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167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167B1
KR101602167B1 KR1020140072781A KR20140072781A KR101602167B1 KR 101602167 B1 KR101602167 B1 KR 101602167B1 KR 1020140072781 A KR1020140072781 A KR 1020140072781A KR 20140072781 A KR20140072781 A KR 20140072781A KR 101602167 B1 KR101602167 B1 KR 101602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virtual reality
input device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4100A (en
Inventor
구기범
김민아
이중연
허영주
이세훈
황규현
원광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167B1/en
Publication of KR2015014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1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 또는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고,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각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활성화된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and method, wherein a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or a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is set, and when a menu search command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An input device for calculating the angle of movement of th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nd when the ang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ctivating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and when the activated menu item is selecte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A virtual string An output device.

Description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and a wrist movement 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출력장치의 메뉴를 입력장치를 잡은 사용자 손목의 움직임/각도로 내비게이션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for navigating a menu of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o a movement / ≪ / RTI >

과학적 가시화 애플리케이션의 가상현실 인터페이스가 사용하는 메뉴는 1차원으로 배열된 형태가 가장 많다. 주 메뉴가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되어 있고, 특정 메뉴를 선택할 때 나타나는 하위 메뉴 역시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있다. 이 방식은 GUI를 사용하는 컴퓨터가 출현한 이후 30년이 넘도록 사용됐기 때문에 그만큼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시스템을 처음 접할 때에도 별도로 사용법을 익히는 과정없이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들이 여전히 1차원으로 배열된 메뉴를 3차원 공간에 출력해서 사용하고 있다.Scientific Visualization The menu used by the virtual reality interface of the application is mostly arranged in one dimension. The main menu is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the submenus appearing when selecting a specific menu are arranged horizontally / vertically. This method has been used for more than 30 years since the appearance of a computer using a GUI, so it is user-friendly and can perform basic tasks without having to learn how to use the system even when it is new. That's why many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still use a one-dimensional array of menu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하지만 많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대형 스크린 앞에 서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때문에 키보드/마우스가 아니라 데이터 글로브, 완드, 헤드 트래커와 같이 특화된 입력장치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는 점에서 PC용 애플리케이션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기 노이즈, 시그널 딜레이, 보정 오차 때문에 가상현실 입력장치의 정확도가 마우스보다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Many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however, run in front of a large screen where the user controls the program. It differs from PC applications in that it receives user input with specialized input devices such as data globes, wands, and head trackers rather than keyboard / mous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virtual reality input device is lower than that of the mouse due to electric noise, signal delay, and correction error.

한국등록특허 제10-1146091호, 발명의 명칭 '증강 현실을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증강 현실 시스템'Korean Patent No. 10-1146091, entitled " Input Interface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Including It,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를 가상현실 입력장치를 잡은 사용자 손목의 움직임/각도로 내비게이션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menu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to a movement / angle of a user's wrist holding a virtual reality input devic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 또는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고,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각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활성화된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가상현실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or a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wherein when a menu search command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An input device for calculating an angle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a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when a menu search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is activated in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when ang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nd when the activated menu item is selected, Put the output device The wrist-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is provided.

상기 입력장치는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sets a vertical effective range of an angle that can be vertically moved, sets a vertical menu navigation mode by dividing the set vertical effective range into detailed areas, or sets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of angles that can move horizontally And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can be set by dividing the set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the detailed area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가상현실 출력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메뉴 탐색부, 상기 메뉴 탐색부에 의해 활성화된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 선택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뉴 선택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ommunication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vertical effective range or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of a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able angle,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menu navigation mode by dividing a range into a detailed area and a menu searching unit for calculating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based on the menu navigation mode set by the setting unit when a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A menu search unit for transmitting the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ctiva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And a menu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An input device including selecting unit is provided.

상기 메뉴 탐색부는 상기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을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the menu search unit may transmit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the menu navigation method set by the setting unit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또한, 상기 메뉴 탐색부는 상기 설정부에서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된 경우 수직 방향으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된 경우 수평 방향으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Also, the menu search unit may calculate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etting unit sets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ode, and may calculate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ode is se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입력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각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메뉴 제어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구현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출력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inpu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a menu search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menu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when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when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 virtual reality output unit including a virtual reality unit for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o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상기 메뉴 탐색 명령은 상기 입력장치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메뉴 정보를 상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menu search command includes a menu navigation method set in the input device, and the menu control unit can display the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장치에서 수직 또는 수평의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되고,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을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상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nu navigation method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in an input device,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is input to a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Displaying the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the input device calculating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based on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wherein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ctivates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Method is provided.

상기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에 활성화된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메뉴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input device transmits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when the activated menu item is selected in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장치가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을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device in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vertical effective range or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of a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able angle; Setting a menu navigation method by dividing a range or a horizontal validity range into detailed areas, transmitting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to a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when a menu search command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Calculating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based on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and activa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A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is provided.

상기 입력장치의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은 상기 활성화된 메뉴가 선택된 경우, 메뉴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rist movement-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of the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when the activated menu is selected so tha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s performed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상현실 출력장치가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각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in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a menu navigation method from an input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comprising: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nd activating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when ang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입력장치의 정밀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 손목의 상하/좌우 움직임만으로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를 내비게이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can be navigated only by the up / down / left / right movement of the user's wrist, which does not require precise control of the virtual reality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수직 메뉴와 수평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완드를 사용할 때 손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손목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수직유효범위와 수직메뉴 항목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수평유효범위와 수평메뉴 항목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출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rtical menu and a horizontal menu;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hand when using the wand,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range in which the wrist can mov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vertical effective range and a vertical menu ite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and a horizontal menu ite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각 기능부는 본 발명 구현에 대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Each functional unit re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other functional unit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functional unit may be implemented solely in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수직 메뉴와 수평 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완드를 사용할 때 손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손목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수직유효범위와 수직메뉴 항목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수평유효범위와 수평메뉴 항목의 대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rtical menu and a horizontal menu.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hand when using a wand.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and the vertical menu item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and a horizontal menu item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시스템은 손목 움직임에 따라 메뉴 내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입력장치(100), 입력장치(100)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system includes an input device 100 for performing menu navigation according to a wrist motion, and a virtual reality And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for outputting the virtual reality output.

입력장치(100)는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 또는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한다. 즉, 사용자는 손목을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거나, 또는 손목을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한다. 수직 메뉴는 도 2의 (a)와 같이 탑다운 방식으로 표시되고, 수평메뉴는 도 2의 (b)와 같이 메뉴 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100 sets a vertical menu navigation system or a horizontal menu navigation system. That is, the user sets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of the angle at which the wrist can vertically move, sets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ode by dividing the set vertical effective range into the detailed areas, or sets the horizontal And sets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by dividing the set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the detailed areas. The vertical menu may be displayed in a top down manner as shown in FIG. 2 (a), and the horizontal menu may be displayed in a menu bar manner as shown in FIG. 2 (b).

그런 후, 입력장치(100)는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100)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로 전송한다. Then,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the input device 100 calculates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and outputs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입력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을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에 제공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물체, 둥근 물체, 굽은 물체, 직사각형 물체, 또는 임의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00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mmands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and may be formed, for example, as a long object, a round object, a curved object, a rectangular object, or any of various shapes.

입력장치(10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로 무선 전송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100)는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블루투스, WiFi 통신 프로토콜 등을 사용하여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00 may be operable to wirelessly transmit a user command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00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using an infrared communication protocol, a Bluetooth, a WiFi communication protocol, or the like.

입력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선택부(예를 들어,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ors (e.g., buttons or switches) that provide user input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

입력장치(100)는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커서(예를 들어,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트 영역)를 제어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100 may be operable to control a cursor (e.g., a pointer or highlight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access operations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

입력장치(100)는 입력장치(100)의 움직임을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와 상관시키기 위해 임의의 적당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또는 기타 움직임 검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입력장치(100)는 움직임 검출 컴포넌트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을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100)는 x-y평면에서의 움직임을 식별하여, 그 움직임을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입력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라고 디스플레이부에 지시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100 may use any suitable method to correlate the movement of the input device 100 with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accelerometers, gyroscopes, or other motion detection components. The input device 100 may be operable to transmit the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component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00 may identify a motion in the xy plane and transmit the mo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which is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of the input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instruct the display unit to move the curso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이러한 입력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통신망을 통해 가상현실 출력장치의 메뉴를 탐색할 수 있는 장치로,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완드(wand),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모든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The input device 100 is a device that can be held by a user and can search a menu of a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y terminal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communicate with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a wand, a smart phone, and the lik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pecific terminal as long as communic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is possible.

입력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The inpu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입력장치(100)로부터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되면, 입력장치(100)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장치(100)로부터 각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displays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set in the input device 100,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is activated in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and when the activated menu item is selected,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is performed.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콘텐츠를 화면에 제공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미디어(예를 들어, 음악, 비디오 및 이미지), 안내 화면(예를 들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화면),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Adobe Illustrator 화면), 사용자 입력을 위한 프롬프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화면에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 또는 디스플레이를 발생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또는 노트북 컴퓨터, 개인 미디어 장치, 셀룰러 전화, 이동 통신장치, 포켓-크기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the screen with content for display. The content may include, for example, media (e.g., music, video and images), a guided screen (e.g., a guided application screen), a software display (e.g., an Adobe Illustrator screen) Or any other suitable content. In some embodiments,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may be operable to generate content or a display that may be presented on the screen.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may includ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or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media device, a cellular telephon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pocket-sized personal computer, a camera, a video recorder, or any other suitable electronic device have.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입력장치(100)의 각도를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lecting a menu using the angle of the input device 100 in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람의 손목이 움직이는 각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angle at which the human wrist moves will be described.

대표적인 가상현실 입력장치인 완드를 이용할 때 사람의 손의 모양은 도 3과 같은 형태가 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완드를 오른손으로 사용하는 순간 사람의 손바닥은 왼쪽을 향한다. 도 4에서 손목이 움직이는 각도를 측정할 때에는 손바닥이 아래를 향했지만, 도 3에서는 90O 틀어진 형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팔의 움직임 없이 손목만으로 완드를 상하로 움직일 때, 완드가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범위는 위로 20O, 아래도 55O가 될 수 있다. 또한, 완드가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범위는 오른쪽으로 70O, 왼쪽으로 90O가 될 수 있다.When the wand, which is a typical virtual reality input device, is used, the shape of the human hand becomes like that shown in Fig. As can be seen in FIG. 3, when the wand is used with the right hand, the palm of the person is directed to the left. FIG wrist, but when measuring the moving angle of the palm face-down on the four, in Figure 3 is that the 90 O twisted form. Thus, when moving the wand with only wrist without movement of the arm up and down, the range of angle in the wand to move in the vertical may be the top 20 O, 55 O also below. Also, the range of angles at which the wand can move horizontally can be 70 O to the right and 90 O to the left.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손목 움직임 각도를 기반으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고,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으로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setting a menu navigation method based on the wrist movement angle and selecting a menu using a set menu navig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먼저,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사람이 입력장치(100)를 오른손으로 잡으면 손바닥은 왼쪽을 향한다. 따라서, 입력 장치(10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범위는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했을 때 손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범위와 일치한다. 이를 고려해서 입력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정면을 향할 때를 기준으로 상위 20O부터 하위 55O까지로 정하고, 이를 수직 유효범위로 설정한다. 이때, 수직유효범위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위 20O, 하위 55O를 기준으로 하되, 사용자가 임의로 수직유효범위의 최대 최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When a person holds the input device 100 with his right hand, the palm faces to the left. Therefore, the maximum range in which the input device 100 can move up and down coincides with the maximum range in which the hand can be moved laterally when the palm is directed downward.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range in which the input device can move is set from the upper 20 O to the lower 55 O based o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is set. At this time, since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it is possible to set the maximum minimum range of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arbitrarily based on the upper 20 O and the lower 55 O.

수직 유효범위가 정해지면 이를 사용자의 성향과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서 5~11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모든 세부영역의 크기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도 5는 수직 유효범위를 상위 70O, 하위 35O로 정하고, 15O 단위로 세분한 결과를 보여준다. When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is determined, it is divided into 5 to 11 sub-areas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t this time, the sizes of all the detailed areas need not be the same. FIG. 5 shows the result of subdividing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into the upper 70 O , the lower 35 O , and the 15 O unit.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There are two types of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s.

먼저, 수직유효범위의 세부 영역 개수가 수직 메뉴 항목 개수보다 많은 경우이다. 이 경우, 입력장치(100)가 최상위 영역을 향하면 수직 메뉴의 가장 위에 위치한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장치(100)가 최상위 영역인 상위 55O에서 70O 영역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입력장치(100)가 가리킨 각도 정보에 해당하는 수직 메뉴인 'Load'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입력장치(100)가 상위 40O~55O 영역을 향하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상위 40O~55O 영역에 대응하는 수직 메뉴인 'Visualization'항목을 활성화시킨다. 즉, 입력 장치(100)가 가리키는 세부 영역에 맞춰서 수직메뉴의 메뉴 항목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First, the number of sub-areas of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vertical menu items. In this case, when the input device 100 faces the uppermost area, the menu item at the top of the vertical menu is activated. 5, the input device 100 points to a 70 O region in the upper 55 O in the top region VR output device 200 is a vertical menu for the angular information input device 100, point 'Load 'Item. When the input device 100 faces the upper 40 O to 55 O areas,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activates the 'Visualization' item, which is a vertical menu corresponding to the upper 40 O to 55 O areas. That is, the menu item of the vertical menu is 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area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100.

다음으로 수직유효범위 세부 영역의 개수가 수직 메뉴 항목 개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이 경우, 수직유효범위의 세부영역에서 최상위 영역과 최하위 영역은 '스크롤'을 위한 영역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수직 메뉴의 첫번째 메뉴 항목과 마지막 메뉴 항목을 각각 'scroll up'과 'scroll down' 버튼으로 변경한다. 도 4를 예로 들어보면, 'Load'를 scroll up버튼으로 바꾸고, 'View'는 scroll down 버튼으로 대체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로 A영역 중 한곳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입력장치(100)가 가리킨 각도에 맞춰서 'Visualization', 'select', 'animation', 'shading', light'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로 최상위 영역(B영역, 상위 55O~70O)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메뉴를 스크롤하면서 visualization 위에 숨어있던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사용자는 스크롤 도중에 원하는 메뉴 항목이 나타나면 입력 장치를 밑으로 내려서 해당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로 최하위 영역(C영역, 하위 20O~35O)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메뉴를 스크롤하면서 'Light' 밑에 숨어있던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사용자는 스크롤 도중에 원하는 메뉴 항목이 나타나면, 입력장치(100)를 위로 올려서 해당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Next, the number of vertical effective range sub-area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vertical menu items. In this case, the uppermost area and the lowermost area in the detailed area of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are used as areas for 'scrolling'. The first menu item and the last menu item of the vertical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are changed to 'scroll up' and 'scroll down' buttons, respectively. Taking FIG. 4 as an example, 'Load' is replaced by a scroll up button, and 'View' is replaced by a scroll down button. When the user indicates one of the areas A to the input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displays 'Visualization', 'select', 'animation', 'shading', light 'Item. In addition, the displaying the menu hiding visualization on the user and the top area with an input device (100) (B area, the upper 55 O ~ 70 O) of points,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to scroll the menu. When a desired menu item is displayed during scrolling, the user moves down the input device to activate the corresponding menu item and selects the menu item. Conversely, if the user indicates the lowest region (C region, lower 20 O to 35 O ) with the input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scrolls through the menu and displays the hidden menu under 'Light'. If a user desires to display a desired menu item during scrolling, the user can raise the input device 100 to activate the menu item and select a menu item.

다음으로,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은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과 유사하게 설정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오른손으로 잡고, 입력장치(100)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예컨대, 좌 20O, 우 55O로 정하고, 이를 수평유효범위로 설정한다. 이때, 수평유효범위는 왼손과 오른손을 사용할 때 좌/우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쪽 손으로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지 사전에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평유효범위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좌 20O, 우 55O를 기준으로 하되, 사용자가 임의로 수평유효범위의 최대 최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is set similar to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The user holds the input device 100 with his right hand and sets the range in which the input device 100 can move to, for example, left 20 o and right 55 o, and sets it as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 this case, since the left and right ranges are different when the left and right hands are used, it is necessary to decide in advance whether the input device should be used by which hand. In addition, since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the user may arbitrarily set the maximum minimum range of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based on the left 20 O and right 55 O.

수평 유효범위가 설정되면, 사용자의 성향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서 5~11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모든 세부영역의 크기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도 6은 수평유효범위를 좌 45O, 우 45O로 정하고, 수평유효범위를 5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 결과를 보여준다.When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s set, it is divided into 5 to 11 sub-areas according to the user's propensity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t this time, the sizes of all the detailed areas need not be the same. FIG. 6 shows the results of dividing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five sub-areas, with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s being left 45 0 and right 45 0 .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There are two types of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s.

먼저, 수평유효범위의 세부 영역 개수가 수평 메뉴 항목 개수보다 많은 경우이다. 이 경우, 입력장치(100)가 최좌측 영역을 향하면 수평 메뉴의 가장 왼쪽에 위치한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00)가 최좌측 영역인 좌 30O에서 45O 영역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입력장치(100)가 가리킨 각도 정보에 해당하는 수평 메뉴인 'Load'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입력장치(100)가 좌 10O~30O 영역을 향하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좌 10O~30O 영역에 대응하는 수평 메뉴인 'Visualization'항목을 활성화시킨다. 즉, 입력장치(100)가 가리키는 세부 영역에 맞춰서 수평메뉴의 메뉴 항목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First, the number of sub-areas of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horizontal menu items. In this case, when the input device 100 faces the leftmost area, the menu item at the leftmost position of the horizontal menu is activated. Referring to FIG. 6, when the input device 100 points to the 45 O area from the left 30 O , which is the leftmost area,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outputs a horizontal menu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100, Load 'item. Input device 100 is then left 10 O ~ 30 O hyanghamyeon the area, VR output apparatus 200 activates the 'Visualization' item menu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ft 10 O ~ 30 O area. That is, the menu item of the horizontal menu is 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area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100.

다음으로 수평유효범위 세부 영역의 개수가 수직 메뉴 항목 개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이 경우, 수평유효범위의 세부영역에서 최좌측 영역과 최우측 영역은 '스크롤'을 위한 영역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수평 메뉴의 최좌측 메뉴 항목과 최우측 메뉴 항목을 각각 'scroll up'과 'scroll down' 버튼으로 변경한다. 도 6을 예로 들어보면, 'Load'를 scroll up버튼으로 바꾸고, 'Animation'는 scroll down 버튼으로 대체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로 B영역 중 한곳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입력장치(100)가 가리킨 각도에 맞춰서 'Visualization', 'select'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로 최좌측 영역(A영역)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메뉴를 스크롤하면서 visualization 좌측에 숨어있던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사용자는 스크롤 도중에 원하는 메뉴 항목이 나타나면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로 최우측 영역(C영역)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메뉴를 스크롤하면서 'Animation' 우측에 숨어있던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사용자는 스크롤 도중에 원하는 메뉴 항목이 나타나면,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Next, the number of horizontal effective range sub-area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vertical menu items. In this case, the leftmost area and the rightmost area in the detailed area of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are used as areas for 'scrolling'. The leftmost menu item and the rightmost menu item of the horizontal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are changed to 'scroll up' and 'scroll down' buttons, respectively. For example, in FIG. 6, 'Load' is replaced by a scroll up button, and 'Animation' is replaced by a scroll down button. When the user indicates one of the areas B by the input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activates the 'visualization' and 'select' items according to the angle indicated by the input device 100. Also, if the user points to the leftmost area (area A) with the input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scrolls the menu and displays the hidden menu on the left side of the visualization. When a desired menu item is displayed during scrolling, the user activates the menu item using the input device 100 and selects a menu item. On the contrary, if the user points to the rightmost area (C area) with the input device 100,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scrolls the menu and displays the menu hidden on the right side of 'Animation'. If the user desires to display a desired menu item during scrolling, the user can activate the corresponding menu item using the input device 100 and select a menu item.

수평메뉴의 내비게이션은 수직 메뉴의 내비게이션과 동일하게 구현한다. 다만 입력 장치의 움직임이 상/하 움직임에서 좌/우 움직임으로 바뀐다는 차이가 있다.
The navigation of the horizontal menu is the same as the navigation of the vertical menu.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movement of the input device changes from up / down movement to left / right movemen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00)는 통신부(110), 설정부(120), 메뉴 탐색부(130), 메뉴 선택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7, the input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etting unit 120, a menu search unit 130, a menu selec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통신부(110)는 입력장치(100)와 가상현실 출력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communication unit for interconnecting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or satellite communication,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the Interne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손목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한다. The setting unit 120 sets a vertical effective range or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of an angle at which the wrist of the user can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e and divides the set vertical effective range or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detailed areas to set the menu navigation method do.

즉, 사용자는 수직 메뉴 설정 명령을 선택하고, 손목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수직 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수직 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위 90O, 하위 70O로 수직 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성향 및 애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수직 유효범위를 5~11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모든 세부 영역의 크기가 동일할 필요가 없다. That is, the user selects the vertical menu setting command, sets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at which the wrist can move vertically, and divides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into the detailed areas. For example, the user sets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to upper 90 O and lower 70 O , and divides the vertical effective range into 5 to 11 sub-areas according to the user's propensity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t this time, the sizes of all the detailed areas need not be the same.

예를 들어, 수직유효범위를 상위 70O, 하위 35O로 정하고, 수직유효범위를 15O 단위로 세분하여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면, 도 4와 같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a vertical effective range is set to an upper 70 O and a lower 35 O , and a vertical effective range is divided into 15 O units and a vertical menu navigation mode is set, it can be as shown in FIG.

사용자가 수평 메뉴 설정 명령을 선택하고, 손목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수평 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수평 유효범위를 세부영역으로 분할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왼쪽 20O, 오른쪽 55O로 수평 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성향 및 애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수평 유효범위를 5~11개의 세부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때 모든 세부 영역의 크기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The user selects the horizontal menu setting command, sets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 which the wrist can move horizontally, and divides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the detailed areas. For example, the user sets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to the left 20 O and the right 55 0 , and divides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5 to 11 sub-areas according to the user's propensity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the sizes of all the detailed areas need not be the same.

예를 들어, 수평유효범위를 좌 45O, 우 45O로 지정하고, 수평유효범위를 5개의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면, 도 5와 같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s set to 45 ° O and 45 ° O is set, and the horizontal validity range is divided into five detailed areas to set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ode, it can be as shown in FIG.

메뉴 탐색부(130)는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설정부(120)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100)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가상현실 구현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메뉴 탐색 명령은 입력 장치의 외관에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the menu search unit 130 calculates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100 based on the menu navigation mode set by the setting unit 120, (110) to activate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Here, the menu search comm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n the exterior of the input device.

즉, 사용자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을 선택하면, 메뉴 탐색부(130)는 메뉴 탐색 명령을 통신부(110)를 통해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설정부(120)에서 설정된 수평 메뉴 방식 또는 수직 메뉴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가상현실 출력장치에 메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잡은 손목을 움직이면, 메뉴 탐색부(140)는 손목 움직임에 의한 입력 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메뉴 탐색부(140)는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된 경우 수직 방향으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된 경우 수평 방향으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한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the menu search unit 130 transmits the menu search command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enu system or the vertical menu system. When the user moves the wrist that holds the input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menu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the menu search unit 140 calculates the angle of motion of the input device due to the wrist movement,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At this time, the menu search unit 140 calculates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ode is set, and calculates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ode is set.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00)가 위쪽을 가리키면 가상현실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수직메뉴의 윗부분에 있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 아래쪽을 향하면 수직메뉴의 아랫부분에 있는 메뉴항목을 활성화시킨다. For example,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FIG. 8, when the input device 100 points upward, the menu item at the top of the vertical menu displayed on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is activated. When the input device 100 faces downward, the menu item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menu is activated.

메뉴 선택부(140)는 메뉴 탐색부(130)에 의해 활성화된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 선택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When the menu activated by the menu search unit 130 is selected, the menu selection unit 140 transmits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so tha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s performed.

한편, 설정부(120), 메뉴 탐색부(130), 메뉴 선택부(140) 각각은 컴퓨팅 장치 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설정부(120), 메뉴 탐색부(130), 메뉴 선택부(14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Each of the setting unit 120, the menu searching unit 130, and the menu select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or the like necessary for executing a program on a compu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unit 120, the menu searching unit 130, and the menu select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y physically independent configurations, or may be implemented in a functional manner in one processor.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설정부(120), 메뉴 탐색부(130), 메뉴 선택부(14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such as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setting unit 120, the menu searching unit 130, and the menu selecting unit 140.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uting device, which may be a general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grammable device elements (CPLDs, FPGAs) suitably implemented for a specific purpose,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출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메뉴 제어부(240), 가상현실 구현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9,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 menu control unit 240,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

통신부(210)는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와 입력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interconnects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and the inpu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and satellite communication,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the Interne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저장부(220)는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20)에는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220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200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storage unit 220 stores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디스플레이부(230)는 입력장치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가상현실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23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ed by the input device, thereby displaying the virtual reality. Also, 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30)는 텔레비전, 프로젝터, 모니터(예를 들어, 컴퓨터 모니터), 미디어 장치 디스플레이(예를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 디스플레이), 통신 장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디스플레이), 그래픽 출력 장치와 결합된 컴포넌트,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화면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0 may be a television, a projector, a monitor (e.g., a computer monitor), a media device display (e.g., a media player or a video game console display), a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e.g., , A component associated with the graphic output device, any combination thereof, or any other suitable screen.

디스플레이부(230)는 링크에 의해 가상현실 출력장치(20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는 가상현실 출력장치(200)로부터의 미디어 및 기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230)에 제공하는 임의의 적당한 유선 링크, 무선 링크, 또는 이러한 링크들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30 may be coupled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by a link. The link may be any suitable wired link, wireless link, or any suitable combination of such links to provide media and other content from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to the display portion 230. [

메뉴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230)에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장치로부터 각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메뉴 탐색 명령은 입력장치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고, 메뉴 제어부(240)는 메뉴 탐색 명령에 포함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menu control unit 240 displays the menu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30, and when the ang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nd activates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enu search command includes a menu navigation method set in the input device, and the menu control unit 240 displays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included in the menu search command.

예를 들어,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면, 메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일정 영역에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수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면, 메뉴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30)의 일정 영역에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수평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 For example, if the menu navigation method is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ethod, the menu control unit 240 vertically displays the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230. If the menu navigation method is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ethod, the menu control unit 240 horizontally displays the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n a certain area of the display unit 230. [

가상현실 구현부(250)는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230)에 가상현실을 디스플레이시킨다. When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ing unit 25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display the virtual reality on the display unit 230. [

제어부(24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메뉴 제어부(240), 가상현실 구현부(25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operations of each unit such as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storage unit 220, the display unit 230, the menu control unit 240, and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250.

가상현실 출력장치(200)가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구성부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These components that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00 may include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by one hardware or softwar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입력장치는 수직 또는 수평의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되고(S1002),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S1004),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을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한다(S1006).10, when a menu search command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inputted (S1004),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is set as virtual To the real output device (S1006).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상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008).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displays menu information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S1008).

입력장치는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기초하여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S1010),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한다(S1012). The input device calculates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based on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S1010),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S1012).

가상현실 출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고(S1014), 상기 활성화된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S1016), 해당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18).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activates the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S1014), and when the activated menu item is selected (S1016), the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

한편,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can be created by a program, and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rogrammer in the field.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입력장치 110, 210 : 통신부
120 : 설정부 130 : 메뉴 탐색부
140 : 메뉴 선택부 150, 260 : 제어부
200 : 가상현실 출력장치 220 : 저장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메뉴 제어부
250 : 가상현실 구현부
100: input device 110, 210:
120: setting unit 130: menu search unit
140: Menu selection unit 150, 260:
200: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220:
230: display unit 240: menu control unit
250: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Department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통신망을 통해 가상현실 출력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는 설정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입력장치를 잡은 사용자 손목의 수직 또는 수평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메뉴 탐색부; 및
상기 메뉴 탐색부에 의해 활성화된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 선택 정보를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뉴 선택부;
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vertical effective range or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of angles that can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ed and setting the menu navigation method by dividing the set vertical validity range or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detailed areas;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the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by the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user's wrist holding the input devic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set by the setting unit, A menu search unit for transmitting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ctiva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And
A menu sel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when the menu activated by the menu search unit is selected;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탐색부는 상기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을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nu search unit transmits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a menu navigation method set by the setting unit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when a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탐색부는 상기 설정부에서 수직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된 경우 수직 방향으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고, 수평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이 설정된 경우 수평 방향으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nu search unit calculates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etting unit sets the vertical menu navigation mode and calculates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horizontal menu navigation mode is set, Device.
통신망을 통해 입력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장치를 잡은 사용자 손목의 수직 또는 수평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메뉴 제어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구현부;
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출력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inpu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display unit;
Wherein when a menu search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menu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 movement angle of the input device due to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user's wrist holding the input device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A menu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A virtual reality implementing unit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when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to implement a virtual reality on the display unit;
And a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탐색 명령은 상기 입력장치에서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메뉴 제어부는 상기 메뉴 정보를 상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출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enu search command includes a menu navigation method set in the input device,
Wherein the menu control unit displays the menu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입력장치가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의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직유효범위 또는 수평유효범위를 세부 영역으로 분할하여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탐색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을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설정된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를 잡은 사용자 손목의 수직 또는 수평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각도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by an input device held by a user,
Setting a vertical effective range or a horizontal effective range of an angle that can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ed and setting the menu navigation method by dividing the set vertical effective range or the horizontal effective range into detailed areas;
When the menu search command of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s selected, transmits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the set menu navigation method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nd displays the vertical or horizontal Calculating a motion angle of the input device by motion;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angle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nd activating a menu corresponding to the angle information;
Wherein the wrist movement-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compri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메뉴가 선택된 경우, 메뉴 선택 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출력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ransmitting the menu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when the activated menu is selected, so tha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s performed.
청구항 제10항 또는 제11항에 기재된 입력장치의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mbody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or 11.
가상현실 출력장치가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입력장치로부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을 포함하는 메뉴 탐색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메뉴 내비게이션 방식에 따라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장치를 잡은 사용자 손목의 수직 또는 수평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의 움직임 각도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정보에서 상기 각도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reality output device in a wrist motion based virtual reality menu,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f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nu navigation method when a menu search command including a menu navigation method is received from a hand held input device by a user; And
Activating a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angle from the displayed menu information when a movement angle of the input device due to vertical 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user's wrist holding the input device is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Wherein the wrist movement-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comprises:
청구항 제13항에 기재된 가상현실 출력장치의 손목 움직임 기반 가상현실 메뉴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wrist motion-based virtual reality menu control method of a virtual reality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KR1020140072781A 2014-06-16 2014-06-1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KR101602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81A KR101602167B1 (en) 2014-06-16 2014-06-1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81A KR101602167B1 (en) 2014-06-16 2014-06-1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00A KR20150144100A (en) 2015-12-24
KR101602167B1 true KR101602167B1 (en) 2016-03-10

Family

ID=5508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81A KR101602167B1 (en) 2014-06-16 2014-06-1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1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10U (en) 2019-09-04 2021-03-12 이용준 An Wearable Remote Control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996B1 (en) * 2021-11-29 2024-02-16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based on hand recognition for ar glasses apparatus and ar glasses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menu based on hand recogn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77B1 (en) 2003-05-01 2011-12-23 톰슨 라이센싱 Multimedia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091B1 (en) 2007-11-30 2012-05-16 광주과학기술원 Input Interface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Therewith
KR20110062703A (en) * 2009-12-04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595573B1 (en) * 2009-12-10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pace remote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77B1 (en) 2003-05-01 2011-12-23 톰슨 라이센싱 Multimedia user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610U (en) 2019-09-04 2021-03-12 이용준 An Wearable Remote Controller
KR20220000232U (en) 2019-09-04 2022-01-25 이용준 An Wearable Remot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00A (en)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2913B2 (en) Remote hover touch system and method
US1139221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ng a realistic displacement of a virtual object in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10719214B2 (en) Enhanced 3D interfacing for remote devices
US10417827B2 (en) Syndication of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in a computer-mediated reality environment
US11119581B2 (en) Displacement oriented interaction in computer-mediated reality
US9007299B2 (en) Motion control used as controlling device
EP2538309A2 (en) Remote control with motion sensitive devices
WO2013009047A2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display method
KR1016095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3d motion recognition information inpu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WO201305854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s display method
Katzakis et al. INSPECT: extending plane-casting for 6-DOF control
Menzner et al. Above surface interaction for multiscale navigation in mobile virtual reality
EP2538308A2 (en) Motion-based control of a controllled device
KR1016021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menu based in wrist action
CN108595010B (e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objects in virtual reality
JP20155259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N103809740A (en) Intelligent input system and method
CN103809768A (en) Intelligent input method
Di Geronimo et al. Tilt-and-Tap: framework to support motion-based web interaction techniques
KR101962464B1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for functional control
JP6008904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680084B1 (en) Designing method for gesture interface and designing apparatus for gesture interface
JP2016224595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ietroszek 3D Pointing with Everyday Devices: Speed, Occlusion, Fatigue
KR101219292B1 (en) Hand-held device including a display and method for navigating objects on th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