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81B1 -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81B1
KR101605781B1 KR1020140003539A KR20140003539A KR101605781B1 KR 101605781 B1 KR101605781 B1 KR 101605781B1 KR 1020140003539 A KR1020140003539 A KR 1020140003539A KR 20140003539 A KR20140003539 A KR 20140003539A KR 101605781 B1 KR101605781 B1 KR 10160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sce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3957A (en
Inventor
박성준
강남욱
최현
김성원
조창규
Original Assignee
더컨텐츠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컨텐츠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컨텐츠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81B1/en
Publication of KR2015008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하고,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배치하는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 상기 영상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콘텐츠에 대해, 관람자 수에 따른 관람료를 결제 처리하는 관람료 결제 처리부; 상기 관람료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람자의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콘텐츠 상영부;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상기 관람자의 제2 통신 단말기와 연동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는 영상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An online scree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line screening unit opening unit for opening an online screening unit and arranging a video content list on the online screening unit; A display fee payment processing unit for paying for an image f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tators for any one of the image contents selected from the image contents list; A video content screening unit for providing the video content for which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display fee has been comple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to view the video conten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mage content control unit operable to link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and to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on the imag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0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auditorium service.

최근에는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며, 인터넷 이용의 증대와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서비스, 예를 들어, 쇼핑몰, 게임, 영화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들 중에서도 특히, 영화 서비스 분야는 영화 산업의 발전과 함께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서비스의 개발 속도 및 보급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영화 관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many people use the Internet, and various types of content services using the Internet, for example, shopping malls, games, movies, and the like, Among the various contents service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the movie service, as the interest in the movie has been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vie industry, the speed of development and the speed of the spread of the service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nd many people have used the online movie viewing service using the Internet have.

이러한 인터넷 영화 관람 제공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영화 관람을 제공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영화 목록을 검색하여 관람할 영화를 선택한다. 영화를 선택한 후 선택한 영화의 '영화감상' 버튼을 클릭하고 결제 금액을 지불한 후에 영화 관람을 시작할 수 있다. 한 편의 영화를 관람 한 후에 다시 다른 영화를 관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과정을 다시 거쳐서 관람하게 된다.In such an Internet movie viewing service, a user accesses an Internet web site providing movie viewing, searches a movie list, and selects a movie to view. After selecting a movie, you can click on the 'Watch Movie' button of the selected movie and start paying for the movie after watching the movie. To watch another movie after viewing one movie again, the user goes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again.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0030호(발명의 명칭: 인터넷상의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영화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공개일자: 2004년 04월 08일)가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030030 entitled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yber movie theater system using virtual space on the Internet, published on April 08, 20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상영관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로 감상할 수 있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scree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viewing video contents synchronized in real time through various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인 디바이스(제1 통신 단말기)와 서브 디바이스(제2 통신 단말기)를 연동하여 메인 디바이스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를 서브 디바이스에서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관람자로 하여금 각 디바이스 간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영상 관람을 하면서 그 밖에 필요한 부가 기능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ght to control image contents displayed on a main device in a sub device by interlocking a main devic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ub devic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an online theater service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allows users to utilize additional functions necessary while viewing an image by making full use of the functions among the devi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하고,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배치하는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 상기 영상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콘텐츠에 대해, 관람자 수에 따른 관람료를 결제 처리하는 관람료 결제 처리부; 상기 관람료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람자의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콘텐츠 상영부;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상기 관람자의 제2 통신 단말기와 연동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는 영상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An online scree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line screening unit opening unit for opening an online screening unit and arranging a video content list on the online screening unit; A display fee payment processing unit for paying for an image f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tators for any one of the image contents selected from the image contents list; A video content screening unit for providing the video content for which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display fee has been comple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to view the video conten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mage content control unit operable to link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and to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on the imag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캡쳐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장면을 스크린 캡쳐하여 보관함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Wherei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g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relating to screen capture of the image content and transmits a scene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creen capture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You can capture the screen and save it in your library.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캡쳐 시, 상기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재 장면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단위로 전 장면, 현재 장면 또는 후 장면 중 적어도 한 장면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스크린 캡쳐하도록 할 수 있다.Wherei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selectively displays images of at least one of a previous scene, a current scene, and a subsequent scene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on the basis of a current scene of the image conten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operation of the screen capture interface, Screen capture.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상영 중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보관함에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이미지를 불러와 상기 상영 중인 영상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may invoke at least one captured image in the archive and provide the image content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the image content being displayed according to an input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display of the image conten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각 장면별로 감상평과 관련된 태그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각 장면별 캡쳐 이미지, 태그 키워드, 및 영상 감상평을 포함하는 각 장면별 리스트를 수집하여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auditorium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tag keyword related to an impression per each scene of the captured image and receives a tag image including a captured image, a tag keyword, And a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ent page by collecting a list for each scene.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각 장면별 감상평을 토대로 각 장면별 감성 흐름 및 감성별 명장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종합 감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감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Wherein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analyzes at least one of emotional flow and emotional scenes for each scene on the basis of the scenes for each scene, generates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for the movie contents based on a result of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상기 영상 콘텐츠 상영부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종합 감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람자가 원하는 감성에 해당하는 장면을 추출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screening unit may extract a scene corresponding to the sensibility desired by the spectator based on th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and provide the extracted scene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태그 키워드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거나,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각 장면별 리스트를 상기 태그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nline-the-cinema-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category of the image cont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ag keyword for the image content, or classifies the list of each scene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And may further include a category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category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ag keywor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영상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대한 카테고리별 키워드 검색 및 추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nline screening system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keyword search / recommending unit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keyword search and recommendation functions for each of the image content or the content p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배포하고, 제3 자로부터의 방문 조회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 페이지의 인지도를 평가하는 SNS 콘텐츠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content page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alyzes the visit history from a third party and analyzes the SNS cont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share portion.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채팅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 관한 채팅 내용을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rei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g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relating to the chatting of the image content and transmits chat contents relating to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hat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read or written.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의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rei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g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right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relating to the play of the image content and displays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Play can be controlled remot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상영관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영상 콘텐츠를 여러 디바이스로 감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age contents synchronized in real time through an online screening apparatus can be viewed as various devi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바이스(제1 통신 단말기)와 서브 디바이스(제2 통신 단말기)를 연동하여 메인 디바이스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를 서브 디바이스에서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관람자로 하여금 각 디바이스 간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영상 관람을 하면서 그 밖에 필요한 부가 기능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ranting an authority to control image contents displayed on a main device in a sub device by interlocking a main devic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ub devic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o maximize the functions among the devices so that additional functions necessary for viewing the video can be uti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온라인 상영관의 채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캡쳐 및 보관에 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콘텐츠 페이지의 기본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콘텐츠 페이지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PC용 온라인 상영관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PC용 플레이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영상 콘텐츠의 장면을 캡쳐하여 생성한 콘텐츠 페이지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스마트폰용 온라인 상영관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스마트폰용 상영대기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태블릿PC용 채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entertainment system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o 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auditorium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t function of an online theater.
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creen capture and storage of image contents.
9 is a diagram showing a basic platform of a content page.
10 to 12 are views show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content page.
Fig. 13 is a view showing a list of on-line auditoriums for PCs.
14 to 16 are views showing a PC player screen.
17 is a view showing a list of content pages generated by capturing scenes of image contents.
18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n online screening for smartphones.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waiting room screen for a smartphone.
20 and 21 are diagrams showing a chat screen for a tablet PC.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entertainment system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 영상 콘텐츠 상영부(130),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 카테고리 분류부(160), 키워드 검색/추천부(170), SNS 콘텐츠 공유부(180), 및 시스템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line theater opening unit 110, a display fee payment processing unit 120, an image content screening unit 130, 140, a content page generating unit 150, a category categorizing unit 160, a keyword search / recommending unit 170, an SNS content sharing unit 180, and a system control unit 190.

상기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는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는 상기 온라인 상영관의 이름, 최대 관람자 수, 상영 날짜 및 시간, 및 상기 온라인 상영관의 공개 여부 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할 수 있다.The online screening hall setting unit 110 establishes an online screening channel. At this time, the online theater opening unit 110 may open the online theater screen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online theater, the maximum number of spectators, the date and time of the screening, and whether the online theater is open.

상기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는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서 상영할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는 상기 영상 콘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콘텐츠 각각의 개봉 날짜나 평점 등을 고려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 리스트의 배치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The online-theater-opening unit 110 arranges the image-content-list to be displayed in the online-theater in the online-screening unit. At this time, the online theater opening unit 110 can determin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mage contents list in consideration of the opening date and the rating of each of the image contents included in the image contents list.

상기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는 상기 영상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콘텐츠에 대해, 관람자 수에 따른 관람료를 결제 처리한다. 이때, 상기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는 상기 온라인 상영관의 개설자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관람자 전체의 관람료를 한 번에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는 상기 관람자 각자의 결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관람자 각자에 대한 관람료를 결제 처리할 수 있다.The fee-for-paying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processing for paying a f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tators for any one of the video contents selected from the video contents list. At this time, the view fee payment processing unit 120 may settle the view fee of the entire spectators at one time in response to the settlement request of the person who set up the online theater. Alternatively, the fee-for-payment processing unit 120 may process the payment for each of the spectators in response to the payment request of each of the spectators.

상기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휴대폰결제, 문화상품권, 계좌이체 등의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한 관람료를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존하는 모든 결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display fee payment processing unit 120 can settle payment for the image content through a payment means such as a credit card, a check card, a mobile phone settlement, a cultural gift certificate, and a money transfer. The payment means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all existing payment means. Since the payment means corresponds to a well-known technology already wide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상기 영상 콘텐츠 상영부(130)는 상기 관람료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람자의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PC, 태블릿PC(android/iOS), 스마트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screening unit 130 provides the image content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Accordingly, the spectator can view the image conten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PC, a tablet PC (android / iOS), a smart TV, and the like.

참고로, 상기 관람자는 2개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하면서 다른 부가 기능(예: 채팅, 리모콘, 스크린 캡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통신 단말기(예: 스마트폰)를 통해서는 상기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부가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spectator can use other additional functions (e.g., chat, remote control, screen capture, etc.) while viewing the image contents through two communication terminals. For example, the image contents can be view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dditional function can be used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e.g., a smart phon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the additional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 연동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은 상기 부가 기능과 관련된 제어 기능을 가리킬 수 있다.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associates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g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right to control the image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Here, the control authority for the image content may indicate a control function related to the additional function.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캡쳐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장면을 스크린 캡쳐할 수 있으며, 스크린 캡쳐된 이미지(장면)는 보관함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may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relating to the screen capture of the image content. In this way, the spectator can screen-capture the scene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creen capture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creen-captured image (scene) can be stored in the archive .

여기서, 상기 보관함은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연계하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은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나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도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보관함은 상기 DB 서버와 주기적으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스크린 캡쳐된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box may exist in a database server connected to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lso, the storage box may exist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storage box may periodically synchronize with the DB server to share the screen captured image.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스크린 캡쳐 시, 상기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재 장면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단위로 전 장면, 현재 장면 또는 후 장면 중 적어도 한 장면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스크린 캡쳐하도록 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image capturing interface 140 to capture at least one scene of at least one scene among the entire scene, the current scene, or the after scene on the basis of the current scene of the image content, Can be selectively screen-captured.

구체적으로,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스크린 캡쳐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스크린 캡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스크린 캡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재 장면을 실시간으로 스크린 캡쳐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일정 시간 단위로 전 장면이나 후 장면, 현재 장면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여 선택 입력에 따라 전 장면, 현재 장면 또는 후 장면 중 적어도 한 장면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스크린 캡쳐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ectator may operat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capture interface to input a command related to screen captur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may send a screen capture comman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the input command. Accordingly,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an capture the current scene of the image content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screen capture command, or alternatively, can display the previous scene, the next scene, To selectively capture an image of at least one scene of the entire scene, the current scene, or the subsequent scene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이때, 상기 장면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으로 연결됨으로써,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indow for selecting the scene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or may be provided only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s.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Bluetooth, ZigBee, etc.) so that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상영 중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보관함에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이미지를 불러와 상기 상영 중인 영상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calls at least one captured image in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display of the image content, .

이를 위해,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보관함에 접근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버튼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캡쳐 이미지의 리스트를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캡쳐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캡쳐 이미지를 상기 영상 콘텐츠와 함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this,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provides a button for accessing the archiv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button, displays a list of the captured images stored in the archive on the screen . If any one or more of the captured images is selected from the list,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an display the selected captured image together with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채팅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 관한 채팅 내용을 읽거나 쓸 수 있다.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may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regarding chatting of the image content. Thereby, the spectator can read or write the chat contents on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hat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이를 위해,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채팅 내용을 읽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 채팅창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채팅 내용을 쓸 수 있는 수단으로서 문자 입력기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For this,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a chat window as a means for reading the chat cont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provide the character input device as a means for writing the chat content can do.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의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리모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can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e right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relating to the play of the image content. In other words,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may provide a remote control func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us, the spectator can remotely control the play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각 장면별로 감상평과 관련된 태그 키워드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태그 키워드를 해당 장면의 캡쳐 이미지 및 영상 감상평과 매칭시켜 리스트화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각 장면별 캡쳐 이미지, 태그 키워드, 및 영상 감상평을 포함하는 각 장면별 리스트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한 리스트를 이용하여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receives the tag keywords related to the impression of each scene of the captured image, and can list the input tag keywords by matching the captured images and the image impression of the corresponding scene. Accordingly,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can collect each scene-specific list including a captured image, a tag keyword, and a video image rating of each scene of the image content. Using the collected list, Can be generated.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각 장면별 감상평을 토대로 각 장면별 감성 흐름 및 감성별 명장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종합 감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감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The content page generating unit 150 may analyze at least one of the emotional flow and emotional scenes for each scene based on the scenes for each scene.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may generate comprehensive sensibility information for the movie cont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include the integrated sensibility information in the content page.

여기서, 상기 감상평에는 상기 각 장면별 감상 내용와 더불어 감정 표현을 위한 이모티콘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상평에는 상기 이모티콘을 통해 슬픔, 공포, 반전, 긴장, 코믹, 잔인, 어이없음, 멋짐 등의 감정 표현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mpression may include an emoticon for emotion expression along with the impression contents for each scene. For example, the emoticon may include emotional expressions such as sadness, fear, inversion, tense, comic, cruelty, no speech, and goodness.

따라서,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감상평에 포함된 이모티콘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장면별 감성 흐름을 분석하여, 상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종합 감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감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감성 흐름을 시간대별로 분석하여 상기 종합 감성 정보에 반영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각 감성별 장면들 중에서 명장면을 분석하여 상기 종합 감성 정보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는 각 장면별/시간대별 감성 흐름과 각 감성별 명장면을 포함하는 종합 감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analyzes the emotion flow for each scene based on the emoticons included in the impression comment, generates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for the movie content, and outputs th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page . Also,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may analyze the emotion flow by time zone and reflect it on the integrated emotion information, and may analyze the emotion scenes among the emotion scenes and reflect the same on the integrated emo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ontent page may include the overall e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emotion flow for each scene / time period and the emotional scenes for each emotion.

상기 영상 콘텐츠 상영부(160)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종합 감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람자가 원하는 감성에 해당하는 장면을 추출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람자가 상기 영상 콘텐츠에서 코믹 장면만을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영상 콘텐츠 상영부(160)는 상기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 페이지의 종합 감성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코믹 장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코믹 장면들을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content screening unit 160 may extract a scene corresponding to the sensibility desired by the viewer based on th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and provide the extracted scene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spectator wishes to view only the comic scene from the image content, the image content screening unit 160 extracts the corresponding comic scenes based on the integrated sensibility information of the content page related to the image content,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코믹 장면들만을 추려서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코믹 장면들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도 간편하게 상기 영상 콘텐츠의 코믹 장면들만을 추려서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pectator can view and view only the comic scenes of the image conten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can share the comic scen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spectator can easily view only the comic scenes of the image content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태그 키워드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즉,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상기 태그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순으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 콘텐츠에서 키워드 A는 30회, 키워드 B는 20회, 키워드 C는 10회 사용된 경우,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상기 영상 콘텐츠를 키워드 A와 관련된 카테고리로서 분류할 수 있다.The category classifying unit 160 may classify categories of the image content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ag keywords for the image contents. That is, the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60 may classify the category of the image content in order that the tag keywords are used most frequently. For example, when the keyword A is used 30 times, the keyword B is used 20 times, and the keyword C is used 10 times in the image content, the category classifying unit 160 may classify the image content as a category related to the keyword A.

그런데, 이때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태그 키워드가 둘 이상일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유사하면서 가장 높은 둘 이상의 태그 키워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각각의 태그 키워드와 관련된 카테고리로 상기 영상 콘테츠를 분류할 수 있다.However, at this time, there may occur a case where there are two or more tag keywords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there may be two or more tag keywords having similar frequencies of use and highest. In this case, the category classifier 160 may classify the video contents into categories related to respective tag keywords.

또는,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각 장면별 리스트를 상기 태그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람자는 영상 콘텐츠가 상영되고 있는 중에도,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장면과 관련된 태그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그에 해당하는 장면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통해 한 눈에 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60 may classify each scene-specific list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tag keyword. Accordingly, the viewer can view the scene list corresponding to the scenes he / she wants to see through the content page at a glance by inputting the tag keywords related to the scenes he / she wants to see even while the image contents are being screened.

상기 키워드 검색/추천부(170)는 상기 영상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대한 카테고리별 키워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검색/추천부(170)는 상기 영상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대한 카테골별 키워드 추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람자는 자신이 원하는 영상 콘텐츠나 콘텐츠 페이지를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추천받을 수 있다.The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unit 170 may provide a keyword search function for each category of the image content or the content page. In addition, the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unit 170 may provide the keyword content recommendation function for the image content or the content page. Accordingly, the spectator can input a keyword or search for a desired image content or a content page, and receive a recommendation.

이때, 상기 키워드 검색/추천부(170)는 장면 검색을 위한 키워드 입력 시, 입력 키워드에 대응하는 태그 키워드를 포함하는 장면의 리스트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검색/추천부(170)는 영상 검색을 위한 키워드 입력 시, 입력 키워드에 대응되는 태그 키워드의 사용 빈도수에 따라 태그 키워드를 검색하여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및/또는 제2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unit 170 extracts a list of scenes including a tag keyword corresponding to an input keyword from the content page when a keyword for scene search is input,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unit 170 may search the tag keyword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ag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words when inputting the keyword for image search, and transmit the image content list to the first and / To the terminal.

상기 SNS 콘텐츠 공유부(180)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배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NS 콘텐츠 공유부(180)는 상기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한 개설자의 지인들에게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SNS로 배포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SNS 콘텐츠 공유부(180)는 상기 관람자의 지인들에게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SNS로 배포할 수도 있다.The SNS content sharing unit 180 may distribute the content page through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uch as Twitter or Facebook. At this time, the SNS content sharing unit 180 may distribute the content page to the acquaintances of the establisher who established the online screening apparatus as S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NS contents sharing unit 180 may distribute the contents page to the acquaintances of the viewers as SNS.

상기 SNS 콘텐츠 공유부(180)는 제3 자로부터의 방문 조회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 페이지의 인지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자는 상기 개설자나 관람자가 SNS를 통해 배포한 지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인들의 방문 날짜나 횟수 등의 방문 조회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대한 인지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The SNS contents sharing unit 180 may analyze the visit history from the third party and evaluate the awareness of the content page. Here, the third party may include acquaintances distributed by the installer or spectator through the SNS, and the visit history such as the visit date and the number of visits of the acquaintances may be analyzed to perform the awareness of the content page .

상기 시스템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즉 상기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 상기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 상기 영상 콘텐츠 상영부(130),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 상기 카테고리 분류부(160), 상기 키워드 검색/추천부(170), 상기 SNS 콘텐츠 공유부(18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system control unit 190 is a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auditorium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nline screening unit establishment unit 110, the display fee payment processing unit 120, the image content screening unit 130, Operation of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the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160, the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unit 170, the SNS content sharing unit 180, Can be controlled.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2 to 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online auditorium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는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한다. 이때,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는 복수의 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영상 콘텐츠 리스트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in step 210, the online theater opening unit 110 of the online entertainment cen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opens an online theater. At this time, an image contents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contents is arranged in the online theater.

다음으로, 단계(22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110)는 관람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서 해당 영상 콘텐츠를 선택한다.Next, in step 220, the online theater opening unit 110 of the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selects the corresponding image contents in the online theater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spectator.

다음으로, 단계(23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관람료 결제 처리부(120)는 상기 선택된 영상 콘텐츠에 대해 관람자 수에 따른 관람료를 결제 처리한다.Next, in step 230, the fee-for-payment processing unit 12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performs payment processing on the selected image conte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tators.

다음으로, 단계(24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상영부(130)는 상기 관람료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영상 콘텐츠를 상영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상영부(13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관람자의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Next, in step 240, the video content screening unit 130 of the online theater scree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displays the video content for which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display fee has been completed. To this end, the video content screening unit 130 of the online screening method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provides the streaming data of the video content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Accordingly, the spectator can view the image conten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으로, 단계(25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상기 관람자의 제2 통신 단말기와 연동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한다.Next, in step 250, the image content controller 140 of the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terlocks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구체적으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캡쳐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장면을 스크린 캡쳐할 수 있으며, 스크린 캡쳐된 이미지(장면)는 보관함에 저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of the online audio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right to control screen capture of the image content. In this way, the spectator can screen-capture the scene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creen capture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creen-captured image (scene) can be stored in the archive .

또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채팅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 관한 채팅 내용을 읽거나 쓸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of the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right to control the chatting of the image content. Thereby, the spectator can read or write the chat contents on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hat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의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영상 콘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리모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람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140 of the online screening method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e right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regarding the play of the image content. In other words, the image contents control unit 140 of the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provide the remote control func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us, the spectator can remotely control the play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으로, 단계(26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스크린 캡쳐 기능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의 각 장면별 태그 키워드 입력에 따라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한다.Next, in step 26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a content p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ag keywords for each scene of the captured image through the screen capture function.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1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각 장면별로 감상평과 관련된 태그 키워드를 입력받는다.3, in step 31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receives a tag keyword related to an impression of each scene of the captured image .

다음으로, 단계(32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각 장면별 캡쳐 이미지, 태그 키워드, 및 영상 감상평을 포함하는 각 장면별 리스트를 수집한다.Next, in step 320,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a list of each scene including a captured image, a tag keyword, and a video impression per scene of the video content Collect.

다음으로, 단계(33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수집된 각 장면별 리스트를 이용하여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한다.Next, at step 33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a content page using the collected per-scene lists.

한편, 상기 콘텐츠 페이지의 생성과 관련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41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각 장면별로 감상평과 관련된 태그 키워드를 입력받는다.4, in step 41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a content page for each scene of the captured image, Input tag keywords related to comments.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각 장면별 캡쳐 이미지, 태그 키워드, 및 영상 감상평을 포함하는 각 장면별 리스트를 수집한다.Next, in step 420,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a list of each scene including a captured image, a tag keyword, and a video impression per scene of the video content Collect.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수집된 각 장면별 리스트를 이용하여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한다.Next, in step 43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a content page using the collected scenes list.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각 장면별 감상평을 토대로 각 장면별 감성 흐름 및 감성별 명장면을 분석한다.Next, in step 44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alyzes the emotional flow and emotional scenes of each scene based on the emotion of each scene.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종합 감성 정보를 생성한다.Next, in step 450,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generates comprehensive sensibility information on the movie cont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다음으로, 단계(46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150)는 상기 종합 감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시킨다.Next, in step 460, the content page generator 15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the integrated emotion information in the content pag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한 다음, 단계(27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SNS 콘텐츠 공유부(180)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외부로 배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SNS 콘텐츠 공유부(180)는 상기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한 개설자의 지인들 및/또는 관람자의 지인들에게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SNS로 배포할 수 있다.1 and 2, the content page is generated. In step 270, the SNS content sharing unit 180 of the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ransmits the content page to a Twitter, Facebook, etc. Can be distribu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 At this time, the SNS contents sharing unit 180 of the online entertain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distribute the contents page to the acquaintances of the establisher who established the on-line auditorium and / or the acquaintances of the viewer to the SNS.

다음으로, 단계(28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태그 키워드에 따라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다. 즉,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카테고리 분류부(160)는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태그 키워드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각 장면별 리스트를 상기 태그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Next, in step 280, the category classifying unit 16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lassifies the contents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ag keywords. That is, the category classifying unit 160 of the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classify the categories of the image content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ag keywords for the image contents, Each included scene list can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ag keywords.

다음으로, 단계(290)에서 상기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키워드 검색/추천부(170)는 상기 영상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대한 카테고리별 키워드 검색 및 추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Next, in step 290, the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unit 170 of the online audiovisual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provides at least one of keyword search and recommendation functions for the image content or the content page for each category.

도 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된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to 21 are views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an online auditorium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5는 온라인 상영관의 채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상영관에는 영상 콘텐츠(예: 영화)의 재생 화면이 표시되는데, 이때 채팅 기능이 제공되어 관람자가 다른 관람자와 채팅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재생 화면에 채팅 화면이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채팅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채팅 입력창(510)이 표시될 수 있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hat function of an online theater. As shown in FIG. 5, a display screen of a video content (e.g., a movie) is displayed on an online screen, in which a chat function is provided so that a spectator can chat with another spectator. To this end, the online screen may be displayed with the chat screen overlapping with the play screen of the image content, and a chat input window 510 for inputting the chat content may be displayed.

도 6 내지 도 8은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캡쳐 및 보관에 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는 현재 장면을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캡쳐 버튼(6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쳐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장면이 즉각적으로 스크린 캡쳐될 수 있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재 장면이나 그 전, 후의 장면을 캡쳐할 수 있는 캡쳐 선택창(7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람자는 상기 캡쳐 선택창(710)을 통해 3초 전, 2초 전, 현재, 1초 후 등과 같이 현재 장면 또는 그 근처 장면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캡쳐 장면은 보관함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관함 버튼(810)을 클릭하면 상기 보관함에 보관된 캡쳐 장면들을 볼 수 있는 보관 캡쳐 리스트(820)가 표시되며, 상기 보관 캡쳐 리스트(820)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면 해당 캡쳐 장면들을 불러와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쳐 장면은 상기 영상 콘텐츠 위에서 재생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여러 개가 선택된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6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screen capture and storage of image contents. As shown in FIG. 6, a capture button 610 for capturing and storing a current scene may be displayed on the online screen. 7, the online screen may include a capture selection window 710 for capturing a current scene of the image content, a scene before and after the image content, )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spectator can select the current scene or a scene close thereto, such as three seconds before, two seconds before, the present, one second after the capture selection window 710. [ The selected capture scene may be stored in a library. 8, when the archive button 810 is clicked on, an archive capture list 820 for viewing the captured scenes stored in the archive is displayed. When one or more of the archive capture list 820 is selected, You can recall and play back scenes. At this time, the capture scene may be reproduced and displayed on the image content, and may be sequentially reproduced when several images are selected.

도 9는 콘텐츠 페이지의 기본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콘텐츠 페이지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basic platform of a content page, and FIGS. 10 to 12 are views show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content pag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페이지는 영화 제목과 함께 각 장면별 캡쳐 이미지, 감상평, 태그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기반하여 태그 키워드를 이용한 장면 검색이나 영화 검색을 할 수 있다. 태그 키워드를 이용한 장면 검색의 경우, '홍길동'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면 '홍길동' 태그 키워드가 저장된 장면 리스트를 검색하여 보여주고, '피아노'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면 '피아노' 태그 키워드가 저장된 장면 리스트를 검색하며 보여주며, '멋진 음악'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면 '멋진 음악' 태그 키워드가 저장된 장면 리스트를 검색하여 보여줄 수 있다. 즉, 장소명, 배우명, 등장인물, 음식, 배경음식, 감정 등 다양한 키워드로 장면을 검색할 수 있다. 태그 키워드를 이용한 영화 검색의 경우, '홍길동'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면 전체 이용자(관람자)가 입력한 영화 데이터(영상 콘텐츠 DB)에서 '홍길동'이라는 키워드가 많이 사용된 순으로 영화 리스트(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로써, 기존 액션, 드라마, 멜로 등의 전통적인 영화 분류 방식에서 벗어나 키워드별 영화 분류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 the content page may include a movie title, a captured image, an impression comment, and a tag keyword for each scene. A scene search or a movie search using a tag keyword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content page. In the case of a scene search using a tag keyword, a scene list storing a tag keyword 'Hong Kil-Dong' is searched and displayed when a search is performed using 'Hong Kil-Dong' as a keyword. When a search is made using a keyword 'Piano' A list of scenes stored in the 'cool music' tag keyword can be searched and displayed when the user searches for 'cool music' as a keyword. That is, the scene can be searched by various keywords such as a place name, an actor name, characters, food, background food, and emotion. In the case of the movie search using the tag keyword, if the search is performed using the keyword 'Hong Gil Dong', the movie list (image contents DB) in which the keywords 'Hong Gil Dong' List) can be searched and display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lassify movies by keyword without departing from traditional movie classification methods such as action, drama, and melody.

도 9의 콘텐츠 페이지 기본 플랫폼을 토대로 구현된 실제 콘텐츠 페이지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의 콘텐츠 페이지는 영상 콘텐츠의 캡쳐 이미지 각 장면별로 감상평과 관련 태그 키워드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블로그' 형태의 영화 감상평 글이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감상평 글들을 캡쳐 장면 및 관련 태그 키워드와 함께 리스트화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다른 예의 콘텐츠 페이지는 장면별로 등록한 태그 키워드를 가공하여 영화별, 영화 장면별 태그 등 새로운 콘텐츠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새로운 콘텐츠로는 장면별 감성 흐름, 감성별 명장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또 다른 예의 콘텐츠 페이지는 영상 콘텐츠의 장면별 감성 흐름 등을 토대로 종합 감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합 감성 정보에는 각 감정에 해당하는 영상 콘텐츠의 장면 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The actual content page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 page basic platform of Fig. 9 is shown in Figs. 10-12. As shown in FIG. 10, in an example content page, a movie review comment in the form of a 'blog' is generated by inputting and storing an impression comment and a related tag keyword for each scene of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content, Scenes, and related tag keywords. The content page of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1 can be generated including new content such as a tag for each movie and a movie scene by processing tag keywords registered for each scene. The new content may include scenic emotional flow, emotional star scenes, and so on. The content page of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12 may includ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based on scene-by-scene emotion flow of the image contents. The scene count of the image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emotion can be displayed in th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도 13은 PC용 온라인 상영관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설자가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하면, 일반 관객들은 온라인 상영관 리스트에서 관람하고 싶은 영화(혹은 영상)을 선택하고 상영관에 입장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서도 동일 기능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list of on-line auditoriums for PCs. As shown in FIG. 13, when an installer opens an online theater, general audiences can select a movie (or a video) to view and enter the auditorium in an online screening list. The same function screen may be provided on a smartphone or a tablet PC.

도 14 내지 도 16은 PC용 플레이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용 플레이어 화면에서는 채팅 내용에 대한 팝업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 모드에서는 채팅 메시지가 올 때마다 채팅 팝업창이 보였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용 플레이어 화면에서는 채팅 내용에 대한 리스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모드에서는 채팅 메시지가 오면 사라지지 않고 항상 화면에 메시지 목록이 보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용 플레이어 화면에서는 설정 및 스크린 캡쳐 기능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어 화면에 마우스(PC)를 가져가거나 탭(태블릿PC)하면 상단에는 타이틀바, 중앙에는 기능버튼들, 하단에는 컨트롤바(캡쳐 버튼 및 보관함 버튼)가 등장하여 각종 기능을 플레이어 화면상에서 모두 동작하게 할 수 있다.14 to 16 are views showing a PC player screen. As shown in FIG. 14, the PC player screen can provide a pop-up mode for chat contents. In the pop-up mode, a chat pop-up window may be displayed every time a chat message is displayed, and the function may disappear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shown in FIG. 15, the PC player screen can provide a list mode for chat contents. In the list mode, when a chat message arrives, a message list can be always displayed on the screen without disappearing. As shown in FIG. 16, the PC player screen can provide setting and screen capture function buttons. When you take a mouse (PC) or tap (Tablet PC) on the player screen, the title bar at the top, the function buttons at the center, and the control bar (capture button and storage box button) can do.

도 17은 영상 콘텐츠의 장면을 캡쳐하여 생성한 콘텐츠 페이지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서 사용된 각종 메뉴나 서비스명 등은 가칭으로서 실제 구현시에는 다른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페이지 목록에서 어느 하나의 콘텐츠 페이지를 선택하면 도 10 내지 도 12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17 is a view showing a list of content pages generated by capturing scenes of image contents. The various menus and service names used in FIG. 17 are tentative names, and other names may be used in actual implementation. When any one content page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page list, any one of the content pages of Figs. 10 to 12 may be provided.

도 18은 스마트폰용 온라인 상영관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서 채팅 메시지 보기 화면과, 장면 캡쳐 화면, 채팅 메시지 입력 화면은 각각 좌측, 가운데, 우측 화면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며, 이때 스마트폰은 세로모드 화면만 지원할 수 있다.18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n online screening for smartphones. 18, the chat message viewing screen, the scene capture screen, and the chat message input screen of the smartphone are provided in the form of left, center, and right screen, respectively. At this time, have.

도 19는 스마트폰용 상영대기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를 감상하기 위해 상영관 개설자가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하면 관객(관람자)이 입장할 수 있는 상영대기실 화면이 제공된다. 상기 상영대기실 화면에는 영화 포스터, 결제 방식, 잔여 관람석, 입장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waiting room screen for a smartphone. As shown in FIG. 19, when a screening establisher opens an online screening site to view a movie, a presentation waiting room screen on which an audience (spectator) can enter is provided. A movie poster, a payment method, a remaining grandstand, an entrance butt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resentation waiting room.

도 20 및 도 21은 태블릿PC용 채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PC에서는 가로 모드의 채팅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로 모드의 채팅 화면에서는 전체 화면으로 영화를 감상하다가 채팅 모드를 선택하면 키보드가 올라오면서 화면이 줄어든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PC에서는 세로 모드의 채팅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로 모드의 채팅 화면에는 화면 상단에 플레이어, 중간에 채팅 메시지창, 하단에 키보드가 항상 고정되어 있다.
20 and 21 are diagrams showing a chat screen for a tablet PC. As shown in FIG. 20, the tablet PC can provide a chat screen in the landscape mode. In the chat mode of the landscape mode, if the user views the movie in full screen mode and selects the chat mode, the screen is reduced while the keyboard is lifted up.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1, the tablet PC can provide a portrait mode chat screen. In the portrait mode chat screen, a player is always located at the top of the screen, a chat message window is located at the middle, and a keyboard is fixed at the botto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
120: 관람료 결제 처리부
130: 영상 콘텐츠 상영부
140: 영상 콘텐츠 제어부
150: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
160: 카테고리 분류부
170: 키워드 검색/추천부
180: SNS 콘텐츠 공유부
190: 시스템 제어부
110: Online theater building section
120: Admission fee payment processing department
130: Video content screening section
140:
150: Content page generating unit
160: Category classification section
170: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180: SNS content sharing unit
190:

Claims (19)

온라인 상영관을 개설하고, 상기 온라인 상영관에 영상 콘텐츠 리스트를 배치하는 온라인 상영관 개설부;
상기 영상 콘텐츠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상 콘텐츠에 대해, 관람자 수에 따른 관람료를 결제 처리하는 관람료 결제 처리부;
상기 관람료의 결제 처리가 완료된 영상 콘텐츠를 상기 관람자의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영상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콘텐츠 상영부; 및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를 상기 관람자의 제2 통신 단말기와 연동시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상영되는 영상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는 영상 콘텐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채팅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채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 관한 채팅 내용을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에 관한 리모트 컨트롤의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리모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플레이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캡쳐에 관한 제어 권한을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부여하여,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상기 영상 콘텐츠의 장면을 스크린 캡쳐하여 보관함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캡쳐된 이미지의 각 장면별로 감상평과 관련된 태그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태그 키워드를 해당 장면의 캡쳐 이미지 및 영상 감상평과 매칭시켜 리스트화하고, 상기 영상 콘텐츠의 각 장면별 캡쳐 이미지, 태그 키워드, 및 영상 감상평을 포함하는 각 장면별 리스트를 수집하여 콘텐츠 페이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콘텐츠 페이지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배포하고, 제3 자로부터의 방문 조회 이력을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 페이지의 인지도를 평가하는 SNS 콘텐츠 공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각 장면별 감상평을 토대로 각 장면별 감성 흐름 및 감성별 명장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종합 감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감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시키며,
상기 감상평에는 상기 각 장면별 감상 내용와 더불어 감정 표현을 위한 이모티콘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감상평에 포함된 이모티콘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장면별 감성 흐름을 분석하여, 상기 영화 콘텐츠에 대한 종합 감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감성 정보를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 online screening unit opening unit for opening an online screening unit and arranging a video content list on the online screening unit;
A display fee payment processing unit for paying for an image fe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pectators for any one of the image contents selected from the image contents list;
A video content screening unit for providing the video content for which the payment processing of the display fee has been comple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to view the video conten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d an image content control unit operable to link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pectator and to give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right for the imag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trol right for chatting on the image content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o read or write the chat content related to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hat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s allowed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of the imag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emote control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rein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provides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ontrol right relating to screen capture of the image content and transmits the image conten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creen capture interfa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creen-captured and stored in a storage box,
A tag keyword associated with an impression of each scene of the captured image is input, and the input tag keyword is matched with a captured image and a video impression of the corresponding scene to be listed, and a captured image, a tag keyword A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ent page by collecting a list for each scene including a video image review; And an SNS content sharing unit for distributing the content page via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alyzing a visit history from a third party, and evaluating a recognition degree of the content page,
Wherein the content page generation unit analyzes at least one of emotional flow and emotional scenes for each scene on the basis of the scenes for each scene, generates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for the movie contents based on a result of the analysi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In addition to the emotion content of each scene, the emotion may include an emoticon for emotion expression,
The content page generating unit may analyze the emotion flow for each scene based on the emoticons included in the impression comment to generat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for the movie content and include the integrated emotion information in the content page Features an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 캡쳐 시, 상기 화면 캡쳐 인터페이스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재 장면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단위로 전 장면, 현재 장면 또는 후 장면 중 적어도 한 장면의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스크린 캡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The screen capture interface may selectively capture an image of at least one of a previous scene, a current scene, and a subsequent scene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on the basis of the current scene of the image conten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operation of the screen capture interface Features an online theater service provid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 제어부는
상기 영상 콘텐츠의 상영 중에,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보관함에서 적어도 하나의 캡쳐 이미지를 불러와 상기 상영 중인 영상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content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t least one captured image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the currently-displayed image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display of the image content. Service delivery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 상영부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종합 감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람자가 원하는 감성에 해당하는 장면을 추출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content screening unit
Extracts a scene corresponding to the sensibility desired by the spectator based on the comprehensive emo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and provides the extracted scene to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태그 키워드의 사용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거나,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포함된 각 장면별 리스트를 상기 태그 키워드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ategory of the image conten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ag keyword for the image content or for classifying the list for each scene included in the content page according to the tag keyword,
Further comprising: an online scree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receiving the online screening ser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콘텐츠 또는 상기 콘텐츠 페이지에 대한 카테고리별 키워드 검색 및 추천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키워드 검색/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 keyword search / recommendation section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keyword search and a recommendation function by category for the image content or the content page,
Further comprising: an online scree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receiving the online screening ser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03539A 2014-01-10 2014-01-10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KR101605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39A KR101605781B1 (en) 2014-01-10 2014-01-10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39A KR101605781B1 (en) 2014-01-10 2014-01-10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57A KR20150083957A (en) 2015-07-21
KR101605781B1 true KR101605781B1 (en) 2016-03-29

Family

ID=5387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539A KR101605781B1 (en) 2014-01-10 2014-01-10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10A (en) 2021-01-05 2022-07-12 이지연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cree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10A (en) 2021-01-05 2022-07-12 이지연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creen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57A (en)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8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highlight video of video content
JP5789854B2 (en) Media processing method and arrangement
US20150032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Event Feedback
US20180211342A1 (en) Control of content distribution
JP2018038056A (en) System for providing event-related content to user attending event and having respective user terminals
US20190052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Analyzing, and Reporting on Subjects in Videos without Interrupting Video Play
US201603075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Combining, and Sharing Time-Constrained Videos
US9152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edia objects in a navigable environment
CN115039411A (en)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live streams
KR20190030194A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movie and movie theater recommendation based on movie theater recommendations
CN107172178B (en) A kind of content delivery method and device
KR2020009693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profiles
KR102547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pecial effects for producing short-form videos in a video commerce system
KR100963827B1 (en) Method for embodying virtual reality using authentication based virtual object and Apparatus thereof
US202200051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on with videos and other media files
KR1022983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 Control of Non-touch Screen by Using Random QR Code
KR101605781B1 (en) System for providing online movie theater service
US20220414793A1 (en) Podroom
KR102518695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live text broadcasting
KR1016129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yber movie theater using n-screen
KR101821602B1 (en) System to insert a customized information of video content
CN111625740A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73946B1 (en) On-line group viewing service system, server and method
KR1008215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Background Imag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WO2023090565A1 (en) Platform albu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