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152B1 -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152B1
KR101618152B1 KR1020090085945A KR20090085945A KR101618152B1 KR 101618152 B1 KR101618152 B1 KR 101618152B1 KR 1020090085945 A KR1020090085945 A KR 1020090085945A KR 20090085945 A KR20090085945 A KR 20090085945A KR 101618152 B1 KR101618152 B1 KR 10161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image data
touch screen
mobile terminal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8041A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8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152B1/en
Publication of KR2011002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0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웹 기반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 생성하고,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웹 브라우저부 및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하고,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방향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하며, 이동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웹 브라우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85945

터치스크린, 아이프레임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dragging a web page there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browser unit for generating web page data for displaying web-based web page data on a touch screen, determining whether an eye frame including image data is present in a frame constituting the web p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eb browser unit to display an icon for dragging at the touched position when the image data is touched, to move the image data in the dragged direction when the icon is dragged, and to display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do.

Figure R1020090085945

Touch Screen, Eye Frame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web page drag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드래그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partially dragging a frame constituting a web pag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dragging a web page thereof.

인터넷 사용이 늘어나면서 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통신단말을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얻거나, 서핑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As the use of the Internet increases, many people use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a notebook to obtain information or surf.

목적지를 찾아 갈 경우에도, 인터넷을 통해 지도를 확인하고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Even if you are looking for a destination, you often check the map via the internet and leave.

한편, 근래에는 화면 크기가 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이 출시되고, 많이 사용되면서 모바일 단말에 탑재된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단말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사용자가 원할 때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having a large screen size has been released, and users are increasingly using the Internet function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so that the user can acquire desired information when he / she desires.

소정 URL에 대응되는 웹 사이트에 따라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 수와 프레임의 구성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획득한다. Since the number of frames constituting a web page and the configuration of a frame are different according to a web sit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URL, a user accesses a web site of his or her preference through a mobile terminal to acquire desired information.

그러나,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는 겉으로는 컴퓨터와 유사하게 표시되지만, 웹 페이지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에 있어서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생겼다. However, the web p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urface similar to a computer, but a restriction is imposed on the process for controlling the web page.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종래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도 검색을 할 경우, 웹 페이지(100)는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10)과, 텍스트를 포함하는 텍스트 프레임(20) 및 지도에 해당되는 지도 이미지 데이터(35)가 포함된 아이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1, which illustrates a web pag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n the related art, when a user performs a map search, the web page 100 includes a main frame including a menu 10, a text frame 20 including text, and an i-frame 30 including map image data 35 corresponding to the map.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통신단말에서는, 아이프레임에 포함된 지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클릭)하여 지도 이미지 데이터만을 드래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In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a notebook, map image data included in an eye frame can be selected (clicked), and only the map image data can be dragged and moved.

그러나, 모바일 단말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아이프레임(30)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된 위치를 터치한다하여도 메인 프레임(10)과 텍스트 프레임(20) 및 아이프레임(30) 전체가 함께 드래그되어 이동되는 문제점이 생겼다. 즉, 아이프레임(30)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35)만을 터치하여 드래그할 수 없는 것이다. However,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displayed position of the map image data of the eye frame 3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main frame 10, the text frame 20, and the entire eye frame 30 are dragged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oved. That is, it is impossible to touch and drag only the map image data 35 of the eye frame 30.

컴퓨터 또는 노트북에서는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마우스 또는 마우스 패드가 객체 위에 위치하게 될 때, 마우스 커서가 클릭(click)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오버(Mouse-Over)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마우스 또는 마우스 패드를 통해 마우스 커서를 아이프레임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에 위치시키고, 지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스크롤 또는 드래그하면, 아이프레임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만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Since a mouse or a mouse pad used as an input device on a computer or a notebook provides a mouse-over function that allows a mouse cursor to be clicked when the mouse or a mouse pad is positioned on an object, When the mous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map image data of the eye frame and the map image data is selected and scrolled or dragged, only the map image data of the eye frame can be moved.

한편,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은 압력(Press)에 의한 터치, 이동(Move) 및 터치 해제(Release)의 세가지 터치 이벤트를 입력으로 하는데, 모바일 단말에서는 웹 페이지 자체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인식하여 마우스오버 기능과 같이 아이프레임 내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객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프레임(30)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35)를 드래그할 수 없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puts three touch events such as touch, movement, and release by pressure. In the mobile terminal, the web page itself is recognized as one frame, The image data 35 included in the eye frame 30 can not be dragged because it does not provide a function to recognize the image data (object) included in the eye fram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웹 페이지에 마우스오버기능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아이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만을 제어(드래그)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mouse over function on a web pag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dragging a web page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이 마우스오버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so that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can utilize a mouse over function and a method of dragging a web page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은, 웹 기반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웹 브라우저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하며,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web-based web page data as a web page for displaying on the touch screen, A web browser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user exists; And an icon for dragging is displayed on the touched position when the image data is touched, and when the icon is dragged, the image data is moved in a dragged direction, and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on the web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rowser unit.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류하고, 분류된 프레임 중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역 구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 brows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gion distinguishing unit for analyzing the web page data to classify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ye frame including image data among the classified frames.

상기 웹 페이지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드래그하기 위한 마우스오버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enu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menu for controlling the web page or a mouse-over menu for dragging the image data.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풀 브라우징 방식의 웹 브라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b browser unit is a full-browsing web browser.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아이프레임의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in an area of the eye fram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은, 웹 기반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아이프레임이 존재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하며,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method of dragging a web pag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web page for displaying web-based web page data on the touch screen,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ye frame including the eye frame;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n icon for dragging at the touched position when the image frame exists and the image data is touched; And a third step of, when the icon is dragged, moving the image data in a dragged direction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인터넷 상의 웹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receiving the web page data by accessing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ep may further include classifying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메뉴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드래그하기 위한 마우스오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displaying a mouse-over menu for dragg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menu display command.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드래그하면 웹 페이지에 포함된 프레임 전체가 같이 이동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웹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드래그할 수 있게 된다. 즉, 마우스의 마우스오버(Mouse-Over) 기능처럼 모바일 단말에서도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객체를 인식하여 선택하고, 드래그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Conventionally, if a specific position of a web pag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is touched and dragged, the entire frame included in the web page is moved together.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image data of the eye frame included in the web page is selected and dragged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select, and drag image objects included in a web page from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use-over function of a mou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0)은, 무선 통신부(210)와, 아날로그 음성처리부(220)와, 터치 스크린부(230)와, 메뉴 제공부(240)와, 웹 브라우저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2,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220, a touch screen unit 230, a menu providing unit 240, a web browser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무선 통신부(210)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듀플렉서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듀플렉서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고, 송신부는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며, 수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받아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is a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includes a duplexer,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Specifically, the duplexer separat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through an antenna, and the transmitting unit converts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o a radio frequency and outputs the radio frequency to the duplexer.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from the duplexer And converts it into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s it.

아날로그 음성처리부(22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K)(223)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221)로부터 입력되는 아 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220 converts a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mplifies the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voice signal to a speaker (SPK) 223 or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MIC) Signal.

터치 스크린부(230)는 터치패널(231)과, 위치 검출부(233) 및 디스플레이부(235)를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부(235)에 터치패널(231)이 장착되어 각종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접촉이 발생될 경우에 위치 검출부(233)를 통해 접촉이 발생된 위치의 좌표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부(230)의 터치패널(231)은 저항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unit 230 includes a touch panel 231, a position detection unit 233 and a display unit 235. The touch panel 231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235 to display various menus on the screen And detects and output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is generated through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33 when contact occurs on the screen. The touch panel 231 of the touch screen unit 230 may be implemented by a resistance method, a capacitance method, or an infrared method.

한편, 터치 스크린부(230)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경우, 터치 스크린부(230)에서의 접촉을 인식 또는 인식하지 못하도록 터치 기능의 잠금 또는 해제를 할 수 있는 별도의 키(미도시)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터치 기능을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모바일 단말(200)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고자할 경우에 터치 기능의 잠금 상태를 해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부(230)는 터치 기능의 잠금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만 터치패널(231)에서 선택된 포인트의 좌표 정보를 검출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unit 230 may include a separate key (not shown) that can lock or unlock the touch function to prevent the touch screen unit 230 from recognizing or recognizing the contact. The touch function is normally set to the locked state and the lock state of the touch function can be set to be released when the user desires to execute the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screen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oint on the touch panel 231 only when the lock setting of the touch function is released.

메뉴 제공부(240)는 모바일 단말(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The menu providing unit 240 provides a menu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제공부(240)는 웹 브라우저부(250)가 실행된 경우, 웹 페이지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창 닫기, 새로 고침, 다음 탭 보기 및 이전 탭 보기) 또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아이프레임을 제어할 수 있는 마우스오버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우스오버(Mouse-Over)는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통신단말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화면에 표시된 객체 위 에 마우스 커서가 위치하게 될 때, 마우스 커서가 클릭(click)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When the web browser unit 250 is executed, the menu providing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menus (backward, forward, close, refresh, next tab view, and previous tab view) ) Or a mouse-over menu for controlling an eye frame constituting a web page. Mouse-over is a function provided by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a notebook so that a mouse cursor can be clicked when a mouse cursor is positioned on an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웹 브라우저부(250)는 사용자가 웹 주소(URL)를 입력하면, 입력된 웹 주소에 해당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웹 서버(미도시)로 요청하고, 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35)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 생성한다. 웹 페이지 데이터는 테이블값,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CSS(Cascading Style Sheets) 및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When the user inputs a web address (URL), the web browser unit 250 requests web p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web address to a web server (not shown) on the Internet, and receives web page data And generates a web page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235. Web page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table values,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Cascading Style Sheets (CSS), and Javascript.

이러한, 웹 브라우저부(250)는 인터넷망 상의 웹 서버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데이터를 그대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 브라우징(Full Browsing) 방식의 웹 브라우저로, 웹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웹 페이지 데이터를 렌더링(Rendering) 및 파싱(Parsing) 처리를 통해 웹 페이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와 같이 웹 문서 포맷으로 웹 페이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The web browser unit 250 is a full browsing web browser capable of displaying the web page data provided by the web server on the Internet network directly on the screen. The web browser unit 250 displays web page data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Rendering and parsing processes analyze web page data to enable web page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web document format, such as Internet Explorer.

랜더링은 웹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콘텐츠와 포맷 정보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이고, 파싱은 웹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된 테이블값, HTML, XML, CSS 및 페이지 프레임 구조를 포함한 페이지 구성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Rendering is to organize content and format information contained in web page data so that it can be displayed. Parsing analyzes the page structure including table values, HTML, XML, CSS, and page frame structure included in web page data,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영역 구별부(251)는 웹 브라우저부(250)에서 렌더링 및 파싱 처리에 의해 웹 페이지 구성이 파악되면,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류하고, 분류된 프레임 중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If the web page structure is grasped by the rendering and parsing process in the web browser unit 250, the area classification unit 251 classifies the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and if an eye frame including image data among the classified frames exists .

아이프레임(Iframe)은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인 HTML 문서에서 글 중의 임의 위치에 또 다른 HTML 문서를 보여주는 내부 프레임(Inline Frame) 태그로, 이미지 태그로 그림 또는 이미지 파일을 문서에 포함시키는 것과 유사하다.An Iframe is an Inline Frame tag that shows another HTML document at an arbitrary location in an HTML document that is a hypertext generation language. It is similar to embedding a picture or image file in an image tag with an image tag.

제어부(260)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respective uni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웹 브라우저부(250)가 실행되어 아이프레임이 포함된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축메뉴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마우스오버메뉴가 디스플레이부(235)에 표시되도록 메뉴 제공부(240)을 제어한다. 이때, 단축메뉴 표시 명령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는 마우스오버메뉴 이외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보기메뉴, 아이콘숨김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a shortcut menu display command is input while a web page including an eye frame is displayed while the web browser unit 250 is being operated, the controller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ouse over menu on the display unit 235 So as to control the menu providing unit 240. In this case, the menu displayed according to the shortcut menu display command may further include a text view menu and an icon hidden menu, as shown in FIG. 4A, in addition to the mouse-over menu.

그리고, 제어부(260)는 상기 메뉴제공부(240)가 제공하는 마우스오버메뉴가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부(235)의 아이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이 터치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When the mouse over menu provided by the menu providing unit 240 is selected and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eye frame of the display unit 235 is touched, the controller 260 displays the icon for dragging at the touched position Display.

상기 아이콘은 웹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드래그)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260)는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아이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만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활성화시킨다. The icon is for controlling (dragging) the image data of the eye frame included in the web page. When the image data is touched, the controller 260 activates the image data so that only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eye frame can be controlled .

한편, 마우스오버메뉴는 아이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마우스오버메뉴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부(235)에 표시된 아이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외한 프레임(메뉴 프레임 또는 텍스트 프레임)의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면, 아이콘은 표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ouse-over menu is for controlling the image data contained in the eye frame. When the user selects the mouse-over menu and displays a frame (menu frame or text frame) ex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eye fram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5, It is preferable that the icon is not displayed.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35)에 표시된 아이콘이 터치되어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방향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하며, 이동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가 아이프레임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한다. When the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5 is touched and dragged, the control unit 260 moves the image data in the dragged direction and display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eye frame area.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200)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S. 4A to 4C.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35)에 표시된 웹 페이지(300)는 메뉴가 포함된 메뉴 프레임(310)과, 텍스트가 포함되는 텍스트 프레임(320), 플래쉬 동영상과 같은 광고 동영상이 포함되는 광고프레임(330) 및 지도 이미지 데이터(345)가 포함된 아이프레임(3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소정 URL에 대응되는 웹 사이트마다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와 프레임의 구성 형태가 다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3, the web page 3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5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menu frame 310 including a menu, a text frame 320 including text, An advertisement frame 330 including an advertisement video, and an eye frame 340 including map image data 345. Such a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since the number of frames constituting a web page differs from that of a frame for each web sit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URL.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웹 페이지(300)에 단축메뉴(40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축메뉴(400) 중 "마우스오버"메뉴를 선택하고 아이프레임(340)의 지도 이미지 데이터(345)를 터치하면, 제어부(26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이미지 데이터(345)가 터치된 위치에 지도 이미지 데이터(345)를 선택할 수 있는 손가락 모양의 아이콘(410)이 표시되도록 한다. 아이콘(410)은 도시된 손가락 모양 이외에 화살표 모양과 같이 다양한 모양을 적용할 수 있다.4A, when the user selects the "mouse over" menu among the shortcut menu 400 while the shortcut menu 400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30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map of the child frame 340 When the user touches the image data 345, the controller 260 displays a finger-shaped icon 410 for selecting the map image data 345 at a position where the map image data 345 is touched, as shown in FIG. 4B Display. The icon 4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n arrow shape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finger shape.

그리고, 사용자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지도 이미지 데 이터(345)에 표시된 아이콘(410)을 터치한 상태로 왼쪽(441), 위쪽(443), 오른쪽(445) 또는 아래쪽(447)으로 드래그하면, 제어부(260)는 지도 이미지 데이터(345)를 드래그된 방향(왼쪽(441), 위쪽(443), 오른쪽(445) 또는 아래쪽(447))으로 이동하여 이동된 지도 이미지 데이터(345)가 터치스크린의 아이프레임(340) 영역 내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icon 410 displayed on the map image data 345 of the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4C, the left button 441, the upper button 443, the right button 445, The control unit 260 moves the map image data 345 in the dragged direction (left 441, upper 443, right 445, or down 447) (345) to be displayed within the area of the eye frame (340) of the touch scree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agging a web pag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웹 주소가 입력되면, 입력된 웹 주소에 해당되는 인터넷 상의 웹 서버로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S501),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503). When the web address is inputted,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a web page to the web server on the Internet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web address (S501), and receives web page data from the web server (S503).

모바일 단말(100)은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S505), 생성된 웹 페이지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507). The mobile terminal 100 analyzes the received web page data to generate a web page (S505), displays the generated web page on the touch screen,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frame including image data among the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S507).

상기 S507단계의 판단결과, 아이프레임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단축메뉴 표시 명령을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마우스오버메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한다(S509).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7 that the eye frame exists and the user inputs a shortcut menu display command,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the mouse over menu on the touch screen (S509).

그 후, 표시된 마우스오버메뉴가 선택되고,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S511), 모바일 단말(100)은 터치된 위치에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며(S513), 아이콘이 터치되고 드래그되면(S515), 드래그된 방향으로 이미지 데이터 를 이동하며, 이동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아이프레임의 영역내에서 표시한다(S517). Then, when the displayed mouse over menu is selected and the image data is touched (S511),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n icon for dragging at the touched position (S513), and when the icon is touched and dragged (S515) , The image data is moved in the dragged direction, and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in the area of the eye frame (S517).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can be chang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FIG. 1 is a view showing a web pag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for examp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 FIG. 3 illustrates a web pag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of a mobile terminal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메뉴와 아이콘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 FIGS. 4A and 4B illustrate menus and icon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아이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드래그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도면,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ragging image data included in an ey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200 : 모바일 단말 230 : 터치스크린부200: mobile terminal 230: touch screen unit

240 : 메뉴 제공부 250 : 웹 브라우저부240: menu providing unit 250: web browser unit

251 : 영역 구별부 260 : 제어부 251: area distinguishing unit 260:

Claims (1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In a mobile terminal with a touch screen, 웹 기반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아이프레임의 배치 영역을 판단하는 웹 브라우저부; 및 A method of generating a web page for displaying web-based web page data on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web page for displaying web-based web page data on a touch screen; determining whether an eye- Browser part; And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하며,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웹 브라우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Wherein when the image data is touched, an icon for dragging is displayed at a touched position, the image data is moved in a dragged direction when the icon is dragged, and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is display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The web browser unit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And analyzing the web page data to classify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웹 페이지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드래 그하기 위한 마우스오버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Further comprising a menu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menu for controlling the web page or a mouse over menu for dragging the image dat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The web browser unit 풀 브라우징 방식의 웹 브라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a full-browsing web brows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상기 아이프레임의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Wherein the display is displayed in an area of the eye frame.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dragging a web pag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웹 기반의 웹 페이지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웹 페이지로 생성하고,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아이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아이프레임의 배치 영역을 판단하는 제1단계; A method of generating a web page for displaying web-based web page data on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n i-frame including image data exists in a frame constituting the web page, Stage 1; 상기 아이프레임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드래그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2단계; 및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n icon for dragging at the touched position when the image data is touch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ye frame exists; And 상기 아이콘이 드래그되면, 드래그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동하며,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And a third step of moving the image data in a dragged direction when the icon is dragged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인터넷 상의 웹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A method for dragging a web pag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web page data from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1단계는 The first step 상기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lassifying frames constituting the web pag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메뉴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드래그하기 위한 마우스오버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And displaying a mouse-over menu for dragg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menu display command. 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mouse-over menu for dragg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menu display comman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웹 페이지는 The web page 풀 브라우징 방식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Wherein the web page is generated by a full browsing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이동에 따른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상기 아이프레임의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Wherein the display is displayed in an area of the eye frame.
KR1020090085945A 2009-09-11 2009-09-11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KR101618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945A KR101618152B1 (en) 2009-09-11 2009-09-11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945A KR101618152B1 (en) 2009-09-11 2009-09-11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41A KR20110028041A (en) 2011-03-17
KR101618152B1 true KR101618152B1 (en) 2016-05-04

Family

ID=4393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945A KR101618152B1 (en) 2009-09-11 2009-09-11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1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99B1 (en) 2011-03-29 201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Bifacial solar cell
CN111274156B (en) * 2020-02-25 2023-06-06 中信银行股份有限公司 Automatic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compatible with multi-frame page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911A (en) *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control available for using touch and drag
KR20070080918A (en) *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displaying on a portable terminal
KR20080047695A (en)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 web pag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using the same
KR20080077830A (en)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btaining partial image of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090008976A (en)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Map scrolling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and the navigation terminal thereof
KR20090029518A (en) * 2007-09-18 2009-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65990A (en) * 2007-12-18 2009-06-23 노정훈 System for supplying for map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90069432A (en)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911A (en) *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control available for using touch and drag
KR20070080918A (en) *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displaying on a portable terminal
KR20080047695A (en)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 web pag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using the same
KR20080077830A (en) * 2007-02-21 2008-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btaining partial image of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090008976A (en)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Map scrolling method in navigation terminal and the navigation terminal thereof
KR20090029518A (en) * 2007-09-18 2009-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65990A (en) * 2007-12-18 2009-06-23 노정훈 System for supplying for map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090069432A (en)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41A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9028A1 (en) Method,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bbed and private browsing
US20220043551A1 (en) Coordination of static backgrounds and rubberbanding
US11048873B2 (en) Emoji and canned responses
US20210109924A1 (en)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US10175871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appearance of a control
US1083133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radial menu system
US10275436B2 (en) Zoom enhancements to facilitate the use of touch screen devices
US8595645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rquee scrolling within a display area
AU2012281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 using graphical object
US10386995B2 (en) User interface for combinable virtual desktops
US9898111B2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US20150347358A1 (en) Concurrent display of webpage icon categories in content browser
US11112959B2 (en) Linking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US2014028959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review screen of hyperlink
EP1835386A2 (en) Touchpad-base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US1033129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content hierarchy
KR201300048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internet service
KR20100040844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160299657A1 (en) Gesture Controlled Display of Content Items
US2016011729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sible and interactive corrected content
KR101618152B1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webpage drag method thereof
US9880726B2 (en) Fragmented scrolling of a page
WO2023121728A9 (en) Multidirectional gesturing for on-display item identification and/or further action control
US20190073408A1 (en) Generating preferred metadata for content items
KR101475021B1 (en)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