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623B1 -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623B1
KR101651623B1 KR1020090113316A KR20090113316A KR101651623B1 KR 101651623 B1 KR101651623 B1 KR 101651623B1 KR 1020090113316 A KR1020090113316 A KR 1020090113316A KR 20090113316 A KR20090113316 A KR 20090113316A KR 101651623 B1 KR101651623 B1 KR 10165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ction
intensity
designated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6836A (en
Inventor
이미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62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영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영상시스템은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받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로부터 입사받은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영상데이터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구간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강도로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지정 구간 AE(Auto Exposure) 기능의 선택 및 상기 구간과 상기 강도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지정 구간 AE 기능을 선택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구간 및 상기 강도에 따라 이미지의 밝기를 가지도록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To a video system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The image system includes a lens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to receive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an image sensor unit that converts the optical image received from the lens unit into image data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A user input section for selecting a designated section AE (Auto Exposure) function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a predetermined intensity by the user, and a user input section for receiving the section and the intensity input; An image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to have brightness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intensity,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data to the screen.

모바일 단말기, 영상시스템, 지정 구간, 지정 강도, 밝기 Mobile terminal, video system, designated section, designated intensity, brightness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영상시스템{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ystem loaded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영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system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카메라 모듈의 자동 노출(Auto Exposure, 이하 "AE"라고도 함) 기능은 조리개의 열림 정도와 셔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필름에 닿는 광량과 노출되는 시간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영상 이미지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피사체와 그 주변환경의 광량과 피사체의 광 반사율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제어한다.Auto Exposure (also referred to as "AE")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utomatically controls the amount of exposure to the film and the exposure time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iris and the speed of the shutter to keep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onstant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of the su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light reflectance of the subject.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내에 AE 알고리즘이 탑재되며, 피사체 주위의 조도 변화 또는 피사체의 밝기에 대응하여 매 입력 영상 프레임 단위로 휘도(피사체의 밝기) 레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자동 노출 제어 기능이 수행된다.In the case of the camera module, the AE algorithm is installed in the ISP (Image Signal Processor), and the brightness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level is adjusted in every input image frame fra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uminance change around the subject or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A control function is performed.

종래의 AE 제어기술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이미지 전체의 밝기(Brightness)를 조정하기 때문에 전체 이미지가 밝아지거나 어두워지게 된다. 따 라서, 화각 안의 피사체가 검은 색일 경우 어둡게 인식해 버려 주 피사체 외의 주변의 사물이 너무 포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화각 안의 피사체가 흰색이라면 AE 기능이 작용하여 밝은 낮일지라도 전체 화면이나 주변의 사물이 너무 어둡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AE control technology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so that the whole image becomes bright or dark. Therefore, when the subject in the angle of view is black, it is recognized as dark and the surrounding objects other than the main subject become too saturated. On the contrary, if the object in the angle of view is whi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screen or the surrounding objects become too dark even if the AE function operates and the brightness is low.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포화되거나 피사체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개선하여 화각안에서 전체적으로 노출이 균일하게 조절되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영상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ing system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in which exposure is uniformly adjusted in the entire angle of view within an angle of view by improving the phenomenon of partially saturated or darkening the su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은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받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로부터 입사받은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영상데이터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구간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강도로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지정 구간 AE(Auto Exposure) 기능의 선택 및 상기 구간과 상기 강도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지정 구간 AE 기능을 선택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구간 및 상기 강도에 따라 이미지의 밝기를 가지도록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다.An im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to receive an optical image of a subject, an image sensor unit that converts the optical image received from the lens unit into image data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A user input section for selecting a designated section AE (Auto Exposure) function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n image at a predetermined intensity by a user in a sec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the data and a user input section for receiving the section and the intensity input,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so as to hav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section and the intensity,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data to the scree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은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서 화면이 급격하게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현상을 개선하여 실제에 가까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The im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mprov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creen is rapidly brightened or darken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thereby obtaining an image close to the actual imag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주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 종래 AE 제어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두운 피사체(A)로 인하여 밝은 부분(B)은 포화되어 피사체가 전체적으로 실제에 가깝게 표현되지 못함을 보여준다.1 is a photograph showing an image photographed using a conventional AE control technique when the main subject is dark. Referring to FIG. 1, a dark subject B is saturated due to a dark subject A, indicating that the subject is not totally close to the actual subject.

도 2는 촬영된 이미지를 밝기 제어를 통하여 보정한 사진이다. 2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photographed image is corrected through brightness control.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가 포화(A)된다고 해서(a 참조) 밝기 제어를 통하여 보정하면(b 참조) 포화되는 현상은 사라질지라도 어두운 피사체(B)의 표현이 잘 되 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2, if the image is saturated (A) (see (a)) and corrected through brightness control (see b),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rk subject B is not displayed well even if the saturation disappears.

이하에서, 지정 구간 AE 기능 또는 방법은 영상 이미지의 밝기를 본 실시예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Hereinafter, the designated area AE function or method refers to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시스템(10)은 카메라 모듈(200), 사용자 입력부(310), 디스플레이부(350) 및 메모리(330)를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200)은 렌즈부(210), 이미지 센서부(2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23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ing system includ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the image system 10 includes a camera module 200, a user input unit 310, a display unit 350, and a memory 330. The camera module 200 includes a lens unit 210, An image sensor unit 220 and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230.

렌즈부(210)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 받는다. 이미지 센서부(220)는 렌즈부(210)로부터 입사받은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인 영상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30)는 이하에서 후술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 및 강도에 따라 영상 이미지의 밝기를 가지도록 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한다. The lens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to receive a light image of a subject. The image sensor unit 220 converts the optical image received from the lens unit 210 into image data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230 processes the image data so as to hav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mage according to the interval and the intensity to be applied to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set by the us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프리뷰 상태에서 지정 구간 AE 기능의 선택을 입력받고, 지정 구간 AE 기능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 및 강도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3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한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35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을 이루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50)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310 receives the selection of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from the user in the preview state, and receives the interval and the intensity to which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from the user when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is selected. The user input unit 31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When the display unit 350 and the touch pa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350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메모리(330)는 이미지 센서부(22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인코더를 거쳐 인코딩된 압축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각 화소 마다의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에 관한 게인(gain) 등의 정보를 의미하는 RGB정보를 포함한다. The memory 330 stores the compressed image data encoded by the image sensor unit 220 through the encoder. Here, the image data includes RGB information indicating information such as red, green, and blue gain for each pixel.

디스플레이부(35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읽어서 화면에 출력하며,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350)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10)에 지정 구간 AE 기능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화면의 이미지를 소정의 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하여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 및 강도를 입력할 시 입력된 내용을 보여준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입력부(310)의 입력과 디스플레이부(350)의 출력 관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50 read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330 and outputs the read image data to the screen. The touch pad is overlapped with the layer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unit 350 operates as a touch screen, It is also possible to enable input. In addition, when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s selected in the user input section 310, the image of the output screen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locks, and the user inputs a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through the user input section 310 It shows input contents when inputting section and intensity. The display unit 35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an output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of the user input unit 310 and the display unit 350.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50)는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OLED(Transparrent OLED)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시스템(10)은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35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TOLED (Transparrent OLED), and the like. Such an imaging system 10 may be mounted in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portable tele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시스템에서의 지정 구 간 AE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signated area AE method in an image system includ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프리뷰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10)를 통하여 지정 구간 AE 기능을 선택한다(S110). 지정 구간 AE 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0)에 출력된 이미지는 소정의 수의 블록으로 분할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preview state, the user selects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310 (S110). As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s selected,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50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blocks.

다음으로,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설정한다(S120).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드 또는 키 패드(key pad)로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310)를 이용하여 분할된 블록을 지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설정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10)가 키 패드(key pad)로 구성된 경우는 방향키와 지정된 키를 이용하여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설정 입력할 수 있다.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구간을 복수의 블록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Next, a section to which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is set (S120). Specifically, the divided blocks can be designated using a user input unit 310 including a touch pad or a key pad.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350 operates as a touch screen, a section to which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by the user's touch can be set and inputted. When the user input unit 310 is composed of a key pad, a section to which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can be set and inputted using a direction key and a designated key. The section to which the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can be designated as a plurality of blocks.

그런 다음, 지정된 구간에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강도를 설정한다(S130). 예를 들어, 강도는 1 내지 3 또는 1 내지 5 등 다양하게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지정 구간 AE 기능의 강도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지정 구간 AE 기능의 적용 강도가 높아질수록 지정된 구간에 노출이 많이 적용된 이미지가 생성된다.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지정 구간 AE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는 디스플레이에 터치를 할 때마다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를 캡처한다(S140). 이러한 과정으로 캡처된 이미지는 지정된 구간 및 강도로 노출이 조절된다.Then, the intensity to which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is set in the designated section (S130). For example, the intensity may range from 1 to 3 or from 1 to 5, and one of the intensity ranges of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may be selected. As the application strength of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ncreases, an image with a lot of exposure is generated in the designated section. When using the touch pad to set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t can be set to increase the strength each time a touch is made on the display. Next, the image is captured (S140). With this process, the captured image is controlled in exposure at the specified section and intensity.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기능을 통한 구간 및 강도 설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terval and intensity setting through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이미지가 8 × 8 블록으로 분할되어 각 블록의 숫자는 AE 강도를 나타낸다. 숫자가 1인 블록은 AE 강도가 기본임을 나타내고 숫자가 3인 블록은 유저에 의해 AE 기능을 적용하는 구간으로 AE 강도 3으로 적용됨을 보여준다. 여기서, 블록을 분할하는 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이미지가 다양한 수로 분할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5,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is divided into 8x8 blocks, and the number of each block represents the intensity of AE. A block with a number of 1 indicates that the AE intensity is the default, and a block with a number of 3 shows that the user applies the AE function to the AE strength sec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block is only one example and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can be divided into various numbers.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기능을 통한 구간 및 강도 설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각의 아래구간에 지정 구간 AE 기능을 적용하여 각각 2 또는 3의 AE 강도를 설정하였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val and intensity setting through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AE intensity of 2 or 3 is set by applying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to the lower section of the angle of view.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방법을 적용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어두운 피사체로 인하여 주변의 밝기가 포화된 사진(a)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방법을 적용하여 주변의 밝기가 포화되는 것을 막고 실제에 근사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7 is a photograph showing an image using the designated area A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photograph (a) in which the surrounding brightness is saturated due to the dark subject is prevented from saturating the surrounding brightness by applying the designated area A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firmed.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term " portion "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All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such as a micro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etc. according to software or program code or the like coded to perform the function. The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above code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1은 주 피사체가 어두운 경우 종래 AE 제어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showing an image photographed using a conventional AE control technique when the main subject is dark.

도 2는 촬영된 이미지를 밝기 제어를 통하여 보정한 사진이다.2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photographed image is corrected through brightness control.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ing system includ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시스템에서의 지정 구간 AE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E method for a designated region in a video system includ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기능을 통한 구간 및 강도 설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terval and intensity setting through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기능을 통한 구간 및 강도 설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val and intensity setting through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정 구간 AE 방법을 적용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7 is a photograph showing an image using the designated area A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SYMBOLS

10: 영상시스템 200: 카메라 모듈10: image system 200: camera module

210: 렌즈부 220: 이미지 센서부210: lens unit 220: image sensor unit

230: 이미지 신호 처리부 310: 사용자 입력부230: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310: user input unit

330: 메모리 350: 디스플레이부330: memory 350: display unit

Claims (6)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받는 렌즈부;A len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to receive a light image of a subject; 상기 렌즈부로부터 입사받은 광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An image sensor unit for converting the optical image received from the lens unit into image data,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영상데이터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구간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강도로 이미지의 밝기를 조절하는 지정 구간 AE(Auto Exposure) 기능의 선택 및 상기 구간과 상기 강도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드인 사용자 입력부;A user input unit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E (Auto Exposure) function for adjusting a brightness of an image at a predetermined intensity by a user in a sec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the image data, and receiving the interval and the intensity input; 상기 지정 구간 AE 기능을 선택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구간 및 상기 강도에 따라 이미지의 밝기를 가지도록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 및An image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to have imag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interval and the intensity when the designated interval AE function is selected; And 상기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And a display unit outputting the image data on a screen and hav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user input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블록으로 분할하며, 사용자는 분할된 영상데이터를 터치하여 상기 지정 구간 AE 기능이 적용될 상기 구간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간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직접 터치하여 AE 강도를 조절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영상 시스템.The display part divides the image data into blocks, and the user touches the divided image data to select the section to which the designated section AE function is to be applied, and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display section of the section to adjust the AE intensity A video system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관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utput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of the user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KR1020090113316A 2009-11-23 2009-11-23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KR101651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16A KR101651623B1 (en) 2009-11-23 2009-11-23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16A KR101651623B1 (en) 2009-11-23 2009-11-23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36A KR20110056836A (en) 2011-05-31
KR101651623B1 true KR101651623B1 (en) 2016-08-26

Family

ID=4436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16A KR101651623B1 (en) 2009-11-23 2009-11-23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623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397A (en) * 2008-04-24 2009-10-28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36A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234B2 (en)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an illumination source
JP5624809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JP57284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light emission amount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081037A (en) Image pickup device
KR200800346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for images
JP66411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1672944B1 (en) Lens shading correction method in the auto focus camera module
JP56694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US1058781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36319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thereof
KR20110072213A (en) Image correction method
KR101626005B1 (en)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firework, there of method and there of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51623B1 (en) Image system loaded in mobile terminal
JP4604789B2 (en) Electronic viewfinder and electronic camera using the same
KR101613528B1 (en) image compensating method
CN113810677A (en)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5347488B2 (en) Projection device
JP2009020327A (en) Imaging apparatus and its program
US9723207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677223B1 (en) Brightness of backlight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22021728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846856B2 (en) Intercom device with camera
JP2006197081A (en) Digital camera with dynamic range compressing function
KR101621394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880203B2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and backlight adjus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