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435B1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435B1
KR101631435B1 KR1020140119247A KR20140119247A KR101631435B1 KR 101631435 B1 KR101631435 B1 KR 101631435B1 KR 1020140119247 A KR1020140119247 A KR 1020140119247A KR 20140119247 A KR20140119247 A KR 20140119247A KR 101631435 B1 KR101631435 B1 KR 10163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information
home appliance
point device
mac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549A (ko
Inventor
이수환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35B1/ko
Priority to US14/845,919 priority patent/US10129746B2/en
Priority to EP15183955.2A priority patent/EP2993832B1/en
Priority to EP19153207.6A priority patent/EP3509252A1/en
Publication of KR2016002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와,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설정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서버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home appliacne, and method for opera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와,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설정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서버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 로그인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방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와,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고, 설정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한 홈 어플라이언스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품 등록 완료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MAC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 헤더에 고정 길이 패킷을 추가하거나,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외부로 전송하되, 복수의 패킷의 길이를 달리하여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가, MAC 주소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복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시작 신호를 전송하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는, 용이하게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간단하게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전송 요청을 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의 비콘 신호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용이하게,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MAC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는, 시작 신호 수신에 따라, 시작 신호의 패킷 헤더 내의 고정 길이 패킷을 제거하고, 고정 길이 패킷 제거 후의 패킷 헤더를 디코딩함으로써, 용이하게 MAC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x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1은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5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AP 장치(400), 서버(500), 네트워크(550), 이동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도 2의 200a), 세탁기(도 2의 200b), 에어컨(도 2의 200c), 조리기기(도 2의 200d), 청소기(도 2의 200e)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들 또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미도시)는, AP 장치(400)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장치(400)는, 인접 전자 기기(electric device)에 내부 네트워크(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내부 네트워크(10)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는,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외에,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네트워크(550)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는, 외부 네트워크(550), 및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5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펌웨어 정보, 운전 정보(코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대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설정하고, 설정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제품 등록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한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경유하여,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품 등록 완료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MAC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 헤더에 고정 길이 패킷을 추가하거나,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외부로 전송하되, 복수의 패킷의 길이를 달리하여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MAC 주소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복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시작 신호를 전송하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용이하게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경유하여, 서버(500)로, 제품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간단하게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전송 요청을 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의 비콘 신호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용이하게,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가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MAC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시작 신호 수신에 따라, 시작 신호의 패킷 헤더 내의 고정 길이 패킷을 제거하고, 고정 길이 패킷 제거 후의 패킷 헤더를 디코딩함으로써, 용이하게 MAC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한,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은, 도 7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냉장고(200a)를 예시하며, 도 2b는, 세탁기(200b)를 예시하며, 도 2c는, 에어컨(200c)을 예시하며, 도 2d는, 조리기기(200d)를 예시하며, 도 2e는 로봇 청소기(200e)를 예시한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및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동실 구동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동작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외기 팬을 동작시키는 실외기 팬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내기팬을 동작시키는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적어도, 근거리 자기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217)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통신부(222)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2)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경유하여, 서버(500)로, 제품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통신부(222)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MAC 주소 정보 수신시, 복수의 무선 채널에 대해 스캔하고, 복수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시작 신호를 수신하며, 시작 신호 수신 이후, 해당 채널을 통해,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제어부(270)는, 수신되는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MAC 주소 정보와 함께, 비밀 번호 정보도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MAC 주소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한 이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경유하여, 서버(500)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콘 신호 내의,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시작 신호 수신에 따라, 시작 신호의 패킷 헤더 내의 고정 길이 패킷을 제거하고, 고정 길이 패킷 제거 후의 패킷 헤더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통신 모듈(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30)은,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에 대한 제품 정보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3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전력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부(610)는, 네트워크 공유기(550)를 통해, 전력 관리부(5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내부 전력망에 대한 전력 모니터링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부(610)는, 전력 모니터링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100)가 내부 전력망에 대한 원격 제어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부(610)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NFC 모듈(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전자장치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51), 음향출력 모듈(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51)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653)은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등록을 위해, 무선 통신부(610)는, 서버(500)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부(61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MAC 주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MAC 주소 정보 전송시, MAC 주소 정보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MAC 주소 정보 전송시, 복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시작 신호를 전송하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고정 길이 패킷이 추가된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시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외부로 전송하되, 복수의 패킷의 길이를 달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등록을 위해, 제어부(68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대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설정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610)를 제어하며, 서버(5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80)는,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이동 단말기(600)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80)는, 시작 신호 전송시, 암호화에 따라 가변되는 패킷 헤더에 고정 길이 패킷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80)는,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나가기 입력이 있는 경우,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홈 화면 내의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설정 화면 내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 설정 입력이 있는 경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 선택 화면 내의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 설정 이후, 홈 화면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입력이 있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6a 내지 도 6x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x는 종래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방법의 일예를 예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 내에 화면(710) 내에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712)이 선택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도 6b와 같이 표시되며, 이 중 어느 한 항목(725)을 선택하는 경우, 도 6c와 같이, 로그인 항목(736), 아이디 입력창(732), 비밀 번호 입력창(734) 등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73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중 로그인 화면(730)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항목(736)을 선택한 상태에서, 실제 제품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 도 6d와 같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로그인 화면(730)에서, 제품 등록 가이드 항목(738)이 선택되는 경우, 도 6d와 같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이 표시될 수 있다.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에서, 제품 등록 항목(742)이 선택되는 경우, 구체적인 제품 등록 가이드 정보(752)가, 도 6 e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품 등록 가이드 정보(752)는, 제품 등록을 위해,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을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설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나가기 입력에 따라, 도 6f와 같이, 홈 화면(760)이 표시될 수 있다. 홈 화면(760)에서, 설정 애플리케이션 항목(765)이 선택되는 경우, 설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도 6g와 같이,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77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770) 내에서,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설정 항목(772)이 선택되는 경우, 즉, 도면에서의 'WiFi'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6h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리스트를 구비하는 리스트 화면(78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78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해당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설정된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특정 키가 동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장치로서 동작하는 AP 모드인 경우, 홈 어플라인스에 대응하는 항목(LG-smart_laundary)(782)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나가기 입력에 따라, 도 6i와 같이, 홈 화면(72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중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712)이 선택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도 6j와 같이 다시 표시되며, 이 중 어느 한 항목(725)을 선택하는 경우, 도 6k와 같이, 로그인 항목(736), 아이디 입력창(732), 비밀 번호 입력창(734) 등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730)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이 중 로그인 화면(730)에서, 제품 등록 가이드 항목(738)이 선택되는 경우, 도 6l와 같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6k의 로그인 화면(730)에서 로그인 항목(736)이 선택되거나, 도 6l의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 이후, 도 6m과 같이, 제품 등록을 위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 검색 화면(79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 검색 화면(790) 내의 검색 항목(792)이 선택되는 경우, 도 6n과 같은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 가이드 항목(812)을 포함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 가이드 화면(810)이 표시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 가이드 항목(812) 선택시, 도 6od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822)를 포함하는 화면(82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항목(822)을 선택하는 경우, 도 6p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비밀 번호 입력창(822)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830)이 표시되며, 비밀 번호 입력 후, 도 6q와 같이, 사용자의 아이디 입력을 위한 아이디창(842)과,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창(844)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84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 후, 도 6r과 같이, 등록 항목(852)이 선택되는 경우, 제품의 네트워크 차단 정보 화면(860)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가,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서 동작하는 AP 모드에서, 외부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스테이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모드로 동작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홈 어플라이언스에 접속하는 기간 동안,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100)로 제품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홈 어플라이언스(600)는, 이동 단말기(200)로 제품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도 6o 내지 도 6p에 의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SSID, 비밀 번호 정보 등)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AP 모드에서 스테이션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도 6o 내지 도 6p에 의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SSID, 비밀 번호 정보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GCFPDAC_SVC)에 접속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도 6r에서의 등록 항목(852) 선택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6o와 같이, 제품의 네트워크 차단 정보 화면(86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화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도 6t와 같이, 홈 화면(710)이 표시되며, 홈 화면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712)이 선택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도 6u와 같이 다시 표시되며, 이 중 어느 한 항목(725)을 선택하는 경우, 도 6v와 같이, 로그인 항목(736), 아이디 입력창(732), 비밀 번호 입력창(734) 등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730)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로그인 화면(730)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항목(736)이 선택되는 경우, 도 6u와 같이, 원격제어화면이 표시되며, 이 중 세탁기 원격제어 항목(725)을 선택하는 경우, 제품 등록 완료된 세탁기 항목(882)을 포함하는 화면(880)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도 6a 내지 도 6x에, 제품 등록 시나리오에 의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AP 모드로 동작하다가 스테이션 모드로 동작하여야 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600)는, 이동 단말기(600)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가,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AP 모드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접속하였다가, 다시,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하는 등, 도 6a 내지 도 6s의 대략 19단계를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절차 상의 복잡함을 해소할 수 있는 간단한 제품 등록 방법을 예시한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가 AP 모드로 설정되지 않아도 되며,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다가, 스테이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단말기 및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11은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설정 화면 내에서, 식별자 정보와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억세스 포인트(AP)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S910).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915).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도 9a는 홈 화면(7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항목(712)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도 9b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원격제어 항목(725)과 그 외의 다양한 항목을 구비하는 메뉴(7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메뉴(720) 내에, 헬스케어 항목, 코드 다운로드 항목, 스마트 매니저 항목, 스마트 진단 항목, 설정 항목 등이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원격제어 항목(725)이 선택되는 경우, 도 9c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중 로그인 화면(730)이 표시될 수 있다.
로그인 화면(730)은, 아이디 입력창(732), 패스워드 입력창(734), 및 로그인 항목(736), 제품 등록 가이드 항목(738)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도 9d와 같이,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740) 내의 제품 등록 항목(74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도 9e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e는, 이동 단말기(6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1210)을 예시한다.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1210)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자 정보(SSID)(1212),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비밀 번호 정보 입력창(12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비밀 번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비밀 번호 정보 입력창(1214)에 디폴트로, 비밀 번호 정보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1210)은,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항목(1214)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항목(1214)이 동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외부로 전송한다(S920).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MAC 주소 정보(address)와 함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600)는, MAC Frame Address Field 이용하여 AP 장치의 MAC 주소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비밀번호 정보는, UDP Packet Length를 이용한 단방향 방식으로 전송 가능하다.
한편, 제920 단계(S920)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소정 키가 동작하여, 제품 등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소정 키 동작에 따른 제품 등록 모드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S923), 제품 등록 모드인 경우, 무선 채널을 스캐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25).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WiFi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WiFi 통신을 위한 13개 채널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한다. 특히, 제1 채널에서 제13채널 까지 2회의 스캐닝을 수행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통신부(222)는, 제1 채널에서 제13채널 중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MAC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S930). 한편, 비밀 번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MAC 주소 정보와 함께, 비밀 번호 정보도 수신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요청에 대응하는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부터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Beacon) 신호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되는 MAC 주소 정보 또는 MAC 주소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한다(S935).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MAC 주소 정보 또는 MAC 주소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또한, 수신되는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접속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한다(S930).
예를 들어, 제품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종류(냉장고, 세탁기 등),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제품에 설치된 펌웨어의 종류/버젼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923 단계 내지 제930 단계(S930)를 고려한 소정 시간 이내에, 서버(500)로부터,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65), 소정 시간 이내에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920 단계(S920)를 다시 수행한다.
한편,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651)에 표시한다(S97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품 등록 이후, 다시 홈 어플리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원하는 항목, 예를 들어, 원격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f는, 제품 등록 완료 이후, 홈 어플리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세탁기 항목(1222)에 대한 원격제어화면(122)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이후, 간단하게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등록 단계는, 도 9a 내지 도 9f까지 대략 5~6단계로서, 도 6a 내지 도 6s의 대략 19단계에 비해, 훨씬 간단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f는, 이동 단말기(600)에 현재 접속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등록시 활용한 것이며, 다른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설정하고자하는 경우, 도 9g 내지 도 9i의 절차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9e의 이동 단말기(600)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 화면(1210)에서 도시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나가기 입력 또는 홈 화면 표시 입력에 따라, 도 9g와 같이, 홈 화면(76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홈 화면(760) 내의, 설정 항목(765)이 선택되는 경우, 도 9h와 같이, 설정 화면(770)이 표시될 수 있다.
설정 화면(770)은,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항목(772)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항목(772)으로서, 'WiFi' 항목을 예시한다.
한편,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항목(772) 선택에 따른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도 9i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을 위한 화면(780)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 화면 내의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동 단말기(600)가 접속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한다.
도 9i에서는 Minyoung....' 항목(782)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가 접속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한 이후, 다시, 도 9a 내지 도 9e의 단계가 반복될 수 있으며, 특히, 도 9e에서는, 설정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자 정보(SSID)(1212)로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항목(1214)이 동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MAC 주소 정보(address)와 함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600)는, MAC Frame Address Field 이용하여 AP 장치의 MAC 주소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다.
결국, 현재 접속되고 있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없는 경우라도, 대략 10 단계 내지 11 단계를 통해, 제품 등록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도 6a 내지 도 6s의 대략 19단계에 비해, 훨씬 간단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서버(500), AP 장치(400), 이동 단말기(600), 및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신호 전송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하며(S600),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는, 이동 단말기(600)에, 식별자 정보(SSID)를 전송한다(S1012).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화면 내에서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전송한다(S1020).
제1020 단계(S1020)에서,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시작 신호(1110), MAC 주소 정보와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메시지(1120), 및 종료 신호(1130)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무선 통신부(610)는, 복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시작 신호(1110)를 전송하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MAC 주소 정보와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1120)를 전송하며, 메시지 전송 이후, 종료 신호(1130)를 전송할 수 있다.
시작 신호(111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 있는 수신 MAC 주소 정보(1112), 이동 단말기(600)와 관련 있는 발신 MAC 주소 정보(1114),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AP MAC 주소 정보(1116), 및 시작 메시지(111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1120)는, 수신 MAC 주소 정보(1122), 발신 MAC 주소 정보(1124), AP MAC 주소 정보(1126), 및 비밀 번호 정보(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신호(1130)는, 수신 MAC 주소 정보(1132), 발신 MAC 주소 정보(1134), AP MAC 주소 정보(1136), 및 끝 메시지(1138)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 MAC 주소 정보(1112)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수신되는 신호인지를 구분하며, 발신 MAC 주소 정보(1114)에 기초하여, 다른 장치가 아닌 이동 단말기(600)로부터의 신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작 메시지(1118)를 통해, 그 이후, 메시지가 수신될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WiFi 통신을 통해, 이러한 시작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무선 통신부(610)는, 제1 채널에서 제13채널 까지 2회의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 동안, 시작 신호(1110)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제1 채널에서 제13채널 까지 2회의 스캐닝을 수행하는 기간 동안, 무선 채널에 대한 전체 스캐닝(scanning 1)을 수행하면서, 시작 신호(1110)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작 신호 수신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시작 신호가 수신된 채널에 대해서만 스캐닝(scanning2)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1010 단계(S1010) 내지 제1020 단계(S1020) 동안,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외부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와 비밀 번호 정보 수신을 위한, 모니터링 모드(monitoring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MAC 주소 정보와 비밀 번호 정보 수신 이후, 스테이션 모드(station)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된 MAC 주소 정보와 비밀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식별자 정보(SSID),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35).
그리고,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는, 이 요청에 대응하여, 식별자 정보(SSID),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36).
도면에서는, 식별자 정보(SSID),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140)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된, MAC 주소 정보,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접속 요청하며(S1037),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는, 수신되는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을 승인한다(S1038).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와의 접속 이후, 제품 정보를,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경유하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1040).
이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 이동 단말기(600)의 MAC 주소 정보도, 제품 정보와, 함께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5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등록을 완료하고, 수신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 이동 단말기(600)의 MAC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600)로, 제품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065).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 중 특정 OS(예를 들어, iOS)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 식별자 정보(SSID)만 제공하며,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비밀 번호 정보, 암호화 방식, 인증 방식 등을 외부로 전송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iOS 외에,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이동 단말기(600)에서도,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비밀 번호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 가능하도록, 도 10의 OSI 7 레이어(1300) 중 어플리케이션 레이어(1370)에서의 정보 처리가 아닌, 데이터 링크 레이어(1320) 내의 MAC 레이어(1322)에서의 정보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이동 단말기(600)의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달될 메시지(1120)의 데이터 필드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될 수 있다. 따라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달될 메시지(1120)는, 한 패킷의 총 길이를 한 문자로, 즉, 여러 패킷의 길이를 달리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600)의 무선 통신부(610)는,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외부로 전송하되, 복수의 패킷의 길이를 달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 방식에 따라, 패킷 헤더의 길이는, 가변되므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시작 신호 전송시, 암호화에 따라 가변되는 패킷 헤더에, 고정 길이 패킷을 추가하며, 무선 통신부(610)는, 고정 길이 패킷이 추가된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시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시작 신호 수신에 따라, 시작 신호의 패킷 헤더 내의 고정 길이 패킷을 제거하고, 고정 길이 패킷 제거 후의 패킷 헤더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코딩된 패킷 헤더로부터, MAC 주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1은 MAC 주소 정보 등의 획득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예시한다.
먼저, 도 11의 (a)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으로서 802.11 기반의 무선 MAC 헤더(1410)를 예시한다. 무선 MAC 헤더(1410)는, 제1 내지 제4 어드레스 정보(1412,1414,1416,141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b)는, 도 11(a)의 무선 MAC 헤더(1410) 내에 구비되는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어드레스 정보(1414) 내의 발신 항목(1422)은, 시작 신호(STX)(1110)를 보낸, 이동 단말기(600)의 MAC 주소 정보를 나타내며, 제3 어드레스 정보(1416) 내의 'BSS ID' 항목(1424)은, 이동 단말기(600)가 접속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를 나타낸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가 접속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향후,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 대한 다른 정보(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등)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c)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에서 전송되는 비콘(Beacon)신호의 일예이다.
비콘 신호(1430)는, 무선 MAC 헤더와 프레임 몸체를 구비한다. 비콘 신호(1430) 내의 'BSS ID' 항목(1432)은,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의 MAC 주소 정보를 나타낸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비콘 신호(1430) 내의 'BSS ID' 항목(1432)과, 시작 신호(STX)(1110) 내의 'BSS ID' 항목(1424)을 비교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접속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비콘 신호(1430) 중 프레임 몸체(1440) 내의 옵션 필드(1442)를 통해,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추출된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와, 수신한 MAC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억세스 포인트 장치(400)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및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시작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와 상기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단일 메시지 전송 이후, 종료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응하는 MAC 주소 정보,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및 시작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종료 신호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응하는 MAC 주소 정보,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및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MAC 주소 정보 전송시, 복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시작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상기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신호 전송시, 암호화에 따라 가변되는 패킷 헤더에 고정 길이 패킷을 추가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고정 길이 패킷이 추가된 패킷 헤더를 포함하는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MAC 주소 정보 전송시, 암호화된 상기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외부로 전송하되, 상기 복수의 패킷의 길이를 달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나가기 입력이 있는 경우,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홈 화면 내의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설정 화면 내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입력이 있는 경우,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 화면 내의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접속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설정 이후, 상기 홈 화면 내의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구동부;
    이동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가 함께 수신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시작 신호 수신 이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상기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단일 메시지 수신 이후, 종료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식별자 정보(SSID),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MAC 주소 정보,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및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 요청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승인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신호 내의,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MAC 주소 정보 수신시, 복수의 무선 채널에 대해 스캔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채널 중 어느 한 채널을 통해, 시작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시작 신호 수신 이후, 해당 채널을 통해, 상기 MAC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시작 신호의 패킷 헤더 내의 고정 길이 패킷을 제거하고, 상기 고정 길이 패킷 제거 후의 패킷 헤더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5.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내에, 로그인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품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품 등록 가이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등록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 전송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시작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작 신호 전송 이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상기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단일 메시지 전송 이후, 종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응하는 MAC 주소 정보,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및 시작 메시지를 포함하고 ,
    상기 종료 신호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응하는 MAC 주소 정보,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및 종료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AC 주소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면 표시 이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나가기 입력이 있는 경우,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 내의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설정 화면 내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설정 입력이 있는 경우,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 선택 화면 내의 특정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에 접속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이후, 상기 홈 화면 내의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방법.
  18. 이동 단말기로부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미디어 억세스 컨트롤(MAC)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식별자 정보(SSID),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요청 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AC 주소 수신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와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가 함께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AC 주소 수신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시작 신호 수신 이후,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MAC 주소 정보 상기 비밀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단일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단일 메시지 수신 이후, 종료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의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 내의, 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MAC 주소 정보 수신시,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의 비밀 번호 정보도 함께 수신하며,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시, 상기 식별자 정보, 암호화 방식 정보, 인증 방식 정보, 및 상기 비밀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KR1020140119247A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47A KR101631435B1 (ko)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US14/845,919 US10129746B2 (en) 2014-09-05 2015-09-04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5183955.2A EP2993832B1 (en) 2014-09-05 2015-09-04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9153207.6A EP3509252A1 (en) 2014-09-05 2015-09-04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247A KR101631435B1 (ko)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49A KR20160029549A (ko) 2016-03-15
KR101631435B1 true KR101631435B1 (ko) 2016-06-24

Family

ID=5406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247A KR101631435B1 (ko) 2014-09-05 2014-09-05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29746B2 (ko)
EP (2) EP2993832B1 (ko)
KR (1) KR101631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96A1 (ko) * 2018-06-25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286894A1 (ko) * 2021-07-16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1464B2 (en) * 2013-09-11 2016-09-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network access
JP2016178354A (ja) * 2015-03-18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85640B2 (en) * 2015-04-08 2019-01-22 Avaya Inc. Method to provide an optimized user interface for presentation of application service impacting errors
US10798548B2 (en) * 2016-08-22 2020-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by using Bluetooth technology, and apparatus
CN107948023A (zh) * 2016-10-12 2018-04-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家用电器联网方法、家用电器、家电系统联网方法
KR101900741B1 (ko) 2017-01-16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WO2018164486A1 (ko) * 2017-03-08 2018-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연결 제어 방법
KR102314690B1 (ko) * 2017-04-11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10536859B2 (en) 2017-08-15 2020-01-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an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CN107800597B (zh) * 2017-09-30 2021-08-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的数据传输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340976B2 (en) 2017-10-16 2019-07-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e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CN109996314B (zh) * 2017-12-29 2021-11-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待配网设备接入网络热点设备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980039B1 (ko) * 2018-03-26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자동 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054176B1 (ko) * 2018-06-25 2019-12-10 모비두 주식회사 IoT 장치의 무선랜 설정 방법 및 IoT 장치
CN108920041A (zh) * 2018-07-31 2018-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EP3661243A1 (en) * 2018-11-29 2020-06-03 Nagravision S.A. Secure beacons
US10980025B2 (en) 2019-01-31 2021-04-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transition management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169273B2 (en) 2019-02-14 2021-11-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n appliance
US11129171B2 (en) 2019-02-27 2021-09-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signal maximization and management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438771B2 (en) 2019-07-11 2022-09-0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heterogeneous coverage and use cases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182222B2 (en) 2019-07-26 2021-11-2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rocessor device software development and operation
KR20210026834A (ko) 2019-09-02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US11528748B2 (en) 2019-09-11 2022-12-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rrier unlicensed heterogeneous channel access
US11368552B2 (en) 2019-09-17 2022-06-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tfor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US11317296B2 (en) 2019-10-02 2022-04-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handling and switching operating frequencies for devices being supported by a wireless access node
US11026205B2 (en) * 2019-10-23 2021-06-0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registration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581911B2 (en) 2019-10-28 2023-02-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mitigation in wireless systems
BE1027725B1 (nl) * 2019-11-04 2021-06-08 Atlas Copco Airpower Nv Werkwijze voor het beheren van een compressor
US11457485B2 (en) 2019-11-06 2022-09-27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verage in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s
US11363466B2 (en) 2020-01-22 2022-06-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tenna optimization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CN113315847B (zh) * 2020-02-07 2022-08-05 海信集团有限公司 网际协议地址的配置方法、设备及系统
KR20210128750A (ko) * 2020-04-17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11877344B2 (en) 2020-12-14 2024-01-1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verage enhancement using technology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61B1 (ko) *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924962B1 (ko) * 2012-10-0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EP3691179A1 (en) * 2012-12-18 2020-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remotely in home network system
KR102048362B1 (ko) * 2012-12-21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69876B1 (ko) * 2012-12-21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KR102046928B1 (ko) * 2013-01-07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96A1 (ko) * 2018-06-25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과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286894A1 (ko) * 2021-07-16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KR20230012846A (ko) * 2021-07-16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KR102549381B1 (ko) 2021-07-16 2023-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품 등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3832B1 (en) 2019-04-10
US20160073259A1 (en) 2016-03-10
EP3509252A1 (en) 2019-07-10
KR20160029549A (ko) 2016-03-15
EP2993832A1 (en) 2016-03-09
US10129746B2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435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496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977340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2496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20140188463A1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42117B1 (ko)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101587465B1 (ko) 홈 어플라이언스
CN104869612A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KR101545486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20140089795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1270A (ko)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69036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1133673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devices and positions of devices in an IoT environment
KR101859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69031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636722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10219818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1069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9161493A (ja) 接続ルータ判定方法、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102192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8453A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