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161B1 -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161B1
KR101626161B1 KR1020090129522A KR20090129522A KR101626161B1 KR 101626161 B1 KR101626161 B1 KR 101626161B1 KR 1020090129522 A KR1020090129522 A KR 1020090129522A KR 20090129522 A KR20090129522 A KR 20090129522A KR 101626161 B1 KR101626161 B1 KR 10162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ceiving
transmitting
powe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2544A (en
Inventor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161B1/en
Publication of KR2011007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5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저전력 동작(power sav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파워 오프(power off)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파워 오프 요청을 송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Ad-hoc 모드로 송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aving method in 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Transmitting a power off request to a transmitting device; Switching a wireless LAN mode to an Ad-hoc mode; And entering the low power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device in the Ad-hoc mode.

Description

저전력 동작 방법,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media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중파, 케이블 및 기타 외부 장치(VCR, DVD 등)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출력하는 방송 수신 유닛과 상기 처리된 미디어 신호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display device is constituted by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media signal from an airwave, a cable and other external devices (VCR, DVD, etc.),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processed media signal on the screen .

한편, 방송 수신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별도의 수신 장치를 이용해 수신한 미디어 신호를 무선 통신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방식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separately, and in recent year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received media signal is transmitted to a display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ed using a separate receiving device A display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송수신 시스템에서 저전력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low-power operation in 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using a wireless network, and a transceiv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 장치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서의 수행되며, 파워 오프(power off)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파워 오프 요청을 상기 송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Ad-hoc 모드로 상기 송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power saving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n apparatus for receiving a media signal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Transmitting the power off request to the transmitting device; Switching a wireless LAN mode to an Ad-hoc mode; And entering into a power saving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in the Ad-hoc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신 장치로 미디어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서의 수행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Ad-hoc 모드로 상기 수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dia signal to a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Switching a wireless LAN mode to an Ad-hoc mode; And entering a low power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receiving device in the Ad-hoc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송수신부; 및 파워 오프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해 상기 송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RF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RF 송수신부는 파워 오프 요청을 상 기 송신 장치로 전달한다.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P mode to the Ad-hoc mode in response to a power-off request and controlling the RF transceiver to enter a low power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wherein the RF transceiver is powered off The request is forwarded to the send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하는 RF 송수신부; 및 상기 파워 오프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해 상기 수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RF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P mode to the Ad-hoc mode in response to the power-off request reception and controlling the RF transceiver to enter the low power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recei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ceiving device.

또한, 상기 저전력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power opera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on by a computer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메시지 전송을 통해 동기화되어 Ad-hoc 모드로 전환된 후 저전력 모드(power saving mode)로 진입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수신 장치들의 저전력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are synchronized through the message transmission and are switched to the Ad-hoc mode, and then enter the power saving mode, so that the low power operation of the transmitting / ,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transmit / receive 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ceiver u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may include a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a reception apparatus 200. FIG.

도 1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공중파, 케이블(cable) 또는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디어 신호를무선 송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 a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ceives a media signal including an image from an airwave, a cable, or an external device, converts the received media signal into data capable of being wirelessly transmitted, do.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그를 위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1 이상의 무선 통신 규격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nd processes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ransmits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betwe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nd may be set in advance.

한편, 송신 장치(100)는 안테나(antenna) 또는 외부 장치들이 연결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 외부입력 단자, RGB 단자, 안테나 케이블 단자 등의 다양한 입력 단자들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 단자를 이용해 미디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 universal serial bus (USB)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external input terminal, an RGB terminal, A cable terminal, and the like, so that the media signal can be received using the input terminal.

송신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디어 신호를 변환하여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셋탑 박스(set-top box, STB)일 수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a set-top box (STB) for receiving a media signal us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verting the received media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ceived media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셋탑 박스(STB)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et top box (STB), and may include any type of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media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edia signals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100)는 컴퓨터(computer) 또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또한,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 하여 처리한 후, 미디어 신호에 포함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receive and process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n transmit the image or audio included in the media signal to an external apparatus that outputs the received signal.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100)로부터 무선 전송된 영상 신호가 엠팩(MPEG) 등과 같은 코딩 방식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 경우, 수신 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convert a video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to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output the video signal. More specifically, when a video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encoded by a coding scheme such as MPEG (MPEG) or the like, the reception apparatus 200 decodes the received video signal, And output it to a display device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예를 들어 WiHD(Wireless 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또는 WiFi(Wireless Lan) 등의 무선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Wi-Fi (Wireless HD), 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WHDi), or WiFi Media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communication standards.

상기 WiHD는 약 60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약 4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어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도 전송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WiHD는 60GHz대역의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약 1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The WiHD uses a frequency band of about 60 GHz and can transmit / receive data at a transmission rate of about 4 Gbps, so that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ompressing HD video data of 1080p (1920 × 1080). However, since the WiHD uses a high frequency in the 60 GHz b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is about 10 m, and transmission / reception quality can be easily affected by surrounding obstacles in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WHDi는 약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8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WHDi는 5GHz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3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 물들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1.8Gbps의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HD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일부 압축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The WHDi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a transmission rate of about 1.8 Gbps using a frequency band of about 5 GHz. In addition, since the WHDi uses a relatively low frequency band of 5 GHz,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is about 30 m, and transmission / reception quality may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peripheral obstacles in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D video data of 1080p (1920x1080) is to be transmitted using the WHDI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of about 1.8Gbps,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needs to compress and transmit the HD video data partially.

또한, 상기 WiFi는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54Mbp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WiFi는 2.4GHz의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므로, 송수신 거리가 약 50~200m이며, 송수신 품질이 설치 공간의 주변 장애물들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약 54Mbp의 낮은 전송 속도에 따라, 1080p(1920×1080)의 HD 영상 데이터를 상기 WiFi를 이용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는 상기 HD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수신 장치(200)에서 수신한 영상 신호에 화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Fi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a transmission rate of about 54 Mbp using the frequency band of 2.4 GHz. Since the WiFi uses a low frequency band of 2.4 GHz,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is about 50 to 200 m, and transmission / reception quality may be hardly affected by surrounding obstacles in the installation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D video data of 1080p (1920x1080) is to be transmitted using the WiFi in accordance with the low transmission rate of about 54Mbps,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compresses and transmits the HD video data, Picture quality deterioration may occur in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한편,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통신 규격들을 이용하여 미디어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variou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tooth, ZigBee, or 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a media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video and audio data using any one of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as described above.

한편,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들 중 2 이상의 규격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각각의 성능, 설치 환경, 영상의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지원 가능한 2 이상의 규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도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video and audio data using two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For example, Any one of two or more standards that can be supported may be selected and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performance, installation environment, resolution of an imag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는 무선 HDMI 또는 무선 HD 솔루션에 따라 광대역(WiHD, UWB, IEEE802.11N)의 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HD(1080i 이상)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는 HD 영상 전송의 표준 규격인 HDMI를 무선 패킷으로 변환하여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real time using HD (Wideband), UWB, and IEEE 802.11N wireless home network technologies according to a wireless HDMI or wireless HD solution. (1080i or higher)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convert HDMI, which is a standard of HD video transmission, into a wireless packet and transmit it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좀 더 구체적으로, IEEE 802.11N 기반의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 전송 가능한 대역폭이 최대 600Mbps로서 1Gbps 이상의 무압축 HD 영상 데이터보다 작아 영상 압축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IEEE 802.11N-bas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bandwidth that can be transmitted is at most 600 Mbps, which is smaller than uncompressed HD video data of 1 Gbps or more, so that an image compression technique may be requir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HD 솔루션을 수신 장치(200)에 부착하는 경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대기 모드(standby)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각각에 별도의 리모콘 수신부가 필요하여 비용이 상승하고, 장치의 작동(hot mode)을 위해 사용자가 두번 이상 리모콘을 조작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 중 어느 한 장치에서 받은 리모콘 신호로 다른 장치를 웨이크업(wakeup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when the wireless HD solution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ust be able to communicate in a standby state. Otherwise, a separate remote control receiver is required for each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reception apparatus 200, which increases the cost and troublesom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by the user twice or more for the hot mode of the apparatus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wake up another apparatus with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그러나,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중에는, 그에 구비된 무선 송신부 및 수신부도 저전력 모드(power saving mode, PS mode) 로 동작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전력 소비가 증가하여 환경 규제를 지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장치의 가격도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whil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re in the standby mode,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included therein must also operate in a power saving mode (PS mode). Otherwi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he price of the electric power supply device rise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파워 오프(power off)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요청을 입력받은 수신 장치(200)가 파워 오프 요청을 상기 송신 장치(100)로 전달하여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가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from a user,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ing the request transmits a power off request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o enter the low power mode (PS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송신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제1 신호 처리부(120), 제1 제어부(130) 및 제1 RF 송수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110,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20, a first control unit 130, And a first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도 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며, 그를 위해 안테나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선국하여 수신하는 튜너(미도시) 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HDMI, USB, 컴포넌트, RGB 등의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interface unit 110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uner (not shown) for selecting and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a data stream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or a cable (Not shown), or an input terminal such as an HDMI, a USB, a component, or an RGB for receiving a signal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수신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 송신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20 may convert the signal received by the interface unit 110 into data of a form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and output the data.

예를 들어,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를 추출하여 그로부터 다양한 채널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미도시)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AV 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 다.For example,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 data stream inpu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 and separating various channel information therefrom, And an AV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decoding the video and audio data extracted from the video and audio data.

제1 RF 송수신부(140)는 제1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한다. 그를 위해, RF 송수신부(120)는 안테나(미도시) 및 컨버터(converter, 미도시), 예를 들어 업(up) 컨버터 및 다운(down) 컨버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first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20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For this purpose, the RF transceiver unit 120 may include an antenna (not shown) and a converter (not shown), for example, an up converter and a down converter.

제1 제어부(130)는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제1 RF 송수신부(140)에 의해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eption apparatus 100 as a whole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 to the reception apparatus 200 via the first RF transmission / To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 처리부(120), 제1 제어부(130) 및 제1 RF 송수신부(140)가 송신 장치(100)에 구비되는 무선송신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송신기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 또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를 이용해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AV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120, the first control unit 130, and the first RF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transmitter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he wireless transmitter can receive AV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using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TMDS).

한편, 제1 RF 송수신부(140)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신호 송수신 동작은 무선 랜 모드에 따라 AP 모드 및 Ad-hoc 모드로 나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ed by the first RF transceiver 140 can be divided into an AP mode and an Ad-hoc mode according to a wireless LAN mode.

상기 Ad-hoc 모드는 무선 랜의 기본 단위가 되는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없이 각각의 장치가 대등한 관계로 상호 통신하는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방식일 수 있다.The Ad-hoc mode is a basic unit of a wireless LAN, and may be a peer-to-peer scheme in which devic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n equal manner without an access point (AP).

통신 가능한 영역을 BSS(Basic Service Set)라고 하는데, 상기 Ad-hoc 모드는 1개의 BSS로 구성되어 소규모의 무선 랜을 구축하는 경우에 적당한 방식으로서 BSS 모드라고도 불린다.The communicable area is referred to as a BSS (Basic Service Set). The Ad-hoc mode is also referred to as a BSS mode as a suitable method when a small-sized wireless LAN is constructed by one BSS.

상기 AP 모드는 하나의 BSS가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 장치로 구성되고, 분배 시스템으로 액세스 포인트(AP) 사이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BSS들을 하나로 묶어 서비스 할 수 있는 ESS(Extended Service Set)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IBSS 모드라고도 불린다.In the AP mode, one BSS is configured as an access point (AP) and a wireless device, and an ESS (Extended Service Set) configured to connect a plurality of BSSs by connecting the access points (AP) And is therefore also referred to as the IBSS mode.

송신 장치(100)에 구비되는 무선 송신기는 현재 상기한 바와 같은 AP모드와 Ad-hoc 모드를 변경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wireless transmitter included i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the AP mode and the Ad-hoc mode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AP 모드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패킷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휴면 상태(doze state)로 진입할 수 없어, AP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1 RF 송수신부(140)는 저전력 동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Also, in the AP mode, the access point (AP) can not enter a doze state in which packets can not be received, so that the first RF transceiver 140 operating in AP mode can not perform low power operation .

한편, 상기 Ad-hoc 모드의 경우, ATIM(Announcement Traffic Indication Message) 구간을 제외하면 상기 휴면 상태(doze State)가 될 수 있어 모든 노드가 저전력(power saving) 동작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상기 AP 모드보다 소비 전력이 감소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d-hoc mode, the Node B may be in a dormant state except for an Announcement Traffic Indication Message (ATIM) interval, so that all nodes can perform a power saving operation.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그에 반해, 상기 무선 송신기가 상기 상기 Ad-hoc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마스터(master) 노드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근접 영역에서 자신과 같은 SSID(Service Set ID)가 발견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마스터(master) 탐색 시간에 따른 장치 부팅 시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less transmitter operates in the Ad-hoc mode, when a master node transmitting a signal is not fixed and an SSID (Service Set ID) identical to itself is not found in the neighboring area The boot time of the device may be delayed due to the master search time.

또한, 송신 장치(100)가 무선 랜 또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해 PDA나 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통합하는 게 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하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가 Ad-hoc 모드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능 확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serves as a gateway for integrating connection with an external apparatus such as a PDA or a notebook using a wireless LAN or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the external apparatus transmits an Ad- hoc mode may not be supported, so there may be a problem with function expansion.

그와 더불어, IEEE 802.11N 기반의 무선 장치의 경우, 상기 Ad-hoc 모드에서 전송 능력이 조금 저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EEE 802.11N-based wireless device, the transmission capability may be slightly lowered in the Ad-hoc mod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는 상기 AP 모드에서 수신 장치(200)와 연결되어 미디어 신호를 수신 장치(200)로 무선 송신하고, 필요한 경우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 저전력 모드(PS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n the AP mode, wirelessly transmits the media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nd transmits the Ad- Mode and enter the low-power mode (PS mod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송신 장치(100)는 제2 RF 송수신부(210), 제2 신호 처리부(220) 및 제2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econd RF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10,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220, 230).

도 3을 참조하면, 제2 RF 송수신부(210)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HD, WHDi 또는 WiFi 등의 무선 통신 규격을 이용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RF transceiver 210 may receive a signal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100 connected to a network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WiHD, WHDi, or WiFi.

제2 신호 처리부(220)는 제2 RF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특정 코딩 방식, 예를 들어 엠팩(MPEG) 코딩 방식에 의해 인코딩된 데이터인 경우, 제2 신호 처리부(220)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220 process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RF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10 and outputs the processed signal. For example, when the received image data is data encoded by a specific coding scheme, for example, an MPEG (MPEG) coding scheme,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220 decodes the received image data in a displayable form And output it.

제2 제어부(230)는 수신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제2 RF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후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로 출력되도록 제2 신호 처리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ceiver 200. For example, when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RF transmitter / receiver 210 is converted into a displayable form, the second controller 230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into a display module (not shown)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220 can be controlled.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제2 RF 송수신부(140)도 AP 모드와 Ad-hoc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무선 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랜 모드는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F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40 inclu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operate in either the AP mode or the Ad-hoc mode, and the WLAN mode can be switch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200)는 상기 AP 모드로 송신 장치(100)와 연결되어 송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 저전력 모드(PS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 the AP mode and wirelessly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f necessary, the wireless LAN mode is switched to the Ad- It is preferable to enter the low power mode (PS mode).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파워 오프 요청 등이 있는 경우, 수신 장치(200)는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 저전력 모드(PS 모드)로 진입하고, 송신 장치(100)로 상기 파워 오프 요청을 전달하여 송신 장치(100)도 Ad-hoc 모드로 전환된 후 저전력 모드(PS 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user power-off request,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P mode to the Ad-hoc mode, enters the low power mode (PS mode) To transmit the power-off request so that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also enter the low-power mode (PS mode) after being switched to the Ad-hoc mode.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ow-power operation method of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to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저전력 동작 방법을 도 3에 도시된 수신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of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power operation method shown in the figure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ption apparatus 200 shown in FIG. 3, .

도 4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을 입력받는다(300 단계).Referring to FIG. 4,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 power off request from a user (operation 300).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정상 동작 중에는 무선 송수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 AP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는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또는 외부의 리모컨(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파워 오프 버튼을 눌러 수신 장치(200)가 대기 상태(standby) 에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a 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receiving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AP mode to enhance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performance. The user operates the user input unit (Not shown) or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o depress the power off button to request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o be in a standby state.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수신 장치(200)의 파워 오프를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저전력 모드 상태에 있도록 하는 사용자 요청을 받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pplied to a low power mode in which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do no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a case where a user request to make a state is received.

그 후, 수신 장치(200)의 제2 RF 송수신부(210)는 상기 입력된 파워 오프 요청을 송신 장치(100)로 전달한다(310 단계).Thereafter, the second RF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1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nput power-off request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step 310).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의 제2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파워 오프 요청이 무선 랜 패킷 형태(UDP over IEEE 802.11)로 송신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2 RF 송수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ler 23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the power off request to the second RF transceiver 210 (210) so that the user power off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 the form of a wireless LAN packet (UDP over IEEE 802.11) Can be controlled.

한편, 송신 장치(100)는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오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receiving the transmitted power-off request,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an ACK message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ower-off request.

수신 장치(200)의 제2 제어부(230)는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320 단계),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한다(330 단계).The second controller 23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d-hoc mode (step 320) and enters the low power mode (step 33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3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후, 저전력 모드(PS mode) 진입을 위해 무 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confirming that the ACK messag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second controller 230 set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d-hoc mode to enter the low power mode (PS mode) You can switch.

한편, 수신 장치(200)가 상기 전환된 Ad-hoc 모드로 송신 장치(100)와 연결된 후, 제2 제어부(230)는 수신 장치(200),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무선 랜 블럭인 제2 RF 송수신부(210)가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 the switched Ad-hoc mode, the second controlling unit 230 controls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0, which is a wireless LAN block, to enter and operate in a low power mode (PS mode).

또한, 송신 장치(100)도 상기 전달된 파워 오프 요청에 따라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enter the low-power mode (PS mode) after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d-hoc mod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ower-off request.

즉, 상기 320 단계에서,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저전력 모드(PS mode) 진입을 위해 Ad-hoc 모드로 전환되어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step 320,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switched to the Ad-hoc mode for entry into the low power mode (PS mode) and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전력 모드(PS mode)에서 송수신 장치(100, 200) 각각의 무선 랜 블럭들, 즉 제1, 2 RF 송수신부(140, 210)는 예를 들어 IEEE 802.11 스펙에 따라 BI(Beacon Interval) 마다 ATIM 구간만 풀 파워(full power)로 깨어 있고, 다른 ㅅ구간에서는 휴면 상태(doze State)로 저전력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LAN blocks of the transceivers 100 and 200 in the low power mode (PS mode), i.e., the first and second RF transceivers 140 and 210, , Only the ATIM section is awake at full power for each beacon interval (BI), and the low power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a doze state at another sec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저전력 동작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송신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low-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power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2 do.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을 전달받는다(400 단계).Referring to FIG. 5,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ceives a power off request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200 (operation 400).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정상 동작 중에는 무선 송수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 AP 모드에서 동작하며,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또는 외부의 리모컨(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의 파워 오프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a 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receiving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AP mode to enhance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performance,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has a user input unit Off request of the user through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not shown) or the like.

한편, 수신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파워 오프 요청을 무선 랜 패킷 형태(UDP over IEEE 802.11)로 송신 장치(100)로 전송하며, 송신 장치(100)의 제1 RF 송수신부(240)는 상기 패킷 형태의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power off request of the user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 the form of a wireless LAN packet (UDP over IEEE 802.11), and the first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0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may receive the packet-type power-off request.

송신 장치(100)는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오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410 단계).After transmitting the power off request,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ransmits an ACK message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ower off request (step 41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30)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ACK message)를 생성하여 제1 RF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off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e first controller 130 generates the ACK message and transmits the ACK message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first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Wireless transmission.

그 후, 송신 장치(100)의 제1 제어부(130)는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420 단계),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한다(430 단계).Thereafter, the first controller 130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d-hoc mode (step 420), and enters the low power mode (step 43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30)는 송신 장치(200)로 상기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를 전송한 후, 저전력 모드(PS mode) 진입을 위해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first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ACK message to the transmitter 200, the first controller 130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d-hoc mode to enter the low power mode (PS mode) .

한편, 송신 장치(100)가 상기 전환된 Ad-hoc 모드로 수신 장치(200)와 연결된 후, 제1 제어부(130)는 송신 장치(100),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 장치(100)에 구비된 무선 랜 블럭인 제1 RF 송수신부(140)가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하여 동 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fter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reception apparatus 200 in the switched Ad-hoc mode, the first controller 130 controls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RF transceiver 140, which is a wireless LAN block, to enter and operate in a low power mode (PS mode).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PS mode) 상태에서 동작하는 송신 장치(100) 및 수신 장치(200)를 정상 동작 모드(hot mode)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switching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operating in the low power mode (PS mode) to the normal operation mode (ho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FIG. I will explai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저전력 동작 방법을 도 3에 도시된 수신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low-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power operation method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ception apparatus 200 shown in FIG. 3 do.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파워 온(power on) 요청을 입력받는다(340 단계).Referring to FIG. 6,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 power on request from a user (operation 340).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정상 동작 중에는 무선 송수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 AP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는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또는 외부의 리모컨(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파워 온 버튼을 눌러 수신 장치(200)가 정상 동작 상태(hot mode)에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a 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receiving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AP mode to enhance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performance. The user operates the user input unit (Not shown) or an external remote control (not shown) to request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o be in a normal hot mode by pressing a power-on button.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수신 장치(200)의 파워 온를 요청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정상 동작 상태에 있도록 하는 사용자 요청을 받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re in a normal operation state in which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case where the user receives a user request to make a request.

그 후, 수신 장치(200)의 제2 RF 송수신부(210)는 상기 입력된 파워 온 요청을 송신 장치(100)로 전달한다(350 단계).Thereafter, the second RF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1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input power-on request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operation 350).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의 제2 제어부(230)는 상기 사용자의 파워 온 요청이 무선 랜 패킷 형태(UDP over IEEE 802.11)로 송신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2 RF 송수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ler 23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transmit the power-on request of the user to the second RF transceiver 210 (210) to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 the form of a wireless LAN packet (UDP over IEEE 802.11) Can be controlled.

한편, 송신 장치(100)는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온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온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receiving the power-on request,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an ACK message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ower-on request.

수신 장치(200)의 제2 제어부(230)는 저전력 모드(PS mode)를 해제한 후(360 단계),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하여 송신 장치(100)와 연결한다(370 단계).The second controller 230 of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d-hoc mode to the AP mode after releasing the low power mode (step 360) and connect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Step 370).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3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후, 현재의 저전력 모드(PS mode)를 해제하고,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P 모드로 다시 전환하여 송신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confirming that the ACK message has been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second controller 230 releases the current low power mode (PS mode) and transmit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P mod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또한, 송신 장치(100)도 상기 전달된 파워 온 요청에 따라 저전력 모드(PS mode)를 해제한 후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P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switch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P mode after releasing the low power mode (PS mod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ower-on request.

즉, 상기 370 단계에서, 송신 장치(100)와 수신 장치(200)가 저전력 모드(PS mode)를 해제하고 AP 모드로 전환되어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step 370,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release the low power mode (PS mode) and switch to the AP mode to be connected.

이 경우, 상기 AP 모드에서 송신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AP)가 되고, 수신 장치(200)는 스테이션(station)이 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의 반대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AP mod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an access point (AP),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to become a station, or vice versa.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저전력 동작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송신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power operation method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2 do.

도 7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파워 온 요청을 전달받는다(440 단계).Referring to FIG. 7,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ceives a power-on request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tep 440).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정상 동작 중에는 무선 송수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 AP 모드에서 동작하며, 수신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또는 외부의 리모컨(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의 파워 온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a normal operation in which 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he receiving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AP mode to enhance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performance,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has a user input unit The power-on request of the user can be input through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not shown) or the like.

한편, 수신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파워 온 요청을 무선 랜 패킷 형태(UDP over IEEE 802.11)로 송신 장치(100)로 전송하며, 송신 장치(100)의 제1 RF 송수신부(240)는 상기 패킷 형태의 파워 온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power-on request of the user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n the form of a wireless LAN packet (UDP over IEEE 802.11), and the first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0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may receive the packet-type power-on request.

송신 장치(100)는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온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온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ACK message)를 수신 장치(200)로 전송한다(450 단계).After receiving the power-on request,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transmits an ACK message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power-on request (operation 450).

예를 들어, 제1 제어부(130)는 수신 장치(200)로부터 파워 온 요청이 전달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ACK message)를 생성하여 제1 RF 송수신부(140)를 통해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e first controller 130 generates the ACK message and transmits the ACK message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first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40 Wireless transmission.

그 후, 송신 장치(100)의 제1 제어부(130)는 저전력 모드(PS mode)를 해제한 후(460 단계),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로 전환하여 수신 장치(200)와 연결된다(470 단계).Then, the first controller 130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leases the low power mode (step 460),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to the AP mode, a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step 470) step).

도 8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100) 및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may include a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a plurality of reception apparatuses 200, 201, and 202.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송신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신호 무선 송신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at is,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convert the received media signal into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and then wirelessly transmit the data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중 미디어 신호를 수신할 1 이상의 수신 장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외부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 장치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selects one or more receiving apparatuses from among a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to receive media signals, receives media signals received from the outside from the user, To the receiving device.

이를 위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무선전송부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전송부들(미도시)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장치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reless transmitting units (not show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and a plurality of wireless transmitting units (not shown) May wirelessly transmit video and audio data to a corresponding receiving device.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은,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각각에 있어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각각의 성능 또는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각각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규격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s for receiving data by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

한편,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의 개수보다 작 은 수,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전송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송신 장치(100)는 멀티 채널(multi-channel) 통신을 이용하여, 즉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채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have a number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for example, a single wireless transmitting unit (not shown). In this case, 100 may wirelessly transmit data using a plurality of channe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using multi-channel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 장치들(200, 201, 2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의 파워 오프 요청을 전달받고, 그에 따라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로 전환한 후 저전력 모드(PS mode)로 진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ceives a power-off request of a user from any of a plurality of receiving apparatuses 200, 201, and 202, After switching, you can enter the low power mode (PS mode).

도 9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신호 송수신 시스템 중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he descrip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shown in FIG. 9 tha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8 will be omitted below .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상기한 바와 같은 수신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receiving device 200 and the display module 510 as described above.

즉, 송신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장치(200)로 무선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구비된 수신 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의 영상 신호로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모듈(510)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receives a medi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received media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500 displays the wirelessly transmitted data Signal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module 510.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수신 장치(20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미도 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510 may display an image us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receiving device 200. The display module 5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Vacuum Fluorescent Display), and the lik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저전력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ow power ope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computer-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s well as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업그레이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upgrad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of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동작 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low power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도 9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Claims (21)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 장치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에 있어서,A low power operation method of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media signal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파워 오프(power off)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상기 파워 오프 요청을 상기 송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power off request to the transmitting device;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Switching a wireless LAN mode from an AP mode to an Ad-hoc mode; And 상기 Ad-hoc 모드로 상기 송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power saving mode)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nd entering into a power saving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in the Ad-hoc m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와 AP 모드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Wherein the receiv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 an AP mode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단계는2.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워 오프 요청을 패킷 형태로 상기 송신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시켜 전달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nd transmitting the power off request as a packet in a signal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WiHD, WHDi 및 WiFi 중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low power ope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that transmits a signal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of any one of WiHD, WHDi, and WiFi.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달되는 파워 오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Further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a response message to the transmitted power-off reque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파워 온(power on)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power on request; 상기 파워 온 요청을 상기 송신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power-on request to the transmitting device;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및Releasing the low power mode; And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nd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d-hoc mode to the AP mode. 삭제delete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신 장치로 미디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에 있어서,A low power operation method of a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dia signal to a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from the receiving device;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Switching a wireless LAN mode from an AP mode to an Ad-hoc mode; And 상기 Ad-hoc 모드로 상기 수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nd entering the low power mode after connecting to the receiver in the Ad-hoc mod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수신된 파워 오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nd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received power-off request to the receiv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파워 온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power-on request from the receiving device;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및Releasing the low power mode; And 무선 랜 모드를 Ad-hoc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장치의 저전력 동작 방법.And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d-hoc mode to the AP mode.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to 7, and 9 to 11.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 장치로부터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media signal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RF 송수신부; 및An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파워 오프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해 상기 송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RF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P mode to the Ad-hoc mode in response to the power-off request and controlling the RF transceiver to enter the low power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상기 RF 송수신부는 파워 오프 요청을 상기 송신 장치로 전달하는 수신 장치.And the RF transceiver transmits a power off request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파워 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를 해제한 후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d-hoc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해 상기 송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RF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수신 장치.In response to a power-on request,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d-hoc mode to the AP mode after releasing the low power mode, and controls the RF transceiver to b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부는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RF transceiver 상기 파워 온 요청을 상기 송신 장치로 전달하는 수신 장치.And transmits the power-on request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신 장치로 미디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A transmit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dia signal to a receiving apparatus connected via a wireless network, 상기 수신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파워 오프 요청을 수신하는 RF 송수신부; 및An R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a power off request from the receiving device; And 상기 파워 오프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랜 모드를 AP 모드에서 Ad-hoc 모드로 전환해 상기 수신 장치와 연결된 후 저전력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RF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And a controller for switching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P mode to the Ad-hoc mode in response to the power-off request reception and controlling the RF transceiver to enter the low power mod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receiv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부는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RF transceiver 상기 수신된 파워 오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 장치.And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the received power-off request to the receiving apparatu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부는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RF transceiver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파워 온 요청을 수신하는 송신 장치.And a power-on request from the receiving de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파워 온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저전력 모드를 해제한 후 무선 랜 모드를 상기 Ad-hoc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해 상기 수신 장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RF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송신 장치.In response to the power-on request, switches the wireless LAN mode from the Ad-hoc mode to the AP mode after releasing the low power mode and controls the RF transceiver to be connected to the receiv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수신부는 상기 전달하는 파워 오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장치.14. The receiving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the RF transceiver receives a response message to the transmitting power off request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KR1020090129522A 2009-12-23 2009-12-23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KR1016261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22A KR101626161B1 (en) 2009-12-23 2009-12-23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522A KR101626161B1 (en) 2009-12-23 2009-12-23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44A KR20110072544A (en) 2011-06-29
KR101626161B1 true KR101626161B1 (en) 2016-06-13

Family

ID=4440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522A KR101626161B1 (en) 2009-12-23 2009-12-23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1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800A1 (en) * 2016-10-12 2018-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negotiation in wireless la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714A (en) 2005-07-27 2007-02-08 Denso Corp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KR100705585B1 (en) 2006-01-09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access point
KR100916802B1 (en) 2004-09-21 2009-09-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618B1 (en) * 2006-11-17 2012-12-2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ethod for saving power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 based on IEEE 802.11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02B1 (en) 2004-09-21 2009-09-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7030714A (en) 2005-07-27 2007-02-08 Denso Corp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KR100705585B1 (en) 2006-01-09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access p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544A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638B1 (en) Method for receiving RF sign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151519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2265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26161B1 (en) Power saving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KR1025694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RF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AV system
KR20110085201A (en) Media signal transferring system and transferring method for the same
CN102595080B (en) TV system for transmitting wireless audio in multi-process mode
KR101636567B1 (en) Method for processing remote control signal strength,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ui et al. Wireless video streaming over UWB
KR1016352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edia signal,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KR2016007546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external device,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thereof
US202202556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av system
US117782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image data in wireless AV system
KR101560004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rece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230217294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nabling access point function and rela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KR101583386B1 (en) Software upgrade method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ing apparatus thereof
KR1016365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10032026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external device,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59735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external devic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10020683A (en) Method of changing channels and device in wireless network
KR10109927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signal,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KR20110065220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30033224A (en)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rol thereof
KR20110032155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KR20050093389A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of multicasting system bas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