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010B1 -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 Google Patents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010B1
KR101631010B1 KR1020150009071A KR20150009071A KR101631010B1 KR 101631010 B1 KR101631010 B1 KR 101631010B1 KR 1020150009071 A KR1020150009071 A KR 1020150009071A KR 20150009071 A KR20150009071 A KR 20150009071A KR 101631010 B1 KR101631010 B1 KR 10163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power
self
suppl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석
박정회
박종서
최무진
Original Assignee
(주)나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눔테크 filed Critical (주)나눔테크
Priority to KR102015000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0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6Heart defibrilla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hockwave
    • A61N1/3912Output circuitry therefor, e.g.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which allocates power supply regions to two types to control power supply according to a situation such as storage and self-diagnosis of an AED, thereby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caused by self-diagnosis. That is, the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n AED controls power supply by allocating the power supply regions to the following two types: a fist power supply region where power of a battery embedded in the AED is operated with minimum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power supply region which is required for diagnosing and using the AED, and includes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Accordingl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from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when diagnosing and using the AED. To this end, the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n AED comprises: a main power signal unit which always supplies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in a standby state, a self-diagnosis signal unit which sends a self-diagnosis performance signal of the AED; a first micro-controller unit which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ain power signal unit or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and a status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formation of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includes a second micro-controller unit which controls overall usage of the AED and performs self-diagnosis of the same.

Description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ED)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원공급 영역을 2가지 형태로 분할하고 자동제세동기의 보관, 자가진단, 사용시 상황에 맞도록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자가진단에 의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divides the power supply area into two types, and stores the self defibrillator, self-diagno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minimizing a defibrillator operation.

일반적으로 자동제세동기는(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AED)는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심정지 (SCA: Sudden Cardiac Arrest)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causes Sudden Cardiac Arrest (SCA),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cardiac arrest stops and blood supply to each tissue is interrupted to stop the supply of oxygen, which is essential for vital activities. It is a device that makes electric shock from the outside to return the heartbeat normally.

이러한 자동제세동기는 전극패드의 고장이나 배터리 전원부족, 내부에 구성된 회로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자동제세동기는 무용지물이 되며 그로 인해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제세동기는 문제가 없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점검된 내용은 유무선으로 정보를 제공받거나 관리자가 직접 점검하여 상태를 파악한다.
In such an automatic defibrillator, if the electrode pad fails, the battery power is low, or a fault occurs in the internal circuit, the automatic defibrillator becomes useless, thereby losing the opportunity to save live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heck whether there is a problem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그러나 자동제세동기의 문제가 없는지 파악하는 자가진단시 자동제세동기에 전원이 항시 켜진 상태에서 점검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자가진단으로 인한 배터리 소모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관리자는 자주 배터리를 교체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교체시기를 놓칠 경우, 상기와 같이 인명을 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needs to be inspected whil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always on at the time of self-diagnosis that detects the proble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e battery consumption due to the self-diagnosis occurs, and therefore, the administrator frequently needs to replace the battery If you miss the replacement time, you will miss the chance to save your lif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자동제세동기에 내장된 배터리는 사용시 전극 패드로 전기충격을 가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전압이 항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가진단시 발생하는 전력소모와 자가진단 후 결과를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으로 인해 배터리 전력소모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배터리 관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built-in battery in this automatic defibrillator has to keep a sufficient voltage so that the electric shock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de pad at the time of use,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power consumption occurring in the self diagnosis and the wired / Battery management is essential in a weighted situation.

아래에는 관련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Below is a description of related prior art.

공개특허 제2015-0000710호(원격 관리형 자동 제세동기 및 그 제어 방법)에는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생체신호의 이상상태를 경고하는 응급상황 경고부, 상기 알람 신호를 전달하는 AED본체 관리부 및 상기 알람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응급상황 경고부를 통해 이상상태를 경고하고 상기 AED 본체 관리부를 통해 상기 알람신호를 AED 본체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ED 보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AED 본체가 자동제세동기 보관장치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기 저장된 자동 제세동기 사용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Open No. 2015-0000710 (remote managed automatic defibril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cludes a radio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for alerting an abnormal state of a living body signal, an emergency alert for aler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living body signal, An AED main body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an abnormal state through the emergency warning unit when the alarm signal is received and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the AED main body through the AED main body management unit And a pre-stored automatic defibrillator usage guidance message is output when the AED body is detected as being detached from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torage device.

상기 선행기술은 환자의 몸에 센서를 미리 부착시킨 다음 생체신호가 이상이 있을경우 주변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AED 구동장치 이상이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자가진단 구성들이 추가되어 있으나, 자가진단시 발생하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술사상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자가진단시 발생하는 배터리의 전력소모에 의해 잦은 배터리 교체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원활한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긴급상황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prior art, a sensor is attached to a patient's body in advance, and then,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a biological signal, the surrounding people can easily recognize the AED driving device. However, there is no technical idea that minimizes battery consumption during self-diagnosis. Therefore,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the battery frequently due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caused by the self-diagnosis, and when the battery is not replaced smoothly, it can not be used in an emergency situation.

특허 제978074호(격 관리형 제세동기와 연계된 응급 구조 시스템 및 이를위한 장치 및 방법)에는 통신부를 구비한 제세동기, 상기 제세동 정보에 포함된 생체신호 및 위치 정보를 의료센터와 전송 및 수신하는 의료 응급 처리부와, 상기 제세동기기의 분석 프로그램을 교정하고 업데이트하는 학습 및 업데이트부로 이루어지고 자체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No. 978074 (an emergency rescue system in connection with a defibrillator-based defibrilla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includes a defibrillator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 medical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biological signal and positi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efibrillation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edical center And a learning and updating unit for correcting and updating an analysis program of the defibrillato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self-diagnosis program.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역시 자가진단시 발생하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술사상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배터리의 전력소모에 의해 잦은 배터리 교체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원활한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긴급상황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 prior art also does not include a technical idea that minimizes the battery consumption occurring in the self-diagnosis,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caused by this causes inconvenience of frequent battery replacement and smooth battery replac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in an emergency situation.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976721호(압전소자를 사용한 삽입형 제세동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삽입형 제세동기)에는 제세동기의 자가진단에 관한 기술내용은 아니지만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기술로서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보조 전원부에 저장하여 배터리의 주전원부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As another prior art, Patent No. 976721 (power supply device and insertion-type defibrillator of an insertion-type defibrillator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does not describe the self-diagnosis of the defibrillator, but a piezoelectric device is used as a technique for extending battery life Thereby generating electric energy from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ody and storing the generated electric energy in the auxiliary power unit so as to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power unit of the battery.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체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전기로 충전하여 보조전원으로 사용하기에는 충전량이 매우 부족하며, 아울러 이는 사용시에만 충전이 가능하며 자동제세동기가 보관시에 이루어지는 자가진단 과정에는 전혀 충전할 수 없고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he charged electricity is very low for us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because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ody, and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only at the time of use,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can not be charged at all during the self- It does not include a technology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주기적으로 자동제세동기의 자가진단 기능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 및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자동제세동기의 관리가 이루어지되 전원공급 영역을 2가지 형태로 분할하여 평상시에는 최소전력으로 운용되는 제1전원공급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세동기 진단 및 사용시에는 제2전원공급 영역까지 더 확대되어 전원공급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efibrillator,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ranches and is normally operated with a minimum power. When the defibrillator is diagnosed and used,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is further enlarged to allow power supply control so that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power operation system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operation.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원공급부를 통해 최소전력으로 운용되는 제1전원공급 영역과, 제세동기 진단 및 사용시에 필요한 제1전원공급 영역을 포함한 제2전원공급 영역으로 더 확대되어 전원공급 제어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원공급 영역은 대기상태에서 전원이 항시 공급되되 제2전원공급 영역의 전원공급 신호를 보내는 메인전원 신호부, 제세동기의 자가진단 수행신호를 보내는 자가진단 신호부, 상기 메인전원 신호부 또는 자가진단 신호부의 신호를 받아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제2전원공급 영역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 상기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원공급 영역은 자동제세동기의 전반적인 사용을 제어하고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extends the power of the battery built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o a first power supply region operated with a minimum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power supply region including a first power supply region required for defibrillator diagnosis and use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is a main power supply portion that is always supplied with power in a standby state and sends a power supply sign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a self-diagnosis signal for sending a self-diagnosis performance signal of the defibrillator A first microcontroller unit receiving the signal of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the signal unit, the main power signal unit or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Wherein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controls the overall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Performed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parts of the microcontroller to.

또한 상기 자가진단 신호부는 일정시간마다 자가진단 수행신호를 보내는 실시간 시간장치 및 자동제세동기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수행신호를 보내는 버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may include a real time device for sending a self-diagnosis performance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 button for sending a performance signal by pressing a button provided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또한 상기 실시간 시간장치는 별도의 보조배터리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real time clock device is driven by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또한 상기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와 연동하여 일시적으로 제2전원공급 영역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정보를 제공받은 다음 제2전원공급 영역의 전원을 다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interlocks with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to temporarily supply power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to perform self-diagnosis, and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to be shut off again .

또한 상기 상태 표시부는 자가진단 결과 및 제세동기의 상태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으로 알려주는 스피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atus display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lf-diagnosis result and a defibrillator status on a liquid crystal screen, and a speaker unit for notifying by voice.

또한 상기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는 전극패드와 연관된 심전도 측정부 및 고압전기 충격부와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음성안내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microcontroller may control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a high-voltage electric shock unit associated with the electrode pad, a voice guidance unit to guide the method of use, and a storage unit to store information.

본 발명은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 하여 주기적으로 자동제세동기의 자가진단 기능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 및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자동제세동기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inuously manag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and periodically determining the state and failure of the battery through the self-diagnosis func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또한 전원공급 영역을 2가지 형태로 분할하여 평상시에는 최소전력으로 운용되는 제1전원공급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제세동기 진단 및 사용시에는 제2전원공급 영역까지 더 확대되어 전원공급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그로인해 배터리 교체주기를 연장하고 자동제세동기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region is divided into two types, and is configured as a first power supply region which is normally operated with a minimum power. In the diagnosis and use of the defibrillator, power supply control is further extend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energy waste, thereby prolonging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and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전원공급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의 대기상태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의 자가진단 상태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의 메인전원 ON 상태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의 메인전원 OFF 상태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irst power supply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andby state of the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self-diagnosis state of the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power ON state of the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power OFF state of the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제세동기는 고장유무를 진단하는 자가진단시에 자동제세동기의 전원이 완전히 켜져 있는 상태로 자가진단 신호를 받아서 자가진단 및 자가진단 결과표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배터리 교체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Generally, the conventional automatic defibrillator has a self-diagnosis signal in a state that the power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completely turned on at the time of self-diagnosis to diagnose the failure, and self-diagnosis and self-diagnosis result are displayed, Thereby shortening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본 발명은 전원공급 영역을 2가지 형태로 분할하여 자동제세동기에 내장된 배터리(10)의 전력을 전원공급부(20)를 통해 최소전력으로 운용되는 제1전원공급 영역(100)과, 제세동기 진단 및 사용시에 필요한 제1전원공급 영역(100)을 포함한 제2전원공급 영역(200)으로 더 확대되어 전원공급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부(20)는 상황에 맞게 배터리(10)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배터리(10)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hat divides the power supply region into two types and operates the power of the battery (10) built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 And a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ncluding a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required for use, so that power supply control is performed.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20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10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상기 제1전원공급 영역(100)은 대기상태에서 전원이 항시 공급되되 제2전원공급 영역의 전원공급 신호를 보내는 메인전원 신호부(140), 제세동기의 자가진단 수행신호를 보내는 자가진단 신호부(110), 상기 메인전원 신호부(140) 또는 자가진단 신호부(110)의 신호를 받아 전원공급부(20)를 제어하여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 상기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원공급 영역(200)은 자동제세동기의 전반적인 사용을 제어하고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로 이루어져 있다.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includes a main power signal portion 140 that is always supplied with power in a standby state and sends a power supply sign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a sel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main power signal unit 140 or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110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20, And a status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20.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controls the overall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a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10 for performing diagnosis.

본 발명의 제1전원공급 영역(100)은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자동제세동기의 보관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원영역이며, 상기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서는 제세동기 사용시에 필요한 전극패드(30), 심박센서, 전기충격, 음성안내 등에 전원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하며 자가진단 신호부(110),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 상태 표시부(130), 메인전원 신호부(140)에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nimum power supply region required for stor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performs self diagnosis. In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an electrode pad 30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20, the status display unit 130, the main power signal unit 130, the main microcomputer unit 130, Th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power supply 140.

상기 자가진단 신호부(110)는 미리 입력된 일정시간마다 자가진단 수행신호를 보내는 실시간 시간장치(111)(Real time clock :RTC) 및 자동제세동기에 구비된 버튼부(112)를 통해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로 수행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실시간 시간장치(111)는 별도의 보조배터리(10)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배터리(10)의 전력소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배터리(10) 교체시에 실시간 시간장치(111)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110 may include a real time device 111 (real time clock) for sending a self-diagnosis execution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a button unit 112 provided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the execu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unit 120. In addition, the real-time clock device 111 is driven by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10 so that the power of the real-time clock device 111 is interrupted when the battery 10 is replaced without affec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10 .

상기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Micro Controller Unit :MCU)는 자가진단을 최소한의 전력소모 상태로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와 연동하여 일시적으로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전원을 공급되게 하여 배터리(10) 상태, 전극패드(30) 상태, 내부 전자회로 고장 유/무 등을 진단한 다음 자가진단 결과를 제공받고 다시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10)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20 is configured to perform self diagnosis in a minimum power consumption state.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20 and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120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emporarily to diagnose the state of the battery 10, the state of the electrode pad 30, the presence / absence of failure of the internal electronic circuit, etc., The power supply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s cut off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10. [

상기 상태 표시부(130)는 자가진단 결과 및 제세동기의 상태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와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1)는 LED, LCD, e-ink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파악하기 쉽게 정상, 경고, 오류 등으로 구분하여 제세동기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직접 알려주거나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실에 전송하여 관리상태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tatus display unit 130 includes a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a self-diagnosis result and a defibrillator status on a liquid crystal screen, and a speaker unit 132 for guiding the defibrillator to a voice. The display unit 131 may be displayed as an LED, an LCD, or an e-ink, and may be classified into normal, warning, and error for the administrator to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defibrillator, So that the management status can be easily grasped.

본 발명의 제2전원공급 영역(200)은 자동제세동기의 전반적인 주요구성에 필요한 전원 영역으로써 사용시에 제1전원공급 영역(100)과 함께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사용된다. 즉, 상기 제2전원공급 영역(200)은 자동제세동기의 외부에 구비된 메인전원(30) 버튼을 통해 자동제세동기 전체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심장 제세동을 수행하기 위한 주요구성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로 이루어져 있다.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upply region necessary for the overall main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is used when power is supplied together with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in use. That is,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s supplied with power to the entir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main power source 30 button provided outsid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structure for performing heart defibrillation And a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10 which can be realized.

아울러 상기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는 전극패드(30)와 연관된 심전도 측정부(220)및 고압전기 충격부(230)와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음성안내부(240), 사용결과를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상기의 구성들은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포함되어 있다.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10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220 and a high-voltage electric shock unit 230 associated with the electrode pad 30 and a voice guidance unit 240 for guiding the method of use.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n addition,

이와 같이 자가진단을 수행하기 전까지 자동제세동기가 보관함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 자가진단 후 결과를 표시하는 상태, 결과를 유/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상태에서는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차단하고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만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배터리(10)의 전력을 낭비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state wher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waiting in the storage, the result is displayed after the self-diagnosis,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til the self diagnosis is performed,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area 200 is required Th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10 can be effectively used without waste of power.

아래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통해 대기상태, 자가진단 상태, 메인전원 ON상태, 메인전원 OFF상태를 각각 도면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standby state, the self-diagnosis state, the main power ON state, and the main power OFF state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operation flowchart of the low power operation syste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s described above.

도 3은 자동제세동기의 대기상태를 나태는 것으로 이전에 AED상태 저장소에 저장된 자동제세동기의 상태 정보를 가져온 다음 제1전원공급 영역(100)의 상태표시부(130)에 상태를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상태를 알려준다. 이때 상태표시는 정상, 경고, 오류 등으로 표시된다.
FIG. 3 is a view for showing the stat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tored in the AED state storage and indicating the state in the state display unit 130 of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ells the status. At this time, the status indication is displayed as normal, warning, error, and the like.

도 4는 자동제세동기의 자가진단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실시간 시간장치(111) 또는 버튼부(112)로 이루어진 자가진단 신호부(110)로 자가진단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부(20)를 거쳐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서 제2전원공급 영역(200)으로 자가진단 요청신호를 보내고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서는 배터리(10)의 상태, 전극패드(30)의 상태, 내부 전자회로 고장 유/무 등의 점검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자가진단 결과(정상, 경고, 오류 등)를 제1전원공급 영역(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1전원공급 영역(100)은 전원공급부(20)로 메인전원 차단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은 다시 차단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자가진단 결과는 AED 상태 저장소에 저장되게 된다.
4 shows a self-diagnosis process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When a self-diagnosis request signal is input to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110 including the real-time device 111 or the button unit 112, 2 power supply area 200 is supplied with power. Then, a self-diagnosis request signal is sen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n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he state of the battery 10, the state of the electrode pad 30, The internal electronic circuit is checked for failure, and the result of the self-diagnosis (normal, warning, error, etc.)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hen,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sends a main power cutoff signal to the power supply unit 20, and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s shut off again. The final self-diagnosis results are stored in the AED status store.

도 5는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기 위해 메인전원을 켠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전원 신호부(140)를 통해 시작신호가 인가되면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서 전원공급부(20)로 전원공급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제세동기 사용에 필요한 부분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 다시 전원공급 알림신호를 보내어 상태표시부(130)에 나타나게 된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is turned on to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When a start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main power signal unit 140, the power supply signal is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o the power supply unit 20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entire portion required for using the defibrillator.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he power supply notification signal is sent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again and is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unit 130.

도 6은 자동제세동기의 메인전원이 종료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전원 신호부(140)를 통해 제1전원공극 영역(100)으로 종료신호가 인가되면 제2전원공급 영역(200)으로 종료 요청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서는 다시 제1전원공급 영역(100)으로 종료하여도 좋다는 승인신호를 보낸다. 그런 다음 다시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서 전원공급부(20)로 전원차단신호를 보내어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서 제세동기의 상태정보를 AED상태 저장소에 저장하게 된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power sourc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terminated. When an end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source air gap region 100 through the main power signal unit 140, And sends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may be terminated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again. Then, a power shutoff signal is sent from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o the power supply unit 20 to cut off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hen, in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he defibrillator sta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ED state stor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통해 전원공급 영역을 2가지로 형태로 분할하여 배터리(10) 소모를 최소화하였으며, 그로 인해 지속적인 자가진단으로 자동제세동기의 관리가 이루어지면서 배터리(10)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region is divided into two types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10, thereby continuously manag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by self diagnosis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10 The effect is to be exercis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배터리 20 : 전원공급부
30 : 전극패드
100 : 제1전원공급 영역 110 : 자가진단 신호부
111 : 실시간 시간장치 112 : 버튼부
120 :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 130 : 상태 표시부
131 : 디스플레이부 132 : 스피커부
140 : 메인전원 신호부
200 : 제2전원공급 영역 210 :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
220 : 심전도 측정부 230 : 고압전기 충격부
240 : 음성안내부 250 : 저장부
10: Battery 20: Power supply
30: Electrode pad
100: first power supply region 110: self-diagnosis signal section
111: real-time clock device 112:
120: first microcontroller unit 130: status display unit
131: display unit 132: speaker unit
140: Main power signal part
200: second power supply region 210: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20: Electrocardiogram measuring part 230: High-voltage electric shock part
240: voice guidance unit 250: storage unit

Claims (6)

자동제세동기에 내장된 배터리(10)의 전력을 전원공급부(20)를 통해 최소전력으로 운용되는 제1전원공급 영역(100)과, 제세동기 자가진단 및 사용시에 필요한 제1전원공급 영역(100)을 포함한 제2전원공급 영역(200)으로 더 확대되어 전원공급 제어가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전원공급 영역(100)은 대기상태에서 전원이 항시 공급되되 제2전원공급 영역의 전원공급 신호를 보내는 메인전원 신호부(140), 제세동기의 자가진단 수행신호를 보내는 자가진단 신호부(110), 상기 메인전원 신호부(140) 또는 자가진단 신호부(110)의 신호를 받아 전원공급부(20)를 제어하여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 상기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전원공급 영역(200)은 자동제세동기의 전반적인 사용을 제어하고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로 이루어지며,
자가진단시 상기 제1전원공급 영역(100)의 자가진단 신호부(110)로 자가진단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부(20)를 거쳐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다음 제1전원공급 영역(100)에서 제2전원공급 영역(200)으로 자가진단 요청신호를 보내고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서는 자가진단 결과를 제1전원공급 영역(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마이크로 콘트롤러부(120)는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와 연동하여 일시적으로 제2전원공급 영역(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정보를 제공받은 다음 제2전원공급 영역(200)의 전원을 다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
The power of the battery 10 built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s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operated with minimum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 and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required for the defibrillator sel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ncluding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200 and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includes a main power signal portion 140 that is always supplied with power in a standby state and sends a power supply signal of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a sel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main power signal unit 140 or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110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20, A microcontroller unit 120, and a status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20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ncludes a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10 for controlling overall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nd performing self-diagnosis,
When a self-diagnosis request signal is input to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110 of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during the self-diagnosis,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 A self-diagnosis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a self-diagnosis result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to the first power supply region 100,
The first microcontroller unit 120 intermittently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power supply region 2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10 to perform self-diagnosis and receive information, (200) is controlled so as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area (2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 신호부(110)는 일정시간마다 자가진단 수행신호를 보내는 실시간 시간장치(111) 및 자동제세동기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수행신호를 보내는 버튼부(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lf-diagnosis signal unit 110 comprises a real time device 111 for sending a self-diagnosis performance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 button unit 112 for sending a performance signal by pressing a button provided i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ynchronous low power operating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시간장치(111)는 별도의 보조배터리(10)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al time device (111) is driven by a separate auxiliary battery (10). ≪ RTI ID = 0.0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부(130)는 자가진단 결과 및 제세동기의 상태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음성으로 알려주는 스피커부(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us display unit 130 includes a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a self-diagnosis result and a defibrillator status on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speaker unit 132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defibrillator by vo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이크로 콘트롤러부(210)는 전극패드(30)와 연관된 심전도 측정부(220)및 고압전기 충격부(230)와, 사용방법을 안내하는 음성안내부(240),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의 저전력 운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icrocontroller unit 210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unit 220 and a high-voltage electric shock unit 230 associated with the electrode pad 30, a voice guidance unit 240 for guiding the method of use, And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KR1020150009071A 2015-01-20 2015-01-20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KR101631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71A KR101631010B1 (en) 2015-01-20 2015-01-20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71A KR101631010B1 (en) 2015-01-20 2015-01-20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010B1 true KR101631010B1 (en) 2016-06-17

Family

ID=5634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71A KR101631010B1 (en) 2015-01-20 2015-01-20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0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96A (en) * 2021-04-27 2022-11-03 (주)나눔테크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low power self te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07A (en) * 2002-03-22 2004-11-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ith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KR20090122674A (en) * 2008-05-26 2009-12-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ower supply device of defibrillator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defibrillator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US7783357B2 (en) * 2004-12-08 2010-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ual battery arrangement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307A (en) * 2002-03-22 2004-11-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ith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US7783357B2 (en) * 2004-12-08 2010-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ual battery arrangement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KR20090122674A (en) * 2008-05-26 2009-12-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ower supply device of defibrillator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and defibrillator having the power suppl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96A (en) * 2021-04-27 2022-11-03 (주)나눔테크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low power self test
KR102556406B1 (en) * 2021-04-27 2023-07-17 (주)나눔테크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or low power self t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396B2 (en) Adaptive self-test and stress analysis of medical devices
US105786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battery life status
JP6492307B2 (en) Separable monitoring device
RU2685739C2 (en) Encoded status indicator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US20230333954A1 (en) Patient assurance system and method
CN204274427U (en) Wearable old man's monitoring emergency Apparatus and system
US826963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larm validation and backup in implanted medical devices
US8457725B1 (en) Alarm testing and backup for implanted medical devices with vibration alerts
WO2009034506A1 (en) Remote status indicator for a defibrillator
US9757576B2 (en) Reliable readiness indication for a wearable defibrillator
US20100049268A1 (en) Master/slave processor configuration with fault recovery
US20210393969A1 (en) Heartstation remote monitor system
WO2004024232A1 (en) Medical device status information system
KR101631010B1 (en) Low-power operating system of AED
JP5961126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system
KR101622762B1 (en) Automated extermal defibrillator system
US20190232068A1 (en) Single use detector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CN105246546B (en) automatic power management for external defibrillator
KR101968492B1 (en) Taser aed
KR20170122909A (en) Non-Stop Guarantee Type Smart Patch
JP6656815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
CN114515388A (en) Control method of defibrillation apparatus, defibrill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4515384A (en) Defibril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defibrillation device
CN112788983A (en) Monitoring method for mobile monitoring equipment and mobile monito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