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469B1 - A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A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469B1
KR101617469B1 KR1020100091436A KR20100091436A KR101617469B1 KR 101617469 B1 KR101617469 B1 KR 101617469B1 KR 1020100091436 A KR1020100091436 A KR 1020100091436A KR 20100091436 A KR20100091436 A KR 20100091436A KR 101617469 B1 KR101617469 B1 KR 101617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formation
unit
compon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9566A (en
Inventor
김양환
이훈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469B1/en
Priority to EP11825603.1A priority patent/EP2616892B1/en
Priority to US13/824,109 priority patent/US9595831B2/en
Priority to PCT/US2011/046583 priority patent/WO2012036799A1/en
Publication of KR2012002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4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에너지발생부가 포함되는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는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정보 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구동시간 정보 또는 시간외 정보를 결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tility network including an energy generating unit; A home network including an energy consuming unit for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recognizing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or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manages the energy informa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Drive time information or out-of-hours information.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A network system}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공급자는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은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단순히 공급만하고, 수요처는 공급받은 에너지원을 단순히 사용만 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생산, 분배, 또는 에너지 사용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가 수행되기 어려웠다. Suppliers simply supply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and demanders simply use the supplied energy sources.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in terms of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or energy use is difficult to perform.

즉, 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다수의 수요처를 향하여 분산되는, 즉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 other words, energy is a radial structure that is distributed from an energy supplier to a large number of consumers, that i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nd is characterized by a one-way supplier center rather than a consumer center.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price information of electricity can not be known in real time, but it can be seen only through the power exchange, and because the price system is also a fixed price system, incentives such as incentives for consumers through price changes can not be used There was also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a lot of efforts recently to implement a horizontal, cooperative and distributed network that can efficiently manage energy and enable interaction between a consumer and a supplier.

본 발명은, 에너지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전기요금 및/또는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twork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an energy source and reducing electricity bill and / or energy consum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에너지발생부가 포함되는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는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정보 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구동시간 정보 또는 시간외 정보를 결정한다.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tility network including an energy generating unit; A home network including an energy consuming unit for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recognizing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or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manages the energy informa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Drive time information or out-of-hours information.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에너지발생부가 포함되는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는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정보 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스타트 입력부가 입력되면 최적의 구동방식 또는 구동시간을 결정한다.Further,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utility network including an energy generating unit; A home network including an energy consuming unit for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recognizing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or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which is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manages the energy informa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에너지발생부가 포함되는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는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정보 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 필요여부를 인식하며, 구동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면 구동시작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utility network including an energy generating unit; A home network including an energy consuming unit for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recognizing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or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manages the energy informa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The energy consuming unit recognizes whether the energy consuming unit needs to be drive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tart of driving.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생산, 사용, 분배, 저장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duce, use, distribute, and store an energy source,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the energy source.

또한, 공급자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 정보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전기제품을 구동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요금 또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rive and control the electric appliances in the home using the energ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uppli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usage fee or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전기요금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의 (a)는 TOU(Time of use) 정보와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RTP(real time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전 레벨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o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graph showing TOU (Time of use) information and CPP (critical peak pattern) information, and FIG. 4 (b) is a graph showing RTP real time pattern) informa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saving lev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이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에너지원은, 발생량 또는 사용량 등이 계측(meter)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network system is a system for managing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The energy source means that the generated amount or the used amount can be measured.

따라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에너지원도 본 시스템의 관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일 예로 전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은 다른 에너지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refore, an energy source not mentioned above can also be included in the management of the present system. Hereinafter, the 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energy source, and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other energy sources.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Power plant)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소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등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인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network system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power plant that produces electricity. The power plant may include a power plant that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thermal power generation or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a power plant that uses eco-friendly energy such as hydro, solar, and wind power.

그리고, 상기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송전되고, 전력소(substation)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송전하여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power plant is transmitted to a power station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electricity is transmitted to a substation in a substation so that electricity is distributed to consumers such as a home or an office.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송전되어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기저장장치를 거쳐서 또는 직접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Electricity genera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is also transmitted to the substation and distributed to each customer.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substation is distributed through an electric storage device or directly to the office or each household.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 등을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거나, 저장하거나, 분배하거나, 남는 전기를 외부(일 례로 전력회사)에 되팔 수도 있다. In the home using a home network (HAN, home area network), electric power can be produced, stored, distributed, or distributed through a solar cell or a fuel cell mounted on a PHEV (Hybrid Electric Vehicle) The remaining electricity can be sent back to the outside (for example, a power company).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수요처(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장치는 다수의 스마트 미터에서 계측된 정보를 받아 전기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system includes a smart meter for real-time monitoring of electricity consumption of a consumer (home or office), an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for measuring electricity usage of a large number of consumers, May be included. That is, the measurement apparatus can measure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by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by a plurality of smart meters.

본 명세서에서, 계측은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 자체가 계측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발생량 또는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measurement includes not only what the smart meter and the measuring apparatus itself measure, but also what the smart meter and the measuring apparatus can recognize by receiving the amount of generated or used amou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와 관련(에너지의 생성, 분배, 사용, 저장 등)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적어도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energ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an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components in relation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use, storage, etc.) of the energ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may generate at least instruction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솔루션은 에너지관리기능(Energ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에너지관리솔루션(Energy Management Solution)이라고 언급될 수 있다. The function or solution performed b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or an energy management solution.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별도의 구성으로 하나 이상이 존재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 또는 솔루션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components in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or solution in one or more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전력소, 에너지관리장치, 가전제품, 스마트 미터, 축전기, 웹 서버, 계측장치, 홈 서버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컴포넌트 들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plants, substations, power stations, energy management devices, household appliances, smart meters, capacitors, web servers, measuring devices, and home servers are components of the network system.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컴포넌트는 다수의 세부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일 컴포넌트가 가전제품인 경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마이컴, 히터,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can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detailed components. For example, when one component is a household appliance, the microcomputer, the heater, the display, and the motor constituting the household appliance may be detailed components.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들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두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rything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may be a component, and these components constitute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wo components can communicate by communication means.

또한,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는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one network may be a single component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통신 정보가 에너지원과 관련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에너지 망(Energy grid)이라 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a network system in which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related to an energy source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grid.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틸리티 네트워크(UAN: Utility Area Network: 10)와,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system of one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utility network (UAN) 10 and a home network (HAN) 20.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can be wired or wirelessly communicated by communication means.

본 명세서에서, 가정은, 사전적 의미의 가정 뿐만 아니라, 건물, 회사 등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틸리티는 가정 외부의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ssumption means a group of specific components such as a building, a company, and the like, as well as assumptions of a dictionary meaning. A utility is a collection of specific components outside the home.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와, 에너지를 분배 또는 전달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1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와, 에너지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15)를 포함한다. The utility network 10 includes an 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 for generating energy, an 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 for distributing or transferring energy, and an energy storage unit An energy storage component 13 for managing energy, an 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 for managing energy, and an energy metering component 15 for measuring energy related information.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는 에너지소비부일 수 있다. 즉, 에너지소비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포함될 수 있다. When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utility network 10 consume energy, the energy consuming component may be an energy consuming part. That is, the energy consuming part may be a separate component or included in another component.

상기 에너지발생부(11)는 일 례로 발전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상기 에너지발생부(11)에서 생성된 에너지 및/또는 에너지저장부(13)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소비부로 분배 또는 전달한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송전기, 변전소, 전력소 등일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ng unit 11 may be, for example, a power plant.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distributes or transfers the energy generated by the energy generation unit 11 and / or the energy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unit 13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may be a power transmission unit, a substation, a power station, or the like.

상기 에너지저장부(13)는 축전지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소비부(26)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14), 적어도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energy storage unit 13 may be a battery and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include an energy generation unit 11, an energy distribution unit 12, an energy storage unit 13, an energy consumption unit 26). ≪ / RTI > In one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generate commands relating to operation of at least a specific component.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1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계측장치(AMI)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b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The energy measuring unit 15 may measur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for example, an AMI.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have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in another component.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터미널 컴포넌트(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컴포넌트는 일 례로 게이트웨이(Gate way)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니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The utility network 10 may communicate with the home network 20 by a terminal component (not shown). The terminal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a gateway way. These terminal components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

한편,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와, 에너지를 분배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부(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와,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와, 에너지 망 보조부(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와,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home network 20 includes an 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 for generating energy, an 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 for distributing energy, an energy storage component for storing energy a storage component 23, an 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 for managing energy, an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for measuring energy related information, and an energy consuming part a consumption component 26, a 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 for controlling a number of components, an 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 an accessory component 29, a 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29, component: 30).

상기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는 가정용 발전기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는 축전지일 수 있고,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 may be a household power generator and the energy storage component 23 may be a battery and the 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 may b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have.

상기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The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may measur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storage, and the like, for example, a smart meter.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일 례로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 청소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제습기, 디스플레이 기기, 조명기기 등) 또는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히터, 모터,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소비부(26)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may be a heater, a motor, a display, or the like that constitutes a home appliance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 cooking appliance, a cleaner, a drier, a dishwasher, a dehumidifier, . It is to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kind of the energy consuming section 26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be an individual component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in another component. The energy management unit 21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component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상기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ng unit 21, the energy distributing unit 22, and the energy storing unit 23 may be individual components or a single component.

상기 중앙관리부(27)는 일 례로 다수의 가전제품(Appliance)을 제어하는 홈 서버(Home server) 일 수 있다.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be, for example, a home server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ances.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상기 에너지 망(Energy Grid)을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웹 서비스 제공부(일 례로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is a component having an original function while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the energy grid. For example,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may be a web service providing unit (e.g., a computer), a mobile device, a television, and the like.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을 위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하는 에너지 망 전용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 전용 기상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The accessory component 29 is a dedicated energy network component that performs an additional function for the energy network. For example, the accessory component 29 may be an energy-network-dedicated weather-receiving antenna.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는 컨슈머블을 저장, 공급, 전달 등을 하는 컴포넌트로서,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은 일 례로 에너지소비부(26)의 동작 시 사용 또는 처리되는 물품 또는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는 에너지 망에서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24)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 The 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 is a component that stores, supplies, and delivers a consumable, and can confirm or recognize information on a consumable. The consumable may be an article or a material to be used or processed in the operation of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for example. The consumable processing unit 30 may be managed by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in the energy network.

예를 들어, 상기 컨슈머블은, 세탁기에서 세탁포,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이거나, 세탁기에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거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미료 등 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sumable may be a food in a washing machine, a cooking appliance in a washing machine, a detergent or a fabric softener for washing laundry in a washing machine, or a seasoning for cooking a food.

위에서 언급된 에너지 발생부(11, 21), 에너지 분배부(12, 22), 에너지 저장부(13, 23), 에너지 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에너지소비부(26), 중앙관리부(27)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이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The energy distributing units 12 and 22, the energy storing units 13 and 23, the energy managing units 14 and 24, the energy measuring units 15 and 25,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6,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wo or more may constitute a single component.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각각 단일의 컴포넌트로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미터, 에너지관리장치, 홈서버로 구성되거나,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기구적으로 단일의 컴포넌트를 이룰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units 14 and 24, the energy measurement units 15 and 25,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exist as a single component, and each of the smart meters,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Or the energy management units 14 and 24, the energy measurement units 15 and 25,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constitute a single component mechanically.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통신수단에서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에너지관리부와, 에너지측정부 및 에너지소비부에서 순차적으로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Further, in performing a single function, the function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 or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separate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ement unit, and an energy consumption unit.

그리고,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의 컴포넌트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생부 또는 에너지소비부 등은 복수 개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a specific function configuring the utility network and the home network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energy generating unit or the energy consuming unit may be plural.

한편,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제1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단일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고, 단일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복수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can communicate by communication means (first interfac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utility networks 10 can communicate with a single home network 20, and a single utility network 10 can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home networks 20.

일 례로 상기 통신수단은 단순 통신선이거나 전력선 통신수단(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일 수 있다. 물론, 전력선 통신수단은 두 컴포넌트와 각각 연결되는 통신기(일 례로 모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통신수단은 zigbee, wi-fi,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a simple communication lin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 Of course,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 may include a communicator (e.g., a modem or the like)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components.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zigbee, wi-fi, Bluetooth, or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유선 통신을 위한 방법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a method for wired communication or a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The tw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can communicate by communication means.

또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 상기 에너지측정부(25), 중앙 관리부(27), 에너지 망 보조부(28) 등 중 하나 이상과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20 can be communicated by communication means (second interface).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the energy measurement unit 25,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the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28,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각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의 마이컴은 상기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과 통신(제3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소비부가 가전제품인 경우, 상기 에너지소비부는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는 제3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가전제품의 마이컴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microcomputer of each of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ing unit) can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cond interface) (third interface). For example, when the energy consuming unit is an appliance, the energy consuming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energy management unit by a communication means (second interface),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Lt; / RTI >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통신수단(제4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와 통신수단(제5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Further,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can communicate with the accessory component 29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fourth interface). Further,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can communicate with the consumable processing unit 30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fifth interface).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전기요금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의 (a)는 TOU(Time of use) 정보와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RTP(real time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o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graph showing time of use (TOU) information and critical peak pattern (CPP) information, and FIG. 4 (b) is a graph showing RTP real time pattern) inform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이하에서는 "에너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 정보 외에 부가 정보(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를 더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component C ca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hereinafter, "energy information") by communication means. Further, the specific component (C)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failure), and consumer habit information using the energy consumption unit Can be further received.

상기 환경 정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강우량, 강우여부, 일사량, 풍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carbon dioxide emission amou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air,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mount, rainfall amount, insolation amount, air amount, and the like.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각 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각 컴포넌트의 동작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의 에너지 사용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인 내부 정보와, 그 외의 정보인 외부 정보(에너지와 관련한 정보,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information includes internal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relating to each component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failure) of each component, energy usage inform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unit, consumer habits information using the energy consumption unit, etc.) (Energy-related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which are information.

이 때, 정보 들은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되는 정보에는 적어도 에너지 정보가 포함된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That is, the receiv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energy information.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또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일 수 있다. The specific component may be one component that constitutes the utility network 10 or one component that constitutes the home network 20.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물, 가스 등의 정보 중 하나 일 수 있다.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be one of electricity, water, gas,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일 례로, 전기와 관련한 정보의 종류는, 전기 요금(Time-based Pricing), 에너지저감(curtailment), 긴급상황(Grid emergency), 망 안전(grid reliability), 발전량(Energy generation Amount), 작동 우선 순위(operation priority), 에너지소비량(Energy consumption Amount)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원과 관련한 요금은 에너지요금이라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icity include time-based pricing, energy curtailment, grid emergency, grid reliability, energy generation amount, (operation priority), and energy consumption amount (energy consumption amount). In this embodiment, the charge related to the energy source is an energy charge.

즉,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요금 정보(에너지요금)와 요금 외 정보(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등)로 구분될 수 있다. That is, energy related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charge information (energy charge) and non-charge information (energy reduction, emergency situation, network safety, power generation, operation priority, energy consumption, etc.).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생성된 스케줄 정보(scheduled information)와, 실시 간으로 변동되는 실시 간 정보(real time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와 실시 간 정보는 현재 시간 이후(미래)의 정보 예측 여부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Such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scheduled information generated in advance based on previous information and real time information that varies in real time.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the information after the present time (future).

또한,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따라서 TOU(time of use) 정보이거나,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이거나, RTP(real time pattern)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be divided into time of use (TOU) information, critical peak pattern (CPP) information, or real time pattern (RTP)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pattern of data over time.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vary with tim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TOU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상기 CPP 정보에 의하면,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단계 또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며, 특정 시점에 강조(emphasis)가 표시된다. 즉, CPP 패턴의 경우, 일반적인 요금은 TOU 패턴의 요금보다 저렴하나, 특정 시점에서의 요금은 TOU 패턴에서의 요금 보다 현저하게 비싸다. Referring to FIG. 4 (a), according to the TOU information, data is changed stepwise according to time. According to the CPP information, the data changes stepwise or real-time with time, and emphasis is displayed at a specific time point. That is, in the case of the CPP pattern, the general charge is cheaper than the charge of the TOU pattern, but the charge at the specific point in time is significantly more expensive than the charge in the TOU pattern.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RTP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화된다. Referring to FIG. 4 (b), according to the RTP information, data chang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ime.

한편, 상기 에너지 정보(I)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실제 가격정보가 송수신되거나, 다수 개로 레벨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와 관련한 정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true or false signals such as Boolean on the network system, actual pri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or a plurality of levels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Hereinafter, an example of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상기 특정 컴포넌트(C)가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신호를 온 피크(on-peak) 신호라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를 오프 피크(off-peak) 신호라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C receive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signal, it recognizes one of the signals as an on-peak signal and the other signal as an off-peak ) Signal.

이와 달리, 특정 컴포넌트는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particular component ma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rive that includes an electricity bill, and the particular component may compare on-peak and off-peak values by comparing the recognized information value with a reference information value off-peak.

예를 들어, 특정 컴포넌트가 레벨화된 정보 또는 실제 가격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다. For example, when a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leveled information or actual price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compar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value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to determine on-peak and off-peak values, Lt; / RTI >

이 때,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값은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기준 변화율(일 례로: 단위 시간 당 소비전력량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value about the driving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icity rate, a power rate, a rate of change of the electricity rate, a rate of change of the electric power rate,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ity rate and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power amount.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may be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an average value of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of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 reference change rate of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section (for example, a slope of power consumption amount per unit time).

상기 기준정보값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값은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may be set in real time or set in advance.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may be set in a utility network or set in a home network (input by a consumer direct input, energy management unit, central management unit, etc.).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 소비부)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작동 시작 전에 미리 판단하여 구동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고, 작동 시작 후 온 피크(on-peak)를 인식하였을 때, 구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If the specific component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ing unit) recognizes an on-peak (for example, a recognition time point), the output may be set to 0 (stop or stop) and the output may be reduced. The specific component may determine the driving method in advance before starting the operation, and may change the driving method when the on-peak is recognized after the operation starts.

그리고,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면, 필요 시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즉, 온 피크를 인식한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게 되면, 출력을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거나, 이전의 출력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And, if a particular component recognizes off-peak, it can recover or increase its output when needed. That is, when a particular component that recognizes an on-peak recognizes an off-peak, the output can be restored to its previous state or increased further than the previous output.

이 때,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한 후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시간 동안의 전체 소모전력 및/또는 총 전기사용요금은 줄어듬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total consumed power and / or the total electricity use charge during the entire driving time of the specific component is reduced, even when the output of the specific component is recovered or the output is increased after recognizing the off-peak.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동작 가능한 조건이면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가능한 조건은 구동에 관한 정보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소비전력량 또는 동작시간에 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대값 또는 절대값일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on-peak (for example, a recognition time point), the output can be maintained if the condition is operable. At this time, the operable condi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value of the driving is below a certain standard. The information value of the driving may be information on an electric charge, an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r an operation time. The constant criterion may be a relative value or an absolute value.

상기 일정기준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criteria may be set in real time or may be set in advance. The predetermined criteria may be set in the utility network or in a home network (input by a consumer direct input, energy management unit, central management unit, etc.).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출력량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동작할 때의 총출력량 보다 저감 또는 유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utput may be increased if the particular component recognizes an on-peak (for example, a point-in-time). However, even when the output is increased at the time when the on-peak is recognized, the total output amount during the entire driving period of the specific component can be reduced or maintained to be less than the total output amount when the specific component operates at the normal output.

또는,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동작할 때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 보다 저감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r total electricity charge during the entire drive period of a particular component, even when the output increases at the time of recognizing the on-peak, It can be reduced than the electricity rate.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복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If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off-peak (for example, a recognition time point), the output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reservation is set, a component whose operation starts before a setting time or a component having a large output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can be driven first.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동작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에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도래할 온 피크에서 동작될 것을 미리 오프 피크에서 동작시켜, 전기요금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Further,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store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by supercooling the output by increasing the output from the existing output, or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by driving the heater ahead of the scheduled operation time of the heater. This is to operate in off-peak in advance to be operated at an on-peak to be reached in the future, thereby reducing electric charges.

또는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축전할 수 있다. Or when a particular component recognizes an off-peak (for example, when it is recognized).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는 출력을 유지하거나 저감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컴포넌트는 전력 가변 컴포넌트(power changing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power)은 전류와 전압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전류조절기 및/또는 전압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로부터 발생한 명령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ular component (e.g., the energy consuming unit) may maintain, reduce or increase the output. Thus, a particular component may include a power changing component. Since the power can be defined by current and voltage, the power variable component may include a current regulator and / or a voltage regulator. The power variable component may, for example, be operated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ssued from the energy management unit.

한편, 상기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는, 컴포넌트가 정지되거나 전기요금을 적게 쓰는 모드와 관련한 정보이다. 상기 에너지저감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정지 신호(turn off 신호) 또는 저감신호(lower power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nergy curtail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a mode in which the component is stopped or the electricity fee is reduced. The energy reduc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n a network system. That is, a stop signal (turn off signal) or a reduction signal (lower power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저감 정보를 인식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turn off 신호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저감(lower power 신호를 인식한 경우)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energy reduction information, it can reduce the output (when the lower power signal is recognized) or to zero the output as described above (if the stop or stop state is maintained) have.

상기 긴급상황(Grid emergency) 정보는,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로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의 신뢰성과 관련성이 있다. The emergency information (Grid emergency) is information related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an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for example, as a Boolea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failure or the like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components using energy.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긴급상황 정보를 인식한 경우, 즉시 셧 다운(shut down)될 수 있다. If the particular component recognizes the emergency information, it may be immediately shut down.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상기 긴급상황 정보를 스케줄 정보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긴급상황 시점의 도래 전에 출력을 증가하여, 앞에서 설명한 특정 컴포넌트의 오프 피크에서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상황 시점에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셧 다운 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eives the emergency information as the schedule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may increase the output before arriving at the emergency time point and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operation at the off-peak of the specific component described above . And, at the time of the emergency, the specific component can be shut down.

상기 망 안전(grid reliability) 정보는, 공급 전기량의 많고 적음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의 품질에 관한 정보로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컴포넌트(일 례로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는 AC전원의 주파수를 통하여 컴포넌트가 판단할 수도 있다. The grid reliability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or the amount of electricity supplied or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electric power. The grid reliabil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r supplied to a component (for example, The component may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AC power source.

즉, 컴포넌트로 공급되는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und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고,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ov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nderfrequency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component is detected (recogniz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ied electricity quantity is small. If an overfrequency high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AC power supply is detected (recognized) Can be judged to be many.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망 안전 정보 중에서 전기량이 적음을 인식하거나 전기 품질이 좋지 않다는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경우에 따라서, 출력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하거나, 출력을 유지하거나, 출력을 증가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at the amount of electricity is low or the quality of the electricity is poor, the specific component may set the output 0 (stop or stop) depending on the case, as mentioned above, The output can be reduced, the output can be maintained, or the output can be increased.

발전 전기량 과다 정보는, 발전량에 비하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의 전기 사용량이 적어, 잉여 전기가 발생되는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The electricity generation ex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wher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of the component consuming energ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and the surplus electricity is generated and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Boolean.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발전 전기량 과다 정보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grid overfrequency를 인식한 경우 또는 over energy 신호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복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동작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The output can be increased if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generated electricity excess information (eg, when it recognizes grid overfrequency or recognizes an over energy signal).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reservation is set, a component whose operation starts before a setting time or a component having a large output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can be driven first. Further,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store the hot water by supercooling the output by increasing the output from the existing output, or by driving the heater in advance of the operation time of the heater in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or the washing machine.

한편,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각 종류의 정보는, 구체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제1정보(first information: I1)와, 제1정보에서 가공된 정보인 제2정보(second information: I2)와, 상기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정보인 제3정보(third information: I3)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정보는 미가공된 데이터(raw data)이고, 제2정보는 가공된 데이터(refined data)이고, 제3정보는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command)이다. Specifically, each typ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ergy includes first information (I1) that is not processed, second information (I2) that i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I3), which is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component. That is, the first information is raw data, the second information is refined data, and the third information is a command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specific component.

그리고,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신호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은 신호만 변환될 뿐 내용은 변환되지 않고 복수 회 전달될 수 있다. And, energy relate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ignal and transmitted.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may be converted only the signal, but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a plurality of times without being converted.

일 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은 어느 한 컴포넌트는 단지 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새로운 신호를 다른 컴포넌트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a component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 I1 may simply convert a signal and transmit a new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 I1 to another component.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신호의 변환과 정보의 변환은 다른 개념인 것으로 설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정보에서 제 2 정보로 변환될 때에 신호도 함께 변환되는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onversion of the signal and the conversion of the information are described as different concepts. At this time,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signals are also converted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conver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다만, 상기 제 3 정보는 내용이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되거나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될 수 있다. However,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 plurality of times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are converted, or may be transmitted a plurality of times in a state in which signals are convert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contents.

상세히, 제1정보가 가공되지 않은 전기요금 정보인 경우, 상기 제2정보는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일 수 있다.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는 전기요금이 다수 레벨로 구분된 정보 또는 분석 정보이다. 상기 제3정보는 제1정보 또는 제2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명령이다. In detail,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unprocessed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The processed electricity bill information is information or analytical information in which electric bill is divided into multiple levels. The third information is an instruction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or the second information.

특정 컴포넌트는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정보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은 아니다. The specific component may generate, transmit, or receive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The first to third pieces of information are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정보 없이 제 3 정보 만 다수 개가 순차 또는 병렬로 송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2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1 및 제 2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thir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sequence or in parallel without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first and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the second and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or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일 례로, 특정 컴포넌트가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는 제 2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송신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when a particular component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the particular component may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or transmit only the third information.

특정 컴포넌트가 제3정보 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When a specific component receives only the third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can generate and transmit new third information.

한편, 두 정보 간의 관계에서 어느 한 정보는 메시지(message)이고, 다른 한 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대응(response)이다. 따라서, 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는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의 송신과 이에 대한 대응은 개별 컴포넌트의 경우 상대적인 개념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ieces of information, one piece of information is a message and the other piece of information is a response to a message. Accordingly,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can transmit or receive a message, and can respond to a received message when receiving a message. Therefore, the transmission and correspondence of a message is a relative concept for individual components.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제1정보 또는 제2정보) 및/또는 명령(제3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ssage may comprise data (first information or second information) and / or instructions (third information).

상기 명령(제3정보)은, 데이터 저장 명령, 데이터 생성 명령, 데이터 가공 명령(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추가 명령의 생성 명령, 추가 생성된 명령의 송신 명령, 수신한 명령의 전달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and (thir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data storage command, a data generation command, a data processing command (including generating additional data), an additional command generation command, a further generated command transmission command, Command,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한다는 것은, 데이터 저장, 데이터 가공(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새로운 명령 생성, 새롭게 생성된 명령 송신, 수신한 명령을 단순히 전달(다른 컴포넌트로 전달을 위한 명령을 함께 생성할 수 있음), 작동, 저장된 정보 송신, 확인 메시지(acknowledge character or negative acknowledge character) 송신 등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responding to a received message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store data, to process data (including generating additional data), to generate a new command, to send a newly created command, ), Operation, transmission of stored information, transmission of an acknowledge character or negative acknowledge character, etc.

예를 들어, 메시지가 제1정보인 경우 제1정보를 수신한 컴포넌트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제1정보를 가공하여 제2정보를 생성하거나, 제2정보 생성 및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message is first information, the component that received the first information may generate a second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first information, generate second information, and generate new third information, Only the thir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구체적으로, 에너지관리부(24)가 제1정보(내부 정보 및/또는 외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제2정보 및/또는 제3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로부터 수신한 제3정보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internal information and / or external information),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generates the second information and / or the third information, And may be transmitted to one or more constituent components (e.g., an energy consuming unit). The energy consuming unit 26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thi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nergy managing unit 24.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의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가정용 네트워크의 다수의 컴포넌트(32, 33, 34: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컴포넌트(31)와 통신하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mponent 31 of the home network 20 may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utility network 10. The first component 31 may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32, 33, 34 (second to fourth components) of the home network.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home network that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ponent 31 at this time.

즉, 본 실시 예에서 제 1 컴포넌트(31)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mponent 31 serves as a gateway. The first component 31 may be, for example, one of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ement unit, a central management unit, an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an energy consumption unit,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A component acting as a gateway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communicating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but also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3, 34)는 각각,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저장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components 32, 33 and 34 may be one of an energy generating unit, an energy distributing unit, an energy managing unit, an energy storing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a central managing unit, have.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트(10) 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전달 또는 가공하여 제 2 컴포넌트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4)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인 경우, 전기요금 정보를 상기 제 1 컴포넌트가 수신하여,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소비부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mponent 31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utility network 10 or one or mor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utility network 10 and may forward or process the received information so that the second component- (32, 34).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mponent 31 is an energy measurement unit, the first component may receive electric bill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consumption unit,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 각각은 또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이고, 제 2 컴포넌트는 에너지관리부이며, 상기 에너지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에너지소비부와 통신할 수 있다. And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components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31 may be an energy measurement unit, the second component may be an energy management unit, and the energy management unit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energy consumption unit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the utility network 10 directly.

즉,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복수의 컴포넌트(제 1 및 제 2 컴포넌트(41, 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는 동종의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종류의 컴포넌트 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first and second components 41 and 42) serving as a gateway are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may be homogeneous components or other types of components.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4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3 및 제 4 컴포넌트(43, 44))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 2 컴포넌트(42)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5 및 제 6 컴포넌트(45, 46))와 통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mponent 41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components (e.g., the third and fourth components 43 and 44), and the second component 42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components And the sixth component 45, 46).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may be one of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ement unit, a central management unit, an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an energy consumption unit, and the like.

상기 제 3 내지 제 6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Each of the third to sixth components may be one of an energy generation unit, an energy distribution unit,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ement unit, a central management unit, an energy network auxiliary unit, and an energy consumption uni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컴포넌트(51, 52, 53)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2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처럼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고, 컴포넌트(51, 52, 53) 각각이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each of the components 51, 52, 53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utility network 20. [ That is, there is no component acting as a gateway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each of the components 51, 52 and 53 can communicate with the utility network.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25), 일례로 스마트 미터와, 상기 에너지 측정부(25) 및 전기제품과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24)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8, the home network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ergy measuring unit 25 for measuring in real time power and / or electricity rates supplied from the utility network 10 to homes, For example, a smart meter, the energy measurement unit 25,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24 connected to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한편, 각 가정의 전기요금은 시간당 요금으로 과금될 수 있으며, 전력소비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ity rate of each household can be charged by the hourly rate, and the electricity rate per hour becomes high in the time interval in which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electricity rate per hour becomes low whe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 .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81), 세탁기(82), 에어컨(83), 건조기(84) 또는 조리기기(85)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controls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such as the refrigerator 81, the washing machine 82, the air conditioner 83, the dryer 84, or the cooking appliance 85, And can be use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가정에서의 통신은 Zigbee, wifi와 같은 무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 (PLC, Power line communication)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가전기기는 다른 가전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Communication in the home can be done through wired such as Zigbee, wifi,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one household appliance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전 레벨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aving lev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부"로서의 전기제품(100)에는 통신부(11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a communication unit 110 is included in an electrical product 100 as an "energy consuming unit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통신부(110)는,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정보 이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25) 및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에 따라 상기 에너지소비부(100)의 구동을 관리(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n energy measuring unit 25 for recognizing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or energy information and an energy measuring unit 25 for measuring the energy of the energy consumed by the energy consuming unit 100 And the management unit 24, as shown in FIG.

상기 에너지측정부(25)와 에너지관리부(24)는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전기제품(110)의 내부에 제공되거나, 상기 전기제품(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energy measuring unit 25 and the energy managing unit 2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ical product 110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10.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20)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110)로부터 인식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30)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포함된다.A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or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se configurations.

상세히, 상기 입력부(120)에는, 전기제품(100)의 절전 강도를 선택하는 절전 레벨 선택부(121)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 가능한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코스 선택부(122)와,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부(124)와, 사용요금 또는 전력량의 최대치를 설정할 수 있는 요금 설정부(126) 및 상기 전기제품(100)의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스타트 입력부(128)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power saving level selection unit 121 for selecting a power saving intensity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a course selection unit 122 for selecting a driveable course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A time setting unit 124 for setting the driving time of the electric product 100, a charge setting unit 126 for setting a maximum value of the usage fee or the electric energy amount, A start input unit 128 is included.

상기 절전 레벨 선택부(121)를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도 10과 같은 내용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절전 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the power saving level selection unit 121 is input,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contents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plurality of selectable power saving modes.

여기서, "모드"라 함은, 전기제품(100)이 수행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특정 컴포넌트, 특정 구동 코스 또는 행정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 "mode "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pecific component constituting the electrical product, a specific driving course or an administration, etc. with respect to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electrical product 100.

상기 다수의 절전 모드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 즉 수신되는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에만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절전 모드가 포함된다.The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include a first power saving mode in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100 is controlled to be driven only when the off peak time period, that is, the received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이하에서는, 전기제품(100)이 특정 코스에 대하여 1시간 동안 구동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그리고, 현재 시간이 09:20분이고, 온 피크 시간구간이 09:20~10:00이며, 오프 피크 시간구간이 10:00~11:00인 것으로 가정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electric product 100 is driven for a specific course for one hou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time is 09:20 minutes, the on-peak time interval is 09:20 to 10:00, and the off-peak time interval is 10:00 to 11:00.

상기 제 1 절전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은 오프 피크시간구간인 10:00~11:00에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the electric appliance 10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in an off peak time interval from 10:00 to 11:0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제 1 절전모드로 구동될 때 소모되는 예측 비용(1,000원)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소모 비용 대신에 사용 전력량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predicted cost (1,000 won) consumed when the apparatus is driven in the first power saving mode. However, instead of the consumption cost, the used power amount may be displayed.

상기 다수의 절전 모드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온 피크 시간구간 중 일정시간 이하 동안만 구동되는 제 2 절전 모드가 포함된다.The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include a second power saving mode in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100 is drive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in an on peak time interval.

상기 제 2 절전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은 온 피크 시간구간 중 일정시간(10분) 동안, 즉 09:20~09:30까지 구동하고 오프 된다.When the second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the electric appliance 100 is driven and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10 minutes), that is, 09:20 to 09:30 in the on peak time interval.

그리고, 나머지 구동은 오프 피크시간구간인 10:00~10:50에 구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상기 제 2 절전모드로 구동될 때 소모되는 비용(1,200원)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Then, the remaining drive can be controlled to be driven in the off-peak time interval from 10:00 to 10:50.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cost (1,200 won) consumed when the apparatus is driven in the second power saving mode.

상기 다수의 절전 모드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동작 가능한 조건에서 구동하는 제 3 절전 모드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동작 가능한 조건은, 전기제품의 구동에 관련한 정보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에 관련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소비 전력량 또는 동작시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include a third power saving mode that is driven under a condition that the electric product 100 is operable. Here, the operable condition means a case where the information value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electrical product is below a certain standard. The information value related to the drive may be information regarding the electric bill,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r the operation time.

온 피크 시간구간이 09:20~10:00인 상태에서, 09:20~09:40의 시간구간이 동작 가능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상기 전기제품(100)은 09:40분부터 구동되기 시작할 수 있다.When the on-peak time period is in the range of 09:20 to 10:00, and the time period of 09:20 to 09:40 is not satisfied, the electric product 100 is driven from 09:40 You can start.

즉, 상기 제 3 절전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은 09:40~10:40까지 구동하고 오프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상기 제 3 절전모드로 구동될 때 소모되는 비용(1,300원)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hird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the electric appliance 100 can be driven and turned off from 09:40 to 10:4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cost (1,300 won) consumed when the apparatus is driven in the third power saving mode.

상기 다수의 절전 모드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출력을 저감하여 구동하는 제 4 절전 모드가 포함된다. The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include a fourth power saving mode in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100 reduces and drives the output of at least one component in an on peak time interval.

상기 제 4 절전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은 09:20~10:20까지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상기 제 4 절전모드로 구동될 때 소모되는 비용(1,500원)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When the fourth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the electric appliance 100 can be driven from 09:20 to 10:2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cost (1,500 won) consumed when driving in the fourth power saving mode.

상기 다수의 절전 모드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출력을 증가하여 구동하는 제 5 절전 모드가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 전기제품(100)이 구동하는 시간동안의 총 소모전력 또는 전기요금은 절감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include a fifth power saving mode in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100 increases and drives the output of at least one component in an on peak time interval. However, the total consumed electric power or electric charge during the time when the electric product 100 is driven can be controlled to be reduced.

상기 제 5 절전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전기제품(100)은 09:20~10:00까지 구동할 수 있다. 즉, 출력을 증가하는 대신에, 구동시간을 줄여 총 소모전력 또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fifth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the electric appliance 100 may be driven from 09:20 to 10:00. That is, instead of increasing the output, the driving time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r the electricity bill.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상기 제 5 절전모드로 구동될 때 소모되는 비용(1,700원)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cost (1,700 won) consumed when the apparatus is driven in the fifth power saving mod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전 모드 내지 제 5 절전 모드는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절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하는 방법에는, 디스플레이 창의 터치 또는 별도 버튼의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wer saving mode to the fifth power saving mode can be displayed, and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power saving mode. The selection method may include a touch of a display window or an input of a separate button.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지 않고 전기제품을 구동할 경우, 즉 일반 모드일 경우의 비용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일반 모드는 선택 가능하지 않다.Th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cost in the case of driving the electrical product, that is, in the normal mod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normal mode is not selectable.

상기 일반모드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는 일 절전 모드를 선택할 경우에 비용 절감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By displaying the normal mode, the user can confirm the degree of cost saving when selecting one power saving mode.

도 9로 돌아가서, 상기 입력부(120)에는 사용자가 구동하고자 하는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 선택부(122)가 더 포함된다. Referring back to FIG. 9, the input unit 120 further includes a course selection unit 122 for selecting a course to be driven by the user.

상기 코스 선택부(122)를 입력하면,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코스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구동코스 중 일 구동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Upon inputting the course selection unit 122, at least one preset driving course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may select one driving course among the displayed driving courses.

그리고, 상기 코스 선택부(122)를 통하여, 전기제품의 특성에 따른 설정온도(목표온도) 또는 구동 모터의 RPM등을 더 설정할 수도 있다.The set temperature (target temperature) or the RPM of the drive motor can be further set through the course selection unit 122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product.

상기 입력부(12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부(126)가 포함된다. 여기서, 구동시간은 현재 시점을 포함하는 시작시간일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time setting unit 126 that can set a driving time of the electric product 100. Here, the driving time may be the start time including the current time.

상기 시간 설정부(126)를 입력하면, 시간에 따른 전력정보, 즉 요금 또는 전력량 정보등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시간별 전력정보를 바탕으로 일 구동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time setting unit 126 is input, the power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that is, the charge or the amount of power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nd the user can select the working time based on the displayed time-based power information.

상기 입력부(120)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의 최대 사용요금 또는 사용 전력량을 입력할 수 있는 요금 설정부(126)가 포함된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harge setting unit 126 for inputting a maximum usage charge or an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product 100.

상기 요금 설정부(126)를 입력하면, 제한된 요금 또는 전력량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코스 및 시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코스 및 시간을 바탕으로 일 코스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charge setting unit 126 is input, at least one driving course and time corresponding to a limited charge or amount of power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may select one course and time based on the displayed course and time.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된 요금 설정부(126)의 내용에 따라 최적 운전을 자동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최적 운전"은 전기요금 또는 소모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는 운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40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optimum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input rate setting unit 126. [ Here, "optimum op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capable of reducing the electric charge or the amount of consumed electric power.

정리하면, 전기제품의 구동에 요구되는 시간 정보(일례로, 구동시간) 또는 시간 외 정보(일례로, 구동방식)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전기제품의 구동을 위한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타트 입력부(128)를 통하여 구동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In summary, various input units capable of inputting time information (for example, driving time) required for driving the electric product or out-of-time information (for example, driving method) can be provided. When a setting for driving the electric appliance is made through the input unit, a drive command can be inputted through the start input unit 128. [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전기제품에 제공되는 컨슈머블(consumable)의 종류 또는 무게등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50)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컨슈머블에는 세탁기에서 세탁포,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이거나, 세탁기에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거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미료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lectrical product 100 is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150 for sensing the type or weight of a consumable provided in the electrical product. As described above, the consumable may include a food in a washing machine, a cooking appliance in a washing machine, a detergent or a fabric softening agent for washing laundry in a washing machine, or a seasoning for cooking a food.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100)에는, 전기제품의 구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온 조작되는 스타트 스위치(160)가 포함된다.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스타트 스위치(160)를 온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100)은 구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The electrical product 100 includes a start switch 160 that is turned on to start driving the electrical product. The controller 140 can turn on the start switch 160 when the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 appliance 100 so that the electric appliance 100 can start driving.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11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제품은 사용자에 의하여 스타트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구동되는 "간헐적 구동"의 전기제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 appliance can be understood as an "intermittently driven" electric appliance driven when a start command is inputt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상기 전기제품은 세탁기, 건조기 또는 조리기기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냉장고의 제빙장치 또는 특냉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ic appliance may be a washing machine, a dryer, a cooking appliance or the like, and may be an icemaker of the refrigerator or a special refrigerator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electric appliance.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되면(S11), 상기 입력부(120)를 통한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S11),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

여기서, 상기 입력부(120)는 스타트 입력부(128)를 제외한 입력부 즉, 상기 절전 레벨 선택부(121), 코스 선택부(122), 시간 설정부(124) 또는 요금 설정부(126)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S12).Here, the input unit 120 may be any one of an input unit except for the start input unit 128, that is, the power saving level selection unit 121, the course selection unit 122, the time setting unit 124, (S12).

한편, 상기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110)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 예를 들어 축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Energy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gardless of whether the electric product 100 is powered. At this time, a separate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 for example, a battery may be provided.

그리고, 수신되는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는 미리 저장된 스케쥴 정보일 수도 있고, 실시간 정보일 수도 있다. The received energy informa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previously stored schedule information or real time information.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명령에 따른 시간 정보 또는 시간외 정보(구동방식)와 최적의 절전 구동방식(시간)이 비교된다(S13),(S14).When at least on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time information or out-of-time information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is compared with an optimal power saving driving method (time) (S13).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제 1 구동방식)이 상기 최적의 절전 구동방식(제 2 구동방식)에 부합하는 경우, 즉 상기 제 1 구동방식이 상기 제 2 구동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제품(100)은 입력된 명령에 의하여 구동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driving method (first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matches the optimal power saving driving method (second driving method), that is, when the first driving method i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ing methods In this case, the driving method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결국,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과 관련하여, 입력된 명령에 기초한 구동방식 또는 구동시간이 유지될 수 있다(S15),(S16). As a result, regard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product 100, the driving method or driving time based on the inputted command can be maintained (S15) (S16).

그리고, 상기 스타트 입력부(128)가 조작되면, 상기 전기제품(100)은 결정된 구동방식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S17).When the start input unit 128 is operated, the electrical product 100 can be driven according to a determined driving method (S17).

한편, S15 단계에서 입력된 명령이 최적의 절전 구동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명령은 무시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절전 구동"은, 최적의 구동방식 및 구동시간에 의하여 조합된 구동이라 할 수 있다(S18). On the other hand, if the command input in step S15 does not comply with the optimal power saving drive, the input command can be ignored. Here, "optimal power saving drive" can be referred to as driving combined with optimal drive method and drive time (S18).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된 센서값으로부터 컨슈머블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슈머블의 정보는, 컨슈머블의 종류 또는 무게값일 수 있다(S19).Consumabl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sensor value detected by the sensing sensor 150. Here, the consumable information may be a consumable type or a weight value (S19).

획득된 컨슈머블의 정보로부터 최적의 구동방식 및 최적의 구동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An optimal driving method and an optimal driving time can be determined from the obtained consumable information.

결정된 최적의 구동방식에는, 구동코스, 작동 컴포넌트, 저장실 온도 또는 세탁수의 온도, 구동 모터의 rpm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determined optimum driving method may include the driving course, the operating componen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or wash water, the rpm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like.

상기 전기제품(100)은 결정된 최적의 구동시간에 따라 현재로부터 즉시 구동되거나, 선택된 시간에 구동되거나, 현재로부터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시간에 구동될 수 있다.The electric appliance 100 may be driven immediately from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timum driving time, or may be driven at a selected time or at a time delayed from the present by a predetermined time.

한편, 상기 전기제품(100)이 즉시 구동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과 다른 시간에 작동하는 경우 지연된 시간(구동 시작시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delayed time (driving start time) when the electric appliance 100 is not operated immediately or operates at a time different from the time selected by the user.

컨슈머블의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구동방식 또는 구동시간은 미리 결정되어 테이블로서 저장될 수 있다. 결정된 최적의 구동방식 또는 구동시간은, 전기요금 또는 소모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동방식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consumabl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driving method or driving time can be predetermined and stored as a table. The determined optimum driving method or driving time can be understood as a driv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electric charge or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결국,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과 관련하여, 입력된 명령에 기초한 구동방식은 유지되지 않으며, 새로운 구동방식이 결정된다(S20),(S21).As a result, regard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product 100, the driving method based on the inputted command is not held, and a new driving method is determined (S20) (S21).

결정된 구동방식 또는 시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기제품(100)이 구동되는 방식 또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S22).The determined driving method or tim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manner or time when the electric appliance 100 is driven (S22).

그리고, S17 단계가 수행되어,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이 시작될 수 있다.Then, the step S17 is performed, so that the driving of the electric product 100 can be started.

한편, S13 단계에서 입력부(120)를 통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S19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즉, 상기 감지 센서(150)로부터 획득된 컨슈머블의 정보로부터 최적의 구동방식 및 구동시간이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is not made in step S13, steps S19 and subsequent steps are performed. That is, the optimal driving method and driving time are determined from the consumabl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sensor 150. [

그리고, 상기 스타트 입력부(128)가 입력되면 결정된 구동방식 및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제품(100)의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tart input unit 128 is input, the driving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etermined driving method and driving time.

정리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명령이 입력된 경우 또는 입력되지 않은 경우 모두, 전기제품(100)의 구동을 위한 최적의 조건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조건에 따른 전기제품(100)의 구동은 사용자가 스타트 입력부를 조작한 경우에 시작될 수 있다.In summary, the optimum condition for driving the electrical product 100 can be determined in all cases where a predetermined command is inputted by the user or not inputted. The driving of the electrical product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nditions can be start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art input uni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전기요금 또는 소모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는 구동 방식(시간)이 결정되므로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method (time) for reducing the electricity rate or the amount of consumed electric pow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efficient power management can be performed have.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1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전기제품에 별도의 입력부, 특히 스타트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전기제품은 구동의 필요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구동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 electrical product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input section, particularly a start input section. The electric appliance can determine whether driving is necessary or not, and display it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when driving is required.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explan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12,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기제품(10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기제품(100)에 제공되는 컨슈머블의 존재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컨슈머블의 존재는 상기 감지 센서(15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S31),(S32).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re is a consumerable provid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in a state where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product 100. [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ce of the consumable can be detected by the sensing sensor 150 (S31) (S32).

상기 컨슈머블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감지 센서(150)의 센서값으로부터 컨슈머블의 정보(종류, 무게값)가 획득될 수 있다(S33),(S34).If it is recognized that the consumable is present, information (kind, weight value) of the consumable can be obtained from the sensor value of the sensing sensor 150 (S33) (S34).

상기 컨슈머블의 정보로부터 최적의 구동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최적의 구동방식에는, 구동코스, 작동 컴포넌트, 저장실 온도 또는 세탁수의 온도, 구동 모터의 rpm 등이 포함될 수 있다(S35).An optimal driving method can be determined from the consumable information. The determined optimum driving method may include the driving course, the operating componen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temperature or wash water, the rpm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like (S35).

그리고, 상기 컨슈머블의 정보로부터 최적의 구동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구동시간에는, 현재로부터 즉시 구동되거나, 미래의 일 시점에 지연 구동(예약)등이 포함될 수 있다(S36).Then, the optimum driving time can be determined from the consumable information. The determined driving time may be immediately driven from the current time, or delayed driving (reserved) at a future time point (S36).

결정된 구동방식 또는 구동시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S37),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스타트 스위치(160)가 온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100)은 상기 결정된 구동방식 또는 구동시간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S38).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tart switch 160 to be turned on so that the electric appliance 1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ppliance 100. [ And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ing method or driving time (S38).

한편, S33 단계에서 전기제품에 컨슈머블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전기제품(100)은 미구동된다(S39).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 that the consumer does not exist in the electric product, the electric product 100 is not driven (S39).

정리하면, 전기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가 스타트 버튼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제어부가 스타트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기제품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summary,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start button for driving the electric product, the control unit can operate the start switch to drive the electric produc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구동 방식(시간)이 결정되고, 전기제품은 결정된 구동 방식(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mum driving method (tim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electrical product can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riving metho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fficient power management can be performed.

10 : 유틸리티 네트워크 20 : 가정용 네트워크
30 : 컴포넌트 40 : 정보
100 : 전기제품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0: utility network 20: home network
30: Component 40: Information
100: electrical appliance 110: communication section
120: input unit 130: display unit

Claims (23)

에너지발생부가 포함되는 유틸리티 네트워크;
상기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부가 포함되는 가정용 네트워크;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정보 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에너지 측정부; 및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 구비되며, 상기 에너지소비부와 관련하여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에너지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에너지 소비부는,
상기 에너지 소비부의 구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으로 상기 에너지 소비부를 구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구동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과, 상기 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에 따른 절전 구동방식을 비교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이 상기 절전 구동방식에 부합하면,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으로 상기 에너지 소비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이 상기 절전 구동방식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명령을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A utility network including an energy generating unit;
A home network including an energy consuming unit for consum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recognizing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or energy information; And
And an energy management unit provided in the utility network or the home network and managing the energy information 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The energ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for driving the energy consum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the energy consuming unit in a driving mod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Wherein,
When a command for driving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inputted command and a power saving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energy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are compared,
When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matches the power saving driving method, the energy consuming part is driven by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putted command,
And ignores the input command if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does not match the power saving driv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에는,
에너지 요금 정보와 에너지 요금 외 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energy information,
A network system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energy bills and non-energy bil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요금 정보는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ergy charge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an electric charge, a quantity of electricity, a rate of change of the electric charge, a rate of change of the quantity of electricity,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charges and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quantit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요금 외 정보는 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중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aid non-energy rate information is one of energy reduction, emergency, network security, power generation, operation priority, and energy consump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중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on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and consumer habit information using an energy consump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에는,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분배하는 제 1 에너지분배부; 및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에너지 분배부에서 분배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1 에너지저장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tility network,
A first energy distribution unit for distribut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And
And a first energy storage unit for stor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ng unit or energy distributed in the energy distribu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에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제 2 에너지발생부;
상기 제 2 에너지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를 분배하는 제 2 에너지분배부; 및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에너지 분배부에서 분배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제 2 에너지저장부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me network,
A second energ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energy;
A second energy distribution unit for distributing energy generated in the second energy generation unit; And
And a second energy storage unit for storing energy generated in the energy generation unit or energy distributed in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구동방식은, 전기요금 또는 소모 전력량이 저감되는 구동방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aving driving method includes a driving method in which an electric charge or an amount of consumed electric power is reduc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구동방식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즉시 구동되거나, 선택된 시간에 구동되거나, 지연 구동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ower saving drive method,
Wherein the network system is either driven immediately from the current point in time, driven at a selected time, or delayed driv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부에 제공되는 컨슈머블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구동방식이 상기 절전 구동방식에 부합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명령을 무시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구동방식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or for sensing a consumable provided to the energy consuming unit,
Wherein,
If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does not match the power saving driving method,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consumable through the sensor,
And determines a new driving metho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nsum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컨슈머블의 종류 또는 무게인 네트워크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nsumable is the type or weight of the consumab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컨슈머블에는,
세탁기에서 세탁포,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이거나, 세탁기에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거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미료인 네트워크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consumable,
A network system which is a dish in a washing machine, a dish in a cooking appliance, a detergent or a fabric softener for washing laundry in a washing machine, or a seasoning for cooking a di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91436A 2010-09-17 2010-09-17 A network system KR1016174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36A KR101617469B1 (en) 2010-09-17 2010-09-17 A network system
EP11825603.1A EP2616892B1 (en) 2010-09-17 2011-08-04 Network system
US13/824,109 US9595831B2 (en) 2010-09-17 2011-08-04 Network system
PCT/US2011/046583 WO2012036799A1 (en) 2010-09-17 2011-08-04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436A KR101617469B1 (en) 2010-09-17 2010-09-17 A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566A KR20120029566A (en) 2012-03-27
KR101617469B1 true KR101617469B1 (en) 2016-05-03

Family

ID=4613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436A KR101617469B1 (en) 2010-09-17 2010-09-17 A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4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4972B (en) * 2018-10-10 2022-03-29 华南理工大学 Low-frequency oscillation parameter estimation method based on GSO and SVM algorith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684A (en) * 1999-07-23 2001-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Washing machine
JP2004072900A (en) * 2002-08-06 2004-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network management
JP2007523580A (en) * 2004-01-23 2007-08-16 スチュアート エナジー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Energy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684A (en) * 1999-07-23 2001-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Washing machine
JP2004072900A (en) * 2002-08-06 2004-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network management
JP2007523580A (en) * 2004-01-23 2007-08-16 スチュアート エナジー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 Energy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566A (en)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469B1 (en) A network system
KR101687026B1 (en) A network system
KR101799105B1 (en) Controlling method of a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KR101660540B1 (en) Network system
KR101796317B1 (en) A network system
KR101611623B1 (en) A network system
KR101897816B1 (en) A network system
KR101897818B1 (en) Network system
KR101776525B1 (en) A network system
KR101611624B1 (en) Home appliance and Network system
KR101821815B1 (en) A network system
KR101677766B1 (en) A network system
KR101907205B1 (en) A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KR101671031B1 (en) A network system
KR101788861B1 (en) A network system
KR101801978B1 (en) Network system
KR101605209B1 (en) Network system
KR101897819B1 (en) A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0163B1 (en) A network system
KR101644654B1 (en) Network system and a component thereof
KR101626992B1 (en) A network system
KR101760522B1 (en) Controlling mehtod of electric appliance
KR101687027B1 (en) A network system
KR101759747B1 (en) Electric appliance
KR101820170B1 (en)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