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481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481B1
KR101622481B1 KR1020140163852A KR20140163852A KR101622481B1 KR 101622481 B1 KR101622481 B1 KR 101622481B1 KR 1020140163852 A KR1020140163852 A KR 1020140163852A KR 20140163852 A KR20140163852 A KR 20140163852A KR 101622481 B1 KR101622481 B1 KR 10162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bean
extracting
beaker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배
Original Assignee
조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배 filed Critical 조중배
Priority to KR102014016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원두에 물을 흘려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방식 또는 더치커피 추출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의 비이커 등에 원두 등의 곡물을 저장할 때 비이커의 벽에 가까운 부분에는 입자가 작은 커피 원두를 위치시켜 내부 밀도를 크게 하고, 비이커의 벽에서 먼 중앙 부분에는 입자가 큰 커피 원두를 위치시켜 내부 밀도를 작게 함으로써, 이러한 밀도 차이에 의하여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비이커의 벽 쪽으로 흘러가지 않고 내부로 유입되어 보다 많은 원두에 보다 오랜 시간 접하면서 커피가 추출될 수 있게 하여 보다 풍부한 맛과 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카페인의 함량도 조절할 수 있게 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원두에 물을 흘려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방식 또는 더치커피 추출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의 비이커 등에 커피 원두를 저장할 때 비이커의 벽에 가까운 부분에는 입자가 작은 커피 원두를 위치시켜 내부 밀도를 크게 하고, 비이커의 벽에서 먼 중앙 부분에는 입자가 큰 커피 원두를 위치시켜 내부 밀도를 작게 함으로써, 이러한 밀도 차이에 의하여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비이커의 벽 쪽으로 흘러가지 않고 내부로 유입되어 보다 많은 원두에 보다 오랜 시간 접하면서 커피가 추출될 수 있게 하여 보다 풍부한 맛과 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카페인의 함량도 조절할 수 있게 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법으로는, 지금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압식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여 높은 전력으로 커피 원두를 가압하는 방식과, 커피 원두에 공급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면서 커피 원두와 접하여 커피를 추출하게 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가압식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할 경우 평균 6~7KW에 이르는 높은 전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바, 에너지 소비의 증가로 인한 전력공급난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최근 상황을 고려할 때 그 대안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가압식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할 경우 카페인 함량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커피 원두 자체의 카페인 함량이 그대로 추출되므로, 취음자의 기호에 따라 카페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가압식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물을 흘려주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이 커피 원두와 접하면서 커피를 추출하게 되는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또는 더치커피(Dutch Coffee)와 같은 핸드드립 커피의 경우에는, 위에서 공급한 물이 커피 원두를 지나서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내려가면서 커피를 추출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전력이 소요되지는 않는 이점이 있지만, 커피 원두에 물이 접하게 되는 경로와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에스프레소에 비해 추출 결과물의 함량 성분 편차가 높아 안정적인 카페인 함량 또는 농도 추출이 불가하여 에스프레소 머신의 적절한 상업적 대안으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더치커피의 경우 커피를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원두를 비이커 등에 저장한 후 위에서 물을 흘려주면, 비이커 상부에서는 커피 원두 전체로 고르게 퍼져서 공급되지만 아래로 내려오면서 밀도가 낮은 부분으로 흘러가게 되므로 비이커의 외벽쪽으로 흘러가게 되며, 일단 비이커의 내측 외벽으로 흘러간 물은 저항과 밀도가 적은 벽면을 타고 빠르게 아래로 흘러 내려가게 되며 먼저 빠져나간 물로 인해 생기는 진공흡입력 때문에 비이커와 커피 원두가 접한 부분을 타고 흘러내려가는 물의 량이 점점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커피 원두로부터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방법에는 이처럼 원두가 밀집되어 있는 비이커 내부의 중앙보다 외부로 흘러가는 물이 많게 되므로, 커피 추출이 완료된 후에 보면 비이커 하부 중앙에 물에 전혀 젖지 않은 커피 원두가 구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의 크기는 원두층의 높이와 정비례하여 커지므로, 농도를 높이려면 원두층의 높이는 유지한체 비이커의 수평단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지름이 더 큰 비이커로 교체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밀도가 적은 비이커 내부 외벽으로 흘러가는 물을 고려하여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양보다 많은 물을 공급하여 비이커 내부에 있는 모든 커피 원두가 물에 충분히 젖게 할 경우에는 커피 원두가 물에 고여있는 시간이 생겨서 침출식 추출법의 단점인 탁한 맛과 풍미가 오히려 감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에 따라, 추가적인 전력이 소모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더치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비이커 등의 교체 없이 커피의 농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균일한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추출장치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1480호
본 발명은, 커피 원두에 물을 흘려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방식 또는 더치커피 추출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의 비이커 등에 저장된 커피 원두층을 통과하여 하단에서 추출 되는 과정에서 추출과정 중인 액체가 비이커의 내면 외벽 쪽으로 흘러가는 양을 최소한으로 하여 농도와 풍미에 변동성을 주는 양의 유입을 줄이는 동시에, 내부로 유입되어 단위 면적당 안정적으로 균일한 농도의 커피 원액이 추출되도록 하여 비이커 등의 치수변화 없이 커피원두의 투여량 조절만으로도 농도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원두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비이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이커에 투입된 커피 원두에서 추출된 커피 원액이 배출되는 홀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액추출부; 상기 원액추출부 내부에 삽입되어 원액추출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부커피원두 투입관; 및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영역에 내부커피원두가 투입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사이의 외부영역에 외부커피원두가 투입된 후, 내부커피원두와 외부커피원두의 상부로 원액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수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액추출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생수분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에 의해 구획된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에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커피 추출이 이루어지는 원액추출부 내부의 밀도를 상이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영역에는 원액추출부 중심부분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큰 입자의 커피 원두로 이루어진 내부커피원두를 투입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벽면 사이의 외부영역에는 원액추출부 벽면부분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커피원두보다 작은 입자의 커피 원두로 이루어진 외부커피원두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에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관통 형성되고, 하부 외측에 상기 외부커피원두를 압착할 수 있는 압착판이 돌출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져, 외부커피원두가 투입된 후 외부커피원두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외부커피원두 압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수분배공급부는, 위로 갈수록 반지름이 좁아지는 동심원들이 다층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된 배사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각 층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수투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생수분배공급부에 있어, 다층구조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생수투입구의 직경은 다층 구조의 위쪽에 형성되는 생수투입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방식 또는 더치커피(Dutch Coffee) 추출방식을 기반으로 구현되므로 커피 추출을 위해 소요되는 전력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식 에스프레소 머신을 배제하면서도 기존 에스프레소에 못지 않은 함량이나 농도를 갖는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구입과 사용이 값비싼 가압식 에스프레소 머신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커피 원두가 투입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에 투입된 커피 원두를 가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밀도를 상이하게 커피 원두를 투입한 후 생수분배공급부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원액추출부에 커피 원두의 밀도가 영역별로 상이하게 투입되어 있는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원두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비이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이커에 투입된 커피 원두에서 추출된 커피 원액이 배출되는 홀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액추출부(100)와, 상기 원액추출부 내부에 삽입되어 원액추출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과,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에 내부커피원두가 투입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사이의 공간에 외부커피원두가 투입된 후 외부커피원두를 가압하여 원액추출부에 투입되어 있는 외부커피원두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외부커피원두 압착기(300)와, 상기 원액추출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커피원두와 외부커피원두의 상부로 원액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수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생수분배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액추출부(100)는,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또는 더치커피(Dutch Coffee) 추출방식에 의해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커피 원두와 물이 공급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비이커(110)와, 상기 비이커에 투입되어 있는 커피 원두 사이를 흘러내려온 물에 의해 추출된 커피 원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추출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추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커피 원액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추출밸브(130)가 상기 추출관에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액추출부를 이루는 비이커(110)보다 작은 지름을 갖으면서 상하 관통되어 있는 내부가 빈 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은 상기 원액추출부를 이루는 비이커에 커피 원두가 투입되는 영역을 나누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액추출부(100)의 전체 내부영역을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영역과,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사이의 외부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는 내부커피원두로 칭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사이의 외부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는 외부커피원두로 칭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획된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에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커피 원두를 투입할 수 있게 되므로 커피 추출이 이루어지는 원액추출부 내부의 밀도를 상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제까지의 콜드 브로잉(Cold Brewing) 또는 더치커피(Dutch Coffee) 추출방식에 의해 커피를 추출할 때 동일한 크기의 커피 원두를 투입하면 원액추출부 전체의 밀도가 거의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위에서 공급되는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면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원액추출부 중앙 보다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벽면쪽으로 흘러가게 되곤 하였으며, 이처럼 벽면쪽으로 흘러간 물은 원액추출부 내부의 벽면을 따라 빠르게 아래로 떨어져 내리게 되므로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곤 하였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원액추출부 내부의 밀도를 상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커피 원두를 혼합하여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크기가 다른 커피 원두 상호간이 혼합되어 균일한 밀도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을 원액추출부(100) 내부에 삽입한 후 내부커피원두와 외부커피원두를 각각의 영역에 개별적으로 투입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밀도가 높은 외부커피원두 쪽에서 밀도가 낮은 내부커피원두 쪽으로 물이 흐르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은 내부커피원두와 외부커피원두의 투입이 완료된 후 원액추출부(100)에서 제거되어, 원액추출부 내부에는 밀도가 다르게 투입되어 있는 커피 원두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의 내부영역에는 원액추출부 중심부분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큰 입자의 내부커피원두를 투입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의 외부와 원액추출부(100) 벽면 사이의 외부영역에는 원액추출부 벽면부분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커피원두보다 작은 입자의 외부커피원두를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커피원두 압착기(300)는, 상기 외부커피원두를 압착하여 외부영역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관통 형성되고, 하부 외측에 상기 외부커피원두를 압착할 수 있는 압착판(310)이 돌출 형성된 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커피원두 압착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과 원액추출부(100)의 벽면 사이 공간인 외부영역에서 외부커피원두를 압착해야 하므로, 상기 압착판(310)이 외부영역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커피원두 압착기(300)를 이용하여 원액추출부(100) 내부에 있는 외부커피원두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생수분배공급부(4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원액추출부의 벽면 쪽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커피 원두에 접하며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생수분배공급부(400)는,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반지름이 좁아지는 동심원들이 다층구조로 중첩된 배사구조의 고깔 형태로 구성되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각 층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수투입구(410)가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다층구조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생수투입구(410)의 직경은 다층 구조의 위쪽에 형성되는 생수투입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생수분배공급부의 중앙에서 투입되는 물은 수직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내부커피원두 쪽으로 공급되므로 비교적 신속하게 아래로 내려오지만, 상기 생수분배공급부의 외곽부분에서 투입되는 물은 수직하방으로 내려오다가 밀도가 높은 외부커피원두들을 가로지르며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내부커피원두 쪽으로 이동하면서 내려오게 되므로, 내부커피원두 쪽보다는 외부커피원두 쪽으로 보다 많은 생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생수투입구(410)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내부가 비어 있는 원액추출부(100)의 비이커 바닥면에 커피 원두를 일정량 투입하고, 이와 같이 커피 원두가 바닥면에 깔려 있는 원액추출부(100)의 중앙에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을 삽입하여 원액추출부(100) 내부 공간을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을 구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액추출부의 바닥면에 커피 원두를 먼저 깔지 않을 수도 있으나,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이 원액추출부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추출된 커피가 배출되는 최종 필터 역학을 할 수 있도록, 도 6의 (a) 및 (b)에 1 영역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커피 원두를 먼저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에 의해 구획된 내부영역에는 입자 크기가 큰 내부커피원두를 투입하고, 외부영역에는 상기 내부커피원두보다 입자 크기가 작은 외부커피원두를 투입하여 내부영역이 외부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커피원두 압착기(300)를 상기 원액추출부(100)에 삽입하여 압착판(310)으로 외부커피원두를 압착하면서 밀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부에서 공급되는 생수가 원액추출부(100)의 벽체로 흘러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에 따라, 원액추출부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커피 원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액추출부 바닥면의 1 영역과, 외부영역으로 이루어지는 2 영역과, 내부영역으로 이루어지는 3 및 4 영역이 각각 상이한 밀도를 갖는 커피 원두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커피의 추출을 위해 커피 원두에 접하지 못하고 원액추출부의 벽체를 따라 생수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의 밀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원액추출부의 벽체에 접하는 부분이 존재하는 상기 1 영역과 2 영역에는 비교적 작은 입자의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밀도를 크게 하고, 상기 원액추출부의 벽체에 직접 접하지 않는 상기 3 영역과 4 영역에는 비교적 큰 입자의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밀도를 작게 함으로써, 커피 추출을 위해 공급되는 생수가 밀도가 작은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의 상부에 일종의 필터층 역할을 할 수 있는 5영역을 더 형성하는 커피 원두를 더 투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에 따라, 상기 1 영역과 2 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의 상대적인 크기를 1~1.5로 할 때, 3 영역과 5 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의 상대적인 크기는 3 ~ 5로 하고, 4 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의 상대적인 크기는 3 ~ 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외부커피원두 압착기(300)와 내부커피원두 투입관(200)을 모두 제거한 후, 원액추출부(100)의 상부에서 생수분배공급부(400)를 끼워 상부에서 생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수분배공급부에 형성된 다수의 생수투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생수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영역에서는 아래쪽을 향하여 거의 수직하게 내려가게 되고, 외부영역에서는 아래쪽으로 내려감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내부영역 쪽으로 흘러가면서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원액추출부의 각 영역에 투입되는 커피 원두의 크기를 달리할 경우, 커피 원두가 투입된 상태에서 원액추출부 내의 밀도는 1 영역과 2 영역이 크고, 3 영역 내지 5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므로, 이러한 밀도 차이에 의해 커피 추출을 위해 공급되는 생수가 보다 오랜 시간 커피에 접하면서 충분한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원액추출부 110 - 비이커
120 - 추출관 130 - 추출밸브
200 - 내부커피원두 투입관
300 - 외부커피원두 압착기 310 - 압착판
400 - 생수분배공급부 410 - 생수투입구

Claims (7)

  1.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 원두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비이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이커에 투입된 커피 원두에서 추출된 커피 원액이 배출되는 홀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액추출부;
    상기 원액추출부 내부에 삽입되어 원액추출부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부커피원두 투입관; 및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영역에 내부커피원두가 투입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사이의 외부영역에 외부커피원두가 투입된 후, 내부커피원두와 외부커피원두의 상부로 원액추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수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액추출부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생수분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에 의해 구획된 내부영역과 외부영역에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갖는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커피 추출이 이루어지는 원액추출부 내부의 밀도를 상이하게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내부영역에는 원액추출부 중심부분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큰 입자의 내부커피원두를 투입하고,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의 외부와 원액추출부 벽면 사이의 외부영역에는 원액추출부 벽면부분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커피원두보다 작은 입자의 외부커피원두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은 내부커피원두와 외부커피원두의 투입이 완료된 후, 원액추출부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내부커피원두 투입관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관통 형성되고, 하부 외측에 상기 외부커피원두을 압착할 수 있는 압착판이 돌출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져, 외부커피원두가 투입된 후 외부커피원두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외부커피원두 압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분배공급부는, 위로 갈수록 반지름이 좁아지는 동심원들이 다층구조로 중첩되어 형성된 배사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층구조를 이루는 각 층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수투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수분배공급부에 있어, 다층구조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생수투입구의 직경은 다층 구조의 위쪽에 형성되는 생수투입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140163852A 2014-11-21 2014-11-21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2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852A KR101622481B1 (ko) 2014-11-21 2014-11-21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852A KR101622481B1 (ko) 2014-11-21 2014-11-21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481B1 true KR101622481B1 (ko) 2016-05-18

Family

ID=5611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852A KR101622481B1 (ko) 2014-11-21 2014-11-21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4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480B1 (ko) 2013-09-17 2014-04-04 황경연 더치 커피 드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480B1 (ko) 2013-09-17 2014-04-04 황경연 더치 커피 드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35B2 (en) Interchangeable capsule for preparing an infusion of coffee, and method for obtaining an infusion of said coffee
CN100475110C (zh) 结合多个饮料收集腔的饮料机
CN101384200A (zh) 用于制造芳香饮品的冲泡饮料的设备
HRP20121059T1 (hr) Kapsula, sustav i postupak za pripremu piä†a i postupak proizvodnje takve kapsule
CN103687523A (zh) 用于制备饮料的装置
KR102556202B1 (ko) 커피 머신 및 커피 머신 작동 방법
CN104334472A (zh) 制备粉末产品的浸液的可互换包囊及获得该浸液的相关方法
RU261040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10524608B2 (en) Beverage brewing process
CN103079437A (zh) 饮料泡制设备和方法
CN107427145A (zh) 咖啡萃取系统及使用其的咖啡萃取方法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CN102202548A (zh) 咖啡机
KR10162248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16322B1 (ko) 커피향을 유지하는 커피 추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피 추출방법
KR101613214B1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액상음료 추출장치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20190058399A (ko)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KR101707084B1 (ko) 커피추출장치
KR101842454B1 (ko) 온수 순환형 드립 커피 머신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CN107380754A (zh) 一种用于冲泡饮料材料的饮料分配盒
TW202247892A (zh) 萃取裝置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