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975B1 - Smart ID Card - Google Patents

Smart ID 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975B1
KR101640975B1 KR1020140019813A KR20140019813A KR101640975B1 KR 101640975 B1 KR101640975 B1 KR 101640975B1 KR 1020140019813 A KR1020140019813 A KR 1020140019813A KR 20140019813 A KR20140019813 A KR 20140019813A KR 101640975 B1 KR101640975 B1 KR 101640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ssbook
pass
smart
passb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8481A (en
Inventor
안재용
최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975B1/en
Publication of KR2015009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4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6Entrance cards; Admission ti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5Associated digital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4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스마트 출입증은 출입증 몸체; 상기 출입증 몸체 전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입증 몸체 후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정보 및 패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mart pass is a pass pass body; A display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assbook body; At least one connector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passageway body; A processor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to proces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스마트 출입증 {Smart ID Card}Smart Passcard {Smart ID Card}

본 실시예는 출입증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스마트 출입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smart pass which can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to the pass.

신분증, 사원증 또는 출입증은 기관 또는 건물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과거에는 사진과 관인이 찍힌 종이를 플라스틱 코팅하여 사용하였다.Identification cards, employee ID cards or pass cards are used to control access to institutions or buildings. In the past, photographs and paper with stamps were coated with plastic.

그러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출입하는 인원 통제 및 디지털 기록을 남길 수 있도록, 무선 통신을 이용한 출입증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RFID 등과 같은 비접촉 방식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출입증이 보편화 되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access contro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was developed so as to leave the access control and the digital record, and in recent years, a card type pass which can use the non-contact communication such as RFID has become common.

이와 같은 출입증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의 표면에는 컬러 인쇄를 통해 출입 기관의 명칭과 출입자의 인적 사항 및 사진 등을 프린트하고, 내부에는 RFID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인서트 하는 방식이나, IC칩을 표면에 실장 하여 칩 내부에 패용자의 인적 사항 등을 저장하는 방식, 마그네틱을 카드 형태의 출입증 뒤에 형성하여 자기 정보를 통해 패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Such a pass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by color printing to print the name of the accessing organiza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and the photograph, and insert an antenna capable of receiving RFID inside the IC card, A method of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chip and a method of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he user through the magnetic information after forming the card in the form of a pass.

그런데, 이들 출입증은 공통적으로 패용자의 개인정보 수록 또는 출입증의 개별 ID를 구분하는 정도의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관 내에서의 출입과 식권 구입 등과 같은 제한적인 용도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However, since these passes commonly provide only limited information such as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of passengers or distinguishing individual IDs of passages, they are difficult to use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limited use such as entrance in the institution and purchase of a meal ticket .

최근에는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도 비접촉 방식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지불이 가능해지면서, 패용자는 출입증과 다른 지불용 카드들을 한꺼번에 들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Recently, traffic cards and credit cards can also be paid using a variety of non-contac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o that a lender has to carry passbooks and other payment cards at the same time.

또한, 출입증의 표면에 인쇄를 통해 패용자의 사진과 성명, 소속 등을 기재할 경우, 해당 카드는 해당 패용자의 퇴사 또는 기관 변경 등이 발생할 경우, 폐기 처분될 수 밖에 없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hotograph, name, affiliation, etc. of the user are described by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pass, the card is wasted if the user leaves the institution or changes the institution, .

본 실시예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필요한 부가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마트 출입증을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mart pass with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reused and additionally provided with necessary additional functions.

본 실시예에 스마트 출입증은 출입증 몸체; 상기 출입증 몸체 전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출입증 몸체 후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정보 및 패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mart pass is a pass pass body; A display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assbook body; At least one connector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passageway body; A processor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to proces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화면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상기 통신모듈은 RFID, NFC, WIFI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have at least one of RFID, NFC, WIFI, and Bluetooth.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battery module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and being chargeable through the connector.

상기 출입증 몸체의 상단에 연결되는 목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는 상기 출입증 몸체에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및 상기 출입증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necklac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assbook body, wherein the necklace includes an ear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ssbook body; And a batter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assbook body.

상기 출입증 몸체에 결합되는 추가 기능 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기능 카드는 일 면에 상기 커텍터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And an additional function card coupled to the passbook body, wherein the additional function card has a connection connecto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nector.

상기 추가 기능 카드는 상기 연결 커넥터가 형성되는 일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커넥터와 동일한 규격의 추가 연결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function card may be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connector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connecto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n which the connecting connector is formed.

4인치 내외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패용자의 사진, 소속 및 기관명 등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패용자가 바뀌어도 출입증을 폐기할 필요 없이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output a photograph, affiliation, organization name, etc. of the passenger through the display screen of about 4 inches. Therefore, even if the passenger changes, it is possible to reuse the pass without having to discard the pass.

또한, 기본 출입통제 등의 기능 이외에 패용자가 선택적으로 교통카드, 신용카드, 스피커, 추가 배터리, 메모리 모듈 등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출입증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o functions such as basic access control, a user can selectively use a transportation card, a credit card, a speaker, an additional battery, and a memory module, there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pass.

또한, 배터리 세이브 기능을 구현하여, 항상 출입증에 사진과 소속 등이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확인이 필요할 경우에만 터치 또는 버튼 동작으로 사진과 소속 등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battery saving function, the photograph and belonging are not always exposed to the pass, but only when the confirmation is required, the photograph and the belonging are exposed by the touch or the button operation.

또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모듈을 적용할 경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주변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메일 등을 전송 받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확인 또는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receive a moving picture or mail stored in a peripheral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the like and confirm or listen to it through the display module.

또한, 통신모듈을 통해 TV와 같은 가전과의 연동하여 리모컨 또는 보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remote controller or a secondary display device in cooperation with a home appliance such as a TV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출입증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에 부가 기능카드를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의 정면도 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shows the back side of the smart pass in Figure 1,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d-on card is coupled to a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front view of the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 출입증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smart pa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a first or a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may refer to a constituent element from another constituent element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출입증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에 부가 기능카드를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의 정면도 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back view of the smart pass of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combining a smart card with a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은 목걸이 형 스마트 출입증에 선택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모듈화 기능을 부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출입증을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wearable smart device)화 하여, 선택적인 모듈을 탑재하여 출입증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various modular functions are added to apply a selective user interface to the necklace type smart pass. That is, the pass is made into a wearable smart device, and the function of the pass can be expanded by mounting an optional module.

본 실시예에 스마트 출입증은 출입증 몸체(100), 디스플레이부(110), 커넥터(130), 프로세서(101), 통신모듈(102) 및 메모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mart pass may include the passbook body 100, the display unit 110, the connector 130, the processor 101,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and the memory unit 103.

출입증 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출입증 몸체(100)의 재질은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강화유리 등과 같이 내충격성이 보장되는 광 투과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passbook body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 and a display unit 110 may be dispos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The passcard body 100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light-permeable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that is assured of impact resistance.

출입증 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가 가로 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로가 세로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 the passbook body 100 may b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width,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nger than the width. This can be varied as needed.

출입증 몸체(100)의 내부에는 프로세서(101), 통신모듈(102) 및 메모리부(103)가 설치될 수 있다.A processor 101, a communication module 102, and a memory unit 10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100.

프로세서(10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처리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01 processes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and can process control commands for image processing and vario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통신모듈(10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NFC, 블루투스, RFID, WIFI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출입 통제에는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RFID나 NFC 안테나를 사용하며,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블루투스나 WIFI를 사용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2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NFC, Bluetooth, RFID, WIFI, etc. can be applied. RFID and NFC antennas, which can be configured at low cost for access control, are generally used, and Bluetooth or WIFI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통신모듈(102)은 출입증이 기본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패용자 확인 정보를 저장 또는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2 can store or distinguis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pass is basically required, and additionally enable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메모리부(103)는 패용자 관련 정보 또는 멀티미디어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패용자 관련 정보는 사진, 소속, 성명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03)는 플래시 메모리로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저장과 삭제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103 may store the loss-related information or the multimedia-related information. The user-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affiliation, name, and the like. The memory unit 103 is provided as a flash memory and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storage and deletion as need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증 몸체(100)에 추가로 스피커(104)와 배터리부(10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104)는 상기 메모리부(103) 또는 통신모듈(102)을 통해 전달 받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배터리부(105)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130)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aker 104 and the battery unit 105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passbook body 100. The speaker 104 is capable of outputting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memory unit 103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The battery unit 105 is for stor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Lt; / RTI >

한편, 상기한 구성부품들은 모두 하나의 기판에 실장 되는 것이 좋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성부품들을 하나의 칩 패키지로 패키징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above components are preferably mounted on a single substr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packaging the above components into one chip package. Or a circuit pattern of a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출입증 몸체(100)는 가급적 얇게 구성되는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2mm는 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나치게 두꺼워질 경우 패용이 어려우며 무거워지기 때문이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book body 100 is as thin as possibl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not more than 2 mm. If it gets too thick, it will be harder and heavier.

또한, 출입증 몸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버튼(15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전원버튼(150)은 슬립/홀드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이상 길게 누를 경우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으며, 짧게 누를 경우에는 슬립 또는 잠금 해제 할 수 있도록 기능 설정할 수 있다.1, a power button 150 may be provided on the passbook body 100, and the power button 150 may be used as a sleep / hold button. That is, the power can be turned on / off when the button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he function can be set so that the button can be slip or unlock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for a short tim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할 경우 볼륨 키를 별도의 하드웨어 키로 출입증 몸체(100)의 측면 또는 후면 등에 마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의 터치를 통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the volume key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r rear surface of the passbook body 100 with a separate hardware key, if necessa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it through the touch of the user interface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출입증 몸체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 길이(L)가 4인치 내지 6인치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화면(LCD)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터치 기능을 가지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4인치 이내로 마련할 수도 있으나, 너무 작을 경우 다양한 정보 제공이 어렵고, 6인치 이상의 큰 화면으로 형성할 경우 전원 및 무게의 문제로 인해 패용이 어렵기 때문에, 4 내지 6인치 이내의 범위의 대각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unit 110 may be arranged to have a diagonal length L of 4 to 6 inches. The display unit 1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and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having a touch function.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within 4 inches. However, if it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In case of forming a screen larger than 6 inches, it is difficult to use due to power and weight problems. It is good to have length.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액정화면일 경우 화면 출력을 위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백라이트 유닛은 선택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 소모를 조절할 수 있다.If the display unit 1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display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backlight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At this time, the backlight unit may be selectively turned on / off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진 출력부(111)와 소속 및 성명 출력부(112)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사진 출력부(111)에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패용자의 사진 정보를 출력하고, 소속 및 성명 출력부(112)에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패용자의 인적 사항을 출력한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저 인터페이스의 설정에 따라 출력되는 형태 및 정보의 내용은 다양하게 가변 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be divided into a photo output unit 111 and a name and name output unit 112. The photograph output unit 111 outputs the photograph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03 and outpu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stored in the memory unit 103 to the belonging and name output unit 11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ents and the contents of the output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user interface.

커넥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증 후면(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는 출입증 몸체(100)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부(105)를 충전할 때 사용할 수도 있고, 후술할 추가 기능 카드(A~D)(도 3 참조)의 연결에 사용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nector 1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pass, and at least one of the connectors 130 may be concave. The connector 130 may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unit 105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100 or may be used to connect the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to be described later (see FIG. 3).

즉, 상기 커넥터(130)는 출입증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연결될 수 있는 추가 기능 카드(A~D)에 이에 대응되는 연결 커넥터(130a)가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That is, the connector 130 may be recessed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pass, and the connection connector 130a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may be convexly formed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opposite.

커넥터(130)는 이와 같은 요철 구조의 물리적 연결뿐만 아니라, 자석 등을 이용한 표면 접촉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자석을 링 형상으로 마련하고 그 중앙에 통전 가능한 단자부를 형성하여, 이 단자부를 쌍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상기 커넥터(130)는 통전 가능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The connector 130 may be provided not only in a physical connection of such a concave-convex structure but also in a surface contact manner using a magnet or the like.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structure in which magnets ar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a terminal portion that can be energized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terminal portions are connected in pairs. In other words, the connector 130 can be applied to any configuration that can provide a power supplyable configuration.

한편, 상기 추가 기능 카드(A~D)는 각각의 카드들에 확장이 필요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can selectively configure the functions required to be extended to the respective cards.

예컨대, 제 1 추가 기능 카드(A)에는 추가 배터리 기능을, 제 2 추가 기능 카드(B)에는 추가 메모리 기능을, 제 3 추가 기능 카드(C)에는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기능을, 제 4 추가 기능 카드(D)에는 GPS나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위치정보 인식모듈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패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이 설치된 센서 카드나, 카메라 모듈과 같은 이미지 촬영용 모듈이 설치된 카메라 기능 카드 등을 마련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dditional function card A has an additional battery function, the second additional function card B has an additional memory function, the third additional function card C has a transportation card or a credit card function, The function card D can be provided with a posi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such as a GPS or a gyro sensor, so that the user can add a desired function. Alternatively, a sensor card equipped with sensor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 camera function card provided with an image photographing module such as a camera modul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nd combined.

즉,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추가 기능 카드(A~D)는 선택적으로 1개만이 연결되어도 기능할 수 있다.That is, onl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한편,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기능은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모듈(102)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본 출입증 카드의 제조 단가 절감을 위해, 기본 기능만을 통신모듈(102)에 적용하고, 필수적이지 않은 구성은 별도의 추가 기능 카드(A~D)의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ation card or the credit card func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performing basic functions.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asic access card, it is preferable to apply only the basic function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and supply the non-essential configuration in the form of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또한, 상기 추가 기능 카드(A~D)는 일 면에 상기 커텍터(13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 커넥터(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130)가 1개이면, 대응되는 위치에 1개가 형성되고, 2개이면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may have connection connectors 130a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n a complementary manner to the connector 130. [ That is, when one connector 130 is provided, one connector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two connectors may be provided at two corresponding positions.

또한, 상기 추가 기능 카드(A~D)는 상기 연결 커넥터(130a)가 형성되는 일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커넥터(130)와 동일한 규격의 추가 연결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적으로 추가 기능 카드들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connection connectors (not shown) having the same size as the connector 13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n which the connection connector 130a is formed. Whereby it is possible to add additional function cards continuously.

한편, 상기 추가 기능 카드들(A~D)은 상기한 구성들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GPS나 가속도계, 진동기 등을 개별적으로 구성한 센싱 기능 카드나, 카메라 모듈 및 저장을 위한 SD메모리 슬롯 등을 구비한 카메라 기능 카드, 만보계나 혈압 측정, 체온 측정 등이 가능한 헬스케어 카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투사할 수 있는 피코 프로젝션 모듈 등을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additional function cards A to D can add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For example, a camera function card having a sensing function card, a camera module, and an SD memory slot for storage, a healthcare card capable of measuring a blood pressure, measuring a body temperature, And a pico-projection module capable of projecting a screen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projecto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증 몸체(100)는 상단에 연결되는 목걸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200)는 상기 출입증 몸체(100)에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210)과, 상기 출입증 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assbook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necklace 200 connected to an upper end thereof. The neckla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earphone 210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ssbook body 100 and a battery module 3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assbook body 10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300)과 출입증 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단선 등을 방지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220)과 같이 일정 폭(W) 이상을 가지는 케이블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일반 라운드 형태의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연결부는 빈번하게 움직이는 위치이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 또는 절곡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4,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attery module 300 and the passbook body 100 may include a cable having a width (W) or more such as a flat cable 220 to prevent disconnection or the like, Or it may be connected by a general round-shaped cable. However,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is a frequently moving position, it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or foldable so as to prevent breakag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증은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오프 된 상태로 대기되며,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전원버튼(150)을 클릭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진 및 성명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mart pa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rmally standby while the display unit 110 is turned off and when the confirmation is required, the power button 150 is clicked or the display unit 110 is touched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and a name can be outputted.

한편, 출입증 몸체(100)의 내부에는 통신모듈(102)이 마련되어, 이 통신모듈(102)을 통해 외부 기기와의 정보 교환이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출입 관련 인적 사항 정보 등이 통신모듈(102)로 교환될 수도 있고, 다른 스마트 기기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메일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 등을 교환할 수도 있다. Meanwhile, a communication module 102 is provided inside the passbook body 100, and information exchange with an external device can be performed wirelessly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items related to entrance and exit may be exchang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or mail or multimedia information may be exchanged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with other smart devices.

즉, 출입 게이트를 통과할 경우, 게이트 단에 설치된 리더기에 비접촉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출입증 몸체(100)를 근접 시키거나, 이러한 동작 없이 센서 또는 안테나 등이 설치된 게이트를 패용자가 통과하면 게이트가 상기 통신모듈(102)과의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면서 출입자 정보를 소정의 서버 측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when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gate, the entranc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rought close to the reader installed in the gate end in a non-contact manner, or if the passenger passes the gate provided with the sensor or antenna,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accessing inform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side while automatically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이러한 구성은 회사, 관공서 등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시설은 물론 학교 등에 적용되어, 학생들의 위치 파악 또는 출석 및 결석 파악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초등학생 등과 같은 미성년 학생의 경우에는 추가 기능 카드에 GPS 등의 기능을 부가하여, 이를 결합하는 구성을 통해 위치를 부모가 손쉽게 파악할 수도 있도록 할 수도 있다.Such a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to a school, a public office, and the like, as well as a facility requiring security, and may be used for grasping the location of a student or for attendance and absence dete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nderage students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unction card may be added to the additional function card so that the parent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function car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입증 몸체(100)의 전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마련되어, 화면을 통해 패용자의 사진과 인적 사항을 출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패용자의 신분이 바뀔 경우, 이 출입증 몸체(100)를 반납한 후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passbook body 100, and a photograph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can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When the identity of the passenger is chang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turn the passbook body 100 after re-use.

즉, 과거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카드 방식의 출입증 표면에 인쇄를 통해 패용자의 인적 사항을 기록하므로, 패용자의 신분이 변경되어 퇴사 또는 이직하는 등의 일이 발생하면, 해당 출입증은 회수 후 폐기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사진과 인적 사항이 출력되므로, 출입증이 파손되지 않는 한 재사용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sinc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s recorded by printing on the card-type pass-like surface in the past, if the passenger's identity is changed and the passenger leaves or leaves his job, the pass has to be discarded after being recover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hotograph and personal information are outputted by the display method, reuse is possible as long as the pass is not damaged.

또한, NFC 또는 교통카드 등의 기능을 통신모듈(102)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1장의 출입증만으로 회사 등의 출입은 물론, 교통카드나 신용카드와 같은 지불용 카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 functions such as NFC or traffic car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2,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not only a company entrance and exit but also a payment card such as a traffic card or a credit card with only one pass.

특히, 일반적으로 출입증 패용에 많이 사용되는 목걸이(200)에 배터리 모듈(300)을 마련하면, 출입증 몸체(100)의 전원을 보다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300)은 동전형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터리 모듈(300)과 함께 릴 형태의 목걸이 줄 연장 툴이 구비될 수도 있다.Particularly, by providing the battery module 300 in the necklace 200, which is generally used for the pass, it is possible to more smoothly supply power to the passbook body 100. At this time, the battery module 300 may be a coin-type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At this time, a reel-shaped necklace string extending tool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battery module 300.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증으로서의 기본 기능 이외에 패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선택하여 구매하여 기능 확장할 수 있다. 특히, 초등학생과 같은 어린 자녀들의 학생증 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출결 체크는 물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방범 목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esides the basic function as the pas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required by the user can be selected and purchased to expand the functions. Especially, when applied to student IDs of young children,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can be used for check-up as well as for security purposes using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출입증을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하므로, 퇴사 등의 사유로 패용자의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이를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원증 또는 출입증의 디자인 변경 시에도 출입증을 새로 제작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변경하여 적용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다.In addition, since the pass is implemented in a display manner, even if th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is changed due to the reasons such as leaving the pass, it can be recycled without discarding it, and even when the design of the employee ID or pass is changed,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changed and applied.

또한, 커넥터(130)를 이용하여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물론 데이터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하거나, 별도의 추가 기능 카드를 부착하여 음악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by using the connector 130, to store data in the memory unit 103, or to attach multimedia data such as music and moving pictures by attaching a separate additional function card.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출입증 몸체 110; 디스플레이부
111; 사진 출력부 112; 소속 및 성명 출력부
120; 출입증 후면 130; 커넥터부
150; 전원버튼 200; 목걸이
210; 이어폰 220; 연결부
300; 배터리 모듈
100; Pass body 110; Display portion
111; A photograph output unit 112; Affiliation and name output section
120; Pass back 130; The connector portion
150; Power button 200; necklace
210; Earphone 220; Connection
300; Battery module

Claims (7)

출입증 몸체;
상기 출입증 몸체 전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추가 기능 카드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출입증 몸체 후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정보 및 패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증.
Passage body;
A display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assbook body;
At least one connector formed concavely in the rear portion of the passageway for connection with the additional function card;
A processor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to process image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nd a memory unit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화면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인 스마트 출입증.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Smart pass, which is either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RFID, NFC, WIFI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지는 스마트 출입증.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Smart pass with at least one of RFID, NFC, WIFI and Bluetoo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증 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unit installed inside the passbook body and being chargeable through th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증 몸체의 상단에 연결되는 목걸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는,
상기 출입증 몸체에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및
상기 출입증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necklac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passbook body,
The necklace,
An ear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ssbook body; And
And a batter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assbook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증 몸체에 결합되는 상기 추가 기능 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기능 카드는,
일 면에 상기 커넥터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결 커넥터가 형성되는 스마트 출입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additional function card coupled to the passbook body,
The add-
And a smart connector on which a connection connector is formed on one surface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nnec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기능 카드는,
상기 연결 커넥터가 형성되는 일 면의 반대쪽 면에 상기 커넥터와 동일한 규격의 추가 연결 커넥터가 마련되는 스마트 출입증.
7.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6,
And a further connecting connector of the same size as the connector is provided on a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n which the connecting connector is formed.
KR1020140019813A 2014-02-20 2014-02-20 Smart ID Card KR101640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13A KR101640975B1 (en) 2014-02-20 2014-02-20 Smart ID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13A KR101640975B1 (en) 2014-02-20 2014-02-20 Smart ID C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81A KR20150098481A (en) 2015-08-28
KR101640975B1 true KR101640975B1 (en) 2016-07-19

Family

ID=5405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813A KR101640975B1 (en) 2014-02-20 2014-02-20 Smart ID 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9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092B1 (en) * 2019-12-17 2021-08-09 김범국 Indication card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677A (en)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Multi-card
US20060172771A1 (en) * 2005-02-03 2006-08-03 Primax Electronics Ltd.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US20110062242A1 (en) * 2008-03-31 2011-03-17 The Royal Bank Of Scotland Plc Processor card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677A (en)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Multi-card
US20060172771A1 (en) * 2005-02-03 2006-08-03 Primax Electronics Ltd.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US20110062242A1 (en) * 2008-03-31 2011-03-17 The Royal Bank Of Scotland Plc Processor card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81A (en)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825B2 (en) Double-sided USB-compatible plug connector adapted for insertion in either orientation into a USB-compatible receptacle
ES2426749T3 (en) Universal smart card
US9760184B2 (en) Portable keyboard and speaker assembly
CA2488203A1 (en) Wireless identification and tracking in gaming systems
US11769030B2 (en) Enrolment device for a biometric smart card
US20210248856A1 (en) Flexible payment card
JP5440251B2 (en) Mobile terminal and program
KR101773376B1 (en) Smart c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harging apparatus therefor and smart card reader
US20090102645A1 (en) Adding social networking to devices
US11526593B2 (en) Aggregator of identification devices
KR101640975B1 (en) Smart ID Card
US201302937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users to read electronic books from pages last viewed in corresponding physical books
JP2006227678A (en) Reader/writer for two-way ic card
JP2016130946A (en) Card case and management system
Kandhikonda IoT Based Vehicle and License Authentication Device
JP5672365B2 (en) Mobile terminal and program
JP4249507B2 (en) SIM reader / writer with LCD
ES2336186B1 (en) CARD PROCESSING TERMINAL WITH TOUCH SCREEN.
JP2004264915A (en) Sim reader/writer
KR20160012748A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phone having method of certification and advertisement
CN206892885U (en) Identity card reading device
WO2018147509A1 (en) Rf card activating device
JP2008009464A (en) Card type computer
TWM456544U (en) Slim and display type electronic ticket module
ITMN20000028A1 (en) MULTIMEDIA AND MULTIFUNCTIONAL PORTFOL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