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767B1 -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767B1
KR101630767B1 KR1020140134716A KR20140134716A KR101630767B1 KR 101630767 B1 KR101630767 B1 KR 101630767B1 KR 1020140134716 A KR1020140134716 A KR 1020140134716A KR 20140134716 A KR20140134716 A KR 20140134716A KR 101630767 B1 KR101630767 B1 KR 10163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l sensor
magnetic field
magnetic
user terminal
magnet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2203A (en
Inventor
최성민
김은중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767B1/en
Publication of KR2016004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all/Mr Element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컨택 전극, 상기 복수의 컨택 전극들을 둘러싸고 있는 센싱면, 상기 센싱면을 포함하는 홀 센서 및 상기 센싱면을 향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극성 방향은 상기 센싱면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센싱 시스템은 하나의 홀 센서를 이용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림 각도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고 자석의 극성 방향과 홀 센서의 자기장 인식 방향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using a Hall sensor and a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a sensing surface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A Hall sensor and a magnetic elemen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toward the sensing surface, wherein a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is parallel to the sensing surface. Accordingly, the sensing system can recognize the opening angle of the cover by using one hall sensor, thereby preventing the misreading of the opening angle, and by arranging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 and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hall sensor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opening angle of the opening.

Description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NTAINING SAME Technical Field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using a hall sensor,

본 발명은 홀 센서를 이용한 센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홀 센서를 이용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ing technique using a hall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an opening angle of a cover using one hall sensor.

미국등록특허 제6,701,166호는 하나의 홀 센서를 이용하여 플립 타입 또는 폴더 타입 디스플레이 단말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하는 스위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자기장의 강도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홀 센서, 홀 센서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증폭하는 가변 증폭부 및 가변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U.S. Patent No. 6,701,166 discloses a switch technique for detect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a flip type or folder type display terminal using a single Hall sensor, and a Hall sensor for generating a voltag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A variable amplification unit for amplifying the sensed signal, and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amplified signal from the variable amplification unit with a reference signal.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구현된 커버는 360도 회전이 불가능하지만, 최근 사용된 커버는 0-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홀 센서를 통해 커버의 열린 각도를 인식할 때 0도와 360도를 구분하지 못하고 0도와 360도에서 모두 닫힘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인식 또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는 홀 센서 외에 별도의 자기장 차폐 물질을 부착해야 0도 및 360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커버의 오인식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지만,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Although the cover implemented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can not rotate 360 degrees, recently used covers can rotate 0-360 degrees. However, when the open angle of the cover is recognized through the conventional Hall sensor, it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0 degrees and 360 degrees, and it can be recognized as both 0 degrees and 360 degre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misunderstandings or malfunctions, the terminal must recognize the 0 degree and the 360 degree by attaching a magnetic shielding material in addition to the Hall sensor. Such a method can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mistaken or malfunctioning, but has a problem of requiring additional cost.

미국등록특허 제6,701,166호U.S. Patent No. 6,701,16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버의 열림 각도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using a hall sensor that can prevent a misreading angle of a cover, and a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석의 극성 방향과 홀 센서의 자기장 인식 방향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하는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using a Hall sensor for recognizing the opening angle of a cover by vertically arranging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 and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hall sensor, and a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홀 센서를 통해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인식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하는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using a hall sensor for recogniz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a magnet through one Hall sensor and recognizing the opening angle of the cover, and a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홀 센서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하는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terminal using a Hall sensor for recognizing an opening angle of a cover by disposing one Hall sensor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of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a magnet, and a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 중에서, 센싱 시스템은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컨택 전극들, 상기 복수의 컨택 전극들을 둘러싸고 있는 센싱면, 상기 센싱면을 포함하는 홀 센서 및 상기 센싱면을 향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극성 방향은 상기 센싱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system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a sensing surface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a Hall sensor including the sensing surface, and a magnetic field And a polariz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is parallel to the sensing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센싱 시스템은 상기 홀 센서에 의한 자기장의 인식 방향과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극성 방향이 서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ing syste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rection of recognition of the magnetic field by the Hall sensor and the direction of polarity of the magnetic elemen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자기장으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력선의 변곡점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hall sensor may be disposed on an inflection point of at least one magnetic field line output from the magnetic fiel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와 30 ~ 7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ll sens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orming an angle of 30 to 70 degrees with the magnetic element.

상기 센싱 시스템은 상기 홀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마그네틱 소자를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면과 하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ns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hall sensor and a cover including the magnetic element,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formed 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홀 센서로부터 인식되는 자기장 세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의 세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면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may store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may have the same absolute value having different signs when the cover contacts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은 커버의 열림 각도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using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prevent the open angle of the cover from being erroneously recog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은 자석의 극성 방향과 홀 센서의 자기장 인식 방향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using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recognize the opening angle of the cover by vertically arranging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 and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hall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이용한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은 하나의 홀 센서를 통해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인식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using the hall sensor using the hall sensor and the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opening angle of the cover by recogniz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magnet through one Hall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은 하나의 홀 센서를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using the Hall sensor and the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opening angle of the cover by arranging one Hall sensor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magn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홀 센서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는 마그네틱 소자의 배치 방향에 따른 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마그네틱 소자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과 홀 센서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마그네틱 소자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마그네틱 소자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including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ll sensor.
Figs. 3 and 4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s.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in the magnetic element and a method of recognizing the hall sensor.
FIG.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magnetic elements shown in FIG. 1 are arranged horizontally. FIG.
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magnetic elements shown in FIG. 1 are arranged vertically. FIG.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including a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센싱 시스템(100)은 마그네틱 소자(110), 커버(120), 홀 센서(130) 및 사용자 단말(140)을 포함한다. 1, a sensing system 100 includes a magnetic element 110, a cover 120, a Hall sensor 130, and a user terminal 140.

마그네틱 소자(110)는 커버(120)에 포함되고, 마그네틱 소자(11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석은 N극과 S극이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20)가 열리거나 닫힐 경우, 마그네틱 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The magnetic element 110 is included in the cover 120, and the magnetic element 110 includes a 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Here, the magnet is formed such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or closed,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element 110 can be changed.

일 실시예에서,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은 홀 센서(130)에 포함된 센싱면(132)과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마그네틱 소자(110)의 N/S 극성의 방향과 홀 센서(130)의 센싱면(132)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커버(120)가 열리거나 닫힐 경우, 센싱면(132)에 입력되는 자기장 방향(210)이 달라지게 된다. 이로써, 커버(120)의 열림 각도(150) 인식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11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surface 132 included in the Hall sensor 130.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N / S polarity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Hall sensor 130 are vertically arranged so that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or closed,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210 is changed. Thereby, the opening angle 150 of the cover 120 can be easily recognized.

보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소자(110)는 홀 센서(13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마그네틱 소자(110)의 N극에서 방출되어 S극으로 향하는 포물선 형상의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마그네틱 소자(110)는 커버(120)에 부착되어 커버(120)의 개폐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해당 이동에 따라 홀 센서(130)에서 인식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gnetic element 110 is disposed apart from the hall sensor 130, and generates a parabolic magnetic field directed from the N pole of the magnetic element 110 toward the S pole. The magnetic element 110 is attached to the cover 120 and move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20.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1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ver 120.

커버(120)는 사용자 단말(140)의 디스플레이 및 외관을 보호하는 장치로서, 외부의 긁힘이나 떨어뜨림으로 인한 외관의 손상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40)의 표면을 보호한다.The cover 120 protects the display and appearance of the user terminal 140 and protects the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from external damage due to external scratches or dropping.

일 실시예에서, 커버(120)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소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20)가 열리거나 닫힐 경우, 마그네틱 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120 may comprise a magnetic element 110 comprising a 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Therefore, when the cover 120 is opened or closed,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element 110 can be changed.

커버(120)의 개폐는 마그네틱 소자(110)와 홀 센서(130) 사이의 거리 변화를 발생시킴으로써 홀 센서(130)에서 인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된다. 홀 센서(130)에서 인식되는 자기장의 세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14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송신 또는 출력될 수 있다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20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hall sensor 130 so tha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130 is changed. The strength information of the magnetic field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130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40 or transmitted or outputted to the user terminal

홀 센서(130)는 패키징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고,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 센싱면(132), 반도체 기판(133), 홀 센서 상면(134) 및 하면(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싱면(132)은 센싱 영역으로도 부를 수 있다. The Hall sensor 130 is included in a user terminal in a packaging for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1, a sensing surface 132, a semiconductor substrate 133, a Hall sensor top surface 134 and a bottom surface 135 . The sensing surface 13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nsing area.

홀 센서(130)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 및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홀 전압을 발생시키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이다.The Hall sensor 130 senses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a magnetic field by using a Hall effect that generates a Hall volta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conductor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s.

홀 센서(130)는 마그네틱 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크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40)은 자기장의 세기 정보를 저장하여 마그네틱 소자(110)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었는지,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마그네틱 소자(110)와 사용자 단말(140)이 떨어져 있을 경우, 커버(120)가 떨어져 있는 정보를 인식하여 커버의 열림 각도(150)를 인식할 수 있다. 홀 센서(130)의 동작에 관하여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hall sensor 130 recognizes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stores the recognized size information in the user terminal 140. Therefore, the user terminal 140 can store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user terminal 140 are in contact with or not 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140, When the cover 140 is apart, the cover 120 recognizes the information that the cover 120 is separated and recognizes the opening angle 150 of the cover. The operation of the hall sensor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 단말(140)은 사용자가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여러 가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단말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적인 휴대전화, 스마트폰 또는 타블렛 PC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40 corresponds to an input / output device for the user to communicate with the data processing system. 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40 may correspond to a display terminal having a display sc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40 has a display screen as an example. However, the user terminal 140 may include various user terminals. The display terminal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screen. For example, the display terminal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a general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디스플레이 단말은 커버(1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여 외부 긁힘이나 떨어졌을 때 발생되는 외관 손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할 수 있다. The display terminal can be protected by the cover 120. [ The display screen included in the display terminal can be protected to protect the display screen from external scratches or appearance damage caused when the display screen is dropped.

도 2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홀 센서(130)의 평면도(a) 및 단면도(b)를 나타낸다. 단면도는 평면도에서 A-A' 기준으로 절단한 형태이다.2 shows a top view (a) and a sectional view (b) of the hall sensor 130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The cross-sectional view is a cut in the plan view with reference to A-A '.

도 2에서, 홀 센서(130)는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 센싱면(132), 반도체 기판(133), 홀 센서 상면(134) 및 하면(135)를 포함한다. 홀 센서(130)는 반도체 기판(133)에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을 배치하고,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을 둘러싸는 형태의 센싱면(132)을 포함한다.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센싱면(132)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2, the Hall senso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1, a sensing surface 132, a semiconductor substrate 133, a Hall sensor top surface 134 and a bottom surface 135. The Hall senso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1 dispos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133 and a sensing surface 132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1. 1,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element 110 may be directed toward the sensing surface 132. [

도 2(a) 및 도 2(b)에서, 홀 센서(130)에는 P 형의 반도체 기판(133)에 전압 또는 전류를 흘려 주기 위한 N 형의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이 네 개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여러 개의 컨택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2A and 2B, the Hall sensor 130 includes four N-type contact electrodes 131 for supplying voltage or current to the P-type semiconductor substrate 13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예를 들어,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이 네 개로 형성된 경우, 두개의 컨택 전극에는 전류를 공급 받고, 나머지 두 개의 컨택 전극들은 자기장에 의해 변화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또한, 자기장 방향(210)을 센싱(감지)하기 위한 N-type의 센싱면(132)이 존재한다. 센싱면(132)은 복수의 컨택 전극들(13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센싱면(131)에 수직 방향(210)으로 입력되는 자기력 성분을 센싱(감지)할 수 있다. 즉, 센싱면(132)의 자기장 인식 방향은 센싱면(132)과 수직을 형성하므로 센싱면(132)은 반도체 기판(133)에 수직 방향의 자기장(210)을 센싱(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130)에서 반도체 기판(133)과 마그네틱 소자(131)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210)은 수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1 are formed into four, the two contact electrodes are supplied with current, and the remaining two contact electrodes measure the voltage that is changed by the magnetic field. Also, there is an N-type sensing surface 132 for sensing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210. The sensing surface 132 may surround the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1 and may sense a magnetic force component input to the sensing surface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210. That is, since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sensing surface 132 is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surface 132, the sensing surface 132 can sense the magnetic field 210 perpendicular to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33. Therefore, the direction 210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33 and the magnetic element 131 in the Hall sensor 130 should be formed vertically.

도 3과 도 4는 마그네틱 소자의 배치 방향에 따른 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면이다.Figs. 3 and 4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s. Fig.

도 3은 두 개의 컨택 전극들(131)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소자(110)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두 개의 컨택 전극들(131)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소자(110)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마그네틱 소자(110)는 하측에 N극을 상측에 S극을 배치한 형태이며, 센싱면(132)을 포함하는 홀 센서(130)의 상면(134)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N극에서 S극으로의 방향)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홀 센서(130)는 상면(134)에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입력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센싱(감지)할 수 있다. 즉, 홀 센서의 상면(134)의 자기장 인식 방향은 Y축에 해당하고, Y축 방향의 자기장 성분을 센싱(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홀 센서의 상면(134)은 X축과 Z축으로 형성된 면에 해당할 수 있다.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Y축)과 홀 센서(130)의 상면(134)의 자기장 인식 방향(Y축)이 모두 위쪽을 향하고 있어, 서로 동일하다.3 illustrates a case where a magnetic element 110 generating a magnetic field is vertically arranged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two contact electrodes 131.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a magnetic element 110 generating a magnetic field is vertically arranged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two contact electrodes 131. FIG. That is, the magnetic element 110 has an N pole on the lower side and an S pole on the upper side,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130 including the sensing surface 132. That is, the polarity direction (direction from the N pole to the S pole) of the magnetic element 110 is formed in the Y axis direction. The Hall sensor 130 can sens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in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134. That is,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corresponds to the Y axis, and the magnetic field component in the Y axis direction can be sensed (sensed). Here,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may correspond to a surface formed by the X axis and the Z axis. The polarity direction (Y-axis)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magnetic-field recognition direction (Y-axis) of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130 are both upward and the same.

또한 마그네틱 소자(110)가 부착된 커버가 360도 회전하여, 홀 센서의 하면(135)에 배치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N극에서 S극으로의 방향)은 Y축 방향이다. 그리고 홀 센서의 상면(134)의 자기장 인식 방향은 Y축에 해당하고, Y축 방향의 자기장 성분을 센싱(감지)할 수 있다. 그래서 결국,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Y축)과 홀 센서(130)의 상면(134)의 자기장 인식 방향(Y축)이 모두 위쪽으로 서로 동일하다.Similarly, when the cover to which the magnetic element 110 is attached rotates 360 degrees and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135 of the Hall sensor, the polarity direction (direction from the north pole to the south pole) of the magnetic element 110 is Y Axis direction.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corresponds to the Y axis, and the magnetic field component in the Y axis direction can be sensed (sensed). Consequently, both the polar direction (Y axis)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Y axis) of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130 are all the same upward.

따라서, 마그네틱 소자(110)가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마그네틱 소자(110)가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든, 상관없이,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Y축)과 홀 센서(130)의 자기장 인식 방향(Y축)이 모두 동일한 위쪽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홀 센서의 배치 방법에 해당하며, 마그네틱 소자(11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었는지 구분할 수 없고 실질적인 커버(120) 열림 각도(150)을 인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magnetic element 110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polarity direction (Y-axis)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hole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Y axis) of the sensor 130 is set to the same upward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magnetic element 1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Can not be recognized.

반면에, 도 4는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Y축)과 홀 센서의 상면(134)의 자기장 인식 방향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은 X축 또는 Z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 센서의 상면(134)은 X축 또는 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자기장의 인식 방향은 Y축으로서, 홀 센서의 상면(134)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X축)과 홀 센서의 상면(134)에 포함된 센싱면(132)은 서로 평행하다. 마그네틱 소자(11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할 경우, 홀 센서(130)의 센싱면(132)에 입력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마그네틱 소자(110)의 사용자 단말(140)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른 홀 센서의 인식 방법은 도 5 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Fig. 4 is realized such that the magnetic field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polarity direction (Y axis)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top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Here,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110 may be arranged in the X-axis or Z-axis direction.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is elongated in the X-axis or Z-axis direction so that the recognit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can be formed as a Y-ax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On the other hand, the polarity direction (X axis)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sensing surface 132 included in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are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magnetic element 1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input to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hall sensor 130 may be different. A method of recognizing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element 110 in the user terminal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일 실시예에서, 마그네틱 소자(110)를 포함한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홀 센서(130)는 마그네틱 소자(110)의 중앙과 겹치지 않고 홀 센서(130)의 끝 부분이 마그네틱 소자(110)의 끝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홀 센서(130)와 마그네틱 소자(110)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Hall sensor 130 does not overlap with the center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Hall sensor 130 does not overlap with the center of the magnetic element 110. In this case, The Hall sensor 130 and the magnetic element 11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end portion of the Hall element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magnetic element 110 so that the Hall element 130 and the magnetic element 110 do not overlap.

홀 센서(130)의 센싱면(132)에서 센싱(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홀 센서(130)와 마그네틱 소자(110)의 이격 거리와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홀 센서(130)와 마그네틱 소자(110)의 배치 거리는 홀 센서(130)가 인식할 수 있는 자기장의 범위 내로 한정된다.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Hall sensor 130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hall sensor 130 and the magnetic element 110. Therefore, 110 are limited within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130.

도 5는 마그네틱 소자에서 발생되는 복수의 자기력선과 홀 센서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lines of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agnetic element and a method of recognizing the hall sensor.

마그네틱 소자(110)를 통해 발생되는 자기력선(510)은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향하는 복수의 자기력선(150)이 위/아래 동일하게 발생된다. 여기서, 자기력선의 변곡점(520)은 Y축 방향의 자기장 성분(210)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추가로 변곡점(520)이란, 자기력선의 모양이 포물선을 그릴 때 그 방향이 바뀌는 위치를 말한다. 따라서, 자기력선의 변곡점(520)은 마그네틱 소자(110)의 좌/우 및 상/하에 각각 한 개씩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기력선의 변곡점(520)에 홀 센서의 센싱면(132)이 배치되어 자기장의 Y축 성분(210)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커버(120)의 열림 또는 닫힘을 인식할 수 있다. 자기장의 Y축 성분(210)은 자기장 성분이 작아질수록 센싱면(132)에서 센싱(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 또는 감도(sensitivity)가 약해질 수 있다.A magnetic force line 510 generated through the magnetic element 110 generates a plurality of magnetic force lines 150 upwardly and downwardly directed from the N-pole to the S-pole. Here, the inflection point 520 of the magnetic force lines represents a portion where the magnetic field component 210 in the Y-axis direction is generated most. Further, the inflection point 520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shape of a magnetic force line changes its direction when a parabola is drawn. Therefore, the inflection point 520 of the magnetic force lines may exist at the left / right and top / bottom of the magnetic element 110,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hall sensor is disposed at the inflection point 520 of the magnetic force line, so that the Y-axis component 210 of the magnetic field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cover 120 can be recognized. The Y-axis component 210 of the magnetic field may have a weak magnetic field intensity or sensitivity sensed on the sensing surface 132 as the magnetic field component becomes smaller.

도 5에서, 홀 센서(130)가 Y축 자기장 성분(210)의 가장 큰 곳에 배치될 경우, 센싱면(132)로 향하는 자기력선의 Y축 자기장 성분(210)과 센싱면(132)은 수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홀 센서(130)가 마그네틱 소자 (110)와 바로 아래 지점에 배치된 경우, 즉, 중첩되도록 배치될 경우, 수평 성분의 자기장 성분이 강해서 홀 센서(130)가 센싱(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세기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130)는 마그네틱 소자(110)와 최대한 겹치지 않게 배치되기 위해서 마그네틱 소자(110)의 면을 기준으로 홀 센서(130)와 이루는 각도가 30 - 70도를 형성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when the Hall sensor 130 is disposed at the greatest part of the Y-axis magnetic field component 210, the Y-axis magnetic field component 210 and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magnetic line of force toward the sensing surface 132 are perpendicular . However, when the hall sensor 130 is disposed at a position directly below the magnetic element 110, that is, when the hall sensor 130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magnetic element 110, the hall sensor 130 can sense (detect) The magnetic field strength can be weaken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ll sensor 130 is disposed so as to form an angle of 30 to 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all sensor 130 on the basis of the surface of the magnetic element 110 in order to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magnetic element 110 as much as possible Do.

도 6은 도 1에 있는 마그네틱 소자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magnetic elements shown in FIG. 1 are arranged horizontally. FIG.

도 6은 마그네틱 소자(110)의 N극과 S극의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로 자기장의 진행 방향은 왼쪽(좌)에서 오른쪽(우)으로 포물선 형상의 복수의 자기력선들(510)을 형성할 수 있다.6 shows a case in which the magnetic field is arranged horizontally with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magnetic field lines can form a plurality of parasitic magnetic lines of force 510 from the left (left) to the right have.

도 6(a)는 커버(120)의 열림 각도(150)가 0도인 경우, 즉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을 덮고 있을 때를 의미한다. 도 6(b)는 커버(120)의 열림 각도(150)가 360도인 경우로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하면으로 이동된 경우를 나타낸다. 마그네틱 소자(11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이 홀 센서로 입력될 때,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홀 센서와 만나는 자기력선(510)의 Y축 자기장 성분(211)이 홀 센서의 상면(134)에서 하면 방향(135)으로 진행된다. 6A shows a case where the opening angle 150 of the cover 120 is 0 degrees, that is, when the cover 120 is covering the user terminal 140. FIG. 6 (b) shows a case where the cover 120 is mov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when the opening angle 150 of the cover 120 is 360 degrees. When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ic element 110 is input to the Hall sensor, when the cover 1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the Y-axis magnetic field component 211 of the magnetic force line 510, And proceeds in the downward direction 135 from the upper surface 134 of the Hall sensor.

반면에 커버(120)가 가 사용자 단말(140)의 하면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홀 센서와 만나는 자기력선(510)의 Y축 자기장 성분(212)이 홀 센서의 하면(135)에서 상면(134) 방향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두 경우의 자기장 진행 방향은 서로 정 반대가 된다. 즉, 홀 센서의 센싱면(132)에서 인식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마그네틱 소자(110)를 포함하는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하게 되면 서로 다른 부호를 가지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자기장 세기가 50 mT에 해당한다면,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하면에 접촉되는 경우의 자기장의 세기는 -50 mT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130)는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촉되었는지 즉 커버(120)가 열렸는지 닫혔는지 또는 열림 각도(150)가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를 센싱(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the Y-axis magnetic field component 212 of the magnetic force line 510 which meets the Hall sensor is moved from the lower surface 135 of the hall sensor to the upper surface 134 direction Lt; / RTI > Therefore, the directions of magnetic field propagation in both cas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recognized by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hall sensor is equal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absolute value when the cover 120 including the magnetic element 110 touches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Value. ≪ / RTI > For example, when the cov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and when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50 mT, when the cov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May correspond to -50 mT. The hall sensor 130 senses whether the cov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that is, whether the cover 120 is open or closed, )can do.

도 7은 도 1에 있는 마그네틱 소자가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magnetic elements shown in FIG. 1 are arranged vertically. FIG.

도 7에서, 마그네틱 소자(1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진행 방향은 마그네틱 소자(110)의 수직 배치에 의해 자기장의 진행 방향은 하부에서 상부로 포물선 형상의 자기력선(510)을 형성한다. 따라서,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과 홀 센서의 센싱면(132)을 나란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즉, 센싱면(132)의 평행 방향은 마그네틱 소자(110)의 극성 방향과 동일한 Y축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면(132)과 수직인 X축(또는 Z축)의 자기장 성분을 가지는 자기력선(213, 214)을 센싱(감지)할 수 있다.7,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element 110 is such that the direction of magnetic field progress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by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magnetic element 110, thereby forming a parabolic line of magnetic force 510. Therefore,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110 and the sensing surface 132 of the Hall sensor must be arranged side by side. That is,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sensing surface 132 may correspond to the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110. Therefore, the magnetic force lines 213 and 214 having a magnetic field component in the X-axis (or Z-axis)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surface 132 can be sensed.

도 7(a)는 마그네틱 소자(110)가 홀 센서(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즉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도 7(b)는 마그네틱 소자(110)가 홀 센서(13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즉 커버(120)가 사용자 단말(14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마그네틱 소자(110)가 홀 센서(13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 홀 센서(130)는 서로 반대 방향의 자기장(213, 214)을 인식하게 되므로, 서로 반대의 부호를 가지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홀 센서(130)는 커버(120)의 열림 각도(150)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7 (a) shows a case where the magnetic element 1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ll sensor 130, that is, when the cover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and FIG. 7 (b) The case where the magnetic element 11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ll sensor 130, that is, the case where the cover 12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140. Therefore, when the magnetic element 11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all sensor 130, the hall sensor 130 recognizes the magnetic fields 213 and 214 opposite to each other, A magnetic field having an absolute value can be recognized. Therefore, the hole sensor 130 can prevent the open angle 150 of the cover 120 from being erroneously recognized.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센싱 시스템
110 : 마그네틱 소자 120 : 커버
130 : 홀 센서
131 : 복수의 컨택 전극들
132 : 센싱면
133: 반도체 기판
134 : 홀 센서 상면 135 : 홀 센서 하면
140 : 사용자 단말
150 : 열림 각도
210 - 214 ; Y축 성분의 자기장 방향
510 : 복수의 자기력선들
520 : 복수의 자기력선들의 변곡점
100: sensing system
110: magnetic element 120: cover
130: hall sensor
131: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132: sensing surface
133: semiconductor substrate
134: Hall sensor upper surface 135: Hall sensor
140: User terminal
150: Opening angle
210 - 214;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of the Y axis component
510: a plurality of magnetic force lines
520: inflection point of plural magnetic force lines

Claims (7)

반도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컨택 전극들;
상기 복수의 컨택 전극들을 둘러싸고 있는 센싱면;
상기 센싱면을 포함하는 홀 센서;
상기 센싱면을 향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소자;
상기 홀 센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마그네틱 소자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면과 하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 센서로부터 인식되는 자기장 세기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자기장의 세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면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나 서로 반대의 부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시스템.
A semiconductor substrate;
A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A sensing surface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ntact electrodes;
A Hall sensor including the sensing surface;
A magnetic elemen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toward the sensing surface;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hall sensor; And
And a cover including the magnetic element,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formed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stores magnetic field strength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Wherei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has the same absolute value but opposite signs when the cover contacts at least one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에 의한 자기장의 인식 방향과 상기 마그네틱 소자의 극성 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by the hall sensor and the polarity direction of the magnetic elemen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력선의 변곡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all sensor
Wherein the magnetic sensor is disposed on an inflection point of at least one magnetic force line output from the magnetic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마그네틱 소자와 30도 - 7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all sensor
Wherein the sensing ele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forming an angle of 30 degrees to 70 degrees with the magnetic el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34716A 2014-10-07 2014-10-07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630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716A KR101630767B1 (en) 2014-10-07 2014-10-07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716A KR101630767B1 (en) 2014-10-07 2014-10-07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03A KR20160042203A (en) 2016-04-19
KR101630767B1 true KR101630767B1 (en) 2016-06-16

Family

ID=5591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716A KR101630767B1 (en) 2014-10-07 2014-10-07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7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034A (en) * 2021-02-16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ic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406999A (en) * 2021-06-10 2021-09-17 歌尔智能科技有限公司 Wearable device, watchband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191A (en) *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Opto Inc Position det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92190B1 (en) * 2012-10-16 201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pouch for a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03A (en)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634B1 (en) Sensing system using hall sensor and apparatus using thereof
US9921274B2 (en) Sensing apparatus using groups of hall sensors and apparatus using the sensing apparatus
KR101946655B1 (en) Method of disposing sensor in display terminal
KR101929590B1 (en) Sensing system using plural of hall sensors arranged in 3 dimensional structure and apparatus using thereof
US9794748B2 (en)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nd mobile device
US9905964B2 (en) Magnetically aligned accessory to device connections
EP2966413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a screen and a protective cover
US10809856B2 (en) Wristwatch-type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less control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for such a device
CN104640184A (en) Screen wake-up method and device
CN103176653A (en) Handheld type device touch control display screen wrong-touch prevention method
CN103200291B (en) A kind of mobile terminal and detection method realizing folding lid state-detection
EP3144769B1 (en) Electronic device
KR101003752B1 (en) Slide type potable telephone which decides open-and-close using capacitance sensor
CN105744014A (en) Terminal and protection sleeve
KR101630767B1 (en) User terminal using hall sensor and sens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0107646B2 (en) Orientation sensor
KR102022729B1 (en) Display terminal with flip cover
JP5538704B2 (en) Magnetic detector
JP2014150060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an input-output port of electronic device
JP6502184B2 (en) Mobile phone cover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