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894B1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894B1
KR101644894B1 KR1020100071900A KR20100071900A KR101644894B1 KR 101644894 B1 KR101644894 B1 KR 101644894B1 KR 1020100071900 A KR1020100071900 A KR 1020100071900A KR 20100071900 A KR20100071900 A KR 20100071900A KR 101644894 B1 KR101644894 B1 KR 10164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age
information
space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397A (ko
Inventor
김승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8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6Using a specific storage system architecture
    • G06F2212/263Network storage, e.g. SAN or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량 또는 사용 기간 기반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연동된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대한 저장 공간을 파악한 후, 사용자 별로 제공된 가상의 저장 공간 내에서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입력 받아 입력된 구성 비율로 스토리지 공간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내에 연동된 다양한 저장 매체 미디어로 가상 저장 공간 비율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는 비용별 또는 데이터별로 제공되는 저장매체 미디어를 달리하여 데이터 입출력 성능 및 운용 비용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CLOUD STORAG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량 또는 사용 기간 기반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연동된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대한 저장 공간을 파악한 후, 사용자 별로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입력 받아 입력된 구성 비율로 스토리지 공간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Cloud Storage Service: CSS)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스토리지 장비를 논리적인 하나의 스토리지로 구성해 고객이 요구할 때 마다 하드디스크 공간을 용량별로 할당해 실시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의 내장 스토리지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할당량 및 사용 기간 기반으로 지원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는 개인 사용자 또는 회사 및 동호회와 같은 단체들에 대해 다운로드 및 업로드 권한이 있는 아이디를 제공한다. 이에 유무선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들은 해당 아이디를 통해 인증을 수행한 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스토리지 공간을 할당받아 활용하게 되며, 스토리지 공간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가 지불하는 사용료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을 사용자에게 설정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들은 지불하는 사용료에 따라 가상 공간에 대한 할당량을 많게 받거나, 사용기간 연장, 복수의 접속 아이디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는 사용자별로 부여된 가상공간에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되는 데이터에 대해 보안, 바이러스 위험요소 제거 및 손실 방지를 위한 백업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클라우드 스토리지 상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파일의 중요도, 접근 빈도수에 따른 활용 방식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클라우드 스토리지 상에는 굉장히 많은 개수의 파일들이 존재하며, 이들의 활용 용도는 각각 파일 특성별로 다양하고, 동일한 파일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사용 패턴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 파일들에 대한 저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드웨어 공간을 단순히 늘리는 것 만으로는 스토리지의 성능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량 또는 사용 기간 기반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연동된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대한 저장 공간을 파악한 후, 사용자 별로 제공된 가상의 저장 공간 내에서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입력 받아 입력된 구성 비율로 스토리지 공간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대한 가상 공간 정보 및 수정 가능한 공간 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이터 파일의 중요도, 접근 빈도수에 따른 활용 방식 정보를 분석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로 구성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는 추천 공간 정보 및 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저장된 파일들에 대한 저장 및 삭제를 수행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저장 공간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기 설정된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기 설정된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구성 비율 수정 요청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구성 비율 수정 응답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을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부와, 상기 사용자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에 따라 가상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공간 할당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각 사용자의 파일별로 설정된 중요도 및 파일별 접근 빈도수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는, 마그네틱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광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설정부는,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기 설정된 저장 공간 구성 비율과, 사용 기간, 접속 방식, 사용자, 송수신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는, 저장 매체별, 사용 기간 별, 접속 방식별, 사용자별, 송수신 속도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설정부로부터 전달받아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주기적으로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저장 공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분석된 공간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을 토대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설정하여 사용자 설정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설정부에서 상기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의 수정 요청을 전달받은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구성 비율 수정 응답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전달받은 상기 구성 비율 수정 응답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와, 공간 할당부에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에 따라 가상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설정하여 사용자 설정부에 전달하는 단계는, 각 사용자의 파일별로 설정된 중요도 및 파일별 접근 빈도수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는, 마그네틱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광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기 설정된 저장 공간 구성 비율과, 사용 기간, 접속 방식, 사용자, 송수신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은, 저장 매체별, 사용 기간 별, 접속 방식별, 사용자별, 송수신 속도별 설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설정부로부터 전달받아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할당된 가상 공간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내에 연동된 다양한 저장 매체 미디어로 가상 저장 공간 비율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는 비용별 또는 데이터별로 제공되는 저장매체 미디어를 달리하여 데이터 입출력 성능 및 운용 비용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속된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량 또는 사용 기간 기반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연동된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대한 저장 공간을 파악한 후, 사용자 별로 제공된 가상의 저장 공간 내에서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구성 비율을 입력 받아 입력된 구성 비율로 스토리지 공간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100)가 인터넷, 전용회선, 무선망 등과 같은 통신망(11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20, 122, 124)와 연결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100)가 3대의 사용자 단말기(120, 122, 124)와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웹하드, 인터넷하드 등의 용어로 불리는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들처럼 매우 많은 사용자 단말기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120, 122, 124)와 접속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120, 122, 124)에 대한 사용자 인증(예컨대, 아이디/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수행하고, 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비용결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20, 122, 124)는 컴퓨터, 노트북, PMP, PDA, 핸드폰, 네비게이션과 같이 통신망(110)에 유무선 방식으로 접속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100)는 제어부(200), 저장부(201), 과금부(210), 파일 목록 관리부(212), 파일목록 데이터베이스(DB)(214), 공간 할당부(216), 사용자 설정부(218),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100)에 포함된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입력된 파일에 대한 읽기, 쓰기, 삭제, 저장 등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201)에 저장된 파일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01)로 기 설정된 시간대 별 또는 주기적으로 저장 매체 미디어별로 현재 저장된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등의 저장 공간 정보(예컨대, 용량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어된 파일들에 대한 변경 정보를 파일목록 관리부(212)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201)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사용자들이 접근을 요청한 파일들을 해당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제어부(200)의 저장 공간 정보 요청에 따라 각 저장 매체 미디어별로 현재 저장된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마그네틱 테이프(202), 마그네틱 디스크(204), 광 디스크(206),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20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테이프(202)는 자기 테이프로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나, 장시간 보관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다만,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의 처리, 자주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자료를 보관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마그네틱 디스크(204)는 자기 디스크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라는 명칭으로 주로 쓰이고 있으며, 비용 대비 저장용량이 많으므로 가장 널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장 매체이다. 이러한 마그네틱 디스크(204)는 저장부(201)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마그네틱 테이프(202)의 단점들을 대부분 보완해주고 있다.
광 디스크(206)는 원판 형태의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CD, DVD, 블루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마그네틱 디스크(204)의 용량이 현저하게 낮았던 경우에는 비용대비 저렴한 광 디스크(206)를 외부 저장장치로 주로 사용하였으나, 요즘에는 마그네틱 디스크(204) 보다 느린 파일 접근 속도와 별도의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점차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는 상태이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208)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마그네틱 디스크(204)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 발열, 소음 등이 적어 소형화 및 경량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SD(208)는 비록, 고가의 비용이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기술의 발전 및 대중화를 통해 앞으로는 마그네틱 디스크(204)를 대체할 차세대 저장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이다.
이와 같이 저장부(201)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저장 매체 미디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파일들에 대해 기 설정된 저장 매체로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과금부(210)는 저장 매체별, 사용 기간 별, 접속 방식별, 사용자별, 송수신 속도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방식에 따라 과금을 책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저장 매체별 책정방식은 저장 매체 미디어를 모두 혼합해서 제공하거나, 특정 저장 매체 미디어만 선택하여 제공하는 경우, 공간할당 수정 횟수에 따라 과금이 책정될 수 있으며, 접속방식별 책정 방식은 접속 방식이 무선방식인 경우 과금이 추가로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별 책정 방식은 사용자가 개인 또는 단체, 복수의 접속 아이디가 필요한 경우 선택한 사용자 및 아이디 개수에 따라 책정될 수 있으며, 송수신 속도는 기설된 저속 또는 고속 전송방식에 따라 책정될 수 있다.
파일 목록 관리부(212)는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된 파일 변경 정보, 즉 제어부(200)를 통해 제어(예컨대, 읽기, 쓰기, 수정, 저장, 삭제 등)된 파일들에 대한 변경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를 파일목록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1234.TXT"이 사용자에 의해 1일 동안 10번의 삭제 및 저장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파일 정보와 함께 제어 횟수(삭제 10번, 저장 10번)를 리스트화하여 파일목록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목록 데이터베이스(214)에 저장되는 파일 목록을 저장부(201)에 저장된 파일들과 일치되도록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공간 할당부(216)는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된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별로 가상 공간을 할당하게 되며, 이때, 저장 매체 미디어별로 구성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1기가바이트(GB)의 저장 공간을 신청한 경우, 제어부(200)로부터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에 SSD(208) 200MB, 마그네틱 디스크(204) 500MB, 광 디스크(206) 200MB, 마그네틱 테이프(202) 100MB로 공간을 할당하여 사용자 설정부(218)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할당 방식은 용량별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설정하거나, 제어부(200)로부터 분석된 구성 비율 또는 사용자 설정부(218)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설정 구성 비율을 토대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00)로부터 분석된 구성 비율 또는 사용자 설정부(218)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설정 구성 비율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설정부(21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송수신한 파일에 대한 액세스 요청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달하여 해당 파일에 대한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로부터 저장 매체 미디어별 구성 비율이 포함된 저장 공간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하고 이때, 사용 기간, 접속 방식, 사용자, 송수신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저장 공간 정보와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서는 사용자에게 사용 기간, 접속 방식, 사용자, 송수신 속도 등의 설정 정보와 저장 공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에 대한 수정 및 설정을 위한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각 저장 매체 미디어별 공간 비율이 설정된 저장 공간 정보를 토대로 각 매체별 공간 비율을 조정하고, 각 매체에 원하는 저장파일을 대응시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D(208)에는 업무 자료 및 문서자료, 마그네틱 디스크(204)에는 동영상 및 사진 자료, 광 디스크(206)에는 보관자료 등을 설정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파일에 대해 해당 매체 미디어로의 자동저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공된 저장 공간을 추가로 늘리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저장 매체 미디어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저장 매체 미디어 별 설정 파일 대응 정보, 할당 공간 추가 요청 정보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에서 사용자 설정부(218)로 전달되고, 사용자 설정부(218)에서는 이를 제어부(200)로 전달하여 구성 비율의 수정 가능여부, 저장 매체 미디어별 파일 대응 정보의 설정 가능 여부, 할당 공간 추가 승인 여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00)에서는 수신한 사용자 설정 정보에 포함된 구성 비율 수정 응답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공간 할당부(216)에 수정된 구성 비율을 포함하는 저장 공간 정보를 전달하고, 공간 할당부(216)에서는 전달받은 저장 공간 정보의 수정된 구성 비율에 따라 저장 매체 미디어별 구성 비율을 수정하여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매체 미디어별 파일 대응 정보를 설정하고, 할당 공간 추가 승인이 가능한 경우, 이를 해당 사용자의 저장 공간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설정부(218)는 제어부(200)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구성 비율에 대해 승인 불가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200)에서 각 저장 매체 미디어별로 기 설정된 구성 비율을 초과하거나, 해당 비율로 설정하는 경우, 특정 저장 매체 미디어에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사용자 설정부(21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 비율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다시 수정된 구성 비율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20, 122, 124)와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파일 송수신 및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된 저장 공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01) 내에 저장된 다양한 저장매체들 각각이 뚜렷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들 또한 사용하는 파일들에 대한 중요도 및 해당 파일에 대한 접근 빈도수가 각기 다르므로, 제어부(200)에서는 이를 토대로 저장 매체 미디어의 가상 공간 구성 비율을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하여 효율적인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저장부(201)로부터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사용자별 또는 사용자 아이디별 파일들에 대한 접근 제어 정보를 파일목록 관리부(212)로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용형태로서 확인할 수 있는 파일에 대한 접근 빈도수에 따라 사용자별 공간 구성 비율을 설정하여 사용자 설정부(218)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 빈도수가 많은 경우로서, 해당 파일을 광디스크(206)나 마그네틱 테이프(202)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파일 송수신에 대한 처리 속도가 문제 될 수 있으므로, 접근 빈도수가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파일들은 SSD(208) 또는 마그네틱 디스크(204)에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 파일에 접근 제어시 기설정된 중요도 설정방식(예컨대, 4단계의 중요도, 1순위-매우 중요, 2순위-중요, 3순위-일반 파일, 4순위-비중요 파일 등)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어부(200)에서 각 파일별 확장자 정보 또는 검색어 검색을 토대로 파일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데이터 파일의 중요도에 따라 사용자별 공간 구성 비율을 설정하여 사용자 설정부(218)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자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는 경우는 "AVI, MOV" 등의 확장자 정보는 영화 파일이므로 중요하진 않지만, 사용자의 접근이 어느 정도 발생 할 수 있으므로 3순위 파일로 설정하고, "HWP, PDF, DOC"등의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들은 2순위 파일로 설정하며, 파일명 검색을 통해 "중요, 보안, 대외비" 등이 검색된 경우에는 1순위 파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00)에서는 1,2순위의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파일들에 대해 SSD(208), 마그네틱 디스크(204)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3순위 파일은 광디스크(206), 4순위 파일은 마그네틱 테이프(202)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파일 중요도별로 저장 매체 미디어별 공간 구성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파일의 중요도 또는 특정 파일에 대한 접근 빈도수를 토대로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공간 구성 비율을 분석하여 재설정된 구성 비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에서는 저장부(201)로부터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 정보(예컨대, 용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각 저장 매체 미디어별 저장 공간을 확인하게 된다(S300). 에어 제어부(2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별로 기설정된 저장 매체 구성 비율로 공간을 할당하게 된다(S302).
예를 들어, 마그네틱 테이프(202), 마그네틱 디스크(204), 광 디스크(206), SSD(208)와 같이 4종류의 저장매체가 저장부(201)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준 구성 비율을 1:5:2:2와 같이 설정해 둠으로써, 제어부(200)는 사용자에게 신청 용량 별로 해당 구성 비율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설정부(218)에서 사용자의 구성 비율 수정 요청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한 경우(S304), 이를 제어부(200)로 전달하여 구성 비율 수정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게 된다(S306). 이에 사용자 설정부(218)에서 제어부(200)로부터 구성 비율 수정에 대한 승인 불가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 해당 사용자에게 구성 비율 재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부하게 된다(S308).
그러나 제어부(200)로부터 구성 비율 수정 승인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 해당 사용자에게 구성 비율 수정 확인 메시지를 송부하고, 공간 할당부(216)에서는 구성 비율 수정 승인 응답을 사용자 설정부(218)와 동시에 수신하여 해당 구성 비율로 각 저장 매체 미디어별 공간 구성 비율을 수정하여 할당하게 된다(S3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의 스토리지 공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각기 다른 종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대한 가상 공간 정보 및 수정 가능한 공간 비율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 유무선 방식으로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할당된 가상 공간을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내에 연동된 다양한 저장 매체 미디어로 가상 저장 공간 비율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서는 비용별 또는 데이터별로 제공되는 저장매체 미디어를 달리하여 데이터 입출력 성능 및 운용 비용의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것에 적합하다.
100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200 : 제어부
201 : 저장부 202 : 마그네틱 테이프
204 : 마그네틱 디스크 206 : 광 디스크
208 : SSD 210 : 과금부
212 : 파일목록 관리부 214 : 파일목록 DB
216 : 공간 할당부 218 : 사용자 설정부
2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서로 다른 종류인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별로 설정된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각 사용자를 위한 가상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공간 할당부;
    상기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저장 공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저장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에 할당된 상기 가상 저장 공간에 대한 파일 저장, 저장된 파일의 읽기, 쓰기, 수정 및 삭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별 구성 비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구성 비율 수정, 저장매체 별 파일 대응 정보 설정, 및 할당 공간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승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 저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승인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성 비율 수정, 저장매체 별 파일 대응 정보 설정, 및 할당 공간 추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파일을 송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요청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송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또는 사용하는 파일별 중요도 및 파일별 접근 빈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저장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는,
    마그네틱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광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저장 매체별, 사용 기간 별, 접속 방식별, 사용자별, 송수신 속도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기준으로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과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7. 서로 다른 종류인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가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저장 공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별로 설정된 저장 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로 각 사용자를 위한 가상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저장 매체 미디어별 구성 비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구성 비율 수정, 저장매체 별 파일 대응 정보 설정 및 할당 공간 추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저장 매체 미디어 별 저장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승인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성 비율 수정, 저장매체 별 파일 대응 정보 설정 및 할당 공간 추가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저장 공간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또는 사용하는 파일별 중요도 및 파일별 접근 빈도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저장매체 미디어 별 구성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미디어는,
    마그네틱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광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저장 매체별, 사용 기간 별, 접속 방식별, 사용자별, 송수신 속도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를 기준으로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방법.
  12. 삭제
KR1020100071900A 2010-07-26 2010-07-26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64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00A KR101644894B1 (ko) 2010-07-26 2010-07-26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00A KR101644894B1 (ko) 2010-07-26 2010-07-26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397A KR20120010397A (ko) 2012-02-03
KR101644894B1 true KR101644894B1 (ko) 2016-08-12

Family

ID=4583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900A KR101644894B1 (ko) 2010-07-26 2010-07-26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927A (ko) * 2016-12-09 2018-06-20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45430B1 (ko) 2016-12-13 2019-0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스토리지 페더레이션 환경의 가용성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20220006332A (ko) * 2020-07-08 2022-0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토리지 활용 이력에 기반한 비용 책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5840B2 (en) 2012-04-23 2015-11-24 Google Inc. Application-specific file type generation and use
US9176720B1 (en) 2012-04-23 2015-11-03 Google Inc. Installation of third-party web applications into a container
US9148429B2 (en) 2012-04-23 2015-09-29 Google Inc. Controlling access by web applications to resources on servers
US8751493B2 (en) 2012-04-23 2014-06-10 Google Inc. Associating a file type with an application in a network storage service
US9262420B1 (en) 2012-04-23 2016-02-16 Google Inc. Third-party indexable text
US9317709B2 (en) 2012-06-26 2016-04-19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ntegrating with native applications enabled for web-based storage
CN102829789A (zh) * 2012-09-24 2012-12-19 惠州天缘电子有限公司 一种云端智能导航方法、云端导航装置和导航系统
US9529785B2 (en) 2012-11-27 2016-12-27 Google Inc. Detecting relationships between edits and acting on a subset of edits
US9430578B2 (en) 2013-03-15 2016-08-30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choring third party metadata in a document
US9727577B2 (en) 2013-03-28 2017-08-0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to store third-party metadata in a cloud storage system
US9461870B2 (en) 2013-05-14 2016-10-0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hird-party application specific storage in a cloud-based storage system
US9971752B2 (en) 2013-08-19 2018-05-1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privileged edits within suggested edits
US9348803B2 (en) 2013-10-22 2016-05-2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just-in-time preview of suggestion resolutions
KR20160029282A (ko) 2014-09-05 2016-03-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818823B1 (ko) 2015-12-21 2018-02-28 전자부품연구원 엑사 스케일급 클라우드 스토리지 환경에서의 정책 기반 오케스트레이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토리지 시스템
CN117369720B (zh) * 2023-09-11 2024-05-14 广州德久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存储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029A (ko) * 2007-08-24 200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토리지 디바이스 및 그 구동방법
KR20090131142A (ko) * 2008-06-17 2009-12-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JP5192932B2 (ja) * 2008-07-23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内の論理ユニットを論理ボリュームに割り当てる方法及び記憶制御装置
KR101560724B1 (ko) * 2008-12-02 2015-10-15 네이버 주식회사 파일 스토리지 액세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927A (ko) * 2016-12-09 2018-06-20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64693B1 (ko) 2016-12-09 2019-04-04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45430B1 (ko) 2016-12-13 2019-0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스토리지 페더레이션 환경의 가용성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20220006332A (ko) * 2020-07-08 2022-0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토리지 활용 이력에 기반한 비용 책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359467B1 (ko) * 2020-07-08 2022-02-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토리지 활용 이력에 기반한 비용 책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397A (ko) 201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894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80356992A1 (en) Multi-Device Platform
US8590050B2 (en) Security compliant data storage management
US7849282B2 (en) Filesystem building method
US85046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service-provider-aware storage system
US20230229637A1 (en) Intelligent file system with transparent storage tiering
TWI581102B (zh) 用於制式資料儲存的儲存媒體抽象化
CN104603762B (zh) 利用并行文件访问协议的自动校准以及元数据管理支持对文件系统的共享存储的协调访问的方法及系统
US20190132222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service based on cloud service brokerage and method thereof
KR101533427B1 (ko) 대용량 가상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이동식 저장장치 및 그 제공방법
US7587552B2 (en) Computer system and performance tuning method
US9690492B2 (en) Random read performance of optical media library
CN103401902A (zh) 一种便携式云存储系统及方法
CN103368867A (zh) 高速缓存经网络与辅助站点通信的对象的方法和系统
KR20130026908A (ko) 클라우드 기반 로컬 장치와 로컬 장치의 파일 읽기 및 저장 방법
CN104903890A (zh) 用于选择性地路由高速缓存的对象的系统和方法
CN103905517A (zh) 一种数据存储方法及设备
CN102609466A (zh) 一种共享内存的控制方法及系统
Oh et al. TripS: Automated multi-tiered data placement in a geo-distributed cloud environment
JP2023541244A (ja) ユニファイド・ストレージ環境内のストレージ階層化
KR101531564B1 (ko) 네트워크 분산 파일 시스템 기반 iSCSI 스토리지 시스템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및 시스템
CN102448077B (zh) 内容管理方法与内容管理系统
CN101788888A (zh) 一种实现目标端驱动的方法及该目标端驱动
US20190339903A1 (en) Drive utilization in multi-tiered systems with read-intensive flash
US11528324B2 (en) Syncing with select dele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