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53B1 -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53B1
KR101620353B1 KR1020090047587A KR20090047587A KR101620353B1 KR 101620353 B1 KR101620353 B1 KR 101620353B1 KR 1020090047587 A KR1020090047587 A KR 1020090047587A KR 20090047587 A KR20090047587 A KR 20090047587A KR 101620353 B1 KR101620353 B1 KR 10162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robot
gripper
medicines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5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8910A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09004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53B1/en
Priority to US12/788,693 priority patent/US8281553B2/en
Priority to EP10164103.3A priority patent/EP2256703B1/en
Publication of KR2010012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convey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0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 B25J9/101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using limit-switche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을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약품을 배출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로봇의 작업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번에 다수의 약품을 운반할 수 있는 로봇의 작업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ool for a robot used in an automatic drug management system for storing a medicine and discharging a medicine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tool for a robot capable of carrying a plurality of medicines at one time will b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은 약품이 저장되는 다수의 선반의 전방 평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이동되며, 약품을 취출하는 로봇의 작업툴에 있어서, 작업툴에는 전후 방향(X 축)으로 함께 이송되고, 약품을 파지하도록 마주보는 내측면의 폭(Y 축)이 조절되는 한 쌍의 나란한 그립퍼를 포함하는 파지부와, 그립퍼로 파지 이송된 약품을, 다른 약품의 추가 운반을 위하여, 그립퍼의 파지 해제 후 전후방향(X 축)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바닥이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robot working tool of the automatic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tool of a robot for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ing on the front plane of a plurality of shelves storing medicines, A grip portion including a pair of side grippers which are fed together in a direction (X-axis) and in which the width of the inner side (Y-axis) facing the drug is adjusted so as to grip the drug, and a medicine gripped by the gripper, And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the medicin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axis) after releasing the gripper for further transportation is provided.

약품, 관리, 로봇 Medicine, management, robot

Description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ru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약품을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하여 약품을 배출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로봇의 작업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번에 다수의 약품을 운반할 수 있는 로봇의 작업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ool for a robot used in an automatic drug management system for storing a medicine and discharging a medicine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tool for a robot capable of carrying a plurality of medicines at one time will be.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은 면적을 차지하면서 구매된 다양한 종류의 약품을 저장하였다가 약사의 인출명령에 의하여 요청된 약품을 배출하는 자동화된 창고 시스템이다.As shown in FIG. 7,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200 is an automated warehouse system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medicines purchased while occupying a small area, and discharges medicines requested by a withdrawal instruction of a pharmacist.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에는 다수의 선반(210,220)이 구비되며, 전방 선반과 후방 선반 사이의 공간에는 약품을 운반하기 위한 로봇(230)이 구비되어 있다. A plurality of shelves 210 and 220 are provided on an inner front surface and an inner rear surface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200, and a robot 230 for transporting medicines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shelf and the rear shelf.

이러한 로봇(230)은 바닥 또는 천장에 형성된 메인가이드레일(23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세로축대(232)와, 세로축대 상에서 승강하며 약품을 파지하는 작업툴로 이루어지거나, 회전 관절과 링크로 이루어져 작업툴로 약품을 파지하는 구성을 갖는다.The robot 230 includes a vertical axis bar 232 slidably coupled to a main guide rail 231 formed on the floor or a ceiling, a work tool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on a vertical axis bar and gripping a medicine, And a tool is gripped by the tool.

먼저 회전 관절을 포함하는 로봇은 제작 비용이 고가이며, 각 회전 관절은 관성에 의하여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나아가 전, 후방 선반 사이의 공간은 통상 좁게 형성되므로, 로봇의 작업 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어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First, robots including rotating joints are expensive to produce, and each rotating joint is disadvantageously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due to inertia. Furthermore, since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helves is generally narrow, the working range of the robot is inevitably limited, which is inefficient.

따라서 좁은 전후 길이를 가지며, 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작업 공간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직선운동하는 로봇이 유용한 것이다. Therefore, a robot moving in a straight line as described above is useful for a work space having a narrow front and rear length and a relatively large area.

한편, 로봇의 작업툴은 약품을 선반에 올려놓아 약품을 선반에 저장하고 또한 선반에 저장된 약품을 잡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통상적인 작업툴은 에어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으로 약품의 표면을 파지하는 흡입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약품을 쥐어 파지하는 집게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work tool of the robot should store the medicine on the shelf by putting the medicine on the shelf, and also take out the medicine stored in the shelf and discharge it. A typical working tool having such a function is constituted of a suction plate for gripping the surface of the medicine by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through the air nozzle, or a gripper holding the medicine by gripping it.

이러한 작업툴은 1회 저장/인출작업시 하나의 약품만을 다루는 것으로, 처리하여야 하는 약품의 수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루트를 약품 수만큼 반복하여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Such a work tool handles only one medicine at a time of storing / retrieving one time, and when the number of medicines to be treated is two or more, the same route has to be repeated as many as the number of medicines.

예컨데, 어느 한 선반에 저장된 약품A와 다른 선반에 저장된 약품B를 인출하는 경우, 로봇은 약품A가 위치한 선반으로 이동한 후 작업툴로 약품A를 파지하여 약품A를 배출구로 옮겨 놓은 후 다시 약품B가 위치한 선반으로 이동한 후 약품B를 파지 운반하여야 하므로, 작동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For example, when withdrawing drug A stored in one of the shelves and drug B stored in another shelf, the robot moves to the shelf where the drug A is located, and then grips the drug A with the working tool to transfer the drug A to the outlet, Since the drug B must be gripped and transported after moving to the shelf where B is lo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amount is increased.

이러한 반복적인 작동으로 인하여 로봇의 수명이 짧아져 관리 비용이 증대하며, 다수의 약품을 저장/인출하는 소요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This repetitive operation shortens the lifetime of the robot, increases the management cost, and takes a long time to store / withdraw a large number of medicines.

특히 소요시간의 증대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약품 적재량이 증가되어 관리 시스템이 대형화 될수록 작업량이 정체 등의 문제가 되어, 관리 시스템의 제조 크기를 한정하는 요소로 작용한다.Especially, the increase of the time required is a factor to limit the manufacturing size of the management system as the amount of drug loading in the automatic drug management system increases and the size of the management system becomes larger as the workload becomes stagnant.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로봇의 작업툴이 한 번에 다수의 약품을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working tool of a robot used in an automatic medicine management system to carry a plurality of medicines at one time.

또한 작업툴에 운반되는 다수의 약품을 차례로 하나씩 안정되게 인출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It also has the purpose of enabling a plurality of medicines to be delivered to the work tool to be taken out one by one in a stable manner.

또한, 작업툴에 의한 약품의 이송시 약품이 떨어져 파손되지 아니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It also has a purpose of preventing the medicine from falling off when the medicine is transferred by the working tool.

또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약품을 안정되게 반출할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It also has a purpose of allowing the medicine to be taken out stab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약품이 저장되는 다수의 선반의 전방 평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이동되며, 상기 약품을 취출하는 로봇의 작업툴에 있어서, 상기 작업툴에는 전후 방향(X 축)으로 함께 이송되고, 약품을 파지하도록 마주보는 내측면의 폭(Y 축)이 조절되는 한 쌍의 나란한 그립퍼를 포함하는 파지부와, 상기 그립퍼로 파지 이송된 약품을, 다른 약품의 추가 운반을 위하여, 상기 그립퍼의 파지 해제 후 전후방향(X 축)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바닥이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 봇 작업툴을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ing tool of a robot for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ing on a front plane of a plurality of shelves for storing medicines, A grip portion including a pair of parallel grippers which are fed together with the gripper and whose width (Y axis) is adjusted so as to face the drug so as to grip the drug, And a conveyor belt for conveying the medicin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axis) after the gripper is released from the gripper for the robot operation tool.

또한, 상기 파지부에는 하우징 내부의 전후 방향 레일에 안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에는 작동모터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는 이송대와, 피니언의 회전을 통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의 끝단에 상기 그립퍼가 결합되는 세로판이 결합된 브래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을 제시한다. In addition, the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which is housed in the front and rear rails inside the housing and which is coupled to a belt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a drive motor and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rack coupled to the pinion so as to extend left and right through rotation of the pinion, and a bracket coupled to a vertical plate to which the gripper is coupled at an end of the rack. Provide a work tool.

또한, 한 쌍의 상기 그립퍼는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경사진 패드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을 제시한다. Further, a pair of the grippers are provided in parallel, and an inclined pad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gripper facing the robot.

또한, 상기 작업툴 상면의 전,후단부에는 약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하는 스톱퍼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을 제시한다. Further, a robot work tool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is provided, wherein a stopper plate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to elevate and lower the medicine to prevent the medicine from coming off.

또한, 상기 작업툴 상면의 전,후단에는 인출되는 약품을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을 제시한다. Further, a robot work tool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is further provided, wherein position sensors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to detect the medicine to be drawn ou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에 따르면,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바닥이송부에 의하여 한 번에 다수의 약 품을 적재 이송할 수 있게 되어, 다량의 약품을 저장 또는 배출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로봇의 작동량이 줄어들어 로봇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단위 시간당 처리가능한 약품의 수가 월등히 많아지므로,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대형화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robot working tool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medicines can be stacked and transported at one time by the bottom conveyor provided with the conveyor belt, The operation amount of the robot is reduced and the lifetime of the robot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drugs that can be treated per unit time is greatly increased,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can be made larger.

또한 평행한 그립퍼의 내측면 끝단부에서 돌출되는 패드가 구비되어, 컨베이어벨트 상에 위치한 동일 사이즈의 다수 약품 중에서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한 약품만을 선택적으로 파지 배출할 수 있어,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약품의 순차적 배출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ads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end portions of the parallel grippers are provided, so that only the medicines located at the frontmost or the rearmost room among the plurality of medicines of the same size positioned on the conveyor belt can be selectively gripp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sequential discharge can be stably performed.

또한, 스톱퍼판이 상승하여 작업툴의 이동 또는 바닥이송부의 작동시 약품이 작업툴 상에서 벗어나 외부로 떨어지지 아니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stopper plate is elevated, so that when the work tool is moved or the floor is moved, the medicine is released from the work tool and does not fall outside, so that the medicine can be safely transported.

또한, 위치센서가 부착되어 약품을 선반 또는 배출구에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is attached, and the medicine can be stably placed on the shelf or the discharge port.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functions,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a robot work tool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이 채용된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을 간략히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7, an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employing a robot working tool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200)은 본체(201) 내부 전방면에 약품이 저장되는 다수의 전방선반(210)이 형성되고, 후방면에도 다수의 후방선반(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선반(210)과 후방선반(220) 사이에는 선반 위에 약품을 저장하거나, 선반 위의 약품을 반출하는 로봇(230)이 이동가능한 작업공간(202)이 형성된다. 이때, 선반은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전방선반만 존재하거나 후방선반만 존재할 수도 있다.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shelves 210 for storing medicines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01 and a plurality of rear shelves 220 on the rear side. Between the front shelf 210 and the rear shelf 220, a work space 202 is formed in which a robot 230 for storing medicines on the shelf or taking out medicines on the shelf is movable.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utomatic drug management system, the shelf may have only a front shelf or only a rear shelf.

한편, 로봇(230)은 본체의 천장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메인가이드레일(231)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세로축대(232)와, 이 세로축대(232)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작업툴(1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작업툴(100)은 평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며, 약품투입구(203)의 약품을 전방선반(210) 또는 후방선반(220)으로 운반하여 저장하거나, 전방선반 또는 후방선반에 보관되는 약품을 취출하여 배출구(204)로 운반 배출하는 것이다. The robot 230 includes a vertical axis bar 232 slid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on a main guide rail 231 formed on a ceiling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ork tool 100 is transferr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on a plane, and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inlet 203 is transported and stored in the front shelf 210 or the rear shelf 220, And discharges the medicine to the discharge port 204 for discharging the medicine.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분해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working tool of an automatic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100)은, 전후 방향(X 축)으로 함께 이송되고, 약품을 파지하도록 마주보는 내측면의 폭(Y 축)이 조절되는 한 쌍의 나란한 그립퍼(11)를 포함하는 파지부(1)와, 상기 그립퍼(11)로 파지 이송된 약품을, 다른 약품의 추가 운반을 위하여, 상기 그립퍼(11)의 파지 해제 후 전후방향(X 축)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21)를 포함하는 바닥이송부(2)가 구비된다. The robot working tool 100 of the automatic drug adminis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the robot operation tool 100 that is transported toge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xis) and whose width (Y axis) And gripping the drug gripped by the gripper 11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X-axis direction) after gripping the gripper 11 for further transportation of other drugs, And a conveyor belt 21 for conveying the medicines to the conveying belt 2. [

이때, 파지부(1)는 선반, 약품투입구 등에 위치하는 약품을 파지한 후 컨베이어벨트(21) 상에 올려놓거나, 컨베이어벨트(21) 상에 위치하는 약품을 파지한 후 선반, 배출구 등에 올려놓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grip portion 1 grasps medicines located in the shelf, medicine inlet, and the like and then places the medicines on the conveyor belt 21, grasps medicines located on the conveyor belt 21, places the medicines on the shelves, It plays a role.

한편, 바닥이송부(2)는 파지부(1)에 의하여 올려진 약품을 컨베이어벨트(21)를 통하여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송함으로써, 파지부(1)가 다른 약품을 작업툴(100) 위로 옮길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conveying section 2 transfers the medicine raised by the gripping section 1 backward or forward through the conveyor belt 21, so that the gripping section 1 moves the other medicine onto the operation tool 100 It can be used to secure space.

이로써 컨베이어벨트(21)의 전후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약품을 차례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약품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Thus, since a plurality of medicines can b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21, it is possible to carry a plurality of medicines at the same time.

즉, 선반 여기저기에 흩어져 보관되는 다수의 약품을 인출함에 있어, 작업툴이 다수의 약품을 차례로 적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작업툴은 약품이 보관된 각 선반을 최단 거리로 이동하여 약품을 수집 적재하고 배출구로 이동되어 적재된 약품을 한 번에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툴이 이동하는 구간이 다량의 약품을 저장 또는 배출하는 작업마다 짧아지기에 로봇의 작동량이 그 만큼 줄어들어 장비의 노화를 지연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aking out a large number of medicines scattered and stored in and around the shelf, the work tool can carry a plurality of medicines one after another, so that the work tool moves each shelf with medicines to the shortest distance to collect and load the medicines And the discharged medicine can be discharged at a time. Therefore, the interval in which the work tool moves is shortened for each operation of storing or discharging a large amount of medicine, so that the operation amount of the robot is reduced so much that the aging of the equipment can be delayed.

또한 배출구과 선반을 반복 이동하며 한 번에 하나씩 약품을 배출하는 종래의 로봇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처리가능한 약품의 수가 월등히 많아지게 된다. 즉 다수의 약품을 한 번에 저장 또는 인출할 수 있으므로, 대량의 약품에 대한 운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을 대형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drugs that can be treated per unit tim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robot that repeatedly moves the discharge port and the lathe and discharges the medicine one at a time. That is, since a plurality of medicines can be stored or withdrawn at a time, the time required for transporting a large amount of medicines is reduced.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enlarge the automatic drug management system.

한편, 상기 파지부(1)에는 그립퍼(11)를 전후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립퍼(11)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좌우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대(12)와 브래킷(13)이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grip portion 1 is provided with a feed table 12 for moving the gripper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direction) or for moving the gripper 1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 direction) 13).

도 2를 참고하면, 작업툴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은 전방선반과 후방선반 사이의 폭에 해당하는 전후 길이로 형성되고, 하우징(110) 바닥의 양 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바닥레일(125)이 형성되어 있다.2, the housing 110, which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working tool, is formed with front and rear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tween the front shelf and the rear shelf, an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이송대(12)의 바닥면 양 측에는, 바닥레일(125)에 대응되게 하부가이더(121)가 구비되어, 이송대는 바닥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송대(12)의 전후단에는 벨트(122)가 고정되며, 이 벨트(122)는 하우징 내부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된 풀리(123)와 어느 한 쪽의 풀리(123)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4)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된다.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veying table 12, a lower guider 121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ttom rail 125, and the conveying table is movably coupled along the bottom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elt 122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veyance belt 12 and the belt 122 is driven by a pulley 123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rotation is controlled by the motor 124.

즉 구동모터(124)에 의하여 벨트(122)에 연결된 이송대(12)는 전후 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대(12)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하여, 브래킷(13)을 통하여 이송대(12)와 결합된 그립퍼(11)는 전후방향으로 이송대(12)와 함께 이송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veying belt 12 connected to the belt 122 by the driving motor 124 is convey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gripper 11 coupled to the conveying table 12 through the bracket 13 is conveyed along with the conveyor table 1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or table 1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한편, 이송대(12)의 상부면에는 이송대(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모 터(126)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피니언(127)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의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추후 설명되는 측방가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방레일(1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table 12, a pinion 127 whose rotation is controlled by an operation motor 126 provided below the conveying table 12 is provided. Further,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lateral rails 128 slidably coupled to later-described lateral guiders.

한편, 브래킷(13)은 하우징(110)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대응되게 구비되며, 피니언(127)의 회전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거나 가깝게 좌우방향(Y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는 각 그립퍼(11)에 결합된다.The bracket 13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is mov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Y direction)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127, 11).

구체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에 결합되는 브래킷(이하, 좌측 브래킷이라고 함)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측 브래킷은 하우징의 측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세로판(131)과, 세로판(131)의 하부에서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피니언(127)의 전방에 결합되는 래크(132)가 결합된다. 또한 보다 원활한 좌우 이동을 위하여 세로판(131)에는 래크(132)와 나란하게 결합되어 이송대(12)의 전방에 형성된 측방레일(1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방가이더(133)가 구비된다. 또한, 세로판(131)의 상부에는 좌측의 그립퍼(11)가 결합된다. The left bracket includes a vertical plate 131 positioned parallel to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vertical plate 131 disposed parallel to the vertical plate 131. [ And a rack 132,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t the bottom to be protruded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inion 127, is engaged. The lateral plate 131 is provided with a side guider 133 which is coupled to the rack 132 in parallel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lateral rail 128 formed in front of the conveying table 12 . The left gripper 1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131.

한편, 좌측브래킷의 반대편에 결합되는 우측브래킷(13)에도 세로판(131), 래크(132) 및 측방가이더(133)가 구비되며, 이때 래크(132)는 피니언(127)의 후방에 결합되고, 측방가이더(133)는 이송대(12)의 후방에 형성된 측방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세로판(131)의 상부에는 우측의 그립퍼(11)가 결합된다.The right bracket 13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eft bracket is also provided with a vertical plate 131, a rack 132 and a side guider 133. At this time, the rack 132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pinion 127 The side girder 133 is slidably coupled to a side rail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veyance table 12 and the right side gripper 11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late 131.

이로써, 피니언(127)의 회전에 의하여 브래킷(13)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깝게 좌우 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그에 따라 그립퍼(11)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 깝게 이동되며, 그립퍼를 통하여 약품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brackets 13 are moved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Y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pinion 127, whereby the grippers 11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

한편, 그립퍼(11)는 하우징의 전후 길이만큼의 길이를 갖으며 평행하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끝단부에는 경사진 패드(111)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111)는 파지된 약품이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ripper 11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housing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housing, and an inclined pad 111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The pad 111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so that the gripped medicine does not slip.

이렇게 내측면에서 패드가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 상에 위치한 동일 사이즈의 다수 약품 중에서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한 약품만을 선택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pad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hold the medicines located at the foremost or the last of the plurality of medicines of the same size located on the conveyor belt.

한편, 바닥이송부(2)는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절개홈(121)이 형성된 뚜껑(120)의 내부에 결합된다. 바닥이송부(2)는 뚜껑 내부의 전,후방에 구비되는 풀리(22)와, 이 풀리(22)를 회전시키는 벨트모터(23) 및 풀리에 감겨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컨베이어벨트(21)는 뚜껑(120)의 절개홈(121)의 높이로 결합되어, 약품이 올려지는 바닥을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conveyor 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id 120 on which the cutout grooves 121 are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The bottom conveyor 2 includes a pulley 22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id, a belt motor 23 for rotating the pulley 22, and a conveyor belt 21 wound on the pulley and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t this time, the conveyor belt 21 is joined to the height of the cutout groove 121 of the lid 120 to form a floor on which the medicine is put.

한편, 상기 작업툴(100) 상면의 전,후단부에는 약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하는 스톱퍼판(3)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topper plate 3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100 to prevent the chemical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opper plate.

스톱퍼판(3)은 뚜껑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슬릿(122)에 결합되는 것으로, 뚜껑(120)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31)의 회전에 의하여 슬릿(122)의 상부로 상승하거나, 슬릿(122)의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 The stopper plate 3 is coupled to the slit 122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lid and is lifted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it 122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1 provided inside the lid 120 , And falls to the inside of the slit (122).

이러한 스톱퍼판(3)은 작업툴(100)의 이동시 상승하여 컨베이어벨트(21) 위에 안치된 약품이 떨어지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바닥이송부의 작동으로 약품이 후방 이동하는 경우, 후단에 구비된 스톱퍼판이 상승하여 약품이 후방으로 떨어지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The stopper plate 3 prevents the chemicals placed on the conveyor belt 21 from rising when the work tool 100 is moved. In addition, when the medicine is move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bottom conveyance, the stopper plate provided at the rear end is raised so that the medicine does not fall backward.

이러한 스톱퍼판으로 작업툴의 이동 또는 바닥이송부의 작동시 약품이 작업툴 상에서 벗어나 외부로 떨어지지 아니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With such a stopper plate, when the movement of the working tool or the operation of the floor bottom is carried out, the medicine can be safely transported off the work tool without falling out.

한편, 상기 작업툴(100) 상면의 전,후단에는 약품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센서(4)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sition sensor 4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medicine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100.

위치센서(4)는 작업툴 상면의 전, 후단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위치센서는 공지된 적외선을 이용하는 센서로, 작업툴(100)의 전, 후단을 지나가는 약품을 감진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position sensor 4 is provid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or provid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is a known infrared sensor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epress chemicals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working tool 100.

이러한 위치센서(4)는 약품이 인출될 때, 약품이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를 산출하는 기준점이 된다. The position sensor 4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by which the medicine should be moved when the medicine is taken out.

즉, 미리 입력된 약품의 크기와 선반의 길이로부터 해당 약품을 선반에 안정되게 올려놓기 위하여, 제어장치(도시 생략)는 설계된 바에 따라 위치가 특정되는 위치센서로부터 해당 약품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야 할 약품의 이동길이를 산출한다. 그립퍼를 통하여 약품을 파지한 이후 상기 약품의 이동길이만큼 그립퍼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그립퍼의 파지를 해제함으로써 약품을 선반에 올려놓 게 된다. That is, in order to stably place the medicine on the shelf from the size of the medicine and the length of the shelf,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moves the medicine from the position sensor whose position is specified according to the design to the front or back Calculate the transfer length of the drug to be treated. After the medicine is gripped through the gripper, the gripper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movement length of the medicine, and then the gripper is released from gripping, thereby placing the medicine on the shelf.

이때 위치센서는 전술한 약품의 이동길이를 카운트하는 기준점이 된다. 즉 위치센서에서 그립퍼에 의하여 이송되는 약품이 작업툴의 끝단을 지나가는 때부터 상기 약품의 이동길이만큼 그립퍼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반에 약품을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or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counting the movement length of the medicine. That is, when the medicine delivered by the gripper moves from the position sensor to the end of the working tool, the gripper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movement length of the medicine so that the medicine can be stably placed on the shelf.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bot working tool of the automatic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ttached hereto.

선반에 위치한 다수의 약품을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Describe the process of withdrawing a large number of medicines located on a shelf.

작업툴(100)은 로봇에 의하여 약품(M)이 위치한 목적 선반에까지 이송된다. 작업툴의 높이는 목적 선반보다 낮게 위치하여 약품이 수평 이동될 때 작업툴의 전단에 걸리지 않게 한다.The work tool 100 is transported to the destination shelf where the medicine M is located by the robot. The height of the work tool is located lower than the target shelf so that it does not get caught in the front of the work tool when the drug is moved horizontally.

미리 입력된 약품(M)의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약품(M)의 폭보다 넓게 그립퍼(11)가 좌우방향(Y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작동모터가 작동된다. 이후,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그립퍼(11)를 전후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여 패드(111)가 약품의 양측에 위치하게 한다(도 6의 (a)). The operation motor is operated so that the gripper 11 is wid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Y direction)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edicine M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medicine M previously inputted. Thereafter, the driving motor is operated to move the gripper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direction) so that the pads 111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edicine (FIG. 6A).

이후, 작동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립퍼(11)로 약품(M)을 파지하고, 다시 구동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약품을 컨베이어벨트(21) 상에 올려놓고, 그립퍼(11)를 벌려 파지를 해제한다(도 6의 (b) 참고). Thereafter, the operation moto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grip the medicine M with the gripper 11, and then the drive moto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lace the medicine on the conveyor belt 21 and open the gripper 11 The gripping is released (see Fig. 6 (b)).

이후, 벨트모터를 구동하여 컨베이어벨트(21)를 작동시켜, 약품(M)을 바닥이 송부(2)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다음의 약품이 올려질 공간을 확보한다(도 6의 (c) 참고). Thereafter, the belt motor is driven to operate the conveyor belt 21 to move the medicine M to the center of the bottom conveyor 2, thereby securing a space for loading the next medicine (Fig. 6 (c) Reference).

다음, 작업툴(100)은 로봇에 의하여 다른 선반으로 이동되고, 전술된 과정을 반복하면서 컨베이어벨트(21) 상에 다수의 약품(M)을 적재한다(도 6의 (d) 참고). Next, the work tool 100 is moved to another shelf by the robot, and a plurality of medicines M are stacked on the conveyor belt 21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see Fig. 6 (d)).

한편, 작업툴에 적재된 약품을 배출하기 위하여 작업툴은 배출구보다 높게 배출구로 이송되고, 그립퍼의 좌우방향(Y 방향) 이동 및 전후방향(X 방향) 이동을 조합하여 배출구에 차례로 약품을 배출한다.Meanwhile, in order to discharge the medicine loaded on the work tool, the work tool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higher than the discharge port, and the medicine is sequential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by combining the movement of the gripper in the lateral direction (Y direction) .

이때, 구동모터, 작동모터, 벨트모터에 의한 그립퍼의 이동과 컨베이어벨트의 이동거리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사이즈와 미리 입력된 약품 사이즈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장치에서 산출된다. 이때 컨베어어벨트 상에서 약품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기에 약품의 반출은 위치센서에 의하여 파악되는 약품의 반출 시작시점부터 약품을 파지 반출하는 그립퍼의 전후방향(X 방향) 이동길이를 제어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gripper by the drive motor, the operation motor, and the belt motor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onveyor belt are calculated by the control device based on the size of the automatic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of the medicine size inputted in advance. Since the slip of the medicine may occur on the conveyor belt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medicin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direction) of the gripper which grips and removes the medicine from the start of the take-out of the medicine, which is recognized by the position sensor, is controlled.

한편, 약품의 사이즈가 다른 다수의 약품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평행한 직선상의 내측면을 갖는 그립바를 통하여 순차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약품 사이즈가 작은 것부터 약품 사이즈가 큰 순서로 작업툴에 적재 이송되도록 한다(도 6의 (d) 참고).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number of medicines having different sizes of medicines are to be transferred, the medicament size should be small so that the medicines can be sequentially gripped through the grip bars having parallel inner side surfaces. (See Fig. 6 (d)).

또한, 전방선반과 후방선반에 흩어져 보관되는 다수의 약품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파지부의 작용과 아울러 바닥이송부에 구비된 컨베이어벨트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다수의 약품을 바닥이송부 상에 올려 놓고 한 번에 이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aking out a large number of medicines scattered and stored in the front shelf and the rear shelf, in addition to the action of the gripper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transported at a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working tool of an automatic medicin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분해한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략적인 정단면도.3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Figure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단면도.Figure 5 is a schematic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이 사용된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ed drug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is us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작업툴100: Work Tool

110 : 하우징 120 : 뚜껑 121 : 절개홈 122 : 슬릿110: housing 120: lid 121: incision groove 122: slit

1 : 파지부1:

11 : 그립퍼 111 : 패드 11: gripper 111: pad

12 : 이송대 121 : 하부가이더 122 : 벨트12: feed belt 121: lower guider 122: belt

123 : 풀리 124 : 구동모터 125 : 바닥레일123: pulley 124: drive motor 125: bottom rail

126 : 작동모터 127 : 피니언 128 : 측방레일126: Operation motor 127: Pinion 128: Side rail

13 : 브래킷 131 : 세로판 132 : 래크 133 : 측방가이더13: bracket 131: vertical plate 132: rack 133: side guider

2 : 바닥이송부2: Floor conveyance

21 : 컨베이어벨트 22 : 풀리 23 : 벨트모터21: conveyor belt 22: pulley 23: belt motor

3 : 스톱퍼판3: Stopper plate

31 : 모터31: Motor

4 : 위치센서4: Position sensor

200 : 관리 시스템200: Management System

201 : 본체 202 : 작업공간 203 : 약품투입구 204 : 배출구201: main body 202: work space 203: medicine inlet 204:

210 : 전방선반 210: Front shelf

220 : 후방선반 220: Rear shelf

230 : 로봇 231 : 메인가이드레일 232 : 세로축대230: robot 231: main guide rail 232:

Claims (5)

약품이 저장되는 다수의 선반의 전방 평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이동되며, 상기 약품을 취출하는 로봇의 작업툴에 있어서, A working tool of a robot for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ing on a front plane of a plurality of shelves in which a medicine is stored, 상기 작업툴에는 The work tool 전후 방향(X 축)으로 함께 이송되고, 약품을 파지하도록 마주보는 내측면의 폭(Y 축)이 조절되는 한 쌍의 나란한 그립퍼(11)를 포함하는 파지부(1)와, (1) including a pair of parallel grippers (11) which are fed toge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axis) and whose widths (Y-axis) 상기 그립퍼(11)로 파지 이송된 약품을, 다른 약품의 추가 운반을 위하여, 상기 그립퍼(11)의 파지 해제 후 전후방향(X 축)으로 약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21)를 포함하는 바닥이송부(2)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21)를 작동시켜 전후 방향(X 축)으로 다수의 약품을 적재하여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A floor including a conveyor belt 21 for conveying medicines held by the gripper 11 to another conveying direction of the medicin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X-axis) after releasing the gripper 11, Wherein the conveyor belt (21)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unit (2) for loading and conveying a plurality of medicin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axis). 제1항에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부(1)에는 In the grip portion 1, 하우징(110) 내부의 전후 방향 레일에 안치되고, 구동모터(124)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122)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에는 작동모터(126)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피니언(127)이 구비되는 이송대(12)와, Rear direction by a driving motor 124 and is coupled to a belt 122 which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driving motor 124 so as to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conveyance belt 12 provided with a pinion 127, 상기 피니언(127)의 회전을 통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상기 피니언(127)과 결합되는 래크(132)와, 상기 래크(132)의 끝단에 상기 그립퍼(11)가 결합되는 세로 판(131)이 결합된 브래킷(1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A rack 132 coupled to the pinion 127 so as to extend left and right through rotation of the pinion 127 and a vertical plate 131 to which the gripper 11 is coupled at an end of the rack 132 And a combined bracket (13) is included. 제2항에서, 3. The method of claim 2, 한 쌍의 상기 그립퍼(11)는 평행하게 구비되고, The pair of grippers 11 are provided in parallel, 상기 그립퍼(11)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경사진 패드(111)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And a sloping pad (111) protrudes from an inside surface of the gripper (11) opposite to the gripper (11). 제1항에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업툴 상면의 전,후단부에는 약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하는 스톱퍼판(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Wherein a stopper plate (3)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to move up and down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medicine. 제1항에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업툴 상면의 전,후단에는 인출되는 약품을 감지하는 위치센서(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품 관리 시스템의 로봇 작업툴.The robot working too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sensor (4) for detecting drugs drawn 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tool.
KR1020090047587A 2009-05-29 2009-05-29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KR101620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87A KR101620353B1 (en) 2009-05-29 2009-05-29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US12/788,693 US8281553B2 (en) 2009-05-29 2010-05-27 Automated medicine storage and medicine introduction/discharge management system
EP10164103.3A EP2256703B1 (en) 2009-05-29 2010-05-27 Automated medicine storage and medicine introduction/discharg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587A KR101620353B1 (en) 2009-05-29 2009-05-29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10A KR20100128910A (en) 2010-12-08
KR101620353B1 true KR101620353B1 (en) 2016-05-12

Family

ID=435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587A KR101620353B1 (en) 2009-05-29 2009-05-29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576B1 (en) * 2013-12-27 2014-10-06 에이앤피산업(주) Single arm transfer robot
CN113715034B (en) * 2021-07-29 2023-01-10 光华临港工程应用技术研发(上海)有限公司 Automatic medicine taking and sending nurse robot
CN114871000B (en) * 2022-04-26 2023-08-11 鞍钢集团矿业有限公司 Flotation dosing self-adaptive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200A (en) * 2002-08-30 2005-12-08 ネクストアールエ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Automatic device for sorting and dispensing packaged drugs and other small e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7200A (en) * 2002-08-30 2005-12-08 ネクストアールエ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Automatic device for sorting and dispensing packaged drugs and other small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10A (en)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924B2 (en) Shelving system and power transfer device
US6971833B1 (en) Order picking system
KR101156278B1 (en) Medicine tray supply device
US960479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unloading load items from a loading space
JP2011178563A (en) Storage rack
CN111605951A (en) Method and storage system for storing piece goods in a rack
JP2017510527A (en) Warehouse and collection cart for warehouse
WO2005105619A1 (en) Medicine supply system
WO2005105621A1 (en) Tray discharge device
JP7180411B2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JP7143383B2 (en) A transfer device and a process for outputting unit products using the transfer device
KR101620353B1 (en) tool of the robot in the automatic medication control system
JP5389006B2 (en) Drug information printing input device
JP2019210116A (en) Bag conveyance method and bag conveyance device
CN104076087B (en) Workpiece conveying device of eddy current flaw detector
TWM532430U (en) Product line-up mechanism comprising missing product or missing row inspection function
PT1642850E (en) Shelf storage with manipulator with suction gripper
JP2016520495A (en) manipulator
JPH0549567B2 (en)
US20050074315A1 (en) Storage and retrieva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duct storage shelving, especially a commission device
JPS6082508A (en) Moving shelf device
JP6848676B2 (en) Picking system
ES2243847T3 (en)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SIMULTANEOUS RECOVERY OF VARIOUS ITEMS FROM AN AUTOMATED STORAGE STORE.
CN208964012U (en) Processing unit, cargo transfer means and cargo storage system
KR20190105871A (en) System for transporting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