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754B1 - 커피 드립 머신 - Google Patents

커피 드립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754B1
KR101652754B1 KR1020150061204A KR20150061204A KR101652754B1 KR 101652754 B1 KR101652754 B1 KR 101652754B1 KR 1020150061204 A KR1020150061204 A KR 1020150061204A KR 20150061204 A KR20150061204 A KR 20150061204A KR 101652754 B1 KR101652754 B1 KR 10165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hopper
drip
moving mem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택
Original Assignee
이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택 filed Critical 이기택
Priority to KR102015006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드립 머신으로서, 컵받침부; 상기 컵받침부 상측에 배치되고 호퍼가 구비되며 호퍼 상측에서 낙하되는 액체를 호퍼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컵받침부 측으로 낙하시키는 호퍼부; 일단은 물이 저장된 물통과 연결되고 타단은 물통의 물이 상기 호퍼 내부로 낙하되도록 배치된 튜브; 및 상기 호퍼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 타단을 상기 호퍼의 상면 상측에서 X-Y축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X-Y축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드립부; 상기 물통이 포함되고, 일측면에 상기 컵받침부와 호퍼부 및 드립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 스탠드; 를 포함하는 커피 드립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된 분쇄커피 상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물을 낙하시키며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맛 그리고 분쇄 커피의 종류에 따라 그 커피 맛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커피 드립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드립 머신{COFFEE DRIP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드립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에 수용된 분쇄커피 상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물을 낙하시키며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맛 그리고 분쇄 커피의 종류에 따라 그 커피 맛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커피 드립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피 드립 머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를 좋아하고 즐겨 마시는 사람들이 급증함에 따라, 내려마시는 커피, 즉 드립 커피에 대한 관심 역시 크게 증가하고, 아울러 트립 커피를 제조하는 드립 커피 머신에 대한 관심 및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드립 커피 머신은, 분쇄 커피가 수용되는 호퍼부 상부에서 히팅된 물을 고정된 자리에서 일직선으로 내려 마시는 드립 커피 머신만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원두 커피의 경우, 히팅된 물을 분쇄 커피가 수용된 호퍼에 어떠한 형태로 드립하는가 여부 그리고 어떠한 높이에서 드립하는가 여부 그리고 어느 정도 속도로 회전하며 드립하는가 여부 등에 따라 커피의 맛에 미세한 영향을 미치게 되나, 기존의 커피 드립 머신은 단순히 고정된 자리에서 히팅된 물을 호퍼측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구성만이 제공되고 있는 바, 그러한 미세한 커피 맛에 대한 차이를 실현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87660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컵받침부와 호퍼부와 드립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립부에는 물통의 물이 낙하되는 튜브의 타단을 호퍼부 상측에서 X-Y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X-Y축 이송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분쇄 커피 등이 수용되는 호퍼에 물이 낙하되는 궤적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드립 머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립부가 상기 스탠드를 따라 Z축 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Z축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분쇄 커피 등이 수용되는 호퍼에 물이 낙하 낙하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드립 머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피 드립 머신으로서, 컵받침부; 상기 컵받침부 상측에 배치되고 호퍼가 구비되며 호퍼 상측에서 낙하되는 액체를 호퍼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컵받침부 측으로 낙하시키는 호퍼부; 일단은 물이 저장된 물통과 연결되고 타단은 물통의 물이 상기 호퍼 내부로 낙하되도록 배치된 튜브; 및 상기 호퍼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 타단을 상기 호퍼의 상면 상측에서 X-Y축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X-Y축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드립부; 상기 물통이 포함되고, 일측면에 상기 컵받침부와 호퍼부 및 드립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 스탠드;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X-Y축 이송수단은, 상기 드립부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배치된 X축 이송라인과 X축 가이드라인; X축 모터에 의해 상기 X축 이송라인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제1 X축 이동부재와, 상기 X축 이송라인과 연결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X축 가이드라인을 따라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 및 연결라인과 함께 이동되는 제2 X축 이동부재;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와 제2 X축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된 Y축 이송라인; 및 Y축 모터에 의해 상기 Y축 이송라인을 따라 그리고 상기 연결라인에 지지되며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Y축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의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상기 호퍼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Y축 이동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 타단이 기 설정된 X-Y평면 이동궤적을 따라 상기 호퍼 상측면 상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X축 모터와 Y축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Z축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Z축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드립부를 상기 호퍼부 상측에서 상기 스탠드의 일측면을 따라 Z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Z축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립부가 기 설정된 Z축 이동궤적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Z축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컵받침부는, 상면에 컵이 배치되고, 상기 컵받침부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컵받침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의 타단부가 상기 Y축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튜브와 Y축 이동부재를 결합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에 수용된 분쇄커피 상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물을 낙하시키며 드립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맛 그리고 분쇄 커피의 종류에 따라 그 커피 맛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드립 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커피 드립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커피 드립 머신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인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X-Y축 이송수단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로서, 상기 도 1에 표시된 A-A'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X축 모터와 Y축 모터와 제어부 및 드립 궤적 조절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Z축 이송수단이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로서, 도 1에 표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Z축 이송수단이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1에 표시된 A-A'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X축 모터와 Y축 모터와 Z축 모터와 제어부 및 드립 궤적 조절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호퍼부가 스탠드과 힌지결합되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커피 드립 머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징하는 X, Y, Z축 방향은 도 1 내지 도 6, 도 8, 도 9 및 도 11에 표시된 방향에 따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커피 드립 머신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표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인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커피 드립 머신은 컵받침부(300), 호퍼부(400), 튜브(200), 드립부(500) 및 스탠드(100)를 포함한다.
상기 컵받침부(300)와 호퍼부(400) 및 드립부(500)는 상기 스탠드(100)에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결합된다.
상기 컵받침부(300)는 상기 호퍼부(400) 아래에서 상기 호퍼(400)를 통해 낙하되는 커피를 수용하는 컵(800)이 배치되는 수단이다.
상기 컵 받침부(300)는 상기 컵(800)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1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10) 상측면에는 상기 컵(800)의 하부면이 상기 호퍼부(400)에서 낙하되는 커피의 낙하 지점에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가이드 형상(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10)는 상기 컵받침부(300)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컵받침부로 인입되도록 겹쳐지도록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컵받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10)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컵받침부로부터 인출 및 인입시키도록 잡을 수 있는 손잡이(330)가 형성된다.
상기 호퍼부(400)는 상기 컵받침부(30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하로 대향되도록 상기 스탠드(100)에 결합된다.
상기 스탠드(100)는 상기 물통(110)이 포함되고, 일측면에 상기 컵받침부(300)와 호퍼부(400) 및 드립부(500)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탠드에는 상기 물통(110)에 저장된 물을 튜브(200)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펌프(120)를 포함하고, 상기 물이 가열된 후 튜브의 타단을 통해 낙하되도록 하는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부(400)에는 상기 드립부(500)에서 낙하되는 물이 수용되고 수용된 물이 상기 컵받침부(300)로 낙하되도록 하는 토출구(411)가 구비된 호퍼(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호퍼(410)는 상측면의 직경이 크고 하측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 즉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액체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4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퍼(410) 내부에는 분쇄된 커피 또는 찻잎 등이 수용되고, 상기 드립부(500)에서 낙하되는 물에 의해 커피 액 또는 차 액이 사기 토출구(411)를 통해 컵받침부(300) 상에 배치된 컵(800) 안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드립부(500)는 상기 호퍼부(40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하로 대향되도록 상기 스탠드(100)에 결합된다.
상기 드립부(500)는 상기 호퍼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 타단을 상기 호퍼 상면 상측에서 X-Y축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X-Y축 이송수단(5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드립부(500)는 상측면과 하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드립부(500)는, 일단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물통의 물이 상기 호퍼(410) 내부로 낙하되도록 배치된 튜브(200)의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상기 호퍼(410)로 향해 낙하되도록 상기 튜브 타측을 지지한다.
도 5 및 도 6은 X-Y축 이송수단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로서, 상기 도 1에 표시된 A-A'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X축 모터와 Y축 모터와 제어부 및 드립 궤적 조절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드립부(500)는 상기 튜브 타단이 상기 호퍼(410)의 상면 상측에서 X-Y축 평면, 즉 상기 호퍼의 상면과 대략 평행인 면 상에서 X-Y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X-Y축 이송수단(520)을 포함한다.
상기 X-Y축 이송수단(520)은 상기 드립부(500)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배치된 X축 이송라인(511)과 X축 가이드라인(522)을 포함하고, X축 모터(525)에 의해 상기 X축 이송라인(511)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제1 X축 이동부재(523)와, 상기 X축 이송라인(511)과 연결라인(526)으로 연결되어 상기 X축 가이드라인(522)을 따라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523) 및 연결라인(526)과 함께 이동되는 제2 X축 이동부재(524)를 포함한다.
이때,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523)와 제2 X축 이동부재(524)에 각각 연결된 Y축 이송라인(527)과, Y축 모터(529)에 의해 상기 Y축 이송라인(527)을 따라 그리고 상기 연결라인(526)에 지지되며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Y축 이동부재(528)를 포함한다.
즉, 상기 X-Y축 이송수단(520)은 X축 모터(525)에 의해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523)가 상기 X축 이송라인(511)을 따라 왕복 이동되고, 이에 연동되어 상기 연결라인(526)으로 연결된 제2 X축 이동부재(524)가 상기 X축 가이드라인(522)를 따라 함께 왕복 이동되되,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와 제2 X축 이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라인(526)에 지지되고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와 제2 X축 이동부재와 함께 이동되도록 연결된 Y축 이송라인(527)을 따라 Y축 모터(529)에 의해 상기 Y축 이동부재(528)이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X축 모터(525)와 Y축 모터(529)의 동작에 의해 상기 Y축 이동부재(528)가 X-Y축 평면 상의 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튜브(200)는 상기 튜브의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상기 호퍼(410)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Y축 이동부재(528)에 결합된다.
즉, 상기 X축 모터(525)와 Y축 모터(529)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튜브(200)의 타단이 상기 Y축 이동부재(528)와 함께 이동되며 물을 낙하함으로써, 상기 호퍼(20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 또는 찻잎위로 X-Y축 평면 상에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물이 낙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드립 머신은 상기 튜브(200) 타단이 기 설정된 X-Y평면 이동궤적을 따라 상기 호퍼(410) 상측면 상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X축 모터(525)와 Y축 모터(529)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드립 머신은 상기 X-Y축에 의해 형성되는 X-Y 평면 상에서 상기 튜브(200)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물의 궤적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드립 궤적 조절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드립 궤적 조절부(700)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X-Y 평면상의 궤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X-Y 평면 궤적 선택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호퍼(410) 상측면으로 낙하되는 물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상기 튜브 타단의 이동 궤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X-Y 평면 궤적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립 궤적 조절부(700)는 설정된 X-Y평면 궤적을 따라 상기 튜브 타단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X축 모터와 Y축 모터의 RPM을 제어하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립 궤적 조절부(700)는 상기 제어부(600)와 연결되고, 드립 궤적 조절부에서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X축 모터와 Y축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8은 Z축 이송수단이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로서, 도 1에 표시된 B-B'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Z축 이송수단이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1에 표시된 A-A'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며, 도 10은 X축 모터와 Y축 모터와 Z축 모터와 제어부 및 드립 궤적 조절부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드립 머신은 Z축 이송수단(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Z축 이송수단(530)은 Z축 모터(533)를 포함하고, 상기 Z축 모터(533)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드립부(500)를 상기 호퍼부(400) 상측에서 컵받침부(300)와 호퍼부(400) 및 드립부(500)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스탠드의 일측면을 따라 Z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Z축 이송수단(530)은 상기 드립부(500) 자체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컵받침부(300)와 호퍼부(400) 및 드립부(500)가 결합되는 상기 스탠드(100) 측면 중 상기 호퍼부(400) 상측의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 Z축 이송라인(531)이 결합되고, Z축 모터(533)에 의해 상기 Z축 이송라인(531)을 따라 상하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Z축 이동부재(5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드립부(500)는 상기 Z축 이동부재(532)에 결합되어 상기 Z축 이동부재(532)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스탠드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드립부(500)가 기 설정된 Z축 이동궤적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Z축 모터(533)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600)에는 상기 Z축 방향으로 상기 드립부와 상기 호퍼 사이 간격, 보다 구체적으로 물이 상기 호퍼(410)로 낙하되는 상기 튜브 타단과 상기 호퍼(구체적으로, 상기 호퍼의 상측면) 사이의 간격인 낙하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드립 궤적 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립 궤적 조절부는 하나 이상의 Z축 이동궤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Z축 궤적 선택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드립부의 Z축 방향 이동 궤적이 결정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Z축 궤적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X-Y축 이송수단과 Z축 이송수단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에서 상기 X축 모터와 Y축 모터 및 Z축 모터의 동작이 모두 제어되며, 상기 드립 궤적 조절부에서 상기 X-Y 평면 상에서 상기 튜브의 타단이 이동되는 X-Y평면 이동궤적과 상기 낙하거리가 설정되는 경우, 물이 호퍼(410)로 낙하되는 튜브(200)의 타단은 X-Y-Z축, 즉 상기 호퍼 상에서 공간적으로 형성된 3차원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되며 물이 낙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브 타단이 기 설정된 X-Y평면 이동궤적을 따라 상기 호퍼 상측면 상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X축 모터와 Y축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드립부가 기 설정된 Z축 이동궤적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Z축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드립 궤적 조절부에서 설정 또는 선택된 X-Y평면 이동궤적과 Z축 이동궤적을 따라 물이 상기 호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드립 머신은 분쇄된 커피 등이 수용된 깔대기 형태의 상기 호퍼 상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형태의 물 낙하 궤적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물이 낙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커피 기호에 따라 물의 드립 형태 및 궤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X-Y축 이송수단은 상기 튜브를 홀딩하는 홀더(528-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홀더(528-1)는 상기 튜브의 타단부가 상기 Y축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튜브와 Y축 이동부재를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도 11은 호퍼부가 스탠드과 힌지결합되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호퍼부(400)는 상기 스탠드(100)에 결합되되, 상기 스탠드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부(450)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즉, 호퍼부(400)가 상기 컵받침부와 드립부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사용된 후, 상기 호퍼부(400)의 호퍼에 수용되는 거름종이 등을 교체하는 경우, 상기 호퍼부(400)를 상기 힌지부(450)를 기준으로 회동시켜 쉽고 편리하게 거름종이 등을 교체하거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탠드 110: 물통
120: 펌프 200: 튜브
300: 컵받침부 310: 슬라이딩 플레이트
330: 손잡이 400: 호퍼부
410: 호퍼 411: 토출구
450: 힌지부 500: 드립부
511: 제1 지지바 512: 제2 지지바
520: X-Y축 이송수단 530: Z축 이송수단
600: 제어부 700: 드립 궤적 조절부

Claims (6)

  1. 커피 드립 머신으로서,
    컵받침부;
    상기 컵받침부 상측에 배치되고 호퍼가 구비되며 호퍼 상측에서 낙하되는 액체를 호퍼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컵받침부 측으로 낙하시키는 호퍼부;
    일단은 물이 저장된 물통과 연결되고 타단은 물통의 물이 상기 호퍼 내부로 낙하되도록 배치된 튜브; 및
    상기 호퍼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튜브 타단을 상기 호퍼의 상면 상측에서 X-Y축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X-Y축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드립부;
    상기 물통이 포함되고, 일측면에 상기 컵받침부와 호퍼부 및 드립부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 스탠드;
    Z축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Z축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드립부를 상기 호퍼부 상측에서 상기 스탠드의 일측면을 따라 Z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Z축 이송수단;
    상기 드립부가 기 설정된 Z축 이동궤적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Z축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X-Y축 평면 상에서 상기 튜브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물의 궤적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Z 축 방향으로 상기 드립부와 호퍼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물의 낙하거리를 조절하는 드립 궤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Y축 이송수단은,
    상기 드립부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되도록 각각 배치된 X축 이송라인과 X축 가이드라인;
    X축 모터에 의해 상기 X축 이송라인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제1 X축 이동부재와, 상기 X축 이송라인과 연결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X축 가이드라인을 따라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 및 연결라인과 함께 이동되는 제2 X축 이동부재;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X축 이동부재와 제2 X축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된 Y축 이송라인;
    Y축 모터에 의해 상기 Y축 이송라인을 따라 그리고 상기 연결라인에 지지되며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된 Y축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의 타단을 통해 낙하되는 물이 상기 호퍼 내부로 향하도록 상기 Y축 이동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타단이 기 설정된 X-Y평면 이동궤적을 따라 상기 호퍼 상측면 상에서 X-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X축 모터와 Y축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받침부는,
    상면에 컵이 배치되고, 상기 컵받침부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컵받침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단부가 상기 Y축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튜브와 Y축 이동부재를 결합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머신.
KR1020150061204A 2015-04-30 2015-04-30 커피 드립 머신 KR10165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04A KR101652754B1 (ko) 2015-04-30 2015-04-30 커피 드립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04A KR101652754B1 (ko) 2015-04-30 2015-04-30 커피 드립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754B1 true KR101652754B1 (ko) 2016-08-31

Family

ID=5687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204A KR101652754B1 (ko) 2015-04-30 2015-04-30 커피 드립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7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641A (ko) * 2016-12-29 2018-07-09 이기택 커피 드립 머신
CN108402907A (zh) * 2018-04-26 2018-08-17 上海北工华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大容量智能一体式直饮水机
KR101913340B1 (ko) * 2017-03-24 2018-10-30 김대윤 드립커피 제조장치
KR20190113257A (ko) * 2018-03-28 2019-10-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리스타 커피로봇
KR102064243B1 (ko) * 2019-02-18 2020-02-11 주식회사 노블트리 자동 드립 커피 머신
WO2023106460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436A (ja) * 2001-06-06 2002-12-17 Tricolore:Kk コーヒー抽出機及びコーヒー抽出方法
JP3579304B2 (ja) * 1999-07-30 2004-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器の注湯軌跡制御装置
KR20140093751A (ko) * 2011-09-13 2014-07-28 콘에어 코포레이션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KR101468906B1 (ko)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자동 커피 드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304B2 (ja) * 1999-07-30 2004-10-20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器の注湯軌跡制御装置
JP2002360436A (ja) * 2001-06-06 2002-12-17 Tricolore:Kk コーヒー抽出機及びコーヒー抽出方法
KR20140093751A (ko) * 2011-09-13 2014-07-28 콘에어 코포레이션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KR101468906B1 (ko)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자동 커피 드립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641A (ko) * 2016-12-29 2018-07-09 이기택 커피 드립 머신
KR102036805B1 (ko) * 2016-12-29 2019-11-26 이기택 커피 드립 머신
KR101913340B1 (ko) * 2017-03-24 2018-10-30 김대윤 드립커피 제조장치
KR20190113257A (ko) * 2018-03-28 2019-10-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리스타 커피로봇
KR102121750B1 (ko) * 2018-03-28 2020-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바리스타 커피로봇
CN108402907A (zh) * 2018-04-26 2018-08-17 上海北工华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大容量智能一体式直饮水机
CN108402907B (zh) * 2018-04-26 2024-01-12 上海北工华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大容量智能一体式直饮水机
KR102064243B1 (ko) * 2019-02-18 2020-02-11 주식회사 노블트리 자동 드립 커피 머신
WO2020171469A1 (ko) * 2019-02-18 2020-08-27 주식회사 노블트리 자동 드립 커피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드립 커피 제조 방법
WO2023106460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관 가변 지지형 커피 메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754B1 (ko) 커피 드립 머신
JP7012666B2 (ja) カプセルホルダからのカプセルの取り除き
KR101963652B1 (ko) 에스프레소와 이를 이용한 다양한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
KR20200022993A (ko) 바리스타 로봇
KR101728139B1 (ko) 통합커피머신
US9737168B2 (en) Hand drip coffee maker
KR102646361B1 (ko) 액체 또는 반액체 식품 제조용 기계 및 기계의 작동 방법
US90457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product into a petri dish
CN102440683B (zh) 自动注水的饮料制备装置
CN210300689U (zh) 饮料制备机
KR101711850B1 (ko) 대용량 더치 커피 추출장치
CN204413347U (zh) 焊锡装置
CN207883031U (zh) 一种带拉花打印功能的自动售货咖啡机
KR101695133B1 (ko) 핸드드립커피 추출장치
EP1915076B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able spouts
CN205177003U (zh) 一种冰淇淋售卖机的甜筒供应系统
US20200138230A1 (en) Customizable multiple port automated beverage brewer and system
KR101705873B1 (ko) 통합커피머신
KR102463345B1 (ko) 자동 음료 장치
CN215946131U (zh) 一种奶茶冲泡机内的茶包运送机构
KR102492807B1 (ko) 드립 커피머신
KR102036805B1 (ko) 커피 드립 머신
KR101521228B1 (ko) 자동 판매기
KR101654351B1 (ko) 커피 머신
KR20210136550A (ko) 커피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