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601B1 -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601B1
KR101607601B1 KR1020150112749A KR20150112749A KR101607601B1 KR 101607601 B1 KR101607601 B1 KR 101607601B1 KR 1020150112749 A KR1020150112749 A KR 1020150112749A KR 20150112749 A KR20150112749 A KR 20150112749A KR 101607601 B1 KR101607601 B1 KR 101607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eading passbook
reading
passbook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씨오
Priority to KR102015011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601B1/en
Priority to JP2015191145A priority patent/JP610501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601B1/en
Priority to CN201610550290.6A priority patent/CN106447570B/en
Priority to CN201620737502.7U priority patent/CN205942797U/en
Priority to TW105124524A priority patent/TWI615782B/en
Priority to TW105211668U priority patent/TWM54466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a book title of a book requested by a user online and offline and outputting the extracted book title to a reading passbook used by the user.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rcode reader reading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barcode attached to a book; a tag reader reading a tag attached to a reading passbook introduced through a reading passbook introducing unit; a control unit extracting a book title matched to the ISBN; a printer printing the extracted book title on the reading passbook introduced to the reading passbook introducing unit;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book list providing system via a network. The control unit extracts a book title matched to the ISBN attached to the book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and controls the printer to print the extracted book title on the reading passbook.

Description

독서통장 정리장치{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READING PASS BOOK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독서통장을 정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rganizing a reading passbook.

개인의 독서현황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는,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6-111872호, 한국특허번호 제0614939호 및 한국특허번호 제1264408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reading status of an individual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6-111872, Korean Patent No. 0614939, and Korean Patent No. 1264408.

종래의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도서관의 자료관리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 reading book organizer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library data management systems.

그러나, 자료관리시스템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은, 많은 구축 비용을 요구한다. 또한, 자료관리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자료관리시스템이 복구되기 전까지는 독서통장 정리장치가 사용될 수 없다. However, devices and methods that work with data management systems require a lot of building costs. In addition, when a data management system fails, the book management system can not be used until the data management system is restored.

또한, 인력이나 예산 등의 문제로 자료관리시스템을 구비하지 못한 학교 도서관, 문고 등에서는, 독서통장 정리장치가 사용될 수 없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school library or library that does not have a data management system due to problems such as manpower or budget, a book reading system can not be us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도서의 도서명을 추출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독서통장에 출력할 수 있는, 독서통장 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a book name of a book requested by a user via online or offline, We will do i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도서에 부착된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 독서통장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독서통장에 부착된 태그를 읽는 태그 리더;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추출하는 제어부; 추출된 상기 도서명을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에 투입된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하는 프린터; 외부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저장장치 통신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목록 제공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서에 부착된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도서명이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되도록, 상기 프린터를 제어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okbinding reader for reading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bar code attached to a book; A tag reader for reading a tag attached to a reading passbook inserted through a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 title name match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 printer for printing the extracted title name on the reading passbook inserted in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network,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book name match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ttached to the book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And controls the printer so that the extracted title name is printed in the reading passbook.

본 발명에 의하면, 자료관리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독서통장 정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비용 및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management system is not require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book keeping device, a lot of cost and equipment are not required.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시설에서도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oth online and offlin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in a facility where a network is not conne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자료관리시스템 없이, 가전제품처럼 쉽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as a home appliance without a data manage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외부의 정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외부의 배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적용되는 ISBN과 도서명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적용되는 도서의 분류대를 나타낸 도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적용되는 ISBN, 도서명과 분류대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들의 예시도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front view of an outside of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ok names and ISBNs applied to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lassification band of a book applied to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SBNs, title names, and classification blocks applied to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nd 8 are exemplary views of screens provided through an input / output device of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외부의 정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외부의 배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적용되는 ISBN과 도서명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적용되는 도서의 분류대를 나타낸 도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적용되는 ISBN, 도서명과 분류대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ternal front surface of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ternal back surface of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SBN and a book title applied to the book reading and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able showing a book classification table applied to the reading 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ISBN applied to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ame of a book, and a classification block.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에 부착된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13), 독서통장 투입부(22)를 통해 투입되는 독서통장에 부착된 무선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읽는 태그 리더(14),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추출하는 제어부(11), 추출된 상기 도서명을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에 투입된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하는 프린터(19), 외부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저장장치 통신부(15) 및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목록 제공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16)를 포함한다. 1 to 3, a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code reader 13 for reading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barcode attached to a book, a reading passbook insertion unit 22 A tag reader 14 for rea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ttached to a reading passbook inserted through the book reader 14, a controller 11 for extracting a title name matched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 printer 19 for printing on the reading passbook inserted in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22,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section 15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 network And a communication unit 16.

여기서,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은, 온라인의 포털 사이트 또는 각종 기관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영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은, 종래에 이용되던 자료관리시스템보다 확장된 개념이다. Here,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may be operated by a portal site, an online portal site, various organizations, or a company providing the bookmar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is an extended concept than the conventional data managing system.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료관리시스템은 특정 기관에 의해 운영되며, 특정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이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ata management system is operated by a specific organization, and can be used only by a user using a specific terminal or a member.

그러나,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은, 불특정 사용자들에게 온라인을 통해,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도서명, 분류코드, 분류명 또는 출판사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도서명, 분류코드, 분류명 또는 출판사 등을 총칭하여 도서목록이라 한다.Howeve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is a system for providing unspecified users with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a title name, a classification code, a classification name, or a publisher through an online system.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title, classification code, category name or publisher are collectively called book list.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관리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 연결시킨 후,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도서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can connect the boo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via the network, and then receive the book list from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또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PC와 같은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 접속한 후,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도서목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도서목록들을, 외부저장장치(예를 들어, USB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상기 외부저장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관리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도서목록들을 오프라인 상에서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access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using a separate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and then download the book list from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The user can store the downloaded book lists in a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example, a USB memory), and then connect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he reading passbook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user can use downloaded book lists offline.

또한,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는, 상기 도서의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2) 및 상기 도서에 대한 영수증을 발행하는 영수증 발급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 output unit 12 for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t of the book, and a receipt issuing unit 18 for issuing a receipt for the book.

또한,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는,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7)를 더 포함한다.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7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또한,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에는,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로 투입되는 독서통장을 지지하는 독서통장 지지대(23)가 장착되어 있다. The reading passbook insertion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 reading passbook supporter 23 for supporting the reading passbook inserted into the reading passbook input portion 22.

이 경우, 상기 태그 리더(14)는,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 또는 상기 독서통장 지지대(23)에 장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ag reader 14 may be mounted on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22 or the reading passbook support 23.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도서에 부착된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도서명이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되도록, 상기 프린터(19)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1 extracts a title name match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ttached to the book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And controls the printer 19.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입출력부(12)를 통해 입력된 비용에 대한 영수증이 출력되도록 상기 영수증 발급부(18)를 제어한다.
Also, the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receipt issuing unit 18 so that a receipt for the cost inputted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 is output.

첫째, 상기 구성요소들은, 케이스(21)에 의해 커버된다.First, the components are covered by a case 21. [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21)의 정면에는, 상기 입출력부(12), 상기 바코드 리더(13), 상기 영수증 발급부(18), 상기 독서통장 지지대(23) 및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21, the input / output unit 12, the barcode reader 13, the receipt issuing unit 18, the reading passbook support 23, and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22 May be disposed.

상기 케이스(21)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를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24)가 배치될 수 있다.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21, a knob 24 can be disposed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reading bankbook 10 and move.

상기 케이스(21)의 배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저장장치 통신부(15)와 상기 외부저장장치를 연결시키는 외부저장장치 포트(25)가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 external storage device port 25 for connecting the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unit 15 a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21.

상기 케이스(21)의 배면에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6)와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을 연결시키는 통신라인이 체결되는 네트워크 포트(26)가 배치될 수 있다.A network port 26 to which a communication line connect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 with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is connected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21.

상기 케이스(21)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2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시키는 힌지(2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27)를 오픈시키면,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의 내부가 오픈된다. A hinge 27 for connecting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case 21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21. When the hinge 27 is opened, the inside of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is opened.

상기 케이스(21)의 배면에는,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28)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1, a power switch 28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may be disposed.

둘째, 상기 바코드 리더(13)는, 상기 도서에 부착된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바코드를 읽는 기능을 수행한다. Second, the barcode reader 13 reads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barcode attached to the book.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ISBN)는, 각 도서에 할당된 번호이며, 특히, 국제표준에 맞게 정리된 번호이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is a number assigned to each book, in particular, a number arrang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상기 ISBN 바코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SBN 바코드는 복수의 라인들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QR 코드와 같이 복수의 2차원 도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SBN barcod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ISBN barcod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ines,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graphics such as a QR code.

셋째, 상기 태그 리더(14)는,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를 통해 투입되는 독서통장에 부착된 무선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읽는 기능을 수행한다.Third, the tag reader 14 read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ttached to a reading passbook inserted through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22.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태그 리더(14)는, 상기 독서통장에 부착되어 있는 무선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상기 독서통장에 부착 또는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를 통해 독서통장이 투입되었음을 확인한다.The tag reader 14 analyz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ttached to the reading passbook or a barcode attached or printed on the reading passbook, It is confirmed that the reading passbook is inserted through the input unit 22.

상기 태그 리더(14)는,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 또는 상기 독서통장 지지대(23)에 장착될 수 있다. The tag reader 14 may be mounted on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22 or the reading passbook support 23.

상기 태그 리더(14)를 통해 독서통장이 투입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1)는 독서통장에 상기 도서명 등을 출력한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ading passbook is inserted through the tag reader 14, the controller 11 outputs the book name or the like to the reading passbook.

넷째,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바코드 리더(13)를 통해 파악된 상기 도서의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ISBN)와 매칭되어 있는 도서명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ourth, the control unit 11 extracts a title name matched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of the book identified through the barcode reader 13.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도서에 부착된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되어 있는 도서명들을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도서명들을 분석하거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 may analyze the title nam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to extract a title name matched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ttached to the book, Or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to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저장부(17) 또는 상기 외부저장장치로부터 추출된 도서명,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을 통해 전송된 도서명을, 상기 프린터(19)를 통해 상기 독서통장에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11 outputs the title of the book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17 or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name transmitted through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to the reading passbook through the printer 19. [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서의 ISBN 및 상기 ISBN에 대응되는 도서명을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11 may print a book name corresponding to the ISBN and the ISBN of the book in the reading passbook.

그러나,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도서의 도서명뿐만 아니라, 상기 도서가 포함되어 있는 분류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할 수 있다. 상기 분류대는 도서의 분류코드 및 분류명을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control unit 11 may print information on the title of the book,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the classification band including the book, in the reading passbook. The classifier may include a classification code and a classification name of the book.

일반적으로, 도서는 한국십진분류법(KDC) 등의 도서분류표에 의하여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서 분류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book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book classification table such as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and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book classification band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ISBN이 파악되면,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 또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ISBN에 매칭되어 있는 도서명, 분류코드 및 분류명을 추출하여,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들을, 상기 프린터(19)를 통해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ISBN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11 extracts a title, a classification code, and a classification name matched to the ISBN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or the storage, May be printed on the reading passbook through the printer 19. [0050]

사용자는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된 내용을 확인하여, 해당 도서가 속한 분류대를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firm the contents printed on the reading passbook and confirm the classification block to which the book belongs.

이 경우, 사용자는, 독서통장에 프린트된 도서명과 분류코드 및 분류명에 따라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를 분류할 수 있으며, 해당 분류에 따라, 자신의 책장에 도서들을 배치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classify books owned by him according to the title, classification code, and classification name printed on the reading passbook, and the books can be placed in his / her bookshelf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다섯째, 상기 프린터(19)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추출된 상기 도서명을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에 투입된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한다.Fif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 the printer 19 prints the extracted title name on the reading passbook inserted in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22. [

이를 위해, 상기 프린터(19)는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inter 19 may be mounted inside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22. [

여섯째, 상기 외부저장장치 통신부(15)는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저장장치로부터 상기 도서명을 전달받는다.Six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unit 15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receives the title name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상기 외부저장장치는, USB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외장형 하드가 될 수도 있다. The external storage device may be a USB memory or an external hard disk.

상기 케이스(21)에는 상기 외부저장장치와 연결된 외부저장장치 포트(2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외부저장장치는 상기 외부저장장치 포트(25)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저장장치 통신부(15)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case 21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storage device port 25 connec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mounted o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port 25 and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part 15. [

일곱째,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6)는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목록 제공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한다.Sevent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 communicates with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network.

여기서,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은, 서점, 포털사이트, 각종 기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업체등에서 관리될 수 있다.
Here,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can be managed by a book store, a portal site, various organizations, and a company providing the boo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덟째, 상기 입출력부(12)는 사용자가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로 각종 정보를 입력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부(12)를 통해 각종 정보를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로 입력할 수 있다.Eighth, the input / output unit 12 can be used when a user inputs various information to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That is, the user can input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 to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상기 입출력부(12)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바코드 리더(13)를 통해 파악된 상기 도서의 ISBN 바코드 번호 및 추출된 도서명 등을 출력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unit 12 may output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1, for example, the ISBN barcode number of the book identified through the barcode reader 13, and the extracted title name.

상기 입출력부(12)는 상기 입력기능을 수행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와, 상기 출력기능을 수행하는 모니터를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unit 12 may individually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for performing the input function, and a monitor for performing the output function.

그러나, 상기 입출력부(12)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입력기능과 상기 출력기능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However, the input / output unit 12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input function and the output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touch screen.

아홉째, 상기 영수증 발급부(18)는 상기 도서에 대한 영수증을 발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Ninth, the receipt issuing unit 18 performs a function of issuing a receipt for the book.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포스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orce terminal.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에, 비용결제 기능이 장착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상기 바코드 리더(13)를 통해 상기 도서의 도서명을 확인할 때,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도서에 대한 결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ost settlement function, when the user confirms the book name of the book through the barcode reader 13, You can pay for books at the same time.

또한, 사용자가 도서명을 확인한 후, 별도의 프로세서를 통해 도서비용의 결제를 요청할 때,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도서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confirms the name of the book and requests payment of the book cost through a separate processor, the controller 11 can perform settlement of the book.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6)를 통해, 비용과 관련된 결제 요청을 비용결제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비용결제시스템으로부터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수증 발급부(18)를 구동하여, 영수증을 발행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 transmits the settlement request related to the cost to the cost settlement system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 When the approv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st settlement system, the receipt issuing unit 18 transmits, And issues a receipt.

부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용하는 독서통장에 자신이 구매 또는 빌린 도서의 도서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자신이 구매한 도서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input the title of the book purchased or borrowed by himself / herself in the reading passbook used by himself / herself by using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also pay for.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카드입력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card inpu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redit card information used by a user.

열째,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도서에 부착 또는 인쇄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스캐너들 더 포함할 수 있다. Tenthly,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canners for analyzing images attached or printed on the book.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분석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다.The control unit 11 extracts a title name matching the book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using the image analyzed through the scanner.

이를 위해,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는, 상기 도서의 표지에 부착 또는 인쇄된 이미지이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는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도 미리 등록되어 있다.For example, the image is an image attached or printed on a cover of the book. In this case, the image i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분석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와 매칭되어 있는 도서명을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nalyze the image analyzed through the scanner with images stored in advance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to extract a title name matched with the image.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캐너를 통해 분석된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도서의 도서명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추출된 상기 도서명에 대한 추가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도서의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분류코드, 분류명 또는 출판사 등을,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As another method, the control unit may extract the title of the book from the image analyzed through the scanner.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extracted book title, for example,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of a book, a classification code, a category name, a publisher or the like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It is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를 이용하여 독서통장을 정리하는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method of organizing a reading passbook using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는 도서명들이 포함된 데이터들을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에 장착시킬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load data including book names into the book reading and organizing apparatus 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10)의 상기 외부저장장치 포트(25)에 외부저장장치를 장착시킨 후,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도서명 데이터들을 상기 저장부(17)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저장장치가 상기 외부저장장치 포트(25)에 저장되어, 상기 저장부로 이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fter the user attache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port 25 of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device 10, the user inputs the title name data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nto the storage device 17 You can download it. Als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may be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port 25 and used as the storage unit.

또한, 사용자는 상기 네트워크 포트(26)에 인터넷과 같은 통신시스템과 연결된 통신라인을 연결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6)를 통해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 user connects a communication lin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the Internet to the network port 26. Then, the control unit 11 communicates with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6. [

다음,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고 있는 독서통장을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에 투입한다.Next, the user inserts the reading passbook used by himself / herself into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22. Then,

이 경우, 상기 태그 리더(14)는, 상기 독서통장에 부착되어 있는 태그를 확인함으로써, 독서통장이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에 투입되었음을 확인한다.
In this case, the tag reader 14 confirms that the reading passbook is inserted into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22 by checking the tag attached to the reading passbook.

다음, 사용자는 도서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도서의 ISBN 바코드를 상기 바코드 리더(13)에 인식시킨다.Next, the user recognizes the ISBN barcode of the book whose title is to be confirmed in the barcode reader 13.

이 경우, 상기 바코드 리더(13)는 상기 ISBN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ISBN)를 파악한다.
In this case, the barcode reader 13 recognizes the ISBN barcode and grasp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다음, 상기 제어부(11)는 파악된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와 매칭되어 있는 도서명을 추출한다.Next, the control unit 11 extracts a title name matched with the identified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이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7), 상기 외부저장장치 및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도서명을 추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 can extract the title name using the storage unit 17,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도서의 분류코드 및 분류명을 추출할 수도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11 may extract the classification code and the classification name of the book.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11)는 추출된 상기 도서명, 상기 ISBN, 상기 분류코드 및 분류명 등을 상기 프린터(19)를 통해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할 수 있다.
Finally, the controller 11 may print the extracted title name, the ISBN, the classification code, the category name, and the like in the reading passbook through the printer 19.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들의 예시도들이다. 7 and 8 are illustrations of screens provided through the input / output device of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상기 입출력부(12)를 통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screens as shown in FIGS. 7 and 8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 FIG.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는, 어린이 또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간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입출력부(12)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The book reader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imple user interface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child or the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예를 들어, 도 7은 사용자가 독서통장을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로 투입시키라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For example, FIG. 7 shows information that the user inputs a reading passbook into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22.

사용자는 도 7과 같은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 또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22)로 독서통장을 투입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a reading passbook into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22 using a moving image, a message, an image, or the like provid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상기 제어부(11)는 추출된 도서명들을 상기 독서통장에 출력하기 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출력부(12)를 통해 상기 도서명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1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title names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2 as shown in FIG. 8, before outputting the extracted title names to the reading passbook.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는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독서통장에 자신이 구매하거나 빌린 도서의 도서명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ow a user to easily output a book title of his / her purchased or borrowed book to his / her reading passbook without a separate member registration procedure.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10)는 회원가입이 없더라도, 상기 바코드 리더(14)를 통해 파악된 ISBN 및 상기 ISBN에 매칭되어 있는 도서명을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int the ISBN identified through the barcode reader 14 and the title name matched to the ISBN in the reading passbook even if there is no membership.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학교, 도서관, 서점 또는 가정에 배치되어 간편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가 필요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ook reading and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school, a library, a bookstore, or a home. In particular, since a separat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is not necessary,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본 발명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본 발명은 어린이 및 청소년의 독서 증진을 위한 것이며, 특히, 독서통장에 도서명을 인쇄해 줄 수 있는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mote the read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in particular, is a device capable of printing book titles in a reading passbook.

본 발명에 의하면,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도서에 인쇄되어 있는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바코드를 이용하여 도서명을 독서통장에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서에 인쇄되어 있는 ISBN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를 이용하여 읽은 후, 상기 ISBN과 링크되어 있는 도서명을 추출한 후, 추출된 도서명을 독서통장에 출력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ok list providing system is not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int the name of the book on the reading passbook using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bar code printed on the book, without depending on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ads an ISBN barcode printed on a book using a barcode reader, extracts a book name linked with the ISBN, and outputs the extracted book name to a reading passbook.

도서명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통장 정리장치의 저장부(17)에 저장될 수 있다. The book title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of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상기 도서명들은 오프라인 상에서, 외부저장장치(USB 메모리)에 의해 상기 저장부(17)에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itle name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 by an external storage device (USB memory), offline.

또한, 상기 도서명들은 상기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독서통장 정리장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tle names may be used by the reading passbook organizing device in a state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또한, 상기 도서명들은, 온라인 상에서, 포털 사이트 또는 기관 등과 같이 도서명들을 제공하는 도서명 제공처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tle names may be transmitted from a title provider providing a title of a book, such as a portal site or an institu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독서통장 정리장치 11: 제어부
12: 입출력부 13: 바코드 리더
14: 태그리더 15: 외부저장장치 통신부
16: 내트워크 통신부 17: 저장부
18: 영수증 발급부 19: 프린터
21: 케이스 22: 독서통장 투입부
23: 독서통장 지지대 24: 손잡이
10: Reading bankbook organizer 11:
12: I / O unit 13: Barcode reader
14: tag reader 15: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part
16: internal network communication unit 17:
18: Receipt issuing unit 19: Printer
21: Case 22: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23: reading passbook support 24: handle

Claims (6)

도서에 부착된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바코드를 읽는 바코드 리더;
투입되는 독서통장을 지지하는 독서통장 지지대가 장착되어 있는 독서통장 투입부;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독서통장에 부착된 태그를 읽으며,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 또는 상기 독서통장 지지대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추출하는 제어부;
추출된 상기 도서명을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에 투입된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하는 프린터;
상기 도서에 부착 또는 인쇄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스캐너;
외부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저장장치 통신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도서목록 제공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그 리더는,
상기 독서통장에 부착되어 있는 무선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상기 독서통장에 부착 또는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독서통장 투입부를 통해 독서통장이 투입되었음을 확인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리더를 통해 독서통장이 투입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도서에 부착된 상기 국제표준도서번호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거나, 상기 스캐너를 통해 분석된 상기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도서에 매칭되는 도서명을 상기 외부저장장치 또는 상기 도서목록 제공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도서명이 상기 독서통장에 프린트되도록 상기 프린터를 제어하는 독서통장 정리장치.
A barcode reader that reads a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ISBN) bar code attached to the book;
A reading passbook input unit equipped with a reading passbook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input passbook;
A tag reader that reads a tag attached to a reading passbook input through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and is mounted on the reading passbook input unit or the reading passbook support;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 title name match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 printer for printing the extracted title name on the reading passbook inserted in the reading passbook input section;
A scanner for analyzing images attached to or printed on the book;
An external storage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via the network,
The tag reader includ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attached to the reading passbook or a barcode attached or printed on the reading passbook to confirm that the reading passbook is inserted through the reading passbook input part,
Wherein the control unit extracts a title name match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attached to the book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ading passbook is inserted through the tag reader, Extracting a title name matching the book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book list providing system using the analyzed image, and controlling the printer so that the extracted book name is printed in the reading passboo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의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도서에 대한 영수증을 발행하는 영수증 발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비용에 대한 영수증이 출력되도록 상기 영수증 발급부를 제어하는 독서통장 정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t of the book; And
And a receipt issuing unit for issuing a receipt for the book,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eipt issuance unit to output a receipt for a cost inputted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12749A 2015-08-10 2015-08-10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KR101607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749A KR101607601B1 (en) 2015-08-10 2015-08-10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JP2015191145A JP6105015B2 (en) 2015-08-10 2015-09-29 Reading passbook organizing device
CN201610550290.6A CN106447570B (en) 2015-08-10 2016-07-13 Reading book regularization device
CN201620737502.7U CN205942797U (en) 2015-08-10 2016-07-13 Reading book finishing device
TW105124524A TWI615782B (en) 2015-08-10 2016-08-02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TW105211668U TWM544669U (en) 2015-08-10 2016-08-02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749A KR101607601B1 (en) 2015-08-10 2015-08-10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601B1 true KR101607601B1 (en) 2016-03-30

Family

ID=5566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749A KR101607601B1 (en) 2015-08-10 2015-08-10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05015B2 (en)
KR (1) KR101607601B1 (en)
CN (2) CN205942797U (en)
TW (2) TWM544669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2590B2 (en) * 2017-03-31 2022-09-07 株式会社新興製作所 Reading history recor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27B1 (en) * 2009-11-24 2010-07-23 주식회사 아이브이에스 System and method for self check-out-in, reading passbook printing and preventing loosing materials using kiosk
KR101264408B1 (en) * 2009-03-26 2013-06-20 주식회사 이씨오 Personal Reading History Management System using Online Catalogu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9895A (en) * 1998-07-13 2000-01-28 Hitachi Ltd Reading aiding system
JP2001054994A (en) * 1999-08-17 2001-02-27 Dainippon Printing Co Ltd Book lending card and book lending system
CN201126603Y (en) * 2007-12-07 2008-10-01 深圳市海恒智能技术有限公司 Bibliotheca self-help book-returning sorter
TWM439861U (en) * 2012-04-11 2012-10-21 Auden Technology Corp Intelligent bookself identification system
US20130325581A1 (en) * 2012-06-05 2013-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library lending activation
JP5869989B2 (en) * 2012-08-24 2016-0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Article coll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TWI530881B (en) * 2013-12-02 2016-04-21 Univ Kao Yuan Automatic borrowing system and method
CN204576687U (en) * 2015-04-07 2015-08-19 济南大学 A kind of intelligent librar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08B1 (en) * 2009-03-26 2013-06-20 주식회사 이씨오 Personal Reading History Management System using Online Catalogue
KR100972127B1 (en) * 2009-11-24 2010-07-23 주식회사 아이브이에스 System and method for self check-out-in, reading passbook printing and preventing loosing materials using kio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37612A (en) 2017-02-16
CN106447570B (en) 2019-02-05
CN205942797U (en) 2017-02-08
TWI615782B (en) 2018-02-21
JP6105015B2 (en) 2017-03-29
CN106447570A (en) 2017-02-22
TWM544669U (en) 2017-07-01
TW201706921A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66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electronic wallet
CN206893000U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goods-selling system
CN100334830C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digital signature system and method
WO20141044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device for selecting payment means
US20140114861A1 (en) Hand-held self-provisioned pin ped communicator
EP2270723A1 (en) Multi-touch surface interaction
CN105389725A (en) Pre-input platform and method, type-in equipment and method, and form filling method and system
CN105247541A (en) Improved extraction of financial account information from digital image of card
CN104239811A (en)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206075401U (en) A kind of sales counter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JP7091684B2 (en) Donation application terminal, terminal program, donation application support system and processing program
CN103778502A (en) Information certificate system and relate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07601B1 (en) Reading passbook printing apparatus
CN104331785A (en) Multifunctional store management platform
Olaniyi et al.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Management of Library’s Readers’ Desk
CN10664923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user-defined worksheet of mobile device
CN108053580A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that deposit receipt cancellation is carried out using self-service device
JP6977799B2 (en) Service use application registration system
CN215068490U (en) Business counter
CN208781111U (en) The self-service application terminal of loans for supporting students
JP2022098696A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Yadav et al. Multipurpose student smart card
TWI477982B (en) Cloud certificat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RU57487U1 (en) REMOTE OBTAINING SYSTEM FOR USER ACCOUNT IN THE BANK
KR200435002Y1 (en) Vending machine for outputting data and data output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