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59B1 -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59B1
KR101638959B1 KR1020090113243A KR20090113243A KR101638959B1 KR 101638959 B1 KR101638959 B1 KR 101638959B1 KR 1020090113243 A KR1020090113243 A KR 1020090113243A KR 20090113243 A KR20090113243 A KR 20090113243A KR 101638959 B1 KR101638959 B1 KR 10163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mode
status information
shutter glass
ey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6777A (en
Inventor
고창석
한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959B1/en
Priority to US12/943,637 priority patent/US9414041B2/en
Priority to EP10191295.4A priority patent/EP2326099A3/en
Priority to JP2010257805A priority patent/JP5745822B2/en
Publication of KR2011005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77A/en
Priority to US14/922,633 priority patent/US2016004166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Abstract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3D 영상 출력모드와 2D 영상 출력모드 간의 전환방법은, 셔터 글래스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태정보를 기초로 출력모드를 전환하거나 출력모드의 전환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3D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의도가 고려된 출력모드로 영상이 제공되게 된다. Disclosed is a method for switching an output mode, a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and a 3D image providing system. The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the 3D image output mode and the 2D image output mode includes receiv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shutter glass and displaying a message for switching the output mode or switching the output mod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Thus, the image is provided in an output mode in which the user's intention to view the 3D image is considered.

3D 영상, 셔터 글래스 3D image, shutter glass

Description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ode switching method and a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display mode switching method,

본 발명은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출력모드와 2D 출력모드 간의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 3D output mode and a 2D output mode,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a 3D image providing system.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3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ha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broadcast,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military, game, animation, virtual reality, CAD,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next generation 3D stereoscopic multimedia It can be said that it is core tech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Generally,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perceived by a person depends on the degree of thickness change of the le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observed,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both eyes and the object, the difference in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 on the left and right eyes, Time difference, and various psychological and memory effects.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 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Among them, binocular disparity, which is caused by the fact that two eyes of a person are located about 6 to 7 cm away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stereoscopic effect. In other words, the binocular parallax is used to look at the angular difference of the subject. Due to this difference, the images coming into each eye have different phases. When these two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It is possible to feel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by precisely fusing each other.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특수안경을 사용하는 안경식과 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비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색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분리 선택하는 색필터 방식, 직교한 편광 소자의 조합에 의한 차광 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편광필터 방식 및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좌안과 우안을 교번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한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s classified into a spectacle type using special glasses and a non-aniseed type using no special glasses. The spectrophotometer is a color filter system that separates images using a color filter having a complementary color relationship, a polarizing filter system that separates imag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using a light blocking effect by a combination of orthogonal polarizing elements, There is a shutter glass system which can sense a stereoscopic effect by alternately blocking the left and right eyes in response to a synchronizing signal for projecting a video signal on a screen.

이 중 셔터 글래스 방식은 양쪽 눈의 시차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제공과 안경 좌우 양안의 온-오프를 동기화하여,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두뇌작용으로 인한 공간감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식이다.Among them, the shutter glass method is a display method using the parallax of both eyes, and it synchronizes the on-off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on / off of the left and right glasses so that images observed at different angles can recognize the spatial sensation due to the brain action Method.

한편, 사용자는 입체 영상에 대한 원활한 시청을 위해, 입체 영상에 대한 각종 설정 사항들을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입체 영상에 대한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메뉴 조작을 하여야 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번거로움이 아닐 수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hange various setting items for the stereoscopic image to smoothly view the stereoscopic imag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setting, the user must manually operate the menu, which is a considerable hassle for the user.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의도를 능동적으로 고려하고, 사용자의 시청의도에 따라 3D 영상에 대한 출력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actively consider the viewing intention of the user and search for a method for converting the output mode for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viewing intention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3D 영상에 대한 출력모드가 전환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in which an output mode for a 3D image is automatically switched and a display device and a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3-Dimension) 영상 출력모드와 2D(2-Dimension) 영상 출력모드 간의 전환방법은, 셔터 글래스로부터 상기 셔터 글래스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출력모드를 전환하거나 상기 출력모드의 전환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 3D (2-Dimension) image output mode and a 3D (3-Dimension) image output mode by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shutter glass from a shutter glass ; And switching the output mode or displaying a message for switching the output mod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OFF 상태, 상기 셔터 글래스의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상기 셔터 글래스의 개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a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shutter glass, and an open / close state of the shutter glass.

그리고, 상기 전환 또는 표시 단계는,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를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The switching or displaying step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3D image output mode to the 2D image output mode when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또한, 상기 전환 또는 표시 단계는,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를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The switching or displaying step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2D image output mode to the 3D image output mode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그리고, 상기 전환 또는 표시 단계는,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 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 switching or displaying step may display a message for requesting power-on of the shutter glass when th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모드 전환방법은,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method of switching an out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after th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And terminating the display of the display screen.

그리고, 상기 전환 또는 표시 단계는,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If th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the switching or displaying step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to switch to the 3D image output mode .

또한, 상기 셔터 글래스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상태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shutter glass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그리고,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화면 전체에서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모드이고,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화면에서 분할되어 표시되는 모드일 수 있다.The 3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The 2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may be a mode in which the display is divided and display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3-Dimension) 영상 출력모드 또는 2D(2-Dimension) 영상 출력모드로 동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셔터 글래스로부터 상기 셔터 글래스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출력모드가 전환되거나 상기 출 력모드의 전환을 위한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3D (3-Dimension) image output mode or a 2D (2-Dimension) image outpu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output mode or displaying a message for switching the output mod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OFF 상태, 상기 셔터 글래스의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상기 셔터 글래스의 개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status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a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shutter glass, and an open / close state of the shutter glas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가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3D image output mode to the 2D image output mode when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가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utomatically switch the 2D image output mode to the 3D image output mode when the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message for requesting power-on of the shutter glass when the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표시를 종료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terminate the display of the message when the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after th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whether to switch to the 3D image output mode when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또한, 상기 셔터 글래스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 거나, 상기 상태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shutter glass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when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그리고,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화면 전체에서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모드이고,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화면에서 분할되어 표시되는 모드일 수 있다.The 3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The 2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may be a mode in which the display is divided and display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셔터 글래스에 관한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셔터 글래스; 및 3D(3-Dimension) 영상 출력모드 또는 2D(2-Dimension) 영상 출력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출력모드를 전환하거나 상기 출력모드의 전환을 위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s, the system including: a main body for opening / closing a left eyeglass and a right eye glass alternately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And a 3D (3-Dimension) image output mode or a 2D (2-Dimension) image output mode, and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and switches the output mod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이에 의해, 3D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의도가 고려된 출력모드로 영상이 제공되게 된다. Thus, the image is provided in an output mode in which the user's intention to view the 3D image is consider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3-Dimension)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원리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3D 영상에 대한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3D 영상에 대한 화면 전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고, 도 8을 참조하여 출력모드가 전환되는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기타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particular,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4,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peration principle and a configuration of a 3D (3-Dimension)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5A to 5C, 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ocess for processing. The screen switching process for the 3D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operation flow for switching the outpu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 3D 영상 제공 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구성 >&Lt; Operation principle and constitution of 3D image providing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 제공 시스템은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100), 3D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TV(200) 및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셔터 글래스(300)로 구성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3D imag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camera 100 for generating a 3D image, a TV 200 for displaying a 3D image on a screen, and a shutter glass 300 for viewing a 3D image.

카메라(100)는 3D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촬영 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의 좌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사용자의 우안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촬영된 우안 영상을 생성한다. 즉, 3D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교번적으로 제공되면서,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감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The camera 100 is a type of photographing device for generating a 3D image and generates a left eye image photograph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user's left eye and a right eye image photograph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user's right eye. That is, the 3D image is composed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provided alternately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respectively.

이를 위해, 카메라(100)는 좌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안 카메라와 우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우안 카메라로 구성되고, 좌안 카메라와 우안 카메라 간의 간격은, 사람의 두 눈 간의 이격 간격으로부터 고려되게 된다. For this purpose, the camera 100 is composed of a left eye camera for generat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camera for generating a right eye image, and an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camera is considered from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eyes of a person.

카메라(100)는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TV(200)로 전달한다. 특히, 카메라(100)가 TV(200)로 전달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으로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되거나,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된 포맷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camera 100 transmits the photographed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o the TV 200. In particular,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00 to the TV 200 are transmitted in a format composed of only one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or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May be transmitted in a format configured to include all of them.

이하에서는, TV(200)로 전달되는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ormat of a 3D image transmitted to the TV 200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F.

도 2a 내지 도 2f는 3D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안 영상 부분을 백색으로 표시하고 우안 영상 부분을 흑색으로 표시하였다. 2A to 2F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ormat of a 3D image. In FIGS. 2A to 2F, the left eye image portion is displayed in white and the right eye image portion is displayed in blac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우선, 도 2a는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좌안 영상 또는 하나의 우안 영상이 삽입된 포맷이 된다.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3D image according to a general frame sequence scheme. In the case of the frame sequence method,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in which one left eye image or one right eye image is inserted in one frame.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이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가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가 포함된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In this format, a 3D image having a resolution of 1920 * 1080 is converted into a frame including a left eye image L1 captured by a left eye camera, a right eye image R1 captured by a right eye camera, Frame containing the left eye image L2 taken by the camera -> frame containing the right eye image R2 taken by the right eye camera-> '.

도 2b는 바톰-업(buttom-up)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바톰-업 방식은 상하분할방식으로도 불리며, 이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바톰-업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상하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상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하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3D image according to a butt-up method. The bottom-up method is also called a vertical division method. In this case,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In particular, in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bottom-up metho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left eye imag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right eye imag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상하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1920*540의 해상도로 변환되고, 이후 축소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상하로 통합되어 한 프레임을 구성하며 TV(200)로 전달되게 된다. For thi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are scale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verted into resolutions of 1920 * 540, respectively. Then, the reduced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converted into a 1920 * So that one frame is formed and transmitted to the TV 200.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상)과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하)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상)와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하)가 포함된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In this format, a 3D image having a resolution of 1920 * 1080 is referred to as a frame including a left eye image L1 (image) photographed by a left ey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R1 (image) photographed by a right eye camera. A frame containing the left eye image L2 (upper)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and the right eye image R2 (lower)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 ... '.

도 2c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우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3D image according to a side by side scheme. In the case of the side-by-side method,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Particularly, in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side-by-side metho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the left eye imag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eye image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좌우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960*1080의 해상도로 변환되고, 이후 축소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도록 좌우로 통합되어 한 프레임을 구성하며 TV(200)로 전달되게 된다. For thi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are reduced sca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and converted to a resolution of 960 * 1080, and then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are reduced So that one frame is formed and transmitted to the TV 200.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1920*1080의 해상도를 가지는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좌)과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우)을 포함하는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좌)와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우)을 포함하는 프레임 -> …'으로 구성되게 된다. In this format, a 3D image having a resolution of 1920 * 1080 is divided into a left eye image L1 (left)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R1 (right eye)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A frame including a left eye image L2 (left)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and a right eye image R2 (right eye)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

도 2d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3D image according to a horizontal interleav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interleave method,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In particular,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interleave method is a format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row unit.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①상하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1920*540의 해상도로 변환된 후, 변환된 좌안 영상과 변환된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각각 홀수 행 또는 짝수 행에 교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②좌안 영상 중 홀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고 우안 영상 중 짝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어, 홀수 행들의 영상과 짝수 행들의 영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thi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are scale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verted into resolutions of 1920 * 540, respectively. Thereafter, the converted left eye image and the converted right eye image are converted into odd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odd rows of the left eye image is extracted and only the image of the even-numbered row of the right eye image is extracted, and the image of odd rows and the image of the even rows May be combined to form a single frame.

예를 들어, 상기 ①에 따른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2행,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2행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ormat according to the above (1), the 3D image is the first row of the left eye image L1 captured by the left eye camera, the first row of the right eye image R1 captured by the right eye camera A second row of the left eye image L1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a second row of the right eye image R1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image camera, 'Constitute one frame.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2행,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2행 …'으로 구성되게 된다. In the next frame, the first row of the left eye image L2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the first row of the right eye image R2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camera, the left eye image L2 The second row of the right eye image R2 taken by the right eye image camera, '.

도 2e는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열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2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a 3D image according to a vertical interleave method. In the case of the vertical interleave method,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In particular,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vertical interleave method is a format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units of columns.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①좌우 방향으로 축소 스케일링되어 각각 960*1080의 해상도로 변환된 후, 변환된 좌안 영상과 변환된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각각 홀수 행 또는 짝수 행에 교번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고, ②좌안 영상 중 홀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고 우안 영상 중 짝수 행의 영상만이 추출되어, 홀수 행들의 영상과 짝수 행들의 영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o this e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0 are scaled dow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to be converted into a resolution of 960 * 1080, and then the converted left eye image and the converted right eye image are converted into odd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odd rows of the left eye image is extracted and only the image of the even-numbered row of the right eye image is extracted, and the image of odd rows and the image of the even rows May be combined to form a single frame.

예를 들어, 상기 ①에 따른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2열,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2열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ormat according to the above (1), the 3D image is a first column of the left eye image L1 captured by the left eye camera, a first column of the right eye image R1 captured by the right eye camera The second row of the left eye image L1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and the second row of the right eye image R1 photographed by the right eye image camera. 'Constitute one frame.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2열, 우안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2열 …'으로 구성되게 된다. In the next frame, the first column of the left eye image L2 captured by the left eye camera, the first column of the right eye image R2 captured by the right eye camera, the left eye image L2 ), The second row of the right eye image (R2) taken by the right eye image camera, '.

도 2f는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체커보드 방식에 의할 경우,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픽셀 단위 또는 픽셀 군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FIG. 2F is a view showing a format of a 3D image according to a checkerboard method. In the case of the checkerboard method,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In particular,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checkerboard method is a format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ixel units or pixel group units.

이를 위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픽셀 단위 또는 픽셀 군 단위로 추출되어 각 프레임을 구성하는 픽셀들 또는 픽셀 군들에 교번 배치되게 된다. For this purpos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00 are extracted on a pixel-by-pixel or pixel-by-pixel basis, and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pixels or pixel groups constituting each frame.

예를 들어,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의할 경우,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제2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1) 중 제1행 제3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1) 중 제1행 제4열 …'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checkerboard method, the 3D image is composed of a first row first column of the left eye image L1 photographed by the left eye camera, a first row first column of the right eye image A first row and a third column of a left eye image L1 taken by a left eye camera, a first row and a fourth column of a right eye image R1 taken by a right eye camera, 'Constitute one frame.

또한, 그 다음 프레임에서는,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제1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제2열,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L2) 중 제1행 제3열,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R2) 중 제1행 제4열 …'으로 구성되게 된다. In the next frame, the first row first column of the left eye image L2 captured by the left eye camera, the first row second column of the right eye image R2 captured by the right eye camera, The first row and the third column of the captured left eye image L2, the first row and the fourth column of the right eye image R2 captured by the right eye camera, '.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이와 같이, 카메라(100)는 전술한 포맷들 중 하나의 포맷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포맷에 따라 3D 영상을 TV(200)로 전달하게 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camera 100 determines one format of the above-described formats in advance and transmits the 3D image to the TV 2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ormat.

TV(2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종으로서, 카메라(100) 등의 촬영장치로부터 수신된 3D 영상 또는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어 방송국에서 편집/가공된 후 방 송국에서 송출된 3D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한 후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특히, TV(200)는 3D 영상의 포맷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가공하고, 가공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The TV 200 is a type of display device and receives a 3D image received from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the camera 100 or a 3D image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station after being edited / processed in a broadcasting station by a camera 100 , Processes the received 3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In particular, the TV 200 refers to the format of the 3D image, processe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nd displays the processed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on a time-division basis and displayed alternately.

뿐만 아니라, TV(2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시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셔터 글래스(300)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TV 200 generates a synchronization signal synchronized with a timing at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splayed in a time-division mann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hutter glass 300.

이와 같은 TV(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For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V 200, FIG. 3 will be referred to. 3 is a block diagram of a TV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TV(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영상 출력부(230), 제어부(240), GUI(Graphic User Interface) 생성부(250), 저장부(260),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 IR 전송부(28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0)를 구비한다.The TV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receiving unit 210, an image processing unit 220, an image output unit 230, a control unit 240,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 storage unit 260, a user command receiving unit 270, an IR transmitting unit 280,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190.

영상 수신부(2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영상 수신부(210)는 카메라(100)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3D 영상을 입력받는다. 외부기기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mag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nd demodulates a broadcast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or satellite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image receiving unit 2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amera 100 and receives 3D images from an external device. External devices can b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via interfaces such as S-Video, Component, Composite, D-Sub, DVI, and HDMI.

전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으로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포함되거나 각 프레임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즉, 3D 영상은, 전술한 도 2에 따른 포맷들 중 하나에 따라 생성된 영상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3D image is an image composed of at least one frame, and include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in one image frame, or each frame is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or a right eye image. That is, the 3D image is an image generated according to one of the formats shown in FIG.

따라서,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되는 3D 영상은 다양한 포맷으로 될 수 있으며, 특히,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 바톰-업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 수평 인터리브 방식, 수직 인터리브 방식, 및 체커보드 방식 중 하나에 따른 포맷으로 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3D image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210 may be in various formats. In particular, the 3D image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210 may be in various formats, such as a general frame sequence method, a bottom-up method, a side by side method, a horizontal interleaving method, a vertical interleaving method, And can be in a format according to one.

영상 수신부(210)는 수신된 3D 영상을 영상 처리부(220)로 전달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210 transmits the received 3D image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로 수신된 3D 영상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포맷 분석,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및 GUI 부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performs processing such as video decoding, format analysis, video scaling, and the like on the 3D image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210, and GUI addition.

특히,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로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1920*1080)에 해당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In particular,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generates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corresponding to a size of a screen (1920 * 1080) using the format of the 3D image input to the image receiving unit 210, respectively.

즉, 3D 영상의 포맷이 바톰-업 방식,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 수평 인터리브 방식, 수직 인터리브 방식 또는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포맷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 스케일링 또는 보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format of the 3D image is a format according to the bottom-up method, the side by side method, the horizontal interleave method, the vertical interleave method, or the checkerboard method, the image processing part 220 calculates, And extracts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respectively, and enlarges or scales or interpolates the extracted left and right eye images to generate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for providing to the user, respectively.

또한, 3D 영상의 포맷이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If the 3D image format is a general frame sequence scheme,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prepares to extract the left eye image or the right eye image from each frame and provide it to the user.

한편,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는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on the format of the input 3D image may or may not be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예를 들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3D 영상을 분석하여 포맷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반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거나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information on the format of the input 3D image is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extracts information on the format by analyzing the 3D image, And processes the im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formation on the format of the input 3D image is not included in the 3D image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processes the received 3D image according to the format input from the user, And processes the image.

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220)는 후술할 GUI 생성부(250)로부터 수신된 GUI가 좌안 영상, 우안 영상,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allows the GUI received from the GUI generating unit 2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added to the left eye image, the right eye image, or both.

영상 처리부(220)는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영상 출력부(230)로 전달한다. 즉, 영상 처리부(220)는 '좌안 영상(L1) -> 우안 영상(R1) -> 좌안 영상(L2) -> 우안 영상(R2) -> …'의 시간적 순서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영상 출력부(230)로 전달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time-divides the extracted left eye image and right eye image and transmits them to the image output unit 230 in an alternate manner. That is,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generates the left eye image L1, the right eye image R1, the left eye image L2, the right eye image R2, And transmit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o the image output unit 230 in a temporal order.

영상 출력부(230)는 영상 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image output unit 230 alternately output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which ar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to the user.

GUI 생성부(25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GUI를 생성한다. GUI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GUI는 영상 처리부(220)로 인가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좌안 영상, 우안 영상, 또는 양자 모두에 부가되게 된다. The GUI generation unit 250 generates a GUI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GUI generated by the GUI generating unit 250 is appli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and added to both the left eye image, the right eye image, or both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저장부(260)는, TV(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 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The storage unit 260 is a storage medium storing various program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TV 20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the like.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는 리모콘 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The user command receiving unit 270 transmits a user command received from an input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o the control unit 240.

IR 전송부(280)는,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과 동기된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기신호를 적외선 형태로 셔터 글래스(300)에 전송한다. 이는, TV(200)와 셔터 글래스(300) 간의 동기를 통해, 셔터 글래스(300)가 교번적으로 개폐되어, 셔터 글래스(300)의 좌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부(230)에서 좌안 영상이 표시되고, 셔터 글래스(300)의 우안 오픈 타이밍에 영상 출력(230)에서 우안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IR transmitting unit 280 generates a synchronizing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alternately output left and right eye image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ynchronizing signal to the shutter glass 300 in an infrared form. This is because the shutter glass 300 is alternately opened and closed through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V 200 and the shutter glass 300 so that the lef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230 at the left eye open timing of the shutter glass 300 And the right eye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230 at the right eye opening timing of the shutter glass 300. [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셔터 글래스(300)와 통신하여 셔터 글래스(3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태정보란, 셔터 글래스(300)를 사용자가 착용중인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셔터 글래스(300)의 충전상태에 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90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shutter glass 300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n the shutter glass 300.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shutter glass 3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shutter glass 300 is worn by the user,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shutter glass 300, and the like.

특히, 사용자가 셔터 글래스(300)를 착용중인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는, 셔터 글래스(300)에 마련된 스위치 등이 ON되어, 셔터 글래스(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wearing the shutter glass 300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a switch provided on the shutter glass 300 is turned ON and power is supplied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hutter glass 300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it is.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셔터 글래스(3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태정보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In this manne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9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shutter glass 3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40.

제어부(240)는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TV(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V 2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command receiving unit 270.

특히, 제어부(240)는 영상 수신부(210) 및 영상 처리부(2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image receiving unit 21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to receive a 3D image, separate the received 3D image in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To be scaled or interpolated to a size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또한, 제어부(240)는 GUI 생성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 명령 수신부(2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GUI가 생성되도록 하며, IR 전송부(280)를 제어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출력 타이밍과 동기된 동기신호가 생성 및 전송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GUI generating unit 250 to generate a GUI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command receiving unit 270 and controls the IR transmitting unit 280 to generate a left eye image and a left eye image, So that a synchronization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timing of the right eye im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뿐만 아니라, 제어부(240)는 통신 인터페이스(290)를 통해 수신된 셔터 글래스(300)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3D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고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GUI가 생성되도록 영상 처리부(120) 및 GUI 생성부(150)를 제어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displays a 3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scree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hutter glass 300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90, and generates a GUI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the GUI generating unit 15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한편, 셔터 글래스(300)는 TV(20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하여, 사용자가 좌안과 우안을 통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시청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셔터 글래스(3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hutter glass 300 alternately opens and closes the left eye glass and the right eye glass in accordance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TV 200,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hrough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hutter glass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3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글래스(300)는 IR 수신부(310), 제어부(320), 글래스 구동부(330), 글래스부(340), 전원 공급부(370) 및 통신 인터페이스(380)를 구비한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hutter glas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glass 300 includes an IR receiving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 glass driving unit 330, a glass unit 340, a power supply unit 370,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380.

IR 수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TV(200)의 IR 전송부(280)로부터 3D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IR 전송부(280)는 직진성을 가진 적외선을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방사하고, IR 수신부(310)는 방사된 적외선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수신한다. The IR receiving unit 310 receiv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for the 3D image from the IR transmitting unit 280 of the TV 200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In particular, the IR transmitting unit 280 emits a synchronizing signal using infrared rays having a directivity, and the IR receiving unit 310 receives a synchronizing signal from the emitted infrared rays.

예를 들어, IR 전송부(280)에서 IR 수신부(310)로 전달되는 동기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하이 레벨(high level)과 로우 레벨(low level)이 교번된 신호일 수 있고, 하이 레벨인 시간에서는 좌안 영상이 전송되고 로우 레벨인 시간에서는 우안 영상이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R transmitter 280 to the IR receiver 310 may be a signal that is alternated between a high level and a low leve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left eye image is transmitted in the time, and the right eye image is transmitted in the low level time.

IR 수신부(310)는 IR 전송부(280)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를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The IR receiving unit 310 transmits the synchronizing signal received from the IR transmitting unit 280 to the control unit 320.

제어부(320)는 셔터 글래스(300) 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IR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글래스 구동부(330)로 전달하여 글래스 구동부(33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20)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글래스부(3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가 글래스 구동부(330)에서 생성되도록 글래스 구동부(33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operations of the shutter glass 3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by the IR receiving unit 31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glass driving unit 330 to control the glass driving unit 33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glass driving unit 330 so that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glass unit 340 is generated in the glass driving unit 330,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글래스 구동부(330)는 제어부(32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후술할 글래스부(340)는 좌안 글래스(350) 및 우안 글래스(360)로 구성되기 때문에, 글래스 구동부(330)는 좌안 글래스(350)를 구동하기 위한 좌안 구동신호와 우안 글래스(360)를 구동하기 위한 우안 구동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구동신호를 좌안 글래스(350)로 전달하며 우안 구동신호를 우 안 글래스(360)로 전달한다.The glass driving unit 330 generates a driving sig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320. [ In particular, since the glass portion 34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stituted by the left eye glass 350 and the right eye glass 360, the glass driver 330 drives the left eye lens 350 to drive the left eye lens 350 and the right eye glass 360, Eye driving signals to the left eye glass 350 and transmits the right eye driving signals to the right eye glass 360. [

글래스부(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안 글래스(350) 및 우안 글래스(360)로 구성되며, 글래스 구동부(330)로부터 수신된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의 글래스를 개폐한다. The glass part 340 is constituted by a left eye glass 350 and a right eye glass 360 as described above and opens and closes each glass in accordance with a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glass driving part 330.

전원 공급부(370)는 셔터 글래스(300)에 마련된 스위치(미도시)등을 통해 셔터 글래스(300)가 ON되면, 셔터 글래스(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370 allows power to be supplied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hutter glass 300 when the shutter glass 300 is turned on through a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the shutter glass 300 or the like.

통신 인터페이스(380)는 TV(200)와 통신하기 위한 연결통로로서, TV(200)로 셔터 글래스(3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380)는 셔터 글래스(300)가 ON 되었는지 또는 OFF 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TV(200)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80 is a connection path for communicating with the TV 200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shutter glass 300 to the TV 200. [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80 transmits to the TV 200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shutter glass 300 is ON or OFF.

이러한 상태정보는, TV(200)와 셔터 글래스(300) 사이에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전송되거나 TV(200)로부터 상태정보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This statu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etween the TV 200 and the shutter glass 300 or when there is a request f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the TV 200. [

< 3D 영상에 대한 처리과정 >&Lt; Processing process for 3D image >

이하에서는, 3D 영상에 대한 처리 과정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ocessing procedure for a 3D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rmat of a 3D image.

우선, 도 5a는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라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5A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a 3D image on a screen when a 3D image is received according to a general frame sequence method.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시퀀스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하나의 좌안 영상 또는 하나의 우안 영상이 삽입된 포맷이다. 따라서, 3D 영상은,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1이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1이 포함된 프레임 -> 좌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좌안 영상 L2가 포함된 프레임 -> 우안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우안 영상 R2가 포함된 프레임 -> …'의 순서로 입력되며, 입력된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As shown,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frame sequence scheme is a format in which one left eye image or one right eye image is inserted in one frame. Accordingly, the 3D image is a frame including the left eye image L1 captured by the left eye camera, a frame including the right eye image R1 captured by the right eye camera, a frame containing the left eye image L2 captured by the left eye camera, -> Frames containing the right eye image R2 taken by the right eye camera -> ... ', And the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inputted order.

도 5b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라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5B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a 3D image on a screen when the 3D imag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side by side method.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구분되며, 좌안 영상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안 영상이 우측에 마련된 포맷이 된다. As shown,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side-by-side scheme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Particularly, in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side-by-side metho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vided into right and left, the left eye imag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eye image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좌우로 이등분하여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좌우로 2배 확대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is format, the TV 200 separates each frame of the received 3D image into left eye image parts and right eye image parts by bisecting the left and right frames, and separates the left eye image part and the right eye image part by two Scaled to generate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generated left eye image and right eye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screen.

따라서, 3D 영상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1)을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1)을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2)을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2)을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의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3D image is divided into two parts: a left eye image in which the left part L1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first frame is doubled, a right eye image in which the right part R1 is doubled in the first frame, > Left eye image which is enlarged twice the left part (L2)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second frame -> Right eye image which is twice enlarged the right part (R2) of the image included in the second frame -> ...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이상에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처리 과정도 이로부터 유추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탑-바톰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상하로 2배로 확대 스케일링하여 화면에 표시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Meanwhile, although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side-by-side scheme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top-bottom scheme can also be deduced therefrom. That is, in the case of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top-bottom system, the TV 200 divides each frame of the received 3D image into upper and lower halves to divide them into a left eye image part and a right eye image part, A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generated left and right eye images alternately on the screen.

도 5c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3D 영상이 수신된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FIG. 5C shows a method of displaying a 3D image on a screen when the 3D image is received by the horizontal interleaving method.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하나의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모두 포함된 포맷이 된다. 특히,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행 단위로 교번 배치된 포맷이 된다. As shown,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interleave method is a format including bot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one frame. In particular,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interleave method is a format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row unit.

이러한 포맷에 의할 경우, TV(200)는 수신된 3D 영상의 각 프레임을 홀수 행별 및 짝수 행별로 구분하여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상하로 2배 확대 스케일링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is format, the TV 200 separates each frame of the received 3D image into a left eye image part and a right eye image part by dividing each frame by an odd row and an even row, and separates the left eye image part and the right eye image 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nd displays the generated left eye image and right eye image alternately on the screen.

따라서, 3D 영상은,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 행 부분(L1-1, L1-2)을 각각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1-1, R1-2)을 각각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좌측 부분(L2-1, L2-2)을 각각 2배 확대한 좌안 영상 -> 제2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우측 부분(R2-1, R2-2)을 각각 2배 확대한 우안 영상 -> …'의 순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3D image is divided into the right-side part (R1-R1)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first frame, the left-eye image obtained by enlarging the odd row parts (L1-1, L1-2)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first frame, 2 &gt; in the left eye image- > the second frame in which the left parts L2-1 and L2-2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second frame are doubled, Right-eye images with two-fold magnification of the right-hand part (R2-1, R2-2)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물론,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전술한 확대 스케일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된 영상 중 홀수 행 부분을 이용해 짝수 행 부분을 보간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짝수 행 부분을 이용해 홀수 행 부분을 보간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with respect to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interleave method, the left-eye image is generated by interpolating the even-numbered row portion using the odd-numbered row portion of the image included in one frame without using the enlargement scaling method described above, The right eye image may be generated by interpolating the odd row portion using the row portion.

뿐만 아니라, 확대 스케일링 방식이나 보간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홀수 행에 대해서만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영상을 생성하고, 짝수 행에 대해서만 영상을 출력하여 우안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도 구현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method of generating a left eye image by outputting an image for only odd rows and outputting an image for only even rows without using an enlargement scaling method or an interpolation method to generate a right eye image.

한편, 이상에서는 수평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직 인터리브 방식이나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처리 과정도 이로부터 유추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interleaving method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vertical interleave method or the checkerboard method can also be deduced from the above .

즉, 수직 인터리브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행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이 아닌 열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을 적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 성하여 교번 출력함으로써, 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with respect to the format of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vertical interleave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3D image to the user by generat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by alternately outputting the scaling or interpolation not by line scaling or interpolation, .

또한, 체커보드 방식에 따른 3D 영상의 포맷에 대해서는, 픽셀별 스케일링이나 보간 또는 픽셀군별 스케일링이나 보간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for the 3D image format according to the checkerboard method, pixel-by-pixel scaling or interpolation or pixel-by-pixel scaling or interpolation may be used.

< 3D 영상의 화면 전환 과정 ><Screen switching process of 3D image>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 3D 영상에 관한 화면 전환 과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creen switching process for the 3D image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셔터 글래스가 온된 경우의 화면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V(200)가 2D 영상 출력모드일 때 3D 영상이 수신되면, 도 6의 좌측 화면과 같이 수신된 3D 영상이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switching process when the shutter glass is turned on. When the 3D image is received when the TV 200 is in the 2D image output mode, the received 3D image is directly output as shown in the left screen of FIG.

즉, 2D 영상 출력모드란, 3D 모드가 OFF된 모드로서, 입력된 3D 영상에 포함된 각 영상 프레임을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3D 영상이 프레임 시퀀스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에 따른 포맷으로 되었다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That is, the 2D image output mode means a mode in which the 3D mode is turned off, and displays each image frame included in the input 3D image as it is. Accordingly, in this case, if the 3D image has a format other than the frame sequence format,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도 6에서는 좌안 영상에 포함된 2D 오브젝트(610)와 우안 영상에 포함된 2D 오브젝트(620)가 상하로 나누어져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탑-바톰 방식에 따른 포맷으로 된 3D 영상이 수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it can be seen that the 2D object 610 included in the left eye image and the 2D object 620 included in the right eye image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displayed on one screen.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a 3D image in a format is being received.

반면, 3D 영상 출력모드란, 3D 모드가 ON된 모드로서, 입력된 3D 영상에 포함된 각 영상 프레임을, 적용된 포맷에 따라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에 대해 확대 스케일링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3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3D mode is turned on, and each image frame included in the input 3D image is divided into a left eye image part and a right eye image part according to the applied format,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generated by enlarging and scaling the image portion, a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time-divided and displayed alternately.

한편, 2D 영상 출력모드일 때 3D 영상이 수신되면, TV(200)는 셔터 글래스(300)와 통신하여 셔터 글래스(3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상태정보란,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OFF 상태, 셔터 글래스의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셔터 글래스의 개폐 상태 등에 관한 정보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3D image is received in the 2D image output mode, the TV 200 communicates with the shutter glass 300 to collec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shutter glass 300. The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shutter glass, and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shutter glass.

특히, TV(200)는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 ON/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이 OFF 상태라고 판단되면, 2D 영상 출력모드를 그대로 유지하고,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이 ON 상태라고 판단되면, 2D 영상 출력모드를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하거나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Particularly, the TV 200 collects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 OFF status of the shutter glass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of the shutter glass 300 is OFF, the TV 200 maintains the 2D video output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of the glass 300 is ON, a message for guiding the 2D image output mode to the 3D image output mode or the 3D image output mode is displayed.

도 6의 우측 상단 화면을 참조하면, TV(200)는 상태정보를 기초로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 ON 상태를 확인하고,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 출력모드는, 적용된 포맷에 따라 3D 영상을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에 대해 확대 스케일링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드가 된다. Referring to the upper right screen of FIG. 6, the TV 200 confirms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300 on the basis of the state information, and knows that the 3D image output mode has been switched. As described above, in the 3D image output mode, a 3D image is divided into a left eye image part and a right eye image part according to an applied format, and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re generated by scaling the separated left eye image part and right eye image part A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time-divided and displayed alternately.

이에 따라, TV(200)의 화면에는 2D 오브젝트(610, 620) 대신 3D 오브젝트(630)가 표시되게 된다. 도 6에서는 시분할되어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3D 영상에 대한 그래픽적 표현을 위해 원형의 좌안 영상과 원형의 우안 영상이 겹쳐진 형태로 된 3D 오브젝트(630)를 도시하였다. Accordingly, the 3D object 63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V 200 instead of the 2D objects 610 and 620. FIG. 6 shows a 3D object 630 in which a circular left eye image and a circular right eye image are overlapped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 3D image that is time-divisionally displayed alternately.

또한, 도 6의 우측 중앙 화면과 같이, 3D 출력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3D 출력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가 포함된 GUI(640)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정 시간(T)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GUI(640)가 사라지고, 3D 오브젝트(630)만이 화면에 제공되게 된다. 6, a GUI 640 including a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that the 3D output mode is switched to the 3D output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T elapses, the GUI 640 disappears automatically, and only the 3D object 630 is provided on the screen.

뿐만 아니라, 도 6의 우측 하단 화면과 같이, 3D 출력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3D 출력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GUI(650)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TV(200)에 마련된 조작버튼 또는 리모콘에 마련된 조작버튼을 눌러 GUI(640)가 사라지게 하며 3D 출력모드로 전환시킬 수도 있고, 별다른 선택이 없이 소정 시간(T)이 경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GUI(640)가 사라지며 3D 출력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 6, a GUI 650 includ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o switch to the 3D output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out switching to the 3D output mode. In this case, the user may press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TV 200 or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to cause the GUI 640 to disappear and switch to the 3D output mode. If the predetermined time T elapses without any selection The GUI 640 may automatically disappear and the 3D output mode may be switched.

이와 같이, 사용자가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을 ON 시키는 동작만으로, TV(200)는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고 의도에 부합하는 액션을 능동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D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의도가 고려된 출력모드로 영상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TV 200 can analyze the intention of the user and actively take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by onl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shutter glass 300 by the user, and accordingly, An image can be provided in an output mode in which the viewing intent is considered.

한편, 도 7은 셔터 글래스가 오프된 경우의 화면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V(200)가 3D 영상 출력모드일 때는, 도 7의 좌측 화면과 같이, TV(200)는 입력된 3D 영상에 포함된 각 영상 프레임을, 적용된 포맷에 따라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 분에 대해 확대 스케일링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een switching process when the shutter glass is turned off. When the TV 200 is in the 3D image output mode, as shown in the left screen of FIG. 7, the TV 200 separates each image frame included in the input 3D image into a left eye image part and a right eye image part according to the applied format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generated by enlarging and scaling the separated left eye image part and the right eye image part, and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time-divisionally displayed alternately.

이에 따라, 화면에는 3D 오브젝트(630)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3D object 630 is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TV(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셔터 글래스(300)와 통신하여 셔터 글래스(3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거나, 셔터 글래스(300)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셔터 글래스(300)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Meanwhile, the TV 200 communicates with the shutter glass 3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collec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shutter glass 300, or to collect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hutter glass 300 every time the state of the shutter glass 300 is changed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따라서,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이 OFF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TV(200)는 3D 영상 출력모드를 2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하거나 2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 또는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 ON을 유도하기 위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of the shutter glass 300 is changed to the OFF state, the TV 200 displays a message for switching the 3D image output mode to the 2D image output mode or switching to the 2D image output mode, 300 to turn on the power.

도 7의 우측 첫번째 화면을 참조하면, TV(200)는 상태정보를 기초로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 OFF 상태를 확인하고, 2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2D 영상 출력모드에서는 입력된 3D 영상에 포함된 각 영상 프레임이 그대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Referring to the first screen on the right side of FIG. 7, the TV 200 confirms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300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can recognize that the 2D image output mode is switched. As described above, in the 2D image output mode, each image frame included in the input 3D image is displayed as it is.

이에 따라, TV(200)의 화면에는 3D 오브젝트(630) 대신 2D 오브젝트(610, 620)가 상하로 표시되게 되고, 상하로 나누어진 2D 오브젝트(610, 620)를 기초로 탑-바톰 방식에 따른 포맷이 적용된 3D 영상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2D objects 610 and 62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V 200 instead of the 3D object 630 in the top and bottom directions based on the 2D objects 610 and 620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3D image to which the format is applied is received.

또한, 도 7의 우측 두번째 화면과 같이, 2D 오브젝트(610, 620)와 함께 2D 출력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포함된 GUI(660)가 부가될 수 있다. 7, a GUI 660 includ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2D output mode has been switched is added together with the 2D objects 610 and 620.

뿐만 아니라, 도 7의 우측 세번째 화면 및 우측 네번째 화면과 같이, TV(200)는 3D 출력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2D 출력모드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GUI(670) 또는 셔터 글래스의 파워-온 또는 착용을 유도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GUI(680)가 3D 오브젝트(630)에 부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7, the TV 200 maintains the 3D output state as it is, and controls the GUI 670 or the shutter glass 630 including the message for switching to the 2D output mode, as shown in the right third screen and the fourth right screen,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hat a GUI 680 including a message to power on or wear may be added to the 3D object 630.

한편, 도 7의 우측 두번째 화면의 경우, 소정 시간(T)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GUI(660)가 사라지고, 우측 첫번째 화면과 같이 2D 오브젝트(610, 620)만이 화면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7의 우측 세번째 화면의 경우, 소정 시간(T)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2D 출력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면, GUI(670)가 사라지고, 우측 첫번째 화면과 같이 2D 오브젝트(610, 620)만이 화면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screen on the right side of FIG. 7, when the predetermined time T elapses, the GUI 660 disappears automatically, and only the 2D objects 610 and 62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GUI 670 is disappeared and only the 2D objects 610 and 62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s in the first screen on the right sid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T elapses or when the user requests switching to the 2D output mode .

또한, 도 7의 우측 네번째 화면의 경우, 사용자가 다시 셔터 글래스(3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셔터 글래스(300)가 온 상태로 되면, GUI(680)가 사라지고 3D 오브젝트(630)만이 화면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7, when the shutter glass 300 is turned on, the GUI 680 disappears and the 3D object 630 disappears. When the shutter glass 300 is turned on,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사용자가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을 OFF 시키는 동작만으로, TV(200)는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고 의도에 부합하는 액션을 능동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D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의도가 고려된 출력모드로 영상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V 200 can analyze the intention of the user and actively take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by only turning off the power source of the shutter glass 300. Thus, An image can be provided in an output mode in which the viewing intent is considered.

< 출력모드가 전환되는 동작 흐름 ><Operation flow for switching output mode>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출력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동작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출력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Hereinafter, an operation flow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outpu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switching the output mode.

3D 출력모드로 3D 영상을 출력하는 중(S810), TV(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셔터 글래스(300)의 상태를 확인한다(S820).During the output of the 3D image in the 3D output mode (S810), the TV 200 confirms the state of the shutter glass 30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820).

셔터 글래스(300)가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S820-ON), TV(200)는 현재의 3D 출력모드로 3D 영상을 계속 출력하고(S810), 셔터 글래스(300)가 오프 상태라고 판단되면(S820-OFF), TV(200)는 자동전환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30). 즉, 전술한 출력모드 자동전환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utter glass 300 is on (S820-ON), the TV 200 continuously outputs the 3D image in the current 3D output mode (S8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utter glass 300 is off S820-OFF), the TV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is set (S830). That is, the above-described output mode automatic switching can be preset by the user.

사용자에 의해 자동전환 모드로 설정되면(S830-Y), TV(200)는 2D 출력모드로 3D 영상을 출력하고(S840), 2D 출력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메지시를 디스플레이하게된다(S850).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S840 단계와 S850 단계 중 하나만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If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is set by the user (S830-Y), the TV 200 outputs the 3D image in the 2D output mode (S840), and displays th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2D output mode has been switched (S850).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only one of steps S840 and S850 may be performed.

반면, 사용자에 의해 자동전환 모드로 설정되지 않았다면(S830-N), TV(200)는 출력모드 전환을 문의하는 메시지 도는 셔터 글래스(300)의 착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60).On the other hand, if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is not set by the user (S830-N), the TV 200 displays a message inquiring about the switching of the output mode or a message requesting to wear the shutter glass 300 on the screen (S860) .

이와 같이, 사용자가 셔터 글래스(300)의 전원을 ON 시키거나 OFF 시키는 동작만으로, TV(200)는 사용자의 의도를 분석하고 의도에 부합하는 액션을 능동적으로 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D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의도가 고려된 출력모드로 영상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V 200 can analyze the intention of the user and actively take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by only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shutter glass 300, The image can be provided in an output mode in which the viewing intention of the user is considered.

< 기타 실시예에 따른 구성 ><Configuration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V(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TV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hutter glas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이로부터 유추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S. 9 and 1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Hereinafter, differences from FIGS. 3 and 4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3 및 도 4에서는, TV(200)와 리모콘(300)이 적외선 통신 방식에 따라 동기신호를 송수신하고, 이를 위해, IR 전송부(280) 및 IR 수신부(310)를 각각 구비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3 and 4, the TV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300 transmit and receive a synchroniza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and for this purpose, the IR transmitter 280 and the IR receiver 310 are respectively provided have.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서 TV(200)와 리모콘(300)은 별도의 IR 전송부(280) 및 IR 수신부(310)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However, in FIGS. 9 and 10, the TV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300 do not have separate IR transmitters 280 and IR receivers 310.

즉, TV(200)와 리모콘(300)은 IR 전송부(280) 및 IR 수신부(31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통신 인터페이스(290, 380)를 통해 상태정보 뿐만 아니라 동기신호도 송수신하여, 좌안 영상의 출력 타이밍과 좌안 글래스의 오픈 타이밍이 동기되고, 우안 영상의 출력 타이밍과 우안 글래스이 오픈 타이밍이 동기되며, 셔터 글래스(300)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출력모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TV 200 and the remote controller 300 transmit and receive not only the status information but also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s 290 and 380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the IR transmitting unit 280 and the IR receiving unit 310, The output timing of the video and the open timing of the left eye glass are synchronized and the output timing of the righ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open timing are synchronized and the output mode can be switch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hutter glass 3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FIG. 1 illustrates a 3D imag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f는 3D 영상의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S. 2A to 2F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ormat of a 3D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3 is a block diagram of a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4 is a block diagram of a shutter gl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3D 영상의 포맷에 따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rmat of a 3D image,

도 6은 셔터 글래스가 온된 경우의 화면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switching process in a case where the shutter glass is turned on;

도 7은 셔터 글래스가 오프된 경우의 화면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een switching process when the shutter glass is turned off;

도 8은 출력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V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TV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글래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hutter gla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3D(3-Dimension) 영상 출력모드와 2D(2-Dimension) 영상 출력모드 간의 전환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 3D (3-Dimension) image output mode and a 2D (2-Dimension) image output mode of a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셔터 글래스로부터 상기 셔터 글래스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shutter glass from the shutter glass;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The display device genera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출력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And switching the output mod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displaying a GUI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상기 전환 및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GUI를 통해 수신된 출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력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Wherein the switching and displaying step switches the output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witching to an output mode received via the GUI.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태정보는,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OFF 상태, 상기 셔터 글래스의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상기 셔터 글래스의 개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a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shutter glass, and an open / close state of the shutter gla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환 및 표시 단계는,The switching and displaying step comprises: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를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And automatically switching the 3D image output mode to the 2D image output mode when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환 및 표시 단계는,The switching and displaying step comprises: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를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And automatically switching the 2D image output mode to the 3D image output mode when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환 및 표시 단계는,The switching and displaying step comprises: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And a message for requesting power-on of the shutter glass is displayed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제 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표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And terminating the display of the message when st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after the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How to switch output mo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환 및 표시 단계는,The switching and displaying step comprises: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When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a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switch to the 3D image output mode is display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셔터 글래스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상태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Wherein the shutter glass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화면 전체에서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모드이고,The 3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화면에서 분할되어 표시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모드 전환방법.Wherein the 2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3D(3-Dimension) 영상 출력모드 또는 2D(2-Dimension) 영상 출력모드로 동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device operated in a 3D (3-Dimension) video output mode or a 2D (2-Dimension) video output mode, 셔터 글래스로부터 상기 셔터 글래스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shutter glass from the shutter glass; And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GUI를 통해 수신된 출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력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GUI)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switches an output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witching to an output mode received via the GUI,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responds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상태정보는,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OFF 상태, 상기 셔터 글래스의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상기 셔터 글래스의 개폐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a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shutter glass, and an open / close state of the shutter glass.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가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3D image output mode to the 2D image output mode when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가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image output mode, the 2D image output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3D image output mode.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message for requesting power-on of the shutter glass is displayed when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off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3D image output mode.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FF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표시를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us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after the status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OFF status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the display for the message is terminated.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 중에 상기 셔터 글래스의 전원 ON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message inquiring whether to switch to the 3D video output mode is displayed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power ON state of the shutter glass is received during the 2D video output mode.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셔터 글래스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상태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the shutter glass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when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제 10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3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3D 영상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화면 전체에서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모드이고,The 3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are alternately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상기 2D 영상 출력모드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화면에서 분할되어 표시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herein the 2D image outpu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외부로부터 수신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교번적으로 개폐하며, 셔터 글래스에 관한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셔터 글래스; 및A shutter glass for alternately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eye glass and the right eye glass on the basis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shutter glass to the outside; And 3D(3-Dimension) 영상 출력모드 또는 2D(2-Dimension) 영상 출력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GUI를 통해 수신된 출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력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3D 영상 제공 시스템.(3-Dimension) image output mode or a 2D (2-Dimension) image output mode,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generates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for switching an output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witching to an output mode received via the GUI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and displaying a GUI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KR1020090113243A 2009-11-23 2009-11-23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38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43A KR101638959B1 (en) 2009-11-23 2009-11-23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US12/943,637 US9414041B2 (en) 2009-11-23 2010-11-10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EP10191295.4A EP2326099A3 (en) 2009-11-23 2010-11-16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10257805A JP5745822B2 (en) 2009-11-23 2010-11-18 Playback mode switching method,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3D video providing system
US14/922,633 US20160041662A1 (en) 2009-11-23 2015-10-26 Method for changing play mode, method for changing display mod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243A KR101638959B1 (en) 2009-11-23 2009-11-23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77A KR20110056777A (en) 2011-05-31
KR101638959B1 true KR101638959B1 (en) 2016-07-25

Family

ID=4436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43A KR101638959B1 (en) 2009-11-23 2009-11-23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9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76B1 (en) * 2011-09-22 2013-02-19 케이디씨 주식회사 Shutter glasses for 2d or 3d conversion
KR20130040380A (en)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3d glasses with lcd lenses and how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vice for this
KR102178635B1 (en) * 2013-12-16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964A (en) 2004-09-17 2006-03-30 Seiko Epson Corp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3293B2 (en) * 1997-08-29 2003-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3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964A (en) 2004-09-17 2006-03-30 Seiko Epson Corp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77A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5822B2 (en) Playback mode switching method, output mode switching metho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3D video providing system
KR101435594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hod thereof
EP2448276B1 (en) GUI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50350626A1 (en)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3d) image, method for converting 3d messag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providing method related to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KR101719980B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display system outputting 3 dimensional contents and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EP2456214B1 (en)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2190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applied to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US20110248989A1 (en) 3d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display mode, and 3d display system
KR20110044573A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EP2627092B1 (en) Three-dimensional glasses,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132240A (en) Display method and dual view driving method for providing plural images to plural users and display apparatus and dual view glass applying the method
KR101719984B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multivision display system outputting 3 dimensional contents and multivision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KR101648864B1 (en) GUI providing method related to 3D image,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38959B1 (en) Dis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634768B1 (en)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method
KR20120059947A (en) 3D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3D glasses thereof
KR101639310B1 (en) GUI providing method related to 3D imag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15695B1 (en) GUI providing method related to 3D image and display apparatus usign the same
KR20110062983A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gui which sets adjustment element for 3 dimensional effect of 3d image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pplied to the same
KR101713786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pplied to the same
KR10162096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preview applied to the same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KR20110056743A (en)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KR20110056773A (en) Gui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056780A (en) Play mode chang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056751A (en) Method for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