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519B1 -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519B1
KR101615519B1 KR1020140191684A KR20140191684A KR101615519B1 KR 101615519 B1 KR101615519 B1 KR 101615519B1 KR 1020140191684 A KR1020140191684 A KR 1020140191684A KR 20140191684 A KR20140191684 A KR 20140191684A KR 101615519 B1 KR101615519 B1 KR 10161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mergency key
wireless terminal
share
managemen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4019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5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 sharing system comprises: a central management center managing a car sharing service to be provided to a registered member; a member certification means to open a door of a sharing car by being tagged to the sharing car;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having a service application to perform a procedure with respect to using the car sharing servic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can transmit an emergency key to temporarily open a door of the sharing car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sharing car is positioned in a shadow area wherein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Description

카쉐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카쉐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쉐어카가 통신 불능지역에 위치되어 중앙 제어 센터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쉐어카의 문을 개방할 수 있는 카쉐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ha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sharing system capable of opening a door of a share car even when the share car is located in an incommunicable area and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is impossib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카쉐어링(car-sharing) 운영 서비스란 지역 거점간 이동에 자동차를 대여하는 서비스로서 자동차를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다수가 공동으로 차량을 소유하여 필요할 때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한 대의 차를 한 사람이 일정 기간 동안 소유하는 렌트카와는 차이가 있는데, 즉 차를 빌리는 의미에서 렌터카와 비슷하지만, 사용한 시간만큼만 비용을 부담한다는 점에서 렌트카와 차이를 두고 있다.Car-sharing operat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rents a car to move between local bases. It is a service that does not own an automobile but owns a car jointly and uses it when necessary. It differs from a rental car owned by a pers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is similar to a rental car in the sense of renting a car, but differs from a rental car in that it costs only the time it takes.

1950년대 스위스에서 사회운동의 형태로 처음 시작된 카쉐어링은 1980년대 들어 유럽에서, 1990년대 북미에서 도입돼 상업화되기 시작하여 현재 급속도로 카쉐어링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카쉐어링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In the 1950s, car sharing began in the form of social movement in Switzerland in the early 1950s. It was introduced in Europe in the 1980s and in North America in the 1990s, and now car sharing services are rapidly expanding. In Korea, .

이는 기존에는 자동차를 소유하는 것으로 여긴 반면, 현재는 공유하는 것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며, 나아가서 전체적인 사회적 차원에서 실제로 자동차 한 대를 소유하고 있을 때의 교통 혼잡과 주차난을 해결해 주고, 차가 없는 저소득층이나 젊은 사람들도 나들이를 하거나 쇼핑을 할 때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카쉐어링의 장점이다.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now owned by automobiles, but they are now changing their perception that they are shared. In addition, they solve traffic congestion and parking problems when they actually own a car in the whole social dimension, The merit of car sharing is that people can use it freely when they go out or shop.

특히 환경 문제와 탄소 에너지의 고갈에 따른 친환경적 에너지 소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고가의 자동차를 구입하고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상당히 부담되므로 급속도로 카쉐어링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particular, the ne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consumption due to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depletion of carbon energy has arisen, so that it is economically very burdensome to purchase and maintain expensive automobil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카쉐어링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에게 공유되어 운행되는 쉐어카(10), 사용자 인증, 요금정산 등을 중앙 제어하는 중앙 제어 센터(20) 및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인증키(30)로 구성될 수 있다.1, the prior art car sharing system includes a share car 10 shared with a plurality of users, a central control center 20 for centrally controlling user authentication, charge settlement, and the like, and an authentication Key 30, as shown in FIG.

쉐어카(10)는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인증키(30)를 인식할 수 있는 태그인식부를 포함하여, 태그 인식부에 태그되는 인증키(30)를 인식한 후, 해당 인증키(30)의 유효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앙 제어 센터(20)로 확인 요청 데이터를 송신한다.The share car 10 includes a tag recognizing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key 30 issued to the user and recognizes the authentication key 30 to be tagged in the tag recognizing unit, And transmits confirmation request data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20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중앙 제어 센터(20)는 쉐어카(10)로부터 전송된 확인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키(30)의 유효성을 판별한 후, 쉐어카(10)로 인증키(30)의 유효성 확인 데이터를 송신한다. The central control center 20 receives the confirmation request data transmitted from the share car 10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key 30 and then sends the validity confirmation data of the authentication key 30 to the share car 10 do.

쉐어카(10)는 중앙 제어 센터(20)로부터 인증키(30)의 유효성을 확인받은 후,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고, 사용자는 쉐어카(10)를 운행할 수 있다.
After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authentication key 30 from the central control center 20, the share car 10 can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share car 10.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되는 카쉐어링 시스템은 쉐어카가 터널이나 산기슭과 같은 무선통신 음영지역에 주차 또는 정차된 경우, 중앙 제어 센터와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여 도어의 개방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ar sharing system controlled in this way, when the share car is parked or stopp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hade area such as a tunnel or a foothill,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center is impossible and the door can not be controlled to open.

한국공개특허 제2006-0122988호(출원일: 2005.05.26)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122988 (filed on May 26,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쉐어카가 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도 도어 개폐 제어가 가능한 카쉐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shar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control door opening / closing even when a share car is located in a communication impossible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은, 등록된 회원에 대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 쉐어카에 태그되어 쉐어카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회원 인증 수단; 및 상기 중앙 관리 센터와 무선 통신으로 카쉐어링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절차 수행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용자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쉐어카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쉐어카의 도어를 임시 오픈시키기 위한 비상키를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A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management center for managing a car sharing service provision for registered members; Member authentication means for opening the door of the share car tagged to the share car;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installed with a service application for carrying out a procedure for using a car sharing ser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where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comprises: a central management center for managing, when the share car is located in a shaded area in which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An emergency key for temporarily opening the door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여기서,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는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와 통신하는 키 출력부 및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 상기 비상키의 전송을 요청하는 비상키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비상키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비상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시스템.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key output unit communicating with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and an emergency key request unit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emergency key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And an emergency key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emergency key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키 출력부는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와 통신하는 NFC 장치일 수 있다.
The key output unit may be an NFC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센터의 상기 비상키 제공부는, 상기 쉐어카의 차량정보를 인증하는 차량 인증부; 상기 인증된 쉐어카에 대응하는 비상키를 생성하는 비상키 생성부; 및 상기 비상키가 생성된 쉐어카의 정보 및 비상키의 정보를 저장하는 비상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비상키는 상기 쉐어카의 차량정보와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mergency key provision unit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share car; An emergency key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mergency key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ed shared car; And an emergency key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f an emergency key generated by the emergency key an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key, wherein the emergency key generated by the emergency key generating unit may include vehicl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share car have.

또한, 상기 비상키는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설정 시간 이후에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key may not be available after the set time including tim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쉐어카가 음영 지역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음영 지역으로부터 벗어나 통신 가능한 지역에서 이용자 무선 단말기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중앙 관리 센터로 비상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키 요청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단계;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에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를 기재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쉐어카에 적용되는 비상키를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상키 생성 및 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re car is located in the shade area, an emergency key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An emergency key request step; A member informat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requesting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o transmit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member informat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recording member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key by generating an emergency key applied to the SHARE car by comparing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mergency key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는 카쉐어링 등록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이용자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의 차량번호 또는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Here, the member information includes a car sharing registered member ID, a password, and a telephone number of a user wireless terminal,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 vehicle number of a license plate attached to the vehicle, It may be the unique number of the car.

본 발명의 카쉐어링 시스템에 따르면, 쉐어카가 통신 불능 지역에 위치될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임시 인증키를 전송하여 쉐어카의 도어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ar sha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are car is located in a communication incommunicable area, the temporary authentication key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of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share car.

도 1은 종래 기술의 카쉐어링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카쉐어링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ior art car sharing system;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ar sharing system of Figure 2;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car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공지된 구조 및 공지된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known structures, and 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Used in the sense of the description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do.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sectional,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stituent elem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ar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으로, 쉐어카(130)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r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hare car 130 is located in a shaded area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시스템(100)은 개략적으로 중앙 관리 센터(110)를 중심으로 회원 인증 수단(120), 쉐어카(130) 및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r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120, a share car 130,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140 based on a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중앙 관리 센터(110)는 등록된 회원에 대한 전반적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을 관리하며,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로 이용된 전기차가 반납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요금 정산을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중앙 관리 센터(110)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 비상키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이용자가 이용하려 하는 쉐어카(130)에만 적용되는 비상키를 생성하여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manages the overall car sharing service provision for the registered members and charges the user when the electric car used as the car sharing service is retur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n emergency key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generates an emergency key applied only to the share car 130 that the user wants to use, 140, respectively.

회원 인증 수단(120)은 등록된 이용자에게 발급된 회원 카드 또는 이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에서 출력되는 인증키가 될 수 있다.
The member authentication means 120 may be an authentication card output from the service application 141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use or the membership card issued to the registered user.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는 중앙 관리 센터(110)와 무선 통신으로 카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차량 정보, 예약 또는 인증 등의 쉐어링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절차 수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관리 센터(110)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을 통해 쉐어카(130)의 예약, 인증, 인증키 수신 및 쉐어카 도어 오픈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은 중앙 관리 센터(11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를 키 출력부(142)로 출력하여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와 통신하여 쉐어카(130)의 도어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키 출력부(142)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 구비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일 수 있다.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is for enabling a procedure for using a sharing service such as vehicle information, reservation or authentication related to a car sharing ser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includes a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 service application 141 may be installed. The service application 141 can make reservation,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key reception, and share car door open of the share car 130. 3, the service application 141 outputs the authentication key receiv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o the key output unit 142 and communicates with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130, The door of the car 130 can be open-controlled. In this embodiment, the key output unit 142 may be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카쉐어링 시스템(100)에서 중앙 관리 센터(110)에 이용 등록을 한 이용자는 회원 인증 수단(120)을 통해 쉐어카(130)의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In the car shar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user who has registered for use 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opens the door of the share car 130 through the member authentication means 120 and operates the vehicle .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쉐어카(130)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200)에 위치한 경우, 쉐어카(130)와 중앙 관리 센터(110)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이용자의 인증 절차가 실행될 수 었어 쉐어카(130)의 도어 오픈 제어가 불가능할 수 있다.2, when the share car 130 is located in the shaded area 200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hare car 130 and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e door open control of the share car 130 may not be possible.

이때, 이용자는 음영 지역(200)을 벗어나 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이 설치된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를 사용하여 중앙 관리 센터(110)에 쉐어카(130)를 오픈 제어할 수 있는 임시 비상키를 요청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moves out of the shadow area 200 and moves to an area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opens the share car 13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using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installed with the service application 141 A temporary emergency key can be requested.

이와 같은, 임시 비상키 요청을 위해, 본 실시예의 카쉐어링 시스템(100)은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 및 중앙 관리 센터(110)에 임시 비상키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추가하였으며, 이는 도 3을 참고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or such a temporary emergency key request, the car sharing system 100 of this embodiment further adds a configuration capable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 temporary emergency key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쉐어링 시스템(100)은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 및 중앙 관리 센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는 비상키 요청, 비상키 생성 및 비상키 송신을 위한 추가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3, the car shar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rvice application 141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a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dditional components for request, emergency key generation and emergency key transmission may be provided.

중앙 관리 센터(110)는 카쉐어링 서비스의 예약, 회원 관리 및 차량 관리 등의 전반적인 전기차 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부(111)와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 비상키 요청이 있을 경우 비상키를 제공하는 비상키 제공부(112) 및 쉐어카(130) 및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provides a service key 111 for providing an overall electric vehicle sharing service such as reservation of a car sharing service, member management, and vehicle management, and an emergency key request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13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The emergency key providing unit 11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3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서비스 제공부(111)는 이용 관리부(111a), 회원 인증부(111b) 및 회원 데이터 베이스(11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용 관리부(111a)는 카쉐어링 서비스의 이용 예약, 이용 종료에 따른 차량 반납, 쉐어링 전기차들의 스케줄링 등 전기차 쉐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며, 회원 인증부(111b)는 등록된 회원에 대한 쉐어카(130)의 이용 인증과 이용 종료에 따른 쉐어카(130)의 반납 인증 등의 카쉐어링 이용에 대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리고 회원 데이터 베이스(111c)는 등록된 회원의 개인 정보, 카쉐어링 서비스 이용 관련 정보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The service providing unit 11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sage management unit 111a,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111b and a membership database 111c. The usage management unit 111a uses reservation of use of a car sharing service, The member authenticating unit 111b performs authentication functions such as authentication of use of the share car 130 for the registered member and authentication of the shared car 130 using the shared car 130. [ 130, and the like. The member database 111c stores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f registered members, information related to car sharing service use, and the like.

비상키 제공부(112)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의 비상키 요청에 대응하여 쉐어카(130)에 대한 임시 비상키를 생성하여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인증부(112a)와 비상키 생성부(112b)와 비상키 데이터베이스(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인증부(112a)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차량이 등록된 쉐어카(130)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는 쉐어카(130)에 부착된 차량 번호 또는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되는 쉐어카(130)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비상키 생성부(112b)는 차량 인증부(112a)를 통해 인증된 쉐어카(130)에 대응하는 비상키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키는 일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 불가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비상키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키 데이터베이스(112c)는 비상키가 생성된 쉐어카(130)의 차량 정보, 비상키 생성 시간, 사용 완료된 비상키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emergency key supply unit 112 is for generating a provisional emergency key for the share car 130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key request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112a), an emergency key generating unit (112b), and an emergency key database (112c). The vehicle authentication unit 112a can compare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authenticate whether the vehicle is the registered share car 130 or not.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may be the vehicle number attached to the share car 130 or the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130 transmitted from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130. The emergency key generating unit 112b is for generating an emergency key corresponding to the shared car 130 authenticated through the vehicle authenticating unit 112a. The emergency key generating unit 112b can generate the emergency ke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he emergency key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The emergency key database 112c may store vehicle information of the share car 130 in which the emergency key is generated, emergency key generation time, information of the used emergency key, and the like.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은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 설치되어 카쉐어링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중앙 관리 센터(110)와 무선 통신으로 카쉐어링 서비스와 관련된 차량 정보, 예약 또는 인증 등의 쉐어링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절차 수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은 중앙 관리 센터(110)로부터 전송된 인증키를 키 출력부(142)로 출력하여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와 통신할 수 있다.The service application 141 is software that is installed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can execute a car sharing service. The service application 141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nd carries out a sharing service Procedures for use can be performed. The service application 141 can also communicate with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130 by outputting the authentication key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o the key output unit 142. [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은 중앙 관리 센터(110)로 비상키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비상키 요청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키 요청부(143)는 중앙 관리 센터(110)로 비상키의 전송 요청을 실행할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센터(110)로부터의 회원 정보 및 차량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회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중앙 관리 센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센터(110)로부터 회원 및 차량 인증이 실행된 후 생성되어 전송된 비상키는 키 출력부(142)를 통해 출력되어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와 통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application 141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key request unit 143 capable of executing an emergency key request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 The emergency key requesting unit 143 can request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o transmit the emergency key and can transmit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e emergency key generated and transmitted after the member and vehicle authentication is execu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is outputted through the key output unit 142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130.

상술한 구성을 갖는 카쉐어링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제어방법을 통해 쉐어카(1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ar sharing system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control the share car 130 through the following control method.

먼저 카쉐어링 서비스의 이용 과정을 살펴보면, 카쉐어링 서비스에 등록된 회원이 웹(web)이나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중앙 관리 센터(110)에 카쉐어링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예약을 신청하고, 대여 장소, 대여 차량의 선택, 이용 시간, 반납 장소 등과 같은 예약 절차의 수행에 따라 해당 카쉐어링 서비스에 대한 회원의 예약이 중앙 관리 센터(110)에 등록된다.First, a process of using the car sharing service will be described. A member registered in the car sharing service registers 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rough a service application of the web or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the reservation of the member for the car sharing service is registered 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reservation procedure such as the rental place, the selection of the rental vehicle, the use time, and the return place.

그리고 회원이 예약된 내용에 따라 해당 대여 장소에서 해당 쉐어카(130)를 이용하기 위해,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에 회원 인증 수단(120)을 태그하여 중앙 관리 센터(110)에 인증을 요청하면, 중앙 관리 센터(110)는 인증을 요청한 회원에 대하여 회원 정보와 예약 내용을 근거로 회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member authentication means 120 is tagged in the tag recognition section of the share car 130 to use the share car 130 in the rental place according to the contents reserved by the member,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can perform the memb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reservation contents for the member requesting the authentication.

회원에 대하여 정상적인 인증이 수행되면, 중앙 관리 센터(110)는 예약 내용에 따라 해당 쉐어카(130)에 대한 이용을 승인하고 쉐어카(130)의 도어 잠김을 해제시켜 회원이 쉐어카(130)의 이용을 가능케 한다.
When the norm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for the member,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pproves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share car 130 according to the reservation contents, releases the door lock of the share car 130, .

한편, 회원이 예약된 쉐어카(130)를 사용하여 할 때, 쉐어카(130)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관리 센터(110)와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음역 지역에 주차되어 있거나, 음영 지역(200)에서 회원이 쉐어카(130)를 주차하고 차량으로부터 이탈한 경우, 쉐어카(130)의 도어가 오픈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쉐어카(130)의 도어를 비상 개방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카쉐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중앙 관리 센터(110)로부터 비상키를 전송받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mber uses the reserved share car 130, if the share car 130 is parked in a transliteration area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is impossible as shown in FIG. 2, The door of the share car 130 may not be opened when the member parks the share car 130 and leaves the vehicle at step 200. At this time, in order to open the door of the share car 130, The control method of the car sharing system can receive the emergency key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쉐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비상키 요청 단계(S110)와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 단계(S120)와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전송 단계(S130) 및 비상키 생성 및 전송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control method of the car sharing system includes an emergency key request step S110, member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request step S120, member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30, and emergency key generation and transmission Step S140.

비상키 요청 단계(S110)는 쉐어카(130)가 음영 지역(200)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음영 지역(200)으로부터 벗어나 통신 가능한 지역에서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에서 실행될 수 있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의 비상키 요청부(143)는 무선 통신을 통해 중앙 관리 센터(110)로 비상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emergency key request step S110 is executed in the service application 141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in a communicable area off the shadow area 200 when the share car 130 is located in the shadow area 200 . The emergency key request unit 143 of the service application 141 can transmit an emergency key request message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 단계(S120)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 비상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중앙 관리 센터(110)가 해당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정보는 카쉐어링 등록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의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으며, 차량정보는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의 차량번호 또는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되는 쉐어카(130)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The member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requesting step S120 is a step in whic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receiving the emergency key request message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transmits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user wireless terminal 140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the vehicle number of the license plate attached to the vehicle or the tag number of the share car 130. In this case, And may be the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130 transmitted from the department.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전송 단계(S130)는 중앙 관리 센터(110)로부터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를 기재하여 중앙 관리 센터(11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회원정보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41)을 통해 회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고, 차량정보는 회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의 NFC 장치와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 사이의 통신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차량정보 중 차량번호는 회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고, 쉐어카 고유 번호는 쉐어카(130)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관리 센터(1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30 describe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that has received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nd transmits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 The member information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member through the service application 141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input directly by the member or may be input to the NFC apparatus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the share car 130. [ Can be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ag recognition units of the tags. That is,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can be directly input by the member,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can be input from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130. [ The input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비상키 생성 및 전송 단계(S140)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를 비교한 후, 해당 쉐어카(130)에 적용되는 비상키를 생성하여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회원정보는 중앙 관리 센터(110)의 서비스 제공부(111)의 회원 인증부(111b)를 통해 인증될 수 있고, 차량정보는 비상키 제공부(112)의 차량 인증부(112a)를 통해 인증될 수 있다. 유효한 회원 및 쉐어카로 인증된 경우, 해당 쉐어카(130)의 고유번호 및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해당 쉐어카(130)에 대응하는 비상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비상키는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emergency key generation and transmission step S140 compares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and generates an emergency key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share car 13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key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 The member information may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member authentication unit 111b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111 of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11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authenticated through the vehicle authentication unit 112a of the emergency key providing unit 112 . The emergency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hare car 130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unique number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hare car 130. This emergency key is used to authenticate the user wireless terminal 140 Lt; / RTI >

상술한 바와 같은 카쉐어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통해 회원의 이용자 무선 단말기(140)에 전송된 비상키를 사용하여 쉐어카(130)의 도어가 오픈될 수 있으며, 비상키는 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일정 시간의 경과 이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The door of the share car 130 can be opened using the emergency key transmitted to the member's wireless terminal 14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ar shar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emergency key includes time information And may become unusab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카쉐어링 시스템
110 : 중앙 관리 센터
120 : 회원 인증 수단
130 : 쉐어카
140 : 이용자 무선 단말기
100: car sharing system
110: Central Management Center
120: Member authentication means
130: SHARE CAR
140: User wireless terminal

Claims (7)

등록된 회원에 대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을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 쉐어카에 태그되어 쉐어카의 도어를 오픈시키는 회원 인증 수단; 및 상기 중앙 관리 센터와 무선 통신으로 카쉐어링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절차 수행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용자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쉐어카가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쉐어카의 도어를 임시 오픈시키기 위한 비상키를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는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와 통신하기 위한 NFC 장치로 이루어진 키 출력부 및 상기 비상키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와 함께 회원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비상키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쉐어카의 고유번호 및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비상키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상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키 제공부는, 상기 쉐어카의 차량정보를 인증하는 차량 인증부와, 상기 인증된 쉐어카에 대응하는 해당 쉐어카의 고유번호 및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비상키를 생성하는 비상키 생성부와, 상기 비상키가 생성된 쉐어카의 차량정보, 비상키의 생성시간 및 사용 완료된 비상키의 정보를 저장하는 비상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비상키는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 및 설정 시간 이후에 사용이 불가능한 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회원정보는 카쉐어링 등록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및 이용자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의 차량번호 또는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시스템.
A central management center that manages the provision of car sharing services for registered members; Member authentication means for opening the door of the share car tagged to the share car; And a user wireless terminal in which a service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using a car sharing ser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is installed,
Where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ransmits an emergency key for temporarily opening the door of the share car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when the share car is located in a shadow area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s impossible,
Wherein the user wireless terminal includes a key output unit including an NFC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and a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transmitted from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to request transmission of the emergency key, And an emergency key request unit for transmitting the member information together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Wherein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comprises an emergency key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n emergency key by combining the unique number and time information of the share car transmitt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mergency key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 emergency ke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emergency key by combin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hare car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ed share car; And an emergency key database for storing the vehicle information of the share car, the generation time of the emergency key,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d emergency key, wherein the emergency key generated by the emergency key generating unit is generated after the unique number and the set time of the share car Time information that can not be used,
Wherein the member information includes a car sharing registered member ID, a password, and a telephone number of a user wireless terminal,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 car number of a car license plate attached to the car, or a car number of the share car transmitted from the tag recognizer of the share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 sharing system comprises a unique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쉐어카가 음영 지역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음영 지역으로부터 벗어나 통신 가능한 지역에서 이용자 무선 단말기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중앙 관리 센터로 비상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키 요청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요청단계;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에서 회원정보 및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를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 전송하는 회원정보 및 차량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회원정보 및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쉐어카의 고유번호 및 설정 시간 이후에 사용이 불가능한 시간정보를 조합하여 비상키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이용자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상키 생성 및 전송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비상키가 생성된 쉐어카의 차량정보, 비상키 생성 시간 및 사용 완료된 비상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회원정보는 카쉐어링 등록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및 이용자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에 부착된 차량 번호판의 차량번호 또는 상기 쉐어카의 태그인식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쉐어카의 고유번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An emergency key request step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key request message from the service application of the user wireless terminal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in a communicable area off the shaded area when the share car is located in the shaded area;
A member informat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requesting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to transmit the memb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A member information and a vehicl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member information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transmitted from the tag recognition unit of the share car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And
Based on the memb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wireless terminal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generates an emergency key by combining the unique number of the share car and the unavailable time information after the set tim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key to the user wireless terminal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key; And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storing information on the vehicle information, the emergency key generation time, and the used emergency key of the shared car in which the emergency key has been generated, as a database,
Wherein the member information includes a car sharing registered member ID, a password, and a telephone number of a user wireless terminal,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 car number of a car license plate attached to the car, or a car number of the share car transmitted from the tag recognizer of the share car And a unique number.
삭제delete
KR1020140191684A 2014-12-29 2014-12-29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15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684A KR101615519B1 (en) 2014-12-29 2014-12-29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684A KR101615519B1 (en) 2014-12-29 2014-12-29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519B1 true KR101615519B1 (en) 2016-04-26

Family

ID=5591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684A KR101615519B1 (en) 2014-12-29 2014-12-29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5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08A (en) * 2017-07-11 2019-01-21 (주)디에스멘토링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Vehicle Door Lock by using Smart-Key
US11006275B1 (en) 2019-11-07 2021-05-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ed vehicle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325A (en) * 2008-12-17 2010-07-01 Toyota Motor Corp Biometrics authentication system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325A (en) * 2008-12-17 2010-07-01 Toyota Motor Corp Biometrics authentication system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808A (en) * 2017-07-11 2019-01-21 (주)디에스멘토링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Vehicle Door Lock by using Smart-Key
KR101962914B1 (en) * 2017-07-11 2019-03-27 (주)디에스멘토링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Vehicle Door Lock by using Smart-Key
US11006275B1 (en) 2019-11-07 2021-05-1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ed vehicl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412B2 (en)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and key unit
US11663867B2 (en) Digital certificate and reservation
CN105637916B (en) Authorization access to vehicle data
US11094149B2 (en)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server used f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CN109586915A (en) Automobile no-key controls authentication method, user terminal, car-mounted device and server
JP7035491B2 (en) Ke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e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key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6531853B1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suing device and delivery system
JP2016511191A (en) Method for making a vehicle available and corresponding system for making a vehicle available
JP2019133327A (e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in-vehicle device
CN108749766A (en) It is passive to enter mobile phone and its method and system
CN103971313A (en) Car shar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ompatible with private cars
JP7006167B2 (en) Delivery support device, delivery support method, delivery support program
CN109649330B (en) Vehicle sharing system
US10988109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ound output control method, vehicle, and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CN104735168A (en) Unlocking method of network-based password generation and decryption
CN113240834A (en) Delivery assistance apparatus, delivery assistan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computer medium storing delivery assistance program
JP7056370B2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suing device and delivery system
CN202979028U (en) Car utilization system based on NFC technology
US948388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ally secured device and transponder for it
KR101615519B1 (en) Car Sha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7028703B2 (en) Sharing system
JP6924167B2 (en) Shared system and in-lock prevention method
CN102044099B (en) Universal identity representation and operation control system
JP6760209B2 (en) Car sharing system
CN206149025U (en) Power output controll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