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708B1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708B1
KR101644708B1 KR1020140167597A KR20140167597A KR101644708B1 KR 101644708 B1 KR101644708 B1 KR 101644708B1 KR 1020140167597 A KR1020140167597 A KR 1020140167597A KR 20140167597 A KR20140167597 A KR 20140167597A KR 101644708 B1 KR101644708 B1 KR 10164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acrylat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1603A (en
Inventor
배경열
조윤경
장석기
유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6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6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7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유기전자장치를 봉지할 경우, 배리어 필름의 보호에 사용되었던 보호 필름 박리 시 또는 배리어 필름을 유기전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상부의 이형 필름의 박리 시, 배리어 필름이 들뜨는 등의 박리 불량이 개선되어 공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 중, 유기전자소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hen the adhesive sheet is used to encapsulate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when the protective film used for protecting the barrier film is peeled off or when the release film on the adhesive layer above the adhesive layer for adhering the barrier film to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peeled of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ectiv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amage to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during the proce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Description

점착 시트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0001]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0002]

본 발명은 점착 시트,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 및 유기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유기전자장치(OED; organic electronic device)는 정공 및 전자를 이용하여 전하의 교류를 발생하는 유기 재료층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광전지 장치(photovoltaic device), 정류기(rectifier),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OED) refers to an apparatus that includes an organic material layer that generates holes and electrons to generate an alternating current. Examples thereof include a photovoltaic device, a rectifier, A transmitt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상기 유기전자장치 중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doe)는 기존 광원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적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표시장치 또는 조명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OLED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여, 각종 휴대용 기기, 모니터, 노트북 및 TV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mong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s have lower power consumption, faster response speed, and are advantageous for thinning display devices or illumination. In addition, OLEDs are expected to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covering various portable devices, monitors, notebooks, and televisions because of their excellent space utilization.

OLED의 상용화 및 용도 확대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문제점은 내구성 문제이다. OLED에 포함된 유기재료 및 금속 전극 등은 수분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매우 쉽게 산화된다. 따라서, OLED를 포함하는 제품은 환경적 요인에 크게 민감하다. 이에 따라 OLED 등과 같은 유기전자장치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산소 또는 수분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수분 차단성 배리어 필름을 적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commercialization of OLEDs and expansion of applications, the main problem is durability. Organic materials and metal electrodes contained in OLEDs are very easily oxidiz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moisture. Thus, products containing OLEDs are highly sensitive to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ly,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applying a moisture barrier film to effectively block penetration of oxygen or moisture from the outside into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OLED.

그러나, 종래의 OLED 봉지용 배리어 필름은 두 개의 이형 필름 사이의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점착 박리 특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OLED의 대면적화로 인해 배리어 필름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OLED의 봉지 공정 중 배리어 필름의 박리 불량률이 증가하였다. 예를 들어, 배리어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이나 이형 필름의 박리 시 접착 필름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박리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rrier film for encapsulating OLEDs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between two release films,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peeling property is extremely low. Particularly, as the size of the barrier film increases due to the large-sized OLED, the defective defect rate of the barrier film during the sealing process of the OLED increases. For example, when the protective film or the release film protecting the barrier film is peeled off, peeling failure occurs in which the peeling of the adhesive film occur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서로 다른 박리 특성을 가지는 이형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시도하였으나, 그것만으로는 불량을 해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유기전자장치의 손상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OLED 봉지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공정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봉지용 점착 시트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a release film having merely different peeling properties, but it has not been solved by itself.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sealing that can effectively reduce moisture penetration while reducing damage to organic electronic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process defects that may occur in an OLED sealing process.

본 발명은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유기전자장치를 봉지할 경우, 배리어 필름의 보호에 사용되었던 보호 필름 박리 시 또는 배리어 필름을 유기전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상부의 이형 필름의 박리 시, 배리어 필름이 들뜨는 등의 박리 불량을 개선하여 공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 유기전자소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encapsulated using the adhesive sheet, the protective film used for protecting the barrier film is peeled off or the release film on the adhesive layer above the adhesive layer for attaching the barrier film to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eterioration in peeling, such as lifting, and effectively preventing damage to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n the peeling step,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이하에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략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비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general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hickness, size, ratio or the like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은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 시트는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one example, the adhesive sheet can be applied to encapsulate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Furth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예시적인,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점착 시트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리어 필름; 상기 배리어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 시트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Exemplary adhesive sheets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s include protective films; A barrier film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rrier film; And a release film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In one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satisf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일반식 1][Formula 1]

A ≤ BA? B

상기 일반식 1에서 A는 상기 점착 시트의 너비를 1 inch로 제조한 상태에서,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B는 상기 점착 시트의 너비를 1 inch로 제조한 상태에서,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박리력 A 및 박리력 B는, 동일한 점착 시트 샘플(동일 너비)에 대하여 동일한 박리 속도 및 박리 각도 등 동일 측정 조건에서 측정한 박리력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를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 A와 같거나 크게 조절함으로써, 이형 필름 및 보호 필름 박리 시 배리어 필름이 들뜨거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공정 불량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유기전자소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general formula (1), A represents the peeling force (peel rate: 0.3 m / min, peel angle: 180 DEG)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in the state that the width of the adhesive sheet is 1 inch. In the above, B represents the peel force (peel rate: 0.3 m / min, peel angle: 180 DEG)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in the state that the width of the adhesive sheet is 1 inc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eeling force A and the peeling force B may be peeling forces measured under the same measurement conditions such as the same peeling speed and peeling angle for the same adhesive sheet sample (same width). In one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peeling force B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eeling force A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while improving the process defects in which part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detached.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점착시트는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satisf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일반식 2][Formula 2]

2 gf/inch ≤ B - A ≤ 20 gf/inch2 gf / inch B - A 20 gf / inch

상기 일반식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는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 A(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보다 2 내지 20 gf/inch 클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와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 A와의 차이가 2 내지 19 gf/inch, 3 내지 18 gf/inch, 5 내지 17 gf/inch, 5 내지 15 gf/inch, 7 내지 12 gf/inch, 또는 8 내지 10 gf/inch 일 수 있다.The peeling force B (peel rate: 0.3 m / min, peel angle: 180 DEG)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general formula 2 is the peeling force A m / min, peeling angle: 180 deg.). In one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eling force B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and the peeling force A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is 2 to 19 gf / inch, 3 to 18 gf / inch, 5 to 17 gf / inch, 5 to 15 gf / inch, 7 to 12 gf / inch, or 8 to 10 gf / inch.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보호필름은 하기 일반식 3을 만족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xample, the protective film may satisf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3).

[일반식 3][Formula 3]

13 gf/inch ≤ B ≤ 25 gf/inch13 gf / inch ≤ B ≤ 25 gf / inch

상기 일반식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는 13 내지 25 gf/inch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는 14 내지 24 gf/inch, 14 내지 22 gf/inch, 또는 14 내지 20 gf/inch일 수 있다.The peeling force B (peeling speed: 0.3 m / min, peeling angle: 180 deg.)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may be 13 to 25 gf / inch as described in the general formula 3. [ In one example, the peel force B between the call film and the barrier film may be 14 to 24 gf / inch, 14 to 22 gf / inch, or 14 to 20 gf / inch.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기전자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정공 및 전자를 이용하여 전하의 교류를 발생하는 유기재료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물품 또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광전지 장치, 정류기, 트랜스미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전자장치는 OLED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organic electronic device " refers to an article or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n organic material layer that generates alternating electric charges using holes and electrons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o, photovoltaic devices, rectifiers, transmitter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may be an OLED.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호필름(1), 배리어 필름(2), 점착층(3) 및 이형 필름(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protective film 1, a barrier film 2, an adhesive layer 3, and a release film 4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bottom as shown in Fig. 1 .

상기 보호 필름(1)은, 자동화 공정 진행 중 고정용 흡착판을 사용한 이송 단계에서 배리어 필름의 스크레치 방지를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형 필름(4)은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추후 피착제에 적용되기 위하여 박리되는 필름이다. 즉, 본 발명의 구현 예들에 의한 점착 시트는 궁극적으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에 적용되게 되면, 보호 필름(1) 및 이형 필름(4)은 유기전자장치에 포함되지 않게 된다.The protective film (1) is formed for preventing scratching of the barrier film in the transfer step using the adsorption plate for fixing during the automation process. The release film (4)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It is a film that is peeled off to become. That is, when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ltimately applied to the encapsulation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the protective film 1 and the release film 4 are not included in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이 상기 점착 시트를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공정에 적용 시 이형 필름(4)의 박리공정과 보호 필름(1)의 박리 공정이 필요하며, 이 때 이형 필름(4) 및 보호 필름(1)이 잔여물 없이 깨끗하게 박리되고, 배리어 필름(2)이 들뜨거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불량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When the adhesive sheet is applied to the sealing process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the releasing film 4 and the protective film 1 are required to be peeled off. In this case, the releasing film 4 and the protective film 1 It is required to cleanly peel off without residue, and to reduce defects in which the barrier film 2 is lifted or partly separated.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점착 시트를 유기전자장치 봉지 공정에 적용하는 일부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부터 도 4의 공정은 순서대로 일어나는 공정으로, 도 2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유기전자장치의 봉지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이형 필름(4)을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한다. 이어서, 이형 필름(4)이 박리됨에 따라 외부에 접하는 점착층(3)을 기재층(5)에 부착한다. 그런 뒤, 상온에서 마지막으로 기재층(5)가 부착된 점착 시트의 반대 면의 보호 필름(1)을 박리 제거하여 점착 시트를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공정에 사용한다.Figs.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ome processes for apply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encapsulating process. The steps shown in FIGS. 2 to 4 are sequentially performed. First, as shown in FIG. 2, the release film 4 is peeled from the adhesive sheet at room temperature to use th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Then, as the release film 4 is peeled off, the adhesive layer 3 contacting the outside is adhered to the base layer 5. Thereafter, the protective film 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to which the substrate layer 5 is finally attached is peeled off at room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is used in the sealing process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기재층(5)은 유리 또는 SiNx가 증착된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재층 상에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ubstrate layer 5 may be formed of glass or SiNx deposited gla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In one example,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상기와 같은 박리 공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의한 점착 시트는 박리 불량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일반식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A)은 보호필름(1)과 배리어 필름(2) 사이의 박리력(B)보다 낮거나 같다. 이에 따라, 이형 필름(4)을 박리하는 공정 중에, 보호 필름(1)과 배리어 필름(2) 사이의 계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peeling failure phenomeno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peeling process, the peeling force A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as shown in the general formula (1) (B) between the barrier film (1) and the barrier film (2).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at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otective film (1) and the barrier film (2) during the step of peeling the release film (4).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B)과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A)의 차이가 2 gf/inch 내지 20 gf/inch일 수 있다. 상기에서 박리력 차이가 2 gf/inch 미만인 경우, 흡착판 상의 보호필름으로부터 배리어 필름이 들떠서 박리 불량이 될 수 있다. 또한, 박리력 차이가 20 gf/inch 초과하는 경우, 이형 필름(4)이 제거되고 점착층(3)이 OLED 기재층(5) 상에 부착된 후, 보호필름(1) 박리 공정에서 점착층(3)이 그 기재층(5)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배리어 필름(2)과 점착층(3) 사이의 계면이 박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층(5) 상에 형성된 유기전자소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eling force (B)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and the peeling force (A)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can be 2 gf / inch to 20 gf / inch. In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peel force is less than 2 gf / inch, the barrier film may be lifted from the protective film on the adsorption plate, resulting in peeling failure. If the difference in peel strength exceeds 20 gf / inch, the releasing film 4 is removed and the adhesive layer 3 is adhered on the OLED base layer 5, The adhesive layer 3 may peel off from the base layer 5 or the interface between the barrier film 2 and the adhesive layer 3 may peel off. In this case,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formed on the base layer 5 may be damaged.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보호 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B)은 13 gf/inch 내지 25 gf/inch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박리력을 제어함으로써, 이형 필름(4)이 제거되고 점착층(3)이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된 기재층(5) 상에 부착된 후, 보호필름(1) 박리 공정에서 점착층(3)이 그 기재층(5)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나, 배리어 필름(2)과 점착층(3) 사이의 계면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xample, the peel force B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may be 13 gf / inch to 25 gf / inch. After the releasing film 4 is removed and the adhesive layer 3 is adhered to the base layer 5 on which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formed by controlling the peeling force as described above, 3 is peeled from the base layer 5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barrier film 2 and the adhesive layer 3 is peeled off.

본 발명의 구현 예에서 점착층은 25 ℃의 온도, 1Hz의 주파수에서 스트레인 5%일 때의 저장 탄성률이 0.1 MPa 내지 10MPa, 0.2 MPa 내지 8 MPa, 0.21 MPa 내지 6MPa, 0.22 MPa 내지 4 MPa, 0.23 MPa 내지 2 MPa, 0.24 MPa 내지 1 MPa 또는 0.25 MPa 내지 0.8 MPa 일 수 있다. 점착층이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너무 낮은 경우, 사이드 쪽으로 점착층이 새어 나와 이형 필름 쪽을 오염시켜 초기 박리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범위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 점착층을 이용하여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함에 따라, 소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 상기 저장 탄성률을 만족하는 점착층은 택 특성이 높아, 자동화 공정 중에서 이형 필름 제거 공정 시 박리 불량이 나타날 확률이 높은데, 전술한 박리력 관계를 통해 이러한 박리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a temperature of 25 캜, a strain of 5% at a frequency of 1 Hz of 0.1 MPa to 10 MPa, 0.2 MPa to 8 MPa, 0.21 MPa to 6 MPa, 0.22 MPa to 4 MPa, 0.23 MPa to 2 MPa, 0.24 MPa to 1 MPa or 0.25 MPa to 0.8 MPa.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oo low storage elastic modulus at room temperatu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eaks to the side, thereby contaminating the release film, thereby increasing the initial peeling force. The present application can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device by sealing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adhesive layer hav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within the above range.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dhesive layer satisfy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has a high tack property, so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peeling failure occurs in the step of removing the release film in the automation process. The peeling failure can be suppressed through the above- .

또한, 본 발명의 구현 예에서 점착층은 25 ℃의 온도, 1Hz의 주파수에서 스트레인 5%일 때의 손실계수(tanδ)가 0.2 내지 0.6, 0.21 내지 0.55, 0.22 내지 0.5, 0.23 내지 0.45, 0.24 내지 0.4 또는 0.25 내지 0.39일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loss coefficient (tan?) Of 5% strain at a temperature of 25 占 폚 at a frequency of 1 Hz of 0.2 to 0.6, 0.21 to 0.55, 0.22 to 0.5, 0.23 to 0.45, 0.4 or 0.25 to 0.39.

상기에서 손실계수인 tanδ는 손실 탄성률 G``/저장 탄성률 G`(G``/G`)의 값을 가지며, 0.6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층의 흐름성이 크게 되면 점착층이 새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손실계수가 0.2보다 낮으면, 점착층이 너무 하드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재층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없어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하는 용도에 부적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loss coefficient tan? Has a value of the loss elastic modulus G '' / storage elastic modulus G '(G' / G ') and may be 0.6 or less. That is, when the flow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creas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leak. Therefo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6 or less. However, if the loss factor is lower than 0.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come too hard, so that it can not be effectively adhered to the base layer, which makes it unsuitable for use in sealing organic electronic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저장 탄성률 및 손실 탄성률은 상기 점착층으로 제조된 원형 샘플(지름: 8mm, 두께: 600㎛)에 대해 ARES(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을 사용하여, 25℃의 온도에서 axial force가 50gf이 되도록 설정한 후, 5%의 스트레인 조건에서 0.1 Hz에서 100Hz까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측정되었다. 상기에서, 주파수가 1 Hz일 때의 저장 탄성률 및 손실 탄성률을 측정하였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were measured by using an ARES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for a circular sample (diameter: 8 mm, thickness: 600 탆) 50 gf, and then changing the frequency from 0.1 Hz to 100 Hz under 5% strain conditions. In the abov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at a frequency of 1 Hz were measur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ARES(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란 물질의 점도, 전단 탄성률, 손실계수 및 저장 탄성률 등 점탄성적 특성을 평가하는 유변물성 측정기이다. 상기 기기는 시편에 동적 상태 및 정상 상태를 가하고, 이와 같이 가해진 응력에 시편이 저항하는 정도인 전달 토크를 측정할 수 있는 기계적인 측정 장치이다.The term "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 as used herein is a rheometer for evaluating viscoelastic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shear modulus, loss modulus and storage modulus of a material. The device is a mechanical measuring device that applies a dynamic and steady state to a specimen and can measure the transmission torque, which is the degree to which the specimen is resistant to the applied stress.

하나의 예시에서, 점착층은 점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수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점착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면, 에스터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폴리부타디엔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은 수분 차단성 또는 광학적 특성 등의 측면에서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하는데 적합하지만 택 특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자동화 공정 중에서 이형 필름 제거 공정 시 박리 불량이 나타날 확률이 높은데, 본 출원은 전술한 박리력 관계를 통해 이러한 박리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comprise a viscous resin. The tacky resin may be a thermoplastic elastomer tacky resin. As the elastomer, for example, an ester type thermoplastic elastomer, an olefin type elastomer, a silicone type elastomer, an acrylic type elastomer,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As the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a polybutadiene resin, an elastomer or a polyisobutylene resin or an elastomer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is suitable for sealing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in terms of moisture barrier properties or optical characteristics, but has a high tack property. Therefo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separation defect occur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release film in the automation process. In this application, the separation failure can be suppress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force relationship.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는 고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성 수지는 디엔 및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올레핀계 화합물은 이소부틸렌,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엔은 상기 올레핀계 화합물과 중합 가능한 단량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부텐, 2-부텐,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점착성 수지는 예를 들면, 이소부틸렌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이소부틸렌 단량체와 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화합물 및 디엔의 공중합체는 부틸 고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 본 출원에서 점착층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수분 차단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The polyisobutylene resin or elastomer may include a high molecular weight polyisobutylene resin. For example, the viscous resin may be a copolymer of an olefinic compound containing a diene and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Here, the olefin compound may include isobutylene, propylene, ethylene or the like, and the diene may be a monomer capable of polymerizing with the olefin-based compoun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1-butene, 2-butene, isoprene, . ≪ / RTI > That is, the adhesive resi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for example, a homopolymer of an isobutylene monomer; A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an isobutylene monomer with another monomer capable of polymerization; Or a mixture thereof. In one example, the copolymer of an olefinic compound and a diene containing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may be a butyl rubber. By using a specific resi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barrier property required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adhesive layer is appli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satisfied.

상기 점착성 수지는 필름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정도의 중량평균분자량(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을 가지는 베이스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필름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한 정도의 중량평균분자량의 범위는 약 3만 내지 200만, 10만 내지 150만 또는 10만 내지 100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한다.The adhesive resin may be a base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formed into a film. In one example, the range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o such an extent that molding into a film shape can range from about 30,000 to 2,000,000, 100,000 to 1,500,000, or 100,000 to 100,000. The term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s used herein means a value converted to a standard polystyrene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상기 점착층은 점착 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석유 수지를 수소화하여 얻어지는 수소화된 석유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소화된 석유 수지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화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지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점착 부여제는 점착성 수지와 상용성이 좋으면서도 수분 차단성이 우수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수소화된 석유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수소화된 테르펜계 수지, 수소화된 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수소화된 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200 내지 5,000 일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전술한 박리력 및 점탄성 등의 제어를 위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부여제는,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 1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15 중량부 내지 45 중량부의 비율로 점착제층에 포함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tackifier. As the tackifier, for example, a hydrogenated petroleum resin obtained by hydrogenating a petroleum resin can be used. The hydrogenated petroleum resin may be partially or fully hydrogenated and may be a mixture of such resins. Such a tackifier may be selected to have good compatibility with the tackifier resin and excellent water barrier properties. Specific examples of the hydrogenated petroleum resins include hydrogenated terpene resins, hydrogenated ester resins, and hydrogenated dicyclopentadiene resin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ackifier may be from about 200 to about 5,000. The content of the tackifi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the control of peel strength and visco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tackifie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5 parts by weight to 65 parts by weight, 10 parts by weight to 60 parts by weight, 15 parts by weight to 55 parts by weight, 15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or 15 parts by weight To 45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출원에서 단위 「중량부」는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중량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점착층의 초기 접착력, 내구성 및 박리력 등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nit "parts by weight" means the weight ratio. By adjusting the weight ratio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intai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nitial adhesion, durability and peel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점착층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8 내지 30 중량부, 10 내지 25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또는 10 내지 18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적정 범위의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전술한 박리력 관계 및 점착층의 점탄성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Further, the adhesive layer may comprise a polyfunctional acrylate. The polyfunctional acryl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ropionic acid 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functional urethane (meth) acrylate, tris (meth) acryloxyethylisocyanurate, diglycerin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 (metha)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dicyclopentadiene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And urethane (meth)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 The multifunctional acryl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40 parts by weight, 8 to 30 parts by weight, 10 to 25 parts by weight, 10 to 20 parts by weight or 10 to 1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resin have. By including the polyfunctional acrylate in the above range, a crosslinking structure in an appropriate range can be formed, and the above peel force relationship and the viscoe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satisfied.

또한, 점착성 수지는 적어도 하나의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공단량체 및 질소 함유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가 상기 점착성 수지의 중합 단위로 포함됨으로써, 점착층의 기재층에 대한 wetting성을 증가시켜 기재층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tacky resin may include a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t least on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The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containing co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comonomer and a nitrogen-containing comonomer. By including the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as a polymerized unit of the adhesive resin, the wett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to the base layer can be increased and the adhesion to the base lay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구체 예에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성 수지를 가교시키고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를 고려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나,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부가 반응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아지리딘 화합물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는,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이나 아세토초산에틸 등에 배위한 상태로 존재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에서 다가 금속의 종류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또는 바나듐 등이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which crosslink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may be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an aziridine compound or a metal chelate compound.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the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resin, one or two or more crosslinking agents You can choose. Examples of the isocyanate compound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and naphthalene diisocyanate, An addition reaction product of an isocyanate compound and a polyol, and the like. As the polyol, trimethylolpropane or the like may be used.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ylol 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tetraglycidylethylenediamine or glycerin diglycidyl ether And aziridine compounds such as N, N'-toluene-2,4-bis (1-aziridine carboxamide), N, N'-diphenylmethane- 1-aziridinylphosphine oxide or the like such as bis (1-aziridine carboxamide), triethylene melamine, bisisopropanoyl-1- (2-methyl aziridine) Can be used. As the metal chelate compound, there can be used a compound in which the polyvalent metal exists in a state of being poured into acetylacetone, ethyl acetate or the like. As the polyvalent metal, there can be used aluminum, iron, zinc, tin, , Magnesium or vanadium, and the like.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9.5 중량부, 0.5 내지 9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8중량부 또는 2.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의 양으로 점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를 특정 범위로 포함시켜서 가교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가교도를 높임으로써 이형 필름과의 관계에서 점착력을 낮출 수 있다.The multi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s us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0.1 to 9.5 parts by weight, 0.5 to 9 parts by weight, 1 part by weight to 8.5 parts by weight, 1.5 parts by weight to 8 parts by weight, 2 parts by weight To 8 parts by weight or from 2.5 parts by weight to 8 parts by weight in the adhesive layer. The crosslinking degree can be controlled by including the polyfunctional crosslinking agent in a specific range, and the adhesion can be lowered in relation to the releasing film by increasing the degree of crosslinking.

본 출원의 하나의 구체 예에서, 점착층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점착성 수지와 함께 준-상호침투 중합체 네트워크(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이하, Semi-IPN)를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ultifunctional acrylate of the adhesive layer may form a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hereinafter, Semi-IPN) together with the adhesive resin.

본 명세서에서, 용어 「Semi-IPN」은 하나 이상의 고분자 가교 구조(polymer network) 및 하나 이상의 선형 또는 분지형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고분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분자 가교 구조에 침투해 있는 구조를 가진다. Semi-IPN은 화학적 결합의 손실 없이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고분자가 이론적으로는 상기 고분자 가교 구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IPN 구조와 구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 Semi-IPN " includes at least one polymer network and at least one linear or branched polym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ar or branched polymer is permeable to the polymeric crosslinked structure Structure. The Semi-IPN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IPN structure in that the linear or branched polymer can theoretically be separated from the polymeric crosslinked structure without loss of chemical bonding.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 구조는 열의 인가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 또는 상온에서 에이징(aging)에 의해 형성된 가교 구조일 수 있다. 상기에서 「활성 에너지선」의 범주에는, 마이크로파(microwaves), 적외선(IR), 자외선(UV), X선 및 감마선은 물론, 알파-입자선(alpha-particle beam), 프로톤빔(proton beam), 뉴트론빔(neutron beam) 또는 전자선(electron beam)과 같은 입자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emi-IPN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점착층의 가공성능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높이며, 가교를 통한 탄성률의 제어 및 그동안 얻을 수 없었던 높은 수분 차단 성능과 우수한 패널 수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 구조를 통하여, 적정 탄성률을 만족시켜 이형 필름과의 관계에서 박리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층과의 부착성은 향상시켜 유기전자소자 봉지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osslinked structure may be a crosslinked structure formed by application of heat, a crosslinked structure formed by irradiation of an active energy ray, or a crosslinked structure formed by aging at room temperature. The term " active energy ray " as used herein includes alpha-particle beams, proton beams, as well as microwaves, infrared (IR), ultraviolet A particle beam such as a neutron beam or an electron beam, and the like, and may be typically an ultraviolet ray or an electron beam. By introducing the above-mentioned Semi-IP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adhesive layer, control the elastic modulus through crosslinking, and achieve high moisture barrier performance and excellent panel lifetime. In addition, through the crosslinked structure, adhesion with the substrate layer on which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formed can be improved while satisfying an appropriate modulus of elasticity and facilitating peeling in relation to the release film, and effectively used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s .

점착층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라디칼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는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일 수 있다.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경화 속도 및 황변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 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radical initiator that can induce polymerization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The radical initiator may be a photoinitiator or an initiator. The specific kind of the photoinitiato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ing rate and the possibility of yellowing. For example, benzoin, hydroxy ketone, amino ketone or phosphine oxide photoinitiators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 Benzoin n-but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acetophenone, dimethyl anino 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diethoxy- Methyl-1 -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2-hydroxyethoxy) phenyl-2- (hydroxy-2-propyl) ketone, benzophenone, p-phenyl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dichlorobenzophenone, 2-methylanthraquinone, 2-ethyl anthraquinone, 2-t-butyl anthraquinone, 2-aminoanthraquinone, thioxanthone, 2-ethylthioxanthone, 2- - dimethylthio Diethyl thioxanthone, benzyldimethyl ketal, acetophenone dimethyl ketal, p-dimethylamino benzoic acid ester, oligo [2-hydroxy-2-methyl-1- [4- (1-methylvinyl) phenyl ] Propanone] and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can be used.

라디칼 개시제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또는 0.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또한 경화 후에 잔존 성분으로 인해 점착층 물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adical 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20 parts by weight or 0.0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This can effectively induce the reaction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and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ue to the remaining components after curing.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점착층은 하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겔 함량이 50% 내지 70%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gel content of 50% to 70%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4).

[일반식 4][Formula 4]

겔 함량(%) = Y/X × 100Gel content (%) = Y / X x 100

상기 일반식 4에서, X는 점착층의 질량이고, Y는 상기 점착층을 60℃에서 3시간 동안 톨루엔에 침적 후 200메쉬의 망으로 여과시키고, 상기 망을 통과하지 않은 상기 점착층의 불용해분의 건조 질량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겔함량은 바람직하게, 55% 내지 70% 또는 60% 내지 7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착층의 가교도를 조절함으로써, 점착층의 이형 필름에 대한 박리력 및 기재층에 대한 부착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겔 함량이 50% 미만인 경우, 점착층의 빠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70%를 초과하는 경우, 기재층에 대한 부착력이 떨어져 유기전자소자 봉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된다.In the general formula (4), X is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Y is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which is immersed in toluene for 3 hours at 60 ° C, filtered through a 200 mesh screen, Min. ≪ / RTI > Specifically, the gel content may preferably be 55% to 70% or 60% to 70%. By adjusting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peeling force for th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to the base layer. For example, when the gel content is less than 50%, peeling of the adhesive layer may occur, and when the gel content is more than 70%, the adhesive force to the base layer may be reduced and the organic electronic element encapsulation can not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이형 필름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형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이 분야의 일반적인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형 필름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형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적절한 이형 처리가 수행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에 사용되는 이형제의 예로는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또는 왁스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내열성 측면에서 알키드계,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pecific type of the release film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he release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general polymer film in this field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release film layer may b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tetrafluoroethylene film,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polybutene film, a polybutadiene film, a polyvinyl chloride film, An ethylene-vinyl acetate film,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film, an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 film, an ethylene-methyl acrylate copolymer film, or a polyimide film. In addition, appropriate mold release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leas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the releasing agent used in the releasing treatment of the releasing film include an alkyd type, a silicone type, a fluorine type, an unsaturated ester type, a polyolefin type, a wax type and the like. Among them, an alkyd type, a silicone type or a fluorine type releasing agent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상기 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500 ㎛, 또는 20 ㎛ 내지 200 ㎛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 ㎛ 미만이면 제조 과정에서 기재층 필름의 변형이 쉽게 발생할 우려가 있고, 500 ㎛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film as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 which it is appli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ilm may be about 10 탆 to 500 탆, or about 20 탆 to 200 탆.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10 탆, deformation of the base layer film may easil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f it exceeds 500 탆,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점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to which it is applied.

또한, 본 발명은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점착 시트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단계; 점착층을 유기전자소자와 접촉하도록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된 기재층에 라미네이트하는 단계; 및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peeling a release film from the above-mentio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Laminating the adhesive layer to a substrate layer in which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formed so as to contact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a step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상기에서,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단계에서는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 A과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the above step, in the step of peeling the release film, the peeling force A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and the peeling force B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may satisf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as described above.

[일반식 2][Formula 2]

2 gf/inch ≤ B - A ≤ 20 gf/inch2 gf / inch B - A 20 gf / inch

또한, 상기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에서는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 B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기 일반식 3을 만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ove step of peeling the protective film, the peeling force B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may satisf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3 as described above.

[일반식 3][Formula 3]

13 gf/inch ≤ B ≤ 25 gf/inch
13 gf / inch ≤ B ≤ 25 gf / inch

본 발명은 또한 유기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기전자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전자소자; 및 상기 유기전자소자의 전면을 봉지하도록 형성되고, 25 ℃의 온도, 1Hz의 주파수에서 스트레인 5%일 때의 저장 탄성률이 0.1 MPa 내지 10MPa인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장치는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된 커버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organic electronic devices.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formed on a substrate;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to seal the front surface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hav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 MPa to 10 MPa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strain of 5% at a frequency of 1 Hz.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substrate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층은 25 ℃의 온도, 1Hz의 주파수에서 스트레인 5%일 때의 손실계수(tanδ)가 0.2 내지 0.6, 0.21 내지 0.55, 0.22 내지 0.5, 0.23 내지 0.45, 0.24 내지 0.4 또는 0.25 내지 0.39일 수 있다. 상기 저장 탄성률 및 손실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In one example, the adhesive layer has a loss factor (tan?) Of 0.2 to 0.6, 0.21 to 0.55, 0.22 to 0.5, 0.23 to 0.45, 0.24 to 0.4 or less at a temperature of 25 deg. 0.25 to 0.39. The method of measur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loss coefficient is as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유기전자소자는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고, 하나의 예시에서는 상부 발광(Top Emission)형의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one example,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may be a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점착층은, 유기전자장치에서 우수한 수분 차단 특성 및 광학 특성을 나타내면서 상기 기판과 커버 기판을 효율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는 구조용 봉지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as a structural encapsulating layer that efficiently fixes and supports the substrate and the cover substrate while exhibiting excellent moisture barrier properties and optical characteristics in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또한, 상기 봉지층은 유기전자소자의 전면을 봉지함으로써, 빛이 방출되는 영역은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써 전면 발광(top emission) 또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등의 유기전자장치의 형태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봉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layer encapsulates the front surface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region where the light is emitted can exhibit excellent transparency, whereby the shape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such as top emission or bottom emission A stable encapsulation structure can be realized irrespective of the size.

본 명세서 용어 봉지층은 유기전자소자의 상부 및 측면을 모두 커버하는 점착층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sealing layer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n adhesive layer covering both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유기전자장치를 봉지할 경우, 배리어 필름의 보호에 사용되었던 보호 필름 박리 시 또는 배리어 필름을 유기전자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상부의 이형 필름의 박리 시, 배리어 필름이 들뜨는 등의 박리 불량을 개선하여 공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 중 유기전자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encapsulated using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film on the adhesive layer on the adhesive layer for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used for protecting the barrier film or for adhering the barrier film to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ective process such as lifting of the barrier film during peeling, thereby preventing the defective process and preventing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점착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점착 시트를 유기전자장치 봉지 공정에 적용하는 일부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ome processes for applying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encapsulat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One.

PIB 수지로서 2:1로 배합된 B80/B10 (BASF) 75 중량부, 점착부여수지로서 SU90 (코오롱 화학) 25 중량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서 TMPTA (미원상사)를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3 중량부, 광개시제로서 Ir651 (Ciba사)를 다관능성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첨가한 뒤, 1시간 동안 고속 믹싱하여 점착층 용액을 제조하였다.75 parts by weight of B80 / B10 (BASF) blended in a ratio of 2: 1 as a PIB resin, 25 parts by weight of SU90 (Kolon Chemical) as a tackifying resin, and TMPTA 0.1 parts by weight of Ir651 (Ciba) as a photoinitiato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functional acrylate was added to the mixture, followed by high-speed mixing for 1 hour to prepare an adhesive layer solution.

상기에서 준비한 점착층 용액을 이형 PET의 이형면에 콤마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기에서 130℃로 5분 동안 건조 후 UV를 조사하여 두께가 40㎛인 점착층을 제조하였다.The adhesive layer solution prepared above was applied to the releasing surface of the releasing PET using a comma coater, dried in a dryer at 130 캜 for 5 minutes, and irradiated with UV to produc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0 탆.

상기 점착층에 배리어 필름(I-component사 OBF0501)과 배리어 필름의 보호필름(Nitto denko사 RP301)을 합판하여 다층의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A barrier film (I-component OBF0501) and a barrier film protective film (Nitto Denko Co., RP301) were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to produce a multi-layered adhesive sheet.

실시예Example 2. 2.

PIB수지와 점착부여수지인 Su90 함량비를 7:3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IP resin and the tackifying resin Su90 content ratio were adjusted to 7: 3.

실시예Example 3. 3.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서 TMPTA (미원상사)를 수지 100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0 parts by weight of TMPTA (MI Corporation) was used as the polyfunctional acryl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다관능성아크릴레이트와 광개시제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ultifunctional acrylate and the photoinitiator were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PIB수지와 점착부여수지인 Su90 함량비를 6:4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IP resin and the tackifying resin, Su90, were adjusted to a ratio of 6: 4.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One. 박리력Peel force A 및 B A and B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한 점착시트의 측정 샘플의 폭을 1 inch로 하고, 항온 항습 조건에서 보호필름을 고정시킨 뒤 TA(texture analyzer)기기를 이용하여 이형필름을 0.3 m/min의 속도, 180도 각도로 박리하여 박리력 A를 측정하였다 (ASTM 3330).The protective film was fixed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width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1 inch, and then the releasing film was pressed at a speed of 0.3 m / min using a TA (texture analyzer) , And the peel force A was measured by peeling at an angle of 180 degrees (ASTM 3330).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층을 기재층(glass)에 부착한 뒤, TA기기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0.3 m/min의 속도, 180도 각도로 박리하여 박리력 B를 측정하였다 (ASTM 3330 변형).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the adhesive layer was adhered to the substrate layer, and then the protective film was peeled off at a rate of 0.3 m / min and a 180 degree angle using a TA instrument to measure the peeling force B (ASTM 3330 strain) .

2. 2. GelCome %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층을 일정 부분 샘플링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톨루엔에 넣고 60℃ 오븐에 3시간 동안 보관한다. 그 후, 철망(200 메쉬)에 걸러주고 130℃ 오븐에서 1시간 건조하여 철망에 걸러진 샘플에 포함되어 있는 톨루엔을 제거한다. 기존 점착층의 무게와 톨루엔에 녹아 나오지 않은 부분의 무게를 계산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ampl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d weighed, and then placed in toluene and stored in an oven at 60 ° C for 3 hours. After that, it is filtered through a wire mesh (200 mesh) and dried in an oven at 130 ° C for 1 hour to remove toluene contained in the sample filtered through the wire mesh. Calculate the weight of the existing adhesive layer and the weight of the portion not dissolved in toluene.

[일반식 4][Formula 4]

겔 함량(%) = Y/X × 100Gel content (%) = Y / X x 100

상기 일반식 4에서, X는 점착층의 질량이고, Y는 상기 점착층을 60℃에서 3시간 동안 톨루엔에 침적 후 200메쉬의 망으로 여과시키고, 상기 망을 통과하지 않은 상기 점착층의 불용해분의 건조 질량을 나타낸다.
In the general formula (4), X is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Y is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which is immersed in toluene for 3 hours at 60 ° C, filtered through a 200 mesh screen, Min. ≪ / RTI >

3. 저장탄성률 및 손실계수의 측정3. Measurement of storage modulus and loss factor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층을 원형 샘플(지름: 8mm, 두께: 600㎛)로 제조하였다. 상기 원형 샘플에 대해, ARES(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TA사 ARES-G2)의 평행판(parallel plate)을 사용하여, 25℃의 온도에서 axial force가 50gf(수직힘)이 되도록 설정한 후, 5%의 스트레인 조건에서 0.1 Hz에서 100Hz까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1 Hz일 때의 저장 탄성률 및 손실 탄성률을 측정하였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as a circular sample (diameter: 8 mm, thickness: 600 μm). The circular sample was set to have an axial force of 50 gf (vertical force) at a temperature of 25 캜 by using a parallel plate of ARES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TA ARES-G2)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nd the loss elastic modulus at 1 Hz were measured while varying the frequency from 0.1 Hz to 100 Hz under the strain of 100%.

손실계수인 tanδ는 손실 탄성률 G``/저장 탄성률 G`(G``/G`)를 통하여 계산하였다.
The loss factor, tan δ, was calculated from the loss elastic modulus G '' / storage elastic modulus G '(G''/G').

3. 3. 빠짐현상Missing phenomenon 및 박리 불량 And peeling failure

점착제의 빠짐 현상은 점착제의 점탄성 특성상 단면 방향으로 점착제가 빠져나와 각 필름사이가 붙거나, 이형 필름이 제거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시트를 핸디형 현미경을 통해 60배율로 관찰하였으며, 빠짐 현상이 전혀 없는 경우 X, 빠짐 현상이 있는 경우 O로 표시하였다.The exfoli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an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escaped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due to the viscoelastic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 that there is no adhesion between the films or the release film is not remov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60 at a magnification of 60 by a handy type microscope. X was shown when there was no exfoliation, and 0 when exfoliation was observed.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점착시트를 진공 플레이트 상에 올려놓고, 이형 필름을 제거하였다. 이형 필름 박리 시, ① 보호 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가 들뜨거나, ② 점착층과 이형 필름이 박리되지 않는 경우 박리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층을 기재층(GLASS)에 부착한 후, 보호 필름 제거시, ③ 기재층과 점착층의 계면이 박리되거나 ④ 배리어 필름과 점착층 계면이 박리되는 경우를 박리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4가지 예시의 박리 불량이 전혀 없는 경우 X, 박리 불량의 경우 중 한 가지 경우의 박리 불량이 일어난 경우 △, 2 이상의 박리 불량이 일어난 경우 O로 표시하였다.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laced on a vacuum plate, and the release film was removed. When the releasing film is peeled off, (1)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or (2) when the releasing film is not peeled off, the peeling failure is indicated. When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after attaching the adhesive layer to the base layer GLASS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or the interface between the barrier film and the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Peeling failure. [Delta] in the case where the peeling failure occurred in one of the cases of X, the peeling failure, and the peeling failure of 2 or more occurred.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박리력 BPeel force B 1515 1515 1515 1515 1515 박리력 APeel strength A 66 6.56.5 22 2323 1414 Gel %Gel% 6666 6565 7575 00 4040 Modulus(Mpa)Modulus (Mpa) 0.30.3 0.290.29 0.40.4 0.150.15 0.190.19 tan δtan δ 0.250.25 0.30.3 0.20.2 0.650.65 0.620.62 빠짐 현상Missing phenomenon XX XX XX OO OO 박리 불량Poor peeling XX XX OO OO

전술한 바와 같이, 빠짐 현상이란 점착층이 재단면을 따라 흘러나오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구조의 점착 시트의 경우, 점착층 빠짐으로 인하여 각 층이 서로 붙을 수 있으며, 이형 박리 공정에서 이형 박리값이 낮더라도 필름이 박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pout phenomenon can mean the phenomenon that the adhesive layer flows along the cut surface. Therefore, in the cas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each layer may adhere to each other due to separation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film may not peel off even if the release-peeling value is low in the release-

상기 비교예 1은 박리력 A가 박리력 B보다 높아 박리시 보호 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가 들뜨고 점착층과 이형 필름이 박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저장탄성률은 낮고 tan δ값은 높기 때문에, 소프트한 성질을 갖게 되므로, 점착층 빠짐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점착층으로부터 이형 필름 박리시 Suction plate에서 보호 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가 들뜨거나, 점착층과 이형 필름이 박리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peeling force A is higher than the peeling force B, so that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increases, and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are not peeled off.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low and the tan delta value is high, soft properties are obtained, so that the adhesive layer dropout phenomenon occurs. When the release film i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are not peeled off.

1: 보호필름
2: 배리어 필름
3: 점착층
4: 이형 필름
5: 기재층
1: Protective film
2: barrier film
3: Adhesive layer
4: release film
5: Base layer

Claims (17)

보호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리어 필름; 상기 배리어 필름의 상부에 형성되고, 25 ℃의 온도, 1Hz의 주파수에서 스트레인 5%일 때의 저장 탄성률이 0.1 MPa 내지 10MPa인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점착 시트:
[일반식 1]
A ≤ B
상기 일반식 1에서 A는 상기 점착 시트의 너비를 1 inch로 제조한 상태에서, 점착층과 이형필름 사이의 박리력(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을 나타내고, B는 상기 점착 시트의 너비를 1 inch로 제조한 상태에서, 보호필름과 배리어 필름 사이의 박리력(박리 속도: 0.3 m/min, 박리 각도: 180°)을 나타낸다.
Protective film; A barrier film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rrier film and hav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 MPa to 10 MPa at a temperature of 25 DEG C and a strain of 5% at a frequency of 1 Hz; And a release film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 adhesive sheet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s satisfying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Formula 1]
A? B
In the general formula (1), A represents the peeling force (peel rate: 0.3 m / min, peeling angle: 180 DEG)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in the state that the width of the adhesive sheet is 1 inch, (Peel rate: 0.3 m / min, peel angle: 180 DEG)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barrier film in the state that the width of the adhesive sheet is 1 inch.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하는 점착 시트:
[일반식 2]
2 gf/inch ≤ B - A ≤ 20 gf/in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ich satisfies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Formula 2]
2 gf / inch B - A 20 gf / inch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25 ℃의 온도, 1Hz의 주파수에서 스트레인 5%일 때의 손실계수(tanδ)가 0.2 내지 0.6인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loss coefficient (tan?) Of 0.2 to 0.6 at a temperature of 25 占 폚 and a strain of 5% at a frequency of 1 Hz.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점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 thermoplastic elastomer adhesive resin. 제 4 항에 있어서, 점착성 수지는 폴리이소부틸렌 수지인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viscous resin is a polyisobutylene resin. 제 4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점착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 시트.5.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urther comprises a tackifier. 제 6 항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는 수소화된 테르펜계 수지, 수소화된 에스테르계 수지, 수소화된 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ackifier is a hydrogenated terpene resin, a hydrogenated ester resin, a hydrogenated dicyclopentadiene resin, or a mixture thereof. 제 6 항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는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되는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ackifi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6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ackifier resin. 제 4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 시트.5.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urther comprises a polyfunctional acrylate. 제 9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점착 시트.10.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lyfunctional acryla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ropionic acid 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 (meth)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functional urethane (meth) acrylate, tris (meth) acryloxyethylisocyanurate, diglycerin tetra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tetra (metha) acrylate, propionic acid modified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dicyclopentadiene d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 Acrylate and urethane (meth) acrylate. 제 9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점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multifunctional acrylat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제 9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점착성 수지와 함께 준-상호침투 중합체 네트워크(Semi-IPN)를 형성하는 점착 시트.The adhesive sheet of claim 9, wherein the multifunctional acrylate forms a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Semi-IPN) with the tackifier resin. 제 9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라디칼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urther comprises a radical initiator. 제 13 항에 있어서, 라디칼 개시제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adical initiato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은 하기 일반식 4에 따른 겔 함량이 50% 내지 70%인 점착 시트:
[일반식 4]
겔 함량(%) = Y/X × 100
상기 일반식 4에서, X는 점착층의 질량이고, Y는 상기 점착층을 60℃에서 3시간 동안 톨루엔에 침적 후 200메쉬의 망으로 여과시키고, 상기 망을 통과하지 않은 상기 점착층의 불용해분의 건조 질량이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gel content of 50% to 70% according to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4):
[Formula 4]
Gel content (%) = Y / X x 100
In the general formula (4), X is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Y is the mass of the adhesive layer, which is immersed in toluene for 3 hours at 60 ° C, filtered through a 200 mesh screen, Min.
제 1 항의 점착 시트로부터 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단계;
점착층을 유기전자소자와 접촉하도록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된 기재층에 라미네이트하는 단계; 및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
Peeling the release film from the adhesive sheet of claim 1;
Laminating the adhesive layer to a substrate layer in which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is formed so as to contact the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And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삭제delete
KR1020140167597A 2013-11-27 2014-11-27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6447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45 2013-11-27
KR20130145645 2013-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603A KR20150061603A (en) 2015-06-04
KR101644708B1 true KR101644708B1 (en) 2016-08-01

Family

ID=5349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597A KR101644708B1 (en) 2013-11-27 2014-11-27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7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193B1 (en) * 2017-08-22 2019-03-26 (주)이녹스첨단소재 Adhesive film for encapsulation member of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encapsulation member comprising the same
KR102256784B1 (en) * 2018-03-28 2021-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Adhes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film
KR102329983B1 (en) * 2018-10-31 2021-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urface prote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electronic device
KR102476489B1 (en) * 2019-04-25 2022-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Adhesive film and plastic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150A (en) 2001-05-28 2002-12-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Self-adhesive sheet for intermediate film and transparent laminated body
JP2005298703A (en) 2004-04-13 2005-10-27 Mitsui Chemicals Inc Adhesive film, chassis and organic el light-emitting elemen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150A (en) 2001-05-28 2002-12-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Self-adhesive sheet for intermediate film and transparent laminated body
JP2005298703A (en) 2004-04-13 2005-10-27 Mitsui Chemicals Inc Adhesive film, chassis and organic el light-emitting elemen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603A (en)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254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1815343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651331B1 (en) Photocuring typ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807920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KR101662889B1 (en) Encapsulation Composition
KR101424346B1 (en) Photocuring type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for encapsulating organic electronic device,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5890177B2 (en) Adhesive encapsulating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produced using the same
KR101576689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1644708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717418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Encapsulation Method of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406084B1 (en) Fast curing e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act resistance and high transmittan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20230171514A (en) Encapsulation film
TW202035548A (en) Encapsulation composition
KR20150113449A (en) Adhesive film for encapsulating organic light emitting region and oled display apparatus prepare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