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11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112B1
KR101605112B1 KR1020090066132A KR20090066132A KR101605112B1 KR 101605112 B1 KR101605112 B1 KR 101605112B1 KR 1020090066132 A KR1020090066132 A KR 1020090066132A KR 20090066132 A KR20090066132 A KR 20090066132A KR 101605112 B1 KR101605112 B1 KR 10160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
submersible
unmanned submersible
unmanned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8668A (en
Inventor
조경남
이광민
한성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1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7/00Mine-sweep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8Propul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뢰 탐지 및 지도 작성과 기뢰 제거 기능을 갖는 2 종의 자율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수중에 부설된 기뢰를 제거할 수 있는 전투 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m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e system capable of removing a mine installed underwater by using two autonomous unmanned submersibles having a mine detection and mapping function and a mine clearance function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rwater mines.

본 발명은 기뢰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고, 소해용 전담 잠수정을 이용하여 빠르게 기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기뢰를 정확하게 탐지하고, 기뢰 지역의 지도를 작성하며 자폭 등의 과정을 통하여 기뢰를 소해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identifies the position of a mine, accurately detects the mine so that the mine can be quickly removed using the dedicated submersible for submersion, maps the mine area, and removes the underwater mine A method and an apparatus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에 의해 기뢰를 탐지하여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단계; 및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mine by a mine detecting submodule, And

다수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기뢰 지역을 소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dismantling the mine area using a plurality of mine clearance submersible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로 되며 단시간 내에 작전 해역의 기뢰 분포도와 종류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manned underwater min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mine detection submodule for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a mine distribution and a type of mine in an operation area within a short time;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으로부터 제공받은 기뢰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소해 작전을 수립하고, 수립된 작전정보를 전송하는 전술 단말; 및A tactical terminal for establishing a disarmament operation based on the mi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mine detection and transmitting the established oper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전술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기뢰 정보를 기초로 기뢰의 위치로 유도된 다음 자폭의 수단으로 소해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urality of mine clearance submersible units for performing a cancellation operation by means of a self-length following the mine location based on the min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actical terminal,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underwater mine clearance device .

전술 단말, MCM, MDV, 기뢰, 소해 Tactical terminal, MCM, MDV, mine,

Description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rwater mines,

본 발명은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뢰 탐지 및 지도 작성과 기뢰 제거 기능을 갖는 2 종의 자율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수중에 부설된 기뢰를 제거할 수 있는 전투 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m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e system capable of removing a mine installed underwater by using two autonomous unmanned submersibles having a mine detection and mapping function and a mine clearance function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rwater mines.

기뢰는 적의 함선을 파괴하기 위하여 물속이나 물 위에 설치한 폭탄으로서, 감지 장치에 따라 음향 기뢰, 자기 기뢰, 수압 기뢰 따위가 있다.A mine is a bomb placed on water or water to destroy an enemy ship. There are acoustic mines, magnetic mines, and hydraulic mines, depending on the sensing device.

종래의 기뢰 탐지방법은 정찰 임무를 맡은 유인 작업선이 자기/음향 탐사 장비 등을 탑재하고 기뢰가 있을 것이라 예상되는 해역을 직접 탐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인 작업선 역시 기뢰의 표적이 때문에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잠수정을 이용한 탐색은 작전이 적에게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대개 기뢰가 부설되면 4,000개 이상이 일시에 투입되고, 폭격을 통해 소해(掃海: 안전한 항해를 위하여, 바다에 부설한 기뢰 따위의 위험물을 치워 없애는 일)를 하더라도 상당량의 기뢰가 남아 병력의 상륙 일정에 지연을 가져오곤 한다. Conventional mine detection method uses a method in which the manned operation line, which is in charge of the reconnaissance mission, is equipped with magnetic / acoustical equipment and directly explores a sea area where a mine is expected to be present. The manned line can also cause damage to the mine because of the mine target, and exploration using the submersible can be exposed to enemy operations. However, if a mine is installed, more than 4,000 will be put into service at a time, and even if the bombing causes a large number of mines to land in the area of destruction (removal of dangerous goods such as mines laid on the sea for safe navigation) I bring a delay to the schedu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기뢰의 위치를 은밀하고 정확하게 특정하고, 다수의 소해용 전담 잠수정을 이용하여 기뢰를 일시에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기뢰를 정확하게 탐지하고, 기뢰 지역의 지도를 작성하는 하며 자폭 등의 과정을 통하여 기뢰를 소해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e detecting apparatus and a mine detecting apparatus, which secretly and precisely specifies a position of a mine, accurately detects a mine so that a mine can be quickly removed using a dedicated submersible submer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mine from a mine through a process of creating and disposing of a min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에 의해 기뢰를 탐지하여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단계; 및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mine by a mine detecting submodule, And

다수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기뢰 지역을 소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dismantling the mine area using a plurality of mine clearance submersible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로 되며 단시간 내에 작전 해역의 기뢰 분포도와 종류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manned underwater min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mine detection submodule for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a mine distribution and a type of mine in an operation area within a short time;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으로부터 제공받은 기뢰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소해 작전을 수립하고, 수립된 작전정보를 전송하는 전술 단말; 및A tactical terminal for establishing a disarmament operation based on the mi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mine detection and transmitting the established oper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전술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기뢰 정보를 기초로 기뢰의 위치로 유도된 다음 자폭의 수단으로 소해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urality of mine clearance submersible units for performing a cancellation operation by means of a self-length following the mine location based on the min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actical terminal,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underwater mine clearance device .

소해작업은 소해시간 단축이 핵심 과제로서, 최장 이틀 이내의 단시간에 완결지어야 한다. 종래의 방법과 같이 유선 조종을 통해 운용하는 유삭식 무인 잠수정(Remotely Operated Vehicle; ROV)을 이용할 경우 작업의 난이도가 매우 높고 기뢰 부근까지 소해정(Mine Hunting Ship; MHS)이 접근하여야 하여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수도 있으며 모든 기뢰를 일일이 ROV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일시에 다수의 소해 장비를 원거리에서 투입하여 기뢰까지 자율 제어를 통해 접근하고 표적 기뢰와 지근 거리에서 자폭함으로써 표적 기뢰를 빠르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task of dismantling should be completed within a short time of up to two days as the key task is to shorten the dismantling time. When using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which is operated through cable control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operation is very difficult and the mine hunting ship (MHS) approaches to the vicinity of the mine, And it was necessary to dismantle all the mines remotely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OV.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urely remove the target mine by approaching the mine by autonomous control by inputting a plurality of dissolving equipment at a remote location at a time and self-exploiting the target mine and the near distanc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MCM:100), 기뢰 소해용 무인잠수정(300) 및 전술 단말(200)로 구성된다. FIG. 1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n MCM 100 for mine detection, an unmanned submersible 300 for mines and a tactical terminal 200.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Mine Countermeasure(MCM);100)은 하나 또는 복수로 되며 단시간 내에 작전 해역의 기뢰 분포도와 종류를 인식하여 상기 전술 단말(200)로 전송한다. MCM(100)은 기뢰 탐지를 위하여 자기, 열원, 화학, 광학 및 수중 음향 센서 등을 탑재한 자율 무인 잠수정(Autonomous Underwater Vehicle;AUV)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비슷한 장비를 탑재한 무인 수상함(Unmanned Surface Vehicle, USV)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 뢰 소해용 무인잠수정(Mine Disposal Vehicle(MDV);300)은 상기 전술 단말(Tactical Command Unit(TCU);200)로부터 입력 받은 기뢰 정보(위치, 종류)를 기초로 기뢰의 위치로 유도된 다음 자폭 등의 수단으로 소해 작업을 수행한다. 전술 단말(200)은 상기 탐지용 무인 잠수정(100)으로부터 제공받은 기뢰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소해 작전을 수립하고, 수립된 작전정보를 다시 기뢰 소해용 무인 잠수정(300)으로 입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One or more Mine Countermeasures (MCM) 100 for detecting a mine are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tactical terminal 200 in a short time by recognizing the mine distribution and type of the mine in a short time. The MCM 10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 equipped with magnetic, heat source, chemical, optical and underwater acoustical sensors for mine detection, but in some cases, (Unmanned Surface Vehicle, USV). The Mine Disposal Vehicle (MDV) 300 is then guided to the location of the mine based on the mine information (position, type) input from the Tactical Command Unit (TCU) 200, And so on. The tactical terminal 200 establishes a cancellation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mi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etection unmanned submersible 100 and inputs the establish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unmanned submersible 300 for mine clearance.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Figure 2 shows a flow diagram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는 먼저,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100)에 의해 기뢰 탐지 및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 기뢰 탐지 및 분포 지도의 작성에 이어서 전술 단말(200)을 통해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과 정보 교환을 하고 다수의 기뢰 소해용 무인 잠수정(300)에 기뢰 지역 소해 임무를 지시하는 단계(S20)가 수행된 다음에 기뢰 소해용 무인 잠수정(300)을 통해 기뢰 지역을 소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 The step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creating a mine detection and distribution map by the mine detection unmanned submersible 100 (S10). Subsequent to the creation of the mine detection and distribution map, step S20 is performed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mine detection through the tactical terminal 200 and to instruct the unmanned submersible 300 for mine clearance to mine area And then the mine area is drilled through the unmanned submersible 300 for mine clearance (S30).

단계 S30에서의 기뢰의 기폭 방식으로는 선체의 자장에 반응하는 방식인 자기식, 선체가 발산하는 특정 음향 특징에 반응하는 방식인 음향식, 선체가 직접 기폭 장치를 건드리면 반응하는 방식인 접촉식, 선체가 움직일 때 주변 유체장을 교란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반응하는 방식인 압력식, 전술한 두 가지 이상을 결합하여 반응하는 방식인 복합식이 있다. The mooring method of the mine in the step S30 is a magnetic type which responds to the magnetic field of the hull, an acoustic type which responds to specific acoustic characteristics emitted by the hull, a contact type which reacts when the hull directly touches the explosive device, , A pressure type which responds to the pressure generated when disturbing the surrounding fluid field when the hull is moving, and a combination typ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above two types of reaction.

그러나 종래의 기뢰 제거방식은 기뢰가 부설된 지역을 융단 폭격한 후에 유인 소해정이 기뢰 기폭 유도체를 예인하여 기뢰의 기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루 어졌다. 그러나 복합식 기뢰의 경우 유도체만으로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최근에는 소해정에 탑재된 MDV용 유삭식 무인 잠수정(Remotely Operated Vehicle, ROV)을 이용하여 기뢰를 탐지하고 ROV에 장착된 소해 장비로 기뢰를 제거하는 방식이 개발되었지만, 이 방식의 경우 개별 기뢰를 제거하기에는 작업 난이도가 높으며 더욱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ine removal method, after the carpet was bombarded in the area where the mine was laid, the mine exploitation was conducted by towing the mine explosive derivative to induce the mine exploit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omplex mines, it is not easy to remove them with only derivatives. In recent years, mines have been detected using the Remotely Operated Vehicle (MDV) Although this method has been developed, it is difficult to remove individual mines, and it takes much more time.

본 발명에서는 기뢰를 탐지하고, 탐지된 기뢰에 대한 소해를 지시하고, 기뢰 지역을 소해하는 간단한 단계에 의해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이를 통해 소해하고자 하는 기뢰 지역을 종래의 방법보다 빠르고 은밀하면서도 일시에 소해 작업을 마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 simple step of detecting the mine, indicating the disappeared to the detected mine, and abandoning the mine area. In this way, the mine area to be destroyed can be completed faster and more covertly and quickly than before.

도 3은 도 2의 단계 S1O과 S30의 본 발명의 방법 흐름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low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teps S1O and S30 of FIG.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의 흐름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10에서는 다수의 MCM(100)을 투입하여 작전 해역 내 기뢰의 위치를 파악하여 전체적인 기뢰의 배치를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CM(100)은 추측 항법 시스템을 주 항법 장치로 사용하지만, 간헐적으로 수면에 부상하여 GPS의 보정을 받아 추측 항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누적 오차를 제거한다. MCM(100)은 1차적으로 수중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기뢰로 추정되는 물체를 확인하고, 물체에 접근하여 자기, 열원, 화학 및 광학 센서 등을 통해 추정 물체가 기뢰임을 확인하고 기뢰의 종류를 판단한다. 또한 내부 항법 정보와 연동하여 기뢰의 위치를 저장한다. Hereinafter, the flow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FIG. In step S10, it is preferable to input a plurality of MCMs 100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mines in the operation area, and quickly grasp the overall arrangement of the mines. The MCM 100 uses the speculative navigation system as a navigation device, but it intermittently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corrects the GPS to eliminate accumulated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speculative navigation. The MCM 100 firstly checks an object assumed to be a mine by using an underwater acoustic sensor and confirms that the estimated object is a mine through magnetic, heat source, chemical and optical sensors, approaches the object, do. It also stores the location of the mine in conjunction with internal navigation information.

MCM(100)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기뢰의 위치를 바탕으로 작전 해역에 대한 기뢰 분포도를 작성한다(S10). 이어서, 전술한 단계 S30의 기뢰 지역 소해 과정을 수행한다. The MCM 100 creates a mine distribution map for the operation area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llected mines (S10). Subsequently, the mine area abandonment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step S30 is performed.

이 과정에서는 단계 S10에서 얻어진 기뢰 분포도를 바탕으로 개별 기뢰의 위치 정보를 MDV(300)에 입력한다. 이때 TCU(200)를 통해 작전 해역에 대한 기뢰 분포도 작성 및 개별 기뢰의 위치정보에 대한 입력이 수행된다. TCU(200)는 MDV(300)로부터 작전수행 가능 여부를 통보 받고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고 통보한 MDV(300)에 목표가 될 표적 기뢰의 위치를 입력한다. In this pro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mines is input to the MDV 300 based on the mine distribution map obtained at step S10. At this time, a mine distribution map is created for the operation area through the TCU 200, and the inpu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mines is performed. The TCU 200 is informed from the MDV 300 of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inputs the location of the target mine to be targeted to the MDV 300 notified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CU(200)로부터 표적 기뢰의 위치를 입력 받은 MDV(300)는 입수 후 표적 기뢰를 향해 항해 후 표적 기뢰 부근에서 자폭하여 기뢰를 제거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MCM(100)을 이용한 기뢰의 탐색과정과 MDV(300)을 통한 기뢰를 소해하는 2단계 과정이 완성한다. 추가로 기뢰 탐지 및 분포지도작성 과정을 반복하여 해당 해역의 기뢰 소멸을 최종 확인하는 작업을 추가할 수 있다. The MDV 300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target mine from the TCU 200. After obtaining the target mine, it navigates toward the target mine, and self-destroys the mine near the target mine. Through this process, the mine search process using the MCM 100 And the MDV 300 are completed. In addition, you can repeat the process of mine detection and distribution mapping to add a final confirmation of the destruction of the mine in the area.

구체적으로, 이동용 상자에서 분리한 MDV(300)에 배터리 모듈을 탑재한다(S31). 무인 잠수정의 배터리를 무인 잠수정의 내압 선체 내부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모듈을 내압 선체 외부의 별도 모듈로 구성하여 내장 배터리의 자연 방전에 기인한 배터리 교환을 위한 추가적인 유지 보수에 대한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탑재에 의해 MDV(300) 폭약(후술함) 및 탑재 센서 등의 내부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다. 다음에 MDV(300)의 인공지능이 MDV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태를 점검한다(S32). 임무가능 여부를 판단 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RF 통신과 같은 원격 통신 모듈을 통해 TCU(200)로 전송한다(S33). TCU(200)는 경로 유도 방식에 의해 규정된 최적 경로를 도시한 도 4에 따라 표적 기뢰의 좌표와 표적 기뢰의 심도(D) 정보에 따른 최적 수평방향 상대 거리(L)와 이에 따른 최적 유도 경로 정보를 원격 통신 모듈을 통해 임무가 가능한 MDV(300)로 전송한다. Specifically, the battery module is mounted on the MDV 300 separated from the mobile box (S31). The battery of the unmanned submersible is generally mounted inside the pressure vessel of the unmanned submer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as a separate module outside the pressure-resistant hull, and the need for additional maintenance for replacement of the battery due to natural discharge of the built- Can be eliminated. With such a battery mounted, power is applied to an internal device such as the MDV 300 explosive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nd a mounting sensor. Next, the state of wheth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MDV 30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DV is checked (S3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ission is possible, and information about the mission is transmitted to the TCU 200 through a remot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RF communication (S33). The TCU 200 calculates the optimal horizontal path length L according to the coordinate of the target mine and the depth D of the target mine according to FIG. 4 showing the optimal path defined by the path deriva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ission-enabled MDV 300 via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도 4는 상기 D와 L에 관한 정의와 유도과정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D는 기뢰의 심도이고, L은 MDV로부터 기뢰까지의 수평 거리를 나타내며, MDV(300)의 동역학적 특성에 따라 각각의 D에 따른 최적 값을 사용한다. 이때 MDV(300)의 양산 이전에 미리 테스트를 거쳐 D에 관한 최적 값과 이를 바탕으로 유체역학적인 최적경로를 결정해 두고 실제 운용 시에 이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 4 shows definitions and derivation processes for the above D and L. FIG. In the figure, D is the depth of the mine, L i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MDV to the mine, and the optimal value for each D is used according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DV 30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optimum value of D and the optimal hydrodynamic path on the basis of the optimum value of D before the mass production of the MDV 300, and follow it in actual operation.

MDV(300)는 입수(S34) 과정에서 GPS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적 기뢰를 향해 수면 항해를 수행한다(S35). 이때 MDV(300)의 동체부는 완전히 수면 아래에 잠긴 상태이고, GPS 및 원격 통신 안테나 모듈만이 물 밖으로 나오는 약간의 양성 부력(중량 보다 부력이 큰 상태) 상태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이는 GPS 신호가 수면 아래에서는 수신되지 않으며 간헐적으로 파도가 안테나를 덮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가급적 GPS 안테나는 MDV(300)의 동체보다 높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를 이용하여 수면 항해를 하는 동안 MDV(300)는 관성 항법 시스템의 초기 자세 및 변수 설정을 완료하는 운항 중 정렬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MDV(300)는 수면 항해를 수행하는 동안 GPS로부터 제공되는 기수각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 컴퍼스의 자편각(자기 북극과 진북의 편차)을 보정하는 작업을 병행한 다. MDV(300)가 표적 기뢰를 향해 똑바로 수면항해를 하다가 미리 TCU(200)로부터 입력 받은 표적 기뢰와의 상대 수평 거리(L)에 다다르면 TCU(200)로부터 입력 받은 최적 경로를 따라 잠항을 시작하여(S36) 미리 입력된 경로를 추종하는 경로 추종제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MDV(300)는 관성 계측 장치와 심도계 및 자기 컴퍼스의 정보를 바탕으로 얻은 추측 항해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표적 기뢰까지 접근하여 표적을 확인한다(S37). TCU(200)으로부터 입력 받은 위치에서 MDV(300)는 장애물 감지 소나(후술함)를 작동시켜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고 판단하면 TCU(200)에 이 사실을 신호로 전송하고(S38), MDV(300) 내부의 기폭장치를 작동(S39')시켜 자폭하는 과정을 통해 표적 기뢰를 제거한다. The MDV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in the acquisition step (S34) and performs the sleep navigation toward the target mine (S3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art of the MDV 300 is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surface, and the GPS and the tele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re designed to have a slight positive buoyancy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is larger than the weight) This is to avoid GPS signals being receiv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intermittently covering the antenna with wav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GPS antenna as high as possible above the body of the MDV 300. During sleep navigation using GPS, the MDV 300 performs an in-flight alignment process to complete initial positioning and parameter setting of the Inertial Navig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MDV 300 performs a task of correcting the magnitude of the self-compass (deviation between the magnetic north pole and the true north) using the radar angl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PS while performing the sleep navigation. When the MDV 300 reaches a relative horizontal distance (L) with respect to the target mine inputted from the TCU 200 in advance while making a straight voyage toward the target mine, the submarine starts to submerge along the optimal path input from the TCU 200 S36), and performs path-following control for following a previously input path. Since the GPS information can not be received in this process, the MDV 300 accesses the target mine based on the estimated navigation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the depth meter and the magnetic compass, and confirms the target (S37). The MDV 300 transmits the fact to the TCU 200 as a signal when it determines that there is an obstacle ahead by activating the obstacle sensor (described later) at the position received from the TCU 200, ) Is activated (S39 ') to destroy the target mine.

만일 미리 TCU(200)으로부터 입력 받은 위치에 표적 기뢰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기뢰 제거 임무 실패로 단정한다(S39). If the target mine can not be confirmed at the position received from the TCU 200 in adv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mine removal mission is failed (S39).

도 5는 임무 실패시의 절차 흐름도를 도시한다. 5 shows a flow chart of the procedure in case of mission failure.

먼저 MDV(300)는 수면 위로 부상한다(S39a). 그리고 RF 통신과 같은 원격 통신을 이용하여 TCU(200)에 접속하여 작업 실패를 알리고 이후의 절차에 관한 명령을 수신한다(S39b). MDV(300)가 수면으로 부상한 후에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GPS를 통한 항법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TCU(200)가 지정한 제1 집결지로 이동한 후(S39c), 기폭 장치(또는 폭약 모듈)를 분리하여 MDV(300)에 탑재된 폭약의 위험을 제거한다(S39d). 이어서, 제2 집결지로 이동하여(S39e) MDV(300)의 회수를 대기한다. First, the MDV 300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S39a). In step S39b, the TCU 200 is notified of the operation failure by using the remote communication such as the RF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command related to the subsequent procedure. After the MDV 300 has surfac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t can receive the GPS signal. Therefore, the navigation system is moved to the first site designated by the TCU 200 with the help of the GPS navigation system (S39c) Module) to remove the risk of explosives mounted on the MDV 300 (S39d). Then, the process moves to the second collection site (S39e), and waits for the recovery of the MDV 300.

도 6a는 본 발명의 MDV를 3D로 표시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의 MDV를 2D로 표시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 6A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DV of the present invention in 3D, and FIG. 6B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2D representation of the MDV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의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물 감지 소나(300-01), 폭약(300-02), 심도계(300-03), 자기 컴퍼스(300-04), 컴퓨터(300-05), 관성 계측장치(300-06), 추진기 모터(300-07), 방향타 모터(300-08), GPS 안테나(300-09), 원격 통신 안테나(300-10), 힌지(300-11), 배터리(300-12), 방향타(300-13), 및 추진기(300-14)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obstacle detection terminal 300-01, the explosive 300-02, the depth meter 300-03, the magnetic compass 300-04, the computer 300-05,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00-06, the propeller motor 300-07, the rudder motor 300-08, the GPS antenna 300-09, the telecommunication antenna 300-10, the hinge 300-11, A battery 300-12, a rudder 300-13, and a propeller 300-14.

장애물 감지 소나(300-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애물을 감지하는 수중 음파 탐지기이고, 폭약(300-02)은 기뢰 제거를 위한 폭약이고, 심도계(300-03)는 기뢰의 심도를 계측하는 장치이고, 자기 컴퍼스(300-04)는 기뢰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의 방위를 측정하는 장치이고, 컴퓨터(300-05)는 인공지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관성 계측장치(300-06)는 MDV(300)의 관성을 계측하는 장치이고, 추진기 모터(300-07)는 MDV(300)를 추진하는 추진기(300-13)를 구동하는 모터이다. 한편, 방향타 모터(300-08)는 MDV(300)의 방향타인 러더를 구동하는 모터이고, GPS 안테나(300-09)는 GPS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이고, 원격 통신 안테나(300-10)는 RF 신호와 같은 원격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이고, 힌지(300-11)는 안테나 접이용 구조이며, 배터리(300-12)는 MDV(300)의 전원이고, 방향타(300-13)는 MDV(300)의 방향을 잡는 러더이고, 추진기(300-14)는 MDV(300)를 추진하는 장치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obstacle detection sonar 300-01 is an underwater sonar for detecting an obstacle, the explosive 300-02 is a explosive for mine removal, and the depth meter 300-03 measures the depth of the mine The magnetic compass 300-04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orientation of the magnetic field radiated from the mine, the computer 300-05 is for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00-06 is a device for measuring MDV And the propeller motor 300-07 is a motor for driving the propeller 300-13 that propels the MDV 300. [ On the other hand, the rudder motor 300-08 is a motor for driving the rudder of the MDV 300, the GPS antenna 300-09 is an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GPS, The hinge 300-11 is an antenna contact structure, the battery 300-12 is a power source of the MDV 300, the rudder 300-13 is an antenna for receiving a remote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an MDV (300), and the propeller (300-14) is a device for propelling the MDV (300).

그러면 이하에서는 MDV(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DV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MDV(300)의 GPS용 안테나(300-09)는 가급적 수면 위로 올라오게 구성하는 것 이 파랑의 영향으로 인해 신호가 단절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통신 안테나(300-10)의 끝에 GPS 안테나(300-09)를 부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격 통신 안테나(300-09)는 유연하게 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격 통신 안테나(300-10)는 이동시 파손이 될 수 있으므로 이동 시에는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접혀 있다가 MDV(300)가 작동할 때만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안테나 접이용 힌지 구조(300-11)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DV(300)가 수중으로 잠항하는 경우 GPS와 RF 통신은 불가능하므로 이 경우는 유체역학적 저항 감소를 위하여 다시 처음처럼 안테나를 올려놓고 운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PS antenna 300-09 of the MDV 300 is configured such that it is as high as possibl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o avoid the signal being cut off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ave. For this, as shown in FIGS. 6A and 6B,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GPS antenna 300-09 to the end of the remote communication antenna 300-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lecommunication antenna 300-09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due to collision with other objects. Further, since the telecommunication antenna 300-10 may be broken during the movement, whe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antenna 300-10 is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when moving, only when the MDV 300 is operated, the telecommunication antenna 300-10 has a structure spreading as shown in Figs. 6A and 6B It is desirable to add an antenna folding hinge structure 300-11.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MDV 300 is submerged in the water, GPS and RF communication are not possible.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antenna with the antenna placed thereon for the first time to reduce the hydrodynamic resistance.

소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MDV(300)의 항법 센서는 기본적으로 GPS(300-09), 관성 계측장치(300-06), 자기 컴퍼스(300-04), 및 심도계(300-03)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속도계 및 USBL(Ultra Short-baseline)과 같은 수중 음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관성 계측장치(300-06)는 3축 가속도계(3-axis accelerometers)와 3축 각속도계(3-axis gyros)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급적 동체의 무게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관성 계측장치가 무게 중심에서 벗어 낫기 때문에 발생하는 레버 암(lever-arm) 효과를 효과적으로 보상해줄 필요가 있으나, 이 효과를 정확하게 보상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가급적 이러한 구성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avigation sensor of the MDV 300 for performing the dismantling work is basically composed of a GPS 300-09, an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00-06, a magnetic compass 300-04, and a depth meter 300-03 And may further include an underwater acoustics device such as a speedometer and a USBL (Ultra Short-Baseline). Since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00-06 is composed of a 3-axis accelerometer and a 3-axis gyroscop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300-06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uselage. Otherwise,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compensate for the lever-arm effect caused by the deviation of the inertial measurement devi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but it is not easy to accurately compensate for this effect, so it is preferable to avoid such a configuration as much as possible.

동체 후미의 모터 회전에 의한 자기장 교란 및 소음의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자기 컴퍼스(300-04)는 내압 용기의 앞 부분에 위치시키고, 장애물 감지 소나(300-1)는 선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압 선체의 내부에는 인공지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300-05)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모든 장치들은 이동 또는 입수 시에 발생하는 충격에 파손이 되지 않을 수도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도계(300-3)는 내압 용기 외부에 설치하고, 수중 커넥터를 통해 내압 용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약(300-2)은 내압 용기 밖에 설치하여 기뢰 제거를 위한 폭발력이 감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compass 300-04 is plac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and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300-1 is mounted in the bow to avoid the influence of magnetic field disturbance and noise due to the motor rotation at the tail of the fusel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uter 300-05 for carrying out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included in the inside of the pressure hull, and all the devices should be designed so as not to be damaged in the impact generated when moving or getting into the ship. The depth gauge 300-3 is desirably provided outsid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through an underwater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losive 300-2 is installed outsid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so that the explosive force for removing the mine is not reduced.

전술한 소해 작업 절차 수행하기 위하여 폭약은 필요 시 자동으로 MDV(30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체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300-12)는 MDV(300) 외부에서 수중 커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내압 용기 내부와 기폭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소해 작업을 위해 바람직하다. 물론 내압 용기 바깥에 탑재되는 장비들의 방수 및 내압 처리는 기본적으로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MDV(300)의 추진장치는 수중 방수 모터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비용 절감 측면에서 모터(300-07)를 내압 용기 내부에 배치하는 것도 좋다. 추진장치의 프로펠러는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외부에 덕트를 설치하고 덕트 안쪽에 프로펠러와 방향타(300-1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타(300-13)의 구동은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 선체 내부에 방향타 조향용 서버 모터인 방향타 모터(300-08)을 배치하고, 내압 용기를 관통하는 기구부를 이용하는 것도 좋으며, 내압 용기 바깥쪽에 자체 방수 및 내압 처리를 한 서보 모터를 배치하여 직접 방향타(300-13)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In order to carry out the above-described dismantling work proced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losive is made to be detached from the MDV 300 automatically when necessary. It is preferable for the battery 300-12 to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DV 300 through an underwater connector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vessel and the detonator. Of course, the waterproofing and pressure-resistant treatment of the equipment mounted outsid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must be designed to be basically satisfactory. Although the propulsion device of the MDV 300 may be constructed of a waterproof water motor, it is also preferable to dispose the motor 300-07 insid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in terms of cost redu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opeller of the propulsion device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duct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ropeller and a rudder (300-13) are installed inside the duct. As shown in Figs. 6A and 6B, a rudder motor 300-08, which is a rudder steering servo motor, is disposed inside the pressure hull, and the rudder motor 300-08 And a servo motor having its own waterproofing and pressure-resistant processing may be disposed outsid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so that the rudder 300-13 can be directly manipulated.

소해 작업은 소해 시간 단축이 중점 과제로서, 최장 이틀 이내의 단시간에 완결지어야 한다. 종래의 방법과 같이 유선 조종을 통해 운용하는 유삭식 무인 잠수정(Remotely Operated Vehicle; ROV)을 이용할 경우 작업의 난이도가 매우 높고 기뢰 부근까지 소해정(Mine Hunting Ship)이 접근하여야 하여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수도 있으며 모든 기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일시에 다수의 소해 장비를 원거리에서 투입하여 기뢰까지 자율 제어를 통해 접근하고 표적 기뢰와 지근 거리에서 자폭함으로써 표적 기뢰를 빠르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for the work of the dismantling, the shortening of the dismantling time is the main task, and it should be completed in a short time within a maximum of two days. When using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which is operated through cable control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operation is very difficult and the mine hunting ship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mine, Because all the mines must be dismantled by hand, much time has been required for the dismantling work.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urely remove the target mine by approaching the mine by autonomous control by inputting a plurality of dissolving equipment at a remote location at a time and self-exploiting the target mine and the near distance.

지금까지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1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Figure 2 shows a flow diagram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S10과 S30의 본 발명의 방법 흐름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teps S10 and S30 of FIG.

도 4는 상기 D와 L에 관한 정의와 유도과정을 보여준다.FIG. 4 shows definitions and derivation processes for the above D and L. FIG.

도 5는 임무 실패시의 절차 흐름도를 도시한다. 5 shows a flow chart of the procedure in case of mission failure.

도 6a는 본 발명의 MDV를 3D로 표시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Figure 6A illustrates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DV of the present invention in 3D representation.

도 6b는 본 발명의 MDV를 2D로 표시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6B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2D representation of the MDV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 200: 전술 단말100: Mine detection unmanned submersible 200: Tactical terminal

300: 소해용 무인 잠수정 300-01: 장애물 감지 소나 300: Unmanned submersible 300-01: obstacle detection sonar

300-02: 폭약 300-03: 심도계 300-02: Explosives 300-03: Depth meter

300-04: 자기 컴퍼스 300-05: 컴퓨터 300-04: Magnetic Compass 300-05: Computer

300-06: 관성 계측장치 300-07: 추진기 모터 300-06: inertial measuring device 300-07: propeller motor

300-08: 방향타 모터 300-09: GPS 안테나 300-08: Rudder Motor 300-09: GPS Antenna

300-10: 원격 통신 안테나 300-11: 힌지 300-10: Telecommunication antenna 300-11: Hinge

300-12: 배터리 300-13: 방향타 300-12: Battery 300-13: Rudder

300-14: 추진기 300-14: Propeller

Claims (26)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에 의해 기뢰를 탐지하여 분포 지도를 작성하는 단계; 및Detecting a mine by an unmanned submersible for mine detection and preparing a distribution map; And 다수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이용하여 기뢰 지역을 소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And dismantling the mine area using a plurality of mine clearance submersibles,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은 수중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기뢰로 추정되는 물체를 확인하고, 물체에 접근하여 자기, 열원, 화학 및 광학 센서를 통해 추정 물체가 기뢰임을 확인하고 기뢰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The mine detection unmanned submersible uses an underwater acoustic sensor to identify an object estimated to be a mine, confirms that the estimated object is a mine by approaching the object, using a magnetic source, a heat source, a chemical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전술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과 정보교환을 하고 상기 소해용 무인 잠수정에 기뢰 지역 소해를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Further comprising: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mine detection using a tactical terminal, and instructing the unmoving submersible to cancel the mine are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은 자기, 열원, 화학, 광학 및 수중 음향 센서를 탑재한 자율 무인 잠수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Wherein the mine detecting unmanned submersible comprises an autonomous unmanned submersible vehicle equipped with magnetic, heat source, chemical, optical and underwater acoustic sensor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은 추측 항법 시스템을 주 항법 장치로서 사용하고, 수면에 부상하여 GPS의 보정을 받아 추측 항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누적 오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Wherein the mine detection unmanned submersible system uses the probing navigation system as a navigation device and floats on the surface of water to compensate for GPS to remove cumulative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bing navigation.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뢰 지역 소해 단계는 소해용 무인 잠수정에 배터리 모듈을 탑재하고, 자체 점검을 하며, 전술 단말과 접속을 통해 입수를 결정하고. 수면 항해를 하고, 잠항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In the mine area dismantling stage, a battery module is mounted on the unmanned submersible, and the self-check is performed. And performing sleep navigation and submergen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잠항에 이어서 표적 확인을 하고, 전술 단말과 접속하여 기폭 장치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And subsequently activating the detonator by connecting to the tactical terminal and performing the target check after the submitting.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술 단말은 표적 기뢰의 좌표와 표적 기뢰의 심도(D) 정보에 따라 최적 수평 방향 상대 거리(L)와 이에 따른 최적 유도 경로 정보를 RF와 같은 원격 통 신을 통해서 임무가 가능한 소해용 무인 잠수정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The tactical terminal transmits the optimum horizontal directional distance (L) and the optimum guidance route information to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the mission through telecommunication such as RF according to the coordinate of the target mine and the depth (D) information of the target min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상대 거리(L)는 미리 테스트를 거쳐 결정된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각각의 심도(D)에 따른 최적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Wherein the relative distance (L) uses an optimal value according to each depth (D) of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abatement determined in advance through testing.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소해용 무인 잠수정은 수면 항해를 수행하는 동안 GPS로부터 제공되는 기수각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 컴퍼스의 자편각을 보정하는 작업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Wherein the unmanned submersible is operated in parallel with correction of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compass using the radar angl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PS during the navigation of the water surface.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표적 기뢰의 탐지하지 못한 경우 임무 실패로 단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And if the target mine is not detected, the mission failure is determined.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임무 실패의 경우, 수면으로 부상하고, 전술 단말과 접속하고, 제1 집결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And in the case of the mission failure, float to the surface of the water, connect to the tactical terminal, and move to the first rally.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집결지로 이동에 이어서 기폭 장치를 분리하고, 제2 집결지로 이동하고,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Separating the detonator following the movement to the first ridge and moving to the second ridge, and recovering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abatement.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수면으로 부상한 후 GPS를 통한 항법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전술 단말이 지정한 제1 집결지로 이동한 후 기폭 장치를 분리하여 소해용 무인 잠수정에 탑재된 폭약의 위험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방법.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moved to the first landing site designated by the tactical terminal with the help of a navigation system via GPS after the surface is floated to the water surface and then the detonator is removed to remove the danger of explosives mounted on the unmanned submersible. Way. 하나 또는 복수로 되며 단시간 내에 작전 해역의 기뢰 분포도와 종류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One or more unmanned submersibles for mine detection to recognize and transmit the mine distribution and type of the mine in a short time; 상기 기뢰 탐지용 무인 잠수정으로부터 제공받은 기뢰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소해 작전을 수립하고, 수립된 작전정보를 전송하는 전술 단말; 및A tactical terminal for establishing a disarmament operation based on the min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mine detection and transmitting the established oper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전술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기뢰 정보를 기초로 기뢰의 위치로 유도된 다음 자폭의 수단으로 소해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And a plurality of mine clearance submersibles for performing a mine operation by means of a self-length following the mine location based on the min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actical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소해용 무인 잠수정은 장애물을 감지하는 수중 음파 탐지기로서 장애물 감지 소나, 기뢰 제거를 위한 폭약, 기뢰의 심도를 계측하는 심도계, 기뢰로부터 방사되는 자기의 방위를 측정하는 자기 컴퍼스, 인공지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The undersea submarine is an underwater sonar that detects an obstacle. It is an obstacle detector, an explosive for mine removal, a depth meter for measuring the depth of the mine, a magnetic compass for measuring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radiated from the mine, And a computer for controlling the underwater mine. 제15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관성을 계측하는 관성 계측장치,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추진하는 추진기를 구동하는 추진기 모터,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방향타인 러더를 구동하는 방향타 모터, GPS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RF와 같은 원격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원격 통신 안테나, 상기 원격 통신 안테나 접이용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A rudder motor for driving a propulsion unit for driving a submersible borehole, a rudder motor for driving a rudder rudder for a submersible borehole, a GPS antenna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GPS, A remote communication antenna for receiving the same remote communication signal, and a hinge for connecting the remote communication antenna. 제15항에 있어서, 16. The method of claim 15,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전원인 배터리,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방향을 잡는 방향타, 소해용 무인 잠수정을 추진하는 추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A battery that is a power sourc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a rudder that directs the unmoving submersible, and a propeller that propels the unmanned submersible. 제17항에 있어서, 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관성 계측장치는 3축 가속도계와 3축 각속도계로 구성되며,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무게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Wherein the inertial measurement apparatus is constituted by a three-axis accelerometer and a three-axis angular velocity meter,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bmersible borehole. 제16항에 있어서, 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자기 컴퍼스는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내압 용기의 앞 부분에 그리고 상기 장애물 감지 소나는 상기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선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Wherein the magnetic compass is loca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pressure vessel of the unmanned submersible for disasters and the obstacle detection sonar is located at the bow of the submersible unmanned submersible. 제20항에 있어서,21.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폭약은 상기 내압 용기의 밖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Wherein the explosive is installed outside the pressure-resistant container.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2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or 21, 상기 폭약은 자동으로 상기 소해용 무인 잠수정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Wherein the explosive is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배터리는 소해용 무인 잠수정 외부에서 수중 커넥터를 통해 연결하여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내압 용기 내부와 기폭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수중 기뢰 제거 장치. Wherein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vessel through an underwater connector to supply power to the interior of the pressure vessel of the unmanned submersible vessel and the detonator. 제17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추진기 모터는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내압 용기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Wherein the propeller motor is disposed inside a pressure-resistant container of an unmanned submersible for unmanned underwater.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소해용 무인 잠수정의 덕트 안쪽에 프로펠러와 방향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Wherein a propeller and a rudder are installed inside the duct of the unmanned submersible. 제18항에 있어서,19. The method of claim 18, 내압 선체 내부에 방향타 조향용 서보 모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뢰 제거 장치. Characterized in that a servo motor for rudder steering is arranged inside the pressure-resistant hull.
KR1020090066132A 2009-07-21 2009-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KR101605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132A KR101605112B1 (en) 2009-07-21 2009-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132A KR101605112B1 (en) 2009-07-21 2009-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68A KR20110008668A (en) 2011-01-27
KR101605112B1 true KR101605112B1 (en) 2016-03-22

Family

ID=4361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132A KR101605112B1 (en) 2009-07-21 2009-07-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1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83B1 (en) 2018-08-07 2019-02-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Underwater vehicle for removing underwater detonator
KR102080227B1 (en) * 2019-07-03 2020-0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searching underwater target object
KR102201170B1 (en) 2020-07-22 2021-0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underwater targ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1B1 (en) * 2011-06-28 2012-06-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obile mine, and method to induce mobile mine on laying position
KR101404123B1 (en) * 2012-12-07 2014-06-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Underwater trigger system using sound code and underwater triggering method using thereof
KR101471094B1 (en) * 2013-06-20 2014-12-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 underwater robot
KR102117379B1 (en) * 2013-07-12 2020-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eparated type test apparatus of naval vessel system
KR102117380B1 (en) * 2013-07-18 2020-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ll-in-one type test apparatus of naval vessel system
KR101579536B1 (en) * 2013-12-13 2015-12-22 박태용 Mine Detection and Mine Removal Air-Cushion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757B1 (en) 1994-01-18 1999-06-15 클라우스 쿠프리안, 클라우스 슐츠 A submarine small ship
JP2001287694A (en) * 2000-04-04 2001-10-16 Mitsubishi Heavy Ind Ltd Mine disposal sailing body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nderwater mine
KR100823739B1 (en) * 2006-12-08 2008-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urroundings mapping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quickly changed surroundings information in mobile robo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757B1 (en) 1994-01-18 1999-06-15 클라우스 쿠프리안, 클라우스 슐츠 A submarine small ship
JP2001287694A (en) * 2000-04-04 2001-10-16 Mitsubishi Heavy Ind Ltd Mine disposal sailing body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nderwater mine
KR100823739B1 (en) * 2006-12-08 2008-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urroundings mapping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quickly changed surroundings information in mobile robot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83B1 (en) 2018-08-07 2019-02-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Underwater vehicle for removing underwater detonator
KR102080227B1 (en) * 2019-07-03 2020-02-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searching underwater target object
KR102201170B1 (en) 2020-07-22 2021-0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underwater targ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68A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ines in the Sea
US11267546B2 (en) Ocean bottom seismic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JP48142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troying a positioned mine
US6738314B1 (en) Autonomous mine neutralization system
DK2830934T3 (en) UNDERWORK WORKING SYSTEM AND PROCEDURE FOR OPERATING AN UNDERWORKING SYSTEM
US8297162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identifying and neutralizing an undersea mine
EP2931599B1 (en) Self-burying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nd method for marine seismic surveys
US6359834B1 (en) Mine neutralization device
AU2018206756A1 (en) Underwater system and method
JP6556516B2 (en) Ocean exploration device and ocean exploration method
KR102497993B1 (en) Control method of an underwater hang main body, input method of an underwater hang main body, pumping method of an underwater hang main body, control system of an underwater hang main body, and input and pumping equipment of an underwater hang main body control system
AU2013248499A1 (en) Recovery method for recovering an underwater vehicle, recovery device, submarine with recovery device, underwater vehicle for this purpose, and system equipped therewith
RU2653527C1 (en) Multifunctional unit for underwater technical work implementation
CN110536830B (en) Application method of multiple underwater vehicles and application system of multiple underwater vehicles
JP7133196B2 (en) Underwater equipment recovery method and underwater equipment recovery system
CN110539864A (en) seabed flight node aircraft capable of resisting soil adsorption and working method
KR102134253B1 (en) Device and System for Underwater platform Multi-mode Management of Floating Platform
AU20183856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utralising underwater explosive devices
JP7006900B2 (en) Input / collection system for multiple underwater vehicles
KR101158721B1 (en) Mobile mine, and method to induce mobile mine on laying position
WO2023194803A1 (en) Underwater vehicles for vessel characterization
Fan Summary of AUV Yumeiruka sea trial results
Wood et al. Ordnance Recovery Crawler
JP2018172056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derwate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