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635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635B1
KR101649635B1 KR1020090107139A KR20090107139A KR101649635B1 KR 101649635 B1 KR101649635 B1 KR 101649635B1 KR 1020090107139 A KR1020090107139 A KR 1020090107139A KR 20090107139 A KR20090107139 A KR 20090107139A KR 101649635 B1 KR101649635 B1 KR 10164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erminal body
image sensor
lenses
magn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0242A (en
Inventor
송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635B1/en
Publication of KR2011005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6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촬영 정보가 입력되는 이미지 센서와,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및 상기 휠 상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이 조절되도록 서로 다른 배율들을 갖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body and a camera assem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e camera assembly including an image sensor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receiv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lenses moun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wheel and having different magnifications so that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ted to the image sens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And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배율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zoom adjustable camera assembly.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media device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디지털 카메라의 성 능에 근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도 다양한 배율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배율의 조절을 위하여 렌즈들을 이송시켜 렌즈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를 갖는다.Recently, the performance of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is approaching the performanc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lement a camera to b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so that various magnifications can be adjusted. The digital camera has a structur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enses by transferring the lenses to adjust the camera magnification.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는 제품으로서, 낙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렌즈들의 이송 구조는 낙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렌즈들의 장착 공간이 커지므로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always a product possessed by a user and is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falling. The transport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lenses is vulnerable to drop impact. 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space of the lenses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downsized and downsiz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배율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어셈블리를 적용함에 있어서, 물리적으로 견고한 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장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assembly capable of minimizing a mounting space while providing a physically rigid structure, .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촬영 정보가 입력되는 이미지 센서와,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및 상기 휠 상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이 조절되도록 서로 다른 배율들을 갖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and a camera assem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for photographing a subject, wherein the camera assembly is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 sensor mounted on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wheel so as to be rotata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rotatably operated; A plurality of lenses having magnifications are disclosed.

상기 휠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면에 장착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 바디에 형성된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wheel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The wheel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or may be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exposure hole formed in the terminal body.

상기 렌즈들은 상기 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lense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one of the lenses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상기 휠과 상기 단말기 바디는 회전축 어셈블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 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휠의 회전을 록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heel and the terminal body may be rotatably connected by a rotary shaft assembly, and the rotary shaft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lock rotation of the wheel at a position where one of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corresponds to each other .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력된 촬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을 표시할 수 있다.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magnification of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 및 조작만로서 카메라의 배율 조절이 가능하며, 복수의 렌즈들을 장착하기 위한 렌즈들의 장착 위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ification of the camera can be adjusted by a simple structure and opera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nses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lense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렌즈들을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구조를 회피할 수 있어 물리적으로 견고한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void the structure for transferring the lenses inside the terminal body,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of a physically robust camera assembly.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단말기 바디(110)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110)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단말기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A casing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단말기 바디(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제1 및 제2조작부(116,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terminal body 110 includes a display unit 113, a first sound output unit 114, a first image input unit 115,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116 and 117, a sound input unit 118, an interface 119, Can be arranged.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113)는 본 실시예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3)는 전화번호 등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 상에 표시된 시각정보를 터치함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information can be input by a user's touch. Here, the display unit 113 may display time information such as numbers, characters, and symbols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The user touches the tim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to input information can do.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사용자의 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110)의 일단에 배치된다.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110 so as to be positioned in a user's ear.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제1 및 제2조작부(116,117)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 및 제2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ortions 116 and 117 receive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ortions 116 and 117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embodi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the user, or may be implemented by a wheel, a jog system, a joystick, or the like .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조작부(117)는 제1음향출력부(11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 디스플레이부(113)의 터치 인식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기능 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 unit 116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17 may be configured to input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A function of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13, and the like.

음향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18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19 allows the port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19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19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10)의 후면에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어셈블리(12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20)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의 구별을 위하여 제2영상입력부(120)로 불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amera assembly 120 for photographing a subject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0. The camera assembl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image input unit 120 to distinguish it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제2영상입력부(120)는 제1영상입력부(115)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0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and may have pixel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0)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to a counterpart.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0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한편, 단말기 바디(110)에 제1영상입력부(115)가 장착되지 않고 제2영상입력부(120)만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카메라 어셈블리(120)의 장착 위치는 단말기 바디(110)의 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단말기 바디(110)의 다양한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is not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110 but onl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0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110. In additi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mera assembly 1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0,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terminal body 110.

단말기 바디(110)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23)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3)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sound output unit 123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0.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3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리어 케이스(112)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부(125, 도 8 참조)가 장착되며, 전원공급부(125)는 본 실시예와 같이 충전 가능한 배터리(125)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배터리(125)를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12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power supply unit 1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rear case 112 and the power supply unit 125 is connected to the rear case 112 in the form of a rechargeable battery 125 . ≪ / RTI > A battery cover 126 for covering the battery 125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rear case 112

또한, 단말기 바디(11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124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10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124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erminal body 110.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mera assembly.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어셈블리(120)는 이미지 센서(130), 휠(140), 및 렌즈들(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amera assembly 120 includes an image sensor 130, a wheel 140, and lenses 150.

이미지 센서(130)는 단말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촬영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130)는 렌즈들(150)을 통해 입력되는 촬영 정보를 처리하여 제어부(180, 도 7 참조)로 인가한다. 이미지 센서(130)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3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0)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10)는 이미지 센서(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들(150)들을 통해 입력된 촬영 정보는 개구부(133)를 통해 이미지 센서(130)까지 도달하게 된다.The image sensor 130 is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110 to receive photographing information. The image sensor 130 processe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lenses 150 and applies the processed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80 (see FIG. 7). The image sensor 130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135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As the image sensor 130, a CCD (Charge Coupled Device) image sensor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may be used. The terminal body 110 may have an opening 13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30.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lenses 150 reaches the image sensor 130 through the opening 133. [

휠(14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단말기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는 휠(140)이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휠(140)의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휠(140)은 단말기 바디(110)의 외면, 즉 후면 상에 장착되어 있다.The wheel 1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110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a user.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wheel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the shape of the wheel 140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14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i.e.,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0.

렌즈들(150)은 휠(140) 상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렌즈들(150)은 휠(140)의 회전에 따라 이미지 센서(130)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이 조절되도록 서로 다른 배율들을 갖는다.The lenses 150 are moun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wheel 140, respectively. The lenses 150 have different magnifications such that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ted to the image sensor 1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14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들(150)은 제1렌즈(151), 제2렌즈(152), 및 제3렌즈(15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렌즈들(151 내지 153)은 각각 서로 다른 배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151)는 1배의 배율을 가지고, 제2렌즈(152)는 2배의 배율을 가지며, 제3렌즈(153)는 3배의 배율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ses 150 include a first lens 151, a second lens 152, and a third lens 153.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each have different magnifi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lens 151 may have a magnification of 1, the second lens 152 may have a magnification of 2, and the third lens 153 may have a magnification of 3.

제1 내지 제3렌즈(151 내지 153)는 서로 다른 배율을 가지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제1 내지 제3렌즈(151 내지 153)는 휠(140)의 내면(후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들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third lenses 151 through 153 have different magnifications and thus have different lengths.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rear surface) of the wheel 140 to have different lengths.

제1 내지 제3렌즈(151 내지 153)는 휠(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렌즈(151 내지 153)는 그 중 어느 하나가 이미지 센서(1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내지 제3렌즈(151 내지 153)와 이미지 센서(130)는 휠(14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지게 배치된다.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140.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are configured such that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image sensor 130. For this,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and the image sensor 13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wheel 140 by the same distance.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렌즈들(151 내지 153)이 휠(140)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수의 렌즈들을 휠(140)에 장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다른 배율을 갖는 렌즈들을 추가할 경우, 휠(140)의 회전에 따라 조절 가능한 배율 또한 증가하게 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ree lenses 151 to 153 are mounted on the wheel 1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numbers of lenses may be mounted on the wheel 140. [ In addition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lenses having different magnifications, the adjustable magnification will also increase as the wheel 140 rotates.

휠(140)과 단말기 바디(110)는 회전축 어셈블리(14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 어셈블리(145)는 단말기 바디(110)에 장착되며, 단말기 바디(1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샤프트를 구비한다. 휠(140)의 후면에는 샤프트 고정부(143)가 형성되며, 샤프트는 이에 고정되어 휠(140)이 단말기 바디(110)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The wheel 140 and the terminal body 110 may be connected by a rotary shaft assembly 145. The rotary shaft assembly 145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110 and has a shaft rotatable relative to the terminal body 110. A shaft fixing portion 14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heel 140 and the shaft is fixed to the wheel 140 so that the wheel 140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terminal body 110.

회전축 어셈블리(145)는 이미지 센서(130)와 제1 내지 제3렌즈들(151 내지 153)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휠(140)의 회전을 록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 어셈블리(145)는 특정 각도에서 샤프트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140)는 조절되는 배율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rotary shaft assembly 145 may be configured to lock the rotation of the wheel 140 at a position where the image sensor 130 and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correspond to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rotary shaft assembly 145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haft can be stopped at a specific angle. Accordingly, the wheel 140 can be intermittent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ed magnification.

아울러, 회전축 어셈블리(145) 또는 휠(140)에는 휠(140)의 회전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가 추가적으로 배치 가능하며, 센서는 휠(140)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제어부(180)는 이를 이용하여 현재 설정된 배율을 검출할 수 있다.The rotation axis assembly 145 or the wheel 14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wheel 140. The sensor senses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140 and applies the sensed rotation angle to the control unit 180. [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ct the currently set magnific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휠(140)은 단말기 바디(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단말기 바디(110)에 회전되는 구성을 가진다. 다만, 휠(140)은 단말기 바디(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휠(140)은 평소에는 단말기 바디(110)로부터 분리되었다가 카메라 사용시에만 단말기 바디(110)에 장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14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to the terminal body 110 while being fixed to the terminal body 110. In this case, the wheel 140 is detached from the terminal body 110, and the terminal 1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110 only when the camera is used. However, the wheel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10, As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이다.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제1렌즈(151)가 이미지 센서(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센서(130)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은 1배가 될 것이며, 디스플레이부(113)에는 1배의 배율을 갖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카메라 촬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13)는 뷰 파인더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는 셔터키(149)를 누르거나 다른 입력 장치를 입력함으로써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4A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lens 15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30. FIG. In this case,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130 will be one-fold,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having the magnification of one magnification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In the camera shooting mode, the display unit 113 performs a function of a viewfinder, and a user can shoot a photograph by pressing the shutter key 149 or inputting another input device.

사용자는 휠(140)을 회전시켜 이미지 센서(130)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을 2배 또는 3배로 조절 가능하다. The user can rotate the wheel 140 and adjust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130 to double or triple.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휠(140)이 회전 조작되어 제3렌즈(153)가 이미지 센서(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센서(130)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은 3배가 될 것이며, 디스플레이부(113)에는 3배의 배율을 갖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출력될 것이다.4B shows a case where the wheel 140 is rotated and the third lens 153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30 in the state of FIG. 4A. In this case,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130 will be tripled,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having triple magnification will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

이와 같이, 사용자는 휠(140)에 장착된 렌즈들(150)의 배율에 따라 이미지 센서(130)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어셈블리(120)의 구조는 간단한 구조 및 조작만로서 카메라의 배율 조절이 가능하며, 복수의 렌즈들을 장착하기 위한 렌즈들의 장착 위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배율 조절을 위하여 렌즈들을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구조를 회피 할 수 있어 낙하 충격에 강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user can vary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130 according to the magnification of the lenses 150 mounted on the wheel 140. The structure of the camera assembly 12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magnification of the camera with a simple structure and operation, and can minimiz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nses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lenses.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for transferring the lenses from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for adjusting the magnification can be avoided, a structure resistant to a drop impact can be realiz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와 관련된 카메라 어셈블리(120')는 휠(140')의 장착 위치를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camera assembly 120 'associated with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except fo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heel 1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휠(140')은 단말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된다. 단말기 바디(110)의 일면에는 노출공(148)이 형성되며, 휠(140')은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공(14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휠(140')의 노출된 부분을 회전 조작하여 단말기 바디(110) 내부의 휠(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휠(140')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렌즈들(151' 내지 153')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eel 140 'is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110. Exposure holes 148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heel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hole 148.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wheel 140 'can be rotated to rotate the wheel 140' within the terminal body 110. The wheel 140 'may includ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단말기 바디(110)의 일면에는 촬영정보가 제1 내지 제3렌즈들(151' 내지 153')로 입력되기 위한 투광창(127)이 구비된다. 투광창(127)은 이미지 센서(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카메라 어셈블리(120')가 특정 배율을 가지기 위해서는, 투광창(127)과 이미지 센서(130)가 제1 내지 제3렌즈들(151' 내지 153') 중 어느 하나와 일렬로 배치되게 된다. On one side of the terminal body 110, a light projecting window 127 for inpu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to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is provided. The light transmitting window 127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30. [ In order for the camera assembly 120 'to have a specific magnification, the light transmitting window 127 and the image sensor 130 are arranged in line with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151' to 153 '.

휠(140')는 앞선 실시예의 회전축 어셈블리(145)에 의해 단말기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성들의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The wheel 140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110 by the rotation axis assembly 145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of the related structures will be omitted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휠(14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보다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110)의 후면을 다른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으로도 사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heel 14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re simply implemented. Also,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10 can be used as a space for mounting other components.

도 6a 및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6a 및 6b는 카메라 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6A and 6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that the camera mode is being executed.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카메라 어셈블리(12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13)에는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113a)가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assembly 120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FIG. At this time, the magnification 113a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

휠(14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배율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13)로 하여금 현재 설정된 배율(113a, 1배)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can detect the magnification currently set by the sensor that senses the rotation state of the wheel 140 ', 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display unit 113 to visually display the currently set magnification 113a (1x).

도 6a는 도 4a의 경우처럼 제1렌즈(151')가 이미지 센서(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카메라 어셈블리(120')가 1배의 배율을 갖는 경우를 나타낸다.FIG. 6A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lens 15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30 as in the case of FIG. 4A, and the camera assembly 120' has a magnification of one magnification.

도 6b와 같이, 휠(140')을 조작하여 배율을 조절하는 경우 이미지의 크기는 조절되는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감소하게 된다. 도 6b는 도 4b의 경우처럼 제3렌즈(153')가 이미지 센서(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카메라 어셈블리(120')가 3배의 배율을 갖는 경우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이미지가 3배만큼 확대되어 표시되며, 현재 설정된 배율(113b, 3배)이 시각적으로 표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6B, when magnification is adjusted by operating the wheel 140 ', the size of the image is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adjusted magnification. 6B shows a case where the third lens 153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30 as in the case of FIG. 4B, and the camera assembly 120' has a magnification of three times. The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by three times, and the currently set magnification 113b (three times) is visually displayed.

이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현재 설정된 배율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및 6b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카메라 어셈블리(12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In this way,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firm the magnification currently set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 6A and 6B are equally applicable to the camera assembly 120 described in Figs. 1-3.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81), 조작부(116,117), 영상입력부(115,120), 음향입력부(118),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부(114,123), 센싱유닛(186), 인터페이스(119), 방송 수신 모듈(185), 메모리(184), 전원공급부(125),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7,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operation units 116 and 117, image input units 115 and 120, an audio input unit 118, a display unit 113, A sensing unit 186, an interface 119,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a memory 184, a power supply unit 125, and a control unit 180.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무선 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2)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transmission unit 18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video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and a receiving unit 182).

조작부(116,117)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The operation units 116 and 117 provide the control unit 18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영상입력부(115,12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0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입력부(115,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20 are stored in the memory 18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

음향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 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1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The sound input unit 118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In the record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84. [

음향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18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I, and the GUI.

음향 출력부(114,123)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3 receiv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ommunication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Converts the stored sound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31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 유닛(1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25)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86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25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119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19)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19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for example,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19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8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84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Such memory 184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3),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 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receive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s and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into broadcast data formats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3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m to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broadcasting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8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4. [

전원 공급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5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assembly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FIGS. 4A and 4B are sectional views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들.6A and 6B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후면 일부가 리세스되도록 형성되는 단말기 바디;A terminal body having a rear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A camera assembly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The camera assembly includes: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며, 촬영정보가 입력되는 이미지 센서;An image sensor mounted inside the terminal body and receiv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바디의 리세스된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휠; A wheel detachably mounted on a recessed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휠과 상기 단말기 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 어셈블리;A rotary shaft assembly rotatably connecting the wheel and the terminal body; 상기 휠 상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이 조절되도록 서로 다른 배율들을 갖는 복수의 렌즈들; 및A plurality of lenses moun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wheel and having different magnifications so that magnification of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ted to the image sensor is adjust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wheel; And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 또는 휠에 배치되어 상기 휠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인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And a sensor disposed on the rotary shaft assembly or the wheel to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wheel and apply the sensed rotation angle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인가받은 회전 각도에 의해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는 촬영 정보의 배율을 검출하며,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magnification of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by a rotation angle applied from the sensor,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력된 촬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촬영 정보의 배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and outpu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mage sensor,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휠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wheel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렌즈들은 상기 휠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lenses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one of the lenses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회전축 어셈블리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들 중 어느 하나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휠의 회전을 록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rotation axis assembly is configured to lock the rotation of the whe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삭제delete
KR1020090107139A 2009-11-06 2009-11-06 Portable terminal KR1016496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39A KR101649635B1 (en) 2009-11-06 2009-11-06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39A KR101649635B1 (en) 2009-11-06 2009-11-06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42A KR20110050242A (en) 2011-05-13
KR101649635B1 true KR101649635B1 (en) 2016-08-19

Family

ID=443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139A KR101649635B1 (en) 2009-11-06 2009-11-06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6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164B1 (en) 2014-03-27 2018-01-04 인텔 코포레이션 Camera to capture multiple sub-images for generation of an im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836A (en) 2002-07-18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telephone set
JP2004096656A (en) * 2002-09-04 2004-03-25 Nec Access Technica Lt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lens selection method to be used therefor and program thereof
JP2005004170A (en) * 2003-03-31 2005-01-06 Advanced Systems Japan Inc Revolver type lens, camera using the same, cellular phone and digital camera using th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623A (en) * 2003-07-09 2005-01-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magnifiable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836A (en) 2002-07-18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telephone set
JP2004096656A (en) * 2002-09-04 2004-03-25 Nec Access Technica Ltd Mobile terminal with camera, lens selection method to be used therefor and program thereof
JP2005004170A (en) * 2003-03-31 2005-01-06 Advanced Systems Japan Inc Revolver type lens, camera using the same, cellular phone and digital camera using the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42A (en)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37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13953B1 (en) Portable terminal
JP2004191820A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camera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JP4352465B2 (en) Mobile device
KR20090045791A (en) Portable terminal
US8046036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3751197B2 (en) Mobile phone
KR101649635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77605A (en) Portable terminal
KR101629258B1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83728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JP2004166159A (en) Cellular phone with built-in camera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 and battery used for the same
KR101432588B1 (en) Portable terminal
JP2004159363A (en) Mobile phone
KR10137102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1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22594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23698A (en) Mobile terminal
KR10146602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36021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20110090110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