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874B1 -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874B1
KR101606874B1 KR1020120155963A KR20120155963A KR101606874B1 KR 101606874 B1 KR101606874 B1 KR 101606874B1 KR 1020120155963 A KR1020120155963 A KR 1020120155963A KR 20120155963 A KR20120155963 A KR 20120155963A KR 101606874 B1 KR101606874 B1 KR 101606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electrodes
touch
common voltage
dr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5995A (ko
Inventor
김경아
우윤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874B1/ko
Priority to TW102146246A priority patent/TWI517000B/zh
Priority to JP2013262160A priority patent/JP5748831B2/ja
Priority to CN201310714252.6A priority patent/CN103914175B/zh
Priority to US14/141,942 priority patent/US9285910B2/en
Publication of KR2014008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들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패널;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공통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패널의 구동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 상기 공통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전극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그룹별로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스크린 내의 터치 센서를 가압하여(누르거나 터치하여)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이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를 위해 표시장치의 내부에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소자들을 내장하는 인셀 타입(In-cell type)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인셀 타입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인셀 타입 자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인셀 타입 자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11)을 포함하는 패널(10), 외부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패널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해 패널 내부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 및 패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IC(40)을 포함하며, 터치 IC(40)는 복수의 터치 IC(41,42)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프레이 드라이버 IC(20)는 패널(10)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의 복수의 전극과 터치 IC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신호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의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일반적인 인셀 타입 자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이 1 프레임 내에서 동기신호에 따라 시분할되어 구동한다. 또한, 복수의 터치 IC(41,42)에서 복수의 전극들로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스캔 신호가 인가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전극 그룹들을 스위칭부와 연결시켜, 공통전압 또는 터치 스캔 신호를 스위칭부를 통해 각각의 전극들로 인가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와 스위칭부가 패널에 포함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들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패널;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공통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패널의 구동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 상기 공통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전극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그룹별로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공통 전압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 상기 공통 전압 및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패널,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터치 IC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구동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상기 전극들로 상기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의 구동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상기 전극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그룹별로 기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 그룹들을 스위칭부와 연결시켜, 공통전압 또는 터치 스캔 신호를 스위칭부를 통해 각각의 그룹 내의 전극들로 인가시킴으로써, 터치 IC 및 터치 IC 채널 개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와 스위칭부를 패널에 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의 신호의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스위칭부의 연결관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의 신호의 타이밍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의 신호의 타이밍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전극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으로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2개 및 3개의 그룹으로 전극들을 분할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극들을 2개 및 3개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4개 이상의 그룹으로도 전극들을 분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도 3, 도 4 및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스위칭부의 연결관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의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그룹(111,112)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101)들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0) 및 스위칭부(300)를 포함하는 패널,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300)로 인가하는 터치 IC(40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0)는 공통 전압을 생성하여 스위칭부(300)로 인가하고, 스위칭부(300)는 패널(100)의 구동모드에 따라 복수의 전극(101)들로 공통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전극들을 2개의 그룹(111,112)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2개의 그룹(111,112)별로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먼저, 패널(100)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널(100)은 자기 정전용량 방식을 적용한 인셀 타입의 터치스크린이며, 표시 영역(110) 및 비표시 영역(120)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복수의 전극(101)들은 표시 영역(110)에 포함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0) 및 스위칭부(300)는 비표시 영역(120)에 포함되어 있으며, 복수의 전극(101) 들과 스위칭부(300)는 복수의 배선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패널(110)의 표시 영역(110)은 두 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110)의 하부 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들(Thin Film Transistor),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픽셀 전극들 및 픽셀 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충전된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하며,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패널의 표시 영역(11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101)들은 패널(100)의 복수의 화소 전극과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전극(101)들은 패널의 구동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각 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과 함께 액정을 구동하는 공통 전극으로 동작하며 패널의 구동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터치IC(400)로부터 인가되는 터치 스캔 신호에 의해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전극으로 동작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0)는 패널(100)의 구동 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복수의 전극(101)들로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패널의 구동 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전극들을 2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2개의 그룹별로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0)는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고, 복수의 전극(101)들을 공통 전극 또는 터치 전극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통전압 생성부(210), 동기신호 생성부(220) 및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통전압 생성부(210)는 공통전압(Vcom)을 생성하여 스위칭부(300)에 인가한다.
다시 말해, 패널의 구동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복수의 전극들에 영상 출력을 위해 인가될 공통전압을 생성하여 스위칭부(300)에 인가한다.
동기신호 생성부(220)는 패널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패널의 구동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공통전압 생성부(210)의 공통전압(Vcom)이 스위칭부(300)를 통해 복수의 전극(101)들로 인가되도록 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고, 패널의 구동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터치 IC(400)의 터치 스캔 신호가 2개의 그룹(111,112)들로 인가되도록 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전극(101)들이 공통전압 생성부(210)와 동시에 연결되도록 하거나, 복수의 전극(101)들이 터치 IC(400)와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신호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이면,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공통전압 생성부(210)에서 인가된 공통전압을 복수의 전극(101)들로 동시에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신호가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이면,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터치 IC(400)에서 인가된 터치 스캔 신호를 2개의 그룹(111,112)별로 순차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스위칭부(300)는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스위칭부(310) 및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스위칭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신호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이고,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의 제어 신호가 이에 따른 제어신호이면 공통전압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공통전압이 복수의 전극(101)들에 인가되며,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신호가 터치 구동모드를 지사하는 동기신호이고,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230)의 제어 신호가 이에 따른 제어신호이면 터치 IC(400)에서 생성된 터치 스캔 신호가 2개의 그룹(111,112)별로 인가된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구동 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패널의 모든 전극들로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패널의 구동 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제1 그룹(111)에 제1 MUX를 통해 패널의 터치 입력 여부 감지를 위한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제2 그룹(112)에 제2 MUX를 통해 패널의 터치 입력 여부 감지를 위한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구동모드 일 때 인가되는 공통전압 역시 제1 MUX 및 제2 MUX를 통해 패널의 모든 전극들로 동시에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칭부(300)의 제1 스위칭부(310) 및 제2 스위칭부(320)의 구체적인 세부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위칭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신호를 받아 제2 스위칭부(320)를 공통전압 생성부(210) 또는 터치 IC(400)와 연결시킨다. 즉, 동기신호 생성부(220)의 동기 신호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이면, 공통전압 생성부(210)와 제2 스위칭부(320)를 연결시키고, 동기 신호가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이면, 터치 IC(400)와 제2 스위칭부(320)를 연결시킨다. 제1 스위칭부(310)는 복수의 2:1 멀티플렉서(MUX) 일 수 있다.
제2 스위칭부(320)는 스위칭 제어신호 생성부(230)의 제어신호를 받아 제1 스위칭부(310)를 복수의 전극들과 연결시키거나, 제1 스위칭부(310)를 제1 그룹(111)에 포함되는 전극들에 연결시키고 제1 스위칭부(310)를 제2 그룹(112)에 포함되는 전극들에 연결시킨다. 다시 말해, 스위칭 제어신호 생성부(240)의 제어 신호가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이면, 복수의 제1 스위칭부(310)와 복수의 전극들을 연결시키고, 제어 신호가 터치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이면, 제1 스위칭부(310)를 제1 그룹(111) 및 제2 그룹(112)별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스위칭 제어신호 생성부(230)의 제어 신호가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이면, 디스플레이 구동 모드 동안 제2 스위칭부 A는 전극 a1 및 a2에 연결되고, B는 전극 b1 및 b2에 연결되고, C는 전극 c1 및 c2에 연결되고, D는 전극 d1 및 d2에 연결되고, E는 전극 e1 및 e2에 연결되고, F는 전극 f1 및 f2에 연결된다.
만약, 제어 신호가 터치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이면, 1 프레임 이내의 터치 구동 모드 동안 스위칭부 A는 전극 a1에 연결되고, B는 전극 b1에 연결되고, C는 전극 c1에 연결되고, D는 전극 d1 에 연결되고, E는 전극 e1 에 연결되고, F는 전극 f1 에 연결되고, 다시 스위칭부 A는 전극 a2에 연결되고, B는 전극 b2에 연결되고, C는 전극 c2에 연결되고, D는 전극 d2에 연결되고, E는 전극 e2 에 연결되고, F는 전극 f2 에 연결된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터치 IC(400)는 스위칭부(300)를 통해 복수의 전극(101)들에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시킨 후, 전극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극에 대한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IC(400)는 터치 감지를 위해 패널의 복수의 전극들에 공급될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캔 신호는 터치 구동 전압일 수 있으며, 상기 터치 구동 전압은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해 패널의 복수의 전극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구동 전압은 공통 전압에 해당되는 전압을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갖고, 그 보다 큰 전압을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IC(400)는 복수의 전극(101)들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터치 좌표를 연산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된 터치 좌표는 표시장치의 시스템부로 전달되어 패널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터치 좌표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도 5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의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3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의 구동모드에 따라 복수의 전극(101)들로 공통전압을 인가하거나, 분할된 3개의 그룹(111,112,113)별로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
다시 말해, 패널(100)의 구동 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복수의 전극들로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패널의 구동 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분할된 3개의 그룹(111,112,113)별로 제1 MUX, 제2 MUX 및 제3 MUX를 통해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패널의 구동 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패널의 모든 전극들로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패널의 구동 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제1 그룹(111)에 제1 MUX를 통해 패널의 터치 입력 여부 감지를 위한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제2 그룹(112)에 제2 MUX를 통해 패널의 터치 입력 여부 감지를 위한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하고, 제3 그룹(113)에 제3 MUX를 통해 패널의 터치 입력 여부 감지를 위한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한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구동모드 일 때 인가되는 공통전압 역시 제1 MUX 내지 제3 MUX를 통해 패널의 모든 전극들로 동시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00) 및 스위칭부(300)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다양한 구동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은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공통 전압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복수의 전극들로 공통 전압 및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패널,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터치 IC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공통전압 생성부,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 및 동기 신호에 따라 전극들을 공통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하거나, 전극들이 터치 IC와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스위칭부는 동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패널의 구동모드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전극들로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전극들로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위칭부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를 입력 받으면, 공통전압 생성부와 제2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복수의 제2 스위칭부가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복수의 제1 스위칭부와 전극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패널의 구동모드가 터치 구동모드이면, 전극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별로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의 그룹별로 터치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는 제1 스위칭부가 제1 스위칭부가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를 입력 받으면, 터치 IC와 제2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제2 스위칭부가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제1 스위칭부와 전극들을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극 그룹들을 스위칭부와 연결시켜, 공통전압 또는 터치 스캔 신호를 스위칭부를 통해 각각의 그룹 내의 전극들로 인가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와 스위칭부가 패널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널 110 : 표시 영역
120 : 비표시 영역 200 :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210 : 공통전압 생성부 220 : 동기신호 생성부
230 :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 300 : 스위칭부
310 : 제1 스위칭부 320 : 제2 스위칭부
400 : 터치 IC

Claims (11)

  1.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들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패널;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터치 IC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공통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1프레임의 디스플레이 구동모드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들 전체에 상기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1프레임의 터치 구동모드 동안 상기 터치 IC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상기 복수의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 전체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극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모드이면, 상기 전극들은 공통 전극으로 동작을 하며, 상기 구동모드가 상기 터치 구동모드이면, 상기 전극들은 터치 전극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상기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공통전압 생성부;
    상기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 및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들을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극들이 상기 터치 IC와 상기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 및 상기 터치 IC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제1 동기 신호이면,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제2 동기 신호이면, 상기 터치 IC와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그룹 별로 하나의 전극에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 동기 신호에 따른 제1 제어 신호이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전극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2 동기 신호에 따른 제2 제어 신호이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전극들을 상기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복수의 2:1 멀티플렉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8.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로 상기 공통전압 및 터치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패널,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는 터치 IC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1프레임의 디스플레이 구동모드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전극들 전체에 상기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1프레임의 터치 구동모드 동안 상기 터치 IC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상기 복수의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 전체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상기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공통전압 생성부;
    상기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 및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전극들을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극들이 상기 터치 IC와 상기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들 전체에 상기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칭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스위칭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복수의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전극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전극들 전체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칭부가 상기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터치 IC와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상기 터치 구동모드를 지시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상기 전극들을 상기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20155963A 2012-12-28 2012-12-28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06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63A KR101606874B1 (ko) 2012-12-28 2012-12-28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102146246A TWI517000B (zh) 2012-12-28 2013-12-13 內嵌型觸控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2013262160A JP5748831B2 (ja) 2012-12-28 2013-12-19 タッチスクリーン一体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201310714252.6A CN103914175B (zh) 2012-12-28 2013-12-20 内置式触摸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4/141,942 US9285910B2 (en) 2012-12-28 2013-12-27 In-cell type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switching par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63A KR101606874B1 (ko) 2012-12-28 2012-12-28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995A KR20140085995A (ko) 2014-07-08
KR101606874B1 true KR101606874B1 (ko) 2016-03-28

Family

ID=5101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963A KR101606874B1 (ko) 2012-12-28 2012-12-28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5910B2 (ko)
JP (1) JP5748831B2 (ko)
KR (1) KR101606874B1 (ko)
CN (1) CN103914175B (ko)
TW (1) TWI5170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1275B2 (en) 2016-08-24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2064B2 (en) * 2014-03-20 2017-05-16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display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source driver
KR101681806B1 (ko) * 2014-08-11 2016-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CN104133594B (zh) * 2014-08-12 2017-03-22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触控面板和适用于触控面板的检测方法
CN104240631B (zh) * 2014-08-18 2016-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Goa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4199577B (zh) * 2014-09-25 2017-02-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向触控面板提供同步信号的方法及电路
KR101699405B1 (ko) * 2014-10-14 2017-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의 검사 방법
TWI545481B (zh) * 2014-10-17 2016-08-1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內嵌式觸控顯示系統、內嵌式觸控面板及其佈局
KR102291565B1 (ko) 2014-12-03 2021-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EP3037931B1 (en) 2014-12-22 2018-06-20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display device
US9703439B2 (en) 2014-12-26 2017-07-11 L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2320514B1 (ko) 2014-12-30 2021-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방식 액정표시장치
KR102257980B1 (ko) 2014-12-31 2021-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310484B1 (ko) 2014-12-31 2021-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260600B1 (ko) 2014-12-31 2021-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
CN104484077B (zh) * 2015-01-05 2018-09-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触控功能的显示面板及其触控检测方法
KR102338709B1 (ko) * 2015-01-30 2021-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12902B1 (ko) * 2015-01-30 2021-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52181B1 (ko) 2015-04-15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EP3089002B1 (en) * 2015-04-30 2021-09-08 L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US10474288B2 (en) 2015-05-28 2019-11-1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control method for touch device
US9996187B2 (en) * 2015-05-28 2018-06-1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control module for touch device and related touch control method
TWI560597B (en) * 2015-05-29 2016-12-01 Hon Hai Prec Ind Co Ltd In-cell touch display panel
CN104932134B (zh) * 2015-06-30 2018-01-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基板
US9690437B2 (en) * 2015-08-26 2017-06-2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in-cell touch structur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747263B1 (ko) 2015-09-25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드라이버ic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08163B1 (ko) 2015-10-12 2022-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회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CN106648189A (zh) * 2015-10-30 2017-05-10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系统及其驱动装置与驱动方法
TWI564873B (zh) * 2015-11-03 2017-01-0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系統及其驅動裝置與驅動方法
WO2017125828A1 (en) * 2016-01-20 2017-07-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put device,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US10474281B2 (en) * 2016-02-24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55827B1 (ko) * 2016-08-31 2023-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형 표시장치
CN209496345U (zh) * 2016-09-30 2019-10-15 深圳深微创芯科技有限公司 驱动电路
KR102617273B1 (ko) 2016-10-31 2023-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표시 장치
KR102573208B1 (ko) * 2016-11-30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TWI611332B (zh) * 2017-01-06 2018-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感測顯示面板
JP6903476B2 (ja) * 2017-04-20 2021-07-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897456B (zh) * 2018-07-10 2022-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13330502B (zh) * 2019-03-14 2023-09-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摸检测装置、显示装置的触摸检测方法、以及显示系统
JP7373797B2 (ja) * 2019-03-27 2023-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表示装置
TWI736896B (zh) * 2019-05-22 2021-08-21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內嵌式觸控顯示面板
KR20210059961A (ko)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표시장치
JP2022174440A (ja) * 2021-05-11 2022-11-24 上海天馬微電子有限公司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の駆動方法
CN114564122B (zh) * 2022-03-03 2023-07-2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电路、触控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484B1 (ko) * 2006-06-09 2012-10-12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980B2 (ja) * 1995-07-18 2000-11-2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0955339B1 (ko) * 2008-04-22 2010-04-29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 및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패널을 이용하는 접촉 및 접근 감지방법
US8760412B2 (en) * 2009-02-02 2014-06-24 Apple Inc. Dual configuration for display data lines
US8922521B2 (en) * 2009-02-02 2014-12-30 Apple Inc. Switching circuitry for touch sensitive display
CN101943961B (zh) * 2009-07-08 2014-08-20 新励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触控式平板显示器的驱动实现
KR101761580B1 (ko) 2010-09-08 2017-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20049019A (ko) * 2010-11-08 2012-05-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KR101773613B1 (ko) * 2011-02-25 2017-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일체형 표시장치
KR101503103B1 (ko) 2011-03-25 2015-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TW201415124A (zh) 2012-10-11 2014-04-16 Rich Ip Technology Inc 具觸控功能之薄膜電晶體液晶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484B1 (ko) * 2006-06-09 2012-10-12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1275B2 (en) 2016-08-24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995A (ko) 2014-07-08
TWI517000B (zh) 2016-01-11
US9285910B2 (en) 2016-03-15
US20140184543A1 (en) 2014-07-03
CN103914175A (zh) 2014-07-09
CN103914175B (zh) 2017-03-01
TW201426457A (zh) 2014-07-01
JP5748831B2 (ja) 2015-07-15
JP2014130350A (ja)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87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70455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16003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35852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US9817510B2 (en) Display device with an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48031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80315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30320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00185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189097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in-cell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33736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34453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15064854A (ja) タッチスクリーン一体型表示装置
KR101674880B1 (ko) 터치 스크린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95998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75656A (ko) 터치방식 표시장치
KR101688428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78765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40082201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