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164B1 -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64B1
KR101644164B1 KR1020090087252A KR20090087252A KR101644164B1 KR 101644164 B1 KR101644164 B1 KR 101644164B1 KR 1020090087252 A KR1020090087252 A KR 1020090087252A KR 20090087252 A KR20090087252 A KR 20090087252A KR 101644164 B1 KR101644164 B1 KR 10164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nput
image processing
input screen
us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539A (ko
Inventor
김연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64B1/ko
Priority to US12/791,918 priority patent/US8413071B2/en
Priority to EP10166651.9A priority patent/EP2306362B1/en
Publication of KR2011002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1Protect user input by softwar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복수 개 표시하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상기 수신부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표시하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면 TV와 같이 화면을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해야 하는 환경에서 제한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계정 암호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87252
가상 입력 디바이스, 암호 입력,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EOCES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V와 같이 화면을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해야 하는 환경에서 제한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계정 암호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가상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암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키보드(screen keyboard)(100)상에서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상하 좌우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고,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이 경우, 암호 입력창(password)에는 기호 "●" 가 표시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선택된 문자의 입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입력된 문자 대신 기호 "●" 를 암호 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은, 입력된 문자 가 제3자에게 공개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에 커서가 위치하기 때문에, 제3자는 커서의 위치와 기호 "●" 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a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커서를 문자 a(105)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입력 키를 눌러야 한다. 따라서, 커서가 문자 a(105)에 위치한 상태에서 암호 입력창에 기호 "●" 가 표시된다면, 제3자는 이로부터 문자 a가 입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 키보드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의 위치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기호 "●" 가 표시되는 경우, 현재 입력된 암호가 주위 사용자 또는 화면을 공유하고 있는 제3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V와 같이 화면을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해야 하는 환경에서 제한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계정 암호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복수 개 표시하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상기 수신부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표시하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 면에는 임의의 키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상기 임의의 키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키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를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 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키를 랜덤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복수 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표시하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상기 임의의 키 위치에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를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를 랜덤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V 와 같이 화면을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해야 하는 환경에서 제한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계정 암호를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는 TV, PC, 모니터, 셋탑박스,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되, 제한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제어되는 전자 장치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200)는 영상 처리부(202), 수신부(204) 및 제어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02)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202)는 암호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암호 입력 화면은 가상 키보드, 가상 자판, 가상 키패드 및 그 밖의 가상 입력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호는 영상처리장치(2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암호 및 영상처리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암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202)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04)는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04)는 리모컨, 레이저 포인터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키 신호 또는 포인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선택한 키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04)는 영상처리장치(200)에 부착된 키 버튼 등을 통하여 키 신호 등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206)는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복수 개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암호 입력 화면상에서 암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206)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수신부(204)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표시하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6)는 수신부(204)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임의의 키를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킹 처리는 입력된 문자 대신 기호 "●" , 기호 "○" 및 기호 "*"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6)는 상기 임의의 키를 랜덤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06)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임의의 키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6)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6)는 커서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06)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임의의 키 위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6)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6)는 하이라이트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6)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키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6)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06)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6)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도록 영상 처리부(2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6)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a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번호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암호 입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은 각각 동일한 자판 배열을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자판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은 모두 동일한 자판 배열을 가진다. 그러나,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은 각각 랜덤한 자판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에는 각각 다른 번호가 설정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각각 다른 번호가 설정된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 즉 1번 암호 입력 화면(311), 2번 암호 입력 화면(312), 3번 암호 입력 화면(313), 4번 암호 입력 화면(314), 5번 암호 입력 화면(315), 6번 암호 입력 화면(316), 7번 암호 입력 화면(317), 8번 암호 입력 화면(318) 및 9번 암호 입력 화면(319)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에 설정된 번호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자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원하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번호를 가진 암호 입력 화면을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5번을 입력하는 경우, 5 번 암호 입력 화면(315)이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이 된다. 이 경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암호 입력 화면(311, 312, 313, 314, 316, 317, 318, 319)은, 사용자로부터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받는 것이 아니라 가상으로 암호를 입력받는다. 이에 의하여, 영상처리장치 (200)는 1개의 실제 입력 화면과 8개의 가상 입력 화면을 가지게 된다.
도 3b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은 각각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은 red 색상으로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321), yellow 색상으로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322), green 색상으로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323) 및 blue 색상으로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3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에 설정된 색상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원하는 색상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진 암호 입력 화면을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에 구비된 컬러 키 중에서 green 키를 입력하는 경우 green 색상으로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323)이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이 된다.
도 3c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레이블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 각각에는 서로 다른 레이블이 설정될 수 있다. 레이블은 원격 디바이스에 구비된 기능키(function key),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에 각각, →, ←, ↑, ↓, #, *, 확인, 취소, 메뉴 등의 기능키가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에 설정된 레이블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원하는 레이블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레이블을 가진 암호 입력 화면을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에 구비된 기능키(function key)중에서 확인 키를 입력하는 경우 "확인" 이라는 레이블이 표시된 암호 입력 화면(337)이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호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영상처리장치(200)가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임의의 키 위치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호 입력 방법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200)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 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각각의 암호 입력 화면은, 복수 개의 키가 배열된 자판(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490)과, 키가 입력되었음을 표시하는 입력창(415, 425, 435, 445, 455, 465, 475, 485, 49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암호를 제3자가 인지할 수 없도록, 입력창(415, 425, 435, 445, 455, 465, 475, 485, 495)에 표시되는 키는 마스킹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키 대신, 기호 "●" , 기호 "○" 또는 기호 "*" 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입력된 키 대신, 기호 "●" 가 표시된다.
만일,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이 정중앙에 위치한 암호 입력 화면이라면, 영상처리장치(200)는 정중앙에 위치한 암호 입력 화면의 자판(450)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의 위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키를 입력창(455)에 표시한다.
반면, 영상처리장치(200)는 그 외의 암호 입력 화면의 자판(410, 420, 430, 440, 460, 470, 480, 490)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의 위치를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키를 입력창(415, 425, 435, 445, 465, 475, 485, 495)에 표시한다.
한편, 영상처리장치(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3자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입력한 키와 가상 으로 입력되는 임의의 키를 구분할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암호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암호 입력 방법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 (200)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은 실시간으로 바뀐다. 도 5를 참조하면, 문자 l의 위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자판(510)을 가지는 암호 입력 화면, 문자 w의 위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자판(520)을 가지는 암호 입력 화면, 숫자 6의 위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자판(530)을 가지는 암호 입력 화면, 문자 h의 위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자판(540)을 가지는 암호 입력 화면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영상처리장치(200)에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이 실시간으로 바뀌므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입력한 키를 제3자가 인지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한편, 영상처리장치(200)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화면상에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601).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은 스크린 키보드, 스크린 키패드 등을 포함하는 가상의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은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사용자 가 다수의 암호 입력 화면 중에서 자신이 선택할 암호 입력 화면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의 암호 입력 화면상에 숫자 또는 레이블을 표시하거나,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200)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 중에서,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선택한다(S602).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숫자 키패드, 색상 키(color key) 및 기능 키(function key)를 입력하여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이 표시된 화면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지만, S602 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은 입력 장치를 가지고 있는 계정 사용자에 의해서만 선택될 수 있으므로, 어떤 암호 입력 화면이 선택되었는지 공개되지 않는다.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이 선택되면, 암호 입력 화면 선택 모드에서 암호 입력 모드로 변경된다(S603). 암호 입력 모드로 변경되면, 영상처리장치(200)는 암호 입력을 위한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의 시작 위치는 불규칙(random)하게 표시된다.
영상처리장치(200)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사용자 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표시한다(S604).
또한, 영상처리장치(200)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표시한다(S605). 구체적으로, 특정 암호 입력 화면상에서 키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과 동일하게, 나머지 가상 암호 입력 화면상에서도 키의 위치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암호가 입력되는 것과 동일하게, 나머지 가상 암호 입력 화면에도 임의의 키가 입력된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화면을 공유하고 있는 제3자는 현재 입력되는 암호를 확인할 수 없다. 나아가, 특정 암호 입력 화면과 나머지 암호 입력 화면의 자판 배열 자체를 랜덤하게 구성하여 보다 안전하게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화면상에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701). 영상처리장치(200)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 중에서, 실질적으로 암호를 입력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을 선택한다(S702). 특정 암호 입력 화면이 선택되면, 암호 입력 화면 선택 모드에서 암호 입력 모드로 변경된다(S703).
영상처리장치(20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표시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변경하여,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S704).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200)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표시한다(S705). 또한, 영상처리장치(200)는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표시 한다(S706).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가상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암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번호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복수 개의 암호 입력 화면의 레이블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호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암호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영상처리장치 202: 영상 처리부
204: 수신부 206: 제어부

Claims (20)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수신부;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복수 개 표시하고,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도록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상기 임의의 키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키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를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키를 랜덤하게 추출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하는 영상처리장치.
  11. 영상처리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키를 포함하는 암호 입력 화면을 복수 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는 임의의 키를 상기 선택된 키에 대응하도록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키 위치와 상기 임의의 키 위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영상처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 이외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커서는 임의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영상처리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시작 위치를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 별로 각각 다르게 표시하는 영상처리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의 표시 시점을 동기화시키는 영상처리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영상처리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키와 상기 임의의 키를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처리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키를 랜덤하게 추출하는 영상처리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의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영상처리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색상, 번호 및 레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 입력 화면을 상기 특정 암호 입력 화면으로 설정하는 영상처리방법.
KR1020090087252A 2009-09-15 2009-09-15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KR10164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52A KR101644164B1 (ko) 2009-09-15 2009-09-15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12/791,918 US8413071B2 (en) 2009-09-15 2010-06-02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10166651.9A EP2306362B1 (en) 2009-09-15 2010-06-21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shoulder surf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52A KR101644164B1 (ko) 2009-09-15 2009-09-15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539A KR20110029539A (ko) 2011-03-23
KR101644164B1 true KR101644164B1 (ko) 2016-07-29

Family

ID=4298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252A KR101644164B1 (ko) 2009-09-15 2009-09-15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3071B2 (ko)
EP (1) EP2306362B1 (ko)
KR (1) KR101644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64B1 (ko) * 2009-09-15 2016-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GB201106943D0 (en) * 2011-04-27 2011-06-01 Burkill Van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ssword generation, recall and protection
CN102364427A (zh) * 2011-10-24 2012-02-29 江苏科技大学 一种基于触摸屏的工业嵌入式设备的密码设置方法
GB201212878D0 (en) 2012-07-20 2012-09-05 Pike Justi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140132183A (ko) * 2013-05-07 201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에서 입력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US10353486B1 (en) * 2014-07-26 2019-07-16 Nancy E. Hamilton Password help using color keys
US9715111B2 (en) * 2015-03-27 2017-07-25 Ca, Inc. Secure user input mod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randomized locations of selection indicia
GB201520760D0 (en) 2015-05-27 2016-01-06 Mypinpad Ltd And Licentia Group Ltd Encoding methods and systems
JP7073937B2 (ja) * 2018-06-25 2022-05-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パスワード認証装置
US11086514B2 (en) * 2019-05-10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directed by free-form input
US11301056B2 (en) 2019-05-10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selections
US11526273B2 (en) * 2019-05-10 2022-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selection acknowledgement for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operations
US20200356263A1 (en) * 2019-05-10 2020-1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scuring touch inputs to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selections
US11209979B2 (en) * 2019-05-10 2021-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put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US11112881B2 (en) 2019-05-10 2021-09-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operated features of input interfaces obfuscating user nav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243A (en) * 1994-04-15 1996-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display pointers for computer graphical user interfaces
WO1996034328A1 (en) * 1995-04-27 1996-10-31 Herman Weisz Method and security system for ensuring the security of a device
US6885317B1 (en) * 1998-12-10 2005-04-26 Eatoni Ergonomics, Inc.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US6774868B1 (en) * 1999-01-15 2004-08-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tiling multiple displays to generate a large area display of moving data
US7333602B2 (en) * 2000-01-13 2008-02-19 Tomohiro Habu Information entry system
WO2001099338A1 (en) 2000-06-03 2001-12-27 Threewin.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secret information
AU5575100A (en) 2000-06-03 2002-01-02 Threewin.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secret information using multiple screen pointers
KR20020074475A (ko) * 2000-11-11 2002-09-30 쓰리윈닷컴 주식회사 비밀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716082B1 (ko) * 2002-02-13 2007-05-08 패슬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GB2387254B (en) * 2002-04-05 2005-11-23 Armoursoft Ltd User authentication for computer systems
KR20020077838A (ko) 2002-08-09 2002-10-14 박승배 타인의 관찰에 의한 패스워드의 노출 문제를 해결한 패스워드 시스템
KR100483589B1 (ko) * 2002-12-23 2005-04-15 신화식 랜덤하게 배열된 자판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무인 단말기 및 잠금장치와 그 장치들을 이용한비밀번호 입력방법
US7296233B2 (en) * 2004-05-10 2007-11-13 Microsoft Corporation Spy-resistant keyboard
JP4952213B2 (ja) * 2006-02-20 2012-06-1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パスワード入力プログラム
US8191126B2 (en) * 2009-05-04 2012-05-29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Methods and devices for pattern-based user authentication
US8555185B2 (en) * 2009-06-08 2013-10-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US8176324B1 (en) * 2009-07-02 2012-05-08 Exeli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secure virtual keyboard
KR101644164B1 (ko) * 2009-09-15 2016-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6362A1 (en) 2011-04-06
US8413071B2 (en) 2013-04-02
KR20110029539A (ko) 2011-03-23
US20110066975A1 (en) 2011-03-17
EP2306362B1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164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CN104350458B (zh) 用于键入字母数字字符的用户接口
US8413066B2 (en) Virtual keyboard with visually enhanced keys
EP34823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33564A (ko) 전자 장치, 키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49808B1 (ko) 아랍문자 입력장치
CN104620199A (zh) 输入显示控制设备、瘦客户端系统、输入显示控制方法和记录介质
EP2439614B1 (en) Frequency converter with text editor
EP2400374A1 (en) User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31423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JP4981946B2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における文字色変更方法
WO2012026657A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42666B1 (ko) 데이터 입력 방법
US20080134318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JP5649418B2 (ja) ディスプレイ画面調整装置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2011211405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受信装置および表示領域選択方法
KR20120081001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암호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05773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WO2023286150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249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 선택 방법
KR20130054146A (ko)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07009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91795A (ja) 表示画面設計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