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784B1 -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784B1
KR101628784B1 KR1020130125468A KR20130125468A KR101628784B1 KR 101628784 B1 KR101628784 B1 KR 101628784B1 KR 1020130125468 A KR1020130125468 A KR 1020130125468A KR 20130125468 A KR20130125468 A KR 20130125468A KR 101628784 B1 KR101628784 B1 KR 101628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center
center building
evalu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780A (ko
Inventor
조진균
이창근
신승호
박우평
이진영
김재헌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한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한일엠이씨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7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130)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고, 상기 평가 항목(110) 및 상기 입력목록(121)을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100); 상기 입력목록(121)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130)를 기초로 상기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계산하는 평가 수행부(200); 및 상기 평가결과(210)를 디스플레이하는 평가 출력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EVALUATION DEVICE FOR ENERGY CONSUMPTION OF DATA BUILDING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사용 효율(PUE: power usage effectiveness)은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하고 환경보전을 위해여 건물의 사용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종래 건물의 에너지 사용 효율을 측정하여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508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333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9172 등에서 제시되어 왔다.
다만, 선행기술들은 일반적인 건물을 기준으로 제시된 에너지 사용 효율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T 기기 발열이 절대적 부하요소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특히, 입력 데이터 목록의 상이성에 기인하여 입력 과정이 복잡하고, 계산방법이 실제 건물의 상황과 다른 결과를 도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업무효율을 떨어뜨리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센터 건물의 조건에 최적화되어, 데이터센터 건설 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효율 수준별, 기후대별로 유효한 요소를 고려하여 유효하고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130)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고, 상기 평가 항목(110) 및 상기 입력목록(121)을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100); 상기 입력목록(121)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130)를 기초로 상기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계산하는 평가 수행부(200); 및 상기 평가결과(210)를 디스플레이하는 평가 출력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평가 항목(110)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총 에너지 사용 효율(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서 사용되는 개별 장비의 에너지 사용 효율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중 소정의 범위에 대한 에너지 사용 효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결과(210)는 일별, 월별 또는 소정의 기간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목록(121)은 복수이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환경 조건에 관한 조건 데이터(131)를 입력받는 조건설정 입력목록(121a);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장비 데이터(132)를 입력받는 장비설정 입력목록(121b); 및 상기 조건 데이터(131) 및 상기 장비 데이터(132) 이외에,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사용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관한 기타 데이터(133)를 입력받는 기타설정 입력목록(12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데이터(131)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온도의 범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습도의 범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공조방식,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각방식,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직접취득 여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간접취득 여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급기온도 설정,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 설정,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차 설정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증발냉각 설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비 데이터(132)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동기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각탑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수 및 냉각수펌프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항온기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송풍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데이터(133)에는 외기직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가간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냉수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건식냉방에 관한 데이터, 변압기 손실에 관한 데이터, 건물공조용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조명의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국부냉방 동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입력창(120)은 정보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130)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입력목록(12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130)를 입력받는 제3 단계(S300); 상기 데이터(130)를 기초로 상기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을 계산하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평가결과(210)를 디플레이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평가 항목(110)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총 에너지 사용 효율(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서 사용되는 개별 장비의 에너지 사용 효율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중 소정의 범위에 대한 에너지 사용 효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결과(210)는 일별, 월별 또는 소정의 기간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S300)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환경 조건에 관한 조건 데이터(131)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장비 데이터(132)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 데이터(131) 및 상기 장비 데이터(132) 이외에,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사용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관한 기타 데이터(133)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데이터(131)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온도의 범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습도의 범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공조방식,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각방식,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직접취득 여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간접취득 여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급기온도 설정,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 설정,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차 설정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증발냉각 설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비 데이터(132)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동기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각탑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수 및 냉각수펌프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항온기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송풍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데이터(133)에는 외기직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가간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냉수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건식냉방에 관한 데이터, 변압기 손실에 관한 데이터, 건물공조용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조명의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국부냉방 동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물의 조건에 최적화되어, 데이터센터 건설 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수준별, 기후대별로 유효한 요소를 고려하여 유효하고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결과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를 평가하기 위한 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여 데이터센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130)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고, 평가 항목(110) 및 입력목록(121)을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100), 입력목록(121)을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130)를 기초로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계산하는 평가 수행부(200) 및 평가결과(210)를 디스플레이하는 평가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여기서, 평가 항목(110)은 데이터센터 건물의 총 에너지 사용 효율(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데이터센터 건물에서 사용되는 개별 장비의 에너지 사용 효율 및 데이터센터 건물 중 소정의 범위에 대한 에너지 사용 효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평가 항목(110)은 임의로 정하여진 소정의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의 평가결과(210)는 일별, 월별 또는 소정의 기간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기간에 관한 평가결과(210)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간별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관리 계획의 수립을 가능토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평가 관리부(100)는 평가의 주체가 되는 인증기관 담당자, 평가주관기관 담당자 등의 평가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 모듈로 인가된 사용자 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 접근제어 기능과 같은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은 인가된 사용자만이 상기 평가 관리부로 엑세스할 수 있도록 접근 제어 및 사용자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의 입력목록(121)은 복수이며, 데이터센터 건물의 환경 조건에 관한 조건 데이터(131)를 입력받는 조건설정 입력목록(121a),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장비 데이터(132)를 입력받는 장비설정 입력목록(121b) 및 조건 데이터(131) 및 장비 데이터(132) 이외에,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사용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관한 기타 데이터(133)를 입력받는 기타설정 입력목록(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데이터센터 건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입력목록(121)의 종류를 특정하고 있는 특징을 지닌다.
여기서, 조건 데이터(131)에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온도의 범위,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습도의 범위, 데이터센터 건물의 공조방식,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각방식,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직접취득 여부,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간접취득 여부, 데이터센터 건물의 급기온도 설정,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 설정,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차 설정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증발냉각 설정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건 데이터(131)를 구성하는 명시된 항목 이외에도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데이터센터 건물의 환경 조건이라도 조건 데이터(131)에 포함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장비 데이터(132)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동기에 관한 데이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각탑에 관한 데이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수 및 냉각수펌프에 관한 데이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항온기에 관한 데이터 및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송풍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비 데이터(132)를 구성하는 명시된 항목 이외에도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것이라도 장비 데이터(132)에 포함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기타 데이터(133)에는 외기직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가간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냉수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건식냉방에 관한 데이터, 변압기 손실에 관한 데이터, 건물공조용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조명의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국부냉방 동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타 데이터(133)를 구성하는 명시된 항목 이외에도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요인이라도 기타 데이터(133)에 포함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의 데이터입력창(120)은 정보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은,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는 제1 단계(S100), 데이터센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130)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입력목록(121)을 통하여 데이터(130)를 입력받는 제3 단계(S300), 데이터(130)를 기초로 상기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을 계산하는 제4 단계(S400) 및 평가결과(210)를 디플레이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평가 관리부
200 : 평가 수행부
300 : 평가 출력부

Claims (16)

  1.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여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130)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고, 상기 평가 항목(110) 및 상기 입력목록(121)을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100);
    상기 입력목록(121)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130)를 기초로 상기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계산하는 평가 수행부(200); 및
    상기 평가결과(210)를 디스플레이하는 평가 출력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관리부(100)가 상기 평가 항목(110)을 선정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평가 관리부(100)가 상기 데이터입력창(120)의 입력목록(121)을 생성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평가 관리부(100)가 상기 입력목록(121)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130)를 입력받는 제3 단계(S300);
    상기 평가 수행부(200)가 상기 데이터(130)를 기초로 상기 평가 항목(110)에 대한 평가결과(210)을 계산하는 제4 단계(S400); 및
    상기 평가 출력부(300)가 상기 평가결과(210)를 디스플레이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항목(110)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총 에너지 사용 효율(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서 사용되는 개별 장비의 에너지 사용 효율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중 소정의 범위에 대한 에너지 사용 효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결과(210)는 일별, 월별 또는 소정의 기간에 대한 평가결과(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3 단계(S300)는,
    상기 평가 관리부(100)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환경 조건에 관한 조건 데이터(131)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평가 관리부(100)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장비에 관한 장비 데이터(132)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평가 관리부(100)가 상기 조건 데이터(131) 및 상기 장비 데이터(132) 이외에,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사용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관한 기타 데이터(133)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데이터(131)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온도의 범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실내습도의 범위,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공조방식,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각방식,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직접취득 여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외부의 공기의 간접취득 여부,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급기온도 설정,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 설정,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의 냉수온도차 설정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 증발냉각 설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데이터(132)에는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동기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각탑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냉수 및 냉각수펌프에 관한 데이터,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항온기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센터 건물에 사용되는 송풍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데이터(133)에는 외기직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간접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냉수냉방에 관한 데이터, 외기건식냉방에 관한 데이터, 변압기 손실에 관한 데이터, 건물공조용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조명의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 국부냉방 동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입력창(120)은 정보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125468A 2013-10-21 2013-10-21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KR101628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468A KR101628784B1 (ko) 2013-10-21 2013-10-21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468A KR101628784B1 (ko) 2013-10-21 2013-10-21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80A KR20150045780A (ko) 2015-04-29
KR101628784B1 true KR101628784B1 (ko) 2016-06-13

Family

ID=5303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468A KR101628784B1 (ko) 2013-10-21 2013-10-21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281B1 (ko) * 2019-09-17 2020-03-17 (주)한일엠이씨 데이터 센터 건물의 냉방 에너지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583390B1 (ko) * 2020-12-23 2023-09-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존 규모로 측정된 건물의 에너지사용량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94B1 (ko) * 2011-06-23 2012-04-1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건물의 에너지 관리 방법, 관리서버 및 기록매체
JP2012190442A (ja) * 2011-03-10 2012-10-0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ータ・センタの効率分析及び最適化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90119A (ja) 2012-03-13 2013-09-26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空調機効率情報取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835A (ko) * 2011-12-02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물 에너지 관리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442A (ja) * 2011-03-10 2012-10-04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ータ・センタの効率分析及び最適化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33894B1 (ko) * 2011-06-23 2012-04-1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건물의 에너지 관리 방법, 관리서버 및 기록매체
JP2013190119A (ja) 2012-03-13 2013-09-26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空調機効率情報取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80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2872B2 (en) Managing energy in a multi-dwelling unit
Yin et al. Quantifying flexibility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loads for demand response using setpoint changes
Kapetanakis et al. Input variable selection for thermal load predictive models of commercial buildings
JP6827072B2 (ja) オンライン構成可能なシステム特定を有する建物管理システム
Lu et al. Energy savings of retrofitting residential buildings with variable air volume systems across different climates
US202100809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hvac system or an acmv system of a building
Lu et al. An integrated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existing building retrofits based on energy simul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Fernandez et al. Energy savings potential from improved building controls for the US commercial building sector
CN105378391A (zh) 针对hvac需求响应的在线优化方案
KR101762061B1 (ko)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 사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ese et al. Determination of a Building's balance point temperature as an energy characteristic
JP5799224B2 (ja) 消費エネルギー算出装置、消費エネルギー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169344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 data-driven demand response (dr) recommender
Lee et al. Applying science and mathematics to big data for smarter buildings
Sun et al. Model-based optimal control of outdoor air flow rate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with primary air-handling unit
Pfafferott et al. Thermal building behaviour in summer: long-term data evaluation using simplified models
Martinez et al. Demand-side flexibility in a residential district: What are the main sources of uncertainty?
KR101628784B1 (ko)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평가하는 장치 및 데이터센터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방법
Hua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rmal inertia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buildings for demand response
Monfet et al. Calibration of a central cooling plant model using manufacturer's data and measured input parameters and comparison with measured performance
Nikolaou et al. Review and state of the art on methodologies of buildings’ energy-efficiency classification
Cai et al. A generalized control heuristic and simplified model predictive control strategy for direct-expansion air-conditioning systems
Xu Assessing the minimum instrumentation to well tune existing medium sized office building energy models
Hossain et al. Energy audit and base case simulation of Ryerson University buildings
US20200278130A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operation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