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975B1 -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975B1
KR101630975B1 KR1020140174085A KR20140174085A KR101630975B1 KR 101630975 B1 KR101630975 B1 KR 101630975B1 KR 1020140174085 A KR1020140174085 A KR 1020140174085A KR 20140174085 A KR20140174085 A KR 20140174085A KR 101630975 B1 KR101630975 B1 KR 101630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cold
martensit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서창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975B1/ko
Priority to CN201510259439.0A priority patent/CN10567144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 %로, C: 0.035~0.07%, Si: 0.3% 이하(0% 제외), Mn: 2.0~3.5%, Cr: 0.3~1.2%, Ti: 0.03~0.08%, Nb: 0.01~0.05%, Sol.Al: 0.01~0.10%, B: 0.0010~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면적분율로, 90% 이상(100% 포함)의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를 포함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3㎛ 이하이며,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및 래스 마르텐사이트(lath martensite)를 포함하며,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1㎛ 이하이고,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 중 입경이 1㎛ 이상인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5% 이하이며, 직경 10nm 이하의 석출물을 150개/㎛2 이상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EXCELLENT HOLE EXPANSI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멤버(member), 시트레일(seat rail), 필라(pillar) 등과 같은 자동차용 구조부재에 사용될 수 있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환경 규제 및 에너지 사용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동차의 연비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자동차용 강판의 고강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충격 안정성 규제가 확산되면서 차체의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멤버(member), 시트레일(seat rail), 필라(pillar) 등의 구조부재용 강판으로는 고강도 강판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강도 강판은 자동차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인장강도 대비 항복강도가 높은 즉, 항복비(항복강도/인장강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구조부재는 롤포밍 뿐만 아니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바, 상기 고강도 강판은 구멍 확장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강판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연성이 저하되어 구멍 확장성이 열화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강의 항복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속소둔시 수냉각을 실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소둔공정시 강판을 균열 후 수조(water tank)에 침적한 후 템퍼링을 수행함으로써, 미세조직으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를 가지는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수냉각시 폭방향 및 길이방향 온도 편차로 인하여 형상 품질이 열위하며, 이로 인해 롤포밍 적용시 작업성 열화 및 위치별 재질 편차 등 심각한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강의 강도 및 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의 미세조직으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및 페라이트의 복합조직을 형성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2에 의해 제조된 강판은 탄소 다량 첨가로 인해 용접성이 열위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리콘 다량 첨가에 의해 로내 덴트 유발 가능성이 염려된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5283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90432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 %로, C: 0.035~0.07%, Si: 0.3% 이하(0% 제외), Mn: 2.0~3.5%, Cr: 0.3~1.2%, Ti: 0.03~0.08%, Nb: 0.01~0.05%, Sol.Al: 0.01~0.10%, B: 0.0010~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면적분율로, 90% 이상(100% 포함)의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를 포함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3㎛ 이하이며,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및 래스 마르텐사이트(lath martensite)를 포함하며,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1㎛ 이하이고,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 중 입경이 1㎛ 이상인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5% 이하이며, 직경 10nm 이하의 석출물을 150개/㎛2 이상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 %로, C: 0.035~0.07%, Si: 0.3% 이하(0% 제외), Mn: 2.0~3.5%, Cr: 0.3~1.2%, Ti: 0.03~0.08%, Nb: 0.01~0.05%, Sol.Al: 0.01~0.10%, B: 0.0010~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780~850℃에서 연속소둔하는 단계; 상기 연속소둔된 냉연강판을 1~10℃/sec의 속도로 650~700℃까지 1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냉각된 냉연강판을 5~20℃/sec의 속도로 (Ms-100)~Ms℃까지 2차 냉각한 후,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 및 효과는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질 편차가 적고, 항복비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예 6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명예 6의 강중 석출물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항복비 및 구멍 확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조직을 확보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온조직 중 가장 높은 강도를 가지는 마르텐사이트를 주조직으로 하는 강판에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와 같이, 강판의 주조직으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소둔시 오스테나이트가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유지한 후, 급냉(수냉)하고 템퍼링 처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질 편차 및 형상 불량 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합금원소의 종류 및 함량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 확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망간 및 크롬과 같은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원소를 다량 첨가하여 낮은 냉각속도에서도 마르텐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 경우 합금원소의 다량 첨가로 인해 용접성 열화, 열연 강도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바, 본 발명자들은 용접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탄소 함량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합금 설계 결과, 마르텐사이트의 내 탄소 함량의 부족으로 항복강도가 충분히 증가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항복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깊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탄,질화물 형성원소를 적절한 양 첨가하고 제조조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미세 탄,질화물을 미세조직 내 균질하게 분포시키는 한편, 마르텐사이트 결정립 크기를 미세화함으로써 강판의 항복비 및 구멍 확장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탄소(C): 0.035~0.07중량%
탄소는 강의 강도 확보를 위해 첨가되는 원소이다. 또한, 본 발명의 냉연강판과 같은 변태조직강에서는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촉진하여 강 중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3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38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4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마르텐사이트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상대적으로 탄소 함량이 낮은 제 2상, 예컨대 페라이트와의 강도 차이가 지나치게 증가하며, 이 경우 응력 부여시 상간 계면에서 파괴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강의 신장플랜지성이 저하된다. 또한, 용접성이 열화되어 가공시 용접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 함량의 상한은 0.07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6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65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실리콘(Si): 0.3중량% 이하(0% 제외)
실리콘은 페라이트 변태를 촉진시키는 원소로써, 본 발명에서는 의도적으로 첨가하지는 않는다. 더욱이, 상기 실리콘 함량이 과다할 경우, 미변태 오스테나이트 내 탄소 함량을 증가시켜, 마르텐사이트의 강도를 낮추며, 강의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복합조직을 형성시킨다. 또한, 표면 스케일 결함을 유발하여 강판의 표면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화성처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콘 함량의 상한은 0.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2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망간(Mn): 2.0~3.5중량%
망간은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고, 강 중 S를 완전히 MnS로 석출시켜 FeS 생성에 의한 열간취성을 방지함과 더불어, 연성의 저하 없이 고용강화에 의해 강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위한 임계 냉각속도를 낮춰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2.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2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4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용접성 및 열간압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망간 함량의 상한은 3.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3.2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1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크롬(Cr): 0.3~1.2중량%
크롬은 강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강의 경화능을 향상시켜 저온 변태상인 마르텐사이트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3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4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과도한 열연 강도 향상으로 인해 냉간압연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크롬 함량의 상한은 1.2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1.1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티타늄(Ti): 0.03~0.08중량%
티타늄은 강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강 중 탄소 및/또는 질소와 결합하여 미세 탄,질화물을 형성함으로써 결정립을 미세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미세 탄,질화물은 기지조직을 강화시키고, 상간 경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강의 항복강도 및 신장플랜지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3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3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4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안니라, 과다한 탄,질화물의 형성으로 인해 강의 연성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티타늄 함량의 상한은 0.0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6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5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니오븀(Nb): 0.01~0.05중량%
니오븀은 강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강 중 탄소 및/또는 질소와 결합하여 미세 탄,질화물을 형성함으로써 결정립을 미세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미세 탄,질화물은 기지조직을 강화시키고, 상간 경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강의 항복강도 및 신장플랜지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2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3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반면,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안니라, 과다한 탄,질화물의 형성으로 인해 강의 연성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니오븀 함량의 상한은 0.0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4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35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가용 알루미늄(Sol.Al): 0.01~0.10중량%
가용 알루미늄(Al)은 강한 탈산제로서 용강 중 산소 함량을 낮추어 청정강 제조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또한, 강 중 질소와 결합하여 AlN을 석출시킴으로써 고용 질소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0.01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AlN 석출로 인해 연주시 슬라브 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용 알루미늄 함량의 상한은 0.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5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보론(B): 0.0010~0.0050중량%
보론은 냉연강판을 연속소둔한 후 냉각하는 과정에서,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로 변태되는 것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보론의 함량은 0.001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5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18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과다할 경우, 합금철 과다 형성으로 인한 불필요한 원가 상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보론 함량의 상한은 0.0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04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30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이외에 나머지는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 중 인, 황 및 질소는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불순물이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P): 0.10중량% 이하(0중량% 제외)
인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써, 결정립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해하는 주된 원인이 되는 원소이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인의 함량은 0%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황 함량의 상한을 0.10중량%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3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황(S): 0.010중량% 이하(0중량% 제외)
황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로써, 강의 연성 및 용접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는 원소이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황의 함량은 0%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황 함량의 상한을 0.01중량%로 관리함이 바람직하며, 0.005중량%로 관리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질소(N): 0.01중량% 이하(0중량% 제외)
강중 질소(N)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데 유효한 작용을 하나, AlN 형성 등을 통해 연주시 크랙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의도적으로 첨가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그 함량을 가능한 낮게 제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질소 함량의 상한은 0.0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7중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냉연강판의 바람직한 미세조직 및 석출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상기 성분조건을 만족함과 동시에 그 미세조직으로 면적분율로, 90% 이상(100% 포함)의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및 래스 마르텐사이트(lath martensite)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마르텐사이트 외 불순조직으로 페라이트(ferrite) 및 베이나이트(bainite), 그래뉼라 베이나이트(granular bainit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면적분율의 합은 10% 이하(0% 포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 중 입경이 1㎛ 이상인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비록 강 중 탄소 함량이 매우 낮아 강도 확보에 불리하나, 상기와 같이 마르텐사이트의 결정립 크기를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항복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입경이란 강판의 단면을 관찰하여 검출한 마르텐사이트의 원 상당 직경(equivalent circular diameter)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직경 10nm 이하의 석출물을 150개/㎛2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석출물이란 Ti 탄질화물, Nb 탄질화물 또는 Ti,Nb 복합 탄질화물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미세 석출물을 미세조직 내 균질하게 분포시킴으로써 마르텐사이트의 경도 향상과 더불어 상간 경도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우수한 구멍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의 경도는 350Hv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냉연강판의 상간 경도비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간 경도비란, 미세조직 중 가장 낮은 경도를 갖는 조직의 경도에 대한 가장 높은 경도를 갖는 조직의 경도의 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미세조직의 경도는 나노인덴터(nano-indenter, NT110) 기기를 이용하여 2g의 하중으로 100point를 정방형으로 3회 측정한 후,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에 의해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600MPa 이상의 항복강도, 그리고 0.8 이상의 항복비 및 50% 이상의 구멍 확장성(HER, Hole Expansion Ratio)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멤버(member), 시트레일(seat rail), 필라(pillar) 등과 같은 자동차용 구조부재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그 일 구현예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한 후,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다. 열간압연의 열간압연의 수행에 앞서,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의 온도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의 재가열온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열간압연시, 마무리압연 출구측 온도는 870~9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80~920℃일 수 있다. 마무리압연 출구측 온도가 870℃ 미만일 경우에는 열간 변형 저항이 급격히 증가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열연코일의 상(top), 하(tail)부 및 가장자리가 단상영역으로 되어 면내 이방성이 증가하고 성형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반면, 950℃를 초과할 경우, 너무 두꺼운 산화 스케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강판의 미세조직이 조대화될 우려가 있다.
이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권취온도는 600~7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50~720℃일 수 있다. 권취온도가 600℃ 미만일 경우에는 과다한 마르텐사이트 또는 베이나이트가 생성되어 열연강판의 과다한 강도 상승을 초래함으로써 냉간압연시 부하로 인한 형상불량 등의 제조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권취온도가 750℃를 초과할 경우, 표면 스케일의 증가로 산세성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후, 권취한 열연판을 산세한 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냉간압연시 압하율은 40~7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55%일 수 있다. 압하율이 40% 미만인 경우에는, 재결정 구동력이 약화되어 양호한 재결정립을 얻는데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형상교정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압연하중이 급격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강판 에지(edge)부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후, 상기 냉연강판을 연속소둔한다. 이때, 소둔온도는 냉각종료온도(후술한 1차, 2차 냉각 후 냉각종료온도)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중요하게 관리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0.80 이상의 항복비(YR) 및 50% 이상의 HER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소둔온도는 780~850℃인 것이 바람직하며, 800~8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둔온도가 780℃ 미만인 경우에는 페라이트가 다량 형성되어 항복비가 저하되며, 또한 상간 경도비가 증가하여 구멍 확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8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 소둔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로 인하여, 후술할 냉각에 의해 얻어지는 마르텐사이트의 패킷(packet) 사이즈가 증가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3㎛ 이하의 미세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후, 상기 연속소둔된 냉연강판을 1차 냉각한다. 상기 1차 냉각 단계는 페라이트 변태를 억제하여, 강판의 주조직으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1차 냉각속도는 1~10℃/sec인 것이 바람직하며, 1~5℃/sec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냉각속도가 1℃/sec 미만인 경우에는 냉각 중 페라이트 변태가 일부 발생하여 항복비가 저하되며, 또한 상간 경도비가 증가하여 구멍 확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10℃/se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일을 통판할 때 사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1차 냉각 종료온도는 650~700℃인 것이 바람직하며, 650~6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냉각종료온도가 650℃ 미만인 경우에는 코일의 사행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각속도 저하로 인해 페라이트 형성에 의한 항복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후, 상기 1차 냉각된 냉연강판을 2차 냉각한다. 본 단계는 연속소둔 공정에서 확보된 오스테나이트를 급냉을 통해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90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분율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2차 냉각속도는 5~20℃/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냉각속도가 5℃/sec 미만인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필요한 충분한 냉각능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20℃/se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급냉에 의해 코일 형상이 뒤틀리는 등 품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2차 냉각 종료온도는 (Ms-100)~Ms℃인 것이 바람직하며, (Ms-50)~M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냉각 종료온도는 코일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형상 확보와 더불어, 고항복비 및 고구멍확장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온도 조건으로서, 상기 2차 냉각 종료온도가 (Ms-100)℃ 미만인 경우에는 과시효 처리 동안 마르텐사이트의 과도한 증가로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M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둔시 생성된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지 못하고 고온 변태상인 베이나이트, 그래뉼라 베이나이트(granular bainite) 등이 생성되어 항복강도가 급격히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조직들은 항복비의 열화 뿐만 아니라, 구멍 확장성의 열화를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Ms 값은 아래 식 3로부터 계산한다.
[식 3]
Ms(℃)=561-474(wt%C)-33(wt%Mn)-17(wt%Cr)-17(wt%Ni)-21(wt%Mo)
(여기서, wt%는, 각각 해당 원소의 함량(중량%)를 의미함)
이후, 상기 2차 냉각을 완료한 후, 상기 2차 냉각 종료온도에서 과시효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과시효 처리 시간은 100~800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600초일 수 있다. 상기 과시효 처리 시간이 100초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2차 냉각에 의해 생성된 마르텐사이트가 충분히 템퍼링되지 못해 과다한 래스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얻어질 우려가 있다. 반면, 800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미세조직은 확보할 수 있으나, 과도한 템퍼링 처리로 인해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과시효 처리 후, 0.1~1.0%의 압하율로 스킨패스(skin pass)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 변태조직 강을 스킨패스 압연하는 경우 대부분 인장강도의 증가없이 50 내지 100 MPa 이상의 항복강도의 상승이 일어난다. 이때, 압하율이 0.1% 미만이면 본 발명과 같은 초고강도 강에서 형상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반면 1.0%를 초과하여 작업하게 되면 항복강도가 너무 과도하게 증가한다. 또한 고연신 작업에 의해 조업성이 크게 불안정해지므로, 스킨패스 압연시 압하율은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진공용해하고, 가열로에서 가열온도 1200℃에서 1시간 동안 재가열한 후,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열간압연 및 권취하였다. 이후, 권취된 열연강판을 산세하고, 45%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은 후,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연속소둔, 1차 냉각 및 2차 냉각하였다. 이후, 2차 냉각 종료온도에서 300초 동안 과시효 처리하였다. 이때, 1차 냉각속도는 2℃/sec, 1차 냉각 종료온도는 650℃, 2차 냉각속도는 15℃/sec로 일정하게 하였다.
이후, 제조된 각각의 냉연강판에 대하여 미세조직의 상분율, 크기 및 경도를 측정하고, 석출물의 크기 및 분포밀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JIS 5호 인장시험편을 제작하여 항복강도(YS), 인장강도(TS), 항복비(YR=YS/TS), 연신율(T-El) 및 구멍 확장성(HER)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미세조직의 상분율 및 크기, 그리고 석출물의 크기 및 분포밀도는, FE-TEM에 의해 관찰한 후, 화상해석(image analyzer) 설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미세조직의 경도는 나노인덴터(nano-indenter, NT110) 기기를 이용하여 2g의 하중으로 100point를 정방형으로 3회 측정한 후,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강종 합금 조성(중량%)
C Si Mn Cr Ti Nb B P S Al N
발명강1 0.063 0.137 2.97 1.00 0.047 0.031 0.0021 0.011 0.0034 0.026 0.004
발명강2 0.062 0.133 2.42 1.00 0.045 0.031 0.002 0.011 0.0036 0.024 0.0047
발명강3 0.043 0.139 2.94 1.00 0.044 0.031 0.002 0.011 0.0033 0.022 0.004
발명강4 0.043 0.131 2.46 1.01 0.043 0.031 0.0021 0.011 0.0032 0.023 0.0045
발명강5 0.053 0.108 2.95 0.97 0.049 0.032 0.0022 0.011 0.0023 0.031 0.0034
발명강6 0.051 0.101 2.97 0.69 0.05 0.032 0.002 0.011 0.002 0.034 0.0035
발명강7 0.062 0.125 2.99 0.52 0.048 0.032 0.0023 0.011 0.002 0.033 0.0035
발명강8 0.062 0.106 2.74 0.71 0.052 0.032 0.0025 0.011 0.002 0.04 0.0035
비교강1 0.081 0.105 2.52 0.79 0.051 0.032 0.0025 0.011 0.002 0.035 0.0035
비교강2 0.076 0.107 2.65 0.50 0.05 0.031 0.0023 0.01 0.002 0.033 0.0033
비교강3 0.077 0.102 2.63 0.67 0.049 0.03 0.0025 0.01 0.002 0.035 0.0033
비교강4 0.15 0.099 3.1 0.65 0.051 0.039 0.0035 0.011 0.003 0.037 0.0031
비교강5 0.061 0.101 1.5 0.72 0.04 0.02 0.0029 0.01 0.004 0.033 0.0031
비교강6 0.056 0.112 2.91 0.20 0.04 0.02 0.002 0.01 0.003 0.035 0.0038
비교강7 0.16 0.1 2.9 1.50 0.041 0.04 0.0024 0.01 0.003 0.03 0.0041
비교강8 0.061 1.2 2.8 0.75 0.042 0.036 0.0029 0.012 0.004 0.033 0.0033
비교강9 0.059 0.101 2.95 0.95 0.015 0 0.0031 0.011 0.003 0.036 0.0035
강종 Ms(℃) FDT(℃) CT(℃) SS(℃) RCS(℃) 비고
발명강1 416.1 880 680 820 350 발명예1
880 680 810 320 발명예2
발명강2 434.8 890 680 820 440 비교예1
880 680 820 340 발명예3
발명강3 426.6 880 680 820 350 발명예4
발명강4 442.3 880 680 820 350 발명예5
발명강5 422.0 880 680 810 350 발명예6
880 680 820 450 비교예2
발명강6 427.1 880 680 820 330 발명예7
880 650 760 350 비교예3
880 680 890 350 비교예4
발명강7 424.1 880 680 820 350 발명예8
발명강8 429.1 880 680 820 350 발명예9
비교강1 426.0 880 680 820 350 비교예5
비교강2 429.0 880 680 820 350 비교예6
비교강3 426.3 880 680 820 350 비교예7
비교강4 376.6 880 680 820 350 비교예8
비교강5 470.4 880 680 820 350 비교예9
비교강6 435.0 880 680 820 350 비교예10
비교강7 364.0 880 680 820 350 비교예11
비교강8 426.9 920 680 820 350 비교예12
비교강9 419.5 880 680 820 350 비교예13
여기서, FDT는 마무리압연 출구측 온도를 의미하고, CT는 권취온도를 의미하며, SS는 소둔온도를 의미하고, RCS는 2차 냉각 종료온도를 의미함.
강종 마르텐사이트 분율(면적%) 마르텐사이트 평균입경(㎛) 래스 마르텐사이트 평균입경(㎛) 1㎛ 이상 래스 마르텐사이트 분율(면적%) 마르텐사이트 평균 경도(Hv) 상간 경도비 석출물 분포밀도(개/㎛2) 비고
발명강1 98 1.2 0.7 2 371 1.3 183 발명예1
97 1.3 0.6 2 390 1.2 182 발명예2
발명강2 91 2.2 1.2 10 310 2.5 181 비교예1
94 1.6 0.9 2 360 1.4 175 발명예3
발명강3 97 1.1 0.7 1 385 1.2 162 발명예4
발명강4 99 1.6 0.6 0 392 1.1 158 발명예5
발명강5 100 1.3 0.8 1 359 1.3 162 발명예6
85 2.6 1.9 12 270 3.2 161 비교예2
발명강6 99 1.7 0.5 2 390 1.4 168 발명예7
82 1.9 0.8 1 250 4.2 158 비교예3
100 5 2.2 15 380 1.2 159 비교예4
발명강7 99 1.5 0.6 1 370 1.1 161 발명예8
발명강8 100 1.6 0.8 2 380 1.2 159 발명예9
비교강1 99 1.2 0.7 2 390 2.9 160 비교예5
비교강2 100 1.3 0.9 2 360 2.5 159 비교예6
비교강3 99 1.5 0.8 1 370 2.1 153 비교예7
비교강4 100 1.6 0.5 1 360 3.2 158 비교예8
비교강5 82 1.8 1.7 6 250 2.5 159 비교예9
비교강6 95 4.2 1.8 7 340 2.1 158 비교예10
비교강7 99 2.2 0.4 2 360 2.1 159 비교예11
비교강8 81 1.5 0.5 2 250 3.9 158 비교예12
비교강9 93 2.3 0.9 4 300 2.5 89 비교예13
강종 YS(MPa) TS(MPa) T-El(%) HER(%) YR 비고
발명강1 873 1003.8 9.2 55.2 0.87 발명예1
932.3 1128.5 8.0 63.2 0.83 발명예2
발명강2 566.6 886.1 11.6 39.9 0.64 비교예1
762.4 954.0 9.7 65.3 0.80 발명예3
발명강3 748.7 928.2 9.5 65.1 0.81 발명예4
발명강4 686.9 807.1 14.6 68.1 0.85 발명예5
발명강5 861.9 1081.6 8.5 70.2 0.80 발명예6
668.9 942.5 10.2 32.9 0.71 비교예2
발명강6 786.3 979.4 9.6 75.3 0.80 발명예7
593.2 921.5 10.5 21.5 0.64 비교예3
751.2 963.5 6.1 42.5 0.78 비교예4
발명강7 871.9 1081.6 6.5 68.3 0.81 발명예8
발명강8 794.4 989.2 10.6 69.5 0.80 발명예9
비교강1 625.6 998 9.2 40.2 0.63 비교예5
비교강2 660.5 1004.9 12.1 35.3 0.66 비교예6
비교강3 693.7 1032.7 8.6 33.6 0.67 비교예7
비교강4 780.6 1151.2 10.5 21.1 0.68 비교예8
비교강5 543.2 752.6 13.6 46.5 0.72 비교예9
비교강6 453.2 694.8 14.3 38.5 0.65 비교예10
비교강7 965.2 1287.6 8.6 32.5 0.75 비교예11
비교강8 785.2 1105.3 12.1 25.1 0.71 비교예12
비교강9 592.1 812.6 11.5 34.2 0.73 비교예13
표 3 및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범위와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9의 경우, 마르텐사이트 면적분율이 최소 94% 이상, 마르텐사이트 평균입경이 1.7㎛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강중에 존재하는 래쓰 마르텐사이트 크기는 0.9㎛ 이하임과 동시에 입경 1㎛ 이상의 래쓰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2면적%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마르텐사이트의 평균 경도값은 최소 350Hv 이상이었며, 상간의 경도비에서도 최대 1.4 이하로 나타났다. 한편 직경 10nm 이하의 석출물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150개/㎛2 이상을 만족하였다. 이로 인해, 발명예 1 내지 9의 경우, 항복비가 0.8 이상이며, HER이 50% 이상으로 우수한 항복비와 구멍 확장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은 발명예 6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1㎛ 이하의 미세한 래스 마르텐사이트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발명예 6의 강중 석출물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10nm 이하의 미세 석출물이 다량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및 2는 합금조성은 본 발명이 제안한 범위를 만족하지만, 제조조건 중 2차 냉각 종료온도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고온 변태상인 베이나이트, 그래뉼라 베이나이트(granular bainite) 등이 생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마르텐사이트의 경도가 낮고 상간 경도비가 높아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3은 소둔온도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하여, 이상역에서 소둔되었으며, 이로 인해 페라이트가 다량 형성되어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또한 상간 경도비가 증가하여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4는 소둔온도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고온 소둔에 따른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조대화로, 마르텐사이트의 패킷(packet) 사이즈가 증가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3㎛ 이하의 마르텐사이트 조직 및 1㎛ 이하의 래스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5 내지 8은 탄소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하였다. 이는 소둔 후 냉각하는 단계에서 생성되는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래스 마르텐사이트는 매우 안정적인 상으로써 과시효 처리에 의해더라도 그대로 잔존하며, 과시효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경우 탄소의 석출로 인해 강도가 감소하게 되므로, 상간 경도비가 높아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9는 망간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하여, 충분한 마르텐사이트 면적분율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비교예 10 및 11은 크롬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하여, 조대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12는 실리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다량의 페라이트가 형성되어 충분한 마르텐사이트 면적분율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마르텐사이트의 경도가 낮아지고 상간 경도비가 증가하여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13은 티타늄 및 니오븀의 함량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범위에 미달하였다. 상기 티타늄 및 니오븀은 강 중 탄소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시키며, 이러한 탄화물은 기지조직을 강화시켜 상간 경도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비교예 13은 티타늄 및 니오븀의 함량이 적어 충분한 석출물을 형성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항복비가 저하되었으며, 구멍 확장성이 열위하게 나타났다.

Claims (14)

  1. 중량 %로, C: 0.035~0.07%, Si: 0.3% 이하(0% 제외), Mn: 2.2~3.5%, Cr: 0.4~1.2%, Ti: 0.03~0.08%, Nb: 0.01~0.05%, Sol.Al: 0.01~0.10%, B: 0.0010~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으로 면적분율로, 90% 이상(100% 포함)의 마르텐사이트(martensite)를 포함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3㎛ 이하이며,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 및 래스 마르텐사이트(lath martensite)를 포함하며,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평균입경은 1㎛ 이하이고, 상기 래스 마르텐사이트 중 입경이 1㎛ 이상인 래스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분율이 5% 이하이며,
    직경 10nm 이하의 석출물을 150개/㎛2 이상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ferrite), 베이나이트(bainite) 및 그래뉼라 베이나이트(granular bainite)를 더 포함하고, 이들의 면적분율의 합은 10% 이하(0% 포함)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의 경도가 350Hv 이상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상간 경도비가 1.5 이하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중량%로, P: 0.10% 이하(0% 제외), S: 0.010% 이하(0% 제외) 및 N: 0.010% 이하(0% 제외)를 더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항복강도가 600MPa 이상이고, 항복비가 0.8 이상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구멍 확장성(HER, Hole Expansion Ratio)이 50% 이상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8. 중량 %로, C: 0.035~0.07%, Si: 0.3% 이하(0% 제외), Mn: 2.2~3.5%, Cr: 0.4~1.2%, Ti: 0.03~0.08%, Nb: 0.01~0.05%, Sol.Al: 0.01~0.10%, B: 0.0010~0.0050%,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냉연강판을 780~850℃에서 연속소둔하는 단계;
    상기 연속소둔된 냉연강판을 1~10℃/sec의 속도로 650~700℃까지 1차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냉각된 냉연강판을 5~20℃/sec의 속도로 (Ms-100)~Ms℃까지 2차 냉각한 후,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시, 마무리압연 출구측 온도는 870~950℃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시, 권취온도는 600~750℃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압연시, 압하율은 40~70%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과시효 처리시, 과시효 처리 시간은 100~800초인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과시효 처리 후, 0.1~1.0%의 압하율로 스킨패스 압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중량%로, P: 0.10% 이하(0% 제외), S: 0.010% 이하(0% 제외) 및 N: 0.010% 이하(0% 제외)를 더 포함하는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40174085A 2014-12-05 2014-12-05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30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85A KR101630975B1 (ko) 2014-12-05 2014-12-05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201510259439.0A CN105671447B (zh) 2014-12-05 2015-05-20 扩孔性优异的高屈服比型高强度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85A KR101630975B1 (ko) 2014-12-05 2014-12-05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975B1 true KR101630975B1 (ko) 2016-06-16

Family

ID=5635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085A KR101630975B1 (ko) 2014-12-05 2014-12-05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0975B1 (ko)
CN (1) CN10567144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11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굽힘가공성과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4766A1 (ko) * 2017-12-24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고 항복비형 고 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5589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400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편차가 적고, 신장플랜지성 및 실수율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0941468B2 (en) 2016-12-19 2021-03-09 Posco High tensile 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and stretch-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89453A (ko) * 2020-12-21 2022-06-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점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장력 냉연강판, 초고장력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223078A1 (en) * 2022-05-19 2023-11-23 Arcelormittal A martensitic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nfactur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76B1 (ko) 2017-01-20 2023-02-17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주로 베이나이트 미세조직을 갖는 복합조직상 강으로 구성된 열연 평탄형 강 제품 및 이러한 평탄형 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TWI616540B (zh) * 2017-01-26 2018-03-0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Steel plate
TWI627290B (zh) * 2017-02-02 2018-06-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Steel plate
JP6626918B2 (ja) * 2018-03-30 2019-12-25 Ntn株式会社 軸受部品
CN108486462B (zh) * 2018-03-31 2019-10-25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扩孔和弯曲性能优良的高屈强比冷轧钢板及其生产方法
JP2020012173A (ja) * 2018-07-20 2020-01-23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材
CN108950405B (zh) * 2018-08-14 2020-02-18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翻边性能的800MPa级多相钢及生产方法
CN116043109B (zh) * 2022-12-20 2024-05-14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扩孔性能980MPa级热镀锌双相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387B2 (ja) 1990-12-29 1996-08-28 日本鋼管株式会社 成形性及びストリップ形状の良好な超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法
JP2002161336A (ja) * 2000-09-12 2002-06-04 Nkk Corp 超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90432A (ja) 2008-10-08 2010-04-22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る超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5636A (ja) * 2009-06-09 2010-12-24 Kobe Steel Ltd 伸び、伸びフランジ性および溶接性を兼備した高強度冷延鋼板
KR20130140207A (ko) * 2011-05-25 2013-12-2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5966B1 (en) * 2000-09-12 2009-04-01 JFE Steel Corporation Super-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887235B2 (ja) * 2002-01-11 2007-02-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伸びフランジ性と耐衝突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4317417B2 (ja) * 2003-10-17 2009-08-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
JP5136609B2 (ja) * 2010-07-29 2013-02-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2259B1 (ko) * 2012-03-29 2014-07-02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387B2 (ja) 1990-12-29 1996-08-28 日本鋼管株式会社 成形性及びストリップ形状の良好な超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法
JP2002161336A (ja) * 2000-09-12 2002-06-04 Nkk Corp 超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90432A (ja) 2008-10-08 2010-04-22 Jfe Steel Corp 延性に優れる超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5636A (ja) * 2009-06-09 2010-12-24 Kobe Steel Ltd 伸び、伸びフランジ性および溶接性を兼備した高強度冷延鋼板
KR20130140207A (ko) * 2011-05-25 2013-12-2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1468B2 (en) 2016-12-19 2021-03-09 Posco High tensile strength steel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and stretch-flang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8117711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굽힘가공성과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2B1 (ko) 2016-12-22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굽힘가공성과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5589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407B1 (ko) * 2017-12-21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7193A (ko) * 2017-12-24 2019-07-03 주식회사 포스코 고 항복비형 고 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75216B1 (ko) * 2017-12-24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고 항복비형 고 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730651A4 (en) * 2017-12-24 2020-10-28 Posco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HIGH YIE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EM
WO2019124766A1 (ko) * 2017-12-24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고 항복비형 고 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32400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편차가 적고, 신장플랜지성 및 실수율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9453A (ko) * 2020-12-21 2022-06-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점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장력 냉연강판, 초고장력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400A1 (ko) * 2020-12-21 2022-06-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점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장력 냉연강판, 초고장력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7306B1 (ko) * 2020-12-21 2023-01-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점용접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장력 냉연강판, 초고장력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223078A1 (en) * 2022-05-19 2023-11-23 Arcelormittal A martensitic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n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71447B (zh) 2018-04-06
CN105671447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975B1 (ko)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6700398B2 (ja) 高降伏比型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36759A (ko) 구멍확장성이 높은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7087078B2 (ja) 衝突特性及び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509208A (ja) 降伏比が低く均一伸びに優れた焼戻しマルテンサイト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9265B1 (ko) 항복강도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47034B1 (ko)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0744B1 (ko) 고항복비형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7960A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0088341B (zh) 弯曲加工性和扩孔性优异的冷轧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020407B1 (ko)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0158A (ko) 열간성형용 강재, 열간성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482342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55823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2791A (ko) 형상동결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681B1 (ko) 고항복비형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1465710B (zh) 高屈强比型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767706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854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1529A (ko) 연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KR101988760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0664A (ko) 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57777A (ko) 자동차 범퍼 보강재용 초고강도 냉연강판 제조방법
KR102457019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0772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