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269B1 -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 Google Patents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269B1
KR101614269B1 KR1020140008676A KR20140008676A KR101614269B1 KR 101614269 B1 KR101614269 B1 KR 101614269B1 KR 1020140008676 A KR1020140008676 A KR 1020140008676A KR 20140008676 A KR20140008676 A KR 20140008676A KR 101614269 B1 KR101614269 B1 KR 10161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vity
pipe
independently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6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8405A (en
Inventor
박재하
Original Assignee
박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하 filed Critical 박재하
Priority to KR102014000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269B1/en
Publication of KR2015008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다층식 공동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층식 공동묘는, 내부에 다수의 시신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시신 안치부가 형성되고 전면이 미닫이식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공동묘 구조물; 상기 시신 안치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시신이 입관된 후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관; 및 상기 관에 입관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상기 공동묘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수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시신이 입관된 다수의 관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공동묘 구조물이 마련되고, 공동묘 구조물에 안치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배수시설을 통해 지중으로 자연 배수함으로써,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한 장소에 모실 수 있어 묘지 조성으로 인한 산림 훼손을 줄일 수 있고, 묘지 관리에 따른 가족 간의 갈등이나 수고를 해소하여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 multi-layer coextrusion is disclosed. The multi-layered co-seedl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ollow seedling structure having a body part capable of stacking a plurality of bodies independently and stacked therein, and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door; A tube accommodated in the body cavity and sealed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drainage facility provided to discharge water generated during the crushing process of the body introduced into the tube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seedling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llow seedling structure capable of independently stacking a plurality of pipes into which a body has been inserted, and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spinning process of the body placed in the hollow seedling structure is introduced into the soil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of the forest due to the graveyard construction and to eliminate the conflict and the trouble of the family due to the management of the graveyard. Time and economic losses can be remarkably reduced.

Description

다층식 공동묘{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Quot;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

본 발명은 다층식 공동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 또는 지중에 관을 적층할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하여 적은 면적에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안치할 수 있는 다층식 공동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co-embryo,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ed co-embryo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acking tubes on the ground or in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coffin.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례문화의 추세에 의하면, 장례방법은 크게 봉분식 매장제도와 납골식 화장제도로 대별할 수 있다.Generally,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funeral culture in Korea, funeral methods can roughly be classified into a bar - type store system and an elliptical make - up system.

봉분식 매장제도는 시신을 목재나 석재로 이루어진 관속에 입관하여 지중에 매장하고, 지상에 봉분을 형성하는 방법인데, 현재 한국사회의 경우 관습에 따라 대부분이 봉분식 매장제도를 장례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Korean society, most of the Korean society adopts the bar-type store system as a funeral method. have.

하지만, 이러한 봉분식 매장제도는 해마다 벌초를 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묘지조성에 비용도 많이 소요되며, 통상 묘지 하나당 망자 1인이 안치됨에도 불구하고 지름이 3m 내외로 차지하여 면적을 많이 차지하면서도 날로 늘어나는 묘지로 인해 국토의 침식을 초래하고, 관리가 되지 못하는 분묘의 경우 흉물로 남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se bar-type store systems require a lot of manpower and time for yearly sowing and cost a lot of money to build a cemetery. Even though one dead person is ordinarily placed at each cemetery, its diameter is about 3m, There is a problem that remains in the case of the grave that causes the erosion of the land due to the graveyard that is growing up to a large number, but can not be managed.

또한, 봉분식 매장제도는 지중에 매장된 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환경에 의해 시신이 온전한 상태로 육탈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cked store system does not break down the whole body due to various environments occurring in the pipe buried in the ground.

즉, 물이 차는 수렴, 시신이 녹아 없어지는 화렴, 풀뿌리나 나무뿌리가 시신을 감싸는 목렴, 뱀, 쥐, 개미, 지렁이 등이 관내에 서식하는 충렴, 바람이 들어 시신이 어지럽혀지는 풍렴, 시신이 얼어 육탈이 안 되는 빙렴 및 멧돼지, 오소리, 너구리 등의 산짐승에 의한 묘지 훼손으로 인하여 시신이 온전한 상태로 육탈되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nvergence of water, the melting of the body melts, the grassroots, the tree roots wrapped around the body, snakes, rats, ants, earthworms inhabited in the hall, inhabited wind, There is a danger that the body will not be completely destroyed due to the frozen bingo and the destruction of graves due to wild animals such as wild boar, badger and raccoon.

한편, 납골식 화장제도는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분만상태의 가루로 형성한 후 강물, 바다, 산 등에 뿌리거나 또는 유골의 가루를 납골단지에 담아 납골당 등의 납골시설에 보관하는 방법인데, 상기의 봉분식 매장제도의 문제를 인식하여 최근에는 국가차원에서 장려하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the urn style make-up system is a method of cremating the body, forming the ashes into powder in the state of delivery, sprinkling it on the river, sea, mountain, or storing the powder of the ashes in the urn- Recognizing the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bar-type store system, it has recently been promoted at the national level.

하지만, 유골의 가루를 뿌리거나 납골단지를 납골당 등의 납골시설에 보관하는 방법은 전통 미풍양속의 조상에 대한 효사상으로 묘지가 인간에게 주고 있는 정신적 사회문화적 가치 측면에서 그대로 따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spraying ashes or storing the udo complexes in the crypts of the crypts is difficult to follow in terms of the spiritual, socio - cultural values that the cemetery gives to human beings due to the influence on the ancestors of the traditional breeze.

또한, 상기와 같은 납골식 화장제도의 전통 미풍양속과 관련된 문제점을 인식하여, 납골단지를 지중에 안치하고 지상에 봉분을 형성하는 납골묘의 형태도 등록실용신안 제0392040호(고안의 명칭: 매장형납골묘구조)에서 제안된 바 있으나, 시신을 화장한다는 행위 자체가 역시 전통 미풍양속에 반하는 측면에 있으며, 이 역시 묘에 봉분을 형성하고, 납골묘 주변의 묘지터 역시 잔디를 심어 해마다 벌초를 해야하는 등 관리상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In addition, recogniz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nventional mooring of the omnidirectional make-up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omnipotent bone forming the omnipotent complex in the ground and forming the burr on the ground is also disclos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392040 It is suggested that the practice of cremation of the body itself is also in the opposite side to the traditional breeze, and this also forms a burr in the tomb, and the burial mound around the crypt is also planted with lawns, The problem still remains.

이처럼, 현재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묘지 문제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며, 그것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경제적 측면의 논리와 전통 미풍양속의 조상에 대한 효사상으로 묘지가 인간에게 주고 있는 정신적 사회문화적 가치라는 측면의 논리가 상호 대립하면서 정부의 장묘정책과 사회 각 개인은 딜레마에 빠져 합리적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할 것이다.The graveyard problem in Korean society is now a social issue, and it is based on the logic of the economical aspect of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and, As the logic of value is confronted with each other, it is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adhere to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to fall into a dilemma.

이에, 지상 또는 지중에 관을 적층할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하여 기존의 봉분식 매장제도와 납골식 화장제도가 가지고 있는 각각의 장점은 취하면서도 적은 면적에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안치할 수 있는 묘지 시설에 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us, it is possible to build a structure that can lay the pipes on the ground or in the ground, so that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bar-type store system and the elliptical make-up system can be achieved without making cremation of a large number of families or ancestral bodies Research and development on graveyard facilities that can be placed in a natural state are requir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2040호(등록일자: 2005년 07월 29일)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92040 (Registered Date: July 29, 200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상 또는 지중에 관을 적층할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하여 적은 면적에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안치할 수 있는 다층식 공동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co-seedlings capable of laying in a natural state without forming a large number of families or ancestral bodies on a small area by forming a structure capable of stacking tubes on the ground or in the ground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다수의 시신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시신 안치부가 형성되고 전면이 미닫이식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공동묘 구조물; 상기 시신 안치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시신이 입관된 후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관; 및 상기 관에 입관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상기 공동묘 구조물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수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공동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llow seedling structure comprising: a cornice seedling structure having a cornucopia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cores are independently stacked and placed inside and a front face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door; A tube accommodated in the body cavity and sealed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drainage facility provided to drain the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crushing the body introduced into the tube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structure.

상기 시신 안치부는, 상기 시신이 입관된 관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상호 구획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시신 안치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cavity includes a plurality of body cavity chambers that are divided in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chambers so that the tubes can be stacked independently.

상기 관은, 상기 시신의 입관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관 본체; 상기 시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관 본체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표면에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관 본체의 바닥으로 배수되도록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관 본체에 입관된 시신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머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ube comprises: a tube body provided to form an inlet space for the body; A plurality of piercing holes which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ube body so as to support the body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 plat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nd a hair fix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dapted to fix a head of a body introduced into the tube main body.

상기 관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시신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시설은, 상기 배수공과 지중을 연결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drainage hole for draining water generated from the body to the outsid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ipe body, and the drainage pipe is formed as a drainage pipe for connecting the drainage hole and the ground.

상기 시신 안치실은, 상기 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되, 상기 관이 수용되어 밀폐된 후 관이 수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시신의 영정 사진이나 기념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시신 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anchoring chamber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ube and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capable of storing a photograph of a body or a monument in a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area in which the tube is accommodated after the tube is received and sealed, .

상기 공동묘 구조물은, 석재, 금속, 방부목 및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vity graft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one, metal, anticorrosive and artificial marble.

상기 관은, 금속, 석재, 인조대리석, 오닉스(Onyx), 에프알피(FRP) 및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al, stone, artificial marble, Onyx, FRP and urethane.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 또는 지중의 적은 면적에 시신이 입관된 다수의 관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공동묘 구조물을 갖는 다층식 공동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한 장소에 모실 수 있어 묘지 조성으로 인한 산림 훼손을 줄일 수 있고, 묘지 관리에 따른 가족 간의 갈등이나 수고를 해소하여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layer co-seedlings having a cavity structure capable of independently stacking and capturing a plurality of tubes having a body on a small area of ground or underground,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to forests due to the graveyard construction and reduce the time and economic losses by eliminating the family conflicts and troubles due to the graveyard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식 공동묘의 전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공동묘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공동묘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공동묘에 수용되는 관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multi-layered co-embry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multi-layered co-embryo shown in Fig.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multi-layer co-embryo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view of a tube received in the multi-layered co-embryo shown in Figure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ube shown in FIG. 4;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식 공동묘의 전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공동묘의 후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공동묘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층식 공동묘에 수용되는 관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multi-layered cavity seed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the multi-layered cavity seedling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view showing a tube accommodated in the multi-layered cavity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tub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식 공동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시신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동묘 구조물(10)과, 시신이 입관되어 밀폐된 후 공동묘 구조물(10)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관(20)과, 그리고 관(20)에 입관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공동묘 구조물(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수시설(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ulti-layered co-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vity structure 10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bodies can be stacked and laid independently, And the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body introduced into the tube 20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structure 10. [ And a drainage facility (30) provided for the user.

공동묘 구조물(10)은 다수의 가족이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안치할 수 있도록 지상 또는 지중에 형성되며 전면이 가족이나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미닫이식 도어(11)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즉, 공동묘 구조물(10)은 내부에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모실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공동묘 구조물(10)은 석재, 금속, 방부목 및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공동묘 구조물(10)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으로 부식과 변형이 반영구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joint seedlings structure 10 is formed on the ground or in the ground so that a plurality of families or bodies can be laid in a natural state without being cremated, and is opened / closed by a sliding door 11 so that a front face can be accessed by a family member or a user. . That is, the cavity structur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amilies or ancestral bodies can be contained therein. At this time, the cavity structure 10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one, metal, anticorrosion and artificial marble. In addition, the cavity structure 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permanently prevented from corrosion and deformation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여기서 공동묘 구조물(10)은 가족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통상의 건축 구조물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시대에 맞는 구조물로 형성되거나 혹은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구조물로 형성되거나 혹은 집안을 상징할 수 있는 고유한 전통으로 디자인되는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avity structure 10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similar to an ordinary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taste of a family member or a user, or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suitable for an age, or as a structure capable of 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t can be formed as a structure that is designed as a unique tradition that can be made.

도어(11)는 사용자 및 출입이 허용된 가족을 제외한 타인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door (11)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so as to restrict the entry of the user and others, except the family permitted to enter and exit.

공동묘 구조물(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시신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시신 안치실(14)을 갖는 시신 안치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시신 안치부(12)는 시신 안치실(14)에 의해 시신이 입관된 관(20)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시신 안치실(14)은 시신이 입관된 관(20)을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다. 이때, 시신 안치실(14)은 시신이 입관된 다수의 관(20)을 독립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시신 안치부(12)의 전면에 상하좌우로 상호 구획되어 마련된다.In the cavity seedling structure 10, a body cavity portion 12 having a body cavity 14 is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bodies can be stacked independently. The body-receiving portion 1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introduced tube 20 can be stacked independently by the body-receiving chamber 14. The body compartment 14 is a space provided so that the body 20 can be independently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body navel room 14 is divided in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par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12 so as to independently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tubes 20 into which the body is introduced.

여기서 시신 안치부(12)에 마련된 시신 안치실(14)의 개수는 공동묘 구조물(10)의 크기 혹은 안치될 시신의 수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 corpus cushions 14 provided in the body part 12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vity structure 10 or the number of cadavers to be cared.

또한, 시신 안치실(14)은 관(20)이 수용되어 밀폐된 후 관(20)이 수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시신 정보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즉, 시신 안치실(14)은 관(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에 시신이 입관된 관(20)이 수용되어 밀폐된 후 관(20)이 수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시신 안치실(14)의 전면 영역에 시신 정보부(16)를 형성한다. 이러한 시신 정보부(16)는 시신을 기억할 수 있는 공간, 예를 들어서 영정 사진이나, 기타 각종 기념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body cradle 14 is provided with a body information section 16 in a region other than a region in which the tube 20 is accommodated after the tube 20 is received and sealed. That is, the body cushion 14 is formed longer than the tube 20, and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cushion 20 is received after the tube 20 is received and sealed, that is, the body cushion 14 The body information part 16 is formed in the front area of the body part. The body information section 16 provides a space in which a body can be stored, for example, a photograph of a monster or other various memorials.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신 안치실(14)의 개방된 전면은 시신 정보부(16)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관(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신이 입관된 후 밀폐되도록 마련되며,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는 관 본체(22)와, 지지 플레이트(24)와, 그리고 머리 고정부(26)를 포함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body cradle 14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into the cognition information section 16. [
4 and 5, the tube 20 is configured to be hermetically sealed after the body is inserted, and includes a tube main body 22 forming a main frame, a support plate 24, 26).

삭제delete

관 본체(22)는 시신이 입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관 본체(22)는 시신이 입관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인조 또는 천연대리석 등의 석재, 오닉스(Onyx), 에프알피(FRP) 및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될 수 있다.The tube main body 22 is provided so as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body can be inserted. That is, the tube main body 22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so as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body can be inserted, and is composed of a stone such as metal, artificial or natural marble, Onyx, FRP and urethane Or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관 본체(22)의 상부에는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2A)가 마련되고, 관 본체(22)의 내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22B)이 마련되어 있다.
도어(22A)는 관 본체(22)에 시신을 입관 시 개방되며 시신의 입관 후에는 밀폐된다.
또한, 지지프레임(22B)은 관 본체(22)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24)를 관 본체(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A lid 22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body 22 to be rotatable by a hinge. A lattice-shaped support frame 22B is formed inside the tube body 22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Respectively.
The door 22A is opened when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tube main body 22 and is sealed after the entrance of the body.
The support frame 22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late 24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e body 22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e body 22 by a predetermined height.

이러한 관 본체(22)는 시신이 입관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시신 안치부(12)에 마련된 시신 안치실(14)에 수용되게 된다.The tube main body 22 is accommodated in a body cavity 14 provided in the body cavity 12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closed and sealed.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신 안치실(14)에는 관 본체(22)를 서랍식 형태로 밀어서 수용하기 위하여 그 바닥면의 양측에 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관 본체(22)에는 레일을 따라 구름 회전하는 롤러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관 본체(22)를 시신 안치실(14)에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ody armchamber 14 is provided with rails on both sides of its bottom surface in order to push and receive the tube body 22 in the form of a drawer, Roller rolling rollers are installed. Thus, the tube main body 22 can be smoothly received in the body cushion 14.

관 본체(22)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배수공(23)은 관 본체(22)의 바닥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배수시설(30)과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공(23)은 시신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배수시설(30)로 배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관 본체(22)의 바닥면은 시신에서 발생하는 수분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공(2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drain hole 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ipe body 22. That is, the drain hole 2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pipe main body 22 and connected to the drainage facility 30. The drain hole 23 plays a role of discharging water generated in the body to the drainage facility 30.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e main body 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23 for smooth drainage of water generated in the body.

지지 플레이트(24)는 관 본체(22)의 내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22B)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24)는 관 본체(22)에 입관된 시신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22B)에 의해 관 본체(22)의 바닥면과 일정높이로 이격 배치되도록 관 본체(22)에 결합된다.The support plate 24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2B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ipe body 22. That is, the support plate 24 is coupled to the tube main body 2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e main body 22 by a support frame 22B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support the body that has entered the tube main body 22 do.

여기서 본 실시예의 지지 플레이트(24)는 관 본체(22)의 바닥 전체영역에 마련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 플레이트(24)는 관 본체(22)의 바닥 중앙영역을 제외한 테두리 일정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Here, the support plate 24 of this embodiment is shown to be provided in the entire bottom area of the tube main body 22, bu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ame.

지지 플레이트(24)의 표면에는 다수의 타공(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타공(25)은 지지 플레이트(24)의 표면에 상하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관 본체(22)의 바닥면으로 배수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타공(25)을 통해 관 본체(22)의 바닥으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며, 관 본체(22)의 바닥면으로 배수된 수분은 배수공(23)을 배수시설(30)로 배수되게 된다.A plurality of perforations (2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4). The perforations 2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4 so as to penetr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body can be dra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body 22. The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body can be smoothly drained to the bottom of the tube main body 22 through the bore 25 and the water dra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e main body 22 is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23 ) To the drainage facility (30).

머리 고정부(26)는 관 본체(22)에 입관된 시신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머리 고정부(26)는 지지 플레이트(24)의 표면 일측에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24)에 누운 상태로 관 본체(22)에 입관된 시신의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머리 고정부(26)는 시신의 머리와 목 부분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head fixing portion 26 is provided to fix the head of the body which is inserted into the tube main body 22. For this purpose, the head fixing part 26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4 so that the head of the body, which is inserted into the tube body 22 in a lying state on the support plate 24, is prevented from moving. At this time, the head fixing part 26 is formed to support and fix the head and neck parts of the body.

배수시설(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20)에 입관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공동묘 구조물(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배수시설(30)은 관 본체(22)에 형성된 배수공(23)과 지중을 연결하는 배수파이프(32)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관(20)의 입관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배수파이프(32)를 통해 지중으로 자연스럽게 배수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rainage facility 30 is provided so as to drain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body introduced into the pipe 20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structure 10. To this end, the drainage facility 30 is formed of a drainage pipe 23 formed in the pipe body 22 and a drainage pipe 32 connecting the ground. Accordingly,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body of the pipe 20 can be discharged to the ground naturally through the drain pipe 3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식 공동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시신이 입관된 다수의 관(20)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공동묘 구조물(10)이 마련되고, 공동묘 구조물(10)에 안치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배수시설(30)을 통해 지중으로 자연 배수함으로써, 다수의 가족이나 조상의 시신을 화장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한 장소에 모실 수 있어 묘지 조성으로 인한 산림 훼손을 줄일 수 있고, 묘지 관리에 따른 가족 간의 갈등이나 수고를 해소하여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layered co-embos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vity structure 10 having the plurality of tubes 20 therein, And the wat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body placed in the joint structure (10) is drained to the ground through the drainage facility (30), so that the body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of forests due to the graveyard construction and solve the conflicts and troubles between the families due to the graveyard management,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time and economic loss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식 공동묘는, 지상 또는 지중의 적은 면적에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형성 가능함으로써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Further, the multi-layered co-embo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on a small area of the ground or the ground, so that it can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공동묘 구조물 12: 시신 안치부
14: 시신 안치실 16: 시신 정보부
20: 관 22: 관 본체
24: 지지 플레이트 26: 머리 고정부
30: 배수시설
10: Common grave structure 12:
14: The corpse's office 16: The corpse's office
20: tube 22: tube body
24: support plate 26:
30: Drainage facilities

Claims (7)

내부에 다수의 시신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는 시신 안치부가 형성되고 전면이 미닫이식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공동묘 구조물과, 상기 시신 안치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시신이 입관된 후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관과, 상기 관에 입관된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상기 공동묘 구조물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수시설을 포함하는 다층식 공동묘로서,
상기 시신 안치부는 상기 시신이 입관된 관을 독립적으로 적층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상호 구획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시신 안치실을 포함하되, 상기 시신 안치실은 상기 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관이 수용되어 밀폐된 후 관이 수용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시신의 영정 사진이나 기념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시신 정보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은 상기 시신의 입관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관 본체와, 상기 관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되도록 관 본체에 형성되는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시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며 표면에 시신의 육탈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관 본체의 바닥면으로 배수되도록 다수의 타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관 본체에 입관된 시신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머리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 고정부는,
시신의 머리와 목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부가 개방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에 시신의 목이 안착될 수 있는 반구 형상의 목 안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머리가 안착된 후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는 머리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공동묘.
A cornucopia structure in which a corpse part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corpuscles can be independently stacked and placed inside and a front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door; And a drainage facility provided to drain the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e body introduced into the pipe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structure,
The body cavity includes a plurality of body anchoring chambers divided into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so that the body can be stacked independently, and the body anchoring chamber is longer than the tube, A body information part provided to form a space for storing a photograph of a body or a memorial of a body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in which the tube is accommodated after being accommodated and sealed,
Wherein the tube comprises a tube body provided to form an inlet space for the body, a lattice-shaped support frame formed on the tub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e body by a predetermined height, A support plate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has a plurality of pores formed therein so that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body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body; And a head fixing portion provided to fix the head of the inserted body,
The head fixing portion includes:
A hemispherical neck receiving groove in which a neck of the body can be sea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Wherein a head seating groove is formed which can be fixed to prevent movement after being s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시신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시설은,
상기 배수공과 지중을 연결하기 위한 배수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공동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tube body,
At least one drain hole for draining water generated in the body to the outside,
The drainage facility,
And a drain pipe for connecting the drain hole and the grou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묘 구조물은, 석재, 금속, 인조대리석 및 방부목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공동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vity graft structure is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one, metal, artificial marble, and anticorrosiv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금속, 석재, 인조대리석, 오닉스(Onyx), 에프알피(FRP) 및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 공동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ube may be,
Wherein the material is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al, stone, artificial marble, Onyx, FRP, and urethane.
KR1020140008676A 2014-01-24 2014-01-24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KR101614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76A KR101614269B1 (en) 2014-01-24 2014-01-24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76A KR101614269B1 (en) 2014-01-24 2014-01-24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405A KR20150088405A (en) 2015-08-03
KR101614269B1 true KR101614269B1 (en) 2016-04-21

Family

ID=5387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676A KR101614269B1 (en) 2014-01-24 2014-01-24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2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4106B (en) * 2021-02-22 2022-02-18 菏泽医学专科学校 Corpse preserva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wiping antiseptic preservation liqu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019B1 (en) * 1997-12-29 2000-06-15 정용운 Prefabricated concrete tomb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019B1 (en) * 1997-12-29 2000-06-15 정용운 Prefabricated concrete tom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405A (en)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444C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CN107100416A (en)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type tower mound
KR101614269B1 (en)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Gould et al. ‘Stood to rest’: reorientating necrogeographies for the 21st century
JPH03293487A (en) Underground cemetery
CN210264135U (en) Terrace ring mountain underground cemetery
CN107327205A (en) A kind of novel solid is buried
CN208650636U (en) The granite slab coffin chamber of bottomless button
Caruana Ancient Pagan Tombs and Christian Cemeteries in the Islands of Malta: Explored and Surveyed from the Year 1881 to the Year 1897
CN205531618U (en) Coffin chamber and tomb hat with function of beautifying environment
US201700068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ttering ashes using bees
JP7397515B2 (en) Urn burial type cemetery structure
KR20140112160A (en) Flowerpot funeral and cremation
JPH072892Y2 (en) Simple type grave and its aggregate
KR101269996B1 (en) Sea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person park
KR200182781Y1 (en) Korean family park of charnel house
KR100302628B1 (en) Stone ash box for family unit and ash moving and re-burial system
KR10030449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eedling
KR101452627B1 (en) The privacy-cinerary facilities installed in underground
KR200278391Y1 (en) a charnel
CN110821270A (en) Palace formula memorial park
KR20080088689A (en) Stone cemetery establishment
JP3166281U (en) Grave flower garden and water bowl / flower garden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