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779B1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779B1
KR101646779B1 KR1020090080108A KR20090080108A KR101646779B1 KR 101646779 B1 KR101646779 B1 KR 101646779B1 KR 1020090080108 A KR1020090080108 A KR 1020090080108A KR 20090080108 A KR20090080108 A KR 20090080108A KR 101646779 B1 KR101646779 B1 KR 10164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size
area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483A (ko
Inventor
류신동
권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779B1/ko
Priority to US12/870,014 priority patent/US8607141B2/en
Priority to EP16160389.9A priority patent/EP3067793A1/en
Priority to EP10174399A priority patent/EP2290513A3/en
Publication of KR2011002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483A/ko
Priority to US14/085,871 priority patent/US945977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글자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글자 크기 설정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된 영역의 면적을 검출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글자 크기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에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글자 크기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정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로 글자 크기 설정 요청이 있으면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글자 크기를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 되는 글자 크기에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터치 스크린, 글자 크기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ONT SIZE OF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글자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글자 크기를 각 사용자 자신의 터치 입력 면적에 적합한 글자 크기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소형화 및 표시부 대형화 추세에 따라 표시부와 입력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와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 구현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 터치 스크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주로 사용되는데,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저항막 방식은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두 가지 모두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고, 정전용량 방식은 스타일러스 펜으로는 터치 입력이 불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는 각 기능의 실행을 사용자가 편하게 입력 할 수 있도록 각종 메뉴들이 제공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에서도 역시 상기 각종 메뉴들이 제공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 중 상기 저항막 방식은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좁은 면적의 영역도 비교적 정확하게 입력이 가능하지만,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그 특성상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등으로 직접 터치 스크린 표면을 접촉하여 입력하여야 하므로 각 사용자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각기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글자 크기의 메뉴를 정확하게 접촉하여 실행시키는 데는 불편함이 있었다.
물론, 메뉴 글자 크기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별도의 메뉴가 제공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바뀌게 되면 직접 상기 글자 크기 변경 메뉴를 찾아 들어가 변경해야 하고 글자 크기 변경을 하더라도 실제로 사용자 본인에게 적합한 글자 크기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 번 조절을 수행해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최근의 휴대 단말기에는 인터넷 풀 브라우징(Full-Browsing) 기능을 제공하여 PC나 노트북 등에서 볼 수 있었던 인터넷 화면 그대로를 휴대 단말기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PC나 노트북 등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서 상기 풀 브라우징 기능이 실행된 인터넷 화면상에 표시된 사용자가 원하는 링크나 메뉴 등의 글자를 정확하게 접촉하여 실행시키는 데도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따라 각기 다른 터치 입력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글자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글자 크기 설정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된 영역의 면적을 검출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글자 크기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에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글자 크기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정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로 글자 크기 설정 요청이 있으면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글자 크기를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되는 글자 크기에 적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장치는 접촉을 감지하고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서로 다른 크기의 사용자별 손가락이 접촉된 영역의 차별화된 면적과 각각 대응되는 글자 크기들이 저장된 저장부와, 사용자의 글자 크기 설정 모드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글 자 크기 설정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된 영역의 면적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글자 크기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에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글자 크기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정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변경된 글자 크기로 설정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글자 크기를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되는 글자 크기에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달라지더라도 각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적합한 글자 크기로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또는 인터넷 링크 등을 정확하게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급적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1c는 종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 설명도이다.
도 1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10)에 접촉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110)은 일반적으로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120),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130), 상기 표시부(120)와 터치 센서(130)를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140)으로 구성된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터치 센서(130)는 사용자의 상기 터치 스크린 접촉 및 해제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터치 센서(130)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는 원리는 상기 터치 센서(130)와 접촉된 손가락 사이에 발생되는 부가 정전 용량(도면에서는 Cf로 표시)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실제 접촉 면적(150)을 산출하게 된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터치 센서(130)은 복수의 터치 전극(131, 132, 133, 134, 135, 136)들은 삼각바 형태의 전극이 X축 방향으로 누워 Y축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고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엇갈려 맛물리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터치 스크린(110)에서 전극의 면적비를 이용하여 X축 좌표를 파악하고 Y축 좌표는 미리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손가락이 접촉되어 부가 정전 용량이 발생된 전극들을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된 좌표와 접촉되는 면적의 크기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도 1c의 그래프와 같이 접촉(contact)된 영역에 위치한 각각의 터치 전극(131, 132, 133, 134, 135, 136)들에서 발생된 정전 용량 감지량에 따라 실제 접촉되는 영역의 좌표 와 면적은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에서는 터치 센서(130)가 복수의 삼각바 형태의 전극들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극들의 형태나 배치는 터치 스크린 제조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210), 저장부(220), 터치 스크린(110), 영상처리부(230), 카메라부(240), 통신부(250), 오디오 처리부(260)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터치 스크린(110)은 세부적으로 상기 도 1a 내지 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120)와 터치 센서(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구성들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글자 크기 설정 모드 실행 요청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글자 크기 설정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110)의 터치 센서(130)를 통해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되는 영역의 좌표와 면적을 검출[하여 확인]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 면적을 검출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글자 크기들 중에서 상기 검출된 접촉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를 로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의 일정영역에 상기 로드된 글자 크기를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의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로의 설정 요청이 있으면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를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이 후에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상에 표시될 글자들은 상기 저장된 글자 크기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로드된 글자 크기 를 표시한 상태에서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 조절 요청이 있으면 부가적으로 글자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한 후, 사용자의 상기 조절된 글자 크기로의 설정 요청이 있으면 상기 조절된 글자 크기를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마찬가지로 이 후에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 상에 표시될 글자들은 상기 저장된 글자 크기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글자 크기 설정 모드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설정 또는 제조사 설정에 따라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 초기 부팅 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상기 글자 크기 설정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휴대 단말기 각 기능들이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과 휴대 단말기 각 기능이 수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220)는 상기 접촉이 확인된 영역의 면적별로 적절한 크기의 글자 크기들을 대응시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접촉되는 영역의 면적과 적절한 크기의 글자 크기들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글자 크기 설정 요청에 따라 설정된 글자 크기를 저장하여 이후 표시될 글자 크기는 상기 설정된 글자 크기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0)은 표시부(120)와 터치 센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 각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20)는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이 감지된 영역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설정 요청에 따라 설정된 글자 크기로 상기 휴대 단말기 각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은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휴대 단말기 제조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센서(130)는 일반적으로 표시부(120)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접촉에 의해 발생 되는 부가 정전 용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영역의 좌표와 면적을 검출하여, 검출된 좌표와 면적을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1a 내지 도1c에서 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10)은 상기 표시부(120)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또는 소프트 키 등을 표시하고, 상기 메뉴 또는 소프트 키가 표시된 위치의 터치 센서(130)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메뉴 또는 소프트 키에 할당된 기능 실행 요청이 있음을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 중, 글자 크기 설정 모드 실행 요청 및 글자 크기 설정 요청 등의 입력을 상기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30)는 상기 카메라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30)는 상기 카메라부(2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단위로 처리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의 특성 및 규격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3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 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240)는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광)을 카메라 센서(예 : CCD( 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세부적으로 카메라부(240)는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카메라 센서(Sensor)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30)도 상기 카메라부(240)에 포함되어 모듈 형태의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영상 처리부(240)의 기능을 상기 제어부(210)에서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통신부(25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2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하고 증폭하는 주파수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주파수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60)는 통신부(25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구성들 외에도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 수신부, 인터넷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수신부 등의 다양한 구성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수신부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인터넷 기능 실행 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풀 브라우징 기능이란 휴대 단말기에서도 PC나 노트북 등에서 볼 수 있는 일반 인터넷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문서와 동영상 화면을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풀 브라우징 화면상에 포함된 여러 링크, 메뉴 등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스크린(110)에 접촉되는 영역의 면적을 확인하여 상기 풀 브라우징 화면상에 포함된 여러 링크 및 메뉴 등의 글자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글자 크기만을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은 다소 부조화스럽게 보일 수 있으므로 조절된 글자 크기에 따라 상기 인터넷 풀 브라우징 화면의 해상도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화면 전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에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또는 디지털 방송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도,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 상에 표시된 상기 카메라 기능 또는 디지털 방송 기능과 관련된 여러 메뉴 등의 글자 크기를 상기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게 그 글자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 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110)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글자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자 크기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뉴 또는 별도의 소프트 키 등을 통해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글자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글자 크기 설정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210)는 이를 감지하고 3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글자 크기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 또는 소프트 키를 통해 글자 크기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 키패드 설정 모드를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설정 또는 제조사 설정에 따라 제어부(210)는 휴대 단말기 초기 부팅 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상기 글자 크기 설정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글자 크기 설정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32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터치 스크린(110) 터치 센서(130)에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210)는 330단계에서 접촉이 감지된 영역의 면적을 확인한다. 접촉이 감지된 영역의 면적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도 1a 내지 1c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접촉이 감지된 영역의 면적을 확인한 제어부(210)는 340단계에서 저장부(220)에 저장된 글자 크기들 중에서 상기 접촉이 감지된 영역의 면적에 대응되는 글자 크기를 로드하고, 350단계에서 상기 로드된 글자 크기를 상기 터치 스크린(110) 표시부(120) 상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글자 크 기를 나타내는 숫자(예컨대, 상기 글자 크기가 5라면 '5')를 상기 글자 크기로 표시하거나, 미리 설정된 메시지(예컨대, '현재의 글자 크기는 □□입니다') 등을 상기 글자 크기로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10)는 36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로의 설정 요청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설정 요청 입력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메뉴 또는 소프트 키 등을 통해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380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를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글자 크기는 이후에 실행되는 휴대 단말기 메뉴가 표시될 글자 크기가 된다.
만약, 상기 설정 요청이 입력되기 전에 부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된 글자 크기에 대한 조절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37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된 메뉴 또는 소프트 키 등을 통해 글자 크기 조절 요청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글자 크기 조절 요청은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된 화살표 키, +/- 키 또는 각 글자 크기에 해당하는 숫자 등을 표시하고 이들을 사용자가 접촉하여 입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Claims (18)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손가락이 접촉된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접촉된 영역의 면적에 기반하여 글자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글자 크기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면 자동으로 수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글자 크기에 따라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글자 크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된 메뉴의 글자 크기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진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Internet)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는 인터넷 화면 상의 링크 또는 메뉴의 글자 크기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인터넷 기능에 진입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10.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손가락이 접촉된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접촉된 영역 면적에 기반하여 글자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글자 크기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면 상기 글자 크기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글자 크기에 따라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표시된 메뉴의 글자 크기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진입 시, 글자 크기 설정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는 인터넷 화면 상의 링크 또는 메뉴의 글자 크기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기능에 진입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090080108A 2009-08-27 2009-08-27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46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108A KR101646779B1 (ko) 2009-08-27 2009-08-27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US12/870,014 US8607141B2 (en) 2009-08-27 2010-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ont siz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16160389.9A EP3067793A1 (en) 2009-08-27 2010-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ont siz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10174399A EP2290513A3 (en) 2009-08-27 2010-08-27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ont siz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14/085,871 US9459777B2 (en) 2009-08-27 2013-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font siz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108A KR101646779B1 (ko) 2009-08-27 2009-08-27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483A KR20110022483A (ko) 2011-03-07
KR101646779B1 true KR101646779B1 (ko) 2016-08-08

Family

ID=4282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108A KR101646779B1 (ko) 2009-08-27 2009-08-27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607141B2 (ko)
EP (2) EP3067793A1 (ko)
KR (1) KR101646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9971B1 (en) * 2010-08-30 2013-08-27 Amazon Technologies, Inc. Rendering content around obscuring objects
CN102203778B (zh) * 2011-04-20 2014-03-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摸屏上网页的调整方法和调整系统
KR101368960B1 (ko) * 2011-05-27 2014-03-04 이해성 전자 문서 표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23328A1 (en) * 2011-12-28 2014-08-07 Vishal Thoma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display screen density
US9176609B2 (en) * 2012-07-09 2015-11-03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device
US10147212B2 (en) 2014-08-29 2018-12-04 Carrier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display screens for a controller used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10775853B2 (en) 2018-10-16 2020-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condary back surface touch sensor for handheld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5199A1 (en) * 2002-04-11 2005-02-17 John Goci Voter interface for electronic vo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20050237310A1 (en) * 2004-04-23 2005-10-27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WO2007057736A1 (en) * 2005-11-21 2007-05-24 Nokia Corporation Improved mobile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020A (ja) * 1989-08-08 1991-03-26 Omron Corp 画像タッチ入力の画像大きさファジィ制御装置
GB9806843D0 (en) * 1998-03-24 1998-05-27 Kal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US6211856B1 (en) 1998-04-17 2001-04-03 Sung M. Choi Graphical user interface touch screen with an auto zoom feature
US20030011640A1 (en) * 2001-07-12 2003-01-16 Green Brett A. Syste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peripheral device front menu panels
US6986462B2 (en) * 2002-04-30 2006-01-17 The Boeing Company Automated parts labeling system
US20080177994A1 (en) * 2003-01-12 2008-07-24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comfort, and/or reliability in Operating Systems, such as for example Windows
US20060077179A1 (en) 2004-10-08 2006-04-13 Inventec Corporation Keyboard having automatic adjusting key intervals and a method thereof
US20070097096A1 (en) * 2006-03-25 2007-05-03 Outland Research, Llc Bimodal user interface paradigm for touch screen devices
US7768536B2 (en) * 2007-04-11 2010-08-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displaying information at different zoom settings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20080284756A1 (en) 2007-05-15 2008-11-20 Chih-Feng Hsu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large input mechanisms in touch screens
CN101414231B (zh) * 2007-10-17 2011-09-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装置及其图像显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5199A1 (en) * 2002-04-11 2005-02-17 John Goci Voter interface for electronic vot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20050237310A1 (en) * 2004-04-23 2005-10-27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WO2007057736A1 (en) * 2005-11-21 2007-05-24 Nokia Corporation Improved mobile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0513A2 (en) 2011-03-02
KR20110022483A (ko) 2011-03-07
US8607141B2 (en) 2013-12-10
EP3067793A1 (en) 2016-09-14
US20110055698A1 (en) 2011-03-03
US20140068506A1 (en) 2014-03-06
US9459777B2 (en) 2016-10-04
EP2290513A3 (en)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77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글자 크기 설정 방법 및 장치
US8271907B2 (en) User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WO2020134744A1 (zh) 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US10133480B2 (en) Method for adjusting input-method keyboard and mobile terminal thereof
JP5743847B2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CN10940793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CN110007835B (zh) 一种对象管理方法及移动终端
JP201321842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2044824B1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EP2343632A1 (en) Touch panel device operating as if in the equivalent mode even when detected region is smaller than display region of display device
CN108108113B (zh) 网页切换方法及装置
US9417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9683764B (zh) 一种图标管理方法及终端
CN109597546B (zh) 一种图标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20160077551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apparatus
KR102636438B1 (ko)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방법 및 단말
KR20190128139A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CN108459789B (zh) 一种应用程序的管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7035740A9 (zh) 一种选择文本的方法
CN110958488A (zh) 视频资源下载方法及电子设备
JP5969320B2 (ja) 携帯端末装置
CN111610916B (zh) 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10087473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