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036B1 -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036B1
KR101606036B1 KR1020130122514A KR20130122514A KR101606036B1 KR 101606036 B1 KR101606036 B1 KR 101606036B1 KR 1020130122514 A KR1020130122514 A KR 1020130122514A KR 20130122514 A KR20130122514 A KR 20130122514A KR 101606036 B1 KR101606036 B1 KR 10160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edestal
beverage
main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43746A (en
Inventor
최재구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최재구
김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구, 김준희 filed Critical 최재구
Priority to KR102013012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036B1/en
Publication of KR2015004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7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및 주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뚜껑과 받침대를 포함하며, 본체를 역으로 뒤집어 본체의 지지부를 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컵으로서 형태를 갖추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뿐만 아니라 컵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음료 및 주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폭이 좁고 가느다란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 개방부를 밀폐하되 일정한 개봉수단을 구비하며, 중앙부에는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놓여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뚜껑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돌출부에는 상기 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including a main body, a lid and a pedest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everage and a mainstream container which can be used.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and have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drinks and spirits therein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narrow width and narrow shape at the upper side, A lid having a circular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pedestal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and having a protrusio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lid And a hollow is formed on the protrusion of the pedestal so that the support part can be inserted and fixed while the main body rotates 180 degrees.

Description

음료 및 주류 용기{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0002]

본 발명은 음료 및 주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뚜껑과 받침대를 포함하며, 본체를 역으로 뒤집어 본체의 지지부를 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컵으로서 형태를 갖추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뿐만 아니라 컵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including a main body, a lid and a pedest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everage and a mainstream container which can be used.

음료 및 주류 용기란 일반적으로 음료나 술 등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를 말하는데, 내용물이나 제조회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형상을 가진 용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Drinks and liquor containers are containers that generally contain contents such as beverages and alcohol. Containers of various shapes are proposed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manufacturer.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1060호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61060 discloses a prior art related thereto.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 1B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본체(1)와, 본체(1)를 밀폐하는 뚜껑(2)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composed of a main body 1 containing contents and a lid 2 sealing the main body 1.

본체(1)는 개방된 상측이 큰 내경을 갖고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며 폐쇄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하측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 중 선택된 면에는 제1 연결부(1a)가 구비되고, 뚜껑은 그 중앙부의 내, 외 어느 일측면으로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2a)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funnel shape having an opened upper side having a larger inner diameter and gradually decreasing in inn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and hav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1a on a selected one of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a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on one side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enter part.

상기 종래기술은 본체 내부에 담겨진 음료나 주류 등의 내용물을 섭취한 상태에서 뚜껑(2)을 분리한 후 그 중앙부에 구비된 제2 연결부(2a)를 본체(1)의 하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1a)에 결합함으로써 컵 또는 술잔의 기능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the prior art, the lid 2 is detach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such as a beverage or a main stream contained in the main body are consumed, and th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a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has a function of cup or cup as 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a.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별도의 컵이 없이도 용기 자체를 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폐기물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container itself can be used as a cup without a separate cup, and the was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ass-produced.

그러나, 내용물과 접촉되는 뚜껑(2)을 받침대로 사용함으로써 받침대의 외부가 지저분할 수 있으며 위생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받침대의 밑면이 평탄하고 밋밋하여 미끄러지기 쉬운 단점이 존재한다. However, by using the lid (2)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as a pedestal, the outer surface of the pedestal may be dirty and may be a problem in hygien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edestal is flat, flat and slippery.

KRKR 10-2013-006106010-2013-0061060 A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본체와는 별도로 받침대를 구비하고 본체를 역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본체의 지지부를 받침대에 고정하여 컵의 형태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용기뿐만 아니라 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container in a container, To provide a beverage and a liquor container which can function not only as a container but also as a cup.

또한, 본체의 지지부를 받침대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and a mainstream container which can easily fix the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to the pedestal.

또한, 본체를 뚜껑이 아닌 별도의 받침대에 고정함으로써 컵으로 이용시 위생상으로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and a mainstream container that can be kept clean even in a sanitary state when used as a cup by fixing the main body to a separate pedestal instead of a lid.

또한, 받침대의 밑면에 방사형의 미끄럼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테이블 등의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음료 및 주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and a mainstream container that does not slip from the floor of a table or the like by providing radial nonslip par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destal.

또한, 1회용으로 사용한 뒤 버리는 것이 아니라 컵으로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폐기물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and a mainstream container which can be used continuously as a cup instead of being used for a single use, thereby preventing mass production of waste.

한편, 지지부 내측에 구비된 코르크를 통하여 외부의 미세 산소가 유입되게 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는, 음료 및 주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in which the outer fine oxygen is introduced through a cork provided inside the support to effectively age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음료 및 주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폭이 좁고 가느다란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 개방부를 밀폐하되 일정한 개봉수단을 구비하며, 중앙부에는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놓여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뚜껑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돌출부에는 상기 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beverage and the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and have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beverages and liquor therein, and a narrow and thin support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 body; A lid having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a center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opening means for closing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an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li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lid.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protector is rotated 180 degrees And a hollow is formed thereon.

또한, 상기 개봉수단은 원터치 방식 또는 나사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ning means may be realized by a one-touch method or a screw method.

또한, 상기 받침대의 아랫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방사형의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adial non-slip portion arranged radially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edestal.

또한, 상기 지지부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is circular or polygonal.

한편,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이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코르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cork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through hole is sealed.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지지부를 받침대에 고정하여 컵의 형태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용기뿐만 아니라 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pedestal to form the shape of the cup, it is possible to function as a cup as well as a cup.

또한, 본체의 지지부를 받침대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can be easily fixed to the pedestal.

또한, 컵으로 이용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테이블 등의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can maintain a clean state when used as a cup, and has an effect of not slipping from the bottom of a table or the like.

또한, 컵으로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폐기물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continuously used as a cup, thereby preventing mass production of waste.

한편, 본체내에 수용된 와인이나 막걸리 등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ents such as wine or makgeolli contained in the main body can be aged effectively.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받침대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상태 사시도.
도 4는 180도 회전한 본체의 사시도.
도 5a는 뚜껑의 윗면 사시도.
도 5b는 뚜껑의 아랫면 사시도.
도 6a는 받침대의 윗면 사시도.
도 6b는 받침대의 아랫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변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Fig. 1B is a state of use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separated from the lid.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rotated 180 degrees.
5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lid.
Figure 5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id.
6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using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음료 및 주류 용기는 음료뿐만 아니라 주류 등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용기채 마시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beverage and the mai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beverage but also as a container for holding contents such as a mainstream, and as a cup for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drinking the contents.

일반적으로 휴대형 음료나 주류는 그 양이 적고, 1회에 음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주류 용기 자체가 한 잔의 술 또는 음료, 즉 원컵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므로 그 사용 양태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Generally, since the amount of the portable beverage or the main stream is small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drink can be consumed at one time, the mainstream container itself functions as a drink or a drink, that is, a one cup.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받침대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180도 회전한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뚜껑의 윗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뚜껑의 아랫면 사시도이며, 도 6a는 받침대의 윗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받침대의 아랫면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separated from a li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rotated by 180 degrees, FIG. 5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id, FIG. 6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and FIG. 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는 역 깔때기 형상의 본체(120)와, 본체(120)를 밀폐하는 뚜껑(140)과, 뚜껑(140)의 아랫면에 놓여지는 받침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6B, a beverage and mainstream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d funnel-shaped main body 120, a lid 140 for sealing the main body 120, a lid 140 And a pedestal 160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destal 150.

본체(120)는 역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주류 또는 음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폭이 좁고 가느다란 형태의 지지부(122)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개방부(124)가 형성된다. The main body 120 is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and has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contents such as a mainstream or a drink, a support part 122 having a narrow width and narrow shape at the upper side, An opening 124 is formed to allow the liquid to flow out.

본체(120)의 형태는 편의상 원형이나 사각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물이나 소비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체(12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종이재, 유리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and the taste of the consumer, and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20 may be a plastic, a metal, a paper material , Glass, or the like.

지지부(122)는 사용자가 본체(120) 내부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본체(120)를 180도 회전하였을 때 내용물을 담고 있는 본체(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받침대(160)의 중공(164)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가느다란 형태를 갖는다. The support portion 122 serves to support the main body 120 containing the contents when the user rotates the main body 120 by 180 degrees in order to drink the contents inside the main body 120, 164). The width is narrow and narrow.

지지부(12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각형을 가진 지지부(122)는 본체(120)가 받침대(160)에 고정되었을 때 받침대(160)상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22 may have various shapes, but preferably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In particular, the support portion 122 having a polygonal shape can prevent the body 120 from loosening on the pedestal 160 when the main body 120 is fixed to the pedestal 160.

한편, 본체(120)의 하측에 위치한 개방부(124)를 밀폐하는 뚜껑(140)은 일정한 개봉수단을 구비하며, 아랫면 중앙부에는 원형의 삽입홈(142)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lid 140, which hermetically seals the opening 124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20, has a predetermined opening means, and a circular insertion groove 14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개봉수단은 원터치 방식 또는 나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원터치 방식의 뚜껑(14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44)와 손잡(144)이 양측에서 연장되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146)을 구비하게 된다. 원터치 방식의 경우 간편하게 뚜껑 손잡이(144)를 반대방향으로 젖혀 일정한 힘을 가해주면 손잡이(144) 양측의 절취선(144) 부분부터 점차적으로 절취됨에 따라 테두리 안쪽부분이 들어 올려져 원터치로 개봉될 수 있다.The lid 140 of the one-touch type may include a handle 14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im and a handle 144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im 140, as shown in FIG. 5A, And a perforated line 146 formed along the perforated line. In the case of the one-touch method, if the lid grip 144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constant force is applied, the inside of the rim 144 is lifted up from the perforated line 144 on both sides of the grip 144, .

한편, 나사방식의 뚜껑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져 본체를 밀폐하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주었을 때 나사결합이 풀어져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개봉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crew-type lid is screwed to a screw thread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main body, and when the screw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screw is loosened and released from the main body.

원형의 삽입홈(142)은 받침대(160)의 윗면에 형성된 돌출부(16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두께가 얇은 뚜껑(140)에 받침대가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윗방향으로 만곡되어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ircular insertion groove 142 is a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16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60 is inserted and is curved upwardly so that the pedestal can be inserted and attached to the thin lid 140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받침대(160)는 본체(120)가 안전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용기(100)의 유통이나 진열과정에서는 뚜껑(140)의 아랫면에 부착된 상태로 존재하며, 사용자가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용기(100)를 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이블이나 탁자의 바닥에 놓여지게 된다. 한편 그 재질은 본체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금속, 종이재, 유리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pedestal 160 is a part that serves as a support for the body 120 to be safely erected and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140 during the distribution and display of the container 100, When the container 100 is used as a cup, it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table or the table.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metal, paper, glass or the like as in the main body.

받침대(160)의 아랫면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곽으로 뻗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방사형의 미끄럼 방지부(166)가 형성된다. 이때 미끄럼 방지부(166)는 받침대(160)와 일체로 제작되어 받침대(16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대(160)와 별도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destal 160, a radial anti-slip portion 166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At this time, the non-slip portion 166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edestal 16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on-slip portion 166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pedestal 160, And a rubber that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한편, 받침대(160)의 윗면 중앙부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40)에 형성된 삽입홈(142)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62)가 형성되며, 돌출부(162)의 중앙에는 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본체(120)의 지지부(122)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122) 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중공(164)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162)는 중공(162)에 본체(120)의 지지부(122)가 충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응축력 있는 재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6A, a projection 162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6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2 formed in the lid 140, A hollow 164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62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22 of the main body 12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is rotated 180 degrees . The protrusion 16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ompressive forc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22 of the main body 120 can be sufficiently fixed to the hollow 16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는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이고, (b)은 받침대가 뚜껑으로부터 분리된 상태 사시도이며, (c)는 받침대가 바닥이나 테이블에 놓여진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뚜껑이 위쪽으로 바라보도록 180도 회전한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d)는 본체의 지지부 끝단이 받침대의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사시도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using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liquor container, (b)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base is separated from the lid, (c) (D)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itted to the protrusion of the pedest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의 사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using the beverage and the main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태의 용기와 달리 일측은 폭이 좁고 타측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편의점이나 마트 등의 상품 진열대에 진열된 용기는 거치대가 있는 경우는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폭이 넓은 하단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고 폭이 좁은 지지부가 위쪽을 향하도록 놓이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the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nel shape with a narrow side on one side and a relatively wide width on the other side, unlike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container. Therefore, containers placed on commodity shelv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marts are usually placed so that the wide bottom portion faces downward and the narrow support portion faces upward.

다음으로, 사용자가 용기의 내용물, 즉 음료나 주류를 섭취하기 전 용기(100)를 컵으로 애용하기 위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60)를 본체(120)의 뚜껑(140)으로부터 분리하고 받침대(160)는 테이블이나 식탁의 바닥에 놓여지도록 한다. Next, the user holds the pedestal 160 in the lid 140 of the main body 120 as shown in (b) in order to use the container 100 as a cup before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that is, And the pedestal 160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table or table.

그런 다음, (c)에서와 같이 본체(120)를 역으로 뒤집어 개방부(124)가 위쪽으로 가도록 하고 지지부(122)는 아래쪽에 위치시킨 후, 지지부(122)가 받침대(160)의 중공(16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1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여 지지부(122) 끝단부분을 중공(164)에 삽입시킨다.Then, as shown in (c), the main body 120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opening portion 124 is directed upward and the support portion 122 is positioned downward. Then, the support portion 12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64, a force is applied downward while holding the support portion 122 to insert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2 into the hollow 164.

지지부(122)가 받침대(160)에 고정되면, 본 발명의 용기(100)는 단순히 내용물을 담는 용기가 아닌 음료나 주류를 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컵의 구조를 갖추게 된다. When the support portion 122 is fixed to the pedestal 160, th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of a cup that allows a drink or a liquor to be easily drinkable, rather than simply a container for containing contents.

이 상태에서 뚜껑(140)을 개봉시키면, 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컵 형태의 컵에 음료나 주류를 따라 놓은 것과 같은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100)는 사용자가 단순히 용기 자체가 아닌 컵으로서 내용물을 섭취하는 것과 같게 되어 사용시 편리하고 멋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그 형태가 일반적인 컵과는 달리 와인잔 형태로 이루어져 한 층 더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해가면서 음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lid 140 is opened in this state, the same state as that in which the wine cup-shaped cup is placed along with the drink or the mainstream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take the contents as a cup, rather than simply the container itself, so that it is convenient and pleasant to use at the time of use. In particular, unlike a typical cup, its shape is composed of a wine glass, which has the advantage of enjoying a more luxurious atmosphere.

또한, 본 발명의 용기(100)는 1회용으로 사용한 뒤 버리는 것이 아니라, 컵으로서 계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다수의 폐기물이 양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continuously as a cup, not as a single use, but as a cup, thereby preventing a large amount of waste from being mass-produc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의 변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a beverage and a mai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가 존재하는 지지부(122)의 구성을 중심으로 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beverage and the mainstream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operation and effec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는 본체(120)의 지지부(122) 내측에 코르크 삽입구(122b)가 형성되며, 지지부(122) 상단에는 본체(12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122a)이 형성된다. The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k insertion port 122b formed inside a support portion 122 of a main body 120 and a cork insertion port 122b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2, A through hole 122a communicating therewith is formed.

여기서 관통홀(122a)의 직경은 코르크 삽입구(122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코르크 삽입구(122b)와 대응되는 크기의 코르크(126)를 본체(120)의 수용공간 안쪽에서 지지부(122) 내측으로 삽입하였을 때 코르크(126)의 상단면이 지지부(122) 상단 안쪽면에 맞닿게 되고 그 결과 코르크(126)가 관통홀(122a)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122) 내부의 밀폐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2a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rk insertion port 122b. Due to such a structure, the cork 126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rk insertion port 122b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120,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ork 126 abut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2 so that the cork 126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through hole 122a, 122 can be effectively enhanced.

지지부(122) 내측에 코르크(126)가 삽입되면 본체(12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122a)은 코르크(126)에 의해 밀폐되고 이에 따라 본체(120)의 내용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코르크(126)에 특성상 코르크(126) 속 공간들로 미세한 산소들이 아주 조금씩 유입되는 것은 가능하다. When the cork 126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122, the through hole 122a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120 is sealed by the cork 126, so that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120 do not flow out I can no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corks 126, it is possible for very small amounts of fine oxygen to flow into the spaces within the corks 126.

따라서, 본체(120) 내부에 와인이나 막걸리 등 효모 숙성을 필요로 하는 내용물이 수용될 경우, 그 내용물은 미세 산소 유입됨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숙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tents such as wine or rice wine are contained in the main body 120, the contents can be gradually ag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the inflow of micro-oxygen.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100)는 지지부(122) 내측에 구비된 코르크(126)를 통하여 외부의 미세 산소가 유입되게 하여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진한 향의 와인 등을 음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fine oxygen is introduced through the cork 126 provid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122, thereby effectively aging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ereby,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enjoy a wine with a strong aroma.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및 주류 용기 120: 본체
122: 지지부 122a: 관통홀
122b: 코르크 삽입구 124: 개방부
126: 코르크 140: 뚜껑
142: 삽입홈 144: 뚜껑 손잡이
146: 절취선 160: 받침대
162: 돌출부 164: 중공
166: 미끄럼 방지부
100: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0:
122: Support part 122a: Through hole
122b: Cork insertion port 124:
126: Cork 140: Lid
142: insertion groove 144: lid handle
146: Perforation line 160: Pedestal
162: protrusion 164: hollow
166:

Claims (5)

역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음료 또는 주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폭이 좁고 가느다란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 개방부를 밀폐하되 원터치 방식의 개봉수단을 구비하며, 중앙부에는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놓여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뚜껑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돌출부에는 상기 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및 주류 용기.
A body having an inverted funnel shap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beverage or liquor therein and a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in a narrow width shape;
A lid having a circular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for sealing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one-touch type opening means;
And a pedestal which is plac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d and has a protrusio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lid,
Wherein a hollow is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pedestal so that the support part can be inserted and fixed while the main body rotates 180 degre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아랫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방사형의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및 주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radial non-slip portion radially arranged is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pedes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단면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및 주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circular or polygo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이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코르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및 주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cork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through hole is sealed.
KR1020130122514A 2013-10-15 2013-10-15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KR101606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514A KR101606036B1 (en) 2013-10-15 2013-10-15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514A KR101606036B1 (en) 2013-10-15 2013-10-15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46A KR20150043746A (en) 2015-04-23
KR101606036B1 true KR101606036B1 (en) 2016-03-24

Family

ID=5303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514A KR101606036B1 (en) 2013-10-15 2013-10-15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03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46A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985A1 (en) Insulated bottle holder
US20080237242A1 (en) Insulated holder with fluid container opener
WO2005079260A2 (en) Segregated container for holding multiple substances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KR101583489B1 (en) cup
US20120043296A1 (en) Container with Wine Stem and Optional Lid and Optional Handle
JP4406683B1 (en) Wine cooler
US8141740B2 (en) Portable container
KR20130061060A (en) A container for drinking
KR101606036B1 (en) Container for drink and liquor
JP2006321540A (en) Beverage bottle
US20040137139A1 (en) Combined liquid candy and hard candy
KR200475233Y1 (en) Liquid receptacle
KR101596602B1 (en) cup
CN211168100U (en) Lid with stirring rod and cup bottle containing the same
KR200474750Y1 (en) The container having different beverages in it located on the top of a cup
KR200476250Y1 (en) bottle with keeping part
KR200261359Y1 (en) bottle cap having a multi-function
KR200244484Y1 (en) Structure of PET bottle for a drink
KR200200551Y1 (en) A receptacle with cover
KR20210001851U (en) liquid storage bottle
KR200323811Y1 (en) Opener
KR101718246B1 (en) cup
KR200260848Y1 (en) Cover of drink bottle
KR100310618B1 (en) Cups with built-in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30

Effective date: 20151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