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044B1 -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044B1
KR101626044B1 KR1020140015442A KR20140015442A KR101626044B1 KR 101626044 B1 KR101626044 B1 KR 101626044B1 KR 1020140015442 A KR1020140015442 A KR 1020140015442A KR 20140015442 A KR20140015442 A KR 20140015442A KR 101626044 B1 KR101626044 B1 KR 10162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over
piece
mobile device
charging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4314A (en
Inventor
이세현
Original Assignee
이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현 filed Critical 이세현
Priority to KR102014001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044B1/en
Publication of KR2015009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구조는 리어 커버(12); 상기 리어 커버(12)에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12)에서 열리고 닫히는 프론트 커버(14); 상기 프론트 커버(14)에 구비된 솔라셀(20); 상기 솔라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12)에 구비되며 모바일 기기 본체(6)에 상기 리어 커버(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6)에 구비된 배터리(8)의 단자에 접속되는 콘택트 단자(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self-charging function. The mobile devic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cover (12); A front cover (14)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via a folding operation piece (16)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rear cover (12); A solar cell 20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4; The rear cover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so that the rear cover 12 is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body 6, And a contact terminal (32)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8).

Description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0001]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0002]

본 발명은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이 가능함은 물론 무선 유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통합 설계된 새로운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self-charging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new self-charging function, .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portable phone)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팩(battery pack)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터리팩은 그 성능 및 잔류전압에 따라 휴대폰의 수신율과 통화거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팩은 수명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성능이 저하되거나 전압이 규정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통상적으로 충전장치 하우징에 상기 배터리팩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팩을 재사용하게 되는 것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 mobile device such as a portable phone is enabled to communicate with a battery pack installed therein. . In addition, since the life of the battery pack is limited, when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pack deteriorates or the voltage drop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battery pack is normally placed in the charging device housing and a voltage is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recharged battery pack is reused.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어 전용 충전기를 고정 전원(예를 들어, 건물에 구비된 전원 소켓 등)에 연결하고, 전용 충전기에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용 충전기에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접속하지 않고서도 무선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기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특2002-0083332호는 공중 전파를 받아들여 이를 변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충전 시스템이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07391호 "무선 충전 방법, 무선 충전기, 무선 충전되는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를 효율적으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다수의 전자 기기를 무선 충전할 때,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알림 신호들 간에 상호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 are a variety of methods for charging a battery for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For example, when a dedicated charger is connected to a fixed power source (for example, a power socket provided in a building) There is a way to connect. Meanwhile, in recent years, a wireless charger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has been provided without connecting a battery of a mobile device to a dedicated charger. 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0083332 is a wireless charging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an airwave and transforms it to enable charging, and a port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sam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7391 entitled "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charger, and wirelessly charged electronic device "proposes a method of efficient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And to distinguish between the notification signals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when charging.

그런데, 기존에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태양광이나 일반 조명광 등에 의한 충전과 자기장 유도 충전(전자기장 유도 충전)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한 실정이다. 즉,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태양광에 의한 배터리 충전도 할 수 있고 무선 유도 충전도 할 수 있는 통합된 수단이 지금까지는 제공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기존에는 무선 충전기와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위치가 정확하게 맞게 설치되지 못하면 무선 신호 특성상 무선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가 위치가 틀어져서 잘못 놓여지면 단위 시간당 무선 전류의 인가량이 줄어들게 되어서 배터리 충전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 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However, in the past, there have been few means for carrying out charging by the use of solar light or general illumination light, induction charging of a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field induction charging) while carrying it around. That is, an integrated means for carrying a mobile device while charging the battery by sunlight and conducting wireless induction charging, if necessary, has not been provided so far. In addition, if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are not installed correctly, wireless charging can not be perform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signal. That is, if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is misplaced,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wireless current per unit time is reduced, which lowers the battery charging efficiency and requires a long battery charging time.

한국 공개특허 특2002-0083332호(2002.11.0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83332 (published on November 2, 2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07391호(2012.10.02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7391 (published on October 22, 201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태양 전지(솔라셀)에 의한 충전이 가능함은 물론 자기장 유도에 의한 무선 유도 충전이 가능한 구조가 통합되어 구현된 새로운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및 이를 활용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정밀하게 유도 충전 패드 위치에 맞추어 셋팅하도록 신경쓰지 않더라도 원활한 무선 유도 충전이 가능하므로 무선 충전 효율을 한층 높이고 무선 충전 작업 역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ar cell module capable of being charged by a solar cell (cell) A mobile device having a new self-charging function, and a mobile device utilizing the same.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evice casing which can achiev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even more without a concern that the mobile device is precisely set to the position of the induction charging pad, The main purpose i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폴딩 작동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에서 열리고 닫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에 구비된 솔라셀; 상기 솔라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에 구비되며 모바일 기기 본체에 상기 리어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의 단자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콘택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 cover comprising: a rear cover; A front cover connected to the rear cover via a folding operation member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rear cover; A solar cell provided on the front cover; And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body in a state where the rear cover is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main bod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ain body.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self-charging function is provided.

상기 콘택트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된 통전성 콘택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리어 커버의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conductive contact terminal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상기 솔라셀과 상기 콘택트 단자는 충전 연결부를 매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충전 연결부는 상기 솔라셀에서부터 상기 폴딩 작동편을 지나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 통전선 또는 통전 회로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lar cell and the contact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harging connection portion. The charg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wire or a conductive circuit pattern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from the solar cell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인테나 클립이 탑재되어, 상기 인테나 클립과 상기 솔라셀에 연결된 상기 콘택트 단자와 상기 인테나 클립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통합되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커버의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ner clip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inner terminal, the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solar cell, and the inner clip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while being integrat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do.

상기 솔라셀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의 내부에 장착된 유도 충전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 충전 패드는 상기 솔라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접촉시에 상기 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duction charging pad connected to the solar cell and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wherein the induction charging pad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by a current applied from the solar cell, and when the battery contacts the battery, And charging is performed.

상기 유도 충전 패드는 상기 리어 커버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도 충전 패드로부터 전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uction charging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incorporated in the rear cover,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duction charging pad to the battery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연결 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단자에 상기 유도 충전 패드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and the induction charging pa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상기 리어 커버의 일측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결합 돌편; 상기 프론트 커버 일측의 폴딩 작동편에 돌편 결합홈을 확보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된 핑거편; 상기 폴딩 작동편의 상기 핑거편이 상기 결합 돌편 사이의 상기 스페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핑거편과 상기 결합 돌편을 위에서 커버하는 지지 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밴드편과 상기 결합 돌편 및 상기 핑거편이 일체형으로 융착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의 일측이 상기 폴딩 작동편을 매개로 상기 리어 커버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rear cover so as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A plurality of finger pieces provided on the folding operation pieces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to secure the flap engagement groove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and piece covering the finger piec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from above while the finger piece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is engaged with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s, And the front cov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r cover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piece.

상기 핑거편 사이의 상기 돌편 결합홈은 상기 폴딩 작동편의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갈수록 양측 사이의 거리가 점점 넓어지는 마름모꼴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돌편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적어도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역 마름모꼴 단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돌편 결합홈이 상기 결합 돌편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핑거편의 양쪽 측단부 일부가 상기 결합 돌편의 양쪽 측단부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밴드편과 상기 결합 돌편 및 상기 핑거편이 일체형으로 상호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rotruding engagement grooves between the finger pieces are formed in a rhombic groove shape in which a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protruding engagement grooves is gradually widened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from the front end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Wherein a part of both end portions of the finger piece are dispos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engagement piece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engagement groove is fitted in the engagement piec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finger piece are integrally fused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폴딩 작동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에서 열리고 닫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에 구비된 솔라셀;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솔라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트 단자; 상기 리어 커버의 상기 공간부에 결합되어 배터리의 단자가 상기 콘택트 단자에 접촉되는 모바일 기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rear cover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A front cover connected to the rear cover via a folding operation member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rear cover; A solar cell provided on the front cover; A contact terminal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rear cov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And a mobile device body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rear cover, wherein a terminal of the battery contacts the contact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커버를 닫아놓고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프론트 커버를 열어서 솔라셀을 광에 노출시켜줌으로써 솔라셀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동시에 유도 충전 패드에 배터리가 인접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배터리 충전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충전 속도가 빨라지고 충전 효율도 보다 향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솔라셀을 활용한 충전과 자기장(전자기장) 유도에 의한 무선 충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열의 발생은 최소화되어 배터리 수명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급속 충전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야외에 있을 때에나 응급시와 같이 급할 때에 신속한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라 하겠다. 특히, 주요부인 유도 충전 패드가 무선 충전기에 위치가 맞게 설치되지 않는 등의 요인에 의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류가 부족할 경우 솔라셀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해 부족 전류를 보충함으로써 충분하고 원활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이 본 발명의 큰 특징이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an be charged by the solar cell by exposing the solar cell to light by opening the front cover, if necessary, while holding the front cover clo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attery 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by wirelessly, so that the charging speed is increased and the charging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charging using the solar cell and the wireless charging by induction of the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field), the generation of heat is minimized, and the rapid charging effect can be obtained without affecting the battery life. It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t is possible to charge quickly when outdoors or in a hurry as in an emergency. Particularly, when the main charge induction charging pad is not installed in the wireless charger, the insufficient current is supplied by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solar cell.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ea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커버에 구비된 폴딩 작동편의 각 핑거편을 리어 커버에 구비된 각 결합 돌편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놓으면 1차적으로 프론트 커버와 리어 커버의 연결을 위한 작업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 밴드편과 핑거편 및 결합 돌편을 융착시켜주면 되므로, 리어 커버와 프론트 커버 사이의 연결 부분에 대한 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연결 부분의 강도가 견고하게 달성되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finger pieces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s provided in the front cover into the spaces between the engaging pieces provided on the rear cover, the work for connecting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can be performed stably and conveniently In this state, since the supporting band piece, the finger piece, and the engaging piece are fus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work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front cover, and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firmly achieved .

또한, 본 발명은 굳이 태양광이 아니더라도 형광등 빛만 있으면 야간이든 주간이든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하다. 특히, 야간에 실내에서 형광등 빛만 비출수만 있다면 솔라셀에 의해 얼마든지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 장소에서의 제한이나 시간에서의 제한과 같은 여러 가지 제약 요인을 탈피하여 만족스러운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의미가 크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rged anywhere, anytime, even if it is night light or fluorescent light, even if it is not sunlight. Particularly, since only a fluorescent lamp can be lit in the night, it can be charged by a solar cell so that it can be satisfactorily charged by avoiding various restriction factors such as restriction at the place of use and restriction on time,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폴딩 작동편에 구비된 핑거편을 리어 커버에 구비된 결합 돌편 사이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에 모바일 기기 본체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와 모바일 기기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self-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nger piece provided in the folding operation piece, which is the main part shown in Fig. 1,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self-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mobile device body to the mobile device case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case and the mobile device main body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coupled "or" connected "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리어 커버(12)의 일측에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일측이 연결된 프론트 커버(14)를 구비하여,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에 의해 리어 커버(12)로 닫히고 열리도록 구성되며,상기 프론트 커버(14)와 리어 커버(12)에는 각각 태양 전지(이하 편의상 태양 전지를 솔라셀(20)이라 함)와 자기장 유도(전자기장 유도)에 의한 무선 충전용 유도 충전 패드(40)가 통합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어 커버(12)에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을 기준으로 플립 형태로 개패되는 단일의 커버 어셈블리 구조를 가진 것에도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모바일 기기라 함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배터리(8)를 전원으로 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mobile device case having a self-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over 14 connected to one side of a rear cover 12 via a folding operation piece 16, And a solar cell 14 is attached to the front cover 14 and the rear cover 12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with the rear cover 12, ) And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for wireless charging by magnetic field induction (electromagnetic field induction) are integ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cover (14) is provided with a single cover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rear cover (12) is flip-fitt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He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obile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type of portable terminal that uses the battery 8 as a power source as well as a mobile phone.

상기 리어 커버(12)는 내부에 모바일 기기 본체(6)(예를 들어, 휴대폰 본체)가 안착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케이스 구조를 가진다. 즉, 리어 커버(12)는 리어 커버판의 둘레부에 테두리부를 구비함으로써 리어 커버판과 테두리부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케이스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어 커버(12)가 대략 사각 케이스 구조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리어 커버(1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합 돌편(13)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리어 커버(12)는 상하 좌우 측단부를 구비한 구조인데, 리어 커버(12)의 내측단에 복수개의 결합 돌편(13)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것이다. 리어 커버(12)의 테두리부 결합 돌편(13)이 배치된 측단부(내측단)은 절취된 구조의 핑거편(16a) 투입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복수개의 결합 돌편(13)이 리어 커버(12)의 내측단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리어 커버(12)를 구성하는 리어 커버판의 일측(내측단)에 복수개의 결합 돌편(13)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각각의 결합 돌편(13) 사이에는 일정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돌편(13)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적어도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역 마름모꼴 단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결합 돌편(13)은 리어 커버(12)의 좌우 양쪽 측단부 방향과 나란한 부분인 좌우 양쪽 측단부와 리어 커버(12)의 양쪽 측단부와 직교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를 구비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데, 결합 돌편(13)은 적어도 그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므로, 결합 돌편(13)을 리어 커버(12)의 측단부에서 보았을 때에 역 마름모꼴 블록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리어 커버(12)와 결합 돌편(13)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cover 12 has a case structure having a space in which a mobile device body 6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main body) can be seated. In other words, the rear cover 12 has a rim portion at the periphery of the rear cover plate, so that it has a case structure having a space portion inside by the rear cover plate and the rim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rear cover 1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ase structure.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13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cover 12 at regular intervals. The rear cover 12 has upper, lower, left, and right end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 are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rear cover 12 at regular intervals. The side end portion (inner end) where the rim engaging protrusion 13 of the rear cover 12 is disposed is provided with a closing opening portion of the cut finger 16a.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end of the rear cover 12. More specifically, the rear cover plate 1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13 are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inner end) of the rear cover plate. A certain space is ensured between each of the engaging protrusions 13. At this time, the engaging protrusion 13 has a shape of an inverted rhombic cross-sectional block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 engaging protrusions 13 are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both left and right end portions which are in parallel with both right and left end portions of the rear cover 12 and upper and lower ends perpendicular to both end portions of the rear cover 12, At lea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13 becomes gradually narrower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so that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13 is viewed from the side end portion of the rear cover 12, it forms an inverted diamond- The rear cover 1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3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리어 커버(12)에는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프론트 커버(14)가 연결된다. 리어 커버(12)의 일측(프론트 커버(14)의 내측단과 인접 배치되는 단부)에 플렉시블한 재질(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폴딩 작동편(16)이 구비되어, 폴딩 작동편(16)이 리어 커버(12)에 후술할 연결 고정수단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리어 커버(12)에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연결되어 리어 커버(12)의 앞에서 열리고 닫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프론트 커버(14)는 적절한 강성이 있는 사각판 구조이고 폴딩 작동편(16)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가죽 등의 재질)이므로,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을 기준으로 열리고 닫힌다. 프론트 커버(14)가 닫힌 상태에서는 리어 커버(12)의 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가 가려지고,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을 기준으로 열려져 있을 때에 모바일 기기가 보이게 된다.A front cover 14 is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via a folding operation piece 16. [ A folding operation piece 16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lexible material)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cover 12 (an end adjacent to the inner end of the front cover 14) The front cover 14 is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via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to be opened and closed in front of the rear cover 12 by being connected to the cover 12 via a connection fixing means do. Since the front cover 14 is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having appropriate rigidity and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is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leather) Open and close by reference. The mobile device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of the rear cover 12 is covered while the front cover 14 is closed and the mobile device is visible when the front cover 14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

본 발명에서 프론트 커버(14)의 일측(내측단)과 리어 커버(12)의 일측(내측단)을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 고정수단은 서로 융착되는 핑거편(16a)과 결합 돌편(13)을 포함한다. 지지 밴드편(18)이 연결 고정수단에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and fix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one side (inner end) of the front cover 14 and one side (inner end) of the rear cover 12 via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are provided with fingers 16a And a coupling protrusion 13. The support band piece 18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connection fixing means.

상기 결합 돌편(13)은 리어 커버(12)의 일측단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를 확보한 상태로 구비된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I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13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ide of the rear cover 12. [

상기 핑거편(16a)은 프론트 커버(14)에 구비된 폴딩 작동편(16)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프론트 커버(14) 일측의 폴딩 작동편(16)에 돌편 결합홈을 확보하도록 핑거편(16a)이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핑거편(16a) 사이의 돌편 결합홈은 폴딩 작동편(16)의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갈수록 양측 사이의 거리(상단부측과 하단부측 사이의 거리)가 점점 넓어지는 마름모꼴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돌편 결합홈은 프론트 커버(14)의 내측단에서 외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상단부측과 하단부측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마름모꼴 홈 형상을 취하고 있다.A plurality of the finger pieces 16a are provided on the folding operation pieces 16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4. [ A plurality of finger pieces 16a are provided on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4 so as to secure the flap engagement grooves.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ngagement grooves between the finger pieces 16a are formed in a rhombic groove shap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side and the lower end side)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tip end to the base end side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 In other words, the protruding engagement groove takes the shape of a diamond-like groov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side and the lower end side from the inner end to the outer end direction of the front cover 14.

상기 지지 밴드편(18)은 일정한 길이의 띠형 부재 구조를 이룬다. 지지 밴드편(18)의 길이는 리어 커버(12)에 배열된 복수개의 결합 돌편(13)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구성된다.The support band piece 18 has a band member structure of a constant length. The length of the support band piece 18 is such that it can cover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 arranged on the rear cover 12. [

따라서, 프론트 커버(14)의 내측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폴딩 작동편(16)의 핑거편(16a)이 상기 리어 커버(12)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핑거편(16a)과 결합 돌편(13)을 지지 밴드편(18)이 위에서 커버하도록 결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핑거편(16a)과 결합 돌편(13) 및 지지 밴드편(18)을 서로 융착(열에 의해 용융 융착)시킴으로써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리어 커버(12)에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 밴드편(18)과 결합 돌편(13)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융착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폴딩 작동편(16)에 이에 구비된 핑거편(16a)도 열에 의해 용융되어 융착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연성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가죽 재질 등)로 구성되어, 상기 폴딩 작동편(16)의 행거편이 각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밴드편(18)과 결합 돌편(13) 및 핑거편(16a) 부분에 히터 등으로 열을 가해주면 지지 밴드편(18)과 결합 돌편(13) 및 핑거편(16a)이 동시에 용융되고, 상기 용융 상태에서 지지 밴드편(18)과 결합 돌편(13) 및 핑거편(16a)이 경화되면서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프론트 커버(14)의 일측이 리어 커버(12)의 일측에 연결된 구조를 취하게 되며, 이처럼 폴딩 작동편(16)와 연결 고정수단을 매개로 리어 커버(12)에 연결된 프론트 커버(14)가 폴딩 작동편(16)을 중심으로 리어 커버(12) 앞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융착 작업은 내부에 히터선이 들어 있는 히팅 금형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핑거편(16a)이 각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지고 지지 밴드편(18)은 결합 돌편(13)과 핑거편(16a)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히팅 금형을 발열이 되도록 히팅 구동시키면, 지지 밴드편(18)과 결합 돌편(13) 및 핑거편(16a)이 히팅 금형의 열에 의해 동시에 용용되었다가 경화됨으로써 일체형으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finger piece 16a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protruding from the inner end of the front cover 14 is engaged wit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13 provided on the rear cover 12 The finger piece 16a and the engaging protrusion 13 are coupled to cover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from above and the finger piece 16a and the engaging piece 13 and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ront cover 14 is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via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so that the front cover 14 can be opened and closed. That is, the support band piece 18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3 are made of a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material) which can be melted and fused by heat, and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is provided with a finger piece (For example, a leather material or the like) which can be melted and fused by heat, and at the same time, a hanger piece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s 13 The support band piece 18 and the engaging protruding piece 13 and the finger piece 16a are simultaneously pressed together by heating with the heater or the like on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the engaging piece 13 and the finger piece 16a,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4 is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via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while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and the engaging piece 13 and the finger piece 16a are cured in the molten state,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and the connection and fixing means Cover 12. The front cover 14 is opened and closed forward the rear cover 12 around the folding work piece (16) connected to. On the other hand, the fusion bo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a heating mold having a heater wire therein. When the heating piece is heated and driven to generate heat in a state where the finger piece 16a is fitted in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ieces 13 and the supporting piece 18 is disposed on the engaging piece 13 and the finger piece 16a The support band piece 18, the coupling protrusion 13 and the finger piece 16a are simultaneously melted and heat-cured by the heat of the heating mold, so that they can be integrally fused.

정리하면, 프론트 커버(14)의 폴딩 작동편(16)에 구비된 복수개의 핑거편(16a)이 리어 커버(12)에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 밴드편(18)을 결합 돌편(13)과 핑거편(16a) 위에 배치한 다음 결합 돌편(13), 핑거편(16a) 및 지지 밴드편(18)을 융착시켜줌으로써 프론트 커버(14)를 리어 커버(12)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결합 돌편(13)은 역 마름모꼴 블록 형상이라서 폴딩 작동편(16)의 각 핑거편(16a)이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서로 이웃한 두 개의 결합 돌편(13)의 경사면이 핑거편(16a)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폴딩 작동편(16)의 핑거편(16a)이 이웃한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서 위로 빠질 수 있는 여지를 줄이게 되므로 프론트 커버(14)와 리어 커버(12)의 연결 과정에 있어서 편리하며, 상기 결합 돌편(13)과 핑거편(16a) 및 지지 밴드편(18)이 서로 융착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 돌편(13)이 위에서 핑거편(16a)을 잡아서 지지하는 고정턱 역할을 하므로, 상기 폴딩 작동편(16)와 리어 커버(12) 사이의 결합 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다 높이게 된다. 폴딩 작동편(16)와 리어 커버(12) 사이의 결합 부분을 강도를 보다 높인다는 것은 리어 커버(12)와 프론트 커버(14) 사이 회동 결합부의 강도를 보다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In summary, a plurality of finger pieces 16a provided on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of the front cover 14 are inserted into spaces between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13 provided on the rear cover 12,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cover 14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12). The engaging protrusions 13 are formed in an inverted diamond shape so that two engaging protrusions 13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pieces 16a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are fitted in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s 13, The front cover 14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nger piece 16a to reduce the space that the finger piece 16a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can fall off in the space between the neighboring engaging pieces 13. Therefore, The engaging protrusions 13 and the supporting band pieces 18 are fused to each other and the finger pieces 16a and the supporting band pieces 1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rength of the joint between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and the rear cover 12 is further enhanced.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and the rear cover 12 means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pivotally coupled portion between the rear cover 12 and the front cover 14. [

상기 솔라셀(20)은 프론트 커버(14)에 구비된다. 솔라셀(20)은 일정 면적의 판 구조인데, 프론트 커버(14)의 안쪽면에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4)의 안쪽면에 접착제 등의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솔라셀(20)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4)를 폴딩 작동편(16)로 열었을 때에 솔라셀(20)이 드러나게 되며, 이처럼 솔라셀(20)이 바깥으로 드러난 상태에서 광(태양광이나 일반 조명광 등)이 솔라셀(20)에 비추어져서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솔라셀(20)은 프론트 커버(14)에 장착되되 프론트 커버(14)의 바깥면에는 투광성의 보호 패널(투광이 되는 투명 패널 또는 반투명 패널)을 구비하여, 보호 패널에 의해 솔라셀(20)의 바깥면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투광성의 보호 패널에 의해 솔라셀(20)의 바깥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됨과 동시에 충전을 위한 광(즉, 태양광이나 일반 조명광 등)은 보호 패널을 투과하여 솔라셀(20)에 공급되므로, 솔라셀(20)이 광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처럼 프론트 커버(14)의 바깥면이 투광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솔라셀(20)에 충전을 위하여 프론트 커버(14)를 열어놓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 등에서 보다 좋다. 프론트 커버(14)를 열어놓지 않고 닫아놓은 그 상태에서 솔라셀(20)에 충전이 가능하므로 보다 좋은 것이다.The solar cell 20 is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4. The solar cell 20 has a plate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area and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4. [ The solar cell 20 is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4 by a known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When the front cover 14 is opened by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the solar cell 20 is exposed and light (sunlight or general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from the solar cell 20 20 to be charged. Preferably, the solar cell 20 is mounted on the front cover 14, and a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panel (a translucent transparent panel or translucent panel)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4, (20). Then, light for charging (that is, sunlight or general illumination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rotective panel to the outside of the solar cell 20 by the light-transmitting protective panel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olar cell 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solar cell 20 can be charged with light. If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4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structure,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front cover 14 for charging the solar cell 20, which is preferable for convenience of use. The solar cell 20 can be charg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14 is closed without being opened.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30)이 리어 커버(12)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는데, 인쇄회로기판(30)이 리어 커버(12)의 리어 커버판에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attach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ar cover 12.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attached to the rear cover plate of the rear cover 12 by a known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do.

상기 솔라셀(20)에는 모바일 기기 본체(6)(예를 들어, 휴대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8)의 단자에 접촉되는 콘택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콘택트부는 인쇄회로기판(30)에 탑재(솔더링 탑재)된 통전성 콘택트 단자(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통전성 재질로 구성(예를 들어, 구리로 구성)된 콘택트 단자(32)가 탑재되어 있고, 인쇄회로기판(30)의 회로 패턴은 솔라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로 패턴에 연결되도록 콘택트 단자(32)가 인쇄회로기판(30)에 탑재(솔더링 등에 의해 탑재)됨으로써 솔라셀(20)에 콘택트 단자(32)가 전기적(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택트 단자(32)는 인쇄회로기판(30)에 탑재되고, 인쇄회로기판(30)은 리어 커버(12)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솔라셀(20)과 콘택트 단자(32)는 충전 연결부를 매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충전 연결부는 솔라셀(20)에서부터 폴딩 작동편(16)을 지나서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회로 패턴에 연결)된 통전선 또는 통전 회로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솔라셀(20)에 연결된 통전선이나 통전 회로 패턴이 폴딩 작동편(16)에 내장된 상태로 지나와서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전 회로 패턴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통전 회로 패턴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0) 구조일 경우 폴딩 작동편(16)이 프론트 커버(14)의 개폐 작동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더라도 통전 상태가 훼손(단선되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통전선인 경우 자체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폴딩 작동편(16)이 프론트 커버(14)의 개폐 작동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더라도 통전선이 끊어지는 현상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인테나 클립(34)이 탑재된다. 인테나 클립(34)은 모바일 기기 본체(6)가 리어 커버(12) 내부의 공간부에 결합되었을 때에 모바일 기기의 인테나 단자(6a)에 접촉되어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인쇄회로기판(30)에 배터리(8) 충전을 위한 통전성 콘택트 단자(32)와 인테나 클립(34)이 통합되어 탑재된 구조라 할 수 있다. 결국, 콘택트 단자(32)는 솔라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어 커버(12)에 구비되며 모바일 기기 본체(6) 배면에 리어 커버(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 본체(6)에 구비된 충전용 단자(6b)에 접촉된다. 충전용 단자(6b)가 배터리(8)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솔라셀(20)에서 발생되는 전원이 배터리(8)에 공급되어 충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모바일 기기 본체(6)의 배면을 보여주고 도 5는 모바일 기기 본체(6)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모바일 기기 본체(6)를 리어 커버(12)에 결합하여, 리어 커버(12)가 모바일 기기의 배면을 이루도록 한다.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battery 8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body 6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main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conductive contact terminal (32) mounted (solder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32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made of copper), and the circuit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mounted on the solar cell 20 And the contact terminal 32 is electrically (circuit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mounted by soldering or the lik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so that the contact terminal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It can take a connected structure. That is, the contact terminal 32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12. At this time, the solar cell 20 and the contact terminal 3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harging connection unit.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from the solar cell 20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Connected to a circuit pattern) or an electric circuit pattern. The electric wire or the electric circuit pattern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may be embedded in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and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 Further, the energizing circuit pattern can take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0. It is prevented that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is folded or unfolded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cover 14 when the conductive circuit pattern has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30, . Of course, since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has its own flexibility in the case of the conductive wire,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is not folded or unfolded by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cover 14, In addition, an intenna clip 34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When the mobile device body 6 is coupled to the space inside the rear cover 12, the intenna clip 34 contacts the intenna terminal 6a of the mobile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conductive contact terminal 32 for charging the battery 8 and the intenna clip 34 are integral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The contact terminal 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and is provided on the rear cover 12. The contact terminal 32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body 6 in a state where the rear cover 12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body 6. [ And the charging terminal 6b provided in the charging terminal 6b. The charging terminal 6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8 so that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solar cell 20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8 to be charged. 4 is a rear view of the mobile device body 6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device body 6. As shown in FIG. 6, the mobile device body 6 is coupled to the rear cover 12 , And the rear cover 12 forms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솔라셀(20)에 연결되어 리어 커버(12)의 내부에 장착된 유도 충전 패드(40)를 포함한다. 유도 충전 패드(40)는 케이스 내부(예를 들어, 플라스틱 케이스 내부)에 코일이 구비된 것으로, 리어 커버(12)의 내부 공간부에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 장착된다. 유도 충전 패드(40)는 무선 충전기의 충전 패드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수신하는 코일이 내장되어 있다. 유도 충전 패드(40) 내부의 코일은 무선 충전기의 충전 패드에 구비된 1차 코일에서 생성되는 기전력에 의해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2차 코일이다. 이러한 유도 충전 패드(40)가 전력 수신기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 충전 패드(40)는 리어 커버(12)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도 충전 패드(40)로부터 전원이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서 배터리(8)(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용 배터리)에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30)에 통전성 연결 단자(36)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단자(36)에 유도 충전 패드(40)가 접속된다. 유도 충전 패드(40) 내부의 코일에 연결된 통전 스트랩(46)이 인쇄회로기판(30)의 연결 단자(36)에 연결됨으로써 솔라셀(20)에 유도 충전 패드(40)가 인쇄회로기판(30)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데, 무선 충전기에 모바일 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기의 충전 패드로부터 자기장(전자기장)이 생성되며 유도 충전 패드(40)에서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류가 생겨서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 콘택트 단자(32)로 전류가 인가되며, 콘택트 단자(32)에는 모바일 기기 본체(6)의 충전용 단자(6b)가 접촉된 경우 모바일 기기용 배터리(8)에 전원이 인가되어 배터리(8)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모바일 기기 본체(8)의 배터리 안착홈에 구비된 통전성 충전 단자(미도시)에 배터리(8)의 충전 접속 단자가 접촉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 본체(8) 및 배터리(8)가 유도 충전 패드(40)에 인접 배치된 다음, 유도 충전 패드(40)로부터 생성되는 전류가 인쇄회로기판(30)과 콘택트 단자(32) 및 모바일 기기 본체(6)의 통전성 충전 단자를 통해 배터리(8)에 인가됨으로써 배터리(8)의 무선 충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모바일 기기 본체(6)가 리어 커버(12)의 내부 공간부에 안착 결합될 때에 리어 커버(12)에 구비된 유도 충전 패드(40)에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8)가 접촉되도록 배치(또는 근접 배치)되는데, 무선 충전기가 전원 공급부에 접속(전원 소켓에 무선 충전기의 플러그가 접속됨으로써 전원 공급부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무선 충전기에 구비된 충전 패드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자기장(전자기장)이 발생되는데, 상기 리어 커버(12)가 결합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를 무선 충전기의 충전 패드에 인접 배치되도록 설치하면, 무선 충전기의 충전 패드에서 생기는 자기장(전자기장)에 의해 유도 충전 패드(40)가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라 유도 전류를 생성하고, 이러한 유도 전류는 상기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0)과 콘택트 단자(32)와 모바일 기기 본체(6)의 충전용 단자(6b) 및 배터리(8)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 통전성 충전 단자를 통해서 배터리(8)에 전류가 공급되어 배터리(8)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기기 본체(6)에 구비된 배터리(8)의 단자가 인쇄회로기판(30)에 구비된 콘택트 단자(32)에 접촉되어 솔라셀(20)에 의한 배터리(8) 충전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유도 충전 패드(40)에서는 무선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유도 충전 패드(40) 내부의 코일에 의해 유도 전류가 생성되어 배터리(8)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유도 충전 패드(40)로부터의 배터리(8) 충전은 무선 충전 방식이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uction charging pad (40) connected to a solar cell (20) and mounted inside a rear cover (12).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provided with a coil inside the case (for example, inside the plastic case),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ar cover 12 by fix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ncludes a coil for receiving an induction current generated from the charging pad of the wireless charger. The coil inside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a secondary coil that generates an induction current by a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a primary coil provided in a charging pad of the wireless charger. This induction charging pad 40 functions as a power receiver.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ncorporated in the rear cover 12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to the battery 8 (A battery for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circuit connection terminal 36 i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and the induction filling pad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36.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by connecting the energizing strap 46 connected to the coil inside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to the connection terminal 36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A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charging pad of the wireless charger in the state where the mobile device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charger, and current is generated in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battery 8 for the mobile device when the charging terminal 6b of the mobile device body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32 via the contact terminal 32 The battery 8 is charged. That is, when the charging connection terminal of the battery 8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harging terminal (not shown) provided in the battery mounting groove of the mobile device body 8, the mobile device body 8 and the battery 8 are charged The electric current generated from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ad 40 is supplied to the battery 8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and the contact terminal 32 and the conductiv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device body 6. [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8 is performed. The battery 8 of the mobile device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provided in the rear cover 12 when the mobile device body 6 is seated and engaged with the inner space of the rear cover 12 When a wireless charger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a plug of a wireless charger is connected to a power socket to connect to a power supply unit), a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while power is applied to a charging pad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er. When the mobile device to which the rear cover 12 is coupled is install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charging pad of the wireless charger,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driven by a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field) The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by the charging terminal 6b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and the contact terminal 32 and the charging terminal 6b of the mobile device body 6, Is 8,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8 through the conductivity charge terminal contact enables the power application is composed of the battery 8 is charg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of the battery 8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body 6 contacts the contact terminal 32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to charge the battery 8 by the solar cell 20 And at the same time, wireless charging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 An induction current is generated by a coil in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so that the battery 8 is charged. The charging of the battery 8 from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becomes a wireless charging metho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커버(14)를 닫아놓고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프론트 커버(14)를 열어서 솔라셀(20)을 광(태양광이나 일반 조명광 등)에 노출시켜줌으로써 솔라셀(20)에 의한 배터리(8)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동시에 유도 충전 패드(40)에 배터리(8)가 인접 배치(또는 접촉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배터리(8) 충전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충전 속도가 빨라지고 충전 효율도 보다 향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태양광이나 일반 조명광 등에 의한 충전과 자기장 유도 충전(전자기장 유도 충전)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미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솔라셀(20)을 활용한 태양광 충전 또는 일반 조명광 충전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형광등 빛에 의해서도 충분히 충전이 가능하다. 굳이 태양광이 아니더라도 형광등 빛만 있으면 야간이든 주간이든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빛이 있는 곳이면 얼마든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데에서 본 발명이 가지는 의미는 큰 것이라 하겠다. 결국,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태양광이나 상기 형광등과 같은 조명광에 의한 배터리(8) 충전도 할 수 있고 무선 유도 충전도 할 수 있는 통합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cover 14 is closed and carried, the front cover 14 is opened to expose the solar cell 20 to light (sunlight or general illumination light) The battery 8 can be charged by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8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battery 8 being disposed adjacent to (or placed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So that the charging speed is increased and the charging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means for charging with solar light or general illumination light and induction charging with a magnetic field (electromagnetic field induction chargin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llumination light charging, and the like.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charge even by fluorescent light.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t is possible to charge at any time, anywhere, whether at night or at night, even if it is not sunlight.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any amount of light in a place where light exists.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means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8 by solar light or illumination light such as a fluorescent lamp and performing wireless inductive charging while carrying the mobile device while carrying the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 커버(12) 내부에 솔라셀(20)로부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배터리(8)에 연결되는 콘택트 단자(32)와 유도 충전 패드(40)가 구비되어서, 모바일 기기 본체(6)의 배면에 리어 커버(12)를 결합하기만 하면 신경쓰지 않아도 무선 충전용 유도 충전 패드(40)가 배터리(8) 위치에 맞게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무선 충전부와 배터리(8)의 위치가 맞지 않아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8)가 위치가 틀어져서 잘못 놓여지면 단위 시간당 무선 전류의 인가량이 줄어들게 되어서 배터리(8) 충전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8) 충전 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무선 충전부인 유도 충전 패드(40)에 모바일 기기 배터리(8)를 위치를 맞추어 설치하려 노력하지 않아도 모바일 기기 본체(6) 배면에 리어 커버(12)를 결합하기만 하면 유도 충전 패드(40)와 배터리(8)가 위치가 딱 맞게 배열(콘택트 배열)되기 때문에, 배터리(8)와 무선 충전부의 위치가 잘 맞지 않아 생기는 충전 효율 저하 현상이나 충전 시간이 늘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솔라셀(20)에 의한 광 충전과 유도 충전 패드(40)에 의한 무선 충전이 통합되어 실행되는 구조라서, 야외에 있을 때나 응급시와 같이 급할 경우에 신속한 충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 본체(6)에 리어 커버(12)가 결합된 모바일 기기(휴대폰 등)를 무선 충전기에 설치하면 무선 충전기와 위치가 잘 맞지 않게 설치되어 배터리(8) 충전을 위한 전류가 모자랄 경우, 상기 솔라셀(20)에서의 집광에 의해 보충 전류를 발생시켜 배터리(8)에 공급함으로써 무선 충전시 위치 틀어짐에 의한 과부족 무선 충전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무선 충전 기능을 하는 유도 충전 패드(40)와 광에 의한 충전 기능을 하는 솔라셀(20)을 통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 기기가 무선 충전기에 제대로 위치가 맞지 않게 설치되는 등의 요인에 의해 무선 충전용 전류가 부족할 때에 솔라셀(20)이 부족한 전류를 보충하여 충분한 배터리(8)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terminal 32 and an induction charging pad 40,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8 so as to be able to be charged from the solar cell 20, are provided inside the rear cover 12, Since the wireless charging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arrang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battery 8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the rear cover 12 being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6,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ase where the charg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because the position is not matched. If the battery 8 of the mobile device is misplaced, the applied amount of the wireless current per unit time is reduced, which lowers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8 and requires a long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8. However, Only when the user attaches the rear cover 12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body 6 without attempting to position the mobile device battery 8 in the inductive charging pad 40 as a wireless charging part, 40 and the battery 8 are arranged in a proper alignment (contact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the decrease in the charging efficiency and the increase in the charging time caused by the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battery 8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charging by the solar cell 20 and wireless charging by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are integrated and execu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rapid charging operation in case of being outdoors or in a hurry such as in an emergency I h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bile device (cell phone or the like) to which the rear cover 12 is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body 6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charger, a current for charging the battery 8 The supplemental current is generated by the condensation in the solar cell 20 and supplied to the battery 8,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charging due to positional deviation during wireless charging. In summa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which performs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the solar cell 20, which performs a charging function by light, are integrated so that the mobile device is not properly positioned in the wireless charger When the wireless charging current is insufficient due to a factor, the solar cell 20 replenishes the insufficient current so that the battery 8 is sufficiently charged.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인쇄회로기판(30)에는 양쪽 두 개씩의 연결 단자(36)가 있고, 두 개씩의 연결 단자(36)는 통전 스트랩(46)에 의해 유도 충전 패드(40) 내부의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한쪽의 연결 단자(36)는 전류 단자로소 이러한 한쪽의 연결 단자(36)를 통해서는 유도 충전 패드(40)로부터 유도되는 전류가 올라와서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 콘택트 단자(32)로 인가되고, 다른 쪽의 연결 단자(36)는 엔에프 단자로서, 이러한 엔에프 단자는 인테나 클립(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 신호가 올라오도록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30)에 유도 충전 패드(40)에 연결되는 한쪽의 전류 단자와 다른 쪽의 엔에프 단자를 통합하여 구비함으로써 배터리(8) 충전 전류의 연결은 원활하면서도 모바일 기기용 안테나(인테나)의 수신 신호 감도는 보다 높이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30 has two connection terminals 36 on both sides, and the two connection terminals 36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ds 40 A current is induced from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through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s 36 to the current termina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And the other connection terminal 36 is an ENF terminal. The ENF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clip 34 so that the antenna signal is raised.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8 is smoothly connected to the antenna for the mobile device while the current terminal of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integrated with the ENF terminal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So that the received signal sensitivity of the receiver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어 커버(12)에 프론트 커버(14)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 간소해지고 편리해져서 여러 가지 좋은 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커버(14)에 구비된 폴딩 작동편(16)의 각 핑거편(16a)을 리어 커버(12)에 구비된 각 결합 돌편(13)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놓으면 1차적으로 프론트 커버(14)와 리어 커버(12)의 연결을 위한 작업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 밴드편(18)과 핑거편(16a) 및 결합 돌편(13)을 융착시켜주면 되므로, 리어 커버(12)와 프론트 커버(14) 사이의 연결 부분에 대한 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연결 부분의 강도가 견고하게 달성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밴드편(18)에는 돌편 삽입홈이 형성되어, 돌편 삽입홈을 리어 커버(12)에 구비된 결합 돌편(13)에 끼운 상태에서 그 다음의 융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돌편 삽입홈에 의해 지지 밴드편(18)을 결합 돌편(13)에 끼워놓은 상태에서 용융 융착 작업을 하면 지지 밴드편(18)이 작업중에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탈되는 일이 없어서 작업 안정성과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cover 1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is simplified and convenient, which is advantageous. Specifically, by inserting the finger pieces 16a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s 16 provided in the front cover 14 into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ieces 13 provided on the rear cover 12, The work for connecting the rear cover 14 and the rear cover 12 can be stab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and the support band piece 18 and the finger piece 16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3 are fused to each oth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ar cover 12 and the front cover 14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and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firmly achieved.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is provided with a groov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is carried out in a state where the groov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13 provided on the rear cover 12 . When the fusion splic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and piece 18 is sandwiched between the engagement piece 13 by the projecting piece insertion groov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nd piece 18 is not changed or removed during the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어 커버(12)와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리어 커버(12)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프론트 커버(14)가 통합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 어셈블리를 형성하므로, 상기 리어 커버(12)와 프론트 커버(14) 및 리어 커버(12)에 결합된 모바일 기기 본체(6)가 통합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바일 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 커버(케이스)가 필요없고, 리어 커버(12)와 프론트 커버(14) 자체가 모바일 기기의 일부로서 보호 커버(케이스) 기능을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bile device case assembly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cover 14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by means of the rear cover 12 and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so that the rear cover 12 can be opened and clo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mobile device body 6 coupled to the front cover 12, the front cover 14 and the rear cover 12 are integrated. That is, a separate protective cover (case) for housing the mobile device is not required, and the rear cover 12 and the front cover 14 themselves function as a protective cover (case) as a part of the mobile devic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6. 모바일 기기 본체 8. 배터리
12. 리어 커버 13. 결합 돌편
14. 프론트 커버 16. 폴딩 작동편
16a. 핑거편 18. 지지 밴드편
20. 솔라셀 30. 인쇄회로기판
32. 콘택트 단자 34. 인테나 클립
36. 연결 단자 40. 유도 충전 패드
6. Mobile device body 8. Battery
12. Rear cover 13. Coupling stone
14. Front cover 16. Folding operation piece
16a. Finger piece 18. Support band piece
20. Solar cell 30. Printed circuit board
32. Contact terminal 34. Antenna clip
36. Connection terminal 40. Induction charging pad

Claims (10)

리어 커버(12);
상기 리어 커버(12)에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12)에서 열리고 닫히는 프론트 커버(14);
상기 프론트 커버(14)에 구비된 솔라셀(20);
상기 솔라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12)에 구비되며 모바일 기기 본체(6)에 상기 리어 커버(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터리(8)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콘택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택트부는 인쇄회로기판(30)에 탑재된 통전성 콘택트 단자(32)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리어 커버(12)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인테나 클립(34)이 탑재되어, 상기 인테나 클립(34)과 상기 솔라셀(20)에 연결된 상기 콘택트 단자(32)와 상기 인테나 클립(34)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통합되어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커버(12)의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A rear cover 12;
A front cover (14) connected to the rear cover (12) via a folding operation piece (16)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rear cover (12);
A solar cell 20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4;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8 in a state where the rear cover 12 is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body 6, ; ≪ / RTI >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conductive contact terminal 32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12,
An intenna clip 34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so that the intenna clip 34 and the contact terminal 32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and the intenna clip 3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12) while being integrated with the rear cover (3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20)과 상기 콘택트 단자(32)는 충전 연결부를 매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충전 연결부는 상기 솔라셀(20)에서부터 상기 폴딩 작동편(16)을 지나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된 통전선 또는 통전 회로 패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lar cell 20 and the contact terminal 3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harging connection unit and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CB 20 through the folding operation member 16, 30) or a pattern of a current carrying circu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mobile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20)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 커버(12)의 내부에 장착된 유도 충전 패드(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 충전 패드(40)는 상기 솔라셀(20)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8)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duction charging pad 40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and mounted inside the rear cover 12.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connected to the solar cell 20 by a current And charging the battery (8) of the mobile device by charging the battery (8) with a self-charging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충전 패드(40)는 상기 리어 커버(12)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도 충전 패드(40)로부터 전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서 상기 배터리(8)에 인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30 built in the rear cover 12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to the battery Is applied to the main body (8) of the mobil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30)에는 연결 단자(36)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단자(36)에 상기 유도 충전 패드(40)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36), and the induction charging pad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12)의 일측에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를 확보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결합 돌편(13);
상기 프론트 커버(14) 일측의 폴딩 작동편(16)에 돌편 결합홈을 확보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된 핑거편(16a);
상기 폴딩 작동편(16)의 상기 핑거편(16a)이 상기 결합 돌편(13) 사이의 상기 스페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핑거편(16a)과 상기 결합 돌편(13)을 위에서 커버하는 지지 밴드편(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밴드편(18)과 상기 결합 돌편(13) 및 상기 핑거편(16a)이 일체형으로 융착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4)의 일측이 상기 폴딩 작동편(16)을 매개로 상기 리어 커버(12)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13) arranged on one side of the rear cover (12) so as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A plurality of finger pieces 16a provided on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4 to secure a flap engagement groove;
The supporting piece 16a covering the finger piece 16a and the engaging protrusion 13 from above in a state where the finger piece 16a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is engaged with the space between the engaging pieces 13, (18), < / RTI >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is integrally weld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3 and the finger piece 16a so that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4 is engaged with the rear cover 12 The mobile device case has a self-charging fun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편(16a) 사이의 상기 돌편 결합홈은 상기 폴딩 작동편(16)의 선단부에서 기단부측으로 갈수록 양측 사이의 거리가 점점 넓어지는 마름모꼴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돌편(13)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적어도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는 역 마름모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돌편 결합홈이 상기 결합 돌편(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핑거편(16a)의 양쪽 측단부 일부가 상기 결합 돌편(13)의 양쪽 측단부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밴드편(18)과 상기 결합 돌편(13) 및 상기 핑거편(16a)이 일체형으로 상호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ding engagement grooves between the finger pieces 16a are formed in a rhombic groove shap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tip end of the folding operation piece 16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A part of both end portions of the finger piece 16a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rhombic block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and the engaging protrusion 13 and the finger piece 16a are integrally fus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band piece 18 is disposed below both end portions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 [ Equipped mobile device case.
삭제delete
KR1020140015442A 2014-02-11 2014-02-11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KR101626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42A KR101626044B1 (en) 2014-02-11 2014-02-11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42A KR101626044B1 (en) 2014-02-11 2014-02-11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14A KR20150094314A (en) 2015-08-19
KR101626044B1 true KR101626044B1 (en) 2016-06-08

Family

ID=5405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442A KR101626044B1 (en) 2014-02-11 2014-02-11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0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8238A1 (en) * 2018-06-14 2019-12-19 Data-Vision Deferm Bvba Case for mobile phone or tabl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319B1 (en) * 2016-05-04 2017-05-15 주식회사 일광캔테크 Smartphone self-charging app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32A (en) 2001-04-27 2002-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Control and Port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It
KR101789540B1 (en) 2011-03-21 201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Wirelessly charging battery,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06348A (en) * 2013-02-25 2014-09-0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Smart Phone Case Using Thin Film Solar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8238A1 (en) * 2018-06-14 2019-12-19 Data-Vision Deferm Bvba Case for mobile phone or tablet
WO2019238290A1 (en) * 2018-06-14 2019-12-19 Data-Vision Deferm Bvba Case for mobile phone or tab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14A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007B1 (en) 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JP4925393B2 (en) Configur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power wirelessly
JP5937387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12221854A (en) Battery pack with output connector
EP2693591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10040622A (en) Portable charging case for mobile phone
JP2011087391A (en) Mobile device charging base, mobile device, and charging base
TWI748585B (en) Watch case back with a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of a power source
TWM505113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glass back cover structure
US20150115724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201316651A (en) Charger
CN203761100U (en) Mobile power supply
KR20170028137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626044B1 (en) Mobile terminal case with self-charge function
US20140239888A1 (en) Wireless charger
KR101447950B1 (en) Wireless electric charger
KR20170020058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N209823830U (en) Protective shell of handheld device
KR20210008619A (en) Cover for Electronic Cigarette
CN212630115U (en) Wearable equipment
JP2013183499A (en) Portable type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emitting unit detachable thereto
CN108899721B (en) Charging interconnection module
CN203151149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supply
CN213817358U (en) Portable charging and lighting integrated combination device
KR101709868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