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474B1 -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474B1
KR101605474B1 KR1020140108127A KR20140108127A KR101605474B1 KR 101605474 B1 KR101605474 B1 KR 101605474B1 KR 1020140108127 A KR1020140108127 A KR 1020140108127A KR 20140108127 A KR20140108127 A KR 20140108127A KR 101605474 B1 KR101605474 B1 KR 10160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finger
dimensional
sens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2508A (en
Inventor
홍성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0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474B1/en
Publication of KR2016002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5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방식으로 손가락 지시 방향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3차원 포인팅 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사용자 손가락의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하는 3차원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capable of sensing a finger pointing direction in a wearable manner and a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includes: a bridg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a direction of a user's fing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Description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nd a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러블 방식으로 손가락 지시 방향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capable of sensing a finger pointing direction in a wearable manner and a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레이저 포인터와 같은 기존의 포인팅 장치는 각종 프리젠테이션에 주로 사용되는 장치로, 펜 또는 안테나와 같은 핸드 헬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를 손에 들고 자신이 원하는 지점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Conventional pointing devices such as laser pointers are mainly used in various presentations. They are implemented in a handheld manner, such as a pen or an antenna, so that the user can pick up the pointing device and irradiate the desired spot with the laser .

다만, 프리젠테이션 대부분은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면서, 발표자가 컨텐츠 재생 화면을 참고하여 참석자에게 프리젠테이션 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한명의 발표자가 포인팅 장치와 사용자 단말을 함께 조작하면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기에는 상대한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포인팅 장치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 헬드 장치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However, since most of the presentations are performed in a manner that the presenter controls the content reproduc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such as the computer, and the presenter refers to the content reproduction screen to explain the presentation contents to the attendees, There is a relative difficulty in navigating the presentation while manipulating. This is because the pointing device is implemented in the handheld device as described above.

또한, 포인팅 장치가 사용자 손에서 쉽사리 떨어질 수 있는 핸드 헬드 장치로 구현되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 도중에 포인팅 장치를 분실하거나 포인트 장치를 놓아둔 위치를 깜박하여 이를 찾아야 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inting device is implemented as a handheld device that can easily fall off from the user's hand, the pointing device may be lost during the presentation, or the position where the pointing device is placed may blink to find it frequently.

뿐 만 아니라, 레이저 포인터와 같은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광을 조사해줄 수 있을 뿐, 프리젠테이션 진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전혀 제공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In addition, a pointing device such as a laser pointer can irradiate light at a desired point, but can not provide any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flow of presentation.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방식으로 구현되는 3차원 포인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implemented in wearable manner that can be worn on a user's finger.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포인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sensing the user's finger gesture and reflecting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sensed finger gesture is proposed.

또한, 3차원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시 지점 및 사용자 의도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도 추가로 제안하고자 한다. We also propose a presentation system that can easily grasp the user point and user intention using the 3D point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용자 손가락에 착용되는 3차원 포인팅 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하는 3차원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worn on a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ridg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상기 두 개의 반지는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와 제어 신호간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변형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wo rings have information about a correlation result between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and the control signal,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mod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rrelation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브릿지는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ridge further includes a flexure sensor having an impedance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lexure.

상기 브릿지는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와 상기 휨 센서의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ridge further includes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and a sensing result of the warp sens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3차원 포인팅 장치는, 사용자 양손 중 하나에 착용되어, 3차원 공간상에서의 지시 방향을 센싱하고 무선 출력하는 제1 포인팅 장치; 및 상기 제1 포인팅 장치가 착용되지 않은 나머지 손에 착용되어, 손가락 구부림 여부 또는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센싱하고 무선 출력하는 제2 포인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pointing device that is worn on one of two hands of a user and senses a pointing direction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wirelessly outputs the pointed direction; And a second pointing device that is worn on the remaining unused hand of the first pointing device to sense whether the finger is bent or the degree of finger flexion and output the cord.

상기 제1 포인팅 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하는 3차원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first pointing device comprises: a bridg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sensing and indicating a pointing direction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상기 제2 포인팅 장치는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second pointing device comprises: a bridge having a flexure sensor whose imped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a degree of flexur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손가락에 착용되어, 3차원 공간상에서의 손가락 지시 방향을 센싱하고 무선 통보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및 사용자 요청하에 컨텐츠를 재생하고 프로젝터를 통해 컨텐츠 재생 결과가 프리젠테이션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하되, 상기 3차원 포인팅 장치의 무선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손가락 지시 지점을 산출 및 추가 표시하거나 컨텐츠 재생 흐름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entation system comprising: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worn on a user's finger to sense a finger pointing direction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wirelessly notify the user;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as to reproduce content under a user request and project the content reproduction result on the presentation screen through the projector, wherein the finger pointing point is calculated and additionally displayed based on the wireless notification result of the 3D point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상기 3차원 포인팅 장치는 손가락 구부림 여부 또는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센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sensing whether or not the finger is bent.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 재생 흐름 제어시에, 손가락 구부림 여부 또는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추가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user terminal further takes into consideration whether or not to bend the finger during the content reproduction flow control.

본 발명은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된 3차원 포인팅 장치를 통해 손가락 지시 방향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극대화시키며, 분실 가능성도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minimize the possibility of loss by allowing the user to sense the finger pointing direction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implemented as a wearable type.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사용자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차원 포인팅 장치의 활용 범위도 확대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various control signals that reflect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user's finger gestur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외관과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포인팅 장치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nly.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외관과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은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반지(120,130)과 두 개의 반지(120,130) 사이에 끼워지는 브릿지(110)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wearable form that can be worn on a finger, and more specifically, a two-ring 120, And the bridge 110 can be realized.

브릿지(110)는 기울기 센서, 지자기 센서, 나침판 센서 등과 같은 3차원 모션 센서(111)을 내장하고, 3차원 모션 센서(111)는 브릿지(110)가 3차원 공간상에서 가리키는 방향을 3차원적으로 센싱하도록 한다. The bridge 110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such as a tilt sensor, a geomagnetism sensor, a compass sensor, and the like.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idge 110 points in three- Sensing.

두 개의 반지(120,130) 중 적어도 하나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사물지능통신(M2M) 방식 등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21)을 내장하고, 이를 통해 3차원 모션 센서(111)를 외부 장치로 무선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와 제어 신호간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3차원 모션 센서(111)가 센싱한 브릿지 지시 방향에 대응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122)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데이터 수신측의 동작 환경 및 동작 목적에 따라 3차원 모션 센서(111)의 센싱 결과를 변형한 후, 출력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 발생부(124) 및 무선 통신부(121)은 하나의 반지(예를 들어, 120)에 함께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두 개의 반지(120,130)에 분산 배치된 후 신호라인을 통해 유선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At least one of the two rings 120 and 13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n RF communication system, an infrared communication system, a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or an object intelligence communication system (M2M) 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to an external device.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sing results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and the control signals, and generates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directions of the three- (12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at is,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environment and the operation purpose of the data receiving side.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24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ring (for example, 120), but may be distributed to two rings 120 and 130,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wired connection through the Internet.

이에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을 낀 손가락을 지시하는 방향을 3차원적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간단한 방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방향을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 a user using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method of three-dimensionally moving a direction indicating a finger with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 desired direction.

또한,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100)는 손가락을 지시하는 방향(또는 지점)을 광 표시해주기 위한 레이저 포이터(123)를 추가 구비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지시하는 곳이 어디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포인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aser pointer 123 for providing a light display direction (or a point) So that a poin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더하여,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의 구현 형태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capable of sensing finger movement of the user.

예를 들어, 도1의 (a)에 도시된 반지 형태 대신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장갑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의 두 개의 반지와 브릿지를 손장갑(140)로 대체한 후, 3차원 모션 센서(111)는 손장갑(140)의 손가락 부위에, 제어 신호 발생부(124)와 무선 통신부(121)는 손장갑(130)의 손등 부위에 하드웨어 케이스 형태로 부착되도록 한다.
For example, instead of the ring shape shown in FIG. 1 (a),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nd glov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fter the two rings and bridges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are replaced with the hand gloves 140,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generates control signal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ar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hand glove 130 in the form of a hardware case.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의 (a)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브릿지(110)는 도1의 3차원 모션 센서(111) 이외에 도4의 (b)와 같이 구현되는 휨 센서(112)를 더 구비하고, 이를 통해 브릿지(110)의 휨 정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4A, the bridg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rp sensor 112 implemented as shown in FIG. 4B in addition to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of FIG. 1, So tha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ridge 110 is measured.

휨 센서(112)는 자신의 휨 정도에 따라 자신의 임피던스 값(예를 들어, 저항값)이 변화되는 센서로, 본 발명의 휨 센서(110)는 사용자가 차원 포인팅 장치(100)를 손가락에 끼고 손가락을 구부림에 따라 출력 저항값을 달리해준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쫙 편 상태에서는 90KΩ을, 손가락을 90ㅀ구부린 상태에서는 30~40KΩ을 출력한다. 즉, 손가락 구부림 정도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저항값을 발생 및 출력하는 특징을 가진다. The warp senso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in which the user moves the dimension pointing device 100 to the fingertip (for example, The output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the bending of the fingers. For example, 90KΩ is output when the finger is in the swing state, and 30 to 40KΩ when the finger is bent 90 °. That is, it has a feature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esistance value that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finger bending.

그 결과 도4의 제어 신호 발생부(124)는 휨 센서(112)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구부림 여부, 더 나아가 구부림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24 of FIG. 4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s finger is bent, and further, the degree of bending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lexure sensor 112.

그러면, 제어 신호 발생부(124)는 3차원 모션 센서(111)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파악된 브릿지(110)의 지시 방향과, 휨 센서(112)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파악된 브릿지(110)의 구부림 여부 또는 구부림 정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 통신부(121)을 통해 외부 장치에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124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110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and the bridge 110 Or the bending degree of the bending portion, and then provides the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

다만,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지시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손가락 구부리기가 쉽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3차원 포인팅 장치를 통해 브릿지 지시 방향과 구부림 여부를 함께 센싱하는 경우, 제어 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5와 같이 구성되는 3차원 포인팅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제어 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도 있도록 해준다.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bend the finger while keeping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constant. That is, when the bridge pointing direction and the bending point are detected together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the accuracy of the control result is low.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constructed as shown in FIG. 5, thereby ensuring the accuracy of the control result.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는 제1 포인팅 장치(150)와 제2 포인팅 장치(160)로 구성될 수도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ointing device 150 and a second pointing device 160.

즉, 도5의 3차원 포인팅 장치는 양손에 착용 가능한 두 개의 포인팅 장치(150, 160)를 구비하고, 도1 또는 도4와 같이 하나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손가락 지시 방향 및 구부림 정도를 동시 측정하는 대신에, 제1 포인팅 장치(150)를 통해서는 손가락 지시 방향만을, 제2 포인팅 장치(160)를 통해서는 구부림 정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of FIG. 5 has two pointing devices 150 and 160 that can be worn on both hands, and simultaneously measures the finger pointing direction and the degree of bending through one pointing device as shown in FIG. 1 or FIG. Instea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bending only through the first pointing device 150 and the degree of bending through the second pointing device 160, respectively.

더욱 상세하게는, 제1 포인팅 장치(150)는 도1에서와 같이 브릿지(110)에 내장되는 3차원 모션 센서(111), 두 개의 반지(120,130)에 내장되는 무선 통신부(121) 등을 포함하고, 제2 포인팅 장치(160)는 브릿지(110)에 내장되는 휨 센서(112), 두 개의 반지(120,130)에 내장되는 무선 통신부(121)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inting device 150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111 embedded in the bridg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embedded in the two rings 120 and 13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And the second pointing device 160 may include a flexure sensor 112 incorporated in the bridge 11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embedded in the two rings 120 and 130.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를 도5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포인팅 장치(150)를 통해서는 자신이 원하는 지점을 가리키면서, 제2 포인팅 장치(160)를 통해서는 손가락 구부림 여부를 조정하여 정보 선택 명령, 정보 상태 명령, 재생 중지 명령, 재생 중지 해제 명령 등과 같은 각종 제어 명령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양손 중 하나를 통해서는 지시 방향 결정 동작을, 나머지를 통해서는 정보 선택 명령, 정보 상태 명령, 재생 중지 명령, 재생 중지 해제 명령 등과 같은 각종 제어 명령을 발생하기 위한 손가락 구부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포인팅 장치(150, 160)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 각각이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정확하고 충분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5, the user can point the desired point through the first pointing device 150 and adjust the finger bending through the second pointing device 16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output various control commands such as an information selection command, an information status command, a playback stop command, a playback stop release command, and the like. That is, by performing a finger bending operation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commands such as an information selection command, an information status command, a playback stop command, a playback stop cancel command, etc. through the other of the hands, Each of the control signals gene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ointing devices 150 and 160 can more accurately and sufficient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user.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3차원 포인팅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3차원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based on a finger ges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relates to a presentation system using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3차원 포인팅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프로젝터(300) 및 프리젠테이션 스크린(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5, the pres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3D pointing device 100, a user terminal 200, a projector 300, a presentation screen 400, and the like.

3차원 포인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 스크린(400)에 투사된 특정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지시하기 위한 손가락을 3차원 공간상에서 움직이면, 이에 대응되는 손가락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한다.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senses and notifies a corresponding finger pointing direction when a user moves a finger for indicating a specific image or text projected on the presentation screen 400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사용자 단말(200)는 데스크 탑,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각종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요청하에 특정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프리젠테이션 문서 등)을 선택 및 재생하고 프로젝터(300)를 통해 컨텐츠 재생 결과가 프리젠테이션 스크린(400)상에 투사되도록 하되, 3차원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손가락 지시 지점을 산출 및 추가 표시하거나 컨텐츠 재생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omputing devices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and may select and reproduce specific content (e.g., a moving picture, presentation document, 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to project and display a finger point on the basis of a control signal from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or to control the content reproduction flow .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3차원 포인팅 장치(100)가 센싱 및 통보한 손가락 지시 방향으로부터 손가락 지시 지점을 산출하고, 손가락 지시 지점에 커서를 위치시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calculate the finger point from the finger pointing direction sensed and notified by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position the cursor at the finger point, So that it can be confirmed.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일정 시간 이상 지시하면서, 해당 위치에 표시된 메뉴 또는 정보를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여 활성화하거나, 해당 위치에 표시된 정보에 링크된 정보를 불러와 제공해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user instructs a specific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for selecting a menu or information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has occurred, and a menu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selected and activated or information linked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displayed So that it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calling and providing.

그리고 3차원 포인팅 장치(100)가 도4 또는 도5와 같이 손가락 지시 방향 뿐만 아니라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통보하면, 사용자 단말(200)는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흐름 제어 동작을 보다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I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finger bending degree as well as the finger bend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4 or 5, the user terminal 200 may perform the content flow control operation more finely in response thereto .

예를 들어, 3차원 포인팅 장치(100)가 사용자가 특정 메뉴(또는 정보)를 지시한 후 손가락을 한번 구부렸다 핌을 센싱하여 통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는 해당 위치에 개시된 메뉴를 즉각 활성하도록 한다(또는 해당 위치에 개시된 정보에 링크된 정보를 불러와 표시하도록 한다). 3차원 포인팅 장치(100)가 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지시한 후 손가락을 연속 두 번 구부림을 센싱하여 통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는 해당 위치에 개시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한다. 3차원 포인팅 장치(100)가 사용자가 손가락 구부림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함을 센싱하여 통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는 콘텐츠 재생을 일시 중지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instructs a user to select a specific menu (or information) and then sense the bent finger once, the user terminal 200 immediately displays the menu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r to display and link the information linked to the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When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bending of the finger twice continuously after instructing the specific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200 deletes the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senses that the user keeps the finger bending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user terminal 200 pauses the content playback.

즉, 본 발명의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는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지시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동작 뿐 만 아니라 프리젠테이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명령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not only visually displays the user's instruc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but also various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flow Can be generated and output.

따라서,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만을 움직여 정보 지시 동작, 프리젠테이션 흐름 제어 동작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using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information indication operation and the presentation flow control operation all at once by moving only his / her finger.

상기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3차원 포인팅 장치(100)를 양손에 1개씩 착용하는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는 3차원 포인팅 장치(100)의 착용 위치 또는 착용 개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착용 개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발생 가능한 제어신호의 개수 또한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신호 발생 장치는 제어신호의 개수를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user wears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in both hands is limited. However, the user can variously adjust the wearing position or number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0.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worns, the number of control signals that can be generated can also be variously adjusted. That i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control signals can be easily and easily extended.

더하여, 3차원 포인팅 장치가 반지 형식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됨을 고려하여 3차원 포인팅 장치의 반지 부분에 다양한 색깔, 무늬를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3차원 포인팅 장치가 패션(악세사리)로 활용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3차원 포인팅 장치는 단순히 신호 발생 장치로써의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개성 및 취향을 표현하는 또 하나의 트랜드 아이템 자체로 활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is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of a ring type, various colors and patterns can be put in the ring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and finally, a three- dimensional pointing device may be used as a fashion .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a function as a signal generating device but also can be utilized as another trend item itself expressing a user's individuality and tast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사용자 손가락에 착용되는 3차원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3차원 공간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하는 3차원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worn on a user's finger,
A bridg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sensing and notifyi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reporting sensing results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반지는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와 제어 신호간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변형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o rings
Dimensional motion sensor and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mod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rrelation, And a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ridge
And a bending sensor having an impedance value changed according to a degree of bending of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와 상기 휨 센서의 센싱 결과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어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bridg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and a sensing result of the warp sensor.
사용자 양손 중 하나에 착용되어, 3차원 공간상에서의 지시 방향을 센싱하고 무선 출력하는 제1 포인팅 장치; 및
상기 제1 포인팅 장치가 착용되지 않은 나머지 손에 착용되어, 손가락 구부림 여부 또는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센싱하고 무선 출력하는 제2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인팅 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하는 3차원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A first pointing device that is worn on one of the user's hands and senses the direction of the point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wirelessly outputs the direction; And
And a second pointing device for sensing the degree of finger bending or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nger and outputting the result wirelessly, the first pointing device being worn on the remaining unused hand,
The first pointing device
A bridg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for sensing and notifying the direction of the point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인팅 장치는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pointing device
A bridge having a bending sensor whose imped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a degree of bending;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s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사용자 손가락에 착용되어, 3차원 공간상에서의 손가락 지시 방향을 센싱하고 무선 통보하는 3차원 포인팅 장치; 및
사용자 요청하에 컨텐츠를 재생하고 프로젝터를 통해 컨텐츠 재생 결과가 프리젠테이션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하되, 상기 3차원 포인팅 장치의 무선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손가락 지시 지점을 산출 및 추가 표시하거나 컨텐츠 재생 흐름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3차원 포인팅 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지시 방향을 센싱 및 통보하는 3차원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브릿지; 및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3차원 모션 센서의 센싱 결과를 무선 통보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A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worn on a user's finger for sensing a finger pointing direction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finger pointing direction wirelessly; And
A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reproduce content under a user's request and project a content reproduction result on a presentation screen through a projector, wherein a finger point is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basis of a wireless notification result of the 3D pointing device, A user terminal,
The three-dimensional pointing device
A bridg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sensing and notifyi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fing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idge for wirelessly notify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션 센서는
손가락 구부림 여부 또는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센싱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motion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function of sensing the degree of finger bending or the degree of finger ben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는
상기 컨텐츠 재생 흐름 제어시에, 손가락 구부림 여부 또는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추가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player further takes into consideration whether or not to bend the finger during the content reproduction flow control.
KR1020140108127A 2014-08-20 2014-08-20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605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27A KR101605474B1 (en) 2014-08-20 2014-08-20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27A KR101605474B1 (en) 2014-08-20 2014-08-20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08A KR20160022508A (en) 2016-03-02
KR101605474B1 true KR101605474B1 (en) 2016-03-22

Family

ID=5558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27A KR101605474B1 (en) 2014-08-20 2014-08-20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4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8887B2 (en) 2017-02-22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docum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11A (en) * 2007-02-16 200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and computer
US20090322680A1 (en) * 2008-06-30 2009-12-31 Maurizio Sole Festa Radio frequency poi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911A (en) * 2007-02-16 2008-09-04 Lenovo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and computer
US20090322680A1 (en) * 2008-06-30 2009-12-31 Maurizio Sole Festa Radio frequency poin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8887B2 (en) 2017-02-22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docum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556302B2 (en) 2017-02-22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docum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508A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621B1 (en) Display method of screen of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KR1015410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hands
KR102058990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50443B2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display method
US9274507B2 (en)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261066A1 (en)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Measurement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KR20200099574A (en) Human interactions with aerial haptic systems
US201502201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of Arbitrary Human Motion Within an Arbitrary Space Bounded by a User's Range of Motion
US201402326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display method
US9817572B2 (en) Overlapped transparent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11538A1 (en) Multimodal haptic effects
KR2017007654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CN109614027A (en) A kind of configuration method and smartwatch of smartwatch
KR20160082942A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context information
JP69118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KR201600088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ch inputs by using human body
KR20150047309A (en) Wearable device and peripherals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530340B1 (en) Motion sensing system for implementing hand position-posture information of user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based on a combined motion tracker and ahrs system
KR101605474B1 (en) 3d pointing device based on finger gesture and present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20240028129A1 (en) Systems for detecting in-air and surface gestures available for use in an artificial-reality environment using sensors at a wrist-wearable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40019938A1 (en) Systems for detecting gestures performed within activation-threshold distances of artificial-reality objects to cause operations at physical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10089161A1 (en) Virtual input devices for pressure sensitive surfaces
KR20200115889A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operatoin based on user input via electronic pen
US9229542B2 (en) Multi-control stylus
EP2787417A1 (en) Multi-control styl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