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599B1 -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599B1
KR101642599B1 KR1020140167772A KR20140167772A KR101642599B1 KR 101642599 B1 KR101642599 B1 KR 101642599B1 KR 1020140167772 A KR1020140167772 A KR 1020140167772A KR 20140167772 A KR20140167772 A KR 20140167772A KR 101642599 B1 KR101642599 B1 KR 10164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information
cap device
smart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3899A (en
Inventor
윤태복
이종희
이광형
정운기
Original Assignee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포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인포에스티 filed Critical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9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기반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근거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듈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복약시간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되는 소리모듈과, 의약품 정보와 처방에 의한 복약시간정보 및 환자의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이력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소리모듈을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따라 제어하여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람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의약품이 수납된 약통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복약캡장치; 및 입력된 상기 의약품정보 및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복약캡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복약캡장치의 복약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복약시간에 정확한 복약정보와 복약 의약품 위치를 제공해 주어 신속하고 명확한 복약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hich comprises a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data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 sound module for outputting a sound indicating a medication time, a memory for storing medication information, medication time information by prescription, and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of a patient, and a display module and a sound module, A medication cap device including an alarm control module for informing that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and selectively attaching to a medication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medication; And a smar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nputted medicines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o the medicament cap device through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receiving the medicament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ment c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ccurat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edication at the time of medication through the smart terminal of the patient or the user, so that rapid and clear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복약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NFC 기반의 태그가 부착된 복약 캡장치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또는 사용자에게 복약 약품 인식을 통한 복약 시간과 복약 이력을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정확한 시간과 정확한 약물을 복약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which a drug or a user taking a medication using a medication cap device with a tag attached to an NFC-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l communication-based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that enables accurate time and accurate medication to be medicated.

일반적으로,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야 해는 환자 또는 약물 복용자는 스스로 일정한 시간에 맞추어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노인과 같은 고령자의 경우 복약 시간을 잊어버리는 일이 빈번히 있다. 또한 집과 같은 거주지가 아닌 여행지나 장기 외출 시에는 복용 약품의 위치도 잘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Generally, it is not easy for a patient or a drug user to take medication on a regular basis at regular intervals or periodically,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such as an elderly person, frequently forgets a medication time. In addition, it is often the case that you forget the location of the medication when you are traveling or traveling outside the home.

복용해야할 약품의 복약 시간과 위치뿐만 아니라 특정 일자 혹은 특정 시간에 복약을 했는지의 여부와 복수개의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느 약을 언제 복용했는지의 약물의 구분도 고령자와 같은 기억력이 좋지 못한 환자에게는 어려운 일이다.If the medication should be taken at a specific date or at a specific time, as well as the medication time and location of the medication to be taken, if the medication is to be taken, It is difficult for him.

심장질환이나 심혈관 질환 환자, 급성 당료 환자, 급성 고혈압 등과 같이 적시에 해당 병에 대한 치료약을 정확한 시간에 복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아 병원으로 급히 가야하거나 장시간 방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If you are unable to take the medication at the right time in a timely manner, such as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cute hyperglycemia, or acute hypertension, you should go to the hospital with someone's help or go to hospital for long periods of time. A very serious situation can ari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NFC 태그 및 메모리가 탑재된 복약캡 장치를 복용 약품에 부착하고 이를 스마트 폰 등과 같은 개인 스마트 단말기로 인식하여 등 복약약물정보, 복약시간정보 등 복약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복약시간이 되면 복약캡과 스마트 단말기에서 환자 또는 사용자에게 복약시간을 알려주고 스마트 단말기로 복약 유무를 등록하지 않을 경우 보호자 또는 병원 또는 긴급구조대에 전화 연결을 하여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기반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which is equipped with an NFC tag capable of short- Information and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nd informs the patient or the user of the medication time in the medication cap and the smart terminal when the medication time is reached, and when the medication is not registered as the smart terminal, And to provid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hich can secure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patien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기반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은, 근거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근거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듈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복약시간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되는 소리모듈과, 의약품 정보와 처방에 의한 복약시간정보 및 환자의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이력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소리모듈을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따라 제어하여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람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의약품이 수납된 약통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복약캡장치; 및 입력된 상기 의약품정보 및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복약캡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복약캡장치의 복약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managing and managing medi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comprising: a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data by short range communication; a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 A sound module for outputting a sound indicating a medication time, a memory for storing medication information, medication time information by prescription, and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of a patient, and a display module and a sound module, A medication cap device including an alarm control module for informing that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and selectively attaching to a medication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medication; And a smar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entered medicines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o the medicament cap device through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nd receiving medicament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ment cap device.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된 상기 의약품 정보와 상기 복약이력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의약품 정보와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상기 복약캡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복약캡장치의 복약이력정보와 별도로 복약이력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 입력된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따라 복약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erminal stores the inputted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transmits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and stores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separately from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A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receiving and storing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And an alarm module for informing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inputted medication time information.

상기 스마트 단말기 또는 상기 복약캡장치에서 복약시간정보에 의한 복약시간이 도래하여 복약알람이 울린 후 복약여부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다시 복약알람을 재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medication time due to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rives at the smart terminal or the medication cap device and the medication alarm is activated and a signal is not input as to whether medication is to be administered, .

상기 복약알람을 기 설정된 회수만큼 재작동시킨 후 복약여부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병원 또는 보호자 또는 구급기관에 긴급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After the medication alarm is re-activ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f a signal for medication is not inputted, a message informing the hospital, a caregiver or a paramedical agency of the emergency can be transmitted.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된 복약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로 보호자, 병원 등의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such as a guardian or a hospital at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복약캡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는 13.45MHz NFC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edical device cap device and smart terminal may use the frequency band of 13.45 MHz NFC.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복약시간에 정확한 복약정보와 복약 의약품 위치를 제공해 주어 신속하고 명확한 복약관리를 할 수 있고, 필수 복약 의약품에 대한 미복용 또는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약 의약품 미복용으로 인해 위험 예상 또는 발생 시 환자 및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병원, 또는 긴급구조대에 문자 발송 및 전화 연결을 통해 환자 및 사용자를 위급상황에서 보호할 수 있으며, 13.56MHz 대역의 NFC 주파수를 사용하여 시스템 장치를 소형화하여 휴대 및 사용하기 간편하고 휴대하기 편리한 스마트 단말기와 연계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ccurat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edicament drug at the medication time through the smart terminal of the patient or the user, so that the medicament can be administered promptly and clearly, and the medicinal drug And can safeguard patients and users in emergency situations by sending texts and telephone calls to patient and user's caregiver, or guardian of hospital or emergency rescue team, The NFC frequency is used to miniaturize the system device so that it is easy to use in connection with a smart terminal which is easy to carry and use and is convenient to car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약 의약품에 부착 또는 체결하는 복약캡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캡장치와 스마트 단말기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l communication based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dicament cap device attached to or fastened to a medicinal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action between a medication cap device and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약 의약품에 부착 또는 체결하는 복약캡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캡장치와 스마트 단말기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local communication based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dication cap device attached to or fastened to a medication dru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action between a medication cap device and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30)와, 스마트 단말기(3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복약캡장치(20)를 포함한다.1, a local communication based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terminal 30, a medication cap device 20 for exchanging data with a smart terminal 30 via local communication, ).

상기 복약캡장치(2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모듈(21), 상기 복약캡장치(20)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 모듈(22), 현재 시간과 복약예정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3), 복약시간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되는 소리모듈(24), 복약 의약품 정보와 복약 여부를 저장하는 메모리(25),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26),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3)과 상기 소리모듈(24)을 제어하는 알람제어모듈(27)을 포함한다.The medication cap device 20 includes a reception module 21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30, a transmission module 21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to the smart terminal 20, A display module 23 for displaying a current time and a scheduled medication administration time, a sound module 24 for outputting a sound informing a medication administration time, a memory 25 for stor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information and medication administration information, And an alarm control module 27 for controlling the display module 23 and the sound module 24.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와 상기 복약캡장치(20)의 근거리 통신은 NFC, 블루트수 등 다양한 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NFC를 하나의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It is obvious tha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NFC and BLT can be used for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30 and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In this embodiment, NF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복약캡장치(20)는 의약품이 저장된 약통(10)의 뚜껑(11)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통(10)의 뚜껑(11) 부분에 부착하였지만, 상기 약통(10)의 측면이나 하부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복약캡장치(20)를 상기 약통(10)의 측면이나 하부에 부착하는 경우 별도의 체결수단(예를 들어 벨크로 등)이 필요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medicament cap device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lid 11 of a medicine dispenser 10 in which medicines are stored. In this embodiment, it is attached to the lid 11 of the medicine bottle 10, but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side or bottom of the medicine bottle 10. When attaching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to the side or bottom of the medicine bottle 10, separate fastening means (for example, Velcro or the like) may be needed.

스마트 단말기(30)는 환자명, 환자의 병명, 환자의 나이 등의 환자정보와 복약 대상이 되는 의약품의 이름, 사용되는 질병의 종류, 복약 방법 등의 의약품 정보와 환자가 정해진 시간에 복약을 했는지 여부인 복약이력정보, 처방에 의한 복약주기(예를 들어 식후 30분 하루 3회 등)에 해당하는 복약시간정보를 저장하는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31)과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의해 복약시간을 알려주는 알람모듈(32)을 포함한다.The smart terminal 3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atient such as the patient name, the patient's disease name, the age of the patient, the name of the medicines to be medicated, the type of disease to be used, the medication method and the like, A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 for storing information on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is available, and the medication time period corresponding to prescription (for example, three times a day for 30 minutes after the medication, etc.) And an alarm module 32 for informing the user.

상기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31)과 상기 알람모듈(32)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에 환자 또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앱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 and the alarm module 32 are configured by a software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be downloaded to the smart terminal 30 by a patient or a user via the Interne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s of the local communication based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31)을 통해 상기 환자정보, 상기 의약품 정보,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이후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와 복약캡장치(20)를 NFC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근거리에 위치시키고, 상기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31)의 상기 환자정보, 상기 의약품 정보,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상기 복약캡장치(20)로 전송시킨다. 전송된 상기 환자정보, 상기 의약품 정보, 상기 복약시간정보는 상기 복약캡장치(20)의 메모리(25)에 저장된다.The user inputs and stores the patient information, the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 of the smart terminal 30. Then, the smart terminal 30 and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so that NFC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patient information, drug information, and medic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1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The transferred patient information, the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25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30)의 카메라(도시되지 않음) 및 음성입력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의약품 정보를 사진 또는 음성녹음을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단말기(30)의 글자입력이 원활하지 않은 고령자 또는 노약자들에게 이용 혹은 사용에 대한 편리함과 편의성을 제공한다.The user can input the drug information through photo or voice recording through a camera (not shown) and a voice input module (not shown) of the smart terminal 30, so that the character input of the smart terminal 30 Provides convenience and convenience for use or use for the elderly or the elderly who are not smooth.

상기 복약캡장치(20)의 메모리(25)에 상기 환자정보, 상기 의약품 정보, 상기 복약시간정보가 저장되면 그 이후에 스마트 단말기(30)를 복약캡장치(20)에 접근시키면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환자정보, 상기 의약품 정보,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30)를 통해 다시 확인 할 수 있고, 상기 환자정보, 상기 의약품 정보,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수정하여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patient information, the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25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when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is accessed, the smart terminal 30 is automatically recognized The patient information, the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again through the smart terminal 30, and the patient information, the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can be corrected and transmitted again.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알람모듈(32)은 환자의 복약시간정보를 설정하고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및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소리 또는 영상을 통하여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alarm module 32 of the smart terminal 30 sets the patient's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peaker (not shown) and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of the smart terminal 30 To output an alarm through sound or video.

상기 복약시간정보는 예를 들어 하루 3번 복약시 오전 8시, 오후12시 30분, 오후 7시 등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적절히 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may be set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user's desired time, for example, 8:00 am, 12:30 pm, 7:00 pm when the medication is used three times a day.

상기 복약캡장치(20)의 디스플레이 모듈(23)은 현재시간과 복약시간정보에 의한 복약예정시간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복약예정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화면 출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줄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3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can output the scheduled medication time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nd can recognize the medication through the screen output when the scheduled medication time comes .

상기 복약시간정보의 설정 기준은 현재시간정보에 의해 설정되고 현재시간정보는 상기 알람모듈에 저장된다. 상기 현재시간정보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현재시간정보에 의해 재설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복약시간에 의한 복약알람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30) 및 상기 복약캡장치(20)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etting reference of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is set by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larm module.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can be reset by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30 so that a medication alarm based on the medication time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smart terminal 30 and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

설정된 상기 복약시간정보는 역시 상기 복약캡장치(20)로 NFC를 통해 전송되고, 전송된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의해 상기 복약캡장치(20)의 상기 알람제어모듈(27)이 상기 소리모듈(24)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3)을 제어하여 설정된 복약시간이 되면 알람을 출력하게 된다.The set medication time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hrough the NFC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27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is transmitted to the sound module 24 And the display module 23 to output an alarm when the prescribed medication time is reached.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의해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복약캡장치(2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30) 모두를 통해 복약시간을 알려줄 수 있는 바, 사용자가 복약시간이 되었음을 쉽기 인지할 수 있다. When the medication time comes due to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he medication time can be informed through both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the smart terminal 3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medication time has come.

이 때, 스마트 단말기(30)에서 알람정보를 확인 한 후 환자 또는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30)의 알람모듈(32)에서 제공하는 알람확인에 대한 신호를 입력하여 알람을 멈출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30)를 복약캡장치(20)에 접근 시키면 NFC를 통해 알람해제에 대한 신호가 상기 복약캡장치(20)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복약캡장치(20)의 알람 메시지와 소리가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after confirming the alarm information in the smart terminal 30, the patient or the user can stop the alarm by inputting the alarm confirmation signal provided by the alarm module 32 of the smart terminal 30, 30 is approached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 signal for releasing the alarm via the NFC is transmitted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so that the alarm message and sound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

또는 상기 복약캡장치(20)에 알람해제버튼(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상기 알람해제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알람 메시지와 소리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n alarm cancellation button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so that the alarm message and the sound are released when the alarm cancellation button is pressed.

상기 알람이 해제된 후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알람모듈(32)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복약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After the alarm is canceled, the alarm module 32 of the smart terminal 30 provides a message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smart terminal 30 to inpu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use the medication.

사용자가 복약유무에 대한 메시지에 복약에 대한 신호로 응답하면 해당 의약품을 복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복약 신호가 입력된 시간과 함께 복약이력정보로 저장된다.When the user responds to the medication message with a signal indicating medication, the medication is recognized as having been taken, and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with the time at which the medication signal is input.

복약알람에 대해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거나, 복약여부에 대한 메시지에 복약으로 응답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예를 들어 5분 또는 1시간 등), 다시 복약알람을 작동시킬 수 있다.If the user does not respond to the medication alarm, or if the medication does not respond to the medication, the medication alarm can be triggered agai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5 minutes or 1 hour). have.

상기 복약알람은 기 설정된 회수만큼(예를 들어 5회) 다시 작동된 후에도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거나, 복약여부에 대해 복약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병원, 구급기관(119 등), 보호자 등에게 긴급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 시 환자 또는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고 위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f the user does not respond or the medication signal is not inputted after the medication alarm has been operated agai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five times), the patient is recognized as having an emergency, (119, etc.), a guardian, and the like. This will protect the health of the patient or the use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ensure immediate structur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에서의 재알람은 상기 복약캡장치(20)에서도 동일하게 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약캡장치(20)의 상기 알람제어모듈(27)에 의해 상기 재알람 동작이 동작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복약여부에 대한 확인은 상기 알람해제버튼의 작동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re-alarm in the smart terminal 30 may also be initiated in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s well. That is, the re-alarm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alarm control module 27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the confirmation of whether or not the smart terminal 30 is medicated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alarm release button .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저장된 상기 복약캡장치(20)의 복약이력정보는 NFC를 통해 다시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에 저장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에 입력된 복약이력정보에 업데이트된다.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sto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stored again in the smart terminal 30 through the NFC and stored in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nput to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the smart terminal 30 Updated.

환자가 상기 복약캡장치(20)에는 복약으로 입력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에는 복약하지 않은 것으로 입력하는 등 실제 복약이력정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복약캡장치(20)의 복약이력정보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복약이력정보를 서로 병합하여 정확한 복약이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함이다.Since the actual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a patient inputs medication into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inputs medication into the smart terminal 30, the medication history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30 are merg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ccurat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저장된 상기 복약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에서 상기 복약캡장치(20)의 복약이력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30)의 복약이력정보가 업데이트 됨과 동시에 환자의 보호자 및 병원에 구비된 단말기로 송신되어 환자의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약이력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체크하여 환자의 건강관리에 사용되는 것이다.The stored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s updated at the predetermined period or at the smart terminal 30 by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30 is updated, And can be used for management of the patient. That is,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s accurately and quickly checked and used for health management of the patient.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의 스마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of the local communication based med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스마트 단말기(30)를 복약캡장치(20)에 접근시켜 인식(401) 시킨 후 스마트 단말기(30)에 의약품 정보와 복약시간정보를 입력(402)한다. 이 후, 복약 알람을 설정(403)하여 복약 시간 대기(404)에 들어간다.The smart terminal 30 is approached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recognized 401.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e input 402 to the smart terminal 30. Thereafter, a medication alarm is set (403), and the medication time waits (404) is entered.

복약시간(405)이 되었을 경우, 복약 시간 알람을 표시하고 알람음을 송출(406)한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복약시간정보에 등록한 복용 기본 대기 시간이 초과(407)되지 않은 경우에는 복용 확인(408)이 되었으면, 복약정보 서비스 1회를 종료하고, 복용 확인(408)이 되지 않았으면, 계속 복약시간 알람 표시와 알람음을 송출(406)한다. 복용 기본 대기 시간이 초과(407) 된 경우에는 미복약 경고 표시와 경고음을 송출(409)한다. 이 후, 복용 확인(410)이 되면 복약 경고를 종료하고 1회 복약 정보 서비스를 종료하지만, 복용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 미복용 경고시간을 초과(411)하면 긴급 문자 및 전화 연결을 하고, 미복용 경고시간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미복약 경고 표시와 경고음을 계속 송출(409)한다.When the medication time 405 is reached, the medication time alarm is displayed and an alarm sound is sent (406). If the patient or the user does not exceed the basic waiting time 407 registered in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he medi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terminated once. If the medication information service has not been received 408, And outputs a medication time alarm display and an alarm sound (406). When the basic waiting time for taking is exceeded (407), a non-medication warning display and a warning sound are transmitted (409). Thereafter, when the administration confirmation time 410 is reached, the medication warning is terminated and the medication information service is terminated once. However, if the administration confirmation time can not be obtained, the emergency notification time is exceeded (411) If the dose warning time is not exceeded, the patient continues to transmit a warning message 409 and a warning sound.

복약 시간 대기(404) 상태에서 의약품 정보 또는 복약시간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30)를 복약캡장치에 접근 및 인식(412)시킨 후 의약품 정보와 복약시간정보를 확인(413)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수정(415)할 수 있다.If the medication information or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is to be inquired or corrected in the medication time waiting state 404, the smart terminal 30 is accessed and recognized 412 and then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e checked 413), and can modify (415) the information.

또한 복약캡장치(20)와 스마트 단말기(30)의 경우 통신주파수로 13.56MHz NFC를 사용하는 것으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종래 주로 사용되어온 무선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알람 기능 위주의 일체형 복약알람통의 고비용, 복약하는 의약품을 일체형 복약알람통에 일일이 옮겨야하는 불편함, 크기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점과 단순히 상용자가 세팅한 알람 시간에 맞추어 알람 메시지와 소리를 제공하는 스마트 단말기 전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가지는 제한된 기능과 시스템 확장의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20 and the smart terminal 30, the system is configured by using 13.56 MHz NFC as the communication frequency,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software program dedicated to smart terminals that provides alarm messages and sounds according to the alarm time set by the commercial user and the inconvenience of transferring medicines for medication to the integrated medication alarm box, The inconvenience of system expansion can be overco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약병 20 : 복약캡장치
30 : 스마트 단말기 11 : 뚜껑
21 : 수신모듈 22 : 송신모듈
23 : 디스플레이모듈 24 : 소리모듈
25 : 메모리 26 : 전원모듈
27 : 알람제어모듈 31 :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
32 : 알람모듈
10: Vial 20: Medicine cap device
30: smart terminal 11: lid
21: Receive module 22: Transmit module
23: display module 24: sound module
25: memory 26: power module
27: Alarm control module 31: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32: Alarm module

Claims (6)

근거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근거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듈과,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복약시간을 알리는 소리가 출력되는 소리모듈과, 의약품 정보와 처방에 의한 복약시간정보 및 환자의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이력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소리모듈을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따라 제어하여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람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의약품이 수납된 약통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복약캡장치; 및
입력된 상기 의약품정보 및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복약캡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복약캡장치의 복약이력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된 상기 의약품 정보와 상기 복약이력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의약품 정보와 상기 복약시간정보를 상기 복약캡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복약캡장치의 복약이력정보와 별도로 복약이력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
입력된 상기 복약시간정보에 따라 복약시간을 알려주는 알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 또는 상기 복약캡장치에서 복약시간정보에 의한 복약시간이 도래하여 복약알람이 울린 후 복약여부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다시 복약알람을 재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복약알람은 상기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복약캡장치에서 동시에 작동되고,
상기 복약알람을 기 설정된 회수만큼 재작동시킨 후 복약여부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병원 또는 보호자 또는 구급기관에 긴급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상기 복약캡장치에 접근 시키면 근거리통신을 통해 알람해제에 대한 신호가 상기 복약캡장치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상기 복약캡장치의 알람 메시지와 소리가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약캡장치의 복약이력정보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다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복약이력정보관리모듈에 입력된 복약이력정보에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기반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A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data by short-range communication; a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by short-range communication;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 video image; A sound module for outputting a sound indicating a medication time, a memory for storing medication information, medication time information by prescription, and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of a patient, and a display module and a sound module, A medication cap device including an alarm control module for informing that the medication time has arrived, and selectively attaching to a medication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medication; And
And a smar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nput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receiving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The smart terminal comprises:
The drug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that are input are stored and the med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and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separately from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A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And an alarm module for indicating a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entered medication time information,
When the medication time due to the medication time information arrives at the smart terminal or the medication cap device and the medication alarm is activated and a signal is not input as to whether medication is to be administered, Can,
Wherein the medication alarm is operated simultaneously in the smart terminal and the medication cap device,
And a message informing an emergency to the hospital or a caregiver or a paramedical institution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is not inputted after the medication alarm is re-oper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transmitted.
When the smart terminal is accessed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a signal for releasing the alarm is transmitted to the medication cap device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alarm message and sound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are automatically released.
Wherein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cap device is updated in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input to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the smart terminal by being stored in the smart terminal again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된 복약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로 보호자, 병원 등의 단말기로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기반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terminal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such as a guardian or a hospital in a predetermined period.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캡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는 13.45MHz NFC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 기반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medication cap device and the smart terminal use a frequency band of 13.45 MHz NFC.
KR1020140167772A 2014-11-27 2014-11-27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642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72A KR101642599B1 (en) 2014-11-27 2014-11-27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72A KR101642599B1 (en) 2014-11-27 2014-11-27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99A KR20160063899A (en) 2016-06-07
KR101642599B1 true KR101642599B1 (en) 2016-08-25

Family

ID=5619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772A KR101642599B1 (en) 2014-11-27 2014-11-27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5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915A (en)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헬스올 Remote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medic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776B1 (en) * 2019-11-12 2022-12-22 최윤제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medical information
KR102578011B1 (en) * 2021-08-24 2023-09-13 아우름케어매니지먼트 주식회사 Devic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KR102622806B1 (en) * 2023-05-08 2024-01-17 노현아 Object detection and alar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99B1 (en) * 2004-10-29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time to be taken medicine
KR101224620B1 (en) * 2011-07-13 2013-02-06 대진기술정보 (주) A medicine bottle
KR101342956B1 (en) * 2012-02-29 2013-12-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taking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040537A (en) *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 이나래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nagement service about medication using a user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915A (en)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헬스올 Remote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med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99A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992B2 (en) Intelligent nursing care device
US10420623B2 (en) Medica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151176A1 (en) Medication Adherence Device And Coordinated Care Platform
JP6689822B2 (en) Drug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11776675B2 (en) Systems for tracking medications
KR101281039B1 (en) System for managing patient's medicine dose in real time and method thereof
US9558596B2 (en) Alerting patient at dosing times and tracking medicine use
KR101642599B1 (en) Taking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09163534A (en) Dosing management system and dosing management device
US9743781B2 (en) Multi-functional homecare device
WO2016059202A1 (en) Medication reminder system and method, a control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JP6021105B2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US20210043302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70000123A (en) Care system for patien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JP2000331080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taking medicine
KR102303288B1 (en) System of integrated management for patient
KR20070047049A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the time of taking medicine (with meal time), and the next date and time of attending hospital by mobile phone or like
TWI686191B (en) Group medication reminder system
JP6964397B2 (en) Medication support system
JP6120255B2 (en) Med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TWM516760U (en) Medication remin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