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07B1 -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07B1
KR101632007B1 KR1020140148501A KR20140148501A KR101632007B1 KR 101632007 B1 KR101632007 B1 KR 101632007B1 KR 1020140148501 A KR1020140148501 A KR 1020140148501A KR 20140148501 A KR20140148501 A KR 20140148501A KR 101632007 B1 KR101632007 B1 KR 101632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ser
unit
ha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419A (ko
Inventor
이병화
신충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07B1/ko
Priority to US14/829,958 priority patent/US9971399B2/en
Priority to EP15183078.3A priority patent/EP3016081B1/en
Priority to CN201510599562.7A priority patent/CN105573487B/zh
Publication of KR2016005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와치(watch)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프레임을 이루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손목에 착용시 사용자의 손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는 IR 모듈부;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부로 화면을 출력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빔프로젝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손의 제스처에 의해 제어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WATCH TYP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와치(watch)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디바이스들이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TV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게임들을 디바이스를 흔들거나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어하는 기기들이다.
이와 같은 제어 디바이스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제어 디바이스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제어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기기가 주목받음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 및 그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와 별도의 제어 디바이스로 제어되는 경우 2가지 이상의 디바이스가 필요하여, 여러 가지 디바이스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정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된 디스플레이가 보이는 장소에서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하므로 휴대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제공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는,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프레임을 이루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손목에 착용시 사용자의 손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는 IR 모듈부;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부로 화면을 출력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빔프로젝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손의 제스처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을 추적 가능하도록, 상기 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는 외측밴드; 및 상기 외측밴드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밴드를 따라 결합되며, 손목과 접촉되는 내측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 사이에 끼움되어 상기 밴드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리세스 되는 제1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와 마주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리세스 되는 제2레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IR 모듈부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밴드부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는 내부에 각각 제1PCB 및 제2PCB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컨택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플레이트는, 상기 제1PCB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2PCB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 각각은, 상기 IR 모듈부가 상기 밴드부를 따라 이동되어도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가 상기 제1PCB 및 제2PCB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컨택패스(Contact Pat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각각 상기 컨택플레이트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IR 모듈부가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유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손과의 거리를 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IR 레이저; 및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고 제스쳐를 인식가능한 IR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R 카메라 및 IR 레이저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변화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손을 계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부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목적하는 곳으로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볼(ball)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부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는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안경에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경의 글래스에 화면을 투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밴드는,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단자; 및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밴드와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는,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Wi-fi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동 통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사되는 영상과 함께 소리를 발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음성 인식을 통하여 상기 빔프로젝터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제어되거나, IR 모듈부 또는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녹화 시 음성 녹음이 가능한 마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누름 조작하거나 회전 조작가능하게 형성되고, 전원을 키거나 끌 수 있고, 다양한 제어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형성되는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빔프로젝터부를 통해 화면을 볼 수 있고, IR 모듈부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손의 제스쳐, 팔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모습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안테나를 통해 외부와의 통신을 하여 외부 디스플레이로 화면을 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손의 제스쳐, 팔의 움직임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빔프로젝터부 및 IR 모듈부가 하나의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에 모두 포함되어, 디스플레이 및 제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높은 휴대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글래스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부 및 상기 빔프로젝터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좀 더 편리하게 화면을 볼 수 있으며 좀 더 편리하게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밴드부 및 IR 모듈부의 단면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IR 모듈부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측밴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빔프로젝터부가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에서 IR 모듈부가 밴드부 측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가 화면을 출력하며 손을 인식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에 대해 손의 제스쳐를 통해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를 나타낸 개념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빔프로젝터부 모듈의 상세를 보인 개념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빔프로젝터부 모듈과 밴드부와의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부 모듈이 안경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어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제어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 디바이스(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이하, 제어 디바이스(100))는 밴드부(110), IR 모듈부(120) 및 빔프로젝터부(130)를 포함한다.
밴드부(110)는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프레임을 이룬다. 상기 프레임은 벤딩되어 형성되는 대략의 사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었을 때, 손목에서 제어 디바이스(100)가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R 모듈부(120)는 상기 밴드부(1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손목에 착용시 사용자의 손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IR 모듈부(120)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130)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손의 제스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의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IR 모듈부(120)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여야 하므로, IR 모듈부(120)는 사용자의 손을 추적 가능하도록, 상기 밴드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모듈부(120)는, 사용자의 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손과의 거리를 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IR 레이저(125) 및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고 제스쳐를 인식가능한 IR 카메라(126)를 포함할 수 있다.
빔프로젝터부(130)는 상기 밴드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부로 화면을 출력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빔프로젝터부(130)로부터 나오는 화면은 외부의 촬영 기기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이거나,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로부터 구동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밴드부(110)는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는 외측밴드(112)와 상기 외측밴드(112)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밴드(112)를 따라 결합되며, 손목과 접촉되는 내측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밴드(112)는,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안테나(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와이파이(Wi-fi) 안테나(118a), 블루투스 안테나(118b) 및 이동 통신 안테나(118c)가 모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었지만, 상기 안테나는 Wi-fi 안테나(118a), 블루투스 안테나(118b) 및 이동 통신 안테나(118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밴드(112)는, 상기 외측밴드(11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130)에 의해 영사되는 영상과 함께 소리를 발생할 수 있는 스피커(119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밴드(112)는, 상기 외측밴드(11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음성 인식을 통하여 상기 빔프로젝터부(130)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제어되거나, IR 모듈부(120) 또는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녹화 시 음성 녹음이 가능한 마이크부(11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119b)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 시 녹음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119b)를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의 기능들을 음성인식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외측밴드(112)는 상기 외측밴드(112)의 외주면에 누름 조작하거나 회전 조작가능하게 형성되고, 전원을 키거나 끌 수 있고, 다양한 제어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형성되는 키버튼(119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밴드(112) 및 내측밴드(114)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밴드부(110) 및 IR 모듈부(120)의 단면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IR 모듈부(12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의 왼쪽에는 외측밴드(112)의 내주면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면의 오른쪽에는 내측밴드(114)의 외주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측밴드(112)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제1레일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부(112a)는 후술할 제2레일부(114a)와 함께, IR 모듈부(120)가 끼워져 이동할 수 있는 레일부(113, 도 1 참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밴드(114)는 상기 외측밴드(112)와 마주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제2레일부(1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부(114a)는 상기 제1레일부(11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R 모듈부(120)는, 상기 외측밴드(112) 및 내측밴드(114) 사이에 끼움되어 상기 밴드부(11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밴드(112) 및 내측밴드(114) 각각은, 상기 IR 모듈부(120)가 상기 밴드부(110)를 따라 이동되어도, 상기 IR 모듈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제1 및 제2컨택패스(112c, 114c)(112c, 11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컨택패스(112c, 114c)(112c, 114c)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112a, 114a)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밴드(114)에는 상기 외측밴드(1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연결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117)은 상기 외측밴드(112)의 접속단자(미도시)와 결합되어, 상기 내측밴드(114) 및 외측밴드(11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밴드(112) 내부에는 상기 내측밴드(114)와 인접하여 제1PCB(112b)가 배치되고, 상기 내측밴드(114)의 내부에는 상기 외측밴드(112)와 인접하여 제2PCB(114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IR 모듈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112a, 114a)에 끼움되어 상기 밴드부(110)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모듈부(120)는 상기 외측밴드(112) 및 내측밴드(114)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컨택플레이트(124)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플레이트(124)는, 상기 제1PCB(112b)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단자(124a) 및 상기 제2PCB(114b)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단자(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124a) 및 제2단자(124b)는 상기 제1PCB(112b) 및 제2PCB(114b)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컨택플레이트(124)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PCB(112b, 114b)는 상기 제1 및 제2컨택패스(112c, 114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컨택패스(112c, 114c)와 IR 모듈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시, 상기 IR 모듈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PCB(112b, 11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124a) 및 제2단자(124b)가 상기 제1 및 제2컨택패스(112c, 114c)와 접촉시, 상기 제1PCB(112b) 및 제2PCB(114b)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2)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IR 모듈부(120)가 상기 레일부(113)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2)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유동방지돌기(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방지돌기(123)는 상기 컨택플레이트(124)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22)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IR 모듈부(120)는 사용자의 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손과의 거리를 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IR 레이저(125) 및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고 제스쳐를 인식가능한 IR 카메라(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R 카메라(126) 및 IR 레이저(125)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변화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손을 계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IR 모듈부(120)는 이러한 회전을 통해 사용자의 손에 대한 제스쳐 인식을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 IR 카메라(126)는 제1지지플레이트(126a)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126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R 레이저(125)도 제2지지플레이트(125a)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125b)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측밴드(114)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밴드(114)는 배터리(115), 배터리 단자(116) 및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5)는 상기 내측밴드(114)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단자(116)는 상기 배터리(115)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단자(116)를 통해 상기 배터리(115)를 충전가능하다. 다만,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배터리(115) 및 배터리 단자(116)의 위치는 외측밴드(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115)를 배터리 단자(116)를 통해 충전하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를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 단자(116)가 외측밴드(112)의 외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핀은 상기 내측밴드(11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밴드(112)와 전기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빔프로젝터부(130)가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상기 빔프로젝터부(130)는 상기 외측밴드(112)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목적하는 곳으로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볼(ball)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부(130)는 볼 타입으로 형성되어, X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X축 방향으로도 회전이 가능하여, 화면 정보를 출력하고자 하는 목적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100)에서 IR 모듈부(120)가 밴드부(110) 측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상기 IR 모듈부(120)는 상기 레일부(113)를 통해 밴드부(110)의 측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IR 모듈부(120)가 이동하여도 상술한 제1 및 제2컨택패스(112c, 114c)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1 및 제2PCB(112b, 11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IR 모듈부(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IR 모듈부(120)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제어부가 처리가능하다.
또한, 상기 IR 모듈부(12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손을 원활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회전을 통하여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파악하고, IR 카메라(12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한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가 화면을 출력하며 손을 인식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a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빔프로젝터부(130)를 이용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IR 모듈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b는 빔프로젝터부(130)를 회전시켜 바닥(8)에 화면을 표시하고 IR 모듈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c는 사용자의 내측 팔(14)에 화면을 표시하고, IR 모듈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d는 사용자의 외측 팔(14)에 화면을 표시하고, IR 모듈부(120)의 회전을 통해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지 않은 손(11)의 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e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바닥에 내려놓고 빔프로젝터부(130)가 바닥에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의 위에서 IR 모듈부(120)가 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서 손가락 제스쳐로 상기 화면에 표시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f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바닥에 내려놓고 빔프로젝터부(130)가 벽을 향해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의 위에서 IR 모듈부(120)가 손가락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서 손가락 제스쳐로 상기 화면에 표시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IR 카메라(126)를 이용하거나, 상기 밴드부(110)에 카메라(미도시)를 설치하여 스포츠 등 다이나믹한 장면을 동영상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한 동영상은 상기 빔프로젝터부(130)를 통해 쉽게 화면으로 확인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촬영한 장면을 촬영 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일반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스포츠 등 다이나믹한 장면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에 전송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도 8a나 도 8c처럼 사용자의 손이나 팔에 영상을 내보내어, 이동 중이나 사람들이 붐비는 공간에서도 동영상 시청이나 인터넷 사용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에 대한 동작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 나타난 실시예들은 TV나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7)와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안테나(118a)를 이용해 페어링하여,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빔프로젝터부(130)를 이용하여 나타난 화면에 대해서도 이하의 설명과 같은 제어가 가능하다.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목(12)을 한쪽 방향으로 비틀었다가 반대 방향으로 비트는 동작(로테이팅)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6)이나 프로그램의 진입이 가능하다. 즉, 어떠한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로 손목을 비틀면, 여러 가지 아이콘들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제어 모드로 진입).
그리고, 손가락의 움직임이 아닌,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에 특정한 충격을 가해서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하여,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 내에 중력 감지 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는 다른 장치들과도 와이파이, 블루투스를 통해 페어링 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페어링된 기기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가 자동차와 페어링 된 경우에는, 상기 (a)에 도시된 손목을 비트는 동작은 자동차의 시동을 켜는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램의 기본 화면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위,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좌, 우의 방향으로 움직일 때,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손목을 비트는 동작 없이 단순히 손을 이동해도 커서가 생기면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TV 등의 멀티미디어를 시청하는 과정 중에 도 1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엄지와 검지를 맞닿은 상태에서 손목을 회전시키면 채널이 바뀔 수도 있고, 도 1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엄지와 검지를 맞닿은 상태에서 손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면, 소리의 크기(볼륨)이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에 대해 손의 제스쳐를 통해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 나타난 실시예들 또한, TV나 모니터 등과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페어링하여,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빔프로젝터부(130)를 이용하여 나타난 화면에 대해서도 이하의 설명과 같은 제어가 가능하다.
도 11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체적인 제스쳐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의 손의 모양과 비슷한 가상의 손이 표시되어 손가락 제스쳐를 통한 제어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손가락을 접어 주먹을 쥐는 모습(Fist)을, (b)는 손가락을 모두 핀 모습(Flat)을, (c)는 검지를 이용해 특정 대상을 지시하는 모습(Pointing)을, (d)는 엄지와 검지를 닿게 한 모습(Pinching)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제스쳐 이외의 여러 가지 제스쳐들을 저장하고, 이러한 제스쳐들을 이용하여 이동, 선택, 확대, 축소 및 전화걸기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제스쳐를 통해 축소를 할 수 있고, (b)의 제스쳐를 통해 확대할 수 있으며, (c)나 (d)의 제스쳐를 통해 선택을 할 수 있다. 또한, (c)의 동작을 2회 반복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d)의 동작을 실행한 상태에서 손을 움직이면 드래그(Drag)와 같은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미리 설정된 특정 제스쳐를 통해 문자의 입력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는 가정 내의 다른 기기들과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통해 페어링 될 수 있으며, 이 때에도 페어링된 기기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의 전등과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가 페어링 된다면 상기 (c)의 동작을 통해 특정한 전등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a)의 동작을 통해 선택된 전등을 소등하거나, (b)의 동작을 통해 선택된 전등을 켤 수도 있다.
또한, 가정의 도어(Door)와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가 페어링 된 경우에는, 상기 (c)의 동작을 통해 도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도 9의 (a)에 도시된 회전동작을 통해 도어의 전자 장치로 된 자물쇠를 잠그거나 열 수 있다.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가 자동차와 페어링 된 경우에는, 상기 (a)에 도시된 손목을 비트는 동작은 자동차의 시동을 켜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제스쳐와 같이, 엄지와 약지를 펴고 엄지를 사용자의 귀 부분에, 그리고 약지를 사용자의 입 부분에 갖다대는 제스쳐를 통해 전화를 걸거나 걸려온 전화를 받는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예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의 팔에 지도 영상을 표시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를 벗어서 두고, 자동차 앞 유리에 네비게이션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100)를 자동차와 페어링 시키면, 손목을 비트는 동작으로 시동을 걸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도 14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폰(S) 등과 페어링하여 도어(Door)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디바이스(100)를 도어와 페어링 하면, 손목(12)을 비트는 동작(로테이팅)으로 도어를 열 수도 있다. 또한, 방문자가 상기 인터폰 등을 누르는 경우 인터폰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가 페어링을 통해 전달받으면, 프로젝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손 또는 손목(12)을 로테이팅함으로써, 문을 열 수 있다.
도 15는 제어 디바이스(100)를 통해 두 사람 이상이 게임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바둑, 장기, 체스 등의 게임 진행 시 프로젝터가 바닥에 판을 표시하고, 제스쳐를 통해 돌을 움직이거나 놓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IR 모듈부(120)는 상기 레일부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두 개의 IR 모듈부(120a, 120b)가 두 사람의 손의 제스쳐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택패스를 통해, 상기 두 개의 IR 모듈부(120a, 120b) 모두가 전기적으로 제1 및 제2PCB(112b, 114b)에 컨택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실시간으로 경쟁할 수 있는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IR 모듈부(120)의 추가 없이, 사용자의 턴에 따라 IR 모듈부(120)가 회전되어 반대편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6은 고리가 있는 벽에 상기 제어 디바이스(100)를 걸어 프로젝터로는 외측으로 시를 숫자로 표시하고, 내측으로는 IR 레이저(125)를 통해 IR 모듈이 회동하면서 분을 표시하여 벽걸이 시계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하루 스케쥴을 시간대에 맞게 입력하면 할 일이 알람과 함께 레이저로 표시되어 확인이 가능하도록 빔프로젝터부(130) 및 IR 레이저(125)를 이용해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빔프로젝터부(230) 모듈의 상세를 보인 개념도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빔프로젝터부(230) 모듈과 밴드부(210)와의 결합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빔프로젝터부(230)가 밴드부(210)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는 상기 외측밴드(232)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는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안경(20)에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경(20)의 글래스(22)에 화면을 투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는 힌지(231), 카메라(232), 프로젝터(233), 프리즘(234)을 포함한다.
카메라(232)는 외부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터(233)는 상기 카메라(232)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프리즘(234)을 향하여 화면 영상을 출력한다. 프리즘(234)은 상기 프로젝터(233)로부터 나오는 화면 영상이 상기 카메라(232)가 촬영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화면 영상의 방향을 바꿔준다.
상기 카메라(232)가 촬영하는 방향과 상기 프리즘(234)이 화면 영상을 내보내는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은, 사용자가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를 안경(20)에 장착했을 때, 카메라(232)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정면을 촬영하고, 상기 프로젝터(233)에서 나오는 화면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글래스(22)에 보여질 수 있기 위함이다(도 20 참조).
그리고, 상기 카메라(232), 프로젝터(233) 및 프리즘(234)은 하나의 모듈로서 힌지(23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231)가 회전하면서 상기 카메라(232)가 촬영하는 방향 및 상기 프로젝터(233)로부터 나오는 영상이 보여지는 방향이 서로 바뀐다.
도 18의 (a) 및 (b)는 카메라(232)가 상부(a 방향)를 향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이 때에는, 상기 프로젝터(233)로부터 나오는 화면 영상은 상기 프리즘(234)에 의해 b 방향으로 꺽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프로젝터(233)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볼 수 없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의 (c) 및 (d)는 카메라(232)가 전면을 향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카메라(232)는 c 방향의 모습을 촬영하고 프로젝터(233)로부터 나오는 화면 영상은 d 방향으로 나오므로, 사용자는 팔 부분에 상기 프로젝터(233)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확인 가능하다.
도 19는 모듈화된 상기 빔프로젝터부(230)가 상기 밴드부(210)와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빔프로젝터부(230)의 하단측에는 포고핀(Pogo Pin)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부(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포고핀 단자와 결합하는 결합단자(236b)가 리세스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는 상기 결합단자에 맞추어 약간의 힘을 가해 결합하면, 상기 밴드부(210)와 결합이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부(230) 모듈이 안경(20)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안경(2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를 안경(20)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안경(20)의 외부쪽으로 촬영을 하고, 상기 프로젝터(233)를 통해 사용자의 안경(20)으로 화면정보를 내보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한 빔프로젝터부(230)를 안경(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경(20)의 글래스(22) 부분에 상기 빔프로젝터부(230)를 통해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빔프로젝터부(230)와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는 안테나를 통해 페어링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은 글래스(22)를 통해 보면서,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프레임을 이루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측면에 배치되고, 손목에 착용시 사용자의 손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는 IR 모듈부;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부로 화면을 출력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빔프로젝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손의 제스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고,
    상기 밴드부는,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제1레일부를 포함하는 외측밴드; 및
    상기 외측밴드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밴드를 따라 결합되며, 손목과 접촉되며 상기 외측밴드와 마주하는 외주면에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제2레일부를 포함하는 내측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밴드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watch)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을 추적 가능하도록, 상기 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는 내부에 각각 제1PCB 및 제2PCB를 포함하고,
    상기 IR 모듈부는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컨택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플레이트는,
    상기 제1PCB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2PCB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 및 내측밴드 각각은,
    상기 IR 모듈부가 상기 밴드부를 따라 이동되어도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가 상기 제1PCB 및 제2PCB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컨택패스(Contact Pat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는 각각 상기 컨택플레이트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IR 모듈부가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유동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 모듈부는,
    사용자의 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손과의 거리를 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IR 레이저; 및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고 제스쳐를 인식가능한 IR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R 카메라 및 IR 레이저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변화에 대응되어 사용자의 손을 계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프로젝터부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목적하는 곳으로 화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볼(ball)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프로젝터부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한 모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빔프로젝터부는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안경에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경의 글래스에 화면을 투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밴드는,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단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단자; 및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밴드와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는,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Wi-fi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및 이동 통신 안테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빔프로젝터에 의해 영사되는 영상과 함께 소리를 발생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음성 인식을 통하여 상기 빔프로젝터부를 통해 표시 가능한 프로그램이 제어되거나, IR 모듈부 또는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녹화 시 음성 녹음이 가능한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밴드는,
    상기 외측밴드의 외주면에 누름 조작하거나 회전 조작가능하게 형성되고,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키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KR1020140148501A 2014-10-29 2014-10-29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KR101632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501A KR101632007B1 (ko) 2014-10-29 2014-10-29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US14/829,958 US9971399B2 (en) 2014-10-29 2015-08-19 Watch type control device
EP15183078.3A EP3016081B1 (en) 2014-10-29 2015-08-31 Watch type control device
CN201510599562.7A CN105573487B (zh) 2014-10-29 2015-09-18 手表型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501A KR101632007B1 (ko) 2014-10-29 2014-10-29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419A KR20160050419A (ko) 2016-05-11
KR101632007B1 true KR101632007B1 (ko) 2016-06-21

Family

ID=5423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501A KR101632007B1 (ko) 2014-10-29 2014-10-29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1399B2 (ko)
EP (1) EP3016081B1 (ko)
KR (1) KR101632007B1 (ko)
CN (1) CN1055734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567A1 (ko) * 2018-07-27 2020-01-30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22568A1 (ko) * 2018-07-27 2020-01-30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58061A1 (en) * 2011-11-10 2019-08-22 Dennis Solomon Integrated Augmented Virtual Reality System
WO2015122879A1 (en) * 2014-02-11 2015-08-20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Detecting the limb wear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99714B2 (en) * 2014-02-25 2021-12-14 Dennis Solomon Experimental reality integrated system
JP2016038905A (ja) * 2014-08-08 2016-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機器制御方法
KR20160075079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06710B1 (ko) * 2015-08-03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US20170115737A1 (en) * 2015-10-26 2017-04-27 Lenovo (Singapore) Pte. Ltd. Gesture control using depth data
KR20170128668A (ko) * 2016-05-12 2017-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 제스처 인식 장치 및 방법
US10549183B2 (en) * 2016-10-11 2020-02-04 Valve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ler with a hand retainer, outer shell, and finger sensing
US10391400B1 (en) * 2016-10-11 2019-08-27 Valve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ler with hand retainer and finger motion sensing
US10307669B2 (en) * 2016-10-11 2019-06-04 Valve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ler with finger sensing and an adjustable hand retainer
US10691233B2 (en) 2016-10-11 2020-06-23 Valve Corporation Sensor fusion algorithms for a handheld controller that includes a force sensing resistor (FSR)
US11185763B2 (en) 2016-10-11 2021-11-30 Valve Corporation Holding and releasing virtual objects
US10888773B2 (en) 2016-10-11 2021-01-12 Valve Corporation Force sensing resistor (FSR) with polyimide substrat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10987573B2 (en) 2016-10-11 2021-04-27 Valve Corporation Virtual reality hand gesture generation
US10649583B1 (en) 2016-10-11 2020-05-12 Valve Corporation Sensor fusion algorithms for a handheld controller that includes a force sensing resistor (FSR)
US11625898B2 (en) 2016-10-11 2023-04-11 Valve Corporation Holding and releasing virtual objects
KR20180041905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mi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684693B2 (en) 2017-03-02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a ges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874939B2 (en) 2017-06-16 2020-12-29 Valve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ler with finger motion sensing
EP3451117B1 (en) 2017-09-05 2023-08-23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des for sensing biological parameters
EP3459447A3 (en) 2017-09-26 2019-07-10 Apple Inc. Optical sensor subsystem adjacent a cover of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USD873800S1 (en) * 2017-10-19 2020-01-2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Remote control for an electronic component
TWI631437B (zh) * 2017-11-06 2018-08-01 許家維 雷射投射鐘
RU2765237C2 (ru) * 2018-03-16 2022-01-27 Дмитрий Леонидович Раков Способ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1188154B2 (en) * 2018-05-30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projection of holographic objects
CN109240490A (zh) * 2018-08-14 2019-01-18 歌尔科技有限公司 智能穿戴设备及基于其的交互控制方法、系统
USD900054S1 (en) 2018-12-21 2020-10-2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ristband loudspeaker
USD937827S1 (en) 2018-12-27 2021-12-0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US11672716B2 (en) * 2020-01-31 2023-06-1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Overhead lift systems and methods
CN112158151A (zh) * 2020-10-08 2021-01-01 南昌智能新能源汽车研究院 一种基于5g网络的自动驾驶汽车手势控制系统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523A (ja) * 2003-10-23 2005-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プロジェクタ
JP2009273751A (ja) * 2008-05-16 2009-11-26 Hiroshi Matsumoto 脈拍異常検出装置
US20140055352A1 (en) * 2012-11-01 2014-02-27 Eyecam Llc Wireless wrist computing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3D imaging, mapping, networking and interfacing
US20140098018A1 (en) * 2012-10-04 2014-04-10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sensor for tracking articulated body-par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2151A1 (en) * 2008-07-01 2010-01-07 Yang Pan Handheld media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etachable projector
US10061387B2 (en) 2011-03-31 2018-08-2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s
CN103546181A (zh) * 2012-07-17 2014-01-29 高寿谦 可拆卸并可自由组合功能的穿戴式无线智能电子装置
KR101999958B1 (ko)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5041052A (ja) * 2013-08-23 2015-03-02 ソニー株式会社 リストバンド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TW201510771A (zh) * 2013-09-05 2015-03-16 Utechzone Co Ltd 指向位置偵測裝置及其方法、程式及電腦可讀取紀錄媒體
CN203492068U (zh) * 2013-09-15 2014-03-19 王玉林 一种手腕佩戴智能手机
CN203422604U (zh) * 2013-10-22 2014-02-05 兰立文 一种新型手表
CN203986449U (zh) * 2014-04-28 2014-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投影戒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523A (ja) * 2003-10-23 2005-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プロジェクタ
JP2009273751A (ja) * 2008-05-16 2009-11-26 Hiroshi Matsumoto 脈拍異常検出装置
US20140098018A1 (en) * 2012-10-04 2014-04-10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sensor for tracking articulated body-parts
US20140055352A1 (en) * 2012-11-01 2014-02-27 Eyecam Llc Wireless wrist computing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3D imaging, mapping, networking and interfac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567A1 (ko) * 2018-07-27 2020-01-30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22568A1 (ko) * 2018-07-27 2020-01-30 (주)휴맥스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6081B1 (en) 2018-10-10
US20160124500A1 (en) 2016-05-05
EP3016081A1 (en) 2016-05-04
CN105573487A (zh) 2016-05-11
CN105573487B (zh) 2020-06-16
US9971399B2 (en) 2018-05-15
KR20160050419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007B1 (ko) 와치 타입의 제어 디바이스
EP3291045B1 (en) Wearable smart device
KR2015014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862186B2 (en) Lapel microphone micro-display system incorporating mobile information access system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8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068914A1 (en) Miniature communications gateway for head mounted display
US20130241927A1 (en) Computer device in form of wearable glasses and user interface thereof
US20130265300A1 (en) Computer device in form of wearable glasses and user interface thereof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11880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71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2516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21468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CN109639987A (zh) 一种手环拍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742987B2 (en) Image pickup display apparatus, image pickup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10169569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201030A (zh) 设备交互方法、电子设备及交互系统
KR20180113406A (ko) 가상 공간을 이탈한 컨트롤러의 추적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CN109087649A (zh) 终端、终端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WO2018155134A1 (ja) 電子機器、車両、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