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749B1 -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749B1
KR101604749B1 KR1020090068517A KR20090068517A KR101604749B1 KR 101604749 B1 KR101604749 B1 KR 101604749B1 KR 1020090068517 A KR1020090068517 A KR 1020090068517A KR 20090068517 A KR20090068517 A KR 20090068517A KR 101604749 B1 KR101604749 B1 KR 10160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light
light emitting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1060A (en
Inventor
조재우
김문영
원창배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749B1/en
Publication of KR2011001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 레이어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명 효과를 구현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광성 필름과, 상기 투광성 필름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을 상기 투광성 필름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se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terminal body, and electronic parts embedded in the case, the case including a base layer,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And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the light transmitting film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 terminal and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applied thereto are disclose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조명 효과가 구현 할 수 있는 케이스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 및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to which a case capable of implementing a lighting effect is applied.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media device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에 케이스 상에 조명 효과를 구현하는 구조로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심미적 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In recent years, as a structure for implementing a lighting effect on a case in a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user or an aesthetic effect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림한 두께와 밝은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케이스 조명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lighting structure capable of realizing a slim thickness and a bright lighting effec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 레이어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명 효과를 구현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광성 필름과, 상기 투광성 필름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을 상기 투광성 필름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se for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terminal body, and electronic parts embedded in the case, the case including a base layer, And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light transmissive film and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light transmissive film, And a portable terminal.

상기 베이스 레이어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광성 필름 및 도광판과 융착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layer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be fused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베이스 레이어는 상기 투광성 필름 및 도광판을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layer may be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n which the light 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are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도광판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홈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or may be disposed on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 레이어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광성 필름과, 상기 발광소자 에서 나온 빛을 상기 투광성 필름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필름의 후면에 상기 도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투광성 필름 및 도광판을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상기 발광소자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base layer,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a light transmitting film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light guide plate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ttaching the light guide pla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film; forming the base layer by molding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while inserting the light transmitting plate into the injection mold; And assembl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n one side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레이어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광성 필름과,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을 상기 투광성 필름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필름의 후면에 상기 도광판을 부착하고, 상기 발광소자를 장착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투광성 필름, 도광판, 및 발광소자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base layer,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a light transmitting film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light guide plate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for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ttaching the light guide pla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translucent film and dis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t a mounting position; molding the translucent film, And forming the base layer on the base layer.

본 발명은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발광소자와 도광판을 배치시킴으로써 매우 슬림한 두께의 케이스 조명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light guide plate are disposed inside a base layer to provide a case light structure having a very slim thickness and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brightness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 공정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 발광소자, 투광성 필름, 도광판 등이 일체화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조립 편의성이 형상된 케이스 구조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structure in which a base layer, a light emitting element, a light transmitting film, a light guide plate, and the like are integrated by an insert injection process so that a more rigid and easy-to-assemble case structure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 / RTI >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서로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에 개시된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스윙 타입, 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which are foldably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a slide type, a swivel type, a swing type, and a bar type, not limited to the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힌지 연결부(119)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힌지 연결부(119)의 내부에는 제1바디(11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캠장치 및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part 119. The hinge connection part 119 is provided with a cam device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폴딩 상태(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언폴딩 상태(un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folding configuration and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20 ) May be referred to as an unfolding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The casing (hou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3,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etc.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13 further includes a touch screen, It may also be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image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Can be implemented.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1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10. [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ortions 123 and 12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5), 음향 입력부(126), 인터페이스(127)가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include a third operating unit 125, an acoustical input unit 126, and an interface 127.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operating portions 123, 124, and 12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any manner can be adopted as long as the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ith a tactile impression.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As shown in FIG.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2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4)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5)는 제1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4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operating unit 125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and the like.

음향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27 is a path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7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인터페이스(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The interface 127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영상입력부(116) 등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16 may be additionally mounted to the rear case 112 of the first body 120.

제2영상입력부(116)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16)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한편, 제2영상입력부(116)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e so that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28)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8)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8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9)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9)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d a power supply unit 129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ear case 122 side. The power supply 129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example, for charging, as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에는 조명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발광소자(13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발광소자(132)가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1)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광소자(132)는 조명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위치에 따라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ase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device 132 for implementing a lighting effect. The present embodiment has exemplified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is provided in the rear case 111 of the first body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depending on the position for realizing the lighting effect.

이하에서는 발광소자가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기초로 설명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리어 케이스(112)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할 것이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112 of the first body 110,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case 112 described below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132)는 리어 케이스(112)를 통해 일정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빛을 생성한다. 이러한 발광소자(132)는 전력의 손실을 줄이고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light through the rear case 112 so as to realize a certain lighting effect. A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used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so as to reduce power loss and reduce the unit cost.

발광소자(132)는 리어 케이스(112)의 내부에 배치되며, 도 3 및 4에서는 발광소자(132)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발광소자(132)는 리어 케이스(112)에 복수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도면들은 발광소자(132)가 제1바디(11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disposed inside the rear case 112,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132 may be arranged in the rear case 112. These figures illustrate that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132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의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a), 카메라 모듈(114a), 스피커 모듈(115a) 등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연성회로기판(118)에 의해 제2바디(120)의 메인 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18)은 리어 케이스(112) 내부의 발광소자(132)와 메인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Referring to FIG. 4, a display module 113a, a camera module 114a, a speaker module 115a, and the like are mounted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These configurations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ard of the second body 120 by the flexible circuit board 118. The flexible circuit board 118 electrically connects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inside the rear case 112 and the main board.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발광소자(132)가 구비된 리어 케이스(11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도 4의 Ⅳ-Ⅳ 라인을 따르는 프론트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광소자 및 도광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and 6, a detailed structure of the rear case 112 ha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case along the line IV-IV in FIG. 4,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guide plate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는 베이스 레이어(131)와, 발광소자(132), 투광성 필름(133), 및 도광판(134)을 포함한다.5, the rear case 112 includes a base layer 131, a light emitting element 132, a light transmitting film 133, and a light guide plate 134.

베이스 레이어(131)는 리어 케이스(112)의 외관을 형성하며, 프론트 케이스(110)에 내구력을 제공하는 기초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베이스 레이어(131)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31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rear case 112 and functions as a base member for providing a durability to the front case 110. The base layer 13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발광소자(132)는 베이스 레이어(1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어부(170, 도 11 참조)의 제어에 의해 일정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빛을 생성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131 and generates light so as to realize a certain lighting eff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see FIG. 11).

발광소자(132)는 인쇄회로기판(135)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5)은 발광소자(132)의 후방에 배치되며, 리지드(rigide) 기판 또는 연성(flexible) 기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는 발광소자(132)가 실장되며, 후면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136)가 구비된다. 제2바디(120)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118)은 커넥터(136)에 연결되게 된다.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disposed behi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and may have the form of a rigid substrate or a flexible substrate. A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nnector 136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18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36.

투광성 필름(133)은 발광소자(132)에서 나온 빛이 리어 케이스(112)의 외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레이어(131)의 외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투광성 재질'의 개념은 '반투광성 재질'및 '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is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can travel outside the rear case 112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31. Here, the concept of the 'translucent material' is a concept including 'translucent material' and 'transparent material'.

투광성 필름(133)은 내부의 구성들, 예를 들어 발광소자(132), 도광판(134) 등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반투광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필름(133)은 발광소자(132)에서 나온 빛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레이어(134)를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The translucent film 133 is preferably formed to be translucent so that the internal structures,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the light guide plate 134, and the like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translucent film 133 not only functions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but also functions as a protective layer for protecting the base layer 134.

도광판(134)은 투광성 필름(13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레이어(131)의 내부에 배치되며, 발광소자(132)에서 나온 빛을 투광성 필름(133)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The light guide plate 134 is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131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and function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본 실시예는 발광소자(132)가 도광판(134)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is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134. [

베이스 레이어(131)의 내부에는 발광소자(132)와 도광판(134)이 위치하는 제1공간(141, 도 7b 참조)과, 인쇄회로기판(135)이 위치하는 제2공간(142, 도 7b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간(141)과 제2공간(142)은 베이스 레이어(131)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7B)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and the light guide plate 134 are located and a second space 142 (see FIG. 7B)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located are formed in the base layer 131, ) May be formed. Here, the first space 141 and the second space 142 may be form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layer 131, respectively.

제1공간(141)은 베이스 레이어(131) 전면(front surface)의 일 면적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발광소자(132)와 도광판(134)은 투광성 필름(133)과 마주하게 배치된다.The first space 141 is formed to ope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layer 131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and the light guide plate 134 are disposed to face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제2공간(142)은 인쇄회로기판(135)의 후면이 노출되도록 베이스 레이어 후면의 일 면적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35)의 커넥터(136)만이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베이스 레이어(131)에 의해 덮혀지는 구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second space 142 may be formed such that a rear surface of the base layer is open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exposed. Here, it is also possible that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connector 136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expos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covered with the base layer 131 is also possible.

도 6은 발광소자(132)에서 나온 빛의 진행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도광판(134)에는 발광소자(1132)에서 나온 빛의 진행 경로를 바꾸기 위한 패턴(13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134a)는 도광판(134)의 배면에 요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발광소자(132)에서 나온 빛은 도광판(134)의 패턴(134a)에서 반사되어 리어 케이스(112)의 전방을 향하도록 그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6 shows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As shown in FIG. The light guide plate 134 may be provided with a pattern 134a for changing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132. [ The pattern 134a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34 so as to have irregularities. 6,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reflected by the pattern 134a of the light guide plate 134, and its direction of travel is changed toward the front of the rear case 112.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케이스 구조는 베이스 레이어(131)의 내부에 발광소자(132)와 도광판(134)를 배치시킴으로써 매우 슬림한 두께의 케이스 조명 구 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발광소자(132)와 도광판(134)가 리어 케이스(112)의 외면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므로 리어 케이스(112)의 외부로 발산되는 빛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cas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realize a case lighting structure having a very slim thickness by dis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132 and the light guide plate 134 inside the base layer 131. [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and the light guide plate 134 are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112, the brightness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case 112 can be increased.

아울러, 조명 효과를 위한 부품이 모두 리어 케이스(112)의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조립시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all the components for the lighting effect are disposed in the rear case 112, it is convenient to assemble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when they are assembled.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들을 도 5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7A to 7C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s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7a와 같이 투광성 필름(133)의 후면에 도광판(134)을 부착시킨다. 도광판(134)은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에 의해 투광성 필름(133)에 부착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7A, the light guide plate 134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The light guide plate 134 may be attached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by an adhesive or an adhesive film.

다음으로, 도 7b와 같이 투광성 필름(133)의 후면에 베이스 레이어(131)를 형성시킨다. 베이스 레이어(131)는 도광판(133)이 부착된 투광성 필름(133)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또는 '인몰드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출 금형은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공간(141,142)이 구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사출 금형 내부로 액상의 합성 수지가 주입되어 베이스 레이어(131)를 형성한다.Next, a base layer 13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as shown in FIG. 7B. The base layer 131 may be formed by 'insert injection' or 'in-mold injection'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with the light guide plate 133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In this case, the injection mold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41 and 142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and the liquid synthetic resin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mold to form the base layer 131.

인서트 사출에 의하면, 베이스 레이어(131)는 투광성 필름(133) 및 도광판(134)과 융착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레이어(131)는 투광성 필름(133) 및 도광판(134)과 마주하는 면들이 이들과 융착 결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종 재질 을 갖는 베이스 레이어(131), 투광성 필름(133), 도광판(134)이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According to the insert injection, the base layer 131 is fused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133 and the light guide plate 134. Specifically, the base layer 131 is bonded to the light-transmissive film 133 and the light-guiding plate 134 by fusing them with each other. Thus, the base layer 131, the light-transmissive film 133, (134)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면, 각 구성들의 결합력이 강화되며 보다 견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두께 또한 최소화시킬 있다.According to such a process, the bonding force of each structure is strengthened, a more rigid structure can be realized, and the thickness of the case can be minimized.

다음으로, 도 7c와 같이 발광소자(132)가 도광판(134)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발광소자(13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35)을 조립하면 케이스의 제조 공정이 완료되게 된다.Next,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mounted is assembl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132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34 as shown in FIG. 7C, the cas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eted.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들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한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8A to 8C ar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and configuration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8a와 같이 투광성 필름(233)의 후면에 도광판(234)을 부착시킨 다음 도 8b와 같이 발광소자(232)를 도광판(234)의 일측에 배치시킨다. 이 때, 발광소자(23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35)을 도광판의 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의 두께를 보다 줄일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연성 기판이 사용되었다.8A, a light guide plate 234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ve film 233,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23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34 as shown in FIG. 8B.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235 o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232 is mounted can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is embodiment, a flexible substrate is used as a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further reduce the thickness of the case.

다음으로, 도 8c와 같이 투광성 필름(233)의 후면에 베이스 레이어(231)를 형성시킨다. 베이스 레이어(231)는 투광성 필름(233), 도광판(234), 및 발광소자(232)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함에 의해 형성된다.Next, a base layer 23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film 233 as shown in FIG. 8C. The base layer 231 is formed by molding the light transmitting film 233, the light guide plate 234,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232 while inser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232 into the injection mol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선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발광소자(232) 및 인쇄회로 기판(235)까지도 베이스 레이어(231), 투광성 필름(233), 도광판(234)와 일체화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3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35 may be integrated with the base layer 231, the light transmitting film 233, and the light guide plate 234 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도면들 또한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9A to 9C ar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figuration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re also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thos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본 실시예는 발광소자(332)의 장착 위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소자(332)는 도광판(334)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홈(334b)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인서트 사출시 발광소자(332)가 액상의 합성수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32.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element 332 is disposed on the mounting groove 334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34. [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element 3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liquid synthetic resin when the insert is injected.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9a와 같이 투광성 필름(333)의 후면에 도광판(334)을 부착시킨 다음, 도 9b와 같이 발광소자(332)를 도광판(334)의 장착홈(334b)에 배치시킨다. 이 때, 발광소자(33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35)를 도광판(334)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9A, the light guide plate 334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film 333, and t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332 is placed in the mounting groove 334b of the light guide plate 334 as shown in FIG. 9B .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335 o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332 is mounted may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34.

다음으로, 도 9c와 같이 투광성 필름(333)의 후면에 베이스 레이어(231)를 형성시킨다. 베이스 레이어(231)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광성 필름(333), 도광판(334), 및 발광소자(332), 인쇄회로기판(335)를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Next, a base layer 23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tting film 333 as shown in FIG. 9C. The base layer 231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film 333, the light guide plate 334, the light emitting element 33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35 are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스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a cas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은 바 타입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410)을 포함한다. 단말기 바디(410)의 후면에는 배터리(42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is figure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bar-typ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body 410. A battery 429 may be remov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410.

단말기 바디(410)의 후면에는 배터리(429)를 덮는 배터리 커버(430)가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케이스 내부에 발광소자와 도광판을 배치시키는 개념은 배터리 커버(4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 battery cover 430 covering the battery 429 may be remov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410. The concept of dispos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 guide plate inside the case described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battery cover 430. [

배터리 커버(430)의 내부에는 발광소자(4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말기 바디(410)의 후면에는 발광소자(4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단자(401)가 구비될 수 있다.A connection terminal 401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43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410. In this case,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단말기 바디를 이루는 케이스의 다양한 형태로서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various forms of the case constituting the terminal body.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71), 조작부(123,124,125), 영상 입력부(115,116), 음향 입력부(126),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28),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7),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 공급부(129),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an acoustic input unit 126, a display unit 113, A sensing unit 176, an interface 127,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5, a memory 174, a power supply unit 129, and a control unit 170. [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무선 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 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7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transmits / receives wireless signals to /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transmission unit 17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a receiving unit 173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Lt; / RTI >

조작부(123,124,1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23,124,125)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 the control unit 16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include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3.

영상 입력부(115,1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7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are stored in the memory 17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

음향 입력부(12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The sound input unit 126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1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74.

음향 입력부(12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6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cal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3 And displays the captured image or th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When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touch screen, , It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28)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receiv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ommunication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Converts the stored sound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s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유닛(17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인지의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9)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76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t senses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lded state or the unfolded state, and outpu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7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And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29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7 may be any type of interface card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for example,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7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memory 17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and may hav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74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Such memory 174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8),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5 receive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s and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s into broadcast data formats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and the display unit 113 and outputs them to the controller 170. Furthe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additional data (e.g., EPG (Electric Program Guide), channel list, etc.) related to broadcas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7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전원 공급부(129)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5는 도 4의 Ⅳ-Ⅳ 라인을 따르는 프론트 케이스의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ont case along the line IV-IV in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발광소자 및 도광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guide plate shown in Fig.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7A to 7C illu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8A to 8C are views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figuration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9A to 9C show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configuration of a cas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스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cas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1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고,A case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terminal body, and electronic parts embedded in the case,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 레이어;The case comprises: a base layer;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조명 효과를 구현하는 발광소자;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and implementing a lighting effect;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광성 필름; 및A translucent film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상기 투광성 필름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을 상기 투광성 필름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며,And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inside the base layer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상기 베이스 레이어는, 상기 도광판이 부착된 투광성 필름을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며,Wherein the base layer is form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film with the light guid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old,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제1공간과 제2공간이 형성되고,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re formed in the base layer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layer, 상기 제1공간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 전면의 일 면적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도광판이 위치하고,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first space is formed to ope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guide plate are loca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unted is located in the second space The mobile terminal being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베이스 레이어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투광성 필름 및 도광판과 융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base laye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fused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도광판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dispos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홈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on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도광판에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의 진행 경로를 바꾸기 위한 패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s formed with patterns for changing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발광소자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behind the light emit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베이스 레이어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외면에 형성되는 투광성 필름과,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빛을 상기 투광성 필름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base layer;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in the base layer; a light transmitting film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light guide plate for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to the light transmitting film In the production method, 상기 투광성 필름의 후면에 상기 도광판을 부착하는 단계;Attaching the light guide plate to a rear surface of the translucent film; 상기 투광성 필름 및 도광판을 사출 금형에 삽입한 채로 성형하여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the base layer by molding the light 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while inserting the light transmissive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into the injection mold; And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상기 발광소자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nd assembl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와 도광판이 위치하는 제1공간과,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하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In the forming of the base layer, a first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guide plate are locat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mounted are formed in the base layer, The space and the second space are form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layer, 상기 제1공간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 전면의 일 면적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Wherein the first space is formed to open a surface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layer. 삭제delete
KR1020090068517A 2009-07-27 2009-07-27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101604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17A KR101604749B1 (en) 2009-07-27 2009-07-27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517A KR101604749B1 (en) 2009-07-27 2009-07-27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60A KR20110011060A (en) 2011-02-08
KR101604749B1 true KR101604749B1 (en) 2016-03-18

Family

ID=4377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517A KR101604749B1 (en) 2009-07-27 2009-07-27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7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3395B (en) * 2014-10-23 2016-09-07 广东安居宝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display floater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building speaker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391A (en) 2002-08-19 2004-03-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Portable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391A (en) 2002-08-19 2004-03-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Portable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60A (en)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392B1 (en) Portable terminal
KR102468709B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key module
US8095180B2 (en) Mobile terminal
KR20090007166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KR10147445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2302B1 (en) Mobile terminal
KR101562585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102242A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13934B1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ing applied to the same
KR101561906B1 (en) Mobile terminal
KR20140051720A (en) Mobile terminal and a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KR10160474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101951415B1 (en) Mobile terminal
KR101441922B1 (en) Touch-sensor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6190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1020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772078B1 (en) Mobile terminal
KR10161279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0200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2268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31902B1 (en) Portable terminal cas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table terminal case
KR101495180B1 (en) Displa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94437B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95362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