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595B1 -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595B1
KR101600595B1 KR1020140122315A KR20140122315A KR101600595B1 KR 101600595 B1 KR101600595 B1 KR 101600595B1 KR 1020140122315 A KR1020140122315 A KR 1020140122315A KR 20140122315 A KR20140122315 A KR 20140122315A KR 101600595 B1 KR101600595 B1 KR 10160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device
display
photo frame
disp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형욱
Original Assignee
최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욱 filed Critical 최형욱
Priority to KR102014012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5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5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frame using a mobil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hoto frame allowing a mobile device together with an exhibit to be mounted thereon to be displayed in such a manner where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part.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system constructing a home network by introducing an external input/output device, a management server, and a signal transmission means into the photo fra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frame allow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to be combined with the exhibit which the user wants to display using the display system.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providing service providing mutual transmission of images, data or the like between two users in each different place.

Description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포토프레임,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자 제공 방법{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frame using a mobile device, a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a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포토프레임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 frame using a mobile device,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전시물과 함께 모바일기기를 장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모바일기기의 액정화면을 표시하여 함께 전시할 수 있는 포토프레임에 관한 것이다.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 frame in which a mobile device is mounted together with an exhibit in a frame, and a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displayed togeth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토프레임에 외부입출력장치와 관리서버 및 신호전송수단을 도입하여 홈네트워크를 구축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isplay system in which a home network is constructed by introducing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a management server, and a signal transmission means in the photo frame.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전시하기 원하는 전시물에 모바일기기의 액정화면을 합성하는 액자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for synthesizing a liquid crystal screen of a mobile device to an exhibition desired by a user using the display system,

나아가 각기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는 두 사용자 간의 영상, 데이터 등의 상호 전송을 제공하는 액자 제공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And a frame providing service for providing mutual transfer of images, data, etc. between two users used in different places.

무선 네트워크(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를 활용하여 원거리에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를 컨트롤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다.Techniques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remotely using wireless networks (such as Bluetooth, Wi-fi, etc.) are already widespread.

이러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3-0040751호 (2003년05월23일) [인터넷 화면을 갖는 버스 안내판 또는 부스] (종래기술1)가 있는데, 이 종래기술1에는 버스 안내판이나 부스에 인터넷 화면을 구성하여 인터넷 정보나 광고 및 금융 결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Prior Art 1) discloses a bus guide board or a booth having an internet screen. In this prior art 1, a bus guide board or an Internet And a technique for configuring a screen to enable Internet information, advertising, financial settlement,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기술적인 개념에 있어서는 일견 타당하나, 그 상기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그 구성의 기능과 효과를 짐작하기 어렵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1 is obvious in a technical concept, but it is difficult to confirm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nd it is difficult to guess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configuration.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을 액자에 접목시킨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656079호 (2006년12월04일) [홈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종래기술2)이 있는데, 종래기술2에는 댁내 망에 연결된 디지털 액자,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홈네트워크 관리서버, 상기 홈네트워크 관리서버에 의해 접속자에 대한 제어를 받는 액자서비스 서버 및, 댁내 망과 공인망을 연결하여 공인망에 연결된 외부 장치와 상기 디지털 액자 간에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RG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홈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털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656079 (December 04, 2006) [Method of Providing Digital Frame Service Based on Home Network] (Prior Art 2) In the prior art 2, there are a digital fram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a home network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a frame service server controlled by the home network management server, and a home network and a public network There is proposed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frame service based on a home network in a network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 public network and an RG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frame and the digital fram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는 디지털 액자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 및 불필요한 소비를 유도하게 되고, 사용자의 추억이 담긴 아날로그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rt 2 has a separate digital frame, which leads to a cost burden and unnecessary consumption, and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analog sensibility of the user's memories. Therefore,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액자에 관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 제20-0362610호 (2004년09월09일) [액자형 이미지 데이타 디스플레이장치](종래기술3)가 있는데, 이 종래기술3에는 액자형 이미지 데이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기기로부터 이미지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액자를 대체할 수 있는 액자형 이미지 데이타 디스플레이장치가 제시되어 있다.(Prior Art 3), which is a frame-type image data display device, discloses a frame-type image data display device,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62610 (September 09, 2004) In particular, a frame-type image data display device has been proposed which receives imag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stores the image data, and displays a desired image to replace the fram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은 상기 종래기술2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아날로그적 영상(현상한 사진, 가족사진, 미술품 등)은 전시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rt 3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display analog images (developed photographs, family photographs, artwork, etc.) desired by the user as in the related art 2. [

또한 등록실용 20-0403048(2005년12월01일) [디지털사진첩이 구비된 탁상용 필통](종래기술4) 역시 전기한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practice 20-0403048 (Dec. 01, 2005) [a desk pencil case equipped with a digital photo album] (prior art 4) still has a problem described abov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프레임에 사용자가 전시를 원하는 전시물을 구비하고, 이에 모바일기기를 장착하고, 모바일기기의 액정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전시물과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합성하여 제공하는 포토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 frame in which a user wants to display an exhibition on a frame, a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and a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

또한 상기 장착부의 각 길이를 다르게 하여 장착 또는 장착해제가 보다 수월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at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making the lengths of the mounting por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아울러 직립용 다리를 구비하여 책상, 탁상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upright leg capable of being mounted on a desk or table,

나아가 상기 포토프레임을 외부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외부입출력장치, 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등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전시물에 합성시킬 수 있게 하되, 그 동작이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Furthermore,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hoto frame from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like are introduced to enable a user to combine a desired screen into an exhibit, An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에 포토프레임을 제공 및 설치하는 액자 제공 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포토프레임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부모, 자녀, 학생 등)과의 영상, 주변 환경, 상태 등을 서로 송수신 할 수 있는 액자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for providing and installing a photo frame in a user's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display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ame with a picture of an object (parent, child, stud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a state, a state,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모션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포토프레임은전시물이 구비되는 프레임;A photo frame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n exhibit;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위치에 구비되며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는 장착부;A display uni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rame;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display portion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o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eate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또한 상기 장착부는Further,

상기 모바일기기의 제1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제2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항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지지부 및 제3측면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a first side of the mobile device,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a second side and located at a position opposing the first support, and a third support for supporting a third side,

상기 제1지지부는 제2지지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프레임.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longer than the second support portion.

아울러 상기 프레임 후면에 구비되는 직립용 다리,The upright leg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상기 직립용 다리 및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걸쳐 연결된 펼침각도 제한부재,A spread angle restricting member connected across the upright leg and the back sid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직립용 다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납홈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구비되는 벽걸이용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프레임.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groov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right leg, and a wall-hanging ring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포토프레임; 상기 포토프레임의 장착부에 장착된 모바일기기; 상기 모바일기기와 데이터 및 동작신호를 송수신 하는 외부입출력장치;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저장 또는 로드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모바일기기 및 관리서버 간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photo frame; A mobile device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of the photo frame;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operation signals to / from the mobile device; A management server for interfacing with the mobile device to store or load data; And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mutual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자 제공 방법은In addition, the fram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액자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토프레임에 적용될 전시물, 모바일기기 및 상기 모바일기기에 표시될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시물을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고, 상기 전시물 및 프레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공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모바일기기의 규격에 맞는 장착부를 가공하고 상기 모바일기기를 상기 장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입출력장치, 모바일기기, 관리서버를 상기 신호전송수단을 통해 연동시키고, 상기 외부입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에 표시될 화면을 직접 컨트롤 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에 표시될 화면을 외부에서 컨트롤 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method for providing a frame using the display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selecting a display to be displayed on the photo frame, a mobile device, and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Attaching the exhibit to the frame, and processing the display unit on the exhibit and the frame; Machining a mounting part conforming to the size of the selected mobile device and seating the mobile device on the mounting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the mobile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directly controll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Setting a screen to be externally controll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자 제공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액자 제공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display system,

제1장소 및 제2장소에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마다 제1장소에 설치된 제1포토프레임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신호전송수단을 통해 제2장소에 설치된 제2포토프레임에 전송하고 제2포토프레임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카메라 및 센서로 주변의 사람을 인식하여 제2포토프레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또는 비표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제2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관리서버를 상기 신호전송수단을 통해 연동하여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호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stalling the display system in a first place and a second place, respectively; Capturing a picture or a moving picture through a first photo frame installed in a first place every set time, transmitting the picture or moving picture to a second photo frame installed in a second place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and outputting through a second photo frame; Selecting a display or non-display on a display unit of a second photo frame by recognizing a person around the camera and a sensor built in the mobile device; Transmitt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o each other by interlocking the first display system, the second display system,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프레임에 사용자가 전시를 원하는 전시물을 구비하고, 이에 모바일기기를 장착하고, 모바일기기의 액정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전시물과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합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아날로그 전시물(예를 들면 인화 사진, 가족 사진, 고가의 미술품 등)에 모바일기기의 액정으로 부터의 디지털 영상을 합성하여 전시할 수 있어, 전시물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고,Since 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desired by the user in the frame, the display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and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re synthesized and provided. A digital image from a liquid crystal of a mobile device can be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 photo print, a family photograph, an expensive art object, etc.,

또한 상기 장착부의 각 길이를 다르게 하여 장착 또는 장착해제가 보다 수월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으며,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is different, mounting or dismounting is facilitated,

아울러 직립용 다리를 구비하여 책상, 탁상 등에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 거치가 가능하고,In addition, since the upright legs are provided and can be mounted on a desk or a table, it can be mounted in various places,

나아가 상기 포토프레임을 외부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외부입출력장치, 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등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전시물에 합성시킬 수 있게 하되, 그 동작이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In addition,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photo frame from the outside,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like are introduced to enable a user to combine a desired screen with an exhib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환경에 포토프레임을 제공 및 설치하는 액자 제공 방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포토프레임을 통해 사용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부모, 자녀, 학생 등)과의 영상, 주변 환경, 상태 등을 서로 송수신 할 수 있어 떨어져 있는 두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에도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for providing and installing a photo frame in a user's environment by utilizing the display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rame with a picture of an object (parent, child, student, , State, and the like can be mutu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users is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착부에 관한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립용 다리에 관한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 제공 방법에 관한 제1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 제공 방법에 관한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 제1변형예.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 제2변형예.
1 is a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mbodiment of the upright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view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irst modification of the display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display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엄밀하지 않은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보이는 면을 전면, 보이지 않는 면을 후면으로 설정하여, 방향 역시 전방, 후방을 설정하고, 상, 하, 좌, 우 역시 보이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설정한다.When the rough direction is specified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t is possible to set the front surface as see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as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as the invisible surface, , Lower, left, and right are also set as shown.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ame shall app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포토프레임(F)은 전시물(1)이 구비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0) 및 상기 프레임(10)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 위치에 구비되며 모바일기기(M)가 안착되는 장착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photo frame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having an exhibit 1, a display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 And a mounting portion 30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mobile device M is mou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토프레임(F)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hoto frame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전시물(1)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판으로 일반적인 액자형태인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전기한 사각형 형상은 큰 구조적인 특이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First, the frame 10 is a plate on which the exhibit 1 is mounted, as shown in FIG. 1, and has a rectangular shape in a general frame form. However, the rectangular shape does not have a large structural specificity, and can take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nd a polygon.

상기 프레임(10)에 전시물(1)을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프레임(10)의 외곽에 틀을 구비하여 전시물(1)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도입할 수도 있고, 풀, 본드 등과 같은 접착부재를 활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도 있다.
The method of mounting the display 1 on the frame 10 may include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display 1 by providing a fram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10, A method of bonding by utilizing the adhesive may be introduced.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프레임(10)의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전면에서부터 후면으로까지 걸쳐 관통되어 뚫려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모바일기기(M)의 액정이 위치하는 구성요소로 모바일기기(M)에서 재생되는 화면을 그대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unit 20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urface of the frame 10 and penetrate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rear surface. The display unit 2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device M is located, and displays the screen reproduced in the mobile device M as it is to the user.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모바일기기(M)의 보호를 위해 윈도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외곽에는 상기 윈도우의 결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20 is provided with a window for protecting the mobile device M and that the window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isplay unit 20.

다음으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장착부(3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mounting portion 30 constitut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토프레임(F)의 배면사시도이다.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hoto frame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착부(30)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제1측면(m1)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1), 제2측면(m2)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부(31)에 대항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지지부(32) 및 제3측면(m3)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unting portion 30 supports a first supporting portion 31 supporting the first side m1 of the mobile device M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31 supporting the second side m2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1 And a third support portion 33 for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 and the third side m3.

전기한 제1 내지 제3측면(m1)(m2)(m3)은 모바일기기(M)의 네 측벽면 중 세 측벽면을 지칭하는 것이고, 제1측면(m1)과 제2측면(m2)은 상호 대항하는 두 측면을 의미하고, 제3측면(m3)은 제1측면(m1)과 제2측면(m2) 둘 모두와 이어진 면을 의미한다.The first side m1 and the second side m2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three sidewall surfaces of the four sidewalls of the mobile device M, And the third side m3 means a side joined to both the first side m1 and the second side m2.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부(31)(32)(33)는 상기 제1 내지 제3측면(m1)(m2)(m3)과 접촉하는 장착부(30)의 구성을 의미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upport portions 31, 32, and 33 ar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 surfaces m1, m2, m3.

상기 장착부(30)의 제1 내지 제3지지부(31)(32)(33)는 'ㄷ'자 유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지지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에 모바일기기(M)의 측면이 안착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31, 32 and 33 of the mounting portion 30 are formed in a U-like shap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is seated in a groove formed inside the supporting portion .

한편, 상기 모바일기기(M)를 상기 장착부(3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Meanwhile,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mobile device M to the mounting portion 30,

모바일기기(M)와 장착부(30) 간의 유격이 클수록 장착이 용이해지고, 유격이 작을수록 결합의 안정성이 보장된다.The greater the clearance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mounting portion 30, the easier the mounting, and the smaller the clearance, the more stable the engagement.

본 발명은 장착의 용이성과 결합의 안정성 모두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31)는 제2지지부(32)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1 is longer than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2 in order to facilitate both the mounting and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이를 통해 먼저 제1지지부(31)에 모바일기기(M)의 제1측면(m1)을 접하도록 밀어 넣고 완전히 안착시킨 다음 제3지지부(33)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모바일기기(M)의 제2측면(m2)이 제2지지부(32)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상태로 모바일기기(M)를 장착부(30) 내부로 완전 삽입시키면 제3측면(m3)이 제3지지부(33)에 접촉하게 되고 모바일기기(M)의 장착이 완료된다.The first support m1 of the mobile device M is first pushed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n ful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then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33, When the mobile device M is fu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30, the third side m3 is connected to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32 33 and the mounting of the mobile device M is completed.

아울러 도 2 [B]에는 모바일기기(M)를 상기 장착부(30)에 측면에서 밀어 넣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2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M is pushed into the mounting portion 30 from the sid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토프레임(F)의 직립을 위한 직립용 다리(L)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an upright leg L for uprighting the photo frame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립용 다리(L)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면에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upright leg L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또한 직립용 다리(L)는 상기 포토프레임(F)의 벽걸이 수납을 위해서는 최대한 얇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upright leg L is made as thin as possibl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wall frame of the photo frame F. [

아울러 상기 직립용 다리(L)의 일 단부는 프레임(1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바닥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10)과 직립용 다리(L)의 단부가 연결된 지점에는 선회부재(47)가 구비되어 직립용 다리(L)의 회동운동을 지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upright leg L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other e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floor. At a point where the end of the upright leg L is connected to the frame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ember 47 is provided to support the turning motion of the upright leg L.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M)를 위한 장착부(30)의 위치 확보를 위해 상기 선회부재(47)는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it is preferable that the pivot member 47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10 in order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0 for the mobile device M. [

또한 상기 직립용 다리(L)만으로는 직립상태의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일 단부가 직립용 다리(L)에 연결되고 타 단부가 프레임(10)의 후면에 연결되는 펼침각도 제한부재(41)를 도입하였다. 상기 펼침각도 제한부재(41)는 얇은 천, 탄성력을 갖는 소재, 금속재질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양 단부가 각각 프레임(10)의 후면, 직립용 다리(L)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upright leg L is difficult to maintain in the upright stat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unfolded angle restricting member (i.e., the unfolded angle restricting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right leg L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41) was introduced. The open angle restricting member 4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hin cloth,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 metal material, etc. Both end portions ar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upright leg L .

상기 고정부재로는 본드, 핫 멜트 등과 같은 접착부재, 못,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may be variously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bond, hot melt or the like, a nail, a bolt and a nut.

아울러 상기 직립용 다리(L)를 최대한 얇게 구비하다보면 직립 상태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부러질 염려가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립용 다리(L)의 안정성을 위한 최소한의 두께를 보장하고, 대신에 직립용 다리(L)의 은폐를 위해 직립용 다리(L)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납홈(43)을 프레임(10)의 후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f the upright leg (L) is provided as thin as possible, it may be broken by a force applied in an upright sta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inimum thickness for the stability of the upright leg (L) It is preferable that a receiving groove 4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right leg L is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frame 10 for concealing the upright leg L. [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벽걸이형 고리(45)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포토프레임(F)을 벽걸이, 탁상 거치용 등 다양한 형태로 전시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 wall-mounted ring 4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 to allow the photo frame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for wall-hanging and tabletop mounting.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S)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display system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플레이 시스템(S)은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display system S includes

전기한 포토프레임(F), 상기 포토프레임(F)의 장착부(30)에 장착된 모바일기기(M), 상기 모바일기기(M)와 데이터 및 동작신호를 송수신 하는 외부입출력장치(51), 상기 모바일기기(M)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저장 또는 로드하는 관리서버(53) 및 상기 모바일기기(M) 및 관리서버(53) 간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전송수단(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operation signals to and from the mobile device M, a mobile device M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0 of the photo frame F, A management server 53 for storing or loading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mobile device M and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for mutual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management server 53. [

상기 모바일기기(M)는 2G용 피쳐폰(M2)(일반 휴대폰)이 될 수도 있고, 3G 및 LTE용 스마트폰(M3)이 될 수도 잇다. 본 발명에서 2G폰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카메라, 센서 등은 상기 프레임(10)에 따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bile device M may be a feature phone M2 for 2G (general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M3 for 3G and LT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 a sensor, and the like, which are required when the 2G phone is used,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frame 10.

또한 상기 외부입출력장치(51)는 포토프린터에 데이터 및 동작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모바일기기(M), PC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였을 때 모바일기기(M) 특히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M3)이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nd operation signals to and from the photo printer.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may be provided as a mobile device M or a PC. 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pawn M3.

또한 상기 관리서버(53)는 사용자의 환경 내부에 구비될 수 도 있고, 외부업체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서버를 통한 관리는 원격 조종 및 데이터의 활용 측면에서 봤을 때 관리 업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53 may be provided inside the user's environment or may be provided to an external company. It is preferable that management through the server is provided to the management company in terms of remote control and data utilization .

아울러 상기 신호전송수단(55)은 블루투스(Bluetooth)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통신인 것이 바람직한데, 각 구성요소 중 어느 구성을 메인으로 사용하는가를 변동할 여지가 있다면 마스터(Master: 주 제어부)의 변동이 가능한 블루투스통신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광범위한 면적에서 안정적인 신호처리를 위해서라면 마스터의 변동은 불가하나 속도 및 가용면적이 우수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is Bluetooth communication or Wi-Fi communication. If there is room to change which constituent element is used as a main component, the master It is preferable to use a Bluetooth communication capable of varying. In order to perform stable signal processing in a wider area, it is preferable to use a wiper having a high speed and an available area.

이 외에 다른 통신매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매체는 상기 두 구성과 같고, 다른 것을 활용하는 것은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아도 당업자라면 누구나 실시 가능한 것이다.
Other communication media other than the above can be used, but the communication medium used by the user generally is the same as the above two configurations,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arry out the use of the other without specifically mentioning i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S)을 이용한 액자 제공 방법(P)(Q)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framing method (P) (Q) using the display system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본 디스플레이 시스템(S)을 이용한 액자 제공 방법(P)(제1실시예)은The frame method P (first embodiment) using the present display system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포토프레임(F)에 적용될 전시물(1), 모바일기기(M) 및 상기 모바일기기(M)에 표시될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제1단계)(P100),A first step P100 of selec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 the mobile device M and the mobile device M to be applied to the photo frame F,

상기 전시물(1)을 상기 프레임(10)에 부착하고, 상기 전시물(1) 및 프레임(10)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가공하는 단계(제2단계)(P200),(Step P200) of attaching the exhibit 1 to the frame 10 and processing the display unit 20 on the exhibit 1 and the frame 10,

선택된 상기 모바일기기(M)의 규격에 맞는 장착부(30)를 가공하고 상기 모바일기기(M)를 상기 장착부(30)에 안착시키는 단계(제3단계)(P300) 및A step (P300) of processing the mounting part (30) conforming to the selected size of the mobile device (M) and placing the mobile device (M) on the mounting part (30)

상기 외부입출력장치(51), 모바일기기(M), 관리서버(53)를 상기 신호전송수단(55)을 통해 연동시키고, 상기 외부입출력장치(51)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M)에 표시될 화면을 직접 컨트롤 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서버(53)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M)에 표시될 화면을 외부에서 컨트롤 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제4단계)(P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the mobile device M, and the management server 53 are link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and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the mobile device M, (Step P400) of controlling the screen directly or controlling th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M externally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53 (step 4).

제1단계(P100)에서는 사용자가 전시를 요구하는 전시물(1) 및 모바일기기(M)에 표시될 화면을 선택하여 주문을 받는다.
In the first step P100, the user selects an exhibition object 1 and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M and receives an order.

제2단계(P200)에서는 전시물(1)을 프레임(10)에 부착하는데, 접착수단으로는 본드, 핫 멜트 등을 활용할 수 있고, 액자의 형태로 프레임(10)의 외곽에 틀을 구비하여 끼워 넣는 형식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second step P200, the display 1 is attached to the frame 10, and the bonding means may be a bond, a hot melt, or the like.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putting.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절단수단을 활용하여 잘라 내거나 구멍을 뚫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lso, the display unit 20 may be formed by cutting or punching using a cutting means.

제3단계(P300)에서는 전기한 장착부(30)를 가공하여 프레임(10)의 후면에 부착하고, 모바일기기(M)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상기 장착부(30)를 프레임(10)의 후면에 부착하는 방법은 전기한 접착수단을 활용하는 방법을 도입할 수 있고, 체결수단을 따로 구비하는 방법을 도입할 수 도 있다.In the third step P300, the electric mounting portion 30 is machined and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mobile device M is inserted and mounted. As a method of attaching the mounting portion 30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 method of utilizing an electric bonding means may be adopted, and a method of separately providing a fastening means may be introduced.

상기 체결수단은 못, 볼트와 너트 등을 활용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may utilize nails, bolts, nuts, and the like.

제4단계(P400)에서 상기 외부입출력장치(51)는 PC, 모바일기기(M)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부입출력장치(51), 모바일기기(M), 관리서버(53)가 모두 서로 신호전송수단(55)을 통해 연동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관리서버(53)를 생략하거나, 외부입출력장치(51)를 생략하는 것도 무방하고, 관리서버(53)는 직접 모바일기기(M)를 작동시키지 않게끔 구비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may be a PC, a mobile device M and the like. Preferably, the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1, the mobile device M, and the management server 53 The management server 53 may be omitted or the external input and output device 51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management server 5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 It is also possible to enhance the security by providing it not to operate.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 제공 방법에 또 다른 실시예(Q)가 도시되어 있다.(제2실시예)(Q)6 shows still another embodiment (Q) of a fram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Q)

제2실시예에 도시된 액자 제공 방법(Q)은The frame providing method Q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제1장소(h1) 및 제2장소(h2)에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S)을 설치하는 단계(제1단계)(Q100), (Step Q100) of installing the display system S in the first place h1 and the second place h2,

설정된 시간마다 제1장소(h1)에 설치된 제1포토프레임(F1)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신호전송수단(55)을 통해 제2장소(h2)에 설치된 제2포토프레임(F2)에 전송하고 제2포토프레임(F2)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제2단계)(Q200),Photographing a picture or a moving picture through a first photo frame F1 installed at a first place h1 at a set time and transmitting a second picture frame F2 installed at a second place h2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55, (Second step) (Q200) of outputting the image data through the second photo frame F2,

상기 모바일기기(M)에 내장된 카메라 및 센서로 주변의 사람을 인식하여 제2포토프레임(F2)의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 또는 비표시를 선택하는 단계(제3단계)(Q300),A step (Q300) of recognizing a person around by the camera and the sensor built in the mobile device (M) and selecting display or non-display on the display part (20) of the second photo frame (F3)

상기 제1디스플레이 시스템(S1) 및 제2디스플레이 시스템(S2) 및 관리서버(53)를 상기 신호전송수단(55)을 통해 연동하여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호 전송하는 단계(제4단계)(Q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Step 4) of interchang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by interlocking the first display system S1, the second display system S2 and the management server 53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Q400).

제1단계(Q100)에서 제1장소(h1)는 사용자의 집, 사무실, 모바일기기(M) 등 사용자가 생활하는 환경을 의미하고, 제2장소(h2)는 부모님의 집, 사용자의 집, 자녀의 방 등 사용자가 관찰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In the first step Q100, the first place h1 denotes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lives, such as a user's home, an office, a mobile device M, and the second place h2 denotes a home, It means the environment that the user wants to observe or manage, such as the room of the child.

또한 제2단계(Q200)에서 신호전송수단(55)은 전기한 신호전송수단(55)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In the second step (Q200),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that is transmitted.

아울러 제3단계(Q300)에서 센서는 초음파센서, 동작감지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고, 사물 또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2포토프레임(F2)에 정보를 전달하여 대상자(사용자가 관찰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사람)가 있을 때는 제2포토프레임(F2)이 출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고, 부재 시에는 표시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In the third step Q300, an ultrasonic sensor, a motion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sensor. The sensor senses the motion of an object or a person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second photo frame F2. The second photo frame F2 displays a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from which the second photo frame F2 is output, and performs an operation not to display the photo or moving image when it is absent.

다음으로 제4단계(Q400)에서 신호전송수단(55)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Next, in the fourth step (Q400),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55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한편, 도 7 [A]및 [B]에는 포토프레임(F)에 장착되는 모바일기기(M)를 피쳐폰(M2)(2G용)으로 구비한 실시예와 스마트폰(M3)(3G/LTE용)으로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7A and 7B illustrate an embodiment having the mobile device M mounted on the photo frame F as the feature phone M2 (for 2G) and the embodiment having the smart phone M3 (3G / LTE For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피쳐폰(M2)으로 구비된 경우 액자 자체에는 카메라, 센서, 버튼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mobile phone is equipped with the feature phone M2, a camera, a sensor, a button, and the like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rame itself.

그러나 스마트폰(M3)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스마트폰(M3) 자체 내장된 카메라, 센서 등을 활용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손쉬운 사용이 가능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M3), it is possible to use the smartphone (M3) because it uses the built-in camera and sensor.

또한 도 7 [C]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7 (C)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display unit 20. As shown in Fig.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모바일기기(M)의 액정의 크기에 상응하게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기기(M) 자체의 크기만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카메라의 노출을 위한 카메라부(21), 센서의 감지를 위한 센서부(22) 및 모바일기기(M)의 버튼의 노출을 위한 버튼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splay unit 20 is provided not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device M but to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M itself and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camera unit A sensor unit 22 for sensing the sensor, and a button unit 23 for exposing the buttons of the mobile device M. [

카메라부(21), 센서부(22), 버튼부(23) 각각은 모두 실제 모바일기기(M)의 각 구성요소의 위치에 배열되고, 모두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다.
The camera unit 21, the sensor unit 22 and the button unit 23 are all arranged at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actual mobile device M and are all formed on the frame 10.

아울러 도 8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또 다른 변형예로 하프미러(20B)(Half Mirror)를 도입하여 거울의 기능과 전시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FIG. 8, a half mirror 20B (Half Mirror) is introduced a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display unit 20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mirror and the display can be used simultaneously.

상기 변형예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후면에 접촉하여 구비된 장착박스(26), 상기 장착박스(26)의 내부 저면에 구비된 장착부(30h) 및 상기 장착부(30h)의 상부에 배열되고 일 단부는 상기 프레임(10)의 후면에 접하는 모서리에, 타 단부는 상기 모서리와 이어지지 않은 모서리에 고정되어 기울어진 하프미러(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8, a mounting box 26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 mounting port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x 26 And a half mirror 20B which is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0h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an edge tang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an edge not connected to the edge, .

상기 장착박스(26)는 사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The mounting box 26 is preferably made of a tetrahedron,

상기 장착부(30)는 전기한 장착부(30)와 동일하며, 상기 하프미러(20B)는 반투명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ortion 30 is the same as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half mirror 20B is made of translucent glass.

위와 같이 하프미러(20B)를 도입한 변형예를 통해,Through the modification example in which the half mirror 20B is introduced as described above,

모바일기기(M)의 액정에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하프미러(20B)에 반사되어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전시되고,When a screen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device M, it is reflected on the half mirror 20B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모바일기기(M)의 액정에 화면이 꺼지는 경우 하프미러(20B)는 단순히 거울 역할을 하게 되어 탁상 거울로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on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device M, the half mirror 20B simply acts as a mirror and can be used as a desk mirro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신호전송수단의 구체적인 구성, 상호 데이터의 교환 과정 및 센서를 통한 정보 신호가 모바일기기 내에서 처리 되는 과정 등과 관련한 공지기술은 생략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a known technique relating to a specific configuration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a process of mutual data exchange, and a process of processing an information signal through a sensor in a mobile device is omitt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and infer that It is.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

F: 포토프레임 10: 프레임
20: 디스플레이부 30: 장착부
31, 32, 33: 제1 내지 제3지지부
M: 모바일기기 m1, m2, m3 : 제1 내지 제3측면
L: 직립용 다리 41: 펼침각도 제한부재
43: 수납홈 45: 벽걸이용 고리
47: 선회부재 S: 디스플레이 시스템
51: 외부입출력장치 53: 관리서버
55: 신호전송수단 20B: 하프미러
P: 액자 제공 방법 제1실시예
Q: 액자 제공 방법 제2실시예
F: Photo frame 10: Frame
20: display part 30: mounting part
31, 32, 33: first to third supporting portions
M: mobile devices m1, m2, m3: first to third sides
L: upright leg 41: unfolding angle restricting member
43: storage groove 45: wall ring
47: swivel member S: display system
51: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53: management server
55: signal transmission means 20B: half mirror
P: Method of providing frame image First embodiment
Q: How to Provide Frames Example 2

Claims (6)

전시물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관통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위치에 구비되며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토프레임,
상기 포토프레임의 장착부에 장착된 모바일기기,
상기 모바일기기와 데이터 및 동작신호를 송수신 하는 외부입출력장치,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저장 또는 로드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모바일기기 및 관리서버 간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이용한 액자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장소 및 제2장소에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
설정된 시간마다 제1장소에 설치된 제1포토프레임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신호전송수단을 통해 제2장소에 설치된 제2포토프레임에 전송하고 제2포토프레임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기기에 내장된 카메라 및 센서로 주변의 사람을 인식하여 제2포토프레임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또는 비표시를 선택하는 단계;
제1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제2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관리서버를 상기 신호전송수단을 통해 연동하여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호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자 제공 방법.
A photo fram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t a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nd on which a mobile device is mounted,
A mobile device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of the photo frame,
An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operation signals to / from the mobile device,
A method of providing a frame using a display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interlocked with the mobile device and storing or loading data, and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mutual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Installing the display system in a first place and a second place, respectively;
Capturing a picture or a moving picture through a first photo frame installed in a first place every set time, transmitting the picture or moving picture to a second photo frame installed in a second place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and outputting through a second photo frame;
Selecting a display or non-display on a display unit of a second photo frame by recognizing a person around the camera and a sensor built in the mobile device;
Transmitt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display system, the second display system,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means;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제1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제2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항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지지부 및 제3측면을 지지하는 제3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는 제2지지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 first support for supporting a first side of the mobile device,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a second side and located at a position opposing the first support, and a third support for supporting a third side,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longer than the second support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후면에 구비되는 직립용 다리,
상기 직립용 다리 및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걸쳐 연결된 펼침각도 제한부재,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직립용 다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납홈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 구비되는 벽걸이용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 upright leg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A spread angle restricting member connected across the upright leg and the back side of the frame,
Further comprising: a receiving groov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right leg; and a wall-hanging ring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22315A 2014-09-15 2014-09-15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6005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315A KR101600595B1 (en) 2014-09-15 2014-09-15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315A KR101600595B1 (en) 2014-09-15 2014-09-15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595B1 true KR101600595B1 (en) 2016-03-08

Family

ID=5553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315A KR101600595B1 (en) 2014-09-15 2014-09-15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59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405A (en) * 1989-06-28 1991-06-26 Rockwell Automot Body Syst Fr Method for assembling two elements and assembly thereof
JPH10234542A (en) * 1996-12-27 1998-09-08 Doperu:Kk Frame
JP3149405B2 (en) * 1999-04-23 2001-03-26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dition adjust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KR20100096797A (en) * 2009-02-25 2010-09-02 (주)아침 Combined analog and digital photos framed photos
KR20130125948A (en) * 2012-05-10 2013-11-20 주식회사 케이티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lbum service and a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405A (en) * 1989-06-28 1991-06-26 Rockwell Automot Body Syst Fr Method for assembling two elements and assembly thereof
JPH10234542A (en) * 1996-12-27 1998-09-08 Doperu:Kk Frame
JP3149405B2 (en) * 1999-04-23 2001-03-26 ジーイー横河メディカルシステム株式会社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dition adjust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KR20100096797A (en) * 2009-02-25 2010-09-02 (주)아침 Combined analog and digital photos framed photos
KR20130125948A (en) * 2012-05-10 2013-11-20 주식회사 케이티 A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album service and a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1740B (en) Electronic photo frame
TWI660304B (en) Virtual reality real-time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TWI504931B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WO2007039617A3 (en) Multi-face button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101560352B1 (en) Interactive image contents display system using smart table device on large wall surface
US7762670B2 (en) Projector and im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GB2363686A (en) Measuring convergence alignment of a projection system
JP2017033103A (en)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product advertisement or service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ing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s
US20180262730A1 (en) Image projections
JP2014092780A (en) Large multi-touch electronic whiteboard
KR101600595B1 (en) Photo frame,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fram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2206470U (en) Image fusion controller
CN103810653A (en) Virtual projection food ordering system
CN112181051B (en) terminal
JP2018061243A (en)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10098099A (en) Underwater type projector
JP6187037B2 (en) Image processing server,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US20180142467A1 (en) Partition system
KR101721826B1 (en) Illuminated display system using a mirror
KR20170115866A (en) Double side display device
TWM544692U (en) Exhibition booth advertising system
KR102279243B1 (en) Elderly monitoring electronic photo frame
CN202102415U (en) Picture projecting system
JP4062029B2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KR20180123839A (en) Digital multi-channel menu board system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