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09B1 -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 Google Patents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09B1
KR101610409B1 KR1020100114181A KR20100114181A KR101610409B1 KR 101610409 B1 KR101610409 B1 KR 101610409B1 KR 1020100114181 A KR1020100114181 A KR 1020100114181A KR 20100114181 A KR20100114181 A KR 20100114181A KR 101610409 B1 KR101610409 B1 KR 101610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ing
smartphone
control unit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3104A (en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09B1/en
Publication of KR2012005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다양하고 차별화된 모드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 및 경고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스마트폰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외장램프를 작동하는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스마트폰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경음기를 작동하는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 / RTI >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elcome system controll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lamp control unit;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mmunicated with the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so as to control the external lamp, Functioning external lamp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vehicle exterior lamp in cooperation with the smartphone.
A welcome system controll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unit;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mmunicated with the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vehicle alarm sound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based on data received through the smart phon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vehicle alarm sound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is performed, Beep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xterior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다양하고 차별화된 모드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 및 경고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 / RTI >

최근 차량의 외장램프류에 웰컴 시스템(Welcome System)의 접목을 통하여 사용자의 중요함을 어필하고, 차량과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부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Techniques for promoting the importance of users by emphasizing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user have been developed by combining a welcome system with exterior lamps of vehicles in recent years.

상기 웰컴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 가까이 접근하면 차량이 운전자를 반기는 듯한 반응을 보이는 시스템으로, 이와 연계되는 작동 시스템으로는 램프(퍼들 램프, 포지셔닝 램프, 테일 램프, 포켓 램프 등)의 점등, 아웃사이드 미러의 이동, 웰컴 사운드 작동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웰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차량 인식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신개념의 시스템이다.The welcome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vehicle responds to the driver when the driver approaches the vehicle. The operating system associated therewith includes a lamp (a puddle lamp, a positioning lamp, a tail lamp, a pocket lamp, etc.) Mirror movement, welcome sound operation, and the like. Such a welcom system is a new concept system that not only provides convenience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vehicle but also can satisfy the emotional need of the user.

그러나 상기 웰컴 시스템은 획일적인 디스플레이와 작동 모드로 인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welcome system does not reflect various tastes of users due to the uniform display and operation mode, 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continuously upd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의 웰컴 시스템을 스마트폰과 연동함으로 차량 외장램프 및 경음기(Horn)의 작동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variously chang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exterior lamp and a horn by a user,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system.

또한,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차량 외장램프 및 경고음 제어 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특히 외장램프의 가로등 기능 및 보행자 안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system capable of adding various functions to a vehicle exterior lamp and an alarm sound control device in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streetlight function and a pedestrian safety function of an external lamp.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스마트폰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외장램프를 작동하는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including: a welcome system controll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ior lamp control unit;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mmunicated with the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so as to control the external lamp, Functioning external lamp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시스템은 차량 전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전후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전후방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가 발생 된 해당 영역의 외장램프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front and rear sensors for detecting object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nd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sensing signals of the front and rear sensing sensors, And the control logic for lighting the lamp is performed.

또는, 상기 시스템은 차량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소리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한 소리 감지센서의 해당 영역의 외장램프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ound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 sound around the vehicle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wherei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ound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logic for lighting an external lamp of a corresponding region of the sensor is performed.

또한,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장램프를 강하게 점등하는 제 1 모드와, 외장램프를 약하게 점등하는 제 2 모드와, 외장램프를 점등하지 않는 제 3 모드를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mode in which the external lamp is strongly lit, a second mode in which the external lamp is lightened weakly,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external lamp is lighted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including a third mode in which the external lamp is not turned on.

또한,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장램프가 차량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순차형 점등 모드와, 외장램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회전형 점등 모드를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may include a sequential lighting mode in which the exterior lamp is sequentially blinked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a smartphon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And an external lamp-on control logic including a turn-on mode in which the lamps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때,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외장램프의 순차적인 점멸 주기에 대하여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하는 강조형 점등 모드와,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한 후 다시 점점 약하게 하는 박동형 점등 모드를 더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includes an emphasized lighting mode in which the lighting intensity is gradually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sequential blinking period of the external lamp,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including the lighting mode in which the lighting intensity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gradually weakened And control logic.

또한,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경고등 구동시 외장램프의 점멸 주기를 길게 하는 보행자 안전 모드를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may include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including a pedestrian safety mode for lengthening the blinking period of the exterior lamp when the warning lamp is drive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스마트폰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경음기를 작동하는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lcome system controll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 vehicle alarm sound control unit;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mmunicated with the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vehicle alarm sound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based on data received through the smart phon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vehicle alarm sound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is performed, Beep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은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경음기가 강한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 1 모드와, 경음기가 약한 경고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 2 모드와, 경음기가 경고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vehicle alarm sound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mode for generating a strong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a second mode for generating a weak alarm sound, And a third mode in which the horn is not cause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또한, 상기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은 경음기가 저음의 경적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보행자 안전 모드를 포함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may further compris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including a pedestrian safety mode for causing the horn to generate a low-pitched soun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센서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장램프 점등 방법 및 경고음 제어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차별화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the vehicle alarm sound control system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xternal sensors such as a sensor and a smart phone can be used to vary the method of lighting the exterior lamp and the alarm sound control method. Thereby enabling differentiated control to be achieved.

특히,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로 응대하여 차별화된 웰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와 소통하는 감성적인 웰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a different welcome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response to different moods according to the mood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an emotional welcome system communicating with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두운 곳이나 후미진 곳에 주차된 차량이 외장램프의 가로등 기능을 통해 주위를 밝혀 줌으로, 보행자나 타 차량이 주차된 차량에 부딪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parked in a dark place or in a backward position illuminates the surroundings through a lamp function of an exterior lamp, so that an accident that a pedestrian or other vehicle hits a parked vehicl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자 안전 기능을 통해 인적이 많은 좁은길, 교차로,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기존의 경고등 및 경음기가 발생시킬 수 있는 위압감을 없애고 시각·청각적으로 부드러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rian safety function can eliminate the pressure that the conventional warning lamp and the horn can cause in a place with a lot of people, such as a narrow road, an intersection, a parking lot, etc. and transmit a soft signal visually and audibly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표현에 따른 서로 다른 모드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장램프의 점등 순서 및 강도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순차형 점등 모드와 회전형 점등 모드에 따라 외장램프가 점등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강조형 점등 모드와 박동형 점등 모드의 시간에 따른 점등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서 보행자 안전 모드에 따라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일반적인 경고등 구동시의 외장램프 점멸 주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 모드에서 경고등 구동시의 외장램프 점멸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beep sound control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having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of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a user's emotion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having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logic that can vary the lighting sequence and intensity of exterior lamp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dure in which an exterior lamp is turned on according to a sequential lighting mode and a rotary lighting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lighting intensity of the emphasis-type lighting mode and the beating-type lighting mode according to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ternal lamp control unit and a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operated according to a pedestrian safety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comparing an external lamp blinking cycle at the time of driving a general warning lamp and an external lamp blinking cycle at the time of driving a warning lamp in the pedestrian safety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vehicular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beep sound control system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 스마트폰 통신부(12) 및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shown,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and an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lso, it may include a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 및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1)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웰컴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의 인증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스마트폰(1)의 제어 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 및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 및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구비된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 및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s smartphone 1 and can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20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recognizes the smartphone 1 of the user matching the smartphone 1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advance, and can drive the welcome system accordingly.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1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1 can be received together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provided in each of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 통신부(12)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스마트폰(1)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 및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과 스마트폰 통신부(12) 간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is a devi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1 of a user and transmits data received via the smartphone 1 to an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nd a vehicle alarm control Unit 30 as shown in FIG. 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smartphone 1 and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or WiFi communication.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12)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 상에서 설정되는 다양한 모드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 및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수신하여 각각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스마트폰(1)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다양한 모드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 및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은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1)과 동기화하여 상기 스마트폰(1)에 설정된 제어로직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receives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of various modes set on the user's smartphone 1 and controls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 Specifically, the user can set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in various modes through the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mart phone 1, and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control logic set in the smartphone 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martphone 1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

본 발명에서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해 스마트폰(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헤드램프(52), 아웃사이드 미러 램프(54), 포켓램프(56) 및 리어콤비램프(56) 등 외장램프(50)의 점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가 인식한 스마트폰(1)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미리 구비된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외장램프(5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has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logic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and accordingly, the head lamp 5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linking operation of the exterior lamp 50 such as the side mirror lamp 54, the pocket lamp 56, and the rear combination lamp 56. That is,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phone 1 recognized by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and controls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xterior lamp 50 by performing control logic.

한편, 본 발명에서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 역시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해 스마트폰(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경음기(60)의 경고음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은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가 인식한 스마트폰(1)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미리 구비된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 중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경음기(6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warning sound control unit 30 also has vehicle warning sound control logic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Generation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smartphone 1 recognized by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and receives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horn 6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감지센서(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지센서(40)를 이용하여 외장램프(50)의 가로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4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unction of the street lamp of the exterior lamp 50 using the sensing sensor 40.

상기 감지센서(40)는 전후방 감지센서(42), 전후방 카메라(44) 또는 차선이탈 경보센서(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과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 또는 사람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상기 감지센서(40)가 발생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 된 해당 영역의 외장램프(50)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40 may include a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 42, a front and rear camera 44 or a lane departure alarm sensor 46. The detection sensor 40 may be an object or a person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In this case,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sensor 40 and perform control logic for lighting the external lamp 50 of the corresponding region where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have.

즉,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감지 신호를 발생한 감지센서(40)의 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에 근접한 외장램프(50)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은, 어두운 곳이나 후미진 곳에 주차된 경우, 차량에 접근하는 다른 차량 또는 사람에 대하여 헤드램프(52) 또는 리어콤비램프(56) 등을 점등시킴으로 차량 주변을 밝히고 접촉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at is,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may turn on the external lamp 50 near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sensor 40 that generates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ked in a dark place or in a backward area, the head lamp 52 or the rear combination lamp 56 is lighted on another vehicle or person approaching the vehicle, It can lighten the surroundings and prevent contact acciden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40)는 한 개 이상의 소리 감지센서(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 감지센서(48)는 차량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며, 본 발명의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상기 소리 감지센서(48)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외장램프(50)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40 may include one or more sound detection sensors 48.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ound detection sensor 48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exterior lamp 50. [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trol logic to turn on the light sourc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다수의 소리 감지센서(4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소리 감지센서(48)에서 발생한 감지 신호의 세기를 비교 연산하여 소리가 발생한 곳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근접한 외장램프(50)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일정 수치 이상의 감지 신호를 발생한 소리 감지센서(48)의 해당영역 외장램프(50)가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48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intensity of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ound detection sensors 48 may be compared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sound generation location, and the exterior lamp 50 adjacent to the location may be turned on. Alternatively, the corresponding area external lamp 50 of the sound detection sensor 48 that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may be turned 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센서(40) 및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야간 작동센서와 연동하여 야간 시간대에만 외장램프(50)의 가로등 기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nsing sensor 40 and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can provide the street lamp function of the external lamp 50 only at night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night operation senso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폰(1)을 통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통해 다양한 모드의 웰컴시스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에서 사용자의 얼굴 표정, 몸 동작, 목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감정 또는 기분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서로 다른 모드의 제어로직을 수행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welcome system function of various modes through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phone 1. More specifically, in a smartphone 1, a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not shown) that performs control logic in different modes in cooperation with an application that recognizes a user's current feeling or mood through facial expression, body motion, voice, And a vehicle beep sound control system.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로 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1)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표정인식(얼굴 표정, 몸 동작 등) 또는 음성인식(목소리 톤)을 통하여 사용자의 기분 상태를 미리 선택된 몇 가지 모드 중 하나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제어 신호를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모드에 대한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은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한 데이터 통신으로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에 미리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은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를 통해 전달된 스마트폰(1)의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모드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n application provided in a smartphone 1 of a user may be configured to pre-select a mood state of a user through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acial expression, body motion, etc.) It can be divided into one of several modes, and a control signal for this can be transmitted to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In this case,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for each mode may be pre-installed i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by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welcome system controller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of the corresponding mode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1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ler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모드는 외장램프(50)를 강하게 점등하도록 하는 Cheer-up 모드(제 1 모드), 외장램프(50)를 약하게 점등하도록 하는 Polite 모드(제 2 모드) 및 외장램프(50)를 점등하지 않도록 하는 Silent 모드(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의해 구별된 제어 신호를 스마트폰(1)으로부터 전송받아서, 각 제어 신호에 따라 외장램프(50) 점등에 강약을 부여하여 웰컴시스템 작동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according to the user's mood state includes a Cheer-up mode (first mode) for strongly lighting the exterior lamp 50, a Polite mode for lightening the exterior lamp 50 2 mode) and a silent mode (third mode) in which the exterior lamp 50 is not l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signal distinguished according to a mood state of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 and a strength is given to the exterior lamp 50 according to each control signal, .

또한, 이러한 다양한 모드의 제어로직은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각 모드에 대한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이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한 스마트폰(1)과의 데이터 통신으로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미리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은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를 통해 전달된 스마트폰(1)의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모드의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various modes of control logic may be provided through a vehicle beep sound control system. That is,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for each mode according to the user's mood state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in advance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can perform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of the corresponding mod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1 transmitt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따른 모드는 경음기(60)가 강한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Cheer-up 모드(제 1 모드), 경음기(60)가 약한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Polite 모드(제 2 모드) 및 경음기(60)가 경고음을 방생키지 않도록 하는 Silent 모드(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기분 상태에 의해 구별된 제어 신호를 스마트폰(1)으로부터 전송받아서, 각 제어 신호에 따라 경음기(60)의 경고음 세기에 강약을 부여하여 웰컴시스템 작동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according to the mood state of the user is a cheer-up mode (first mode) in which the horn 60 generates a strong beep sound, A silent mode (third mode) in which the polite mode (second mode) and the horn 60 do not stimulate a warning sound. Through the above mode, a control signal distinguished by the mood state of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1, and the strength of the warning sound of the horn 60 is given according to each control signal,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웰컴시스템의 구동에 있어서 외장램프(50) 및 경음기(60)가 구동되지 않는 Silent 모드(제 3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1)의 진동을 통해 웰컴시스템의 구동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외장램프(50) 및 경음기(60)가 작동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스마트폰(1)이 진동하도록 함으로 사용자에게 웰컴시스템이 작동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lent mode (third mode) in which the exterior lamp 50 and the horn 60 are not driven in the driving of the welcom system, when the user vibrates through the smartphone 1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drive of the welcome system. That is, although the external lamp 50 and the horn 60 are not operated, the smartphone 1 that is linked to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ibrate, thereby informing the user that the welcome system has been activat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웰컴스시템에서의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에 구비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은 외장램프(50)의 점등 순서 및 강도를 다양하게 변화하는 점등 모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3 shows a vehicle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in a welcom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provided i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may include a lighting mode in which the lighting order and intensity of the exterior lamp 50 are variously chang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외장램프(50)의 점등 순서를 달리하여, 외장램프(50)가 차량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순차형 점등 모드와, 외장램프(5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회전형 점등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tial lighting mode in which the exterior lamp 50 is sequentially blinked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to the rear portion of the exterior lamp 50 in a different lighting sequence, And a rotating type lighting mode in which the lamps are sequentially turned 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도 4는 상기 순차형 점등 모드와 회전형 점등 모드에 따라 외장램프가 점멸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순차형 점등 모드에서는 외장램프(50)의 위치에 따라 차량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10)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1)을 인식하여 웰컴시스템이 작동됨에 따라 헤드램프(52), 아웃사이드 미러 램프(54), 포켓램프(58), 리어콤비램프(56) 순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멸등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점멸 순서가 역순으로 차량 후면부에서 전면부로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멸등 되도록 할 수도 있다.FIG. 4 shows a procedure in which the exterior lamps are blink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lighting mode and the rotary lighting mode. First, in the sequential lighting mode,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turn on and off the vehicle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xterior lamp 50. [ That is,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10 recognizes the user's smartphone 1 and operates the head lamp 52, the outside mirror lamp 54, the pocket lamp 58, the rear combination lamp 56 ), And can be turned on and off sequentially. Alternatively, the blinking sequence may be sequentially turned on and off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to the front portion in the reverse order.

한편, 회전형 점등 모드에서는 외장램프(50)의 위치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웰컴시스템이 작동됨에 따라 도 4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헤드램프(52), 우측 아웃사이드 미러 램프(54), 우측 포켓램프(58), 우측 리어콤비램프(56), 좌측 리어콤비램프(56), 좌측 포켓램프(58), 좌측 아웃사이드 미러 램프(54), 좌측 헤드램프(52) 순의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반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urn-on mode,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turn on or off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lamp 50. That is, as the welcome system is operated, the right head lamp 52, the right outside mirror lamp 54, the right pocket lamp 58, the right rear combination lamp 56, the left rear combination The lamps 56, the left pocket lamps 58, the left outside mirror lamps 54, and the left head lamps 52 can be sequentially turned 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counterclockwise It may be blink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서는 외장램프(50)의 점등 강도를 변화하는 점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4에 나타난 외장램프(50)의 순차적인 점멸 주기에 대하여, 주기가 계속됨에 따라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하는 강조형 점등 모드와,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한 후 다시 점점 약하게 하는 박동형 점등 모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ing mode for changing the lighting intensity of the exterior lamp 50. [ Specifically, the sequential blinking cycle of the exterior lamp 50 shown in FIG. 4 is divided into an emphasized lighting mode in which the lighting intensity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period continues, and a lighting mode in which the lighting intensity is gradually increased, A lighting mode can be included.

도 5는 상기 강조형 점등 모드와 박동형 점등 모드에서 시간에 따른 외장램프의 점등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외장램프의 점멸주기(1->2->3->4)에 대하여, 강조형 점등 모드에서는 외장램프의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할 수 있으며, 박동형 점등 모드에서는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한 후 다시 점점 약하게 할 수 있다.FIG. 5 shows the lighting intensity of the external lamp according to the time in the highlight type lighting mode and the beating light mode. As shown in the figure, the lighting intensity of the external lamp can be gradually increased in the emphasis type lighting mode with respect to the blinking cycle (1-> 2-> 3-> 4) of the external lamp sequentially progressing, The intensity of light can be made stronger and weaker agai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기 모드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한 스마트폰(1)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폰(1)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한 모드에 따라 외장램프(50)의 점등 순서 및 점등 강도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modes shown in FIGS. 4 and 5 may be provided i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as shown in FIG. 3 And the lighting order and the lighting intensity of the external lamp 5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d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1. [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외장램프(50) 점멸 작동을 제공함으로 차량이 마치 살아 숨쉬는 것 같은 감성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만의 고유의 웰컴시스템 구동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웰컴시스템의 구동이 종료되었을 때 사용자의 스마트폰(1)이 진동하도록 함으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motional feeling to the user as if the vehicle is alive and breathing by providing an extinguishing operation of the exterior lamp 50,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Can be set.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of the welcome system is terminated, the user's smartphone 1 is made to vibrat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c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 모드에서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 보행자 안전 모드에 따른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 및 차량 경고음 제어로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통신부(12)를 통한 스마트폰(1)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각각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과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1)을 통해 또는 차량에 구비된 별도의 버튼을 통해 상기 보행자 안전 모드를 실행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FIG. 6 show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unit 30 in the pedestrian-safe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and the vehicle beep sound control logic according to the pedestrian safety mode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2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 through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12, And the vehicle warning sound control unit 30.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execute the pedestrian safety mode via the smartphone 1 or via a separate button provided on the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행자 안전 모드에서는,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20)의 제어에 의해 경고등 구동시 외장램프(50)의 점멸 주기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30)의 제어에 의해 경음기(60)가 저음의 경적음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In the pedestrian-safety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inking period of the exterior lamp 50 can be length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20 when the warning lamp is driven, So that the horn 60 can generate a low-pitched sound.

도 7은 일반적인 경고등 구동시의 외장램프 점멸 주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 모드에서 경고등 구동시의 외장램프 점멸 주기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경고등 구동시에는 외장램프의 점멸 주기가 짧으며, 외장램프가 점등되는 시간적 비율이 높음으로 인해 보행자에게 위압감을 주는 시그널을 출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행자 안전 모드에서는 외장램프의 점멸 주기를 길게 하고, 외장램프의 점등 강도 역시 부드럽게 변화하도록 함으로 보행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위압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FIG. 7 shows the external lamp blinking cycle at the time of driving a general warning lamp and the external lamp blinking cycle at the time of driving the warning lamp in the pedestrian safety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general warning lamp driving, the blinking period of the external lamp is short, and the signal that gives the pedestrian a feeling of overpressure due to the high time ratio of the external lamp is high is outputted. However, in the pedestrian safety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inking period of the external lamp is lengthened and the lighting intensity of the exterior lamp is also changed smoothly, thereby minimizing the overpressure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pedestrian.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안전 모드는, 인적이 많은 좁은길, 교차로, 주차장 등의 장소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차량의 경고등과 경적음이 발생시킬 수 있는 위압감을 없애고, 보행자가 느끼는 시각적·청각적 불편함을 완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destrian-safety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at places such as narrow streets, intersections, parking lots where there are many people,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ressure feeling that warning lights and beeping sounds of vehicles can cause,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inconvenie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deduce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스마트폰 10 :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
12 : 스마트폰 통신부 20 :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
30 : 차량 경고음 컨트롤 유닛 40 : 감지센서
50 : 외장램프 60 : 경음기
1: Smartphone 10: Welcome system controller
12: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20: External lamp control unit
30: Vehicle warning sound control unit 40: Detection sensor
50: external lamp 60: horn

Claims (10)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 신호를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에 전달하는 스마트폰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며,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수행하여 외장램프를 작동하는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장램프가 차량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순차형 점등 모드와, 외장램프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회전형 점등 모드를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A welcome system controlle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lamp control unit;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mmunicated with the user's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ata to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And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so as to operate the external lamp, An external lamp control unit;
/ RTI >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A sequential lighting mode in which the exterior lamp is sequentially blinked from the front surface portion to the rear surface portion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and a lighting mode in which the exterior lamp is turned o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including a turn-on lighting mode in which the external lamp is turned 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 전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전후방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전후방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가 발생 된 해당 영역의 외장램프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urther includes front and rear sensors for detecting object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Wherei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logic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front and rear sensing sensors and lighting an exterior lamp of a corresponding area where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차량 주위의 소리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리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소리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한 소리 감지센서의 해당 영역의 외장램프를 점등하는 제어로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ound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 sound around the vehicle and generating a detection signal,
Wherein the external lamp control unit performs a control logic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the sound sensing sensor and lighting an external lamp of a corresponding region of the sound sensing sensor that generates the sensing signal.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상기 웰컴 시스템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받은 스마트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외장램프를 강하게 점등하는 제 1 모드와, 외장램프를 약하게 점등하는 제 2 모드와, 외장램프를 점등하지 않는 제 3 모드를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A first mode for strongly lighting the exterior lamp, a second mode for lightly lighting the exterior lamp, and a third mode for not lighting the exterior lamp in response to the smartphon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elcome system controller And an exterior lamp lighting control logic, wherein the exterior lighting lamp lighting control system is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외장램프의 순차적인 점멸 주기에 대하여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하는 강조형 점등 모드와, 점등 강도를 점점 강하게 한 후 다시 점점 약하게 하는 박동형 점등 모드를 더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further including an emphasis lighting mod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lighting intensity with respect to the sequential blinking cycle of the external lamp and a beating lighting mode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and weakening the lighting intensity again and again, Control system for lighting the exterior lamp of the vehicle to be connected with the smart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램프 컨트롤 유닛은
경고등 구동시 외장램프의 점멸 주기를 길게 하는 보행자 안전 모드를 포함하는 외장램프 점등 제어로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ior lamp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lamp lighting control logic including a pedestrian safety mode for lengthening the blinking period of the exterior lamp when the warning lamp is driv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114181A 2010-11-17 2010-11-17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KR101610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81A KR101610409B1 (en) 2010-11-17 2010-11-17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81A KR101610409B1 (en) 2010-11-17 2010-11-17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04A KR20120053104A (en) 2012-05-25
KR101610409B1 true KR101610409B1 (en) 2016-04-07

Family

ID=4626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181A KR101610409B1 (en) 2010-11-17 2010-11-17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4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18B1 (en) * 2017-10-24 2018-06-07 오채윤 side-view mirror guiding distance from adjacent vehicle
KR20220016312A (en) 2020-06-30 2022-02-09 한국광기술원 Tail lamp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18B1 (en) * 2013-10-15 2015-01-19 한국광기술원 Smart lighting device
KR101625872B1 (en) * 2015-01-27 2016-06-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ehicle light control based on events of smart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JP2019202588A (en) * 2018-05-22 2019-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lamp fitting
WO2022205131A1 (en) * 2021-03-31 2022-10-06 浙江智马达智能科技有限公司 Vehicle courtesy projection system an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215A (en) 2003-04-07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JP2010064510A (en) 2008-09-08 2010-03-25 Denso Corp Vehicular lamp apparatus
JP2010070058A (en) 2008-09-18 2010-04-02 Denso Corp Vehicular automatic ligh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1215A (en) 2003-04-07 200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JP2010064510A (en) 2008-09-08 2010-03-25 Denso Corp Vehicular lamp apparatus
JP2010070058A (en) 2008-09-18 2010-04-02 Denso Corp Vehicular automatic ligh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18B1 (en) * 2017-10-24 2018-06-07 오채윤 side-view mirror guiding distance from adjacent vehicle
KR20220016312A (en) 2020-06-30 2022-02-09 한국광기술원 Tail lamp of vehicle
KR20220060509A (en) 2020-06-30 2022-05-11 한국광기술원 Tail lamp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04A (en)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409B1 (en) Exterior Lamp Control System and Warning Sou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working with Samrt Phone
JP6612781B2 (en) Assembly module
JP3632607B2 (en) Vehicle expression operation control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for expression operation
JP6463549B1 (en) Irradiation system and irradiation method
JP3145654U (en) System that eliminates blind spots and gives vehicle detection warning
JP6173746B2 (en) Vehicle alarm device
JP6523561B1 (en) Irradiation apparatus and irradiation method
JP2007332738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on-vehicle instrument
GB2531084A (en) Vehicle configured for autonomous driving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WO2013075561A1 (en) Driving state war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393339A (en) Method and apparatus, signal system, vehicle for run signal system
WO2019225375A1 (en) 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ular lamp
JP3209439U (en) Smart car door handle light
TWI725374B (en) Enhanced vehicle safety system
JP2010064510A (en) Vehicular lamp apparatus
KR101804817B1 (en) Horn sound regulating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KR102067087B1 (en) Smart door-beam for vehicle
JP2016199111A (en) Driving assist controller and driving assist control method
CN205198403U (en) Navigation walking stick structure
KR101639531B1 (en) Lighting device for bicycle
CN110114809B (en) Method and device for alerting a driver to start at a light signal device with a varying output function
JP6718117B2 (en) Vehicle alert unit
WO2015123895A1 (en) Vehicle door opening and running vehicle steering bidirectional warning system
CN116963938A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ing device and at least one acoust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TWM541402U (en) Door open warning device of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