 돌출된다. 신호 전달부(648)는 서로 마주보는 비도전부들(647a, 647b)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부(645, 646)는 서로 분리되나, 신호 전달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The non-conductive region 647 includes a plurality of non-conductive portions 647a and 647b. The non-conductive parts 647a protrude from each other at opposite corners of the circuit board part 643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648 is formed to pass between the non-conductive portions 647a and 647b facing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645 and 64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signal transmission is smooth.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6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131),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26), 방송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0,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n acoustic input unit 125, a display unit 113, An interface 126,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a memory 164, a power supply unit 127, and a control unit 170.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 unit 170 furth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transmission unit 16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and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163).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 the control unit 17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16, 123, and 124 include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8 are stored in the memory 16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sound input unit 125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 mod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5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s displayed and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 unit 170 displays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I, and the GUI.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13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receiv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in the call signal reception mode, the communication mode or the recording mode, the voice recognition mode, Converts the stored sound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166)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66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senses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nd outpu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7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127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6)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6 may include any type of external wireless headset, external charger, wired / wireless data port,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SIM / UIM card)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6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in the mobi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메모리(16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7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In the memory 164,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Such memory 164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s and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into broadcast data formats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m to the controller 170. Furthe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additional data (e.g., EPG (Electric Program Guide), channel list, etc.) related to broadcas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7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와 같은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ntenna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antenna devic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

Claims (10)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부;
상기 무선 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접지시키도록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로기판부에 형성되는 제1 도전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접지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도전부;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비도전 영역; 및
상기 제2 안테나부가 상기 회로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를 연결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비도전 영역과 상기 회로기판부의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A first antenna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 radio signal;
A circuit board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 portions to process the radio signal, respectively;
A first conductiv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part to ground the first antenna part and formed on the circuit board part;
A second conductive part formed to ground the second antenna part;
A non-conductive reg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from each other; And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across the non-conductive area so that the second antenna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art,
And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is defined by the edges of the non-conductive region and the circuit board por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는 각각 상기 회로기판부의 일 레이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ortions are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부는 도전층과 안테나 패턴이 적층되는 칩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전부는 상기 제1 도전부에 대하여 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ntenna unit comprises a chip antenna in which a conductive layer and an antenna pattern are stacked,
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portion is formed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회로기판부의 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비도전 영역은 상기 회로기판부의 일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is formed on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Wherein the non-conductive region is formed on a layer different from one layer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의 신호 전달 손실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비도전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상기 제1 도전부로 연장되는 연장라인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extension line extending from the second antenna portion to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across the non-conductive region so as to reduce a signal transmission loss of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및 제2 도전부와 각각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fer unit comprises:
And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rts and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라인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라인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는 유전체 영역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transfer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dielectric region which is made of a dielectric and which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gnal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 영역은 상기 회로기판부의 서로 평행한 양 모서리에서 서로를 향하여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비도전부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conductive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nonconductive portions each protruding toward each other at two corners of the circuit board portion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서로 마주보는 비도전부들의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formed to penetrate between non-conductive parts facing each other.
KR1020100000586A 2010-01-05 2010-01-05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53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86A KR101653152B1 (en) 2010-01-05 2010-01-05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86A KR101653152B1 (en) 2010-01-05 2010-01-05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99A KR20110080399A (en) 2011-07-13
KR101653152B1 true KR101653152B1 (en) 2016-09-01

Family

ID=4491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586A KR101653152B1 (en) 2010-01-05 2010-01-05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1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0505B2 (en) * 2002-07-01 2005-03-22 Integral Technologies, Inc. Multi-segmented planar antenna with built-in ground pl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99A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731B1 (en) Mobile terminal
KR101580126B1 (en) Portable terminal
US8049670B2 (en) Portable terminal
EP2280490B1 (en) Mobile terminal
KR10151070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04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8525739B2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3799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6258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59024B1 (en) Mobile terminal
KR10159534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95161B1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20664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101653152B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04235A (en) Portable terminal
KR100976377B1 (en) Portable terminal
KR101832968B1 (en) Mobile terminal
KR20090017907A (en) Antenna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13630B1 (en) Multi-band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6382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09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61912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inimizing mic noise thereof
KR20110018208A (en) Portable terminal
KR101453907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