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056B1 -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056B1
KR101615056B1 KR1020147022303A KR20147022303A KR101615056B1 KR 101615056 B1 KR101615056 B1 KR 101615056B1 KR 1020147022303 A KR1020147022303 A KR 1020147022303A KR 20147022303 A KR20147022303 A KR 20147022303A KR 101615056 B1 KR101615056 B1 KR 10161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layer
electrode
light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5346A (en
Inventor
기요시 사토
기요시 고바야시
마사요시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컬러 표시 패널의 표측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의 절연층이, 컬러 표시시에 깜박거림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쉬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X 방향으로 배열되는 투광성의 전극층 (13a, 13a) 을 도통시키는 브리지 배선층 (15) 이 형성되고, Y 방향으로 연속하는 전극층 (12a, 12a) 과 브리지 배선층 (15) 을 절연시키는 투광성의 절연층 (14)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 (14) 각각의 가장자리부 (14a, 14b) 가, 컬러 표시 패널의 컬러 필터에 형성된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변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픽셀을 통과한 광에 의해 절연층 (14) 의 가장자리부 (14a, 14b) 가 깜박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There is provided an input device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of a touch panel disposed on a surface side of a color display panel can easily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flashing occurs in color display.
A transparent wiring layer 15 for conducting the light-transmitting electrode layers 13a and 13a arranged in the X direction is formed and a light-transmitting insulating layer (not shown) for insulating the electrode layers 12a and 12a continuing in the Y direction from the bridge wiring layer 15 14 are formed. The edge portions 14a and 14b of each of the insulating layers 14 are form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s of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formed in the color filter of the color display panel. Therefore, it is easy to prevent the edges 14a and 14b of the insulating layer 14 from flickering due to light passing through the sub-pixels.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Input device {INPUT DEVICE}

본 발명은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투광성의 제 1 전극층과, 브리지 배선층에서 접속된 투광성의 제 2 전극층이 형성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전극층과 브리지 배선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이, 배부 (背部) 로부터 컬러 표시광이 부여되었을 때에 잘 눈에 띄지 않는 구조로 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in which a first electrod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having a light transmitting propert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ridge wiring layer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color display light is provided from the rear portion (the back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특허문헌 1 과 특허문헌 2 에 손가락의 접근을 검지하여 그 조작 위치를 검지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 a capacitive touch panel that detects approach of a finger and detects its operation position.

이 터치 패널은, 기판의 동일면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은, Y 방향으로 배열되는 마름모꼴 형상의 전극 단위와, 인접하는 전극 단위끼리를 접속시키는 접속 배선을 가지고 있다.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극 패턴은, 상기 접속 배선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X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극 단위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 배선 상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X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극 단위를 도통시키는 브리지 배선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In this touch panel, an electrode pattern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and an electrode pattern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electrode pattern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has a rhombic electrode unit arranged in the Y direction and a connection wiring connecting the adjacent electrode units. The electrode pattern extending in the X-direction has electrode units which are separated in the X-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wiring interposed therebetween.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connecting wiring and a bridge wiring for conducting the electrode unit arranged in the X direc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이 터치 패널은,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 패턴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 패턴에 순서대로 구동 전력이 부여된다. 도전체이면서 또한 접지 전위에 가까운 손가락이 어느 전극 단위에 접근하면, 전극 단위 사이의 정전 용량에 더하여 손가락과 전극 단위 사이에 정전 용량이 형성되어, 전극 패턴에 흐르는 전류 등이 변화한다.In this touch panel,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patterns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are given drive power in order. When a finger which is a conductor and approaches a ground potential approaches a certain electrode unit, a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finger and the electrode unit in addition to the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 units,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pattern changes.

이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전극 패턴이 배열되어 있는 X-Y 좌표면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손가락이 접근하고 있는지가 검지된다.By detecting this change, it is detected which position the finger is approaching in the X-Y coordinate plane on which the electrode patterns are arrang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71796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71796 국제 공개공보 WO2010/029979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10 / 029979

휴대용 기기 등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의 기판과 전극 패턴 그리고 절연층이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며, 터치 패널이 컬러 액정 패널의 표면에 설치된다.In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a substrate, an electrode pattern, and an insulating layer of the touch panel are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and a touch panel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lor liquid crystal panel.

컬러 액정 패널은, 그 내부 또는 외표면에 컬러 필터를 가지고 있다. 컬러 필터는 R (적색), G (녹색), B (청색) 의 3 색의 서브픽셀이 1 세트가 되어 영상의 색채가 표현된다. 일반적인 컬러 필터는, 각각의 색의 서브픽셀이 장방형이고, X 방향과 Y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X 방향과 Y 방향은, 터치 패널의 전극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The color liquid crystal panel has a color filter on its inner or outer surface. In the color filter, three sets of three subpixels of R (red), G (green), and B (blue) are set and the color of the image is expressed. In a typical color filter, the subpixels of each color are rectangular and regularly arranged in the X and Y directions. The X and Y directions coincide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of the touch panel.

특허문헌 1 과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터치 패널은, 브리지 배선을 절연하고 있는 절연층이 사각형이고, 각각의 절연층이 X 방향과 평행한 가장자리부 그리고 Y 방향과 평행한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다. 절연층의 가장자리부가 이와 같은 형상이면, 절연층의 가장자리부가 컬러 필터의 서브픽셀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것에서 기인하여, 컬러 표시광이 부여되었을 때에 절연층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광의 깜박거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컬러 액정 패널로부터 3 원색 중 어느 단색의 표시광이 부여되면, 절연층의 부분에서 색에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In the touch pane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the insulating layer insulating the bridge wiring is rectangular, and each insulating layer has an edge portion parallel to the X direction and an edge portion parallel to the Y direction. If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has such a shape, the edge of the insulating layer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bpixels of the color filter, and when the color display light is applied, flickering of light occurs due to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Particularly, when display light of any one of the three primary colors is given from the color liquid crystal panel, flickering in color tends to occur in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상기 특허문헌 2 의 도 14 에 기재되어 있는 터치 패널은, 전극 패턴의 전극 단위 사이를 도통시키는 브리지 배선과, 이것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의 쌍방이 X 방향 그리고 Y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터치 패널은, 서로 도통되어 인접하는 전극 단위가 X 방향과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전극 단위가 서로 다르게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브리지 배선에 맞춰 절연층이 비스듬하게 향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touch panel described in Fig. 14 of Patent Document 2, both the bridge wiring for conducting the electrode unit of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insulating layer for insulating the electrode wiring pattern exten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n this touch panel, adjacent electrode unit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not arranged in the X and Y directions, and the electrode units are arranged diagon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in a pattern oriented obliquely to match the bridge wiring extending obliquely.

특허문헌 2 의 도 14 에 기재되어 있는 터치 패널은, 본래는 X 좌표 상의 동일 위치에 있어서 Y 방향을 향하여 직선 상에 배열되어야 할 전극 단위가,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X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본래는 Y 좌표 상의 동일 위치에 있어서 X 방향을 향하여 직선 상에 배열되어야 할 전극 단위가,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Y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극층이 X 방향과 Y 방향의 쌍방에 배열되어 있는 일반적인 터치 패널과는 구동 방법이나 검지 방법이 상이한 것이 되어 범용성이 부족하다.The touch pane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in Fig. 1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unit, which should b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in the Y direction at the same position on the X coordinate, is not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but is located at a different position in the X direction Respectively. Likewise, electrode units which should b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toward the X direction at the same position on the Y coordinate are not located on the straight line but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Y direction. Therefore, the drive method and the detection method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touch panel in which the electrode layers are arranged in both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nd the versatility is insufficient.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제 1 전극층과 제 2 전극층이, 서로 직교하는 X 방향과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범용성이 있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컬러 표시광이 부여되었을 때에, 브리지 배선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의 존재를 잘 눈에 띄지 않게 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eneral-purpose input device in which a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are arranged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in which the presence of an insulating layer that insulates a wiring layer is not conspicuous.

본 발명은 투광성 기판의 동일 표면에, 투광성의 제 1 전극층과, 투광성의 제 2 전극층이 형성된 입력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in which a transparent first electrode layer and a transparent second electrode layer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a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제 1 전극층은,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주전극부와, 제 1 주전극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전극층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주전극부를 가지고 있고, Wherein the first electrode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인접하는 제 2 주전극부 사이를 도통시키는 브리지 배선층과 상기 연결부를 절연시키는 투광성의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브리지 배선층이 제 2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절연층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쌍방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Wherein the first wiring layer and the second wiring lay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wiring layer and the second wiring layer, And an edge portion which is not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상기 기판의 이측 (裏側) 에 표시광을 부여하는 표시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내부 또는 외표면에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러 필터의 각각의 서브픽셀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play panel for providing display light to the rear side of the substrate is formed and a color filter is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서브픽셀이 장방형이고, 그 장변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향해져 있다.The subpixel is rectangular and its long side is direct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상기 절연층이 다각형이고, 모든 변이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쌍방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상기 절연층은,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layer is polygonal, and all the sides extend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both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 is preferably a polygonal shape having a square or more.

또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상기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부가 곡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Alternatively, in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has a curved shape. For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is circular or elliptical.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제 1 전극층과 브리지 배선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의 가장자리부가, X 방향과 Y 방향의 쌍방에 대해 비스듬하게 향해져 있다. 배부에 컬러 표시광을 부여하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었을 때에, 컬러 필터의 서브픽셀의 가장자리부와 절연층의 가장자리부가 평행하지 않게 되고, 컬러 표시광에 의해 절연층의 존재가 잘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절연층의 부분에서 광이 깜박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쉬워진다.In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 insula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bridge wiring layer is directed obliquely toward both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The edge portion of the sub-pixel of the color filter and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when the display panel for imparting the color display light to the distribution portion is disposed, and the presence of the insulating layer is not conspicuous by the color display light , It is easy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light flickers at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전극층의 배열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도 3 을 Ⅳ-Ⅳ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컬러 필터의 서브픽셀의 배열과 절연층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비교예에 있어서, 컬러 필터의 서브픽셀의 배열과 절연층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극층의 패턴과 절연층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도 8(B) 는 전극층의 패턴과 변형예의 절연층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전극층의 패턴과 변형예의 절연층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는 전극층의 패턴과 변형예의 절연층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 도 11(B) 는 전극층의 패턴과 변형예의 절연층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pattern of the electrode layers.
4 is an enlarged view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of subpixels of the color filt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of subpixels of the color filt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comparative example.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plan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modified exampl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modified example.
10 (A) and 10 (B) are plan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modified example.
11 (A) and 11 (B) are plan view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in the modified example.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 (1) 는, 터치 패널 (10) 과 표시 패널 (20) 이 일체화된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입력 장치 (1) 는, 표시 패널 (20) 과 조합되는 목적을 위해 터치 패널 (10) 만으로 유통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도 1 과 도 2 에서는, X 방향이 입력 장치 (1) 의 가로 방향이고, Y 방향이 입력 장치 (1) 의 세로 방향이다. Y 방향이 제 1 방향이고 X 방향이 제 2 방향이다.The input device 1 shown in Figs. 1 and 2 is one in which the touch panel 10 and the display panel 20 are integrated. However, the inpu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where only the touch panel 10 is used for the purpose of being combined with the display panel 20. 1 and 2, the X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put device 1, and the Y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put device 1. [ The Y direction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is the second direction.

입력 장치 (1) 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 (10) 은, 1 장의 투광성 기판 (11) 의 입력측으로 향해져 있는 표면 (11a) 에, 제 1 전극층 (12) 과 제 2 전극층 (13)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투광성이란, 순수한 투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포함된다.The touch panel 10 constituting the input device 1 has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formed on the surface 11a facing the input side of one transparent substrate 11 have. The light transmitta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pure transparent, but preferably includes, for example,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80% or more.

기판 (11) 은, 가요성의 필름상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PET 필름이 사용된다. 제 1 전극층 (12) 과 제 2 전극층 (13) 은, ITO, SnO2, ZnO 등의 투광성의 도전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The substrate 11 is made of a flexible film material, for example, a PET film is used.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ar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SnO 2 , or ZnO.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 (12) 은, 사각 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의 복수의 제 1 주전극부 (12a) 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 1 주전극부 (12a) 는, Y 방향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배열되고, Y 방향에 인접하는 제 1 주전극부 (12a) 가 연결부 (12b)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주전극부 (12a) 와 연결부 (12b) 는, 동일한 도전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has a plurality of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12a each having a rectangular or rhombic shape. The plurality of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12a are arranged linearly in the Y direction and the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12a adjacent to the Y direction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12b. The first main electrode portion 12a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b ar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conductive material.

제 2 전극층 (13) 은,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13a) 를 가지고 있다. 제 2 주전극부 (13a) 는, 제 1 주전극부 (12a) 와 동일한 형상이고 동일한 면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주전극부 (13a) 는, 제 1 전극층 (12) 의 연결부 (12b) 를 사이에 두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X 방향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배열되어 있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has a plurality of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s 13a.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13a has the same shape and the same area as the first main electrode portion 12a.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13a is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as to sandwich the connection portion 12b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is linearly arranged in the X direction.

PET 등의 투광성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ITO 등의 투명 도전 재료의 막이 0.01 ∼ 0.05 ㎛ 의 막 두께로 스퍼터법이나 증착법에 의해 적층된 재료를 사용하여 투명 도전 재료의 층을 에칭함으로써, 제 1 전극층 (12) 과 제 2 전극층 (13) 이 동시에 패턴 형성된다. 도 7 에 제 1 전극층 (12) 의 제 1 주전극부 (12a) 그리고 연결부 (12b) 의 구체적인 패턴 형상의 일부와, 제 2 전극층 (13) 의 제 2 주전극부 (13a) 의 패턴 형상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A layer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s deposited on the surface 11a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11 such as PET by a sputtering method or a vapor deposition method to a thickness of 0.01 to 0.05 mu m to etch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yer ,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are simultaneously patterned. 7 shows a part of a specific pattern shape of the first main electrode part 12a and the connecting part 12b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a part of the pattern shape of the second main electrode part 13a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Some are shown.

도 3 과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층 (12) 의 각각의 연결부 (12b) 상에 절연층 (14)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 (14) 은 노볼락 수지 등의 투광성의 유기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11) 의 표면 (11a) 에 제 1 전극층 (12) 과 제 2 전극층 (13) 이 형성된 후에, 포토리소그래프법 등에 의해 연결부 (12b) 의 표면에 절연층 (14) 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an insulating layer 14 is formed on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12b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s shown in Fig. The insulating layer 14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novolac resin. After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are formed on the surface 11a of the substrate 11, the insulating layer 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b by a photolithography method or the like in a predetermined shape .

상기 절연층 (14) 의 표면에 브리지 배선층 (15) 이 형성되어, 연결부 (12b) 를 사이에 두고 X 방향에 인접하는 제 2 주전극부 (13a) 끼리가 도통된다. 브리지 배선층 (15) 은 ITO/CuNi 나 ITO/Ni 의 적층 도전층, ITO/Au 또는 ITO/Au 합금의 적층 도전층, ITO/CuNi/ITO, ITO/Au/ITO, ITO/Au 합금/ITO 등의 적층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브리지 배선층 (15) 은, 눈에 잘 보이지 않게 가늘고 또한 얇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 (14) 상에 얇은 막 두께의 도전층을 형성하고, 선택성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브리지 배선층 (15) 이 형성된다.A bridge wiring layer 1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4 so that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s 13a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ing portion 12b. The bridge wiring layer 15 is formed of a laminated conductive layer of ITO / CuNi or ITO / Ni, a laminated conductive layer of ITO / Au or ITO / Au alloy, ITO / CuNi / ITO, ITO / Au / ITO, ITO / Of a laminated conductive layer. The bridge wiring layer 15 is formed thin and thin so as not to be seen easily. A conductive layer having a thin film thickness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4, and a selective etching is performed to form the bridge wiring layer 15.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 (12b) 에 의해 Y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전극층 (12) 의 일부는, 각각의 종열마다 Y 인출 전극층 (16) 이 되어 검지 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11) 의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제 1 랜드부 (17) 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Y 인출 전극층 (16) 이 제 1 랜드부 (17) 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브리지 배선층 (15) 에서 X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전극층 (13) 의 일부는, 각각의 횡열마다 X 인출 전극층 (18) 이 되어 검지 영역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있고, 각각이 도 1 에 나타내는 제 2 랜드부 (19) 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connected in the Y direction by the connection portion 12b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detection region as a Y lead electrode layer 16 for each column.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first land portions 17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substrate 11, and each Y lead electrode layer 16 is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first land portion 17 have.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connected in the X direction in the bridge wiring layer 15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detection region as an X lead electrode layer 18 for each row, 2 land portions 19, respectively.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10) 의 기판 (11) 의 표면 (11a) 은, 커버층 (2) 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층 (2) 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광성 수지나 유리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층 (2) 과 터치 패널 (10) 은, 투광성의 광학 점착층 (OCA) 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The surface 11a of the substrate 11 of the touch panel 10 is covered with the cover layer 2 as shown in Figs. The cover layer 2 is formed of a translucent resin such as polycarbonate or a glass plate. The cover layer 2 and the touch panel 10 are adhered via a transparent optical adhesive layer (OCA).

터치 패널 (10) 은, 제 1 전극층 (12) 과 제 2 전극층 (13) 사이에 정전 용량이 형성되어 있는데, 입력 조작에 의해 커버층 (2) 의 표면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제 1 주전극부 (12a) 또는 제 2 주전극부 (13a) 와 손가락 사이의 정전 용량이 부가되어, 정전 용량의 합계값이 변화한다.In the touch panel 10,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cover layer 2 by the input operation,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between the finger 12a or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13a and the finger is added, and the total value of electrostatic capacitance changes.

제 1 전극층 (12) 에 대해 각 열마다 순서대로 구동 전력을 인가하고, 모든 제 2 전극층 (13) 으로부터 검출되는 전류값을 계측함으로써, 복수의 제 1 주전극부 (12a) 중 어느 것이 손가락에 가장 접근하고 있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제 2 전극층 (13) 에 대해 각 열마다 순서대로 구동 전력을 인가하고, 모든 제 1 전극층 (12) 으로부터 검출되는 전류값을 계측함으로써, 복수의 제 2 주전극부 (13a) 중 어느 것이 가장 손가락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검출 동작에 의해, 커버층 (2) 의 표면에 있어서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조작 지점의 X-Y 좌표 상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Driving power is sequentially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de layers 12 for each column and the current value detected from all the second electrode layers 13 is measured to determine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12a It can be calculated whether or not it is approaching the most. In addition, drive power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for each column, and the current value detected from all the first electrode layers 12 is measured to determine whi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s 13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whether or not the finger is approaching the most. By this detection operation, the position on the X-Y coordinate of the operation point at which the finger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layer 2 can be specified.

도 1 과 도 3 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10) 은, 제 1 전극층 (12) 을 구성하는 제 1 주전극부 (12a) 가, Y 방향으로 직선적인 열을 이루어 배열되고, 제 2 전극층 (13) 을 구성하는 제 2 주전극부 (12b) 가, X 방향으로 직선적인 열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극층 (12) 에 순서대로 구동 전력을 인가하여 제 2 전극층 (13) 의 전류를 감시하고, 제 2 전극층 (13) 에 순서대로 구동 전력을 인가하여 제 1 전극층 (12) 의 전류를 감시함으로써, 커버층 (2) 에 손가락이 닿은 위치의 X-Y 좌표 상의 위치를 범용적인 수법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연산하기 쉽다.The touch panel 10 shown in Figs. 1 and 3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12a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re arranged in a linear line in the Y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And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12b constituting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12b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X direction. Accordingly, the driving current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to monitor the curren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and the driving current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 The position on the XY coordinate of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touches the cover layer 2 can be calculated relatively easily by a general method.

도 1 과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10) 의 배부에 PET 등의 배부 필름 (3) 이 투광성의 광학 점착층 (OCA) 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배부 필름 (3) 의 상하 중 어느 표면에 ITO 층 (4) 이 전면적으로 형성되고, ITO 층이 접지 전위로 설정되어 있다. 이 ITO 층 (4) 에 의해, 배부의 표시 패널 (20) 의 구동 신호의 영향을 저감시켜, 터치 패널 (10) 의 검지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distributing film 3 such as PET is bonded to the back of the touch panel 10 via a transparent optical adhesive layer (OCA). The ITO layer 4 is formed entire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tributing film 3 and the ITO layer is set to the ground potential. This ITO layer 4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drive signal of the display panel 20 on the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10 can be stabilized.

도 2 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표시 패널 (20) 은 컬러 액정 패널이다. 표시 패널 (20) 은, 백라이트용 도광층 (21) 을 가지고 있다. LED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해진 광은, 도광층 (21) 으로부터 그 위의 층으로 부여된다. 도광층 (21) 상에 편광 필터 (22), 하측 유리 기판 (23), 하측 투명 전극 (24), 배향층 (25)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그 위에 액정층 (26) 을 개재하여 배향층 (27), 상측 투명 전극 (28), 컬러 필터 (29), 상측 유리 기판 (31), 편광 필터 (32) 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The display panel 20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2 is a color liquid crystal panel. The display panel 20 has a light guide layer 21 for backlight.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is given to the layer above the light guide layer 21. A polarizing filter 22, a lower glass substrate 23, a lower transparent electrode 24, and an orientation layer 25 a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the light guide layer 21. An alignment layer 27, an upper transparent electrode 28, a color filter 29, an upper glass substrate 31, and a polarizing filter 32 are arranged in this ord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26 interposed therebetween.

도 5 는 컬러 필터 (29) 를 구성하고 있는 서브픽셀 (35R, 35G, 35B) 을 나타내고 있다. 서브픽셀 (35R) 은 적색층, 서브픽셀 (35G) 은 녹색층, 서브픽셀 (35B) 은 청색층이다. 3 색의 서브픽셀 (35R, 35G, 35B) 은 모두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단변이 X 방향과 평행하게 향해지고, 장변이 Y 방향과 평행하게 향해진 장방 형상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색의 서브픽셀 (35R, 35G, 35B) 이 1 세트가 되어, 각 세트가 X 방향과 Y 방향으로 직선적인 열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FIG. 5 shows subpixels 35R, 35G, and 35B constituting the color filter 29. FIG. The subpixel 35R is a red layer, the subpixel 35G is a green layer, and the subpixel 35B is a blue layer.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of three colors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ame area, and the short sides are oriented in parallel with the X direction and the long sides are oriented in parallel with the Y direction. As shown in Fig. 5, one set of three color subpixels 35R, 35G, and 35B is provided, and each set is arranged in a linear array in the X and Y directions.

표시 패널 (20) 의 하측 투명 전극 (24) 과 상측 투명 전극 (28) 에 구동 전력이 부여되고, 각각의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액정 화소의 광의 투과량이 제어되어, 가법 (加法) 혼합 방식으로 컬러 표시가 행해진다.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24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28 of the display panel 20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pixel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Display is performed.

또한, 컬러 필터 (29) 는, 표시 패널 (20) 의 상측 유리 기판 (31) 보다 상방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color filter 29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 above the upper glass substrate 31.

표시 패널 (20) 로부터 발해지는 컬러 표시광은, 배부 필름 (3) 과 터치 패널 (10) 및 커버층 (2) 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보내져, 조작자에게 컬러 화상이 부여된다. 터치 패널 (10) 의 복수 개의 지점에 절연층 (14) 과 브리지 배선층 (15) 이 형성되어 있는데, 브리지 배선층 (15) 은, 가능한 한 얇고 가늘게 형성되어, 조작자가 눈으로 보았을 때에 브리지 배선층 (15) 이 눈에 띄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color display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20 is transmitted forward through the distribution film 3, the touch panel 10, and the cover layer 2, and forwarded to give a color image to the operator. The insulating layer 14 and the bridge wiring layer 15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touch panel 10. The bridge wiring layer 15 is formed as thin and thin as possible so that the bridge wiring layer 15 ) Are designed to be inconspicuous.

절연층 (14) 은, 제 1 전극층 (12) 의 연결부 (12b) 와 브리지 배선층 (15) 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어느 정도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제 1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 (1) 에서는, 도 5 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 (14) 을 4 변을 갖는 다각형인 정방형으로 하고, 서로 직교하는 변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 (14a) 와 가장자리부 (14b) 를,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배열 방향인 X-Y 축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It is necessary that the insulating layer 14 is formed to have a somewhat large area in order to ensure insula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2b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and the bridge wiring layer 15. [ In the input device 1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insulating layer 14 is formed into a polygonal square having four sides, and the edge portions 14a and the edge portion 14b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XY axis, which i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bpixels 35R, 35G, 35B.

도 6 은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에서는, 도 5 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치수이고 동일한 정방형의 절연층 (14) 이 형성되어 있는데, 절연층 (14) 의 2 개의 변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 (14a) 와 가장자리부 (14b) 가, 각각 X 축과 Y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Fig. 6 shows a comparative example.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insulating layer 14 having the same dimensions and the same dimensions as those of the embodiment of Fig. 5 is formed. The edge 14a and the edge 14b, which form two sides of the insulating layer 14, , And ar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 axis and the Y axis, respectively.

도 6 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표시 패널 (20) 로부터 터치 패널 (10) 에 컬러 표시광이 부여되면, 절연층 (14) 의 가장자리부가 빛나도록 반응하여, 조작자에게 부여되는 컬러 화상 중에 다수의 깜박거림이 눈에 보이는 경우가 있다. 특히, 3 원색 중 어느 단색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깜박거림이 눈에 보이기 쉽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6, when the color display light is applied to the touch panel 10 from the display panel 20, the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4 reacts so as to shine, There is a case where the stuttering is visible. Particularly, the blinking is likely to be noticeable in an area displaying any single color image among the three primary colors.

그 이유는, 장방형의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장변과, 절연층 (14) 의 가장자리부 (14b) 가 평행하기 때문에, Y 방향으로 긴 영역의 서브픽셀로부터 발해지는 동일한 색상이 동일한 가장자리부 (14b) 에 집중되기 쉬운 것, 그리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가장자리부 (14b) 의 렌즈 효과에 의해, 3 원색의 서브픽셀로부터 발해지는 동일한 색상의 색이 강조되기 쉬운 것이 요인이라고 예측된다.The reason is that the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subpixels 35R, 35G, and 35B and the edge portions 14b of the insulating layer 14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color of the same color emitted from the subpixels of the three primary colors is emphasized by the lens effect of the peripheral portion 14b and the lens effect of the edge portion 14b which is slightly curved as shown in Fig. It is predicted that factors that are easy to become.

이에 반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 (14) 의 가장자리부 (14a, 14b) 가,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장변을 가로지르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동일한 색상의 색이 가장자리부 (14b) 에 집중되는 것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컬러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 특히 3 원색의 단색이 표시되는 영역에 깜박거림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edge portions 14a and 14b of the insulating layer 14 are formed obliquely across the long sides of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as shown in FIG. 5, It is hard to concentrate on the edge portion 14b. As a result, blinking does not occur in an area for displaying a color image, particularly in an area in which monochromatic colors of three primary colors are displayed.

도 5 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 (14) 이 정방형의 패턴인 경우에, 가장자리부 (14a) 의 X 축에 대한 기울기 각도와, 가장자리부 (14b) 의 Y 축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15 ∼ 30 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향은 절연층 (14) 이 장방형이어도 동일하다.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dge portion 14a with respect to the X axis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dge portion 14b with respect to the Y axis are set to be equal to each other in the case where the insulating layer 14 is a square pattern, And is preferably between 15 and 30 degrees. This tendency is the same even if the insulating layer 14 is rectangular.

도 8 이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한 절연층의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8A and 8B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attern of an insulating layer effectiv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A) 은, 도 5 와 도 7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정방형의 절연층 (14) 을, 2 개의 가장자리부 (14a, 14b) 가 X 축과 Y 축에 대해 45 도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도 8(B)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B) 은, 도 8(A)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A) 의 X 축의 폭 치수를 Y 축의 폭 치수보다 짧게 한 마름모꼴 형상 또는 다이아몬드 형상이다. 도 8(A), 도 8(B)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A, 14B) 은, 모든 가장자리부가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변, 특히 장변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도 5 와 도 7 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층 (14) 을 통과하는 컬러 표시광 중에 발생하는 깜박거림을 방지하기 쉽다.The insulating layer 14A shown in Fig. 8A has the same square insulating layer 14 as that shown in Figs. 5 and 7 except that the two edge portions 14a and 14b are arranged at 45 And is inclined at an angle. The insulating layer 14B shown in Fig. 8 (B) is diamond-shaped or diamond-shaped in which the width dimension of the X-axis of the insulating layer 14A shown in Fig. 8 (A) is short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Y-axis. Since the insulating layers 14A and 14B shown in Figs. 8A and 8B are not parallel to the sides of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particularly the long side, The flickering occurring in the color display light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14 can be easily prevented.

도 9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절연층 (14C) 이 다각형인 6 각형이고, 4 개의 가장자리부가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변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도 10(A)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D) 과 도 10(B)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E) 은, 다각형인 8 각형이다. 절연층 (14D, 14E) 은, 모든 가장자리부가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변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층 (14C, 14D, 14E) 도 컬러 표시광의 깜박거림을 방지하기 쉽다.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9, the insulating layer 14C is hexagonal having a polygonal shape, and four edge portion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s of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The insulating layer 14D shown in Fig. 10 (A) and the insulating layer 14E shown in Fig. 10 (B) are polygonal octagonal. The insulating layers 14D and 14E are formed such that all the edge portion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ides of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Therefore, the insulating layers 14C, 14D, and 14E also easily prevent the color display light from flickering.

도 11(A)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F) 은 진원형이고, 도 11(B) 에 나타내는 절연층 (14G) 은 타원형 또는 장원형이다. 절연층 (14F, 14G) 은, 그 가장자리부가 서브픽셀 (35R, 35G, 35B) 의 변과 평행해지지는 않기 때문에, 컬러 표시광의 깜박거림을 방지하기 쉽다.The insulating layer 14F shown in Fig. 11 (A)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insulating layer 14G shown in Fig. 11 (B) has an elliptical shape or a long circular shape. Since the edge portions of the insulating layers 14F and 14G are not parallel to the sides of the sub-pixels 35R, 35G, and 35B, it is easy to prevent flickering of the color display light.

또, 절연층의 패턴 형상으로는, X 방향과 Y 방향의 쌍방에 대해 기울어져 연장되는 직선 상의 가장자리부와, 곡선상의 가장자리부가 조합된 형상이어도 된다.The pattern shape of the insulating layer may be a shape in which a linear edge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 both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nd a curved edge portion are combined.

1 : 입력 장치
2 : 커버층
10 : 터치 패널
11 : 기판
12 : 제 1 전극층
12a : 제 1 주전극부
12b : 연결부
13 : 제 2 전극층
13a : 제 2 주전극부
14, 14A, 14B, 14C, 14D, 14E, 14F, 14G : 절연층
14a, 14b : 가장자리부
15 : 브리지 배선층
20 : 표시 패널
35R, 35G, 35B : 서브픽셀
1: Input device
2: Cover layer
10: Touch panel
11: substrate
12: first electrode layer
12a: a first main electrode portion
12b:
13: Second electrode layer
13a: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14, 14A, 14B, 14C, 14D, 14E, 14F, 14G: insulating layer
14a, 14b:
15: bridge wiring layer
20: Display panel
35R, 35G, and 35B:

Claims (11)

직교하는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의 쌍방을 향하여 3 색의 서브픽셀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 패널의 표면에 설치되는 입력 장치로서,
투광성 기판의 동일 표면에, 투광성의 제 1 전극층과, 투광성의 제 2 전극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층이,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주전극부와, 제 1 주전극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 2 전극층이,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제 2 방향을 향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주전극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부를 덮는 투광성의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제 2 주전극부 사이를 도통시키는 브리지 배선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의 제 1 가장자리부가 제 2 방향에 대해 15 ∼ 30 도의 범위에서 기울어져 있고, 상기 브리지 배선층이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브리지 배선층이, 상기 절연층의 제 2 가장자리부를 가로질러 상기 절연층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주전극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 An input device provided on a surface of a display panel in which subpixels of three colors are regularly arranged in both first and second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 light-transmitting first electrode layer and a light-transmitting second electrode layer ar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ain electrode portion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has a plurality of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with the connecting portion therebetween,
A light-transmitting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bridge wiring layer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to conduct between the adjacent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s,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in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 first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s inclined in a range of 1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the bridge wiring layer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bridge wiring layer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layer across the second edg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electrode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서브픽셀을 갖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있고, 컬러 필터가, 상기 표시 패널의 내부 또는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color filter having the subpixel, and a color filter is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이 장방형이고, 그 장변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과 평행하게 향해져 있는,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pixel is rectangular and its long side is orient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제 1 가장자리부 (14a) 와 제 2 가장자리부 (14b) 가, 상기 서브픽셀의 장변을 가로지르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rst edge portion (14a) and a second edge portion (14b) of the insulating layer are formed obliquely to cross the long side of the subpix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의 장변이, 제 1 방향 (Y 방향) 과 평행하게 향해져 있는, 입력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ong side of the subpixel is orien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irection (Y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장자리부 (14b) 의 제 1 방향 (Y 축 방향) 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15 ∼ 30 도 사이인, 입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edge portion (14b)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between 15 and 30 degre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7022303A 2012-02-29 2012-04-12 Input device KR1016150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2794A JP5036913B1 (en) 2012-02-29 2012-02-29 Input device
JPJP-P-2012-042794 2012-02-29
PCT/JP2012/059964 WO2013128657A1 (en) 2012-02-29 2012-04-12 Inpu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890A Division KR101615077B1 (en) 2012-02-29 2012-04-12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346A KR20140115346A (en) 2014-09-30
KR101615056B1 true KR101615056B1 (en) 2016-04-22

Family

ID=470166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890A KR101615077B1 (en) 2012-02-29 2012-04-12 Input device
KR1020147022303A KR101615056B1 (en) 2012-02-29 2012-04-12 Input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890A KR101615077B1 (en) 2012-02-29 2012-04-12 Input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36913B1 (en)
KR (2) KR101615077B1 (en)
CN (2) CN204178350U (en)
TW (3) TWI502465B (en)
WO (1) WO201312865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2501B (en) 2012-09-27 2017-07-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Touch panel
JP6002047B2 (en) * 2013-01-11 2016-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nput device
KR200474148Y1 (en) * 2013-01-31 2014-08-25 제이 터치 코퍼레이션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CN103970378B (en) * 2013-01-31 2018-03-0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US9110528B2 (en) 2013-02-03 2015-08-18 J Touch Corporation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JP6338548B2 (en) 2015-01-29 2018-06-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npu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9979A1 (en) 2008-09-12 2010-03-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JP2010231533A (en) 2009-03-27 2010-10-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 and touch panel provided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0670A (en) * 2009-01-08 2010-07-22 Seiko Eps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touch panel,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0198615A (en) * 2009-02-20 2010-09-09 Acrosense Technology Co Ltd Capacitive touch panel
JP2011013725A (en) * 2009-06-30 2011-01-20 Seiko Epson Corp Touch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73333B1 (en) * 2009-08-27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474897B1 (en) * 2009-12-28 2014-12-19 쿄세라 코포레이션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TWI471790B (en) * 2010-02-03 2015-02-01 Wintek Corp Capacitive touch sensor and its fabrication method and capacitive touch panel
JP4954350B2 (en) * 2010-02-24 2012-06-13 京セラ株式会社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101100987B1 (en) * 2010-03-23 2011-12-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9979A1 (en) 2008-09-12 2010-03-18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JP2010231533A (en) 2009-03-27 2010-10-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 and touch panel provid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669A (en) 2015-05-26
JP5036913B1 (en) 2012-09-26
TWI502466B (en) 2015-10-01
CN204178350U (en) 2015-02-25
TW201535226A (en) 2015-09-16
WO2013128657A1 (en) 2013-09-06
TWI502465B (en) 2015-10-01
KR101615077B1 (en) 2016-04-22
TW201342177A (en) 2013-10-16
KR20140115346A (en) 2014-09-30
CN204390204U (en) 2015-06-10
JP2013178700A (en) 2013-09-09
TW201535227A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056B1 (en) Input device
KR20190101517A (en) Display device
KR20130017745A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CN102541355A (en) Touch control display panel
US20230333698A1 (en) Touchscreen
KR102296737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JP3183253U (en) Touch display device
KR102248884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9110528B2 (en)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US9223453B2 (en) In-cell touch display panel device with three-dimensionally configured sensing blocks
JP5784543B2 (en) Input device
JP6338548B2 (en) Input device
KR20190107250A (en) Display device
KR20140108781A (en) Touch screen panel
KR20140016624A (en) Touch screen device
KR200474148Y1 (en) Touch-sensitive display apparatus
KR101738254B1 (en) Input device
KR20150077826A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