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609B1 -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609B1
KR101643609B1 KR1020100003132A KR20100003132A KR101643609B1 KR 101643609 B1 KR101643609 B1 KR 101643609B1 KR 1020100003132 A KR1020100003132 A KR 1020100003132A KR 20100003132 A KR20100003132 A KR 20100003132A KR 101643609 B1 KR101643609 B1 KR 10164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image
area
f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3095A (en
Inventor
김성훈
유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09B1/en
Publication of KR2011008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부에서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파일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연결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file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a photographing unit and one or more multimedia content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ent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set a part of the image as a multimedia area to be connect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and to generate link data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area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

Figure R1020100003132
Figure R1020100003132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동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an image linked to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하고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connecting and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to an image.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면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이미지를 어느 때든지 재생할 수 있고 컴퓨터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다른 장치로 이미지를 전송하여 감상할 수 있다.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can be used to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and store the generated image. The stored image can be reproduced at any time and transferred to another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portable media player .

디지털 카메라와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대중적으로 확산된 최근에는 전문적인 기술이나 경험을 갖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도 촬영한 이미지를 조작하여 취향에 맞도록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where the spread of digital cameras and personal computers has become widespread, ordinary users who do not have a professional skill or experience can edit images to suit their taste by manipulating the captured images.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쇽웨이브 플래시(Shockwave flash™)나 하이퍼텍스트를 지원하는 워드프로세스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에 동영상이나 텍스트 파일이나 음성 파일 등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 이미지를 전송한 후 특별한 기능을 구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쉽게 이용할 수 없다.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use of software for linking multimedia contents to a part of an image is becoming common. For example, using software such as Shockwave flash ™ or word processing that supports hypertext, you can connect a movie, text file, or voice file to an image taken with a digital camera. However, such an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software having a special function after transferring the image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is not readily available to users unfamiliar with the software.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재생 기능은 이미지만을 표시하는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이미지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동시키기 원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The playback function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erforms only a limited function of displaying images only and thus can not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who want to link various multimedia contents to images.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동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aving a function of generating or reproducing an image interlocked with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이나 텍스트나 음성 파일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generating an image in which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oving images, still images, texts and voice files are link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를 재생함과 동시에 이미지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an image while reproducing an im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부에서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파일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연결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file representing an image captured by a photographing unit and one or more multimedia content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ent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set a part of the image as a multimedia area to be connect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and to generate link data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area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

본 발명에 있어서,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이미지 영역과, 이미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헤더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링크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 이름을 포함하며 헤더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file may include an image area having data indicating an image and a header area having data indicating an attribute of the image, and the link data includes a file name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is stored in a header area .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에서 멀티미디어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execution unit that executes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when the multimedia area is selected from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실행부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이미지와 함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execution unit may cause the display unit to display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multimedia contents connected to the multimedia area together with the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텍스트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및 이미지 파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edia contents may include any one of a fi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ext file, an audio file, a video file, and an image file.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영역으로 지정하는 얼굴 인식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컨텐츠 연결부는 얼굴 영역을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게 하는 안내 표지가 표시부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face of a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and designating the face as a face area, and the content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guide mark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 연결부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연결 목록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nection unit may separately generate a multimedia connection list including link data.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연결 단계를 포함한다.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n image, a reception step of receiving a user's input operation, a step of selecting a part of the image based on a user's input operation, An area setting step of setting the multimedia area to be connected with the contents, and a contents connecting step of generating link data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area and the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된 멀티미디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layback step of receiving a user's input operation for selecting a multimedia area to which the multimedia contents are connected and executing the multimedia contents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연결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generate an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reproduce multimedia contents linked to the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영역을 지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예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예이다.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입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예이다.
도 6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링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링크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영상 처리 방법이 실행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s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3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of designating a multimedia area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4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of connecting multimedia contents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5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of inputting a guidance message for guiding multimedia contents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link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link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age processing method of FIG. 8 is executed.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미지 파일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14)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51)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부(60)와,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컨텐츠 연결부(61)를 구비한다.1,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unit 14 for storing image files and multimedia contents, a display unit 51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ent connection unit 61 for connecting the image and the multimedia contents.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의 형태로 구현된 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털 캠코더나, 포터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is an exampl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igital camer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igital camcorder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영부(3)를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3)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20)와, 촬상소자(20)의 전기적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부(41)와, 촬상소자(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49)를 구비한다. 피사체의 영상은 촬상소자(20)의 앞에 배치되는 광학계(10)를 통해 촬상소자(20)로 입사된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3 for photographing an image. The image pickup section 3 includes an image pickup device 20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subject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 image conversion section 41 for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into image data, And an image pickup control section 49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pickup section. The image of the subject is incident on the imaging element 20 through the optical system 10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ing element 20. [

촬상소자(20)의 앞에 배치되는 광학계(10)는 복수 개의 렌즈들(12)을 포함하여, 외부의 영상광을 촬상소자(2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들(12)은 서로의 간격이 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렌즈들(12)의 간격이 변동되면 광학계(10)의 줌 배율과 초점 등이 조절될 수 있다. The optical system 10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12 and functions to image external image light on the image pickup surface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 The lenses 12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variab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12 is changed, the zoom magnification and focus of the optical system 10 can be adjusted.

렌즈들(12)은 줌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는 줌 구동부(11)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렌즈들(12)은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는 줌렌즈와,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줌 구동부(11)는 제어부(40)의 구동 회로부(42)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작동된다. 따라서 줌 구동부(11)는 광학계(10)가 복수 개의 확대 배율들 중 어느 하나를 갖도록 광학계(10)를 구동할 수 있다.The lenses 12 are driven by a zoom driving unit 11 having a driving means such as a zoom motor, whereby the posi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can be varied. The lenses 12 may include a zoom lens for enlarging or reducing a size of a subject and a focus lens for adjusting a focus of the subject. The zoom driving unit 11 is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driving circuit unit 42 of the control unit 40. [ Therefore, the zoom driving unit 11 can drive the optical system 10 such that the optical system 10 has any one of a plurality of magnifications.

촬상소자(20)는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여, 광학계(10)를 통해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20)는 촬상 제어부(49)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The image pickup device 20 include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and converts the image light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system 10 into an electrical signal do. The image pickup device 20 is driven by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image pickup control unit 49.

화상 변환부(41)는 촬상소자(20)의 전기적 신호를 화상처리를 행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image data)로 변환한다. The image conversion section 41 converts electrical signals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into image data that can be subjected to image processing or stored in a storage medium.

화상 변환부(41)에 의해 촬상소자(20)의 전기적 신호가 변환되는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촬상소자(2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와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회로)나, 자동이득제어회로(AGC회로)나, A/D 변환기 등은 독립적인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by the image conversion unit 41 is performed by using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DS circuit), for example, to drive noise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included in the electrical signal (AGC circuit); adjusting the gain of the signal after noise reduction by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AGC circuit);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using an A / D converter; Such as signal processing such as correction, gain correction, white balance correction, gamma correction, and the like. The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CDS circuit), the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AGC circuit), the A / D converter, and the like described herein may be configured as independent circuits.

화상 변환부(41)는 촬상소자(20)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Y) 신호 및 색차(UV)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촬영부(3)에 의해 생성되어 화상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로 칭한다.The image converting unit 41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s of the image pickup device 20 into RGB data and then converts the RGB data into raw data in the form of a YUV signal including a luminance (Y) signal and a color difference (UV) can do. Hereinafter, the image data is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 so as to represent the image of the subject, and is referred to as an 'image file'.

제어부(40)는 촬상소자(20), 줌 구동부(11), 터치 스크린(50), 사용자 입력부(60), 저장부(14), 사운드 발생부(71)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pickup device 20, the zoom driving unit 11, the touch screen 50, the user input unit 60, the storage unit 14, the sound generating unit 71, It performs functions such as exchanging control signals with these componen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lements, processing data, and so on.

제어부(40)는 화상 변환부(41)와, 구동 회로부(4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44)와, 저장부(14)에 대한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43)와, 촬상 제어부(49)와, 사용자 인터페이스(46)와, 얼굴 인식부(48)와, 컨텐츠 연결부(61)와, 컨텐츠 실행부(62)와, 사운드 제어부(47) 등을 구비한다. 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n image conversion unit 41, a drive circuit unit 42, a touch screen control unit 44, a storage control unit 43 for controlling data storage for the storage unit 14, 49, a user interface 46, a face recognition unit 48, a content connection unit 61, a content execution unit 62, a sound control unit 47, and the like.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4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제어부(40)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제어부(43)는 저장부(14)에 대한 데이터 기록과, 기록된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40 may be implemented by a circuit board including a microchip or a microchip and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40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or circuits built in the control unit 40 . The storage control unit 43 controls data recording for the storage unit 14 and reading of recorded data and setting information.

저장부(14)는 휘발성 내장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휘발성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는 화상 변환부(41)에 의해 생성된 원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 기능 및 화상 변환부(41)의 데이터 처리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작업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 may include a volatile internal memory. The volatile built-in memory may b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synchronous DRAM (SDRAM),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4 can perform a buffer memory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aw data generated by the image conversion unit 41 and a work memory function used for data processing operations of the image conversion unit 41. [

또는 저장부(14)는 비휘발성 외장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비휘발성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SD/MMC 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나, HDD 와 같은 저장 장치나 DVD 또는 CD 와 같은 광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14)에는 JPEG 파일, TIFF 파일 등과 같은 형태로 압축 변환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될 수 있고, 기타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은 텍스트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의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Or the storage unit 14 may have a non-volatile external memory. The non-volatile external memory may be, for example, a flash memory such as a memory stick, an SD / MMC, a storage device such as an HDD, or an optical storage device such as a DVD or a CD. The storage unit 14 may store a compression-converted image file in the form of a JPEG file, a TIFF file, or the like, and other multimedia contents may be stored. The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may include any one of a text file, an audio file, a video file, and an image file.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저장부(14)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51)와, 표시부(51)에 표시된 화상의 일부분을 선택하게 하는 입력부(52)를 갖는 터치 스크린(50)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0)은 촬상소자(20)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과, 표면의 터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touch screen 50 having a display section 51 for displaying an image represented by an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14 and an input section 52 for selecting a par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51, . The touch screen 50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20 and a function of genera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etected position by sensing a touch of the surface.

터치 스크린(50)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 장치이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직접 손으로 터치하거나 펜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 하에서 직관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The touch screen 50 is an input device that replaces a keyboard and a mouse, and can perform an intuitive work i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by directly touch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by hand or touching with a pen. .

터치 스크린(50)의 표시부(51)에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 발광장치(OLED) 등의 표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51)는 저장부(14)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OLED) may be used for the display portion 51 of the touch screen 50. [ The display unit 51 can display an image represented by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

입력부(52)는 표시부(51)의 표면에 설치되어 표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부의 일예이다. 입력부(52)에는 저항성 감지 수단, 용량성 감지 수단, 표면 음향파 이용 감지 수단, 적외선(IR) 이용 감지 수단, 및 광학 이용 감지 수단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52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51 to sense the touch of the surface, and is an example of a user input unit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techniques may be used for the input unit 52, such as resistive sensing means, capacitive sensing means, surface acoustic wave sensing means, infrared (IR) sensing means, and optical sensing means.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50)의 입력부(52)를 접촉함으로써 표시부(51)에 표시된 영상의 일부분에서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표시된 이미지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할 멀티미디어 영역을 지정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menu from a part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1 by touching the input unit 52 of the touch screen 50 or perform a task of designating a multimedia area to connect the multimedia contents in the displayed image.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터치 스크린(50)과 별도로 설치되는 사용자 입력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0)는, 예를 들어 메뉴 버튼이나 다이얼과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51)에 이미지들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 입력부(60)를 조작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영역을 설정하고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을 지정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0)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46)에 인가한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user input unit 60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touch screen 50. The user input unit 60 may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such as, for example, a menu button or a dial. The user can operate the user input unit 60 when the imag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1, thereby setting a multimedia area and designating a file of the multimedia content to be connected. The user input unit 60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to apply the input signal to the user interface 46.

컨텐츠 연결부(61)는 사용자 입력부(6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connection unit 61 sets a partial area of the image as a multimedia area to be connect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60 and generates link data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area and the multimedia contents.

컨텐츠 실행부(62)는 사용자 입력부(60)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51)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에서 멀티미디어 영역이 선택된 것을 판단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실행부(62)는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내용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이미지와 함께 표시부(51)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ent execution unit 62 determines that the multimedia area is selected in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51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60 and executes the function of executing the multimedia content. The content execution unit 62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causing the display unit 51 to display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contents of the multimedia contents together with the images.

도 1에서는 컨텐츠 연결부(61)와 컨텐츠 실행부(62)가 독립적인 구성 요소로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 연결부(61)와 컨텐츠 실행부(62)는 제어부(40)에 포함되는 회로나 반도체 장치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ent connection unit 61 and the content execution unit 62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ent connection unit 61 and the content execution unit 62 are independent components, And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included in a circuit or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ed.

얼굴 인식부(48)는 이미지에서 인물의 얼굴들에 해당하는 얼굴 영역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을 포함하는 얼굴 영역을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ace recognition unit 48 detects fac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aces of the person in the image and designates a face region including the detected face.

인물의 얼굴을 검출하는 데에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의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기하학적인 특징들을 이용한 얼굴 인식은,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점들의 위치, 크기 및 이들 사이의 거리와 같은 기하학적 인자들을 사용하여 개인들 각각의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이다.Various known methods can be used to detect the face of a person. For example, a face recognition technique using geometric features of a face can be used. Face recognition using geometric features is a technique of recognizing individual faces using geometric factors such as the location, size and distance between feature points of eyes, nose, and mouth.

컨텐츠 연결부(61)는 얼굴 인식부(48)에 의해 지정된 얼굴 영역을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표지가 표시부(51)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The content connection unit 61 can execute a function of causing the display unit 51 to display a guide mark for guiding the face area designated by the face recognizing unit 48 to be designated as the multimedia area.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s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S110)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S101)와, 멀티미디어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S102)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연결 단계(S103~S106)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cludes a display step (S110) for displaying an image, a reception step (S101) for receiving a user's input operation, an area setting step (S102), and a content connection step (S103 to S106) for generating link data for linking the multimedia contents.

멀티미디어를 연결하는 기능이 실행되고(S100)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S110)가 실행되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대기하는 수신 단계(S101)로 진입힌다.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S110)는 사용자가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지정하여 표시부(51)에 표시되게 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표시 단계(S11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킬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connecting step S100 is executed and the displaying step S110 for displaying an image is executed, the receiving step S101 for waiting for user input is performed. A display step (S110) of displaying an image is a step in which the user designates an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1). The user can select an image file to be link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step S110.

수신 단계(S101)에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이 수신되면,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S102)가 실행된다. 멀티미디어 영역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영역에 해당한다.When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tep (S101), an area setting step (S102) is performed in which a partial area of the image is selected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and set as a multimedia area. The multimedia area corresponds to an area to which the multimedia contents are to be connected.

컨텐츠 연결 단계(S103~S106)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들이 실행된다. 우선 설정된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될 멀티미디어의 형식을 선택하는 단계(S103)가 실행된다. 선택된 멀티미디어의 형식에 따라 저장부(1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이 선택되는 단계(S104)나, 음성 녹음을 실시하거나 동영상을 녹화하는 단계(S105)가 실행된다.  In the content linking steps S103 to S106, steps of generating link data for linking the multimedia area and the multimedia content are executed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A step of selecting a format of the multimedia to be connected to the set multimedia area is executed (S103). A step S104 of selecting a file of the multimedia content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4 according to the selected multimedia format or a step S105 of performing audio recording or video recording is executed.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한 이후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내용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S106)가 실행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이미지의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7)가 실행된다. After selecting the multimedia contents, a step of inputting a guide message for guiding the contents of the multimedia contents (S106) may be executed. Thereafter, step S107 of generating link data for linking the multimedia area of the image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is executed.

하나의 이미지에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영역들을 설정하고,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들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영역을 추가하는 것에 대한 의사를 확인하는 단계(S108)를 실행하여 S101 내지 S107의 단계들을 반복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et a plurality of multimedia areas in one image and connect the multimedia contents to each of the multimedia area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tention to add the multimedia area (step S108) and repeat the steps of S101 to S107 Can be terminated.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영역을 지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예이다.3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of designating a multimedia area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터치 스크린(50)에는 이미지(100)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펜(110)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50)을 조작하거나 메뉴 버튼과 같은 형태로 구현된 사용자 입력부(60)를 조작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ince the image 1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 the user can operate the touch screen 50 using the finger or the touch pen 110 or operate the user input unit 60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enu button The multimedia area can be set.

터치 스크린(50)에 이미지(100)가 표시될 때에는 얼굴 인식부(48)가 인식한 얼굴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안내하는 안내 표지(101, 102, 103)와 안내 메시지(104)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내 표지(101, 102, 103)에 표시된 영역들의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이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된다. When the image 1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 the guide markers 101, 102, and 103 for guiding the areas including the faces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zing unit 48 to the multimedia area and the guidance message 104 Can b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areas displayed on the guide signs 101, 102, and 103, the selected area is set as a multimedia area.

본 발명은 이러한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굴 인식부(48)에 의해 인식된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들의 일부를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선택하는 대신 사용자가 이미지(100)의 임의의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multimedia area setting method. Instead of selecting a part of the areas including the face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zing part 48 as a multimedia area, the user may select an arbitrary area of the image 100 The multimedia area can be set.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예이다.4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of connecting multimedia contents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3에 표시된 작동예를 통해 멀티미디어 영역을 선택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0)에는 안내 메시지(201)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하는 종류 선택 영역(202)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을 지정하는 영역(203)이 표시된다. When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multimedia area through the operation example shown in FIG. 3 is completed, a step of selecting a file of the multimedia contents to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area as shown in FIG. 4 may be executed. The touch screen 50 displays a guidance message 201, a type selection area 202 for selecting a type of multimedia content, and an area 203 for designating a file of the multimedia content.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저장부(14)에 미리 저장된 텍스트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의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종류 선택 영역(202)에서 제1 영역(207)의 사진, 동영상, 음악, 텍스트 파일의 메뉴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저장부(14)에 미리 저장된 이미지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이나, 오디오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을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할 수 있다.The multimedia contents can be selected from any one of a text file, an audio file, a video file, and an image fil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4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enus of the photo, moving picture, music and text file in the first area 207 in the type selection area 202 so that an image file, a video file, an audio file , You can link the text file to the multimedia area.

또한 사용자가 종류 선택 영역(202)에서 제2 영역(208)의 음성 녹음, 녹화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될 음성을 녹음하거나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cord a voice to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area or record a moving picture by selecting one of the voice recording and recording menu of the second area 208 in the category selection area 202. [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입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예이다. 5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of inputting a guidance message for guiding multimedia contents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정한 이후에는,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0)에는 안내 메시지의 입력을 안내하는 메시지(301)와 실행용 메뉴(302)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터치펜(110)을 이용하여 키패드 부(304)를 조작하면 입력창(303)에 안내 메시지가 입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입력된 안내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fter designating the multimedia contents to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area, the user can input a guidance message to guide the connected multimedia contents. The touch screen 50 displays a message 301 and an execution menu 302 for guiding the input of the guidance message.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pad unit 304 using the touch pen 110, a guidance message is input to the input window 303. The guidance message input by such a metho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efore executing the multimedia contents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도 6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링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link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도 6은 이미지 파일(400) "ABCD0001.JPG"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이미지 영역(420)과, 이미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헤더 영역(410)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 데이터(401)는 헤더 영역(410)에 저장될 수 있다. 6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he image file 400 "ABCD0001.JPG ". The image file may include an image area 420 having data representing an image and a header area 410 having data indicative of an attribute of the image. The link data 401 may be stored in the header area 410.

링크 데이터(401)는 멀티미디어 영역의 순번을 나타내는 영역 지정 데이터(411)와, 멀티미디어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412)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 데이터(413)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을 나타내는 파일 이름(414)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4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data 401 includes area designation data 411 indicating the sequence number of the multimedia area, position data 412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ultimedia area, category data 413 indicating the type of the connected multimedia contents, A file name 414 indicating a file of the multimedia contents, and a guidance message 415 guiding the multimedia contents.

헤더 영역(410)은 예를 들어 Exif 의 메이커 노트(maker note) 영역일 수 있다.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는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캠코더 등으로 촬영한 이미지 파일의 저장 형식 중 하나이다. Exif는 JEIDA(일본 전자 공업 진흥 협회)에서 규격화된 화상 포맷으로, 범용 화상 포맷인 TIFF와 JPEG를 기초로 하며, 디지털 카메라용 고유 정보와 운용 규정이 추가된다.The header area 410 may be, for example, a maker note area of Exif. Exif (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is one of the storage formats of image files shot by digital cameras or digital camcorders. Exif is an image format standardized by JEIDA (Japan Electronics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 It is based on TIFF and JPEG, which are general-purpose image formats, and adds unique information and operation regulations for digital cameras.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링크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link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미지 파일의 파일 이름(501)을 갖는 DCF 리스트(500)를 구비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은 JPG, TIF 등의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되는데, 파일명은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규격을 따른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s a DCF list 500 having a file name 501 of an image file. The image captur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as an image file in the format of JPG, TIF, etc. The file name conforms to DCF (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standard.

DCF는 "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의 약칭으로 일본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Japan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Association; JEITA)에 의해 표준화로 제안된 파일형식이며, 디지털 카메라의 데이터의 저장 및 이용 방법을 명시하고 있다. DCF 파일 포맷 방식의 장점은 이러한 DCF 파일 포맷을 준수하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은 다른 디지털 카메라 기기에서 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DCF is a file format proposed by the Japan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Association (JEITA) as an abbreviation of "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 The advantage of the DCF file format is that pictures taken with a digital camera that conforms to this DCF file format can be played back on other digital camera devices.

DCF 방식을 따르는 영상 처리 장치는 루트(ROOT) 디렉토리 아래 최상위의 DCIM(Digital Camera Image) 디렉토리를 갖는다. DCIM 디렉토리 내에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될 수 있는 4개의 문자와 4 자리의 일련번호가 조합된 총 8자리의 파일명을 갖는 다수의 파일들이 기록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orming to the DCF scheme has a top-level DCIM (Digital Camera Image) directory under the ROOT directory. In the DCIM directory, a plurality of files having a total of 8-digit file names in which 4 characters and 4-digit serial numbers can be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can be recorded.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컨텐츠 연결부(61)는 이미지 파일과 멀티미디어 영역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하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연결 목록(600)을 DCF 리스트(500)와 별도로 생성한다.The content connection unit 61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parately generates a multimedia connection list 600 including an image file, link data for linking the multimedia area and the multimedia contents to the DCF list 500.

멀티미디어 연결 목록(600)은 멀티미디어 영역의 순번을 나타내는 영역 지정 데이터(602)와, 멀티미디어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603)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 데이터(604)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을 나타내는 파일 이름(605)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606)와, 연결된 이미지 파일의 파일 이름(60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connection list 600 includes area designation data 602 indicating the sequence number of the multimedia area, position data 603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ultimedia area, category data 604 indicating the type of multimedia content connected, A file name 605 indicating the file of the content, a guidance message 606 guiding the multimedia contents, and a file name 601 of the linked image file.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컨텐츠 실행부(62)가 이미지 파일의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할 때에는 이러한 형식을 갖는 멀티미디어 연결 목록(600)을 참조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execution unit 62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xecutes the multimedia contents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of the image file, the multimedia connection list 600 having this format can be referred to.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영상 처리 방법이 실행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이다.FIG. 8 is a flowchart showing steps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age processing method of FIG. 8 is executed.

도 2에 나타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재생 단계는,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00)와, 멀티미디어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S210)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220)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30)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2 may further include a reproducing step as shown i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 playback step S200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while displaying an image, selecting a multimedia area S210, A step S230 of receiving an input of a user executing the multimedia contents, and a step S240 of reproducing the connected multimedia contents.

터치 스크린(50)에 이미지(100)가 표시되었을 때 이미지(100)의 멀티미디어 영역들을 둘러싸는 상자모양의 안내 표지(701, 702, 703)가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들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 이름들(701a, 702a, 703a)이 안내정보로서 안내 표지(701, 702, 703)의 아래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image 100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50, box-shaped guide signs 701, 702, 703 surrounding the multimedia areas of the image 100 are displayed. Also, the file names 701a, 702a, and 703a of the multimedia conten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multimedia areas may be displayed as guide information under the guide signs 701, 702, and 703.

사용자가 터치펜(110)을 이용하여 이미지(100)의 멀티미디어 영역의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안내정보로서 안내 메시지들(705a, 705b)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컨텐츠 실행부(62)는 선택된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ultimedia areas of the image 100 using the touch pen 110, the guide messages 705a and 705b may be displayed as guide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s connected to the selected multimedia area. In addition, the content execution unit 62 of FIG. 1 may execute multimedia contents connected to the selected multimedia area.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a memory for storing and executing program data, a permanent storage such as a disk drive,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user interface such as a touch panel, a key, Devices, and the like. Methods implemented with software modules or algorithms may be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s computer readable codes or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on the processor. Her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 read-only memory (ROM), a random-access memory (RAM), a floppy disk, a hard disk, ), And a DVD (Digital Versatile Disc).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The medium is readable by a computer, stored in the memory, and executable on the processor.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All documents, including publications, patent applications, patents, etc., c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orporated in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manner as each cited document is shown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in conjunction with one another, .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stated otherwise such as "essential "," significant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선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변수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the terms "above" and similar indication word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laims) may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the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abov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contradiction thereto),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abov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same. Finally,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unless explicitly stated or contrary to the description of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escription line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etc.) in this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 detail and is not to be limi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not.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alteration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riteria and variable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3: 촬영부 62: 컨텐츠 실행부
10: 광학계 71: 사운드 발생부
11: 줌 구동부 100: 이미지
12: 렌즈들 110: 터치펜
14: 저장부 202: 종류 선택 영역
20: 촬상소자 203: 파일 지정 영역
40: 제어부 207: 제1 영역
41: 화상 변환부 208: 제2 영역
42: 구동 회로부 301: 메시지
43: 저장 제어부 302: 실행용 메뉴
44: 터치 스크린 제어부 303: 입력창
46: 사용자 인터페이스 304: 키패드 부
47: 사운드 제어부 400: 이미지 파일
48: 얼굴 인식부 401: 링크 데이터
49: 촬상 제어부 410: 헤더 영역
50: 터치 스크린 411, 602: 영역 지정 데이터
51: 표시부 412, 603: 위치 데이터
52: 입력부 413, 604: 종류 데이터
60: 사용자 입력부 420: 이미지 영역
61: 컨텐츠 연결부 500: DCF 리스트
600: 멀티미디어 연결 목록
101, 102, 103, 701, 702, 703: 안내 표지
104, 201, 415, 606, 705a, 705b: 안내 메시지
414, 501, 601, 605, 701a, 702a, 703a: 파일 이름
3: photographing section 62: content executing section
10: Optical system 71:
11: zoom driving unit 100: image
12: Lenses 110: Touch pen
14: Storage unit 202: Type selection area
20: image pickup element 203: file designation area
40: control unit 207: first area
41: image conversion unit 208: second area
42: drive circuit section 301: message
43: storage control unit 302: execution menu
44: Touch screen control unit 303: Input window
46: user interface 304:
47: sound control unit 400: image file
48: face recognition unit 401: link data
49: image pickup control section 410: header area
50: touch screen 411, 602: area designation data
51: Display unit 412, 603: Position data
52: input unit 413, 604: type data
60: user input unit 420: image area
61: content connection unit 500: DCF list
600: Multimedia connection list
101, 102, 103, 701, 702, 703:
104, 201, 415, 606, 705a, 705b:
414, 501, 601, 605, 701a, 702a, 703a: File name

Claims (11)

촬영부에서 촬영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파일과,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상기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이미지 영역과 상기 이미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헤더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 이름을 포함하며 상기 헤더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상기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상기 링크 데이터에 의해 상기 이미지 파일의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상기 이미지 파일과는 별개의 파일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n image file represent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multimedia content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operation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And
And a content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set a part of the image as a multimedia area to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and to generate link data for connecting the multimedia area and the multimedia contents,
Wherein the image file includes an image area having data representing the image and a header area having data indicating an attribute of the image, wherein the link data includes a file name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is stored in the header area,
And a content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the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when the multimedia area is selected from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input unit,
Wherein the content execution unit causes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image,
Wherein the multimedia content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of the image file by the link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 separate file from the image fi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텍스트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및 이미지 파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ultimedia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fi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ext file, an audio file, a video file, and an image fi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영역으로 지정하는 얼굴 인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연결부는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게 하는 안내 표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face of a person included in the image and designating the face as a face area, wherein the content connection unit displays a guide mark for allowing the face area to be designated as the multimedia area on the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apparatus.
삭제delete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될 멀티미디어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연결시키는 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텐츠 연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파일은 상기 이미지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갖는 헤더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 연결 단계에서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 이름을 포함하며 상기 헤더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는 재생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에 연결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상기 이미지 파일과는 별개의 파일로서 저장부에 저장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n image;
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user's input operation;
An area setting step of selecting a part of the image based on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and setting the selected area as a multimedia area to be connected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And
And generating link data for linking the multimedia area with the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an input operation of the user,
Wherein the link data includes a file name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is stored in the header area, wherein the link data includes a file name of the multimedia content,
Further comprising a reproducing step of receiving an input operation of a user selecting the multimedia area to which the multimedia contents are connected and executing the multimedia contents connected to the multimedia area,
Wherein the display step displays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multimedia contents linked to the multimedia area together with the image,
Wherein the multimedia content is stored in a storage unit as a separate file from the image fi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3132A 2010-01-13 2010-01-13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KR101643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132A KR101643609B1 (en) 2010-01-13 2010-01-13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132A KR101643609B1 (en) 2010-01-13 2010-01-13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95A KR20110083095A (en) 2011-07-20
KR101643609B1 true KR101643609B1 (en) 2016-07-29

Family

ID=4492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132A KR101643609B1 (en) 2010-01-13 2010-01-13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6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62B1 (en) 2015-06-23 2021-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hod for providing content in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WO2019221314A1 (en) * 2018-05-16 2019-11-21 주식회사 유니온플레이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ublishing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16B1 (en) * 2007-07-31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managing method therefor
KR20100000936A (en)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cessing individua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95A (en)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407B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generating metadata and method therefor
JP4576427B2 (en) Annotated image generation method and camera
JP52685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US8582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O2012134750A1 (en) Digital camera for reviewing related images
JP201010978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program
KR100770637B1 (en) Digital camera
KR20120068078A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udio data to image data thereof
JP2007310813A (en) Image retrieving device and camera
US201101457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slideshow function
KR20120081516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47558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multi-photography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775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content selection method
JP4565617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66932B2 (en) Voice recordable terminal and its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643609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reating and playing image linked with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89417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ccessively captured images
KR101629824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363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thumbnail image of video
US1095883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9021733A (en) Image file generating device, and image file generation program
JP46562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selection method
JP2006186930A (e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7065897A (en) Imag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6278689B2 (en) Album gener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