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850B1 -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 Google Patents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850B1
KR101621850B1 KR1020140102343A KR20140102343A KR101621850B1 KR 101621850 B1 KR101621850 B1 KR 101621850B1 KR 1020140102343 A KR1020140102343 A KR 1020140102343A KR 20140102343 A KR20140102343 A KR 20140102343A KR 101621850 B1 KR101621850 B1 KR 10162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le
module
positioning module
dri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8158A (en
Inventor
이덕원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50B1/en
Publication of KR2016001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61B17/1606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of forceps type, i.e. having two jaw element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1608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of forceps type, i.e. having two jaw element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jaw elements being linked to two elongated shaft elements moving longitudinally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1611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of forceps type, i.e. having two jaw elements moving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jaw elements being linked to two elongated shaft elements moving longitudinally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jaw elements being integral with respective elongate shaft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악골의 일부분을 천공하는 드릴의 천공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모듈; 일측이 상기 위치지정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하악골의 천공부위에 인접한 치아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의 타측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ing device for a mandible, and a positioning module for specifying a drilling position of a drill for drilling a part of a mandible. A coupling module coupled to the positioning module, the coupling module extending to a location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puncture site of the mandible; And a fixing modul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and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Description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악골을 천공하는 위치 및 각도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ing apparatus for a mandi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iding apparatus for a mandible, which can easily set a position and an angle for puncturing the mandible.

일반적으로 다양한 수술에서 뼈를 가공하기 위한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때 톱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뼈를 절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Generally, cutting is performed to process bones in various operations. In this case, a method of cutting bones using a saw or a drill is mainly used.

그 중 하악골의 경우에도 치아의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양악수술과, 주걱턱 치료를 위한 이부 성형수술 등에서 하악골의 일부를 절단하는 시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In the case of the mandible, there are also many procedures for cutting a part of the mandible in the amniotic surgery to treat the malocclusion of the teeth and in the cosmet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the jawbone.

이때, 하악골을 정확한 위치 및 각도로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 라인을 표시하거나, 실시간으로 엑스레이 촬영을 하면서 절단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정밀도가 비교적 낮거나 수술과정에서 환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ut the mandible at an accurate position and angle, a method of displaying a cutting line or adjusting a cutting position while taking an x-ray in real time is use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is relatively lo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rden on the body is large.

특히, 코골이 환자를 위한 이설근 전진술은 하악골 내측면에 고정된 이설근을 잡아당겨서 기도를 확장시켜 코골이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설근과 연결된 하악골의 일부를 절단하여 생성된 골편을 외측으로 당겨 고정시키는 수술방법이다.In particular, snoring is a method of preventing snoring by extending the airway by pulling the ankle root fix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ndible, and more specifically, And pulling out the generated fragments to the outside.

이러한 이설근 전진술의 경우에는 하악골의 뒤편에 연결되어 있는 이설근의 형태를 파악하여 정확한 위치 및 각도로 하악골을 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술이다.In this case,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morphology of the ligament connected to the back of the mandible and puncture the mandible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ngle.

하지만 하악골의 형태가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평면 형태가 아닌 곡면의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악골의 천공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장치의 범용적인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hape of the mandible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and has a curved surface shape, which is not a planar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a general purpose guiding device for guiding perforation of the mandible.

또한, 하악골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하악골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골막이 드릴의 회전에 말려들어 골막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the mandib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iosteum dril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ndible is caught by the rotation of the drill to damage the periosteu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악골을 천공하는 위치 및 각도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ing apparatus for a mandible, which can easily set a position and an angle for puncturing the mandib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는 하악골의 일부분을 천공하는 드릴의 천공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모듈, 일측이 상기 위치지정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하악골의 천공부위에 인접한 치아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의 타측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ndible guide apparatus for guiding a mandible, comprising: a positioning module for designating a drilling position of a drill for drilling a part of a mandible; And a fixing modul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and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teeth.

여기서,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드릴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이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하악골을 천공할 수 있다.Here, the positioning module may be formed with a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and the drill can perforate the mandible through the hole.

또한,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하악골과 맞닿는 부위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module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a portion thereof contacting the mandible.

또한,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하악골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악골의 천공 위치 인근의 골막 및 상기 드릴을 이격시키는 골막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module may include a periosteum protector for separating the periosteum near the puncture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the drill during perforation of the mandible.

한편,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치아를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module may have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eeth, and may be fixed while enclosing the teeth.

그리고, 상기 위치지정모듈, 상기 연결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module, the connection module, and the fixed module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는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하악골의 표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점을 표시하여 상기 드릴의 천공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위치지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ing device for a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odule fixed to a tooth and a position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module to designate a drilling position of the drill by displaying at least two points on the surface of the mandible And a positioning module for performing a positioning operation.

여기서,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위치결정부를 하악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positioning part to the mandible.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guiding device for mandibula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하악골을 천공하는 위치 및 각도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set the position and angle for drilling the mandible.

둘째, 하악골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하악골의 천공부위에 인접한 골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eriosteum adjacent to the puncture site of the mandible during the puncture of the mandib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셋째, 가이드장치와 하악골 간의 고정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fix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guide device and the mandible can be further enhanced.

넷째, 수술시간을 줄여 환자의 신체에 걸리는 부담을 줄이고, 정확한 시술을 통해 수술 환자의 보다 나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n the patient's body by reducing the operation time and to expect a better prognosis of the operation patient through accurate operation.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의 위치지정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설근 전진술에서 별도의 골편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guide device for a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ing apparatus for a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sitioning module of a guide device for a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guide device for mandibula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guide device for a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e bone fragment fixation device is used in the previous retra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Furthermo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a forward-rearward direction or an upward-downward direction are described in orde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learly and indicate a relative direction, It is not limited.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1 to 3,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의 위치지정모듈을 확대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sition designation module of the guide devic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는 위치지정모듈(100), 연결모듈(200) 및 고정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ing module 100, a connection module 200, and a fixing module 300.

위치지정모듈(100)은 하악골(B1)의 일부분을 천공하는 드릴의 천공위치를 지정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드릴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positioning module 100 is configured to designate the drilling position of the drill for drilling a part of the mandible B1.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ing module 100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drill can pass.

물론, 이러한 위치지정모듈(100)은 하악골(B1)의 상면에 천공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구비된다면 그 형태 및 표현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positioning module 100 is provided for indicating the puncturing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ndible B1, the form and the expression method thereof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이러한 위치지정모듈(100) 구성의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연결모듈(200)은 일측이 위치지정모듈(100)에 결합되어, 하악골(B1)의 천공부위에 인접한 치아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 타측은 후술하는 고정모듈(300)과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positioning module 100 and extends to a position where teeth adjacent to the puncture site of the mandible B1 exte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200 is coupled with the fixing module 300 .

본 실시예에서는 하악골(B1)에 있어서 치아 및 천공부위 간의 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 및 소재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ndibles B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eeth and the puncturing sites, but the shape and the material thereof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또한, 연결모듈(200)은 수술을 시술하기 이전에 MRI촬영 등을 통해 환자의 하악골(B1) 및 이설근(M)의 형태를 미리 파악하여, 시술에 적합한 위치 및 각도로 전술한 위치지정모듈(100)이 하악골(B1)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위치지정모듈(100)을 연결할 수 있는 각도 및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module 200 grasps the shape of the mandible B1 and the dislocation muscle M of the patient in advance through MRI or the like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It may be advantageous to be formed with an angle and length that allows the positioning module 100 to be connected such that the positioning module 100 can be positioned on the mandible B1.

한편, 고정모듈(300)은 전술한 연결모듈(200)의 타측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치아를 덮으며 치아와 밀착하여 고정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200 and is fixed to at least one tooth.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odule 300 is formed 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eeth are covered and fixed to teeth .

이러한 경우, 고정모듈(300)은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module 30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eeth.

이러한 치아의 형태는 환자 개개인의 형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를 이용한 시술을 수행하기 이전에 미리 환자의 치아형태를 본 떠 고정모듈(300)을 미리 제작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Since the shapes of individual teeth of the pati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advantageous to pre-fabricate the fixation module 300 in advance of performing the procedure using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실시예에 제시된 고정모듈(300)의 형태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치아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등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xing module 300 shown in this embodiment is only one embodiment, and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being fixed around a part of the teeth can be used, and the shape of the fixing module 300 can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이어서, 전술한 위치지정모듈(1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부(110) 및 골막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3, an embodiment of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10 and a periosteal support portion 120.

가이드부(110)는 하악골(B1)의 일부분을 천공하는 드릴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홀이 형성되어, 드릴의 천공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110 has a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for drilling a part of the mandible B1 so as to fix the drilling position of the drill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pipe in the present embodiment .

이러한 형태는 가이드부(110) 자체가 하악골(B1)의 천공부위 주변의 골막을 드릴의 회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가이드부(110)가 골막보호부가 되는 형태라 할 수 있다.The guide part 110 may protect the periosteum around the perforation area of the mandible B1 from the rotation of the drill, so that the guide part 110 may be a periosteal protecting part.

가이드부(110)에 형성되는 홀은 최소한 드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악골(B1)의 천공과정에서 드릴과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의 마찰에 의한 진동 및 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릴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hole formed in the guide part 110 may be formed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and the vibration and heat generated by the drill and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drilling process of the mandible B1 It may be advantageous to form it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이러한 가이드부(110)는 하악골(B1)의 상면에 고정되어 드릴이 하악골(B1)을 천공하는 위치 및 각도를 고정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1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ndible B1 so that the drill can guide and fix the position and angle at which the mandible B1 is punctured.

또한, 가이드부(110)는 가이드부(110)가 하악골(B1)과 맞닿는 부위의 일부가 파인 형태로 하부에 하나 이상의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One or more grooves 111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10 in a shape of a part of a portion where the guide portion 110 abuts the mandible B1.

이러한 홈(1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가 하악골(B1) 상면에 고정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하악골(B1)과 접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The groove 111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mandible B1 more stably when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ndible B1.

즉, 홈(111)의 공간에 하악골(B1)의 돌출된 부위가 일부 수용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와 하악골(B1)이 상호 맞닿는 부위가 늘어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mandible B1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groove 111,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dible B1 are mutually abutted can be increased.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형태의 홈(111)이 마주보는 형태로 2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하악골(B1)의 형태에 맞추어 가이드장치와 하악골(B1)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태, 배치 및 수량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triangular grooves 111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However, in order to more reliably combine the guide device and the mandible B1 in accordance with the shapes of the various mandibles B1 The shape, arrangement and quantity thereof may be varied without limitation.

또한, 가이드부(110)는 가이드부(110)가 하악골(B1)과 맞닿는 부위에 복수개의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11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2 at a position where the guide part 110 abuts the mandible B1.

돌기(112)는 가이드부(110)와 하악골(B1) 간의 마찰을 높여주도록 형성된다면 그 형태나 크기 및 배치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shape and size and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12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protrusions 112 are formed to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the guide part 110 and the mandible B1.

이러한 돌기(1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를 하악골(B1)의 상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위치지정모듈(100)가 미끄러지지 않게끔 보다 잘 고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se protrusions 112 may help to better secure the positioning module 100 in a non-slip manner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ndible B1 .

한편, 골막지지부(120)는 전술한 가이드부(110)가 하악골(B1)과 맞닿는 부위의 측부가 일부 돌출되어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얇은 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riosteal support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artially protruding a side part of a portion where the guide part 110 is in contact with the mandible B1 .

이러한 골막지지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가 하악골(B1)에 고정될 때, 하악골(B1)의 천공부위 주변의 골막과 하악골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The periosteal support 12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eriosteum and the mandible in the vicinity of the puncture site of the mandible B1 when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ndible B1.

따라서, 하악골(B1)의 천공부위 주변의 골막이 드릴의 회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골막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가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iosteum around the puncture site of the mandible B1 from being damaged by rotation of the drill, and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at a more accurate position by the periosteum .

또한, 이러한 골막지지부(120)는 가이드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하악골(B1)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eriosteal support part 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mandible B1 while protruding outside the guide part 110. [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지정모듈(100)가 하악골(B1)에 보다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Such a configuration can obtain the effect that the positio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mandible B1.

전술한 위치지정모듈(100)의 구성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ing module 100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more easil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위치지정모듈(100), 연결모듈(200) 및 고정모듈(300)은 적어도 하나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positioning module 100, the connection module 200, and the fixing module 300 of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모듈(200) 및 고정모듈(300)이 탈착가능하도록 연결모듈(200)이 별도의 고정부재(210)를 통해 고정모듈(300)과 결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module 300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210 so that the connection module 200 and the fixing module 300 may be detached.

이러한 구성은 고정모듈(300)은 환자마다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환자의 특성에 맞게 새로 제작해야 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hape of the fixing module 300 is not uniform for each patient, the fixing module 300 can not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and a new one can be manufactur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이때, 전체 가이드장치를 전부 제작하는 것에 비해 고정모듈(300)만을 교환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면 전체적인 가이드장치의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ntirety of the guide device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only the fixed module 300 can be exchang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ntire guide device can be saved.

또한, 이러한 탈착가능한 모듈은 고정모듈(300)만 탈착되는 본 실시예의 경우과 달리 위치지정모듈(100)만 탈착가능하거나, 전체 모듈이 모두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Also, unlike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fixing module 300 is detached, only the positioning module 100 can be detachable, or all the modules can be detachably attached.

또한, 이설근 전진술은 일회성의 시술이고, 하악골의 천공 지점 및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소재로 제작되는 경우, 전체적인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dure is a one-time procedure, it sets the puncture point and direction of the mandible. Therefore, when the mandible is manufactured from a relatively inexpensive material, it is also applicable to form an integral mandrel guiding apparatus.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변형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제1 변형예는 위치지정모듈(100), 연결모듈(200) 및 고정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4, a first modification of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ing module 100, a connection module 200, and a fixing module 300.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서 위치지정모듈(100)은 단순히 하악골의 천공라인(L)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 module 1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erforation line L of the mandible.

이러한 경우, 위치지정모듈(100)은 하악골의 천공위치를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ing module 100 can visibly and clearly show the puncturing position of the mandible.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도 천공부위 주변의 골막과 드릴을 상호 이격시키는 차단벽 형태의 골막보호부나 위치지정모듈(100)이 하악골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악골과 맞닿는 면에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so in this configu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periosteal protector in the form of a blocking wall separating the periosteum and the drill around the perforation site,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mandible such that the positioning module 100 is more easily fixed to the mandible .

한편, 연결모듈(2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연결모듈(200)의 일부가 하악골의 천공라인(L)의 일부와 교차되기 때문에, 하악골의 천공과정에서 절단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connection module 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art of the connection module 200 intersects with a part of the perforation line L of the mandible, .

따라서, 위치지정모듈(100) 및 고정모듈(300)을 연결 및 고정하는 성능에 이상이 없는 범위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advantageous to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relatively easily cut in a range tha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connecting and fixing the position designating module 100 and the fixing module 300.

한편, 고정모듈(300)에 대한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configuration of the fixed module 3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제2 변형예는 위치지정모듈(100) 및 고정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5,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itioning module 100 and a fixing module 300. [

여기서, 위치지정모듈(100)은 하악골의 표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점을 표시하여 하악골의 천공위치를 지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designa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positioning unit for designating a puncturing position of the mandible by marking at least two points on the surface of the mandible.

위치결정부는 드릴이 하악골을 천공하는 천공영역의 인근에 있는 지점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position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a point in the vicinity of the puncturing region where the drill punctures the mandible.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위치지정모듈(100)이 별도의 연결모듈 없이 직접 고정모듈(300)과 결합하며, 위치지정모듈(100)의 형태가 전술한 실시예의 연결모듈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어느 특정한 지점을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modified exampl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ositioning module 100 is coupled to the direct fixing module 300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module, and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module 100 is similar to that of the above- And can be configured to specify a specific point.

이러한 위치지정모듈(100)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위치지정모듈(100)이 지정하는 포인트 간의 간격이 드릴의 지름보다 작게 배치되면 각 위치지정모듈(100)이 지정하는 위치에 맞춰 천공라인(L)을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two such positioning modules 100 are provided,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s specified by the two farthest two positioning modules 10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a position designated by each positioning module 100 The perforation line L can be formed.

또는, 하나의 위치지정모듈(100)이 복수개로 갈라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악골 표면에 복수개의 지점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one positioning module 100 may be formed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so as to display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mandible surface.

또한, 위치지정모듈(100)은 위치결정부를 하악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ing portion to the mandible.

본 변형예에서는 위치지정모듈(100)이 하악골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악골과 맞닿는 면에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modified example, the positioning modul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mandible so as to be more easily fixed to the mandible.

이러한 고정부는 위치결정부와 하악골이 보다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된다면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fixation unit may be varied without limitation if the fixation unit and the mandible are provided so as to be more easily fixed.

한편, 고정모듈(300)은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since the fixing module 3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구성에 의한 가이드장치를 이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에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를 고정시켜 하악골의 천공위치를 설정하고, 드릴(40)을 통해 하악골(B1)을 절단하여 이설근(M)과 연결된 골편(B2)을 형성한 뒤, 골편(B2)을 하악골(B1)의 전방으로 끌어당겨 이설근(M)이 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2, the gu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patient's teeth to set the puncturing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the mandible B1 is guided through the drill 40, The bone fragment B2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mandible B1 and the pulling muscle M can be pulled.

코골이환자에게 시술하는 이러한 이설근 전진술과 같은 하악골의 일부를 천공하는 수술에 있어서 천공 위치 및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수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the operation to puncture a part of the mandible, such as the hypotenuse, the snoring position and angle can be set accurately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operation.

따라서, 수술 환자의 보다 나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수술과정에 있어서 시간을 절약하여 환자의 신체에 걸리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Therefore, a better prognosis of the operation patient can be expected, and the operation time can be save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patient's body.

한편, 이설근 전진술을 시술할 때 별도의 골편 고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eparate bone fixation device can be used when performing the preliminary statement.

도 6은 이설근 전진술에서 별도의 골편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e bone fragment fixation device is used in the previous retrac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편 고정장치는 지지부, 연결부 및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bone fragment fixation device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a connection portion, and a fixed portion.

지지부는 골편의 내측면을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구성으로, 지지부는 전체적으로 골편과 대응되는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골편과 연결된 이설근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 일측에 이설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while supporting the inner side of the bone piece. The support portion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corresponding to the bone piece as a whole.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piece connected to the bone piece, A receivin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can be formed.

지지부는 골편의 내측면의 일부를 지지하면서 골편과 연결되어 있는 이설근과 간섭을 유발하지 않고 이설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링 형상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may be constituted by a ring-shaped member including a receiving part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fragments and accommodating the dislocated muscle without causing interference with the dislocations connected to the fragments.

수용부는 지지부가 이설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때 수용부의 형상은 이설근에 무리를 가하거나 손상시키기 않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pporting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nnecting roots.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does not cause any damage or damage to the connecting roots.

또한, 지지부는 수용부를 통해 이설근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이설근에 부담을 발생시키지 않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tracted muscle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a materia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which does not cause burden on the retracted muscle.

또한, 지지부는 이설근이 수용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inducing portion for allowing the retracting roots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유도부는 이설근과 연결되어 있는 골편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를 골편의 내측면과 결합시킬 때 이설근을 상기 수용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art of the supporting portion is opened so as to accommodate the retracting roots to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suppor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gments to support the fragments connected to the retracting roots.

한편,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와 후술하는 고정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연결부는 지지부의 테두리부 일측에 골편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the supporting portion with a fixing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protrude along one side of the rim of the supporting por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b.

이러한 연결부는 지지부의 테두리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만약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부는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connecting portion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im of the supporting portion. If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nnecting portion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연결부는 당겨진 골편의 내측면에서부터 하악골의 외측면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from the inner side of the drawn bone fragment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andible.

한편, 고정부는 지지부와 연결된 연결부의 타측 종단에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고정부는 골편과 인접한 하악골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ation part may be bent in one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t this time, the fixation part may be bent outward so as to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dible adjacent to the bone fragment.

고정부는 골편 주변의 하악골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일측에 볼트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홀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하악골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ation part is constituted by a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ndible in the vicinity of the bone fragment, and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bolt to one side is formed and fixed to the mandible through a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이때, 고정부재의 재질은 의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티타늄이나 각종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material of the fixing member is used for medical use, it may be advantageous to be made of titanium or various alloys.

또한, 고정부재는 하악골에 고정되는 목적에 포함된다면 다양한 결합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joining can be applied if the fixing member is included in the object to be fixed to the mandible.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위치지정모듈
110 : 가이드부
111 : 홈 112 : 돌기
120 : 골막지지부
200 : 연결모듈
210 : 고정부재
300 : 고정모듈
B1 : 하악골
B2 : 골편
M : 이설근
L : 천공라인
100: Positioning module
110: guide portion
111: groove 112: projection
120: periosteal support
200: connection module
210: Fixing member
300: Fixed module
B1: mandible
B2:
M:
L: Perforated line

Claims (8)

하악골의 일부분을 천공하는 드릴의 천공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모듈;
일측이 상기 위치지정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하악골의 천공부위에 인접한 치아가 있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의 타측과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치아에 고정되는 고정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드릴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홀 및 상기 하악골과 맞닿는 부위의 일부가 파인 형태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하악골과 맞닿는 부위 측부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악골과 상기 하악골 상면의 골막 사이에 삽입되는 골막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악골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악골의 천공 위치 인근의 골막 및 상기 드릴을 이격시키는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A positioning module for specifying a drilling position of the drill for drilling a part of the mandible;
A coupling module coupled to the positioning module, the coupling module extending to a location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puncture site of the mandible; And
A fixing modul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odule and fixed to at least one tooth;
≪ / RTI >
The positioning module includes:
A guide portion including a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and at least one groove in which a part of a portion contacting the mandible is formed in a pinhole shape and a portion of a side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contacting the mandible, And a periosteal support inserted between the mandible and the periosteu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ndible so as to separate the periosteum near the puncture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the drill during the perforation of the mand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드릴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이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하악골을 천공하는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ing module includes:
Wherein a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ll is formed and the drill punctures the mandible through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모듈은,
상기 하악골과 맞닿는 부위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ing module includ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a portion of the mandible to be in contact with the mandib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치아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odule includes:
Wherein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oth is formed and is fixed while being wrapped around the too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모듈, 상기 연결모듈 및 상기 고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mong the positioning module, the connection module and the fixing module,
Wherein at least one module is selectively remov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02343A 2014-08-08 2014-08-08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KR101621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43A KR101621850B1 (en) 2014-08-08 2014-08-08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343A KR101621850B1 (en) 2014-08-08 2014-08-08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36A Division KR20160054447A (en) 2016-04-29 2016-04-29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58A KR20160018158A (en) 2016-02-17
KR101621850B1 true KR101621850B1 (en) 2016-05-17

Family

ID=5545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343A KR101621850B1 (en) 2014-08-08 2014-08-08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375A1 (en) 2009-02-02 2010-08-05 Remedent Nv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US8640338B2 (en) 2009-02-02 2014-02-04 Viax Dent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preparation for restoring tooth structure
PT2739240T (en) 2011-05-26 2020-10-21 Viax Dental Tech Llc Dental tool and guidance devices
US11007035B2 (en) 2017-03-16 2021-05-18 Viax Dent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preparing teeth for the placement of veneers
CN113017765B (en) * 2021-02-22 2022-07-12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Integrated external mandible osteotomy fixing device and u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381A (en) 1980-01-31 1982-12-21 Sher Jay H Surgical clamp and drill-guiding instrument
US5688283A (en) 1995-11-17 1997-11-18 Knapp; John G. Drill guide for mandibular staple transosseous impla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381A (en) 1980-01-31 1982-12-21 Sher Jay H Surgical clamp and drill-guiding instrument
US5688283A (en) 1995-11-17 1997-11-18 Knapp; John G. Drill guide for mandibular staple transosseous im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158A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850B1 (en)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ES2718951T3 (en) Osteotomy guide set
ES2707963T3 (en) Dental implant placement system
JP63919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tissue to bone
US8821159B2 (en) Dental implant guiding device
KR101621846B1 (en)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JP2015512714A5 (en)
KR20160056855A (en)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EP2953573B1 (en) Drills for two stage protocol for creating an osteotomy for a dental implant
US11331129B2 (en) Contourable plate
TR201815665T4 (en) SURGICAL DRILL FOR IMPLANT SURGERY.
EP2010094B1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BRPI0905136B1 (en) drill guide, mold set and drill guide set
JP2016508434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aming bone elements
JPWO2009041057A1 (en) Medical instruments
KR20170026911A (en) Drilling driver for placing dental implant
RU2740843C1 (en) Set of pin to check direction for installation of base for implant and guide tap
KR101500126B1 (en) A punching device that digs tissue of gum
KR20160054447A (en) Guide apparatus for boring into mandibula
KR102242899B1 (en) screw gui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TWI523633B (en) Fixation plate for fracture
US201402069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gical Access to Delicate Tissues
CN107007344B (en) Percutaneous nail-placing guide plate
KR101265819B1 (en) Point Drill Guider for Operating Implant
KR200488107Y1 (en) Half-moon shaped tissue punch used in flapless implant surgery using a surgical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