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933B1 - Bicycle supporter - Google Patents

Bicycle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933B1
KR101614933B1 KR1020140099060A KR20140099060A KR101614933B1 KR 101614933 B1 KR101614933 B1 KR 101614933B1 KR 1020140099060 A KR1020140099060 A KR 1020140099060A KR 20140099060 A KR20140099060 A KR 20140099060A KR 101614933 B1 KR101614933 B1 KR 101614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bicycle
cradle
bicyc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5984A (en
Inventor
김민근
우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디엘
Priority to KR102014009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933B1/en
Publication of KR2016001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9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측에 상기 지면을 향하여 기울여진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측에 자전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형의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 단부가 받침대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받침대 및 지지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지지대의 양 단부를 받침대에 지지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대의 탄성 변형 시 안내면 및 수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자전거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 미는 힘만으로 자전거 바퀴를 자연스럽게 수용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supported on a ground and a guide surface coupled to the pedestal to form a guide surface tilted toward the ground on the upper side and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icycle wheel on the lower side,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base is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both ends are supported and fixed to the base by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support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support can be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elastically defo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connection and disassembly and to carry easily, an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space is not limited, The guide surface and the accommodating space are formed, so that the bicycle wheel can be naturally mov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only by the pushing force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to the bicycle.

Description

자전거 거치대{BICYCLE SUPPORTER}Bicycle stand {BICYCLE SUPPORTER}

본 발명은 휴대용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bicycle cradle.

최근에는 자전거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그 활용도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순히 일정 거리를 이동하기 위한 교통수단으로써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퍼포먼스, 여행, 산악 등과 같이 개인의 건강증진 및 여가를 즐기기 위하여 자전거를 이용하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bicycles have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s they have become a culture. As a result, users are not simply using bicycles as transportation means to travel at certain distances, but also using personal bicycles such as performance, It is a trend to use bicycles to enjoy health promotion and leisure.

상기와 같은 다목적 성을 가진 자전거는 종류가 다양함은 물론, 그 기능과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고가이고, 도난 방지 및 외부요인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에 보관된다. 즉, 사용자는 실내에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전용 거치대를 설치하여 자전거를 보관한다.The above-mentioned multi-purpose bicycles are variously manufactured, individu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are expensive, and are stored indoors to prevent theft and breakage due to external factors. In other words, the user can store the bicycle by installing a special stand that can mount the bicycle in the room.

여기서, 전용 거치대는 자전거의 거치 형태에 따라 수직형 또는 수평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Here, the special stand can be divided into a vertical type or a horizontal typ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icycle.

상세하게는, 수직형 거치대는 하부에 지지프레임이 구비되어 지면에 지지되어 고정되고, 상부에는 후크가 설치된 봉이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수직형 거치대는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면에 대고 앞바퀴를 들어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운 후, 앞바퀴에 봉에 설치된 후크를 걸어 자전거를 수직으로 고정하는 구조이다.Specifically, the vertical type hold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fram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ground, and a rod having a hook is vertically extended from the support fram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In other words, the vertical stand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wheel of the bicycle is placed on the ground, the front wheel is lifted upright, the bicycle is set vertically, and the front wheel is hooked on the hook to fix the bicycle vertically.

한편, 수평형 거치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봉이 지면과 천정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고, 봉에는 고리형의 후크가 설치되어 자전거의 프레임을 받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수평형 거치대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들어 올려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후크에 안착시켜 자전거가 지면에 놓였을 때와 동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전거를 수평으로 고정하는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rizontal type stand, at least one rod is fixed vertically between the ground and the ceiling, and the rod is provided with an annular hook to support the frame of the bicycle. That is, the horizontal stand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lifts the bicycle and seats it on the hook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thereby fixing the bicycle horizontally so as to maintain the same shape as when the bicycle is placed on the groun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는 자전거의 거치 시에 사용자가 뒷바퀴를 지면에 두고 앞바퀴를 공중으로 들어 올려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자전거 프레임을 일정 높이 이상 들어 올려 거치대에 안착시키는 구조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노약자, 어린이 및 여성이 자전거를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함은 물론, 거치 및 분리 시에 바퀴 또는 프레임이 결합된 후크에 간섭되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tand, when the user holds the bicycle, the user places the rear wheel on the ground, lifts the front wheel into the air to raise the bicycle vertically, or lifts the bicycle frame up to a certain height or more, The bicycle can not be mounted by the elderly person, the child and the woman, and the wheel or the frame may be interfered with the hook when the bicycle is mounted or separated.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상기와 같이 특정장소의 벽 또는 천정을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설치 및 해체가 복잡함은 물론, 휴대가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자전거를 보관하는데 있어서 위치 및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radle is installed in a completely fixed form using a wall or a ceiling of a specific place as described above, so that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re complicated, and portable cradle is not possibl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aints are generated.

공개특허공보 10-2009-0074137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74137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3-0003247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2013-000324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휴대가 가능하여 설치 공간이 한정적이지 않으며, 자전거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거나 세우기 위하여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자전거를 미는 것만으로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cycl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ounted, can be carried and is not limited in installation sp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cycle cradle capable of mounting bicycles by simply pushing the bicycle naturally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to the bicycle cradle.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측에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측에 자전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cycle cradle including a pedestal supported on a ground, a receiving surface coupled to the pedestal and having a guide surface on an upper side thereof, Lt; / RTI >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destal may include a body portion supported by the ground and a support portion bent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contacting the end portion of the pedestal to support the pedestal.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받침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pedestals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된 상기 자전거 바퀴가 적어도 상기 지면과 접촉이 가능한 거리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 distance at which the bicycle whee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can contact at least the ground.

상기 지지대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 가능한 판형의 소재이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 시, 길이방향의 양 단부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어 중심부가 상기 받침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호 형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supporting base is a plate-like material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base is coupled to the bas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base, so that the center can be resiliently deformed into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자전거 바퀴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ase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icycle wheel is inserted.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ngaging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edestal may be formed.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탄성 변형 시, 상기 중심부로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복수 개의 핀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inhole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o disperse the pressure concentrated at the center portion when the support is elastically deformed.

상기 받침대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may be formed into a multi-tubular structure capable of controlling the length through telescopic function.

상기 몸체부는 하부가 개방된 쉘(shell) 구조의 제1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having a shell structure with an open bottom and a second body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and slidabl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몸체에 접하는 이동제한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A movement restrict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to contact the second body through the first body.

복수 개로 구비된 상기 받침대 사이에는 상기 받침대를 서로 연결하고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edestals, the pedestal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length thereof being adjustable through a telescopic function.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외관을 이루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관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관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with a first tube which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econd tube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tub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tube throug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ube, And a second tu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의 폭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전거 바퀴의 이동 시, 상기 자전거 바퀴의 측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ase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reventing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b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side surface of the bicycle wheel when the bicycle wheel is moved.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형의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 단부가 받침대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받침대 및 지지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base is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both ends are supported and fixed to the base by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support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단순히 지지대의 양 단부를 받침대에 지지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대의 탄성 변형 시 안내면 및 수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자전거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 미는 힘만으로 자전거 바퀴를 자연스럽게 수용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support can be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elastically defo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connection and disassembly and to carry easily, an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space is not limited, The guide surface and the accommodating space are formed, so that the bicycle wheel can be naturally mov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only by the pushing force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to the bi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가 거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edestal of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ase of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bicycle on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8 viewed from a plan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cyc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to b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100)(이하 '자전거 거치대(100)'라 함)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0)를 포함한다.1 and 2, a bicycle crad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0 supported on the ground.

받침대(10)는 지면에 지지되고, 후술할 지지대(2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몸체부(11) 및 몸체부(11)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지지대(20)의 단부에 접하여 지지대(20)를 지지하는 지지부(13)로 구성될 수 있다.The pedestal 10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can be formed to support a pedestal 20 to be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the pedestal 10 includes a body 11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support portion 13 for supporting the support 20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support 20.

즉, 몸체부(11)는 일면이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판형의 부재이고, 지지부(13)는 몸체부(11)의 길이방향 측 양 단부로부터 일정 각도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돌출형의 부재일 수 있다.That is, the body portion 11 is a rod or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upported on one side thereof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support portion 13 is upwardly raised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 And may be a protruding member.

예시적으로, 지지부(13)는 절곡 시, 지지대(20)의 상면에 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support portion 1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20 at the time of bending.

이때, 받침대(10)는 지지대(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대(20)를 받침대(10)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destal 10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pedestal 20 and to completely fix the pedestal 20 to the pedestal 1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3)의 절곡된 부위에는 지지대(20)가 결합되는 결합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coupling groove 131 may be formed at a bent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3, to which the support 20 is coupled.

따라서, 받침대(10)의 몸체부(11)와 지지부(13) 사이에는 지지대(20)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결합 홈(131)이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지지대(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대(20)는 받침대(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받침대(1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n engaging groove 13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er 20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between the body portion 11 of the supporter 10 and the supporter 13 so that the end of the supporter 20 is inserted So that the support 20 can be maintained in a completely fixed state to the pedestal 10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pedestal 10.

또한, 본 자전거 거치대(100)의 받침대(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pedestals 10 of the bicycle cradle 100 may be provid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대(1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1 and 2, a plurality of pedestals 10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더 자세하게는, 받침대(10)는 복수 개로 구비되되, 지지대(20)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300)으로 수용된 자전거 바퀴(210)가 적어도 지면과 접촉이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edestal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destals, and the bicycle wheels 21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destal 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t least a distance allowing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즉, 복수 개로 구비된 본 자전거 거치대(100)의 받침대(10)는 적어도 거치될 자전거 바퀴(210)의 폭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자전거 바퀴(210)가 지면에 접한 후에는 선택적으로 배치 간격의 조정을 통하여 자전거 바퀴(210)의 양 측면에 접하거나, 자전거 바퀴(2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edestal 10 of the present bicycle cradle 100 provided at a plurality may be spaced apart by at leas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bicycle wheel 210 to be mounted. After the bicycle wheel 210 touches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contact both sides of the bicycle wheel 210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arrangement interval or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icycle wheel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본 자전거 거치대(100)의 받침대(1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edestal 10 of the bicycle cradle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of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자전거 거치대(100)의 받침대(10)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edestal 10 of the bicycle cradle 100 may be formed in a multi-pip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rough telescopic function.

더 자세하게는, 몸체부(11)는 하부가 개방된 쉘(shell) 구조의 제1 몸체(111), 그리고 제1 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몸체(111)의 내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몸체(11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1 includes a first body 111 having a shell structure with an open bottom, and a second body 111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111 and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And a second body 113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즉,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3)는 일면이 지면에 접한 상태로 지면에 지지되고, 제2 몸체(113)는 수용되는 자전거 바퀴(210)의 규격에 따라 제1 몸체(111)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전체 길이를 선택적으로 가변 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are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state wher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second body 113 is supported by the first body 111, the entire length can be selectively changed.

따라서, 본 자전거 거치대(100)의 받침대(10)는 자전거 바퀴(210)의 규격에 구애 받지 않고, 모든 자전거에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pedestal 10 of the bicycle cradle 100 can be applied to all the bicycles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 of the bicycle wheel 210.

이때, 몸체부(11)에는 길이 조절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제한수단(115)이 더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part 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movement restricting means 115 for restricting the length thereof.

도 5를 참조하면, 제1 몸체(111)의 외측에는 제1 몸체(111)를 관통하여 제2 몸체(113)에 접하는 이동제한수단(115)이 더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movement restricting means 115 penetrating the first body 111 and contacting the second body 113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111.

예시적으로, 이동제한수단(115)은 제1 몸체(111)에 나사결합 되고, 회전을 통하여 제2 몸체(113)에 접하여 제2 몸체(113)를 가압하거나, 제2 몸체(113)로부터 이격되어 제2 몸체(113)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movement restricting means 115 is screwed to the first body 111 and presses the second body 113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dy 113 through rotation, or moves the second body 113 from the second body 113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113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또한, 본 자전거 거치대(100)의 받침대(10)는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10 of the bicycle cradle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thereof.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로 구비된 받침대(10) 사이에는 각 받침대(10)를 서로 연결하고,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15)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 connecting member 15, which connects the respective pedestals 10 to each other and is adjustable in length through a telescopic functio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edestals 10.

더 자세하게는, 연결부재(15)는 다중관 구조로 형성되어, 외관을 이루는 제1 관(151) 및 제1 관(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관(151)의 내면을 따라 제1 관(1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관(15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5 is formed in a multi-tube structure and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tube 151 and the first tube 151 which form an outer appearance, And a second pipe 153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151.

이때, 받침대(10)에는 연결부재(15)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 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복수로 배치된 각각의 제1 몸체(111)의 내측에는 제1 관(151)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 홈(117)과 제 2관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 홈(11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destal 10 may have a coupling groove 117 to which the end of the coupling member 15 is couple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17, into which the ends of the first tube 151 are coupled, and a fastening groove 117, into which the ends of the second tube are coupled, are form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odies 111, Respectively.

즉, 제1 관(151) 및 제2 관(153)은 복수로 배치된 각각의 받침대(10)에 결합되어 각 받침대(10)를 서로 연결하고, 복수로 배치된 받침대(10) 사이로 수용되는 자전거 바퀴(210)의 규격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자전거 바퀴(210)의 규격에 구애 받지 않고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ipe 151 and the second pipe 153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edestals 10 arranged in a plurality, and connect the pedestals 10 to each other, The width of the bicycle wheel 210 can be adjusted without depending on the standard of the bicycle wheel 210 by slid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bicycle wheel 210.

한편, 본 자전거 거치대(100)는 상기한 받침대(10)와 함께 받침대(10)에 지지되어 내측으로 자전거 바퀴(210)를 수용하는 지지대(20)를 포함한다.The bicycle cradle 100 includes a pedestal 10 and a support 20 supported by the pedestal 10 and receiving the bicycle wheel 210 inwar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20)는 받침대(10)에 결합되어 상측에 지면(G)을 향하여 기울여진 안내면(21)을 형성하고, 하측에 자전거 바퀴(2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300)을 형성한다.2 and 3, the support base 20 is coupled to the pedestal 10 to form a guide surface 21 tilted toward the ground G on the upper side and to receive the bicycle wheel 210 on the lower side Thereby forming a receiving space 300 having an opening.

더 자세하게는, 지지대(20)는 받침대(10)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삽입 가능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소재로 형성되어, 받침대(10)에 결합 시 길이방향의 양 단부가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중심부가 받침대(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호 형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base 20 is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1 formed in the pedestal 10 so th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pedestal 10 is engaged with the pedestal 10 so that the center portion can be resiliently deformed into an arc shap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edestal 10.

따라서, 지지대(20)의 상측에는 호 형상의 안내면(21)이 형성되고, 지지대(20)의 하측에는 자전거 바퀴(210)의 일부가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300)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surface 2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ase 20 and a receiving space 30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se 20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bicycle wheel 210.

한편, 지지대(20)에는 자전거 바퀴(210)가 삽입되는 삽입 홈(2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base 2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23 into which the bicycle wheel 210 is insert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20)의 내측에는 안내면(21)을 타고 이동된 자전거 바퀴(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삽입 홈(23)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3, an insertion groove 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20 so that the bicycle wheel 210 can be inserted through the guide surface 21 .

예시적으로, 삽입 홈(23)은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측에 대칭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며, 16 내지 29 인치 이내의 직경을 가진 자전거 바퀴(210)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insertion groove 23 is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upport 20, and all of the bicycle wheels 210 having diameters within 16 to 29 inches can be applied As shown in FIG.

또한, 지지대(20)의 단부에는 걸림 홈(2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ngagement groove 25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base 20.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받침대(10)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걸림 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 홈(25)은 지지대(20)와 결합되는 받침대(10)의 배치간격 조정을 위하여 지지대(2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table 20, a latch groove 25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edestal 10 may be formed. Here, the latching grooves 25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20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pedestals 10 to be coupled with the pedestals 20.

따라서, 지지대(20)와 받침대(10)의 결합 시, 지지대(20)에 형성된 걸림 홈(25)이 받침대(10)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끼워지게 되어, 지지대(20)를 받침대(10)에 완전히 고정 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groove 25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0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131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0 whe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pedestal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10).

또한, 지지대(20)는 탄성 변형 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se 2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dispersing the pressure during elastic deformation.

도 1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지지대(20)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핀 홀(27)이 형성되어 지지대(20)의 탄성 변형 시, 중심부로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e enlarged portion of FIG. 1, a plurality of pin holes 27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20 to distribute the pressure concentrated at the central portion when the support 20 is elastically deformed.

이와 함께, 지지대(20)는 자전거 바퀴(210)가 안정적으로 지지대(20)에 형성된 삽입 홈(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자전거 바퀴(210)의 이동 시, 자전거 바퀴(21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edestal 20 can support the bicycle wheel 210 when the bicycle wheel 210 is moved so that the bicycle wheel 210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 formed in the support 20 As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base of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20)에는 지지대(20)의 폭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자전거 바퀴(210)의 이동 시, 외측에서 이동 중인 자전거 바퀴(2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6, when the bicycle wheel 210 is moved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support base 20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support base 20, the support 20 supports the side of the bicycle wheel 210, A further prevention member 29 may be for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100)의 결합과정 및 자전거의 거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icycle crad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icycle will be described.

참고로, 자전거 거치대(100)의 결합과정 및 자전거의 거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자전거 거치대(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used for describing the bicycle cradle 100 will be us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icycle cradle 100 and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icycle, Is omitted.

먼저, 자전거 거치대(100)의 결합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icycle cradle 10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100)의 결합과정은 먼저, 복수 개의 받침대(10)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시켜 지면에 배치하고, 지면에 배치된 받침대(10)의 일 측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 홈(25)을 끼워 결합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icycle crad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pedestals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edestal 10, And the engaging groove 25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s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31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base 20.

일 측에서 받침대(10)의 결합 홈(131)과 지지대(20)의 걸림 홈(25)이 결합되면, 타 측에서 일 측이 받침대(10)에 고정된 지지대(20)를 가압하여, 지지대(20)를 중심부가 받침대(10)로부터 이격된 호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킨 후, 받침대(10)의 타 측에 형성된 결합 홈(131)에 지지대(20)의 길이방향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 홈(25)을 끼워 결합하여 지지대(20)의 하측에 수용 공간(300)을 형성한다.When the engaging groove 131 of the pedestal 10 and the engaging groove 25 of the pedestal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one side, one side presses the pedestal 20 fixed to the pedestal 10, (20) is elastically deformed into an arc shape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10) and then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31)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10) And the groove 25 is engaged with the support 25 to form a receiving space 300 below the support 20.

다음으로, 자전거의 거치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mounting the bicycle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가 거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bicycle on a bicycl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icycle is viewed from a plan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본 자전거 거치대(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자전거가 본 자전거 거치대(100) 측으로 이동(도 8 및 도 9의 (a))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user moves the bicycl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bicycle cradl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bicycle cradle 100 (FIGS. 8 and 9 (a)).

전방으로 이동 중인 자전거는 양 단부가 지면(G)을 향하여 기울여진 호 형상의 안내면(21)에 접하게 되고(도 8 및 도 9의 (b)), 안내면(21)에 접한 자전거는 자전거 바퀴(210)의 중심이 지지대(20)에 형성된 삽입 홈(23)의 중심과 일치되는 지점까지 안내면(21)을 따라 이동(도 8 및 도 9의 (c))된다.8 and 9 (b)), the bicycl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2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21 of the bicycle wheel 210 (FIG. 8 and FIG. 9 (c)) to the point where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231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23 formed in the support 20.

안내면(21) 상의 미리 설정된 지점까지 이동이 완료된 자전거는 사용자에 의해 지지대(20)의 중심 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자전거 바퀴(210)가 삽입 홈(23)을 통해 지지대(20)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300)으로 삽입되어 지면(G)에 지지(도 8 및 도 9의 (d))된다.The bicycle which has been mov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guide surface 21 is moved to the center side of the support 20 by the user so that the bicycle wheel 21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20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23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300 to be supported on the paper surface G (Figs. 8 and 9 (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20)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형의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 단부가 받침대(1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받침대(10) 및 지지대(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base 20 is formed of a plate-like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deformed, the both ends are supported and fixed to the pedestal 10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e pedestal 10 and the support 2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out a member.

또한, 단순히 지지대(20)의 양 단부를 받침대(10)에 지지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대(20)의 탄성 변형 시 안내면(21) 및 수용 공간(300)이 형성됨으로써, 자전거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 미는 힘만으로 자전거 바퀴(210)를 자연스럽게 수용 공간(30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support base 20 are simply supported by the pedestal 10 and elastically defo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and to carry it easily, The guide surface 21 and the accommodation space 300 are formed when the support base 2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bicycle wheel 210 can be smoothly mov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300 with only a pushing force without applying a great force to the bicycle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자전거 거치대
10. 받침대
11. 몸체부
111. 제1 몸체 113. 제2 몸체
115. 이동제한수단 117. 체결 홈
13. 지지부
131. 결합 홈
15. 연결부재
151. 제1 관 153. 제2 관
20. 지지대
21. 안내면 23. 삽입 홈
25. 걸림 홈 27. 핀 홀
29. 이탈방지부재
200. 자전거
210. 자전거 바퀴
300. 수용 공간
G. 지면
100. Bicycle Cradle
10. Pedestal
11. Body part
111. First body 113. Second body
115. Movement restricting means 117. Fastening groove
13. Support
131. Coupling groove
15. Connecting member
151. 1st Section 153. 2nd Section
20. Support
21. Guide face 23. Insert groove
25. Retaining groove 27. Pin hole
29.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00. Bicycles
210. Bicycle Wheels
300. Capacity space
G. Ground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측에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측에 자전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전거 거치대.
A pedestal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surface coupled to the pedestal to form a guide surface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support space for accommodating a bicycle wheel on a lower side thereof,
/ RTI >
The pedestal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The bent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 engaging groove to which the supporter is coupled is formed,
The pedestal
A bicycle cradle comprising a plurality of bicycles and spaced apart by a preset distan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수용된 상기 자전거 바퀴가 적어도 상기 지면과 접촉이 가능한 거리인 자전거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et distance
Wherein the bicycle wheel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at least a distance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측에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측에 자전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부위에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결합 홈에 삽입 가능한 판형의 소재이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 시,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어 중심부가 상기 받침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호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는 자전거 거치대.
A pedestal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surface coupled to the pedestal to form a guide surface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support space for accommodating a bicycle wheel on a lower side thereof,
/ RTI >
The pedestal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The bent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 engaging groove to which the supporter is coupled is formed,
The support
The bicycle cradle is a plate-like material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cradle is coupled to the cradle,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upported by the cradle, and the central portion is resiliently deformed into an arc shap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rad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자전거 바퀴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자전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Wherein the bicycle cast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bicycle wheel is inser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는
상기 받침대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자전거 거치대.
8. The method of claim 7,
At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se
And a latching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edestal is form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탄성 변형 시, 상기 중심부로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복수 개의 핀 홀이 형성되는 자전거 거치대.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cent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pinholes are formed to disperse the pressure concentrated at the center portion when the support is elastically deformed.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측에 안내면을 형성하고, 하측에 자전거 바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자전거 거치대.
A pedestal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surface coupled to the pedestal to form a guide surface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support space for accommodating a bicycle wheel on a lower side thereof,
/ RTI >
The pedestal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bent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The pedestal
A bike holder with a multi-tube structure with adjustable length through telescopic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하부가 개방된 쉘(shell) 구조의 제1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자전거 거치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ody
A first body of a shell structure having an open bottom, and
And a second body disposed inside the first body and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외측에는
상기 제1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몸체에 접하는 이동제한수단이 더 설치되는 자전거 거치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ody
And a movement restricting means that penetrates the first body and contacts the second body is further provided.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로 구비된 상기 받침대 사이에는
상기 받침대를 서로 연결하고 텔레스코픽 기능을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자전거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Between the pedestals
And a connec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through the telescopic function by connecting the pedestal to each oth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외관을 이루는 제1 관 및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관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관을 포함하는 자전거 거치대.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edestal
A coupling groove in which an end of the coupling member is engaged is formed,
The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and slidabl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의 폭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자전거 바퀴의 이동 시, 상기 자전거 바퀴의 측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형성되는 자전거 거치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And a release preventing member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ase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icycle wheel when the bicycle wheel is moved.
KR1020140099060A 2014-08-01 2014-08-01 Bicycle supporter KR101614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060A KR101614933B1 (en) 2014-08-01 2014-08-01 Bicycle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060A KR101614933B1 (en) 2014-08-01 2014-08-01 Bicycle suppor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984A KR20160015984A (en) 2016-02-15
KR101614933B1 true KR101614933B1 (en) 2016-04-22

Family

ID=5535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060A KR101614933B1 (en) 2014-08-01 2014-08-01 Bicycle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9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537A1 (en) * 2020-10-06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means
JP2023098172A (en) * 2021-12-28 2023-07-10 T-Plan株式会社 park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664Y1 (en) 2006-02-09 2006-04-21 주식회사 태성스틸이엔씨 A van front surface attach bicycle amass b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664Y1 (en) 2006-02-09 2006-04-21 주식회사 태성스틸이엔씨 A van front surface attach bicycle amass 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537A1 (en) * 2020-10-06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ging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means
JP2023098172A (en) * 2021-12-28 2023-07-10 T-Plan株式会社 parking device
JP7420332B2 (en) 2021-12-28 2024-01-23 T-Plan株式会社 par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984A (en)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962A (en) Easily-combinable and movable speaker case
US6282297B1 (en) Angle adjustment structure for speaker system
KR101614933B1 (en) Bicycle supporter
CN103016928B (en) Can be used as device and the television set of hanger and base
KR101424153B1 (en) Rail of the Mobile Rack and Rail Set Using the Same
USD553791S1 (en) Lampshade
KR20100053039A (en) Bike carrier attached wall
US6352234B1 (en) Baby walker positioning foot member
CN202281016U (en) Mounting bracket for television
KR200432809Y1 (en) Height regulater of desk
JP3139279U (en) Storage case
KR200465305Y1 (en) Hanger
CN210016504U (en) Mobile phone support with sound box
US20120091296A1 (en) Adjustable Supporting Apparatus of Object Holder
KR200493221Y1 (en) Sliding rack including supporter of angle adjustable
JP2018152689A (en) Television set and height-adjusting stand
JP3790836B2 (en) Support device
KR20220103419A (en) picture frame stand
KR20170047600A (en) Coner shelf
JP2017079979A (en) Suspension structure of storage box
CN107204508B (en) Flat-plate antenna support
JP3194620U (en) Fan stand
CN213786700U (en) Adjustable shoe airing rack
US20070234936A1 (en) Appliance stand with subsidiary member
CN211288195U (en) Base of floor fan and floor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